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793B1 -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793B1
KR102194793B1 KR1020190030902A KR20190030902A KR102194793B1 KR 102194793 B1 KR102194793 B1 KR 102194793B1 KR 1020190030902 A KR1020190030902 A KR 1020190030902A KR 20190030902 A KR20190030902 A KR 20190030902A KR 102194793 B1 KR102194793 B1 KR 102194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cooling
hydrogen
fuel cell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1344A (ko
KR102194793B9 (ko
Inventor
김서영
윤홍열
Original Assignee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리움산업(주) filed Critical 하이리움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3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793B1/ko
Priority to US16/821,300 priority patent/US11230156B2/en
Publication of KR20200111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1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93B1/ko
Publication of KR10219479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79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3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air-treatment apparatus for aircraft crew or passengers, or freight space, or structural parts of the aircraft
    • B64D1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air-treatment apparatus for aircraft crew or passengers, or freight space, or structural parts of the aircraft the air being conditioned
    • B64D13/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air-treatment apparatus for aircraft crew or passengers, or freight space, or structural parts of the aircraft the air being conditioned the air being heated or co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2Cooling devices using evaporation, i.e. not including a compressor, e.g. involving fuel or water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00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 B60L1/02Supplying electric power to auxiliary equipment of vehicles to electric heating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1Arrangement of fuel cells with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3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 B60L58/32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 B60L58/34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fuel cells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fuel cells, e.g. by controlling the electric load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24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using steam or spr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3/00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33/08Arrangements in aircraft of power plant parts or auxilia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power plant 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14Heat exchange using gaseous fluids; Heat exchange by combustion of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68Pressure; Flow of the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60Efficient propulsion technologies, e.g. for aircraf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40Application of hydrogen technology to transportation, e.g. using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에 활용되는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액화 수소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화 수소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유체를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고,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가 제1경로로 공급되어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기체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2경로로 공급하여 열교환하는 제3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냉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1라디에이터와, 상기 제3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3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2라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시적으로 작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기존의 수소 연료 수송기의 동력공급원 장치를 냉난방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에 필요한 열교환기를 난방 수단으로 활용하고,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냉방 수단으로 활용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hydrogen fuel vehicle}
본 발명은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에 활용되는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화석 연료나 이차전지 등을 이용한 동력원의 경우 환경오염, 소음, 충전시간, 내구성 등에서 여러가지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액화 수소를 이용한 동력원에 대한 사용이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액화 수소는 화석 연료에 비해 10배 이상 가벼운 연료로, 우주 항공 산업 분야에서 꾸준히 로켓, 무인기(UAV)와 같은 추진체 연료로 각광받아 왔다. 최근 수소 연료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한 차량이 본격적으로 상용화되고 있으며, 드론 택시와 같은 수송기(vehicle)의 상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짐에 따라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수소를 이용한 동력공급원 장치는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액화 수소 탱크, 액화 수소 탱크에서 이송된 수소 가스와 컴프레서에서 전달받은 산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전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전기를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수송기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여기에 연료전지의 냉각을 위한 냉매회로가 형성되어, 연료전지를 식혀주게 된다.
즉, 낮은 온도의 액화 수소가 열교환기를 거쳐 연료전지에 공급되게 되며, 가열된 연료전지를 식히기 위해 냉매가 순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이러한 수송기의 경우 난방이나 냉방 시스템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를 구현하기 위한 많은 에너지가 소요되고 있다.
