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330B1 -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 Google Patents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330B1
KR102196330B1 KR1020180146341A KR20180146341A KR102196330B1 KR 102196330 B1 KR102196330 B1 KR 102196330B1 KR 1020180146341 A KR1020180146341 A KR 1020180146341A KR 20180146341 A KR20180146341 A KR 20180146341A KR 102196330 B1 KR102196330 B1 KR 102196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ing
rotating plate
blade
remote control
plat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026A (ko
Inventor
윤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트리
Priority to KR102018014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3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0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01D34/008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for automated or remotely controlled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66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two or more cut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성 및 휴대성이 용이한 무선조종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초날의 회전부하를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작업수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을 통해 조작되는 무선조종자동차(100);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다수개의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동바퀴(260)가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드로우바디부(200);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동구동축(330)을 매개로 상기 공간부(2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초날부(300); 상기 회동구동축(33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초날부(300)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메인구동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드로우바디부(200)는 일정면적을 갖는 상판체(210)와, 상기 상판체(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제초날부(300)에 의해 컷팅된 잡초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배출창(221)이 형성된 측방판체(220)와,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를 바라보는 배면에 형성되는 후방판체(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초날부(300)는 상기 회동구동축(330)에 장착되는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커팅부재(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재(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상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부커팅날(321)과, 상기 상부커팅날(321)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판(310)의 하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하부커팅날(3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REMOTE CONTROL MOBILITY WEEDER}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성 및 휴대성이 용이한 무선조종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제초날의 회전부하를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작업수행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자동화 기기들은 대체로 대형화되어 넓은 토지를 경작하는 데 있어 시간 및 인력을 줄이는 방향으로 그 기술이 개발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는, 자동화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적은 노동력으로 농산품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수단이었으나, 근래에는 고부가가치를 지닌 농작물 생산 위주의 농가가 늘고 있고 면적이 좁고 농업인구가 감소세에 있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더더욱 그 변화의 추세가 빠르다.
넓은 농지에 대량생산을 목적으로 하였던 농업의 패러다임이 좁은 면적일지라도 고부가가치를 지닌 농업위주로 변화하고 있음과 더불어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농을 하거나 주말농장, 농촌체험등의 프로그램등 다양한 농업관련 시장이 개척되면서 소형경작지에서 농작물의 재배를 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고가의 대형 농기계 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농기계시장의 특성상 중소형 경작지나 농가의 잡초제거에 적절한 비용 및 크기의 자동화 농기계 장치에 대한 기술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43400호의 논의 고랑 성형기용 이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조작되는 무선조종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여 취급효율을 높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제초날의 회전부하를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제초작업의 수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모트컨트롤을 통해 조작되는 무선조종자동차(100);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다수개의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동바퀴(260)가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된 드로우바디부(200);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동구동축(330)을 매개로 상기 공간부(2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초날부(300); 상기 회동구동축(33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초날부(300)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메인구동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드로우바디부(200)는 일정면적을 갖는 상판체(210)와, 상기 상판체(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제초날부(300)에 의해 컷팅된 잡초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배출창(221)이 형성된 측방판체(220)와,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를 바라보는 배면에 형성되는 후방판체(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초날부(300)는 상기 회동구동축(330)에 장착되는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커팅부재(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재(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상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부커팅날(321)과, 상기 상부커팅날(321)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판(310)의 하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하부커팅날(3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조작되는 무선조종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여 취급효율의 향상을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의 제초작업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제초날의 회전부하가 최소화되어 지속적인 제초작업의 수행으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우바디부의 내측에 제초날부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제초날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제초날부가 드로우바디에 설치된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회전판에 컷팅된 잡초의 끝단이 닿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초날부에 의해 컷팅된 잡초의 끝단이 회전판에 닿지 않게 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로우바디부의 내측에 제초날부가 설치된 상태를 확대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제초날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제초날부가 드로우바디에 설치된 평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는 리모트컨트롤을 통해 조작되는 무선조종자동차(100)와,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드로우바디부(200)와,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초날부(300)와, 상기 제초날부(300)를 회전구동시키는 메인구동부(400)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는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상기 제초날부(300)가 설치된 상기 드로우바디부(200)를 장착한 상태에서 리모트컨트롤을 통해 원거리에서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를 조작하여 제초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초작업시 발생하는 부유물에 의한 작업자의 신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초날부(300)의 회전부하를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제초작업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는 상기 리모트컨트롤을 통해 조작되는 것으로, 잡초가 무성한 장소의 이동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무한궤도가 적용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드로우바디부(200)는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다수개의 링크(25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동바퀴(260)가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부(270)가 마련된다.
