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369B1 - Check valve - Google Patents

Check val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369B1
KR102195369B1 KR1020190017337A KR20190017337A KR102195369B1 KR 102195369 B1 KR102195369 B1 KR 102195369B1 KR 1020190017337 A KR1020190017337 A KR 1020190017337A KR 20190017337 A KR20190017337 A KR 20190017337A KR 102195369 B1 KR102195369 B1 KR 102195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orifice
seat
check valve
sea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73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17861A (en
Inventor
전인욱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9001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69B1/en
Publication of KR20190017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786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68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 B60T13/68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by electrically-controlled valves in hydraulic systems or par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체크밸브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는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과,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와,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플런저의 안정적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된다.The check valve is started.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bore of the modulator block having an inlet passage and an outlet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control the flow of oil in one direction is opened at both ends of the check valve, and an in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is formed around the side The housing, the upper cap coupled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a discharge por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round the side surface, and a lower holder having a guide hole at the lower side. , Includes a plunger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lower holder, and a guide part for guiding the stable linear movement of the plunger is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nger. do.

Description

체크밸브{CHECK VALVE}Check valve {CHECK VALVE}

본 발명은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제어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유압유로에 구비되는 체크밸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ck valv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eck valve provided in a hydraulic flow path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brake system.

일반적으로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제동, 급발진, 또는 급가속시 발생할 수 있는 휠의 슬립현상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마스터 실린더에서 휠 실린더 측으로 전달되는 제동 유압을 제어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들과, 오일의 역방향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체크밸브들이 유압회로를 형성하는 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어 제동 유압을 제어하게 된다. 최근에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며 브레이크 페달의 변위를 감지하는 페달변위센서로부터 운전자의 제동의지를 전기적 신호로 전달받아 휠 실린더로 압력을 공급하는 액압 공급장치가 마련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조가 국내공개특허 제10-2013-0092045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문헌에 따르면, 액압 공급장치가 마련된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은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라 모터가 작동하여 제동압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동압은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을 가압함으로써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the brake system is to effectively prevent the slip phenomenon of the wheel that may occur during braking, sudden start, or rapid acceleration of the vehicle, and a plurality of solenoid valves that control the braking hydraulic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master cylinder to the wheel cylinder, A plurality of check valves for preventing reverse flow of oil are installed in a modulator block having a flow path forming a hydraulic circuit to control braking hydraulic pressure. Recently, an electronic brake system provided with a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for supplying pressure to a wheel cylinder by receiving the driver's braking intention as an electrical signal from a pedal displacement sensor that senses the displacement of the brake pedal while the driver presses the brake pedal has been used. The structure of such an electronic brake system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92045. According to the disclosed literature, an electronic brake system provided with a hydraulic pressure supply device is configured to generate a braking pressure by operating a motor according to a foot force of a brake pedal. At this time, the braking pressure is generated by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linear motion and pressing the piston.

이러한 모듈레이터블록에 형성된 유로에는 오일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적시적소에 체크밸브가 설치된다. 예컨대, 체크밸브는 압력 공급장치와 리저버를 연결하는 유로 및 각 유압회로의 유입밸브와 연결된 유로 등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크밸브는 저압 및 고압에 대한 실링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뿐만 아니라 거동성(반응성)이 떨어져 빠른 응답성능이 요구되는 시스템에는 취약한 문제가 있다.In the flow path formed in the modulator block, a check valve is installed in a timely and appropriate place to control the flow of oil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check valve is installed in a flow path connecting the pressure supply device and the reservoir and a flow path connected to the inlet valve of each hydraulic circuit. However, these check valves have relatively poor sealing performance for low pressure and high pressure, and are vulnerable to systems requiring fast response performance due to poor behavior (reactivity).

한국공개특허 제2013-0092045호(2013.08.20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3-0092045 (published on August 20, 2013)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실링 성능이 우수하며 빠른 응답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고용량 체크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provide a high-capacity check valve applicable to systems requiring excellent sealing performance and fast respons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과,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와, 상기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는 각각 상기 플런저의 안정적 직선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heck valve installed in a bore of a modulator block having an inlet passage and an outlet passage to control one-way flow of oil, the upper and lower ends are opened, and an in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around the side surface The valve housing is formed, an upper cap coupled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and an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is formed around a side surface, and a guide at the lower side A lower holder having a hole, and a plunger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an orifice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lower holder, and the plunger has a stabl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nger, respectively. A check valve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linear movement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벽에 지지되며 중앙에 상기 오리피스가 형성된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리피스와 상기 가이드홀에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seat member supported on the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the orific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may be further included, and the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guided to the orifice and the guide hole to move.

