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785B1 - 착좌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착좌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785B1
KR102193785B1 KR1020190041784A KR20190041784A KR102193785B1 KR 102193785 B1 KR102193785 B1 KR 102193785B1 KR 1020190041784 A KR1020190041784 A KR 1020190041784A KR 20190041784 A KR20190041784 A KR 20190041784A KR 102193785 B1 KR102193785 B1 KR 10219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frequency
sensor
band
capaci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9517A (ko
Inventor
한용현
조민석
임치현
이민종
Original Assignee
그린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1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785B1/ko
Priority to CN201910355528.3A priority patent/CN111813276A/zh
Publication of KR20200119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2Capacitive 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는, 기준 센서,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며, 착좌에 따라 정전 용량이 가변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어,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주파수 발생부가 발생시킨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하는 멀티 계수부 및 상기 멀티 계수부가 계수한 계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의 착좌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착좌 판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좌 감지 장치{SEATING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착좌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를 활용하여, 노이즈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착좌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착좌 감지 방법 및 착좌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냉장고, 노트북 등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에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수단을 버튼형 스위치에서 터치 패널, 터치 센서, 터치 스크린 등의 터치 감지 장치가 구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터치 감지 장치는 정전 용량식, 저항식, 압력식, 광학식, 초음파 방식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 중 정전 용량식의 경우, 정전용량(Capacitance)의 변화에 따라 축적되는 전압의 변화량을 감지(Sensing)하고, 내부 발진기의 발진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클럭 신호(Clock signal)를 생성하여 카운터(Counter)가 카운트한 값을 산출한 후 이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방식이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물체 또는 사용자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이하, 터치 센서)의 감지 전극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면, 물체 또는 사용자와 감지 전극 사이에 정전 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발진 주파수가 발생하게 되어, 터치 감지 장치가 물체 또는 사용자의 터치뿐만 아니라 근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방법은 터치 센서에 근접하거나 접촉하는 물체에 의해 유지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돌출적으로 인가되는 외부의 노이즈(Noise)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전원 노이즈, 고주파의 동상 및 차동 노이즈에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그에 따라, 터치 감지 장치는 주변 노이즈에 따라 정전 용량이 증가하거나 감소한 것으로 인식하여, 터치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기 설정된 동작이 발생하거나, 터치를 하여도 감도가 감소하여 되려 동작하지 않는 문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터치 감지 장치가 동작하는 경우, 온도, 수증기 등이 노이즈로 작용될 수 있으며, 터치 감지 장치가 방수 처리가 되어 있더라도, 외부 환경의 변화, 장치에 형성된 소정의 틈, 장치의 노후화로 인해 수분이 침투될 우려가 있는 바, 노이즈에 따라 장치가 오작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터치 감도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정전 용량 방식의 착좌 감지 장치가 요구되며, 본 발명은 이에 관련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5358호(2012.04.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준 센서와 착좌 센서로 동시에 주파수를 전달하고, 노이즈 또는 착좌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좌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착좌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착좌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부 온도, 습도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의 착좌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착좌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착좌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착좌를 감지하기 위해 발생시키는 대역 주파수에서의 중심 주파수 값을 소수(Prime Number)로 구성함으로써, 발생시킨 대역 주파수가 외부 노이즈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착좌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센서,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며, 착좌에 따라 정전 용량이 가변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어,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주파수 발생부가 발생시킨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하는 멀티 계수부 및 상기 멀티 계수부가 계수한 계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의 착좌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착좌 판정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로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는,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는 각각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 1번째 내지M 번째 주파수(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번째 내지 N번째 주파수는, 상기 중심 주파수 값이 소수(prime number)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계수부는,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1번째 내지 M번째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주파수들을 수집하고, 수집한 주파수들을 제1 합성 대역 주파수 내지 제M 합성 대역 주파수로 군집(群集)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 계수부는,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좌 판정부는,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기 설정된 감도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 상기 착좌 감지 장치의 착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는, 상기 착좌 감지 장치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정전 