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459B1 -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459B1
KR102194459B1 KR1020190092297A KR20190092297A KR102194459B1 KR 102194459 B1 KR102194459 B1 KR 102194459B1 KR 1020190092297 A KR1020190092297 A KR 1020190092297A KR 20190092297 A KR20190092297 A KR 20190092297A KR 102194459 B1 KR102194459 B1 KR 10219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expansion
refrigerant
output 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식
홍태호
전승민
Original Assignee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동일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동일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2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9Controlling the flow of liquid in a heat pump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1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for rotating valves
    • F25B41/046
    • F25B41/06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2개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여 냉매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상태나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통시키는 완전 개방 상태로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입력 포트(101), 제1 출력 포트(102), 그리고 제2 출력 포트(103)를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100)와; 유로(11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팽창 리세스(210)와 개방공(220)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200)와; 제1 통공(301) 및 제2 통공(302)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300)와; 회전 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400)를 포함하여, 차량용 공조기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단순화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조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Integrated electronic valve for expansion and switching direction}
본 발명은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2개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절환하여 냉매를 공급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상태나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통시키는 완전 개방 상태로도 절환하는 것이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차량용 공조기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단순화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조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증발기를 포함하며,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냉장고나 냉방용 공조기 등의 냉방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 액화된 고온·고압의 액체 냉매를 교축 작용에 의해 증발을 일으킬 수 있는 압력까지 감압해 주는 밸브로서, 증발기에서 충분한 열을 흡수할 수 있는 적정한 냉매량을 조절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냉동 사이클을 개선하여 냉매를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는 히트펌프를 구성함으로써 온장고나 난방용 공조기 등의 열원으로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히트펌프의 구성에 따라 종래에는 냉방용 팽창밸브와 난방용 팽창밸브를 각각 구성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할 뿐 아니라 냉매의 순환 관로가 복잡해지고 제어에 어려움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정방향 및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팽창시키는 양방향 팽창밸브와 함께, 한 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두 개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통과시키면서 팽창시키는 3방향 팽창밸브가 개발되었다.
특허문헌 1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3128호, 특허문헌 2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35259호, 그리고 특허문헌 3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32158호에는 한 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두 개 이상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로 냉매를 절환시키면서 팽창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은 단순히 한 개의 입력 포트로부터 두 개 이상의 출력 포트 중 어느 하나를 연통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적절한 크기의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 상태와 냉매를 팽창시키지 않고 그대로 통과시키는 완전 개방 상태로 조절할 수는 없다는 종래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1-0043128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835259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43215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냉매 유로의 절환 및 냉매의 팽창 여부를 하나의 전자식 밸브로 제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기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단순화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조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와, 타측에 냉매가 배출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 상기 제1 출력 포트,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의 상기 유로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소정의 반경방향 폭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 리세스와, 상기 팽창 리세스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폭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을 갖는 개방공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밸브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되 상기 밸브바디의 유로 내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밸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팽창 리세스는 상기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양호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밸브의 양면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는 제1 밸브 플레이트 및 제2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냉매 유로의 절환 및 냉매의 팽창 여부를 하나의 전자식 밸브로 제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기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단순화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조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바디의 하부 몸체를 도시하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팽창 간극을 설명하는 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밸브바디의 하부 몸체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2의 (a)는 평면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밸브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5의 (a)는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에 나타낸 B-B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하는 