또한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는 상기 시트부재 하면에 밀착되어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원판형태의 시트부가 구비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원통형태의 탄성부재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disk-shaped seat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lung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and a cylindrical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fitted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unger. .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o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that can slid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fice, and is forme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to contac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It includes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capable of sliding.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may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ameter of the orifi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so as not to seal the orifice.

또한 상기 플런저에는 상기 시트부가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시트부재 하면과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nger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that contacts a lower surface of the seat member when the seat portion closes the orifice.

또한 상기 시트부와 상기 장착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플런저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실 장착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l mounting portion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provided around a side surface of the plunger positioned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so that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면에는 상기 시트부재의 상면 지지를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지지된 상기 시트부재의 상하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for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member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may be partitioned above and below the seat member supported on the stepped portion.

또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member coupled to the valve housing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let.

또한 상기 플런저가 하강할 때 상기 플런저의 하강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may be formed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guide hole so that when the plunger is lowered,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plunger can be regulated.

또한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부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오목하게 패인 시트부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cessed seat portion seating groov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seat portion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heet member.

또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벽 둘레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 내측으로 연장된 시트형성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t forming portion extending into the valve housing may be form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to form the orifice.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 캡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와 상기 하부 홀더의 상기 가이드홀에 각각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portion may be provided to be moved by being guided to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under the upper cap and the guide hole of the lower holder, respectively.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플런저 바디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시트형성부와 접촉할 수 있는 시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nger includes a cylindrical plunger body having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 guide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and mov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and a lower end of the plunger body contact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And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that can be slidably moved is formed, and a seat portion extending outwardly of the plunger body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body to contact the sheet forming portion. Can be formed.

또한 상기 시트부 상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 바디에는 상기 플런저 바디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시트형성부와 함께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시트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유로형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nger body positioned above the seat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flow path forming portion having a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at portion to form the orifice together with the sheet forming portion when the plunger body moves downward.

또한 상기 시트부 하측에 위치한 상기 플런저 바디 외면 둘레에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시트형성부 하면과 접촉하는 실링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sealing member may be provid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plunger body located below the seat part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forming part when sealing the orifice.

또한 상기 시트형성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선면과, 상기 곡선면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시트부가 접촉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하는 수평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heet forming unit includes a curved surface for guiding the oi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ownwar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from a lower end of the curved surface to contact the sheet unit, and a vertical surfac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rface. It includes a horizont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aling member.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런저의 안정적 이동이 가능하므로 거동 안정성에 따른 반응성이 우수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lunge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can stably move, the reactivity according to the behavioral stability is excell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중 실링구조에 따른 체크밸브의 실링 성능이 향상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double sealing structur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installed in a modula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modulator block.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ifice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installed in a modulator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ng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ifice of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ortion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and expressed for convenience.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note the sam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된 체크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installed on a modulator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eck valve installed on the modulator block, and FIG. 3 is a plu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perspective view, and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10)는 외부에서 조립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모듈레이터블록(1)에 형성된 유입유로(2)와 배출유로(3)를 갖는 보어(4)에 장착될 수 있다.1 to 4, a check valv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an integral type assembled from the outside and has an inlet passage 2 and an outlet passage 3 formed in the modulator block 1. (4) can be mounted.

이러한 체크밸브(10)는 밸브 하우징(20), 상부 캡(30), 시트부재(40), 하부 홀더(50) 및 플런저(60)를 포함한다.The check valve 10 includes a valve housing 20, an upper cap 30, a seat member 40, a lower holder 50, and a plunger 60.

밸브 하우징(20)은 상하 양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모듈레이터블록(1)의 보어(4)에 장착 시 유입유로(2)와 연통하는 복수의 유입구(21)가 측면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The valve housing 2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both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when mounted in the bore 4 of the modulator block 1, a plurality of inlets 21 communicating with the inflow passage 2 are circumferentially oriented. It may be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ine.

상부 캡(30)은 밸브 하우징(2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모듈레이터블록(1)의 보어(4)에 삽입 설치 시 보어(4) 상부 쪽에 마련된 단턱(5)에 지지될 수 있다.The upper cap 30 is coupled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valve housing 20, and can be supported by the stepped jaws 5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re 4 when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bore 4 of the modulator block 1 have.

시트부재(40)는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중앙에는 오일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상하로 관통되게 개구된 오리피스(41)가 구비될 수 있다.The sheet member 4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an orifice 41 may be provided in the center thereof to be opened vertically to control the flow of oil.

시트부재(40)는 밸브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밸브 하우징(20) 내에 삽입되어 압입 장착될 수 있다.The seat member 40 may be inserted into the valve housing 20 through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20 to be press-fitted.

