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784B1 -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784B1
KR102195784B1 KR1020200080256A KR20200080256A KR102195784B1 KR 102195784 B1 KR102195784 B1 KR 102195784B1 KR 1020200080256 A KR1020200080256 A KR 1020200080256A KR 20200080256 A KR20200080256 A KR 20200080256A KR 102195784 B1 KR102195784 B1 KR 10219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curtain wall
members
detection sensor
sea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Original Assignee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오시스템리서치 filed Critical (주)지오시스템리서치
Priority to KR102020008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2Driving gear incorporatin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에는 해수면을 부유하도록 부력을 제공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력 부재(100)가 구비된다.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방에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20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200)의 일단은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저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200)와, 상기 연결 부재(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200)의 사이에는 커튼월(300)이 구비되어 해저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결 부재(200)의 타단에는 해저면에 밀착되는 중량체(400)가 구비된다. 상기 커튼월(300)은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는 해저면을 향해 펼쳐지고,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는 하단이 상단을 향해 접혀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만으로 어항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An apparatus to reduce the inflow of suspended sediments}
본 발명은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물이 밀려들어올 때 어항, 정박지, 갑문 등의 내부에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선박의 안전한 출입·정박 등이 가능하고, 어획물의 하역과 판매 및 처리가 용이하며, 어민의 문화·후생 시설을 갖춘 어업 활동의 근거지로써, 어업 기지의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데에 필요한 연안의 항구이다.
이러한 어항은 선박의 안전과 안정적인 정박을 위하여 항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로 인해 항내에 퇴적이 증대되는 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안 지역과 같이 큰 조수간만의 차를 가지는 지역 특성 상 퇴적이 진행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또한, 어항의 접안부는 미세립 토사의 지속적인 퇴적으로 지반고가 상승하여 흘수선이 긴 선박의 경우 출입이 제한되는 등 어항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퇴적 현상에 의해 어항의 기능이 저하되면 선박의 출입 및 정박 또는 하역작업 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므로, 어항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에서 준설작업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이와 같은 준설작업은 퇴적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이었으나, 임시방편인 것에 불과하고, 준설, 운반 및 처리 등에 막대한 비용이 발생된다는 점에서 국가의 큰 부담이 따르게 되며, 이미 퇴적이 진행된 어항에서는 선박이 조수 대기를 해야하는 등 이용이 불편한 상태이다.
따라서 어항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0895호(2002년 08월 19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0003호(2004년 12월 01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 바닷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커튼월이 해저면을 향해 펼져짐으로써 어항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에 따르면, 해수면을 부유하도록 부력을 제공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력 부재; 일단이 각각의 상기 부력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의 사이마다 구비되어 해저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튼월;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해저면에 밀착되는 중량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튼월은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는 해저면을 향해 펼쳐지고,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는 하단이 상단을 향해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와인딩 부재; 일단이 상기 와인딩 부재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조절 와이어; 및 상기 와인딩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딩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와이어가 상기 와인딩 부재에 감기면 상기 커튼월의 하단이 접히면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조절 와이어가 상기 와인딩 부재로부터 풀어지면 상기 커튼월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성부력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량체는 철선(iron wire)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의 타단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 부재에 구비되어 수위 및 해류의 흐름, 수온, 기압, 풍향,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센싱하는 감지센서;
상기 부력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구동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가 센싱한 해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측정값과 기저장된 수위측정값을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수위측정값이 낮을 경우 상기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와인딩 부재가 상기 조절 와이어를 감아 올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력 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원공급모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에 따르면, 바닷물이 어항 내를 향해 밀려들어올 때는 커튼월이 해저면을 향해 펼쳐져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바닷물이 다시 빠져나갈 때에는 커튼월이 해수면을 향해 접혀짐으로써 토사 및 이물질 등이 다시 바다 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만으로 어항 내에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의 