도로서, 도 7의 (a)는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에 나타낸 C-C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밸브 플레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9의 (a)는 제1 밸브 플레이트를 나타내며, 도 9의 (b)는 제2 밸브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게다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 모두의 폐쇄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팽창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 제1 출력 포트의 폐쇄 상태 및 제2 출력 포트에 대한 냉매의 완전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때, 도 10 내지 도 15에 있어서, 각 도의 (a)는 평면도이고, 각 도의 (b)는 각 도의 (a)에 나타낸 D-D선 내지 I-I선에 대한 각각의 단면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팽창 간극을 설명하는 도로서, 도 16의 (a)는 팽창 리세스가 회전 밸브의 반경방향 중간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도 16의 (b)는 팽창 리세스가 회전 밸브의 반경방향 중심측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16의 (c)는 팽창 리세스가 회전 밸브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냉매 유로의 절환 및 냉매의 팽창 여부를 하나의 전자식 밸브로 제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기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단순화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조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차량용, 특히 전기 차량용 공조기의 히트펌프에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냉방을 위한 냉매의 정방향 순환 및 난방을 위한 냉매의 역방향 순환 시 모두 냉매가 경유하는 하나의 전자식 밸브로서, 응축기와 증발기 사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101)와, 타측에 냉매가 배출되는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와, 상기 입력 포트(101), 상기 제1 출력 포트(102),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포트(103)를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1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제1 출력 포트(102)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103) 사이의 상기 유로(11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소정의 반경방향 폭(w)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 리세스(210)와,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반경방향 폭(w)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W)을 갖는 개방공(220)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200)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밸브(200)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되 상기 밸브바디(100)의 유로(110) 내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통공(301) 및 제2 통공(302)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300)와; 상기 회전 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밸브바디(100), 회전 밸브(200), 밸브 플레이트(300), 그리고 구동부재(400)를 포함하고 있다.
우선, 밸브바디(100)는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성으로, 블록 형상, 바람직하게는 대략 육면체의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밸브바디(100)의 외형에 제한은 없을 것이며, 육면체인 사각기둥을 포함하여, 다각기둥이나 원기둥 형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이 일측, 즉 도면에 있어서 상측에는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10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바디(100)의 타측, 즉 도면에 있어서 하측에는 좌우 양면에 냉매가 배출되는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가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입력 포트(101), 상기 제1 출력 포트(102),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포트(103)를 하나로 연통시키는 유로(110)가 형성되어 있어, 이 유로(110)를 통해 냉매가 상기 입력 포트(101)로부터 상기 제1 출력 포트(102) 또는 상기 제2 출력 포트(103)로 통과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냉방 시에는 입력 포트(101)로 들어온 냉매가 제1 출력 포트(102)로 배출될 것이고, 난방 시에는 입력 포트(101)로 들어온 냉매가 제2 출력 포트(103)로 배출되는 등이 가능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밸브바디(100)의 상측에 입력 포트(101)가 형성되고, 하측에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가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여 이하 설명하지만, 밸브바디(100)의 배치 방향에 따라 각 포트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할 것이다.
이와 같은 밸브바디(100)의 유로(110) 중간에는 냉매의 통과 및 팽창 여부를 제어하는 회전 밸브(200)와 밸브 플레이트(300)가 마련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밸브바디(1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밸브바디(100)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성형성이나 조립성 등을 고려하여 도 1과 같이 다수의 몸체로 분할하여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밸브바디(100)는 메인 몸체(120), 하부 몸체(130), 상부 몸체(140), 그리고 고정 몸체(150) 등으로 분할하여 제작된 후, 하나로 조립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메인 몸체(120)는 밸브바디(100)의 가장 중앙에 위치하여 상하로 유로(110)가 관통하는 구성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회전 밸브(200)와 밸브 플레이트(300)가 이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몸체(13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입력 포트(101)와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130)의 내부 중앙에 도 1과 같이 상술한 메인 몸체(120)가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2와 같이 상기 제1 출력 포트(102)와 상기 제2 출력 포트(103)는 거의 유사한 높이에 있어서 도면상 좌우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입력 포트(101)는 이러한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와는 직각을 이루되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1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력 포트(101)가 제1 출력 포트(102)와 동일한 방향(도면상 좌측)으로 다만 높이 차이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지만, 실제로는 도 2와 같이 입력 포트(101)가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 둘 모두에 대하여 각각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팽창 밸브에 냉매의 관로를 연결할 때 오조립을 방지하고, 히트펌프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몸체(120)가 상기 하부 몸체(130) 내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도 1과 같이 고정 몸체(150)가 상기 메인 몸체(120)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 몸체(130)의 내부로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메인 몸체(120), 하부 몸체(130), 그리고 고정 몸체(150) 모두에는 유로(110)의 일부가 각각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도면부호 104는 메인 몸체(120)와 고정 몸체(15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이며, 도면부호 105는 고정 몸체(150)와 하부 몸체(13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씰링이고, 도면부호 106은 고정 몸체(150)가 하부 몸체(130)에 조립된 상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결링을 나타낸다.