밸브 하우징(20) 내벽에는 시트부재(40)의 설치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단턱(22)이 형성될 수 있고, 시트부재(40)의 상면이 단턱(22)에 지지된 경우 밸브 하우징(20)의 내부는 시트부재(40)를 기준으로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되게 된다.In the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20, a stepped 22 for regulat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eat member 40 may be formed, and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member 40 is supported by the stepped 22, the valve housing 20 The inside of the sheet member 40 is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시트부재(40)를 기준으로 밸브 하우징(20)의 상부공간에는 유입유로(2)와 연통하는 유입구(21)가 위치되고, 밸브 하우징(20)의 하부공간에는 배출유로(3)와 연통하는 배출구(54)가 위치된다.An inlet port 21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2 is located in the upper space of the valve housing 20 based on the seat member 40, and an inlet port 21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2 is loc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valve housing 20. The outlet 54 is located.

배출구(54)는 밸브 하우징(20)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홀더(50)에 구비될 수 있다.The outlet 54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holder 50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20.

하부 홀더(50)는 밸브 하우징(20)의 하단에 결합되는 링 형상의 상판(51)과, 상판(51)과 소정거리 이격된 링 형상의 하판(52)과, 상판(51)과 하판(52)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53)를 포함한다.The lower holder 50 includes a ring-shaped upper plate 51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valve housing 20, a ring-shaped lower plate 52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late 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upper plate 51 and the lower plate (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53 connecting 52).

복수의 연결대(53)는 하부 홀더(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됨에 따라 그 사이공간에 모듈레이터블록(1)에 구비된 배출유로(3)와 연통하는 배출구(54)가 형성된다.As the plurality of connecting rods 53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ower holder 50, a discharge port 54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3 provided in the modulator block 1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m. .

유입구(21)와 배출구(54) 사이를 연통시키는 오리피스(41)는 밸브 하우징(20)의 하부공간에 위치되는 플런저(6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The orifice 41 communicating between the inlet 21 and the outlet 54 may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by a plunger 60 loc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valve housing 20.

플런저(6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61)를 포함하고, 플런저 바디(61)는 그 하측이 하부 홀더(50)의 하판(52)에 지지된 탄성부재(70)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The plunger 60 includes a cylindrical plunger body 61 having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nger body 61 has a lower side thereof on the elastic member 70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52 of the lower holder 50. It can be install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elastically supported state.

플런저 바디(61)의 상단에는 시트부재(40) 하단의 평평한 표면과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시트부재(40)의 오리피스(4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원판형태의 시트부(62)가 구비될 수 있다.At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61, a disc-shaped seat portion 62 capable of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rifice 41 of the seat member 40 is provided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member 40. I can.

플런저 바디(61)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부(62)의 하방으로 실링부재(63)가 장착되는 실 장착부(64), 탄성부재(70)가 끼워지는 탄성부재 장착부(65)가 구비될 수 있다.The plunger body 61 may be formed in a multi-stage shape having different diameters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al mounting portion 64 on which a sealing member 63 is mounted below the seat portion 62, and an elastic member 70 It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is fitted.

실 장착부(64)는 시트부(62)와 시트부(62)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탄성부재(70)의 상단을 지지하는 원판형태의 지지부(66) 사이에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read mounting portion 64 is recessed between the seat portion 62 and the disk-shaped support portion 66 supporting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70 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from the seat portion 62 It can be equipped with.

실링부재(63)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서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 장착부(64)에 끼워져 결합된 경우 실링부재(63)의 상단에 형성된 실링부(63a)는 시트부(62)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부(62)가 시트부재(40) 하단의 평평한 표면에 밀착되도록 이동하는 경우 실링부재(63)의 실링부(63a)는 시트부재(40)의 하단의 평평한 표면에 먼저 접촉하여 1차 밀봉을 수행하게 되고, 이후 시트부(62)의 상면이 시트부재(40)의 하단의 평평한 표면에 면 접촉하여 2차 밀봉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 사용에 따른 실링부재(63)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시트부(62)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밀성은 월등히 향상된다.The sealing member 63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and when the sealing member 63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64, the sealing portion 63a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ember 63 is upwardly than the seat portion 62. It will protrude. Accordingly, when the seat portion 62 moves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eat member 40, the sealing portion 63a of the sealing member 63 first contacts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member 40 Secondary sealing is performed, and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62 is in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heet member 40 to perform secondary sealing. Therefore, even if abrasion of the sealing member 63 occurs due to repeated use, airtightness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sealing by the seat portion 62 is performed.

이러한 기밀 유지를 위해 시트부(62)는 오리피스(4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실링부(63a)의 외경은 시트부(62)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시트부(6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such airtightness, the seat portion 62 is provided to have a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rifice 4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portion 63a surrounds the edge of the seat portion 62 ( 62)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또한 지지부(66)는 실링부재(63)의 하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실링부재(63)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art 66 may have a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aling member 63 in order to stably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ealing member 63.