특히 액화 수소의 온도(-259.2℃)는 매우 낮으며, 연료전지를 냉각시킨 후 배출되는 냉매는 높은 온도로 형성되어 이를 난방이나 냉방 시스템에 활용하게 되면 에너지적으로 상당한 절약을 도모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동력공급원 장치를 냉난방 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액화 수소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화 수소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유체를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고,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가 제1경로로 공급되어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와,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기체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와,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2경로로 공급하여 열교환하는 제3열교환기와, 상기 제1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냉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1라디에이터와, 상기 제3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3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2라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시적으로 작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라디에이터와 제2라디에이터는,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인접부에 각각 송풍기가 설치되어 상기 수송기 내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라디에이터와 제2라디에이터에는, 냉기 또는 온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필터가 각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라디에이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액화 수소가 통과하는 경로로 제공되어 상기 액화 수소가 상기 제2열교환기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는 펌프에 의해 상기 연료전지 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경로 상에는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전지에서 배출된 냉각수를 제2열교환기 방향으로 공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경로 상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하절기 모드 작동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도록 형성되어 제1경로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절기 모드 작동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도록 형성되어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 및 제3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유체의 냉기 또는 상기 제3열교환기를 통과한 유체의 온기는 수송기 내부 에어 컨디셔닝 룸으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수소 연료 수송기의 동력공급원 장치를 냉난방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에 필요한 열교환기를 난방 수단으로 활용하고,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기를 통해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냉방 수단으로 활용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 기존의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어 수송기 내부 설계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그 활용도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액화 수소의 냉열을 순환시켜 냉방 목적으로 사용하며, 연료전지의 냉각수의 온열을 순환시켜 난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즉,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 냉각수의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원이나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의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
도 2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하절기 모드)에 대한 모식도.
도 3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동절기 모드)에 대한 모식도.
본 발명은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에 활용되는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동력공급원 장치를 냉난방 시스템으로 활용하기 위한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액화 수소의 냉열을 순환시켜 냉방 목적으로 사용하며, 연료전지의 냉각수의 온열을 순환시켜 난방 목적으로 사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의 주요부에 대한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하절기 모드)에 대한 모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동절기 모드)에 대한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은, 수소를 연료로 공급받아 동력공급원으로 사용하는 차량, 드론택시 등과 같은 수송기에 활용되는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수소 연료를 이용한 연료전지장치 시스템을 부분적으로 활용함으로써 구성이 간단하고, 잔여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낭비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은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액화 수소 탱크(10)로부터 공급된 액화 수소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100)와, 상기 제1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유체를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고,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가 제1경로(P1)로 공급되어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200)와, 상기 제2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된 기체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300)와, 상기 제2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상기 연료전지(300)에 공급되어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시키는 냉매회로부와,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2경로(P2)로 공급하여 열교환하는 제3열교환기(400)와, 상기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는 유체의 냉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1라디에이터(500)와, 상기 제3열교환기(400)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2라디에이터(6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200)는 상시적으로 작동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6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은, 종래의 수소 연료 수송기에 사용되는 동력공급원 장치를 활용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이러한 동력공급원 장치는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액화 수소 탱크(10), 액화 수소 탱크(10)에서 이송된 수소 가스와 컴프레서 등에서 전달받은 산소를 공급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3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연료전지(300)에서 생산된 전기를 모터에 공급함으로써 수송기 등의 동력원으로 사용되게 된다. 여기에 연료전지(300)의 냉각을 위한 냉매회로가 형성되어, 연료전지(300)를 식혀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은, 액화 수소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100),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고 연료전지(300)로부터 배출된 냉각수를 열교환하는 제2열교환기(200), 연료전지(300), 냉매회로부, 냉각수의 일부를 열교환하는 제3열교환기(400), 냉기를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는 제1라디에이터(500), 온기를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는 제2라디에이터(600)로 크게 구성디며,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 및 제2라디에이터(600)는 제어부(7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제1열교환기(100)는 액화 수소 탱크(10)로부터 공급된 액화 수소를 열교환하는 것이다.
상기 액화 수소 탱크(10)에 저장된 액화 수소는 약 -259.2℃로 연료전지(연료전지 스택)(300)에 수소를 공급하는 수소 공급원으로서, 수소는 가스 상태로 이송관을 따라 연료전지(300)로 공급되게 된다. 상기 액화 수소 탱크(10)는 수소가 액체 상태로 저장되기 때문에 부피가 작아져 수송기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액화 수소 탱크(10)에 저장된 액화 수소는 외부에서 공급된 열에 의해 기화되어 기체 수소 상태로 연료전지(300)에 공급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제1열교환기(100)를 통해 액화 수소가 열교환된다.
이때 상기 제1열교환기(100)에 의해 액화 수소가 기체 수소로 전부 열교환될 필요는 없으며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수단으로 유용할 정도로 열교환되어도 무방하다. 즉,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한 액화 수소는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수소일 수 있다.