즉, 상기 드로우바디부(200)는 일정면적을 갖는 상판체(210)와,상기 상판체(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방판체(220)와,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를 바라보는 배면에 형성되는 후방판체(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후방판체(230)에는 상기 링크(250)의 연결을 위한 링크연결부(2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드로우바디부(200)가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상기 링크(250)를 매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드로우바디부(200)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그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초날부(300)에 의해 잡초의 커팅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측방판체(220)에는 상기 제초날부(300)에 의해 컷팅된 잡초가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출창(2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후방판체(230)는 상기 상판체(210)에서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컷팅된 잡초가 지면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제초날부(300)는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동구동축(330)을 매개로 상기 공간부(2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초날부(300)는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내측에 폭방향으로 한 쌍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이동시 상기 제초날부(300)가 회전하면서 잡초를 컷팅하게 되고, 컷팅된 잡초는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측방판체(220) 내측면을 따라 후방판체(230)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측방판체(220)에 형성된 상기 배출창(221)으로 배출되거나 상기 후방판체(230)의 내측면에 안내되어 지면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제초날부(300)는 상기 회동구동축(330)에 장착되는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커팅부재(32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팅부재(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상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부커팅날(321)과, 상기 상부커팅날(321)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판(310)의 하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하부커팅날(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판(310)에 상기 상하부커팅날(321,322)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커팅날(321,322)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측이나 하측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하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310)에 일자형 커팅날이 장착된 경우, 커팅된 잡촉의 끝단이 상기 회전판(310)의 하측면에 닿게 되는데, 잡초가 많은 지역에서는 상기 회전판(310)의 하측에 닿게 되는 잡초의 면적이 넓어져 상기 회전판(310)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계속적 제촉작업의 수행시 상기 회전판(31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고장을 유발하게 됨은 물론 제촉작업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출력의 구동모터를 사용하는 경우, 구동모터의 크기가 증가되어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의 이동성에 제한을 가하게 되어 제초작업의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됨은 물론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판(310)에 상기 상하부커팅날(321,322)을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커팅날(321,322)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측이나 하측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컷팅된 잡초의 끝단이 상기 회전판(310)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후술되는 메인구동부(400)의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제초작업의 지속성 및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의 이동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커팅날(321,322)에 의해 길게 자란 잡초를 삼등분하여 컷팅할 수 있어 효과적인 제초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구동부(400)는 상기 회동구동축(33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초날부(300)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각각의 제초날부(300)에 연결된 상기 회동구동축(330)과 연결되도록 한 쌍이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상측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메인구동부(400)는 상기 회동구동축(330)과 연결되는 회전력전달유닛(410)과 상기 회전력전달유닛(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회전밸트(430)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동모터(4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420)의 구동시 상기 구동모터(420)의 구동축 회전력이 상기 회전밸트(430)를 매개로 상기 회전력전달유닛(410)으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력전달유닛(4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동구동축(330)이 회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상측에는 상기 메인구동부(400)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커버구(280)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420)와 회전력전달유닛(410)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는 리모트컨트롤에 의해 조작되는 무선조종형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여 취급효율의 향상을 통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배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좁은 공간에서의 제초작업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제초날의 회전부하가 최소화되어 지속적인 제초작업의 수행으로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선조종자동차 200: 드로우바디부
