KR102196343B1 -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343B1
KR102196343B1 KR1020190018671A KR20190018671A KR102196343B1 KR 102196343 B1 KR102196343 B1 KR 102196343B1 KR 1020190018671 A KR1020190018671 A KR 1020190018671A KR 20190018671 A KR20190018671 A KR 20190018671A KR 102196343 B1 KR102196343 B1 KR 10219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rol unit
signal
user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416A (ko
Inventor
김미혜
노근혁
김지원
남현철
박창준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43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열쇠고리 연동을 통한 안심귀가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서, 지인들에게 자신의 위치 알림, 페이크콜을 이용한 범위 예방, 경찰서에 자동 신고 등을 열쇠고리를 이용해 사용자의 입장에선 기존 호신 용품 보다 용이하게 신고가 가능하며 단순한 호신용이 아닌 액세서리로써도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DEVICE FOR SAFE RETURNING SERVICE INTERLOCKING WITH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폰과의 통신이 가능한 서비스장치를 통해 설정된 알고리듬에 따라 스마트폰의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자신에게 강도, 납치사건이 발생될 경우, 직접 상대방을 제압할 수 있는 휴대용 고전압장치들이 선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용 고전압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상대방을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용기와 순발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고전압 장치는 주로 손가방 등에 넣은 상태에서 휴대하기 때문에 칼등의 흉기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손가방 내에 넣어 놓은 물건을 외부로 인출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강도 상해, 납치사건의 경우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유아, 여성들을 대상으로 발생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힘이 약한 사용자가 상대방을 직접 제압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강도 상해, 납치사건의 경우 상대방 제압에 실패한 경우에는 오히려 상대방의 감정을 더욱 자극하여 역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우려가 매우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GPS 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버튼을 직접 조작하여 자신의 위치 및 자신이 처한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의 서버 등의 원격 서버로 자동으로 알려주는 보안폰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보안폰의 경우에도 직접 핸드폰을 조작하여야 되나, 마찬가지로 칼 등의 흉기로 위협받는 상황에서 핸드폰의 핫키(Hot Key)를 조작하여 특정 정보를 전송하는 것은 용이하지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안폰은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측으로 전송한다고는 하지만, 위급상황을 경찰청서버 또는 보안업체측 어느 한 서버나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게 되므로 통화가 불가능한 경우이거나,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한 상황 예컨대, 호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라면 위급신호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보안폰의 핫키 조작에 의해, 경찰청 전화기 또는 보안 업체측의 전화기와 호접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착신자인 경찰청 담당자 또는 보안업체 담당자의 음성이 그대로 보안폰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게 되므로, 강도나 납치범도 역시 해당 음성을 청취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만, 스마트 단말의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한 경우,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최근 이슈가 된 다수의 살해사건과 폭력사건을 보면 피해자는 피의자의 감시하에 있어 신고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치매 환자와 같이 정신적 인지 능력이 전혀 없거나, 유아나 긴급 환자의 경우에는 자신이 직접 전화를 걸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위와 같은 문제점으로부터 긴급 상황에서 간단한 조작에 의해 노약자 등의 안전한 귀가를 보조하는 서비스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0-2000-0011067 (공개일:2000.06.05.)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0-2013-0163897 (공개일:2013.12.26)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10-2015-0011456 (공개일:2015.01.23)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인이나, 유아, 여성들을 대상으로 범죄로부터 보호하고 안전하게 귀가할 수 있는 서비스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는 휴대용단말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 조작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휴대용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위치공유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정보공유모듈,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단말기에서 설정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신호를 생성하는 페이크콜모듈 및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단말기에서 외부로 설정된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도록 메시지전송신호를 생성하는 신고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는, 페이크콜모듈을 통해 생성된 음향출력신호에 따라 휴대용단말기에서 설정된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실행되어 기 설정된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 가능하고,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 제어부에서 신고모듈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음성인식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에서 신고모듈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시간산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는 구동버튼을 포함하고, 제어부는, 구동버튼을 일정 시간 내에 누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조작신호가 생성되고, 서로 다른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제어부의 위치정보공유모듈, 페이크콜모듈 및 신고모듈을 각각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구동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위치정보공유모듈, 페이크콜모듈 및 신고모듈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정보공유모듈, 페이크콜모듈 및 신고모듈을 실행시키는 제어부를 통해 긴급한 상황이나 범죄 개연성이 높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인 등에게 공유하고, 벨소리를 울리고, 자동으로 경찰 등에서 신고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부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손쉽게 각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위급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공유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크콜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산출모듈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1)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1)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1)는 사용자단말기(2)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1)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200), 상기 조작부(200)의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로 송신하는 통신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1)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면,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100)가 구비되고, 케이스(100)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200)가 위치되며, 케이스(100)의 내부에 조작부(200)와 연결된 제어부(300) 및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외부로 송신 또는 수신하는 통신부(400)가 구비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충전 받아 상기 제어부(300), 조작부(200) 및 통신부(400)로 공급하는 충전부(50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충전부(5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구비된 충전단자와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통해 외부 충전기기와 연결되어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0)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의 휴대성과 사용 편리성을 고려하여 열쇠나 핸드폰 등에 결합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나, 사용 조건이나 그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케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300)는 통신부(40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와 연동 가능한데, 구체적으로 사용자단말기(2)에는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며,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제어부(3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통신부(400)를 통해 전송하여 해당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메커니즘에 따라 사용자단말기(2)의 특정 기능을 실행시킨다.