유입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의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에는 복수 개의 부력 부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부력 부재(100)는 해수와 직접 닿으므로, 부식 방지 및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의 플라스틱,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P) 또는 바스프(BASF)와 같은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부력 부재(100)는 해수면을 부유하도록 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력 부재(100)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부력 부재(100) 사이로 어선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부로 연결되는 구조물, 예를 들어 커튼월(300), 중성부력부재(500) 등은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부로부터 2~3m 정도 이격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부재(100)의 내부에는 설치공간(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간(101)은 아래에서 설명될 감지센서(S), 전원공급모듈(미도시), 및 컨트롤러(C) 등이 설치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부에는 각각 연결 부재(20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 부재(200)의 일단은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부 중앙에 연결된고, 타단은 해저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 부재(200)는 복수 개의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연결 부재(200)의 일단은 상기 부력 부재(1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연결 부재(200)와 인접한 연결 부재(200)의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200)의 타단과 연결되는 연결 부재(200)의 일단은 링 형상의 연결고리(2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고리(210)를 중심으로, 상기 연결 부재(200)가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에는 커튼월(300)이 구비된다. 상기 커튼월(300)은 상기 연결 부재(200)와, 상기 연결 부재(200)와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200)의 사이 마다 연결된 상태로 해저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커튼월(300)의 상단부는 해수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부력 부재(100)의 사이로 소형 선박들의 원활한 활동 및 상기 커튼월(300)의 상단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상기 커튼월(300)의 상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커튼월(300)은 상기 연결 부재(200)의 연결고리(21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커튼월(300)이 상부를 향해 접힐 때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튼월(300)은 창조(flood tide)때 펼쳐져,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낙조(ebb tide) 때는 상부를 향해 절첩됨으로써, 커튼월(300)의 상부 및 하부 사이로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외해 측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튼월(300)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광목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커튼월(300)은 투수계수가 10-1 ∼ 10-2㎝/sec 정도의 범위를 갖는 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물의 투수가 가능토록 함으로서 물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작용치 않도록 하는 것으로, 투수계수가 10-1㎝/sec 이하에서는 오탁물질이 거의 없는 상태인 물의 투수도 불가능한 범위이기 때문에 물살에 대한 영향력을 쉽게 받을 수 있고, 10-2㎝/sec 이상에서는 어항 등 설치 가능한 수역내에서 발생되는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쉽게 통과될 수 있어 상기 커튼월(300)의 퇴적물 차단 기능이 상실케 되는 것이다.
즉, 커튼월(300)은 수중 및 일광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내구성이 강하고 여과성이 양호해야 하며, 인장강도, 수축률, 신축도 등도 재질에 따라 일정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튼월(300)의 하단과 해저면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t)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20cm 에서 60cm 사이의 간격(t)을 형성하였다. 이는 상기 커튼월(300)의 하단과 해저면 사이로 토사 및 이물질 등의 퇴적물이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수중동물의 생태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에는 중량체(400)가 구비된다. 상기 중량체(400)는 상기 연결 부재(200)의 해저면과 가장 인접한 타단에 구비되어 해저면에 밀착된다. 상기 중량체(400)의 양단은 각각 상기 연결 부재(200)의 타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200)의 타단 사이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체(400)는 소정의 두께 및 길이를 가지는 복수 개의 철선(iron wire)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량체(400)에 의해 상기 커튼월(300)의 하단을 지반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400)는 상기 커튼월(300)이 수중에 입수될 때, 물에 의해 저항을 받더라도 그 무게중심을 하방으로 향하게 해주는 것과 동시에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이때, 상기 중량체(400)도 지반에 대응하는 형태로 안착되면서 상기 커튼월(300)의 하단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량체(400)는 철선으로 형성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360°회전 가능한 슈벨 형태의 쇠사슬 체인으로 형성되어 물에 의해 저항을 받더라도 중량체(400)가 꼬이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중량체(400)와 상기 커튼월(300)의 하단 사이는 보강 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10)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케이블(cable)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10)의 일단은 상기 중량체(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튼월(300)의 타단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410)는 상기 커튼월(300)이 상하방향으로 접혀지거나 펼쳐질 때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에는 중성부력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중성부력부재(500)는 상기 연결 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성부력부재(500)는 상기 연결고리(210)에 카라비너(carabiner) 등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중성부력부재(500)는 상기 커튼월(300)에 중성부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중성부력이란 부력과 중력의 힘이 동일하여 