210: 상판체 220: 측방판체
221: 배출창 230: 후방판체
231: 링크연결부 250: 링크
260: 이동바퀴 270: 공간부
280: 커버구 300: 제초날부
310: 회전판 320: 커팅부재
321: 상부커팅날 322: 하부커팅날
330: 회동구동축 400: 메인구동부
410: 회전력전달유닛 420: 구동모터
430: 회전밸트

Claims (1)

  1. 리모트컨트롤을 통해 조작되는 무선조종자동차(100);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에 다수개의 링크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되 길이방향 일측에 이동바퀴(260)가 장착되고, 내부에 공간부(270)가 마련된 드로우바디부(200);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회동구동축(330)을 매개로 상기 공간부(27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제초날부(300); 상기 회동구동축(330)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드로우바디부(200)의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초날부(300)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메인구동부(400);로 구성되고,
    상기 드로우바디부(200)는 일정면적을 갖는 상판체(210)와, 상기 상판체(210)의 폭방향 양측에서 지면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기 제초날부(300)에 의해 컷팅된 잡초가 외부로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배출창(221)이 형성된 측방판체(220)와, 상기 무선조종자동차(100)를 바라보는 배면에 형성되는 후방판체(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초날부(300)는 상기 회동구동축(330)에 장착되는 원판형 회전판(310)과, 상기 회전판(31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커팅부재(3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팅부재(320)는 상기 회전판(310)의 상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상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부커팅날(321)과, 상기 상부커팅날(321)이 장착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회전판(310)의 하측면에 장착되되 길이방향 일측이 하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하부커팅날(3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KR1020180146341A 2018-11-23 2018-11-23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KR10219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41A KR102196330B1 (ko) 2018-11-23 2018-11-23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341A KR102196330B1 (ko) 2018-11-23 2018-11-23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26A KR20200061026A (ko) 2020-06-02
KR102196330B1 true KR102196330B1 (ko) 2020-12-30

Family

ID=71090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341A KR102196330B1 (ko) 2018-11-23 2018-11-23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3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347A (ko) 2021-11-30 2023-06-07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농기계 엔진의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방제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08B1 (ko) 2008-05-08 2010-01-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조종이 가능한 잔디 깎기
JP2013074810A (ja) 2011-09-29 2013-04-25 Kubota Corp 草刈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054B2 (ja) * 1986-01-27 1994-07-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式草刈機における刈取草の巻付き防止装置
KR20020085323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삼광기계 예초기용 칼날
KR20150144967A (ko) * 2014-06-18 2015-12-29 손유일 원격조정식 방제겸용 예초기
KR101710687B1 (ko) * 2014-06-24 2017-02-27 이덕재 무선원격자주형제초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508B1 (ko) 2008-05-08 2010-01-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조종이 가능한 잔디 깎기
JP2013074810A (ja) 2011-09-29 2013-04-25 Kubota Corp 草刈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1347A (ko) 2021-11-30 2023-06-07 동의과학대학교산학협력단 농기계 엔진의 배기가스를 이용하는 방제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026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90796B (zh) 基于机器视觉的锄草机器人系统及方法
KR200492282Y1 (ko) 로터베이터
CN103081597A (zh) 一种摆动型智能苗间锄草机具单元
CN103999582A (zh) 一种摆动式苗间锄草机械手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CN207284231U (zh) 一种果园u型全向割草机
KR102196330B1 (ko) 리모트컨트롤 모빌리티 제초기
CN104396428A (zh) 摆动式割草机
CN107750619A (zh) 一种用于枸杞采收的振动梳刷机构
CN203537757U (zh) 一种深耕机
CN104081915A (zh) 一种小麦玉米两用施肥播种机
CN205371347U (zh) 一种广角传动轴
CN205793982U (zh) 一种旋耕装置
CN204180505U (zh) 一种小麦玉米两用施肥播种机
KR102421201B1 (ko) 고구마 수확장치
CN103039143B (zh) 一种微型松地机
CN105814988A (zh) 一种多功用智能遥控可升降除草机
KR200369850Y1 (ko) 제초기의 구동장치
CN111616131A (zh) 一种电动水稻田除草机
KR200368669Y1 (ko) 다목적 제초장치
CN220173730U (zh) 一种牵引式圆盘耙
CN101766066B (zh) 一种张合型扇形耙机械除草装置
CN208228183U (zh) 智能型履带自走底盘行间除草松土机
CN212677775U (zh) 打草装置
CN108738431A (zh) 免耕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