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206B1 -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 Google Patents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206B1
KR102196206B1 KR1020200066979A KR20200066979A KR102196206B1 KR 102196206 B1 KR102196206 B1 KR 102196206B1 KR 1020200066979 A KR1020200066979 A KR 1020200066979A KR 20200066979 A KR20200066979 A KR 20200066979A KR 102196206 B1 KR102196206 B1 KR 102196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rear wheel
folding
wheel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욱완
Original Assignee
하욱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욱완 filed Critical 하욱완
Priority to KR102020006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2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1Motorcycles with four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00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 B60K1/02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al propulsion units comprising more than one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3/00Arrangements of batteries
    • B62J43/10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 B62J43/16Arrangements of batteries for propulsion on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62K15/008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foldable about 2 or more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 B62M11/1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built in, or adjacent to, the ground-wheel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20/00Electrical machine types; Structures or applications thereof
    • B60L2220/40Electrical machine applications
    • B60L2220/44Wheel Hub motors, i.e. integrated in the wheel hu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6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wheels
    • B60L2240/46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동주행차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전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조향되는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륜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전륜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차체부의 제어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비된 전륜부;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부의 후면의 위치한 상태로 펼쳐지고, 후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후륜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폴딩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이동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륜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후륜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 후륜부; 및 상기 차체부, 상기 전륜부, 및 상기 후륜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폴딩상태와 상기 전륜부의 유동상태, 및 상기 후륜부의 유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륜부의 상기 후륜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Folding Type Electronic Car}
본 발명은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으로 이동하는 전동자전거, 전동atv, 및 전동 휠체어 등의 전동주행차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폴딩에 의해 폭조절이 가능하고, 사륜의 각 바퀴별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폴딩 전과 후에도 지속적으로 속도를 제어하면서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성과 이동성능을 향상시키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제공함에 있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퀵보드와 같은 레져용이나 휠체어와 같은 의료용으로 개인이 직접적인 작동에 의해 바퀴를 구동시켜 주행을 실시하는 개인용 주행장치는 사용자가 직접 구동시켜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도록 주행장치이다.
이런, 개인용 주행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구동하여야 함에 따라 노약자나 힘이 약한 사람들이 작동시키기 어렵고, 특히, 자전거의 경우에는 넘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조작하기에는 숙련의 과정이 장시간 필요하고, 주행 중에도 지속적으로 패달을 조작하여야 함에 따라 많은 힘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회전 동력을 전기의 공급으로 발생시키는 전기모터와 전기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축전하는 배터리가 소형화되고, 경량화되어 개인용 주행장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한 전기 주행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전기 주행장치는 레져와 스포츠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환자의 이송이나 신체가 불편한 사람들의 이동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주행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전기 주행장치의 이송과 보관의 용이성을 위해서 폴딩이 가능하고, 폴딩된 상태에서 주행이 가능하여 휠체어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고, 전복을 방지하는 전기 주행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로 주행되는 전동주행차의 구조를 전륜과 후륜의 간격을 폴딩에 조절이 가능하여 운송과 이동이 용이하고, 폴딩된 상태에서도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좁은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륜의 각 바퀴별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폴딩 전과 후에도 지속적으로 속도를 제어하면서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성과 이동성능을 향상시키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한쌍의 전륜과 후륜을 가지면서 공급된 전기로 주행하는 전동주행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동주행차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전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조향되는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륜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전륜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차체부의 제어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비된 전륜부;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부의 후면의 위치한 상태로 펼쳐지고, 후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후륜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폴딩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이동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륜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후륜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 후륜부; 및 상기 차체부, 상기 전륜부, 및 상기 