물에서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커튼월(300) 및 연결 부재(200)는 상기 중성부력부재(500)에 의해 물에 뜨지도 가라앉지도 앉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성부력부재(500)는 유속 등 자연 환경에 따라 물 또는 기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성부력부재(500)에 의해 상기 커튼월(300)은 물 속에서 펼쳐져 있을 때는 안정적으로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을 차단할 수 있고, 접힐 때에는 상기 부력 부재(100)와 함께 부력을 제공하여 상기 커튼월(300)이 용이하게 접힐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부력 부재(100)의 상부에는 와인딩 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와인딩 부재(600)는 수평조절이 가능한 권양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와인딩 부재(6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조절 와이어(610)를 상하방향으로 감거나 푸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커튼월(300)이 상하방향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한다. 상기 와인딩 부재(600)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구동부(62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딩 부재(600)에는 조절 와이어(610)의 일단이 권취된다. 상기 조절 와이어(610)의 타단은 상기 연결 부재(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200)의 타단, 즉, 해저면과 마주보는 최하단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조절 와이어(610)는 상기 연결 부재(200)의 연결고리(210)를 지그재그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200)의 최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절 와이어(610)가 상기 와인딩 부재(600)에 감기면 상기 커튼월(300)의 하단이 접히면서 상부, 즉, 해수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조절 와이어(610)가 상기 와인딩 부재(600)로부터 풀어지면 상기 커튼월(300)이 원위치로 복원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딩 부재(600)에는 모터구동부(620)가 연결된다. 상기 모터구동부(620)는 상기 와인딩 부재(600)에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터구동부(620)는 아래에서 설명될 전원공급모듈(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컨트롤러(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부재(100)의 설치공간(101)에는 감지센서(S)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S)는 수위 및 해류의 흐름, 수온, 기압, 풍향,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센싱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C)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공간(101)에는 전원공급모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감지센서(S) 및 아래에서 설명될 컨트롤러(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상기 모터구동부(620) 및 상기 감지센서(S)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모듈은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구성될 수 이있다. 이때, 아래에서 설명될 태양광발전모듈(640)로부터 생성된 전기 에너지가 상기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공간(101)에는 컨트롤러(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감지센서(S)가 센싱한 해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감지센서(S)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측정값과 기저장된 수위측정값을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수위측정값이 낮을 경우 상기 모터구동부(620)를 작동시켜 상기 와인딩 부재(600)가 상기 조절 와이어(610)를 감아 올려 상기 커튼월(300)이 접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C)는 상기 감지센서(S)가 센싱한 해수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저장모듈에 저장된 해수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외부로 전송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컨트롤러(C)는 외부(컴퓨터, 선박, 관제소, 단말기 등)에 상기 해수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고, 그 송수신 방식은 어떠한 송수신 방식이든 무선으로 송신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부호 분할 다중 접근)방식으로 송수신하게되면, 전파 간섭이나 교란에 의한 정보의 유실이 없는 이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부재(100)의 표면에는 태양광발전모듈(6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발전모듈(640)은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태양광발전모듈(640)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원공급모듈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는 와인딩 부재(600)에 의해 커튼월(300)이 상하 방향으로 접히거나 원상태로 복원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양 와이어(700)에 의해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의 양측면 중 어느 일측면이 당겨져서 전개되거나 밀려나서 절첩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어항 입구(P)의 양측에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윈치(710)가 구비되고, 상기 윈치(710)에는 각각 상기 인양 와이어(700)의 일단이 각각 권취된다. 그리고 상기 인양 와이어(700)의 타단은 상기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의 양측면,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고리(210)에 각각 연결된다. 이와 같이 되면, 수위에 따라서 상기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의 어느 일측면이 당겨져서 전개되거나 밀려나서 절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창조(flood tide) 때는 인양 와이어(700)가 당겨져서 커튼월(300)이 전개됨에 따라 어항 내로 토사 및 이물질 등 퇴적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낙조(ebb tide) 때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 전체가 어느 일측으로 밀려나서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어항 입구(P)의 일측에는 권양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권양기(800)는 상기 연결고리(210)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감거나 풀어 주면서 상기 커튼월(300)이 전개되거나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권양기(800)를 사람이 직접 작동시키거나 모터 등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작동시켜, 상기 커튼월(300)이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는 해저면을 향해 펼쳐지고,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는 하단이 상단을 향해 접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10)를 구성하는 부력 부재(100), 커튼월(300), 중성부력부재(500) 등의 크기 및 종류는 조차, 유속, 파랑 등 주변 자연환경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커튼월(300)의 두께 및 크기는 유속 및 설치면적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100: 부력 부재 101: 설치 공간