탄성부재 장착부(65)는 지지부(66)의 하측에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지지부(66)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탄성부재(70)가 끼워지게 된다.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support portion 66, and is provided to have a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 portion 66 so that the elastic member 70 is fitted.

탄성부재(70)가 탄성부재 장착부(65)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탄성부재(70)의 상단은 지지부(66)의 하면에 탄성 지지되고, 탄성부재(70)의 하단은 하판(52)의 상면에 탄성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70)는 플런저(60)가 오리피스(41)를 밀폐하는 상부방향으로 플런저(60)를 탄성 가압하게 된다.In the state where the elastic member 70 is fitted into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member 70 is elastically suppor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part 66, and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7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52. It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Therefore, the elastic member 70 elastically presses the plunger 60 in the upper direction in which the plunger 60 seals the orifice 41.

플런저(60)가 하부 홀더(50) 내에서 탄성부재(70)에 지지된 상태로 승강 이동하는 경우 안정적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거동 안정성에 따른 빠른 응답성능을 이루도록 플런저(60)의 상하 양단에는 가이드부가 구비된다.When the plunger 60 moves up and down in the state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70 in the lower holder 50, the plunger 60 has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nger 60 to achieve a quick respons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behavioral stability by enabling a stable linear motion. A guide part is provided.

가이드부는 플런저(60)의 최상단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와, 플런저(60)의 최하단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를 포함한다.The guide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80 provided at the uppermost end of the plunger 60 and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provid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plunger 60.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시트부(62)의 상면에서 상부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오리피스(41)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는 탄성부재 장착부(65)의 하면에서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가이드홀(55)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80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62 to the upper surface to be slid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fice 41, and the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is an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It is forme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65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hole 55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55 to slide.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각각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시트부(62)의 상면에서 오리피스(41)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오리피스(41)의 둘레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3개소 구비된 예를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Each of the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80 may have a bar shape,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orifice 4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62. Here, the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8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locations are dispos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rifice 41,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각각 시트부(62)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된 외면(81)이 오리피스(41)의 내벽에 접촉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위치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80)는 플런저(6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로서 오리피스(41)를 이용함에 따라 오리피스(41)를 막지 않는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구비된다.The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80 is positioned so as to be slidable while the outer surface 81 located radially outward of the seat portion 6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orifice 41, respectively. This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80 is a structur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unger 60 and is provided to have a shape and size that does not block the orifice 41 as the orifice 41 is used.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는 하부 홀더(50)의 하판(52) 중앙에 개구된 가이드홀(55)에 안내되어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is guided to the guide hole 55 open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late 52 of the lower holder 50 to stably move up and down.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는 가이드홀(55)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플런저(60)의 무게를 줄여 거동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방사형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가 안정적 지지를 위해 등간격으로 위치된 3개소 구비된 예를 도시하나, 그 수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 각 외측에 위치된 외면(91)은 가이드홀(55)의 내벽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The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guide hole 55, but may be configured with a radial rib to reduce the weight of the plunger 60 to achieve stability in behavior.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in which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is provided at equal intervals for stable support is shown, but the number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The outer surface 91 located outside each of the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slide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55.

탄성부재 장착부(65)의 하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의 각 외면(91)의 위치는 탄성부재 장착부(65)의 외부로 벗어나지 않도록 마련되되, 각 외면(91)을 연결한 가상의 원의 직경은 탄성부재 장착부(65)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플런저(60)가 하강할 때 탄성부재 장착부(65)의 하단(67)이 하판(52)에 걸림에 따라 플런저(60)의 하강위치를 규제하게 된다.The position of each outer surface 91 of the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is provided so as not to deviate to the outside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and connects each outer surface 91 The diameter of the virtual circle is provided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Through this, when the plunger 60 descends, the lower end 67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65 is caught by the lower plate 52 to regulate the lowering position of the plunger 60.

한편 밸브 하우징(20) 외면에는 유입구(21)를 커버하여 이물질을 거르기 위한 필터부재(75)가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 filter member 75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by covering the inlet 21 may be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2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5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rifice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유로(2)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면 필터부재(75)에 의해 여과된 오일이 밸브 하우징(20)의 유입구(21)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플런저(6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리피스(41)는 개방되게 된다. 이때 플런저(60)는 상하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부(80,90)에 의해 안정적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거동 안정성에 따른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oil flows through the inflow passage 2, the oil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75 flows into the inlet 21 of the valve housing 20, and the pressure of the incoming oil Whe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the orifice 41 is opened as the plunger 60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plunger 60 can be stably linearly moved by the guide portions 80 and 9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at a quick response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the behavior can be secured.