후륜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폴딩상태와 상기 전륜부의 유동상태, 및 상기 후륜부의 유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륜부의 상기 후륜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체부는, 한쌍의 상기 전륜 중앙에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위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하중과 상기 전륜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의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방측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조향하는 핸들 형태로 구비된 조향핸들; 상기 조향핸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조향되는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인트 형태의 조향연결브라켓;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연결브라켓의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고, 중앙으로 상기 전륜부의 지지부분이 고정되어 함께 조향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공간인 전륜지지공간을 가지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설치공간을 가지는 안장지지프레임; 및 상기 안장지지프레임의 하부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지지되는 힌지 형태로 구비된 폴딩힌지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륜부는, 상기 차체부의 전면으로 상기 전륜의 중심에서 상부 위치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으로 상기 전륜 방향으로 연장된 전륜상부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륜상부링크체의 양끝에 상기 전륜과 힌지 결합되는 상부링크힌지체가 형성된 전륜상부브라켓; 상기 차체부의 전면으로 상기 전륜의 중심에서 하부 위치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으로 상기 전륜 방향으로 상기 전륜의 하부 간격이 넓고 상부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상기 전륜상부링크체보다 더 길게 연장된 구비되어 양끝에 상기 전륜과 힌지 결합되는 하부링크힌지체를 가지는 전륜하부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륜하부링크체의 상부에는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떨어진 양측에 각각 완충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완충힌지체가 형성된 전륜하부브라켓; 상기 차체부와 상기 전륜하부브라켓 사이를 완충하도록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차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완충힌지체에 힌지 결합되어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형태의 전륜서스펜션체; 상기 전륜상부브라켓과 상기 전륜하부브라켓의 양끝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전륜의 사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되어 안쪽면으로 상기 상부링크힌지체와 힌지 결합되는 전륜상부힌지브라켓을 가지고, 안쪽면으로 상기 하부링크힌지체와 힌지 결합되는 전륜하부힌지브라켓을 가지는 전륜지지체; 및 상기 전륜지지체의 양쪽 바깥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의 회전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에 의해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륜허브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륜허브모터는, 한쌍의 상기 전륜의 바깥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형태의 전륜모터본체; 상기 전륜모터본체의 상기 전륜 방향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이 지지된 안쪽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바깥 둘레에 치차가 구비된 전륜구동기어체; 상기 전륜구동기어체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구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륜종동기어체; 및 복수의 상기 전륜종동기어체를 감싸고 있으며,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상기 전륜종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고, 바깥 둘레는 상기 전륜이 고정되어 상기 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상기 전륜구동기어체를 거쳐서 상기 전륜종동기어체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는 전륜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전륜구동기어체와 상기 전륜종동기어체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폴딩부는,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의 사용자가 착석하는 위치의 후면에 판형태로 구비된 폴딩몸체; 상기 폴딩몸체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부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폴딩힌지체로 힌지 결합되고, 후면에 상기 후륜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폴딩힌지체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면 상기 후륜부가 전면으로 이동하면서 접히고, 상부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후륜부가 펼쳐지는 폴딩프레임; 상기 폴딩프레임의 후면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부의 탄성에 의해 완충하는 부분을 힌지 결합되도록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양측에 설치된 폴딩탄성힌지체; 및 상기 폴딩프레임의 후면 하부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부의 후륜을 지지하는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폴딩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폴딩프레임의 이동 시에 상기 후륜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폴딩힌지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륜부는, 상기 폴딩부의 후면 하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면 끝에 상기 폴딩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지지되는 후륜힌지체가 구비되고, 각각의 후면 방향으로 후측의 바깥 방향인 상기 후륜 방향으로 절곡된 한쌍의 후륜지지체; 한쌍의 상기 후륜지지체의 절곡된 위치와 상기 후륜힌지체를 각각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형태의 후륜탄성힌지체가 형성된 한쌍의 후륜탄성프레임; 상기 폴딩부와 한쌍의 상기 후륜탄성프레임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폴딩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륜탄성힌지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후륜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 후륜서스펜션체; 한쌍의 상기 후륜지지체의 후측 끝단인 상기 후륜 방향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후륜의 상부 간격이 하부 보다 좁게 구비되도록 경사지는 브라켓 형태의 한쌍의 후륜지지브라켓; 및 한쌍의 상기 후륜지지브라켓의 양쪽 바깥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의 회전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에 의해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후륜허브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륜허브모터는, 한쌍의 상기 후륜 바깥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형태의 후륜모터본체; 상기 후륜모터본체의 상기 후륜 방향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지지된 안쪽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바깥 둘레에 치차가 구비된 후륜구동기어체; 상기 후륜구동기어체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구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후륜종동기어체; 및 복수의 상기 후륜종동기어체를 감싸고 있으며,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상기 후륜종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고, 바깥 둘레는 상기 후륜이 고정되어 상기 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상기 후륜구동기어체를 