200: 연결 부재 210: 연결고리
300: 커튼월
400: 중량체
500: 중성부력부재
600: 와인딩 부재 610: 조절 와이어
620: 모터구동부 640: 태양광발전모듈
700: 인양 와이어 710: 윈치
C: 컨트롤러 S: 감지센서

Claims (6)

  1. 해수면을 부유하도록 부력을 제공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부력 부재;
    일단이 각각의 상기 부력 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해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연결 부재;
    상기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의 사이마다 구비되어 해저면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튼월; 및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구비되어 해저면에 밀착되는 중량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커튼월은 바닷물이 밀려 들어올 때는 해저면을 향해 펼쳐지고, 바닷물이 빠져나갈 때는 하단이 상단을 향해 접혀지며,
    상기 부력 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는 와인딩 부재;
    일단이 상기 와인딩 부재에 권취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에 연결되는 조절 와이어; 및
    상기 와인딩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와인딩 부재에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와이어가 상기 와인딩 부재에 감기면 상기 커튼월의 하단이 접히면서 상부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조절 와이어가 상기 와인딩 부재로부터 풀어지면 상기 커튼월이 원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연결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성부력부재가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철선(iron wire)으로 형성되어, 양단이 각각 상기 연결 부재의 타단과 나란한 방향으로 인접한 연결 부재의 타단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부재에 구비되어 수위 및 해류의 흐름, 수온, 기압, 풍향, 풍속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센싱하는 감지센서;
    상기 부력 부재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구동부 및 상기 감지센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및
    상기 전원공급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감지센서가 센싱한 해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수위측정값과 기저장된 수위측정값을 비교하여 설정값보다 수위측정값이 낮을 경우 상기 모터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와인딩 부재가 상기 조절 와이어를 감아 올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부재의 표면에 설치되어,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광발전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발전모듈을 통해 생성된 전기 에너지는 상기 전원공급모듈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KR1020200080256A 2020-06-30 2020-06-30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KR10219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56A KR102195784B1 (ko) 2020-06-30 2020-06-30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0256A KR102195784B1 (ko) 2020-06-30 2020-06-30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784B1 true KR102195784B1 (ko) 2020-12-29

Family

ID=74090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256A KR102195784B1 (ko) 2020-06-30 2020-06-30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61B1 (ko) *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조류 및 풍속에 대한 대처와 부착생물의 억제가 동시에가능한 오탁방지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95B1 (ko) 1999-10-12 2002-09-09 한국해양연구원 환경친화성 퇴적제어장치
KR200370003Y1 (ko) 2004-09-17 2004-12-14 주식회사 에이팁스 모래퇴적용 그물망구조체
KR101391908B1 (ko) * 2013-10-28 2014-05-07 준백건설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895B1 (ko) 1999-10-12 2002-09-09 한국해양연구원 환경친화성 퇴적제어장치
KR200370003Y1 (ko) 2004-09-17 2004-12-14 주식회사 에이팁스 모래퇴적용 그물망구조체
KR101391908B1 (ko) * 2013-10-28 2014-05-07 준백건설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61B1 (ko) *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조류 및 풍속에 대한 대처와 부착생물의 억제가 동시에가능한 오탁방지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7587B2 (ja) 魚養殖システム及び方法
RU2690881C2 (ru) Шельфов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аквакультуры
CA2382196C (en) Aquatic structure and method
AU2001277114A1 (en) Fish farming system and method
CN109178214B (zh) 一种智能水下观测平台
KR101950805B1 (ko) 부유식 해상시설물
KR102195784B1 (ko) 부유토사 유입저감 장치
GB2480488A (en) Seabed installations
KR101341563B1 (ko) 해저 케이블 보호장치
JP5520653B2 (ja) 船舶接近防止浮体構造
WO2023167596A1 (en) Fish farming systems
RU152242U1 (ru) Инженерно-заградительное препятствие "завеса"
KR101877774B1 (ko) 부유식 수상구조물의 자동 계선계류 시스템
KR20120032124A (ko) 해양부표
GB2473648A (en) An open water fish farming system
RU156696U1 (ru) Плавучая секция инженерно-заградительного препятствия
WO20192216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tructure suspended in water
KR101497686B1 (ko) 무인 정박기능을 갖는 수상 무인로봇용 베이스 스테이션
KR102480001B1 (ko) 수상태양광 발전구조물 단계별 계류시스템
KR20230064448A (ko) 생태친화 바다목장형 계류 앵커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상 태양광 패널 설치 구조물, 부유식 풍력발전 설치 구조물 및 부유식 소파제 설치 구조물
KR100281366B1 (ko)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
CN112678116B (zh) 适用于大水位变化的系泊装置
JP6997737B2 (ja) 膜構造の土砂留潜堤
CN215622540U (zh) 适用于大水位变化的系泊装置
KR101131879B1 (ko) 인공 수초를 이용한 부유식 방파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