또한,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상부 몸체(140)는 상술한 하부 몸체(130)의 상부를 감싸 상측에 조립되는 것으로, 특히 이후에 설명할 구동부재(400)가 이 상부 몸체(140)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고, 별도의 유로(110)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러한 상부 몸체(140)는 복수의 체결수단(141)에 의해 하부 몸체(130)의 상단을 감싸도록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회전 밸브(200)는 대략 소정 두께를 가진 판재로 제작된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입력 포트(101)와 상기 제1 출력 포트(102)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103) 사이의 상기 유로(110)를 가로 지르도록 상기 유로(110) 내에 배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 밸브(200)의 외주면과 상기 밸브바디(100)의 내주면은, 상기 회전 밸브(2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지만, 냉매의 누설은 발생치 않도록 높은 정밀도와 조도로 가공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회전 밸브(20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팽창 리세스(210) 및 개방공(220)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우선, 상기 팽창 리세스(210)는 소정의 반경방향 폭(w)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며, 상기 개방공(220)은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반경방향 폭(w)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W)을 가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때,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성형 위치는, 상기 팽창 리세스(210)와 상기 개방공(220)이 연통되도록 상기 개방공(220)의 반경방향 폭(W) 내 및 인접한 어디에 위치하여도 좋을 것이며, 다만, 냉매의 팽창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팽창 리세스(210)의 바람직한 위치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는 이후에 설명할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통공(301) 또는 제2 통공(302)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냉매를 팽창시키게 되며, 상기 회전 밸브(200)의 개방공(220)은 제1 통공(301) 또는 제2 통공(302)과 중첩되어 냉매의 팽창 없이 냉매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작용을 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방향은 도 3에 있어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의 양방향으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으나, 제어 정밀도를 고려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를 일방향, 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만약, 상기 회전 밸브(200)를 반시계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제어하는 경우,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팽창 리세스(210)와 개방공(220)의 상호 위치에 대해서는, 팽창 리세스(210)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 측에 개방공(220)이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회전 밸브(200)의 반시계 방향 회전 시, 팽창 리세스(210)가 개방공(220) 보다 먼저 제1 통공(301) 또는 제2 통공(302)과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냉매의 팽창이 선행된 이후, 냉매의 완전 개방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에는 밸브 플레이트(300)가 맞닿아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있어서 제1실시예는 도 5의 (b)와 같이, 하나의 밸브 플레이트(300)가 회전 밸브(200)의 하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며, 제2실시예는 도 7의 (b)와 같이 하나의 밸브 플레이트(300)가 회전 밸브(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이고, 제3실시예는 도 10의 (b)와 같이 밸브 플레이트(300)가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를 포함하여, 회전 밸브(200)의 상측에는 제1 밸브 플레이트(310)가, 그리고 그 하측에는 제2 밸브 플레이트(320)가 맞닿아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된다.