거쳐서 상기 후륜종동기어체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후륜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후륜구동기어체와 상기 후륜종동기어체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체부와 상기 폴딩부의 회전 이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상기 차체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와 상기 후륜이 상기 차체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를 감지하는 폴딩감지센서; 상기 전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의 회전에 의해 주행 시 유동을 감지하는 전륜감지센서; 상기 후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회전에 의해 주행 시 유동을 감지하는 후륜감지센서; 및 상기 차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감지센서, 상기 전륜감지센서, 및 상기 후륜감지센서의 각종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회전 구동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폴딩감지센서에서 폴딩된 여부에 따라 발생된 폴딩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륜감지센서에서 상기 전륜의 유동 범위를 측정한 전륜유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후륜감지센서에서 상기 후륜의 유동 범위를 측정한 후륜유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체부가 전복되는 유동 범위를 기초로 하여 한쌍의 상기 전륜과 한쌍의 상기 후륜의 속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체는, 상기 폴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폴딩신호가 펼쳐진 상태로 수신되면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속도를 조절하여 주행하는 속도를 모드화한 정속모드부; 상기 정속모드부에서 정속으로 주행 시에 상기 전륜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상기 전륜유동신호와 상기 후륜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상기 후륜유동신호의 유동량의 범위가 전복되는 유동량 이하로 설정된 속도로 한쌍의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위치별로 속도를 변속 제어하는 유동변속모드부; 및 상기 폴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폴딩신호가 접혀진 상태로 수신되면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간격이 축소되어 주행 시 전복될 위험성이 높음에 따라 기설정된 속도 이하를 유지하면서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폴딩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전기로 주행되는 전동주행차의 구조를 전륜과 후륜의 간격을 폴딩에 조절이 가능하여 운송과 이동이 용이하고, 폴딩된 상태에서도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좁은 실내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륜의 각 바퀴별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폴딩 전과 후에도 지속적으로 속도를 제어하면서 주행이 가능함에 따라 휴대성과 이동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에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의 주요 구성인 전륜허브모터와 후륜허브모터에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의 주요 구성인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에 다른 각도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9는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의 주요 구성인 전륜허브모터와 후륜허브모터에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폴딩타입 전동주행차의 주요 구성인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타입 전동주행차(100)는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한쌍의 전륜(121)과 후륜(141)을 가지면서 공급된 전기로 주행하는 차량을 말한다.
이런, 폴딩타입 전동주행차(100)는 차체부(110), 전륜부(120), 폴딩부(130), 후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차체부(110)는 전동주행차(100)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전륜(121)과 후륜(141)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전륜(121)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차체부(110)는 차체프레임(111), 조향핸들(112), 조향연결브라켓(113), 전륜지지프레임(114), 안장지지프레임(115), 및 폴딩힌지지지체(118)를 포함한다.
차체프레임(111)은 한쌍의 전륜(121) 중앙에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위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하중과 전륜부(120)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된다.
조향핸들(112)은 차체프레임(111)의 전방측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조향하는 핸들 형태로 구비된다.
조향연결브라켓(113)은 조향핸들(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조향핸들(112)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조향되는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인트 형태로 구비된다.
전륜지지프레임(114)은 차체프레임(111)의 전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조향연결브라켓(113)의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고, 중앙으로 전륜부(120)의 지지부분이 고정되어 함께 조향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공간인 전륜지지공간(114a)을 가진다.
안장지지프레임(115)은 차체프레임(111)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체(116)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배터리(117)가 수납되는 배터리설치공간(115a)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폴딩힌지지지체(118)는 안장지지프레임(115)의 하부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지지되는 힌지 형태로 구비된다.
전륜부(120)는 차체부(110)의 전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부(110)에 조향되는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전륜(121)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전륜(121)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면서 차체부(110)의 제어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전륜부(120)는 전륜상부브라켓(122), 전륜하부브라켓(123), 전륜서스펜션체(124), 전륜지지체(125), 및 전륜허브모터(126)를 포함한다.
전륜상부브라켓(122)은 차체프레임(111)의 전면에 위치한 전륜지지프레임(114)으로 전륜(121)의 중심에서 상부 위치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전륜지지프레임(114)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으로 전륜(121) 방향으로 연장된 전륜상부링크체(122a)가 구비되고, 전륜상부링크체(122a)의 양끝에 전륜(121)과 힌지 결합되는 상부링크힌지체(122b)가 형성된다.
전륜하부브라켓(123)은 차체프레임(111)의 전면에 위치한 전륜지지프레임(114)으로 전륜(121)의 중심에서 하부 위치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전륜지지프레임(114)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으로 전륜(121) 방향으로 전륜(121)의 하부 간격이 넓고 상부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전륜상부링크체(122a)보다 더 길게 연장 구비되어 양끝에 전륜(121)과 힌지 결합되는 하부링크힌지체(123b)를 가지는 전륜하부링크체(123a)가 구비되고, 전륜하부링크체(123a)의 상부에는 전륜지지프레임(114)의 떨어진 양측에 각각 완충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완충힌지체(123b)가 형성된다.
전륜서스펜션체(124)는 차체프레임(111)과 전륜하부브라켓(123) 사이를 완충하도록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전륜지지프레임(114)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하부완충힌지체(123b)에 힌지 결합되어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형태로 구비된다.