상기 제1열교환기(100)는 제1라디에이터(500) 내부에 배치되며,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에서 제1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하는 냉기는 수송기 내부로 공급되어 냉방시 운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열교환기(100)는 액화 수소를 일부 열교환(냉방에 필요한 정도)하는 것으로서, 이때 발생하는 냉기를 냉방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즉, 액화 수소를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열을 활용한 것으로서, 별도의 냉방을 위한 장치나 에너지원 없이 냉방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기(200)는 상기 제1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유체를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고,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가 제1경로(P1)로 공급되어 열교환되게 된다. 즉, 상기 제2열교환기(200)는 액화 수소를 완전히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여, 연료전지(300)로 기체 수소가 공급되도록 하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열교환한다.
상기 제2열교환기(200)에서 열교환된 기체 수소는 펌프(210)에 의해 상기 연료전지(300)로 공급되어, 연료전지(300)의 연료극에서의 수소 산화반응과 공기극에서의 산소 환원반응을 통해 전기에너지와 물을 발생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냉각수가 제2열교환기(200)로 공급되는 제1경로(P1)는 연료전지(300)에서 배출되는 냉각수가 이송되는 경로로, 연료전지(30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의 순환경로를 의미하며, 후술할 냉각수가 이송되는 제2경로(P2)는 제3열교환기(400)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경로로, 열교환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경로(P1) 상에는 체크밸브(220)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전지(300)에서 배출된 냉각수를 제2열교환기(200) 방향으로 공급시키도록 한다. 즉, 연료전지(300)를 중심으로 냉각수가 순환되고 열교환되는 과정이 반복되도록 하여 연료전지(300)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제2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된 기체 수소는 연료전지(300)에 공급되고, 상기 제2열교환기(200)를 통해 열교환되어 냉각된 냉각수는 다시 회수되어 펌프(210)에 의해 연료전지(300)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매회로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제3열교환기(400)는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2경로(P2)로 공급하여 열교환한다. 즉,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의 일부는 제1경로(P1)를 통해 제2열교환기(200)로 공급되어 냉매회로를 통해 순환되면서 연료전지(300)를 냉각하도록 하고, 상기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의 일부는 제2경로(P2)를 통해 제3열교환기(400)로 공급되어 냉각수를 열교환하도록 한다.
제3열교환기(400)는 제2라디에이터(600) 내부에 배치되며, 냉각수의 열교환 과정에서 제3열교환기(400)에서 발생하는 온기는 수송기 내부로 공급되어 난방시 운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경로(P2) 상에는 솔레노이드 밸브(410)가 형성되어, 제2경로(P2)를 개폐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경로(P2)가 오픈되는 경우에는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의 일부가 제2경로(P2)를 통해 제3열교환기(400)로 이송되도록 하고, 상기 제2경로(P2)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가 모두 제1경로(P1)를 통해 제2열교환기(200)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이 하절기 모드로 작동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10)가 닫히도록 형성되어 제1경로(P1)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200)로 공급되도록 하며, 동절기 모드 작동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10)가 열리도록 형성되어 제2경로(P2)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200) 및 제3열교환기(400)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3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제1경로(P1)로 이송되어 연료전지(300)의 냉각을 위한 냉매회로를 순환하게 된다. 즉, 제2열교환기(200)로 공급되어, 냉각수의 온도는 더욱 낮춰져 연료전지(300)의 냉각수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3열교환기(400)는 냉각수를 일부 열교환(난방에 필요한 정도)하는 것으로서, 이때 발생하는 온기를 난방 수단으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즉, 냉각수를 냉각시켜 다시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열을 활용한 것으로서, 별도의 난방을 위한 장치나 에너지원 없이 난방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은 제어부(700)에 의해 구현되게 된다. 즉, 수송기 내부 제어보드판에 배치된 제어부(700)에 의해 냉난방 온/오프 버튼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열교환기(100)는 제1라디에이터(500) 내부에 배치되며,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에서 제1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하는 냉기는 수송기 내부로 공급되어 냉방시 운용되게 되며, 상기 제3열교환기(400)는 제2라디에이터(600) 내부에 배치되며, 냉각수의 열교환 과정에서 제3열교환기(400)에서 발생하는 온기는 수송기 내부로 공급되어 난방시 운용되게 된다.