다음으로, 오일의 압력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보다 작아지게 되면 플런저(60)는 탄성부재(70)에 의해 가압되어 시트부재(40)를 향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플런저(60)가 이동하는 경우 실링부재(63)의 실링부(63a)가 먼저 시트부재(40) 하단의 평평한 표면과 접촉되어 1차 실링이 이루어진 후 플런저(60)의 시트부(62)의 상면이 시트부재(40) 하단의 평평한 표면과 면 접촉하여 밀착됨에 따라 2차 실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반복된 사용에 따른 고무재질인 실링부재(63)의 마모가 발생되더라도 시트부(62)에 의한 백업 실링이 가능하여 누설 가능성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Next, when the pressure of the oil becomes small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the plunger 60 is pressed by the elastic member 70 and moves upward toward the seat member 40. At this time, when the plunger 60 moves, the sealing portion 63a of the sealing member 63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heet member 40 to make the primary sealing, and then the seat portion 62 of the plunger 60 As the top surface of the sheet member 40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sheet member 40, the secondary sealing is performed. Therefore, even if abrasion of the sealing member 63, which is a rubber material due to repeated use, is possible, backup sealing by the seat portion 62 is possible, so that the possibility of leakage is significantly reduc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check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6 shows a check val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6,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tailed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6에 도시된 체크밸브(10)는 오리피스(41)의 밀봉 기능을 수행하는 플런저(60)의 시트부(62)와 시트부재(40)의 하면 접촉면의 구조만이 상이할 뿐 전술한 제1 실시 예의 체크밸브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The check valve 10 shown in FIG. 6 differ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lower surface contact surface of the seat member 62 and the seat member 40 of the plunger 60 performing the sealing function of the orifice 41. It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check valve of the first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시트부재(40)의 하면에는 시트부(62)와 접촉하는 2단 실링면을 구성하도록 시트부(62)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오목하게 패인 시트부 안착홈(4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플런저(60)의 시트부(62)가 오리피스(41)를 밀폐하도록 시트부재(40)에 접촉하게 위치된 경우 시트부(62)의 가장자리에서 이웃하는 두 면인 상면(62a)과 측면(62b)이 시트부 안착홈(45)의 내면에 밀착되게 된다.6, a seat portion seating groove 45 that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eat portion 62 and is recessed to form a two-stage seal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at portion 62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 member 40 Is formed. Through this structure, when the seat portion 62 of the plunger 60 is positioned in contact with the sheet member 40 to seal the orifice 41, the upper surface 62a, which is two adjacent sides at the edge of the seat portion 62, and The side surface (62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ating groove (45).

이러한 구조에 의해 플런저(60)의 시트부(62)가 시트부재(40)에 밀착될 때 실링부재(63)의 변형에 의해 시트부(62)와 시트부재(40)의 접촉면 사이에 실링부재(63)가 끼여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시트부(62)의 2단 접촉면에 의해 기밀성은 더욱더 향상되게 된다.With this structure, when the seat portion 62 of the plunger 6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t member 40, the sealing member between the seat portion 62 and the contact surface of the seat member 40 due to deformation of the sealing member 63 The pinch 63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and the airtightness is further improved by the two-stage contact surface of the seat portion 62.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체크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체크밸브(10)는 플런저(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오리피스의 구조만이 차이가 있을 뿐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check val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check valve 10 to be described below has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embodiment, only the structure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orific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plunger 60 are different.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bers.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모듈레이터블록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플런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체크밸브의 오리피스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heck valve installed in a modulator b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ng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 10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ifice of the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밸브 하우징(20) 내벽 둘레에는 원통형상의 오리피스(110)를 형성하기 위해 밸브 하우징(20) 내벽에서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시트형성부(120)가 구비된다.Referring to FIGS. 7 to 10, a seat forming part 120 extending inward from the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20 is provided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20 to form a cylindrical orifice 110.

시트형성부(120)는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오리피스(110)를 거쳐 배출구(54) 쪽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구(21)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선면(121)과, 곡선면(121)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시트부(62)와 접촉 가능한 수직면(122)과, 수직면(122)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실링부재(63)가 접촉하는 수평면(123)을 포함한다.The sheet forming part 120 is a curved surface 121 that guides the oi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downward so that the oi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21 can smoothly move toward the outlet 54 through the orifice 110. ), and a vertical surface 122 that extends vertically from the lower end of the curved surface 121 to contact the seat portion 62, and a horizontal surface that is bent vert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surface 122 to contact the sealing member 63 Includes 123.

플런저(100)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61)를 포함하고, 플런저 바디(61)는 그 하측이 하부 홀더(50)의 하판(52)에 지지된 탄성부재(70)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The plunger 100 includes a cylindrical plunger body 61 having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lunger body 61 has a lower side thereof on the elastic member 70 supported by the lower plate 52 of the lower holder 50. It may be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elastically supported state.