용량의 크기가 동일하게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방법은, 기준 센서,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며, 착좌에 따라 정전 용량이 가변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어,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및 상기 주파수 발생부와 연결되어 착좌를 판단하는 멀티 계수부를 포함하는 착좌 감지 장치의 착좌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하는 단계 및 상기 계수한 주파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의 착좌 감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는,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는 각각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 1번째 내지 M번째 주파수(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1번째 내지 N번째 주파수는, 상기 중심 주파수 값이 소수(prime number)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1번째 내지 N번째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주파수들을 수집하고, 수집한 주파수들을 제1 서브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서브 대역 주파수로 군집(群集)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한 제1 합성 대역 주파수 내지 제M 합성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를 계수하는 단계는,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을 산출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좌 감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과 기 설정된 감도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기 설정된 감도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 상기 착좌 감지 장치의 착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는,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동시에 전달 받으며, 상기 착좌 감지 장치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정전 용량의 크기가 동일하게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준 센서 및 착좌 센서에 동일한 대역 주파수를 전달하고, 노이즈 또는 착좌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자의 착좌를 판정하여, 착좌 판정의 정확도가 상승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 내에 습기가 침투하여 이로 인한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관측하여, 사용자의 착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좌 감지 장치 내 주파수 발생부가 전달하는 대역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 값을 소수로 구성함으로써, 정수 배에 해당하는 주파수(배수 주파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착좌를 감지하기 위한 정확한 주파수를 계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들을 군집화하고, 군집화된 주파수 별로 착좌를 감지하여, 착좌 감지 장치가 감지한 착좌가 유효한 착좌인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준 센서와 착좌 센서의 주파수 변화를 동일한 시간 대역에서 감지함에 따라, 크기가 시시각각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정확한 착좌 계수 값을 산출할 수 있어, 착좌 감지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센서와 착좌 센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센서와 착좌 센서의 주파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발생부가 발생시키는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에 따라 종래와 본 발명에서 복수의 대역 주파수가 변화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좌 판정부가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를 판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계수부가 주파수를 군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를 이용한 착좌 감지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S130 및 S14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 (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어느 한 구성이 수행하는 역할을 다른 구성이 함께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착좌 감지 장치(100)는 기준 센서(110), 착좌 센서(120), 주파수 발생부(130), 멀티 계수부(140), 착좌 판정부(150), 제어부(160), 전원 공급부(170) 및 출력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는 사용자가 착좌 감지 장치(100)에 접촉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표를 수집하는 센서로서, 각각의 센서는 캐패시터를 포함함으로써, 캐패시턴스 변화(정전 용량의 변화)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착좌 센서(120)에는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착좌 패드를 포함하는 케이스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기준 센서(110)는 (a)와 같이 저항(R)과 캐패시터(C1)가 직렬 연결된 회로 구성일 수 있으며, 착좌 센서(120)는 (b)와 같이 두 개의 캐패시터(C2, C3)가 병렬 연결된 회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착좌 센서(120)에 포함된 두 개의 캐패시터(C2, C3) 중 하나의 캐패시터는 착좌 패드에서 발생하는 정전 용량 값과 동일한 정전 용량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나머지 하나의 캐패시터는 착좌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기준 센서(110)에 포함된 저항(R)과 캐패시터(C1) 역시, 착좌의 감도를 조절하기 위해 저항 값, 캐패시턴스 값이 조절되거나, 개수가 추가될 수 있다.한편,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를 이루는 회로 구성은 주파수를 전달 받기 위해, 후술하게 될 주파수 발생부(130)와 연결되며, 각각의 센서가 서로 다른 주파수 발생부(130a, 130b)와 연결됨으로써, 착좌 감지 장치(100)의 착좌와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기준센서(110)는 사용자의 착좌가 유효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 값을 얻는 센서인 바, 착좌 센서(120)와 동일한 환경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기준 센서(110)는 착좌 패드 연결을 제외하면, 착좌 센서(120)와 동일한 환경을 가지며, 그에 따라 기준 센서(110)는 주변의 온도, 습도, 전원과 같은 노이즈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게 된다.
아울러, 착좌 센서(120)는 착좌 패드의 정전 용량 변화 값을 입력 받는 센서인 바, 사용자가 착좌 패드를 착좌하는 순간 착좌 센서(120) 내 정전 용량이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착좌를 감지하기 위해 전달되었던 주파수 값이 변화하여, 이를 기초로 사용자가 착좌 패드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착좌 패드를 포함하는 착좌 센서(120)는 두 개의 캐패시터(C1, C2)로 이루어진 센서 회로를 포함하는 PCB, 센서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 및 착좌 감지 장치(100)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PCB의 경우, 사출 방식 또는 에폭시 몰딩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센서 회로는 전원(VDD), 접지(GND) 및 출력(OUTPUT) 단과 연결되는 와이어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는 패드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착좌 센서(120)의 구성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이며,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도 있다.