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기로 하고,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오직 하나의 밸브 플레이트(300)가 회전 밸브(200)의 하측에 맞닿아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어 있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반면,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밸브 플레이트(300)는 판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밸브바디(100) 내에서 회전이 불가하도록 하기 위해 외주 형상을 다각형 등으로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보다는 성형성이나 조립성을 고려하여 밸브 플레이트(300)를 원판 형태로 제작한 후, 외주연에 일부가 잘려나간 절입부(미도시)를 형성하고, 이와 함께, 밸브바디(100)에는 이 절입부에 대응하는 돌출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밸브 플레이트(300)가 밸브바디(100) 내에 회전 불가하게 조립되는 것이 양호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밸브바디(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이때,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1 통공(301) 및 제2 통공(302)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략 180도의 위상각 차이를 두고 서로 대칭되도록 제1 통공(301) 및 제2 통공(302)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통공(301)은 상기 밸브바디(100)의 하부 몸체(130)에 형성된 제1 출력 포트(102)에 대응하는 것이며, 상기 제2 통공(302)은 밸브바디(100)의 하부 몸체(130)에 형성된 제2 출력 포트(103)에 대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통공(301) 및 상기 제2 통공(302)은 동일한 형상 및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중심이 잘려나간 부채꼴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통공(301, 302)의 형상은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개방공(220)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상기 통공(301, 302)의 단면적은 상기 개방공(220)과 유사하거나 약간 넓은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개방공(220) 보다 상기 제1 통공(301) 및 상기 제2 통공(302)의 단면적을 약간 넓게 형성하는 경우, 반경방향 폭은 유사하게 유지하는 반면, 원주방향 폭은 상기 개방공(220) 보다 상기 제1 통공(301) 및 상기 제2 통공(302)이 다소 넓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앞서 설명한 회전 밸브(200)에 있어서 팽창 리세스(210)가 형성되는 반경방향 위치와 상기 제1 통공(301) 및 상기 제2 통공(302)의 원주방향 폭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의 제어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회전 밸브(200)는 밸브바디(100) 내에 고정된 밸브 플레이트(300)와의 상대 회전 운동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팽창밸브의 개폐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로 절환은 물론 냉매의 팽창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가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통공(301)이나 제2 통공(30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냉매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밸브(200)가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하여 개방공(220)이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통공(301)이나 제2 통공(302) 중 어느 하나에 중첩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팽창 없이 완전 개방 상태가 되어 냉매의 유로가 넓게 확보될 것이다.
또한,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나 개방공(220) 중 어느 것도 밸브 플레이트(300)의 제1 통공(301)이나 제2 통공(302)에 중첩되지 않는 경우, 팽창밸브는 폐쇄 상태가 되어 냉매의 흐름이 차단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구동부재(400)는 상술한 회전 밸브(200)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모터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상기 구동부재(4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중심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샤프트(410)와, 전원 제어에 따라 회전각도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샤프트(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스텝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텝모터(420)는 도 1과 같이 상술한 상부 몸체(140)의 상측면에 별도의 체결수단(141)에 의해 고정 설치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스텝모터(420)로부터 출력축은 아래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텝모터(420)의 출력축으로 출력되는 회전력은 상기 샤프트(410)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샤프트(410)에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 스텝모터(420)의 회전력이 샤프트(410)에 직접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스텝모터(420)의 출력축이 샤프트(410)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스텝모터(420)에 대한 출력축의 회전속도는 상기 샤프트(410)에 별도의 감속 없이 직접 전달될 것이다.
하지만, 스텝모터(420)의 회전력이 상기 샤프트(410)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스텝모터(420)의 출력축과 상기 샤프트(410)의 사이에 예를 들어 감속기어(430)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감속기어(430)가 적용되는 경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감속기어(430)는 별도의 회전축을 가지며 외경이 큰 대경부 및 외경이 작은 소경부가 형성된 2단 기어이다.