플런저 바디(61)에 구비된 원판형태의 시트부(62)는 시트형성부(120)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오리피스(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구체적으로, 플런저 바디(61)의 하단에는 가이드홀(55)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90)가 구비되고, 플런저 바디(61)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는 오리피스(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시트부(62)가 위치되고, 시트부(62)의 상부로는 오리피스(110)를 통과하여 상부로 연장되어 시트형성부(120)의 수직면(122)과 함께 오리피스(110)를 형성하도록 시트부(6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의 유로형성부(130)가 마련되고, 유로형성부(130)의 상단에는 플런저 바디(61)의 안정적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홀(140)이 형성된다.The disk-shaped sheet portion 62 provided in the plunger body 61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orifice 110 as it selectively contacts the sheet forming portion 120. Specifically, at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body 61,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90 capable of slid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55 is provided, and an orifice ( A seat portion 62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110 is positioned, and extends upwardly through the orifice 1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62, together with the vertical surface 122 of the sheet forming portion 120 A cylindrical flow path forming part 130 having a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at part 62 is provided to form 110, and at the upper end of the flow path forming part 130, a stable movement of the plunger body 61 is guided. A guide hole 140 for is formed.

플런저 바디(61)의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홀(140)에는 상부 캡(30)의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33)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결합되며, 플런저 바디(61)가 승강 이동할 때 플런저 바디(61)의 상부는 가이드돌기(33)에 안내되어 안정적 직선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The guide protrusion 33 protru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p 30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14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61 so as to be slidably moved, and when the plunger body 61 moves up and down, the plunger body ( The upper part of 61) is guided by the guide protrusion 33 to enable stable linear movement.

실링부재(63)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서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실 장착부(64)에 끼워져 결합된 경우 실링부재(63)는 시트부(62)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위치된다. 이에 따라 원판형태의 시트부(62)가 원통형상의 오리피스(41)를 밀폐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실링부재(63)의 상단 실링부(63a)는 시트형성부(120)의 수평면(123)에 접촉하고, 시트부(62)의 측면, 즉 시트부(62)의 외주면이 시트형성부(120)의 수직면(122)에 접촉하여 밀봉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 사용에 따른 실링부재(63)의 마모가 발생하게 되더라도 시트부(62)에 의한 밀봉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밀성은 월등히 향상된다.The sealing member 63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and when the sealing member 63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seal mounting portion 64, the sealing member 63 is positioned to surround the seat portion 62. Accordingly, when the disk-shaped seat portion 62 moves to seal the cylindrical orifice 41, the upper sealing portion 63a of the sealing member 63 contacts the horizontal surface 123 of the sheet forming portion 120, and , The side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62, that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eet portion 62 is in contact with the vertical surface 122 of the sheet forming portion 120 to perform sealing. Therefore, even if abrasion of the sealing member 63 due to repeated use occurs, the airtightness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sealing by the seat portion 62 is performed.

이러한 기밀 유지를 위해 시트부(62)는 오리피스(41)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고, 실링부(63a)의 외경은 시트부(62)의 가장자리 둘레를 감싸도록 시트부(62)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is airtightness, the seat portion 62 may be provided to have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orifice 41,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sealing portion 63a is the seat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edge of the seat portion 62 It may have a relatively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62.

이러한 구조를 통해, 도 10과 같이 유입유로(2)를 통해 오일이 유입되면 필터부재(75)에 의해 여과된 오일이 밸브 하우징(20)의 유입구(21)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탄성부재(70)의 탄성력보다 클 경우 플런저(10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오리피스(110)는 개방되게 된다. 이때 플런저(100)는 상하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부(140,90)에 의해 안정적 직선 이동이 가능하여 거동 안정성에 따른 빠른 응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Through this structure, as shown in FIG. 10, when oil flows through the inflow passage 2, the oil filtered by the filter member 75 flows into the inlet 21 of the valve housing 20, and the pressure of the incoming oil If it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the orifice 110 is opened as the plunger 100 moves downward. At this time, the plunger 100 can stably move in a straight line by the guide portions 140 and 9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by securing a quick response according to the stability of the behavior.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it is not limited only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perform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 모듈레이터블록, 2: 유입유로,
3: 배출유로, 20: 밸브 하우징,
21: 유입구, 30: 상부 캡,
33: 가이드돌기, 40: 시트부재,
41,110: 오리피스, 45: 시트부 안착홈,
50: 하부 홀더, 54: 배출구,
55: 가이드홀, 60,100: 플런저,
62: 시트부, 63: 실링부재,
64: 실 장착부, 65: 탄성부재 장착부,
70: 탄성부재, 75: 필터부재,
80: 상부돌기, 90: 하부돌기,
120: 시트형성부, 121: 곡선면,
122: 수직면, 123: 수평면,
130: 유로형성부, 140: 가이드홀.
1: modulator block, 2: inflow channel,
3: discharge passage, 20: valve housing,
21: inlet, 30: upper cap,
33: guide protrusion, 40: sheet member,
41,110: orifice, 45: seat seating groove,
50: lower holder, 54: outlet,
55: guide hole, 60,100: plunger,
62: seat portion, 63: sealing member,
64: thread mounting portion, 65: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70: elastic member, 75: filter member,
80: upper protrusion, 90: lower protrusion,
120: sheet forming portion, 121: curved surface,
122: vertical plane, 123: horizontal plane,
130: flow path forming portion, 140: guide hole.