즉,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는 액화 수소 탱크(10)와 제2열교환기(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 내부에는 제1열교환기(100)가 배치되어,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에서 제1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수송기 내부, 예컨대 수송기 내부 에어 컨디셔닝 룸(R)으로 공급하여 날씨가 더운 하절기에 냉방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하절기 모드)
또한, 상기 제2라디에이터(600)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10)와 제2열교환기(20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2라디에이터(600) 내부에는 제3열교환기(400)가 배치되어, 냉각수의 열교환 과정에서 제3열교환기(400)에서 발생하는 온기를 수송기 내부, 예컨대 수송기 내부 에어 컨디셔닝 룸(R)으로 공급하여 날씨가 추운 동절기에 난방 시스템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동절기 모드)
여기에서,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 및 제2라디에이터(600)는 제어부(70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수송기 내부 제어보드판에 배치된 냉난방 온/오프 버튼으로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열교환기(200)는 상시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100)는 상기 액화 수소가 통과하는 경로로 제공되어 상기 액화 수소가 상기 제2열교환기(200)로 바로 이송되어 열교환되어 기체수로를 연료전지(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연료인 기체 수소는 제2열교환기(200)에 의해 상시적으로 연료전지(300)에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 및 제2라디에이터(600)는 수송기 내부 또는 수송기 내부 에어 컨디셔닝 룸(R)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수송기 내부에 냉기 또는 온기를 선택적으로 공급하게 되며, 이 때 냉기 또는 온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에어 필터(520),(620)가 형성되어, 수송기 내부로는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 및 제2라디에이터(600)는 자연적으로 냉기 또는 온기가 발산되어 수송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효율적인 냉난방을 위해 상기 제1열교환기(100) 또는 제3열교환기(400) 인접부에 송풍기(510),(610)를 설치하여 냉기 또는 온기가 효율적으로 수송기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700)에 의해 하절기 모드로 선택된 경우, 즉, 제1라디에이터(500)가 작동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서 파란색은 액화수소가 제1열교환기(!00)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이송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빨간색은 열교환된 기체수소가 이송되어 연료전지(300)로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초록색은 연료전지(30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의 순환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제1라디에이터(500)만 활성화되어 작동되고 있고, 제2라디에이터(600)는 비활성화되어 작동되지 않고 있다.
상기 제어부(700)에 의해 제1라디에이터(500)가 작동되면, 액화 수소 탱크(10)로부터 액화 수소가 제1열교환기(100)로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상기 제1열교환기(100)에서 발생하는 냉기는 제1라디에이터(500) 내부의 송풍기(510)를 통해 에어 컨디셔닝 룸(R)으로 공급되어 수송기 내부의 온도를 높이게 된다.
제1열교환기(100)에서 열교환된 액화 수소는 제2열교환기(200)로 공급되어 완전히 기체 수소로 열교환된 후 펌프(210)를 통해 연료전지(300)에 공급되어 연료로 사용되게 된다.
상기 연료전지(30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는 연료전지(300)를 냉각시키기 위해 제1경로(P1)를 지나면서 순환되게 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200)에 의해 냉각이 이루어진 후 연료전지(300) 측으로 다시 공급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2열교환기(200)는 상기 제1라디에이터(500)의 작동과 상관없이 수송기의 연료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수송기의 전원 또는 시동이 켜지면 상시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700)에 의해 동절기 모드로 선택된 경우, 즉, 제2라디에이터(600)가 작동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파란색은 액화수소가 제1열교환기(100)를 통과하여 제2열교환기(200)로 이송되어 기체수소로 열교환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고, 빨간색은 열교환된 기체수소가 이송되는 연료전지(300)로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며, 초록색은 연료전지(300)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의 순환경로 및 제3열교환기(400)로 냉각수가 이송되어 열교환된 후 다시 냉각수 순환경로로 이송되는 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제1라디에이터(500)는 비활성화되어 작동되고 있지 않으며, 제2라디에이터(600)만 활성화되어 작동되고 있다.