전륜지지체(125)는 전륜상부브라켓(122)과 전륜하부브라켓(123)의 양끝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한쌍의 전륜(121)의 사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되어 안쪽면으로 상부링크힌지체(122b)와 힌지 결합되는 전륜상부힌지브라켓(125a)을 가지고, 안쪽면으로 하부링크힌지체(123a)와 힌지 결합되는 전륜하부힌지브라켓(125b)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전륜허브모터(126)는 전륜지지체(125)의 양쪽 바깥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전륜(121)의 회전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에 의해 외주연에 형성된 전륜(12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전륜허브모터(126)는 전륜모터본체(126a), 전륜구동기어체(126b), 전륜종동기어체(126c), 및 전륜구동스프라켓(126d)을 포함한다.
전륜허브모터(126)는 한쌍의 전륜(121)의 바깥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차체부(11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형태로 구비된다.
전륜구동기어체(126b)는 전륜모터본체(126a)의 전륜 방향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전륜이 지지된 안쪽 중앙에 위치하여 전륜모터본체(126a)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바깥 둘레에 치차가 구비된다.
전륜종동기어체(126c)는 전륜구동기어체(126b)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전륜구동기어체(126b)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전륜구동스프라켓(126d)은 복수의 전륜종동기어체(126c)를 감싸고 있으며,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전륜종동기어체(126c)와 치차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고, 바깥 둘레는 전륜이 고정되어 전륜모터본체(126a)의 작동으로 전륜구동기어체(126b)를 거쳐서 전륜종동기어체(126c)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전륜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전륜구동기어체(126b)와 전륜종동기어체(126c)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기어비는 조절에 의해 전륜허브모터(126)의 회전력의 토크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전륜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속에 의해 토크를 항상시킬 수 있고, 토크를 낮추면서 속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폴딩부(130)는 차체부(110)의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후륜(141)이 지지된 상태에서 차체부(110)의 후면의 위치한 상태로 펼쳐지고, 후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후륜(141)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폴딩된다.
이런, 폴딩부(130)는 폴딩몸체(131), 폴딩프레임(132), 폴딩탄성힌지체(134), 및 폴딩힌지지지체(135)를 포함한다.
폴딩몸체(131)는 안장지지프레임(115)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장체(116)의 사용자가 착석하는 위치의 후면에 판형태로 구비된다.
폴딩프레임(132)은 폴딩몸체(131)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폴딩힌지지지체(118)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부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폴딩힌지체(133)로 힌지 결합되고, 후면에 후륜부(140)가 힌지 결합되어 폴딩힌지체(133)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면 후륜부(140)가 전면으로 이동하면서 접히고, 상부로 회전하게 되면 후륜부(140)가 펼쳐지도록 구비된다.
폴딩탄성힌지체(134)는 폴딩프레임(132)의 후면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후륜부의 탄성에 의해 완충하는 부분을 힌지 결합되도록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양측에 설치된다.
폴딩힌지지지체(135)는 폴딩프레임(132)의 후면 하부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후륜부의 후륜을 지지하는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폴딩프레임(132)에 힌지 결합되도록 지지되어 폴딩프레임(132)의 이동 시에 후륜부(140)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후륜부(140)는 폴딩부(13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폴딩부(130)의 이동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후륜(141)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후륜(141)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후륜부(140)는 후륜지지체(142), 후륜탄성프레임(143), 후륜서스펜션체(144), 후륜지지브라켓(145), 및 후륜허브모터(146)를 포함한다.
후륜지지체(142)는 폴딩프레임(132)의 후면 하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면 끝에 폴딩힌지지지체(135)에 힌지 결합되도록 지지되는 후륜힌지체(142a)가 구비되고, 각각의 후면 방향으로 후측의 바깥 방향인 후륜(141) 방향으로 절곡된 한쌍으로 구비된다.
후륜탄성프레임(143)은 한쌍의 후륜지지체(142)의 절곡된 위치와 후륜힌지체(142a)를 각각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형태의 후륜탄성힌지체(143a)가 형성된 한쌍으로 구비된다.
후륜서스펜션체(144)는 폴딩프레임(132)과 한쌍의 후륜탄성프레임(143)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가 폴딩탄성힌지체(134)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후륜탄성힌지체(143a)에 힌지 결합되어 후륜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다.
후륜지지브라켓(145)은 한쌍의 후륜지지체(142)의 후측 끝단인 후륜 방향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후륜의 상부 간격이 하부 보다 좁게 구비되도록 경사지는 브라켓 형태의 한쌍으로 구비된다.