이러한 감속기어(4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은 고정 몸체(150) 혹은 상부 몸체(140) 등의 주변 구성에 마련될 수 있을 것이며, 도 1에는 감속기어(430)의 회전축이 상부 몸체(140)에 지지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감속기어(430)에 있어서 대경부는 상기 스텝모터(420)의 출력축에 고정된 출력축 기어(421)와 치합하게 되며, 상기 감속기어(430)의 소경부는 상기 샤프트(410)에 고정된 샤프트 기어(411)와 치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420)의 회전력은 상기 감속기어(430)에서 감속된 후, 샤프트(410)에 전달될 수 있으며, 높은 토크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샤프트(410)는 그 일부가 상술한 밸브바디(100)의 유로(110)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410)의 하부에는 아래로부터 밸브 플레이트(300) 및 회전 밸브(200)가 순차적으로 위치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샤프트(410)의 회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회전 중심만 상기 샤프트(410)에 지지될 뿐인 것으로, 상기 샤프트(510)는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에 대하여 아이들 상태로 배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의 중심에는 도 4와 같이 상기 샤프트(410)가 관통하여 아이들 상태로 위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303)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회전 밸브(200)는 상기 샤프트(41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 밸브(200)의 중심에 형성된 결합공(201)에는 도 3과 같이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410)에는 상술한 결합공(201)의 돌출부에 대응하여 절입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결합공(201)의 돌출부와 샤프트(410)의 절입부가 맞물려 있다.
이에 따라, 샤프트(410)와 회전 밸브(200)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샤프트(41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밸브(20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2실시예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플레이트(300)가 회전 밸브(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모든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 플레이트(300)는 상기 회전 밸브(200)의 양면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는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 플레이트(300)를 구성하는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가 회전 밸브(200)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것에만 차이가 있을 뿐 모든 구성 및 작용이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각각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통공(311, 321) 및 제2 통공(312, 322)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8과 같이 상기 회전 밸브(200)의 상측에는 제1 밸브 플레이트(310)가, 그리고 그 하측에는 제2 밸브 플레이트(320)가 서로 맞닿아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는 회전 밸브(200)가 제1 밸브 플레이트(310)와 제2 밸브 플레이트(320) 사이에 위치하여 냉매의 누설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200)와 상기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상기 제2 밸브 플레이트(320)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 밸브(200)의 직경은 상기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또는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직경 보다 작고; 상기 밸브바디(100)에는 상기 회전 밸브(200)와 상기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또는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직경 차이에 따라 발생하는 단차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 밸브(200)의 높이에 돌부(122)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제1 밸브 플레이트(310)와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직경을 서로 동일하게 제작하고, 상기 회전 밸브(200)의 직경을 상기 제1 밸브 플레이트(310)나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직경 보다 다소 작게 제작한다.
이와 함께, 상기 밸브바디(100)의 메인 몸체(120) 내주면에는 이들의 직경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단차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돌부(122)가 형성됨으로써,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와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외주면과 밸브바디(100)의 메인 몸체(120) 내주면 사이에는 계단 형상의 단면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도면부호 121은 제1 밸브 플레이트(31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인 몸체(120)의 내주면에 조립한 체결링이다.
이러한 계단 형상의 단면을 형성함에 따라 냉매의 누설을 최소화 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회전 밸브(200)를 비롯하여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에 대한 조립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 온다.
추가적으로, 도 8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30)에 있어서 제2 출력 포트(103)와 연통되는 개구 둘레를 따라 링 형상의 메인 씰링(160)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이러한 메인 씰링(160)은 탄성을 지닌 기밀재료 제작된 것으로, 제2 밸브 플레이트(320)와 하부 몸체(130) 사이에 마련됨으로써, 제1 출력 포트(102)와 제2 출력 포트(103) 서로를 기밀성 높게 구분 짓게 된다.
그 결과, 상술한 회전 밸브(200)의 제어에 의해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입력 포트(101)로부터 제1 출력 포트(102)로 냉매가 통과할 때, 제2 출력 포트(103)로 냉매가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는 단순히 팽창 리세스(210)와 개방공(220)을 형성하여 냉매의 팽창 상태나 냉매의 팽창 없이 냉매를 그대로 통과시키는 작용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위치를 적절하게 한정하는 것으로 냉매의 팽창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팽창 효율이란, 교축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교축이란 유체 통로의 일부에 밸브, 콕 또는 가느다란 구멍이 뚫린 판 등을 부착하여 흐름의 단면적을 좁히면, 이미 존재하는 압력차에 의해 유속이 강제적으로 증가되고, 이로 인해 분자간 거리가 멀어져 압력이 강하하는데 이 현상을 말한다.