Claims (17)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된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벽에 지지되며,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오리피스가 형성되는 시트부재;
상기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플런저의 안정적 직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가이드부;
상기 플런저의 상단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판형태의 시트부;
상기 플런저의 중간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판형태의 지지부;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의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형태의 시트부 및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시트부재 하단의 평평한 표면에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체크밸브.
In the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bore of the modulator block having an inlet passage and an outlet passage to control one-way flow of oil,
A valve housing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having an in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around a side surface;
An upper cap coupled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A lower holder coupled to the open low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n outlet formed around a side surface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having a guide hole at the lower side;
A seat member supported on an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and having an orifice penetrating vertically in a center thereof;
Including; a plunger that is installed to move up and down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lower holder,
The plunger,
Guide portions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nger to guide the stable linear movement of the plunger;
A disk-shaped sheet port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plunger;
A disk-shaped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middle of the plunger; And
Including; a sealing member mount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plunger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The disk-shaped seat portion and the sealing member selectively contact a fla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memb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상하 양단에 마련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오리피스의 내주면과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에 각각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ortions provided at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lunger are guid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fice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respectively, so as to be movab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형태의 시트부의 상면은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시트부재 하단의 평평한 표면에 밀착되고, 상기 플런저의 하측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끼워지는 원통형태의 탄성부재 장착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2,
The upper surface of the disk-shaped seat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member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and a check valve having a cylindrical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i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fitted under the plunge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오리피스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와,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하면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3,
The guide portion extend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and slide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rifice and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to slid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uide hole. Check valve comprising at least one movable lower protrus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부돌기는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하지 않도록 상기 시트부의 상면에서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과 대응하는 원주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4,
The at least one upper protrusion is a check valv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a diameter of the orifice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portion so as not to seal the orif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가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할 때 상기 실링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실링부는 상기 시트부재 하단의 평평한 표면과 1차 접촉하고, 상기 시트부가 상기 시트부재 하단의 평평한 표면에 2차 접촉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seat portion closes the orifice, the seal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ling member is in primary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member, and the seat portion is in secondary contact with the flat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seat memb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위치된 상기 플런저의 측면 둘레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결합되도록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패인 실 장착부가 구비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6,
A check valve having a seal mounting portion recess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the sealing member is coupled to each other around a side surface of the plunger positioned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하우징 내면에는 상기 시트부재의 상면 지지를 위한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지지된 상기 시트부재의 상하로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는 구획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2,
A check valve in which a stepped portion for supporting an upper surface of the seat member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valve housing, and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divided up and down of the seat member supported by the stepped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상기 밸브 하우징에 결합되는 필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2,
A check valve further comprising a filter member coupled to the valve housing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flowing into the inle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가 하강할 때 상기 플런저의 하강위치를 규제할 수 있도록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의 직경은 상기 가이드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3,
A check valve having a diameter of the elastic member mounting portion relatively larger than a diameter of the guide hole so as to regulate a lowering position of the plunger when the plunger is lower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의 하면에는 상기 시트부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며 오목하게 패인 시트부 안착홈이 형성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3,
A check valv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seat portion and having a recessed seat portion seating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eat member.
유입유로 및 배출유로를 갖는 모듈레이터블록의 보어에 설치되어 오일의 일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체크밸브에 있어서,
상하 양단이 개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유입유로와 연통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도록 결합되는 상부 캡;
상기 밸브 하우징의 개방된 하부에 결합되며, 측면 둘레에 상기 배출유로와 연통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하측에 제1 가이드홀을 갖는 하부 홀더;
상기 하부 홀더에 지지된 탄성부재에 탄력 지지된 상태로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승강 이동하게 설치되는 플런저; 및
상기 밸브 하우징은 상기 오리피스를 형성하도록 상기 밸브 하우징의 내벽에서 내측으로 연장된 시트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의 플런저 바디;
상기 플런저 바디의 하단에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홀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캡 하측에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제2 가이드홀;
상기 오리피스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플런저 바디의 길이방향 중간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시트형성부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원판형태의 시트부;
상기 시트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부돌기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원판형태의 지지부;
상기 플런저 바디의 상단과 상기 시트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시트부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유로형성부; 및
상기 시트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 바디 둘레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상기 시트형성부의 하면과 접촉하여 상기 오리피스를 밀폐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체크밸브.
In the check valve installed in the bore of the modulator block having an inlet passage and an outlet passage to control one-way flow of oil,
A valve housing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having an inlet port communicating with the inlet passage around a side surface;
An upper cap coupled to seal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A lower holder coupled to an open lower portion of the valve housing, having an outlet formed around a side surface thereof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and having a first guide hole at a lower side thereof;
A plunger installed to move upward and downward so as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while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member supported by the lower holder; And
The valve housing includes a seat forming portion extending inward from an inner wall of the valve housing to form the orifice,
The plunger,
A cylindrical plunger body having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plunger body and slid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uide hole;
A second guide hol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and into which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under the upper cap is inserted and moved;
A disk-shaped sheet portion protruding radially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lunger body to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orifice and contacti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eet forming portion;
A disk-shaped support portion protruding radially from the plunger body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at least one lower protrusion;
A flow path form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an upper end of the plunger body and the seat portion and having a diameter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seat portion; And
And a sealing member mounted to surround the plunger body between the sea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and sealing the orifice by contacting a lower surface of the seat forming portion.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성부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을 하방으로 안내하는 곡선면;
상기 시트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곡선면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면; 및
상기 실링부재가 접촉하도록 상기 수직면의 하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절곡되는 수평면;을 포함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12,
The sheet forming part,
A curved surface for guiding the oil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downward;
A vertical surface extending vertically from a lower end of the curved surface to contact the seat portion; And
A horizontal surface bent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lower end of the vertical surface so that the sealing member contact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원판형태의 상기 시트부 외주면과 접촉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12,
The orifice is a check valv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at portion in the form of a disk.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바디가 하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유로형성부와 상기 시트형성부 사이의 상기 오리피스는 개방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plunger body moves downward, the orifice between the flow path forming portion and the sheet forming portion is opene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바디가 상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평면에 접촉하고, 상기 시트부는 상기 수직면에 접촉하여 상기 오리피스는 폐쇄되는 체크밸브.
The method of claim 13,
When the plunger body moves upward, the sealing member contacts the horizontal surface, and the seat portion contacts the vertical surface so that the orifice is closed.
삭제delete
KR1020190017337A 2019-02-14 2019-02-14 Check valve KR1021953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37A KR102195369B1 (en) 2019-02-14 2019-02-14 Check val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7337A KR102195369B1 (en) 2019-02-14 2019-02-14 Check valv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742A Division KR20180127699A (en) 2017-05-22 2017-05-22 Check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861A KR20190017861A (en) 2019-02-20
KR102195369B1 true KR102195369B1 (en) 2020-12-24