후륜허브모터(146)는 한쌍의 후륜지지브라켓(145)의 양쪽 바깥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후륜(141)의 회전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에 의해 외주연에 형성된 후륜(141)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후륜허브모터(146)는 후륜모터본체(146a), 후륜구동기어체(146b), 후륜종동기어체(146c), 및 후륜구동스프라켓(146d)을 포함한다.
후륜모터본체(146a)는 한쌍의 후륜 바깥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형태로 구비된다.
후륜구동기어체(146b)는 후륜모터본체(146a)의 후륜 방향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후륜이 지지된 안쪽 중앙에 위치하여 후륜모터본체(146a)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바깥 둘레에 치차가 구비된다.
후륜종동기어체(146c)는 후륜구동기어체(146b)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후륜구동기어체(146b)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후륜구동스프라켓(146d)은 복수의 후륜종동기어체(146c)를 감싸고 있으며,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후륜종동기어체(146c)와 치차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고, 바깥 둘레는 후륜(141)이 고정되어 후륜모터본체(146a)의 작동으로 후륜구동기어체(146b)를 거쳐서 후륜종동기어체(146c)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후륜(141)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후륜구동기어체(146b)와 후륜종동기어체(146c)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하는
이런, 후륜구동기어체(146b)와 후륜종동기어체(146c)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하도록 구비된다.
상술된 기어비는 조절에 의해 후륜허브모터(146)의 회전력의 토크와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후륜(141)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어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감속에 의해 토크를 항상시킬 수 있고, 토크를 낮추면서 속도를 증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차체부(110), 전륜부(120), 및 후륜부(140)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폴딩부의 폴딩상태와 전륜부(120)의 유동상태, 및 후륜부(140)의 유동상태를 감지하여 전륜부(120)의 후륜부(140)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어부(150)는 폴딩감지센서(151), 전륜감지센서(152), 후륜감지센서(153), 및 제어체(154)를 포함한다.
폴딩감지센서(151)는 차체부(110)의 폴딩힌지지지체(118)에 힌지 결합된 폴딩힌지체(133)가 설치된 폴딩프레임(132)이 회전 이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륜(141)이 차체부(1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와 후륜(141)이 차체부(1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전륜감지센서(152)는 전륜지지체(12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륜(121)의 회전에 의해 주행 시 유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후륜감지센서(153)는 후륜지지체(142)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륜(141)이 회전에 의해 주행 시 유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제어체(154)는 안장지지프레임(11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폴딩감지센서(151), 전륜감지센서(152), 및 후륜감지센서(153)의 각종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전륜허브모터(126)와 후륜허브모터(146)에 각각 연결되어 폴딩감지센서(151)에서 폴딩된 여부에 따라 발생된 폴딩신호를 수신하고, 전륜감지센서(152)에서 전륜(121)의 유동 범위를 측정한 전륜유동신호를 수신하며, 후륜감지센서(153)에서 후륜(141)의 유동 범위를 측정한 후륜유동신호를 수신하여 차체부(110)가 전복되는 유동 범위를 기초로 하여 한쌍의 전륜(121)과 한쌍의 후륜(141)의 속도를 전륜허브모터(126)와 후륜허브모터(146)의 제어에 의해 각각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어체(154)에는 정속모드부(154a), 유동변속모드부(154b), 및 폴딩모드부(154c)를 포함한다.
정속모드부(154a)는 폴딩감지센서(151)에서 감지된 폴딩신호가 펼쳐진 상태로 수신되면 기설정된 정속을 유지하도록 전륜부(120)와 후륜부(140)의 속도를 조절하여 주행하는 속도를 모드화하도록 구비된다.