즉, 적절한 크기의 팽창 간극을 형성하여 교축 정도가 높을수록 팽창 효율이 양호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6의 (a)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간 정도에 형성되어 개방공(220)과 연통 형성될 수 있을 것이며, 혹은 도 16의 (b)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심측에 형성되어 개방공(220)과 연통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16의 (c)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개방공(220)과 연통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도 1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간 정도에 형성되어 개방공(220)과 연통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원주방향 폭에 무관하게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반경방향 폭(w)의 크기에 따라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에 형성된 제1 통공(311, 321)이나 제2 통공(312, 322)과 연결되는 단면적이 결정되며, 이러한 단면적은 냉매에 대한 팽창 효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단면적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팽창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팽창 리세스(210)의 끝단이 통공과 미세하게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각도 제어에 보다 정밀한 제어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
게다가, 도 1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중심측에 형성되어 개방공(220)과 연통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 밸브(200)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 또는 제2 통공(312, 322)이 중첩되는 원주방향 폭이 현저하게 작기 때문에, 냉매에 대한 팽창 간극을 길게 형성하는 데에는 제한이 있는 것이다.
반면에, 도 1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팽창 리세스(210)가 회전 밸브(200)의 반경방향 외주측에 형성되어 개방공(220)과 연통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의 회전 각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필요도 없고,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 또는 제2 통공(312, 322)이 중첩되는 원주방향 폭을 비교적 길게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팽창 간극을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팽창 리세스(210)는, 상기 제1 통공(311, 321) 및 제2 통공(312, 322)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에 대한 제3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는 오직 하나의 밸브 플레이트(300)만을 포함하여 회전 밸브(200)의 상측 혹은 하측에 밸브 플레이트(300)가 배치된다는 점에만 차이가 있을 뿐이어서, 이하에서는 제3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차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차량의 공조장치가 냉방 시에는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입력 포트(101)로 냉매가 유입되며, 제1 출력 포트(102)를 통해 냉매가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난방 시에는 밸브바디(100)에 있어서 입력 포트(101)로 유입된 냉매는 제2 출력 포트(1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전기 차량의 공조 제어기는 스텝모터(420)에 적절한 전원 또는 전기적 신호를 보내 상기 스텝모터(420)의 출력축을 소망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텝모터(420)의 출력축은 회전 밸브(200)를 제1 밸브 플레이트(310)와 제2 밸브 플레이트(320) 사이에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을 회전 밸브(2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부재(400)의 스텝모터(4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회전하여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 및 개방공(220) 둘 모두는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 및 제2 통공(312, 322) 어느 것과도 중첩되지 않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모두 차단되어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 중 어디로도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구동부재(400)의 스텝모터(4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만이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과 반경방향 외측에서 미세한 팽창 간극을 형성하면서 중첩된다.
이때,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2 통공(312, 322)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 사이에 형성된 팽창 간극에서 팽창된 후, 제1 출력 포트(102)로 배출됨으로써 공조기의 냉방이 실시되는 것이다.
이후, 구동부재(400)의 스텝모터(4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개방공(220)이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과 넓은 단면적으로 중첩됨으로써, 냉매의 팽창은 발생치 않고 완전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2 통공(312, 322)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개방공(220)과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을 팽창 없이 그대로 통과한 후, 제1 출력 포트(102)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구동부재(400)의 스텝모터(4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 및 개방공(220) 둘 모두가 다시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 및 제2 통공(312, 322) 어느 것과도 중첩되지 않는 폐쇄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다시 모두 차단되어 제1 출력 포트(102) 및 제2 출력 포트(103) 중 어디로도 배출되지 않게 된다.