사용자단말기(2)는 스마트폰, PMP, 노트북, 테블릿 PC 등 종류에 제한은 없으나, 이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마트폰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단말기(2)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중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의 액정 화면에 표시된 활성화 버튼 또는 해제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활성화 또는 해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작부(20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제어부(300)의 특정 제어신호 생성을 유도한다. 상기 조작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통신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상기 통신부(400)는 사용자단말기(2)와 호완 가능한 다양한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으며, IrDA(Infrared Data ACCESS), Bluetooth, UWB(Ultra Wide-Band), WiMedia, ZigBee, HomeRF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전력소모와 가격 경쟁력 및 규모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통신부(400)는 Bluetooth 통신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의 위치정보를 외부단말기(3)로 송신하도록 위치공유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정보공유모듈(310),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서 설정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신호를 생성하는 페이크콜모듈(320) 및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서 외부로 설정된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도록 메시지전송신호를 생성하는 신고모듈(33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00)의 각각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특정 제어신호를 생성하는데, 상기 각각의 모듈에 따라 생성되는 위치공유신호, 음향출력신호, 메시지전송신호 등은 통신부(40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될 수 있으나,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만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단말기(2)의 특정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정보공유모듈(31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치정보공유모듈(310)은 위치공유신호를 생성하고, 통신부(400)는 위치공유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위치공유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단말기(2)에 구비된 GPS신호, 즉 GPS를 통한 사용자단말기(2)의 위치정보를 설정된 외부단말기(3)로 전송한다. 여기서 설정된 외부단말기(3)란 미리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 상에 저장해 놓은 외부단말기(3)로, 상기 외부단말기(3)는 복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전귀가 어플리케션은 외부단말기(3)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위치정보공유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GPS신호를 저장된 고유번호로 전송한다. 외부단말기(3)는 외부 사용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외부단말기(3)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번호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화번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GPS신호는 이미지화되고, 상기 이미지화된 GPS신호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나 RCS(Rich Communication Suite)을 이용하여 사용자단말기(2)로부터 외부단말기(3)로 전송되거나, 사용자단말기(2)와 외부단말기(3)가 공유하는 별도의 메시지 서비스 상에 저장되는 방식으로 외부단말기(3)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성을 통해 핸드폰을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이나 위험한 상황에서 단순히 구동버튼(210)을 조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가 설정된 외부단말기(3)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크콜모듈(32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페이크콜모듈(320)은 음향출력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400)로 전달하고, 상기 통신부(400)는 음향출력신호를 사용자단말기(2)로 전송한다. 사용자단말기(2)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음향출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2)에서 설정된 음향을 출력시킨다. 이 경우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설정된 음향을 저장한 상태로 상기 음향출력신호에 따라 출력하여도 무방하나, 미리 지정한 사용자단말기(2)의 벨소리일 수 있다.