Family

ID=65562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7337A KR102195369B1 (en) 2019-02-14 2019-02-14 Check val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6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2139A (en) * 2013-11-22 2015-06-04 三桜工業株式会社 Check valve
KR101622146B1 (en) * 2015-03-16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Check valv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379B1 (en) * 2004-12-01 2006-06-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heck valve for pump of electronic control type brake system
KR20060100101A (en) * 2005-03-16 2006-09-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heck valve
KR20060129573A (en) * 2005-06-07 2006-12-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Check valve for pump of electronic control type brake system
KR20120103866A (en) * 2011-03-11 2012-09-20 주식회사 만도 Check valve of hydraulic break system
KR101332693B1 (en) 2012-02-10 2013-11-26 주식회사 만도 Electric brake system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02139A (en) * 2013-11-22 2015-06-04 三桜工業株式会社 Check valve
KR101622146B1 (en) * 2015-03-16 2016-05-18 주식회사 만도 Chec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7861A (en)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7773B2 (en) Check valve
EP1600662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US11156304B2 (en) Check valve
CN102713385A (en) Electromagnetic on-off valve
KR20100003785A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US10851904B2 (en) Check valve
JP6346907B2 (en) Overflow valve
US11260933B2 (en) Shock-absorbing front fork assembly of motorcycle
US7201391B2 (en) Front fork in two-wheeled vehicle or the like
KR102195369B1 (en) Check valve
JP5791185B2 (en) Fluid pressure cylinder
KR102355367B1 (en) Check valve
JP3947392B2 (en) Relief valve
US10480673B2 (en) Solenoid valve for brake system
KR101979415B1 (en) Check valve
EP1906047A1 (en) Damping force generating mechanism for shock absorber
US20050006190A1 (en) Brake control device with a check valve for a motor vehicle
US10737676B2 (en) Solenoid valve
KR20190108749A (en) Check valve
KR102037084B1 (en) Check valve
JP6161356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KR102037080B1 (en) Check valve
KR102544752B1 (en) Check valve
KR102177295B1 (en) Check valve
JPS5921820B2 (en) Master cylinder for vehicle hydraulic bra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