유동변속모드부(154b)는 정속모드부(154a)에서 정속으로 주행 시에 전륜감지센서(152)에서 수신된 전륜유동신호와 후륜감지센서(153)에서 수신된 후륜유동신호의 유동량의 범위가 전복되는 유동량 이하로 설정된 속도로 한쌍의 전륜부(120)와 후륜부(140)의 위치별로 속도를 변속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폴딩모드부(154c)는 폴딩감지센서(151)에서 감지된 폴딩신호가 접혀진 상태로 수신되면 전륜부(120)와 후륜부(140)의 간격이 축소되어 주행 시 전복될 위험성이 높음에 따라 기설정된 속도 이하를 유지하면서 주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동주행차 110 : 차체부
111 : 차체프레임 112 : 조행핸들
113 : 조향연결브라켓 114 : 전륜지지프레임
114a : 전륜지지공간 115 : 안장지지프레임
115a : 배터리설치공간 116 : 안장체
117 : 배터리 118 : 폴딩힌지지지체
120 : 전륜부 121 : 전륜
122 : 전륜상부브라켓 122a : 전륜상부링크체
122b : 상부링크힌지체 123 : 전륜하부브라켓
123a : 전륜하부링크체 123b : 하부링크힌지체
123c : 하부완충힌지체 124 : 전륜서스펜션체
125 : 전륜지지체 125a : 전륜상부힌지브라켓
125b : 전륜하부힌지브라켓 126 : 전륜허브모터
126a : 전륜모터본체 126b : 전륜구동기어체
126c : 전륜종동기어체 126d : 전륜구동스프라켓
130 : 폴딩부 131 : 폴딩몸체
132 : 폴딩프레임 133 : 폴딩힌지체
134 : 폴딩탄성힌지체 135 : 폴딩힌지지지체
140 : 후륜부 141 : 후륜
142 : 후륜지지체 142a : 후륜힌지체
143 : 후륜탄성프레임 143a : 후륜탄성힌지체
144 : 후륜서스펜션체 145 : 후륜지지브라켓
146 : 후륜허브모터 146a : 후륜모터본체
146b : 후륜구동기어체 146c : 후륜종동기어체
146d : 후륜구동스프라켓 150 : 제어부
151 : 폴딩감지센서 152 : 전륜감지센서
153 : 후륜감지센서 154 : 제어체
154a : 정속모드부 154b : 유동변속모드부
154c : 폴딩모드부

Claims (9)

  1.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한쌍의 전륜과 후륜을 가지면서 공급된 전기로 주행하는 전동주행차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동주행차의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조작에 의해 상기 전륜과 상기 후륜에 전력을 공급하면서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제어하도록 설치된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전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조향되는 부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전륜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전륜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면서 상기 차체부의 제어에 의해 조향되도록 구비된 전륜부;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차체부의 후면의 위치한 상태로 펼쳐지고, 후면에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후륜이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폴딩되는 폴딩부;
    상기 폴딩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이동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후륜의 중심 부분으로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바깥 둘레에 위치한 상기 후륜을 회전하도록 구비되고, 주행 시에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 후륜부; 및
    상기 차체부, 상기 전륜부, 및 상기 후륜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부의 폴딩상태와 상기 전륜부의 유동상태, 및 상기 후륜부의 유동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전륜부의 상기 후륜부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부는,
    한쌍의 상기 전륜 중앙에서 사용자가 착석하는 위치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하중과 상기 전륜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의 차체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방측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조향하는 핸들 형태로 구비된 조향핸들;
    상기 조향핸들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핸들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조향되는 조향력을 전달하는 조인트 형태의 조향연결브라켓;
    상기 차체프레임의 전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조향연결브라켓의 연결되어 함께 이동하고, 중앙으로 상기 전륜부의 지지부분이 고정되어 함께 조향되도록 양측이 개방된 공간인 전륜지지공간을 가지는 전륜지지프레임;
    상기 차체프레임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착석하는 안장체의 하부를 지지하는 프레임 형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설치공간을 가지는 안장지지프레임; 및
    상기 안장지지프레임의 하부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후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회전 지지되는 힌지 형태로 구비된 폴딩힌지지지체;를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부는,
    상기 차체부의 전면으로 상기 전륜의 중심에서 상부 위치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으로 상기 전륜 방향으로 연장된 전륜상부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륜상부링크체의 양끝에 상기 전륜과 힌지 결합되는 상부링크힌지체가 형성된 전륜상부브라켓;
    상기 차체부의 전면으로 상기 전륜의 중심에서 하부 위치를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 고정된 상태로 양측으로 상기 전륜 방향으로 상기 전륜의 하부 간격이 넓고 상부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도록 상기 전륜상부링크체보다 더 길게 연장된 구비되어 양끝에 상기 전륜과 힌지 결합되는 하부링크힌지체를 가지는 전륜하부링크체가 구비되고, 상기 전륜하부링크체의 상부에는 상기 전륜지지프레임의 떨어진 양측에 각각 완충되는 위치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완충힌지체가 형성된 전륜하부브라켓;
    상기 차체부와 상기 전륜하부브라켓 사이를 완충하도록 한쌍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차체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하부완충힌지체에 힌지 결합되어 주행에 의해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서스펜션 형태의 전륜서스펜션체;