페이크콜모듈(320)은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조작함에 따라 전화벨소리 등의 음향이 출력되므로 긴급상황이나 신변의 위험이 발생될 개연성이 높은 상황에서 범죄의 예방효과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고모듈(33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신고모듈(33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메시지전송신호를 생성하여 통신부(400)로 전달하고, 통신부(400)는 사용자단말기(2)로 상기 메시지전송신호를 전송한다. 사용자단말기(2)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메시지전송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외부(4)로 설정된 사용자정보를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지정된 텍스트, 이미지, 영상 및/또는 GPS를 이용한 현재 사용자의 위치 등으로 이루어진 사용자정보를 저장한 상태로, 상기 메시지전송신호를 수신하여 저장된 사용자정보를 외부(4)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4)란 미리 생성된 웹브라우저나 외부서버, 운영시스템 등을 의미하며, 웹브라우저, 외부서버, 운영시스템 등은 경찰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긴급 상황으로, 현장 출동을 요청합니다.' 등의 텍스트를 저장한 상태로, 메시지전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경찰에서 운영하는 112종합상황실과 연동된 외부서버(4)로 현재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상기 저장된 텍스트를 송신하여 경찰 신고를 유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신고모듈(330)은 사용자가 스마트폰 등의 화면을 볼 수 없는 상황이나 긴급한 상황에서 상기 조작부(200)를 조작시켜 경찰 신고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모듈(34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페이크콜모듈(320)을 통해 생성된 음향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서 설정된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실행되어 기 설정된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 가능하고, 상기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신고모듈(330)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음성인식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범죄 개연성이 높은 상황에서 가해자는 피해자의 전화 벨소리에 당황하여 극단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음성인식모듈(340)은 페이크콜모듈(320)의 실행 시 상기 극단적인 행동에 대처하여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술한 신고모듈(330)을 실행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단말기(2)에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미리 특정 단어나 단어열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파형을 분석하여 입력된 단어를 식별한다. 상기 식별된 단어는 상기 저장된 단어와 비교하여 식별된 단어와 저장된 단어가 동일한 경우 신고모듈(330)이 실행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은 입력된 음성 신호를 추출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음성 신호와 미리 저장된 음성모델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신호로부터 입력된 단어를 식별한다. 이후, 식별된 단어와 저장된 단어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신고모듈(330)의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산출모듈(350)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신고모듈(330)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시간산출모듈(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활성화신호를 통신부(400)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활성화신호의 시각을 기록한다. 기록된 활성화 시각으로부터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활성화 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신고모듈(330)을 실행시킨다. 또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활성화를 중단하는 해제신호를 통신부(400)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30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해제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간산출모듈(350)을 중단시킨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활성화시간의 산출을 위하여 활성화신호에 따라 작동하고 해제신호에 따라 작동을 중단하는 타이머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준 시간이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여 둔 시간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설정한 일상 귀가 소모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시간산출모듈(350)은 사용자가 조작부(200)를 조작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자동으로 신고모듈(330)을 작동시켜 경찰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조작부(200)는 구동버튼(210)을 포함하고, 사용자가 구동버튼(210)을 누른 횟수나 회차 등에 따라서 제어부(300)가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버튼(210)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정보공유모듈(310), 페이크콜모듈(320) 및 신고모듈(330)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각 모듈이 순차적으로 실행됨에 따라 사용자의 과도한 대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신고모듈(330)을 통해 무분별하게 경찰 등에 신고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조작부(200)의 구동버튼(210)을 통한 제어부(300)의 제어신호 생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구동버튼(210)을 일정 시간 내에 누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조작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서로 다른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300)의 위치정보공유모듈(310), 페이크콜모듈(320) 및 신고모듈(330)을 각각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구동버튼(210)이 순차적으로 눌린 회차를 판단하는 PC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PCB로부터 구동버튼(210)의 눌린 회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구동버튼(210)의 눌린 회차에 따라 각각의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1회차 구동버튼(210)이 눌린 경우 위치정보공유모듈(310)을 실행시키고, 위치정보공유모듈(310)의 실행 후 2회차 구동버튼(210)이 눌린 경우 페이크콜모듈(320)을 실행시키고, 페이크콜모듈(320)의 실행 후 3회차 구동버튼(210)이 눌린 경우 신고모듈(330)을 실행시킨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구동버튼(210)이 설정된 시간 동안 눌릿 횟수를 판단하는 PC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300)는 PCB로부터 구동버튼(210)이 눌린 횟수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구동버튼(210)의 눌릿 횟수에 따라 각각의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다. 즉, 1초 내에 1번 눌린 경우 위치정보공유모듈(310)을 실행시키고, 1초 내에 2번 눌린 경우 페이크콜모듈(320)을 실행시키고, 1초 내에 3번 눌린 경우 신고모듈(330)을 실행시킨다.