하지만, 구동부재(400)의 스텝모터(4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만이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2 통공(312, 322)과 반경방향 외측에서 미세한 팽창 간극을 형성하면서 중첩된다.
이때,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계속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팽창 리세스(210)와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2 통공(312, 322) 사이에 형성된 팽창 간극에서 팽창된 후, 제2 출력 포트(103)로 배출됨으로써 공조기의 난방이 실시되는 것이다.
이후, 구동부재(400)의 스텝모터(420)에 의해 회전 밸브(200)가 대략 60도 가량 더 회전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밸브(200)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회전 밸브(200)의 개방공(220)이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2 통공(312, 322)과 넓은 단면적으로 중첩됨으로써, 냉매의 팽창은 발생치 않고 완전 개방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1 통공(311, 321)은 회전 밸브(200)에 의해 폐쇄 상태로 계속 유지된다.
이에 따라, 밸브바디(100)의 입력 포트(101)로 공급되는 냉매는 회전 밸브(200)의 개방공(220)과 제1 밸브 플레이트(310) 및 제2 밸브 플레이트(320)의 제2 통공(312, 322)을 팽창 없이 그대로 통과한 후, 제2 출력 포트(103)로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는, 냉매 유로의 절환 및 냉매의 팽창 여부를 하나의 전자식 밸브로 제어 가능하여, 차량용 공조기에 적용 가능한 히트펌프의 구성을 단순화 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공조기의 정밀 제어를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밸브바디 101 : 입력포트
102 : 제1 출력 포트 103 : 제2 출력 포트
104, 105 : 씰링 106 : 체결링
110 : 유로 120 : 메인 몸체
121 : 체결링 122 : 돌부
130 : 하부 몸체 140 : 상부 몸체
141 : 체결수단 150 : 고정 몸체
160 : 메인 씰링 200 : 회전 밸브
201 : 결합공 210 : 팽창 리세스
220 : 개방공 300 : 밸브 플레이트
301, 311, 321 : 제1 통공 302, 312, 322 : 제2 통공
303, 313, 323 : 관통공 310 : 제1 밸브 플레이트
320 : 제2 밸브 플레이트 400 : 구동부재
410 : 샤프트 411 : 샤프트 기어
420 : 스텝모터 421 : 출력축 기어
430 : 감속기어 w :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폭
W : 개방공의 반경방향 폭

Claims (3)

  1.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에 냉매가 공급되는 입력 포트와, 타측에 냉매가 배출되는 제1 출력 포트 및 제2 출력 포트와, 상기 입력 포트, 상기 제1 출력 포트, 그리고 상기 제2 출력 포트를 연통시키는 유로가 내부에 형성된 밸브바디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입력 포트와 상기 제1 출력 포트 및 상기 제2 출력 포트 사이의 상기 유로 내에서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소정의 반경방향 폭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팽창 리세스와, 상기 팽창 리세스의 말단에 연통되되 상기 팽창 리세스의 반경방향 폭 보다 넓은 반경방향 폭을 갖는 개방공이 형성되는 회전 밸브와;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 밸브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되 상기 밸브바디의 유로 내에 회전 불가하게 고정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중심이 잘려나간 부채꼴 형상의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이 형성되는 밸브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밸브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팽창 리세스는 상기 제1 통공 및 제2 통공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중첩되어 팽창 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밸브와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밸브의 양면에 접촉하도록 적층 배치되는 제1 밸브 플레이트 및 제2 밸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KR1020190092297A 2019-07-30 2019-07-30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KR10219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97A KR102194459B1 (ko) 2019-07-30 2019-07-30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297A KR102194459B1 (ko) 2019-07-30 2019-07-30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459B1 true KR102194459B1 (ko) 2020-12-23