    상기 전륜상부브라켓과 상기 전륜하부브라켓의 양끝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전륜의 사로 마주보는 면에 고정되어 안쪽면으로 상기 상부링크힌지체와 힌지 결합되는 전륜상부힌지브라켓을 가지고, 안쪽면으로 상기 하부링크힌지체와 힌지 결합되는 전륜하부힌지브라켓을 가지는 전륜지지체; 및
    상기 전륜지지체의 양쪽 바깥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의 회전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에 의해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전륜허브모터;를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륜허브모터는,
    한쌍의 상기 전륜의 바깥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형태의 전륜모터본체;
    상기 전륜모터본체의 상기 전륜 방향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이 지지된 안쪽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바깥 둘레에 치차가 구비된 전륜구동기어체;
    상기 전륜구동기어체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구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륜종동기어체; 및
    복수의 상기 전륜종동기어체를 감싸고 있으며,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상기 전륜종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고, 바깥 둘레는 상기 전륜이 고정되어 상기 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상기 전륜구동기어체를 거쳐서 상기 전륜종동기어체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상기 전륜을 회전시키는 전륜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전륜구동기어체와 상기 전륜종동기어체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부는,
    상기 차체부의 후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의 사용자가 착석하는 위치의 후면에 판형태로 구비된 폴딩몸체;
    상기 폴딩몸체의 후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의 하부와 힌지 결합되도록 하부의 전면 방향으로 돌출된 폴딩힌지체로 힌지 결합되고, 후면에 상기 후륜부가 힌지 결합되어 상기 폴딩힌지체를 중심으로 하부로 회전하면 상기 후륜부가 전면으로 이동하면서 접히고, 상부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후륜부가 펼쳐지는 폴딩프레임;
    상기 폴딩프레임의 후면 상부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부의 탄성에 의해 완충하는 부분을 힌지 결합되도록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양측에 설치된 폴딩탄성힌지체; 및
    상기 폴딩프레임의 후면 하부로 돌출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부의 후륜을 지지하는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양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폴딩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도록 지지되어 상기 폴딩프레임의 이동 시에 상기 후륜부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된 폴딩힌지지지체;를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부는,
    상기 폴딩부의 후면 하부에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전면 끝에 상기 폴딩부에 힌지 결합되도록 지지되는 후륜힌지체가 구비되고, 각각의 후면 방향으로 후측의 바깥 방향인 상기 후륜 방향으로 절곡된 한쌍의 후륜지지체;
    한쌍의 상기 후륜지지체의 절곡된 위치와 상기 후륜힌지체를 각각 연결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 형태의 후륜탄성힌지체가 형성된 한쌍의 후륜탄성프레임;
    상기 폴딩부와 한쌍의 상기 후륜탄성프레임 사이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가 상기 폴딩부에 힌지 결합되고, 하부가 상기 후륜탄성힌지체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후륜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하도록 구비된 후륜서스펜션체;
    한쌍의 상기 후륜지지체의 후측 끝단인 상기 후륜 방향인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한쌍의 상기 후륜의 상부 간격이 하부 보다 좁게 구비되도록 경사지는 브라켓 형태의 한쌍의 후륜지지브라켓; 및
    한쌍의 상기 후륜지지브라켓의 양쪽 바깥면에 각각 고정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의 회전되는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전력의 공급에 의해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후륜허브모터;를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허브모터는,
    한쌍의 상기 후륜 바깥 방향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차체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기 모터 형태의 후륜모터본체;
    상기 후륜모터본체의 상기 후륜 방향에 연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지지된 안쪽 중앙에 위치하여 상기 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회전되면서 바깥 둘레에 치차가 구비된 후륜구동기어체;
    상기 후륜구동기어체의 외주연을 따라서 방사상의 위치에 복수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구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후륜종동기어체; 및
    복수의 상기 후륜종동기어체를 감싸고 있으며, 안쪽 둘레에는 복수의 상기 후륜종동기어체와 치차 결합되는 치차가 구비되고, 바깥 둘레는 상기 후륜이 고정되어 상기 후륜모터본체의 작동으로 상기 후륜구동기어체를 거쳐서 상기 후륜종동기어체에서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는 후륜구동스프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후륜구동기어체와 상기 후륜종동기어체는 치차의 기어비를 토크와 속도의 환경 조건에 맞게 조절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체부에 힌지 결합된 상기 폴딩부가 회전 이동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상기 차체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펼쳐진 상태와 상기 후륜이 상기 차체부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접혀진 상태를 감지하는 폴딩감지센서;