제어부(700)에 의해 제2라디에이터(600)가 작동되면,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410)가 오픈되면서 연료전지(300)를 냉각한 후 배출된 냉각수가 제2경로(P2)로 이송되게 된다. 상기 제2경로(P2)로 이송된 냉각수는 제2라디에이터(600) 내부 제3열교환기(40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때 제3열교환기(400)에서 발생하는 온기는 제2라디에이터(600) 내부의 송풍기(610)를 통해 에어 컨디셔닝 룸(R)으로 공급되어 수송기 내부의 온도를 낮추게 된다.
그 후 열교환된 냉각수는 다시 제1경로(P1)로 이송되어 연료전지(300)의 냉각을 위한 냉매회로를 순환하게 된다. 즉, 제2열교환기(200)로 공급되어, 냉각수의 온도는 더욱 낮춰져 연료전지(300)의 냉각수로 공급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연료전지(30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는 연료전지(300)를 냉각시키기 위해 제1경로(P1)를 지나면서 순환되게 되며, 상기 제2열교환기(200)는 상기 제2라디에이터(600)의 작동과 상관없이 수송기의 연료로 사용되어야 하므로 수송기의 전원 또는 시동이 켜지면 상시적으로 작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수소 연료 수송기의 동력공급원 장치를 냉난방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것으로서,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에 필요한 열교환기(제1열교환기)를 난방 수단으로 활용하고,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열교환기(제3열교환기)를 통해 냉각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냉방 수단으로 활용한 것이다. 이에 의해 기존의 장치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이고,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수송기 내부 설계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그 활용도가 뛰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액화 수소의 냉열을 순환시켜 냉방 목적으로 사용하며, 연료전지의 냉각수의 온열을 순환시켜 난방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즉, 액화 수소의 열교환 과정, 냉각수의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냉난방을 위한 에너지원이나 복잡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 액화 수소 탱크 100 : 제1열교환기
200 : 제2열교환기 210 : 펌프
220 : 체크밸브 300 : 연료전지
400 : 제3열교환기 410 : 솔레노이드 밸브
500 : 제1라디에이터 510 : 송풍기
520 : 필터 600 : 제2라디에이터
610 : 송풍기 620 : 필터
700 : 제어부 P1 : 제1경로
P2 : 제2경로 R : 에어 컨디셔닝 룸

Claims (8)

  1.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를 동력공급원으로 이용하는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에 있어서,
    액화 수소 탱크로부터 공급된 액화 수소를 열교환하는 제1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유체를 기체 수소로 열교환하고,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가 제1경로로 공급되어 열교환되는 제2열교환기;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기체 수소와 산소가 공급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한 후 배출되는 냉각수를 제2경로로 공급하여 열교환하는 제3열교환기;
    상기 제1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냉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1라디에이터;
    상기 제3열교환기를 내부에 포함하며, 상기 제3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온기를 상기 수송기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제2라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열교환기는 상시적으로 작동되고,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1라디에이터 및 상기 제2라디에이터는 선택적으로 작동되고,
    상기 제1라디에이터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열교환기는 상기 액화 수소가 통과하는 경로로 제공되어 상기 액화 수소가 상기 제2열교환기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디에이터와 제2라디에이터는,
    상기 제1열교환기 및 제2열교환기 인접부에 각각 송풍기가 설치되어 상기 수송기 내부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디에이터와 제2라디에이터에는,
    냉기 또는 온기가 통과하는 경로에 필터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냉각수는 펌프에 의해 상기 연료전지 측으로 공급되어 상기 연료전지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로 상에는 체크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연료전지에서 배출된 냉각수를 제2열교환기 방향으로 공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로 상에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형성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 하절기 모드 작동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닫히도록 형성되어 제1경로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동절기 모드 작동시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가 열리도록 형성되어 제2경로를 통해 상기 냉각수가 상기 제2열교환기 및 제3열교환기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기를 통과한 유체의 냉기 또는