Family

ID=7408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297A KR102194459B1 (ko) 2019-07-30 2019-07-30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45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642A (ko) * 2020-12-22 2022-06-30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KR20220160167A (ko) * 2021-05-26 2022-12-06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유로 절환 및 유량 제어 일체화 밸브
CN115751782A (zh) * 2022-12-15 2023-03-07 徐州市三禾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菌类冷库用制冷装置
KR20230041369A (ko) 2021-09-17 2023-03-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158B1 (ko) 2001-03-16 2004-05-17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저esr값 전기이중층커패시터 및 그의 저불량률 제조방법
KR100835259B1 (ko) 2007-02-23 2008-06-05 자화전자 주식회사 다방향 전자팽창밸브
JP2011075047A (ja) * 2009-09-30 2011-04-14 Daikin Industries Ltd 流量制御弁
KR20110043128A (ko) 2009-10-21 2011-04-27 박홍기 낚시바늘 성형장치
KR101738934B1 (ko) * 2009-08-25 2017-05-23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다방향 전환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158B1 (ko) 2001-03-16 2004-05-17 엔이씨 도낀 가부시끼가이샤 저esr값 전기이중층커패시터 및 그의 저불량률 제조방법
KR100835259B1 (ko) 2007-02-23 2008-06-05 자화전자 주식회사 다방향 전자팽창밸브
KR101738934B1 (ko) * 2009-08-25 2017-05-23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다방향 전환 밸브
JP2011075047A (ja) * 2009-09-30 2011-04-14 Daikin Industries Ltd 流量制御弁
KR20110043128A (ko) 2009-10-21 2011-04-27 박홍기 낚시바늘 성형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0642A (ko) * 2020-12-22 2022-06-30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KR102447041B1 (ko) 2020-12-22 2022-09-26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KR20220160167A (ko) * 2021-05-26 2022-12-06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유로 절환 및 유량 제어 일체화 밸브
KR102490401B1 (ko) * 2021-05-26 2023-01-25 동일기계공업 주식회사 유로 절환 및 유량 제어 일체화 밸브
KR20230041369A (ko) 2021-09-17 2023-03-24 현대위아 주식회사 전자식 팽창밸브
CN115751782A (zh) * 2022-12-15 2023-03-07 徐州市三禾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菌类冷库用制冷装置
CN115751782B (zh) * 2022-12-15 2023-09-12 徐州市三禾自动控制设备有限公司 一种菌类冷库用制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459B1 (ko)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EP2290273B1 (en) Multi-way selector valve
KR101814206B1 (ko) 유로 전환 밸브 및 이를 이용한 히트 펌프 장치
KR101167956B1 (ko) 냉매 제어용 전자밸브
JP6533111B2 (ja) 冷媒切換弁
KR101849959B1 (ko) 유체 전환 밸브 및 유체 전환 밸브를 구비하는 기기 및 냉장고
KR20150084732A (ko) 냉매 전환 밸브 및 이것을 구비하는 기기
WO2017217112A1 (ja) 切替流調弁
JP2012067833A (ja) 多方切換弁
MX2011002404A (es) Valvula de expansion con igualacion de fuerza.
KR101139390B1 (ko) 다방향 전자식 팽창 밸브
KR102447040B1 (ko)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JP2016205476A (ja) 流体回路及び流体回路を備える冷蔵庫
JP6504897B2 (ja) 流体切換弁並びに流体切換弁を備える機器及び冷蔵庫
KR102136374B1 (ko) 차량용 히트펌프의 양방향성 팽창밸브
KR102490401B1 (ko) 유로 절환 및 유량 제어 일체화 밸브
KR102447041B1 (ko) 전자식 팽창 및 방향전환 일체화 밸브
WO2017213224A1 (ja) 切替弁
KR102512686B1 (ko) 미세 유량 제어 밸브
KR102579769B1 (ko) 팽창밸브 기능을 갖는 통합형 유체제어밸브
EP3486581B1 (en) Refrigerator
EP3260746B1 (en) Flow control valve
KR20230111897A (ko) 전자식 팽창 및 방향 전환 일체형 밸브
CN109210239B (zh) 一种旋转式换向阀及其制冷系统
KR10240351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