    상기 전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륜의 회전에 의해 주행 시 유동을 감지하는 전륜감지센서;
    상기 후륜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후륜이 회전에 의해 주행 시 유동을 감지하는 후륜감지센서; 및
    상기 차체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폴딩감지센서, 상기 전륜감지센서, 및 상기 후륜감지센서의 각종 신호를 수신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회전 구동부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폴딩감지센서에서 폴딩된 여부에 따라 발생된 폴딩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전륜감지센서에서 상기 전륜의 유동 범위를 측정한 전륜유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후륜감지센서에서 상기 후륜의 유동 범위를 측정한 후륜유동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차체부가 전복되는 유동 범위를 기초로 하여 한쌍의 상기 전륜과 한쌍의 상기 후륜의 속도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체;를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체는,
    상기 폴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폴딩신호가 펼쳐진 상태로 수신되면 기설정된 정속을 유지하도록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속도를 조절하여 주행하는 속도를 모드화한 정속모드부;
    상기 정속모드부에서 정속으로 주행 시에 상기 전륜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상기 전륜유동신호와 상기 후륜감지센서에서 수신된 상기 후륜유동신호의 유동량의 범위가 전복되는 유동량 이하로 설정된 속도로 한쌍의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위치별로 속도를 변속 제어하는 유동변속모드부; 및
    상기 폴딩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폴딩신호가 접혀진 상태로 수신되면 상기 전륜부와 상기 후륜부의 간격이 축소되어 주행 시 전복될 위험성이 높음에 따라 기설정된 속도 이하를 유지하면서 주행되도록 제어하는 폴딩모드부;를 더 포함하는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KR1020200066979A 2020-06-03 2020-06-03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KR102196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79A KR102196206B1 (ko) 2020-06-03 2020-06-03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979A KR102196206B1 (ko) 2020-06-03 2020-06-03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206B1 true KR102196206B1 (ko) 2020-12-30

Family

ID=7408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979A KR102196206B1 (ko) 2020-06-03 2020-06-03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330B1 (ko) * 2021-11-18 2022-05-19 하욱완 사륜형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352Y1 (ko) * 2001-01-12 2001-07-19 (주)오토엠아이티 수동 겸용 전동식 스쿠터
KR100964348B1 (ko) * 2010-02-11 2010-06-17 에스알시 주식회사 3륜 전동스쿠터
KR101599752B1 (ko) * 2012-09-19 2016-03-04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주행성능 및 조작성능이 양호한 전동식 4륜 스쿠터
CN106741481A (zh) * 2017-01-20 2017-05-31 宁波北仑卓然机械有限公司 一种可折叠物流运输电动车
JP2018002108A (ja) * 2016-07-08 2018-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1352Y1 (ko) * 2001-01-12 2001-07-19 (주)오토엠아이티 수동 겸용 전동식 스쿠터
KR100964348B1 (ko) * 2010-02-11 2010-06-17 에스알시 주식회사 3륜 전동스쿠터
KR101599752B1 (ko) * 2012-09-19 2016-03-04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주행성능 및 조작성능이 양호한 전동식 4륜 스쿠터
JP2018002108A (ja) * 2016-07-08 2018-0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走行装置
CN106741481A (zh) * 2017-01-20 2017-05-31 宁波北仑卓然机械有限公司 一种可折叠物流运输电动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0330B1 (ko) * 2021-11-18 2022-05-19 하욱완 사륜형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WO2023090660A1 (ko) * 2021-11-18 2023-05-25 하욱완 사륜형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807B2 (en) Vehicle
JP5398445B2 (ja) 全方向移動車両
US8522902B2 (en) Inverted pendulum type vehicle
US8225891B2 (en) Inverted pendulum mobile vehicle
CN106275170A (zh) 姿态车
KR102196206B1 (ko) 폴딩타입 전동주행차
CN106892039A (zh) 自平衡装置及电动车辆
KR102398870B1 (ko) 주행 모드 변경이 가능한 소형 모빌리티
US20100225079A1 (en) Tw0-wheel moving device and autocycle having that
CN110481690A (zh) 电动平衡车
NL1026658C1 (nl) Kantelvoertuig voorzien van een momentcompensatie-inrichting.
CN206750011U (zh) 自平衡装置及电动车辆
CN106005148A (zh) 一种自平衡电动双轮车
JPH10194169A (ja) 4クローラ型車両の姿勢制御機構
KR101994985B1 (ko) 킥보드
KR20170028921A (ko) 탑승자 자세에 따른 조향제어가 가능한 동력전달 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CN208248336U (zh) 一种具有多种运动模式的两轮机器人
JP3688656B2 (ja) 座面安定保持型電動車椅子
KR20210060950A (ko) 수동휠체어용 보조동력장치
JP5337650B2 (ja) 倒立振子型移動体
CN216401642U (zh) 一种自动行驶二轮车
CN108583699A (zh) 一种陆地侦探车自平衡装置
JP2011063182A (ja) 倒立振子型移動体
CN211565873U (zh) 一种机器人
KR102390614B1 (ko) 코너링시 후륜이 전륜과 함께 기울어지는 삼륜바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