    상기 제3열교환기를 통과한 유체의 온기는 수송기 내부 에어 컨디셔닝 룸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KR1020190030902A 2019-03-19 2019-03-19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KR102194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02A KR102194793B1 (ko) 2019-03-19 2019-03-19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US16/821,300 US11230156B2 (en) 2019-03-19 2020-03-17 Cooling and heating system for hydrogen fuel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0902A KR102194793B1 (ko) 2019-03-19 2019-03-19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1344A KR20200111344A (ko) 2020-09-29
KR102194793B1 true KR102194793B1 (ko) 2020-12-23
KR102194793B9 KR102194793B9 (ko) 2022-12-27

Family

ID=7251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902A KR102194793B1 (ko) 2019-03-19 2019-03-19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30156B2 (ko)
KR (1) KR102194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1415B1 (ko) 2021-04-29 2022-07-14 김용석 액화 수소 기지 운반 차량, 액화 수소 배송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 수소 충전 시스템
KR20220131463A (ko) 2021-03-19 2022-09-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용 mof 적용 하이브리드 제습냉방 및 가습난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3175B2 (en) * 2019-12-31 2022-11-08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ethod for filling tanks of hydrogen-fueled vehicles
KR102374959B1 (ko) * 2021-04-29 2022-03-15 김용석 액화수소 기화손실가스를 이용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KR102374957B1 (ko) * 2021-04-29 2022-03-18 김용석 액화수소 기화열을 이용한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WO2022231169A1 (ko) * 2021-04-29 2022-11-03 김용석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9751A (en) * 1967-03-15 1972-06-13 Peter D Richman Electric battery comprising a fuel cell hydrogen generator and heat exchanger
US6394207B1 (en) * 2000-02-16 2002-05-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of fuel cell powered vehicles
KR20070059308A (ko) * 2005-12-06 2007-06-12 한라공조주식회사 연료전지 자동차 공조장치용 냉방시스템
KR101210819B1 (ko) * 2009-12-30 2012-12-11 한라공조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압축 공기 냉각과 그 열을 이용한 실내 난방 시스템
US10987994B2 (en) * 2017-10-17 2021-04-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conditioning system and climate control method for a fuel cell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1463A (ko) 2021-03-19 2022-09-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 철도차량용 mof 적용 하이브리드 제습냉방 및 가습난방 시스템
KR102421415B1 (ko) 2021-04-29 2022-07-14 김용석 액화 수소 기지 운반 차량, 액화 수소 배송 차량 및 이를 포함하는 액화 수소 충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8651A1 (en) 2020-09-24
KR20200111344A (ko) 2020-09-29
KR102194793B9 (ko) 2022-12-27
US11230156B2 (en)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793B1 (ko) 수소 연료 수송기의 냉난방 시스템
US10766338B2 (en) HVAC system of vehicle with battery heating and cooling
CN109383227B (zh) 用于燃料电池车辆的回路系统
KR101855759B1 (ko) 차량용 배터리 냉각 시스템
US8631659B2 (en) Hybrid vehicle temperatur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2398876B1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JP5325259B2 (ja) デュアルモードの冷却材ループを備えた熱管理システム
US11541718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heating PTC heater thereof
KR101144050B1 (ko) 전기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와 그 제어방법
US20130174579A1 (en) Hvac system for a hybrid vehicle
KR102450408B1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US20120247716A1 (en) Motor Vehicle Cooling System
US20180154782A1 (en) Water Cooled Type Cooling-Heating System for Vehicle
CN102610838A (zh) 燃料电池热管理系统、燃料电池系统及具有该系统的车辆
US11654744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KR102625967B1 (ko) 차량용 열관리 장치 및 차량용 열관리 방법
US20180272877A1 (en) Electric Vehicle with Thermal Management System
US20190009635A1 (en)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2015189467A5 (ko)
JP2015189467A (ja) キャビンおよびバッテリの加熱システム
KR20220089162A (ko) 연료전지 모빌리티 통합 열관리 시스템
CN113696793B (zh) 一种燃料电池热管理系统
CN114851802A (zh) 一种集成式热管理装置及系统
KR10183651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4439565A (zh) 一种燃料电池余热利用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