상술한 예 이외에도 구동버튼(210)을 통한 사용자의 조작이 식별가능하며 상기 식별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메커니즘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버튼(210)은 복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동버튼(210)의 눌림은 구동버튼(210)이 케이스(100) 내측으로 함입되는 것 이외에 터치나 스위칭 등의 방식으로 구동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위치정보공유모듈(310), 페이크콜모듈(320) 및 신고모듈(330)을 실행시키는 제어부(300)를 통해 긴급한 상황이나 범죄 개연성이 높은 상황에서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지인 등에게 공유하고, 벨소리를 울리고, 자동으로 경찰 등에서 신고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작부(200)를 시각적으로 인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손쉽게 각 모듈을 실행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위급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 :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2 : 사용자단말기
3 : 외부단말기 4 : 외부서버
100 : 케이스
200 : 조작부 210 : 구동버튼
300 : 제어부 310 : 위치정보공유모듈
320 : 페이크콜모듈 330 : 신고모듈
340 : 음성인식모듈 350 : 시간산출모듈
400 : 통신부
500 : 충전부

Claims (5)

  1. 휴대용단말기와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대응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상기 휴대용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휴대용단말기에 설치된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용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외부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위치공유신호를 생성하는 위치정보공유모듈;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휴대용단말기에서 설정된 음향이 출력되도록 음향출력신호를 생성하는 페이크콜모듈; 및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휴대용단말기에서 외부로 설정된 사용자정보를 송신하도록 메시지전송신호를 생성하는 신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영상, GPS를 이용한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안전귀가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시간이 설정된 기준 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신고모듈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시간산출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구동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버튼을 일정 시간 내에 누른 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조작신호가 생성되고,
    상기 서로 다른 조작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의 위치정보공유모듈, 페이크콜모듈 및 신고모듈을 각각 실행시키며,
    상기 구동버튼의 조작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정보공유모듈, 페이크콜모듈 및 신고모듈을 순차적으로 실행시키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크콜모듈을 통해 생성된 음향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휴대용단말기에서 설정된 음향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실행되어 기 설정된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 가능하고, 상기 특정 단어의 음성을 인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신고모듈을 실행시키도록 하는 음성인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연동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018671A 2019-02-18 2019-02-18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KR102196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71A KR102196343B1 (ko) 2019-02-18 2019-02-18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671A KR102196343B1 (ko) 2019-02-18 2019-02-18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6A KR20200100416A (ko) 2020-08-26
KR102196343B1 true KR102196343B1 (ko) 2020-12-29

Family

ID=7224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671A KR102196343B1 (ko) 2019-02-18 2019-02-18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3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488B1 (ko) * 2022-11-02 2023-07-25 주식회사 포지큐브 범죄 예방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549B1 (ko) * 2021-09-28 2023-08-28 경북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화형 고령자 방치 예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6982A (en) 1994-05-10 1998-09-15 Stone Container Corporation Self-closing sealable valve bag
KR20040060458A (ko) *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노인 안부 확인 장치 및 방법
KR101206443B1 (ko) * 2010-12-30 2012-12-03 (주)이지엠소프트 모바일폰을 이용한 안심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3163897A (ja) 2012-02-09 2013-08-22 Ntt Facilities Inc
KR20150003430A (ko) * 2013-07-01 2015-01-09 권형석 보조단말기 통신을 통한 위급상황 위치 알림서비스 방법
KR101610891B1 (ko) 2013-07-23 2016-04-0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계류선의 공유를 통한 부유식 파력발전단지 구축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유식 파력발전 시스템
KR20180011534A (ko) * 2016-07-25 2018-02-02 권형석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잠금 해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9488B1 (ko) * 2022-11-02 2023-07-25 주식회사 포지큐브 범죄 예방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416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82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without requiring focused visual attention from a user
CN104104910B (zh) 一种进行双向实况共享与智能监控的终端及方法
US9615235B2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20170372550A1 (en) Wireless door lock system with an emergency reporting fun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477911B2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with alternative voice line capability
US20120282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stand-by signal and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KR102196343B1 (ko) 스마트폰과 연동이 가능한 안심귀가 서비스 장치
KR101345463B1 (ko)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구조 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261131A (zh) 一种发送警报通知消息的方法和装置
CN106231052A (zh) 电子设备及其呼救方法
US201202828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stand-by signal and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US201401208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a mobile device in response to a make ready signal
US11736925B2 (en) Low-power mobile telephony alert system
KR101814171B1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비상전화 시스템
KR20100110203A (ko) 무선통신 단말기를 이용하는 긴급상황 알림 시스템 및 방법
GB2518424A (en) Security System and Method
CN106550012B (zh) 智能设备的监控方法及智能设备
CN103793961A (zh) 能实时进行身份比对的安全辨识方法
CN106453894B (zh) 侦测通讯设备是否被遗忘的方法
KR20130032804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개인 안심 서비스 위한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
US10553102B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ersonal safety
KR101398922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자동 확인용 ars를 통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691467A (zh) 一种智能型防盗门
Mohanaprakash et al. A smart alarm system for women's security
CN106652278A (zh) 报警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