주파수 발생부(130)는 기준 센서(110) 및 착좌 센서(120)와 연결되어, 착좌를 감지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생시키고,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로 주파수를 동시에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의 주파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착좌 패드를 제외하고 동일한 환경에 배치된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는 주변의 온도, 습도, 전원과 같은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정전 용량의 변화 크기가 동일한 바, (a)와 같이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 간의 주파수 값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Fr은 기준 센서(110)의 주파수 값을 의미하고, Fs는 착좌 센서(120)의 주파수 값을 의미한다.
반면, 착좌 센서(120)와 연결된 착좌 패드에서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는 경우,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만이 증가하는 바, (b)와 같이 착좌 센서(120)의 주파수 값(Fs)만이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 간에 주파수 값 차이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주파수 발생부(130)는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로 동시에 주파수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노이즈에 대한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고, 이를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파수 발생부(130)가 발생시키는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주파수 발생부(130)가 생성한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SBF2, … SBFN)가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로 동일하게 전달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에 따라 종래와 본 발명에서 복수의 대역 주파수가 변화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 주파수 발생부(130)가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에 병렬로 연결된 장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순차적으로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에 전달되는 대역 주파수의 변화를 확인한다. 즉, 노이즈의 크기에 따라, 기준 센서(110)의 주파수 값(Fr)과 착좌 센서(120)의 주파수 값(Fs)이 그와 대응되는 크기로 변화하여 착좌를 감지하기 위한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없다.
그에 반해, 도 5b를 참조하면,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과 연결된 경우,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동시에 전달 받을 수 있으며,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주파수 값이 노이즈의 크기에 대응되며 변화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착좌 감지 장치(100)는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변화를 동일한 시간 대에서 계측함으로써(Dual-Point Frequency Sensing, DPFS), 기준 센서(110)의 주파수 값(Fr)과 착좌 센서(120)의 주파수 값(Fs)이 동일하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의 착좌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한편, 주파수 발생부(130)는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N은 2 이상의 자연수)(SBF1~SBFN, Sense Band Frequency)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대역 주파수가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1번째 내지 M번째 주파수(M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여, 주파수 발생부(130)는 총 (NxM)개의 주파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범위는 하나 이상의 대역 주파수 값과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지정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째 내지 M 번째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에 대해 ±30% 내에 속하는 주파수들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중심 주파수가 97Hz일 경우, 1번째 내지 N번째 주파수가 ±30% 내에 속하는 68Hz, 69Hz, ?? 99.9Hz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번째 내지 N번째 대역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는 소수(prime number) 값을 가질 수 있어, 각각의 대역 주파수는 해당 대역 주파수와 인접하게 발생한 노이즈 주파수 또는 해당 주파수의 정수 배에 해당하는 주파수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각 대역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가 소수인 바, 노이즈가 발생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더라도, (b)와 같이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로 전달된 복수의 대역 주파수 중 노이즈와 인접한 1~2개의 대역 주파수만이 노이즈에 따른 주파수 간섭을 받으며, 그에 따라 노이즈는 착좌를 감지하는 데 있어서, 변수로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멀티 계수부(140)는 주파수 발생부(130)가 발생시킨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기준 센서(110) 및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멀티 계수부(140)는 주파수를 이루는 하나의 신호(signal)를 하나의 카운트로 간주하고,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주파수 값을 이용하여 착좌를 판단하기 위한 계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멀티 계수부(140)는 주파수 값을 이용하여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정전 용량의 변화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감지되는 바, N번째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 센서(120)의 주파수 카운트 값은 'CFSN', 그에 따른 정전 용량 계수 값은 'TSN'으로, N번째 대역 주파수에서 기준 센서(110)의 주파수 카운트 값을 'CFRN' 으로 나타낼 수 있다. (α는 비례상수)
Figure 112019036562309-pat00001
착좌 판정부(150)는 멀티 계수부(140)가 계수한 값을 기초로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의 착좌를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 계수부(140)가 N번째 대역 주파수에서 계수한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계수 값(TSN)이 N번째 대역 주파수의 기 설정된 감도 값 (TTHN) 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착좌 판정부(150)는 N번째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이때의 기 설정된 감도 값(TTHN)은 설계 시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착좌 감지 장치(100)의 사용처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내용은 [수학식 2],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TN'은 N번째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 판정을 의미한다. 즉, TN이 1이면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가 이루어진 것으로, TN이 0이면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Figure 112019036562309-pat00002
Figure 112019036562309-pat00003
그에 따라, 착좌 판정부(150)는 복수의 대역 주파수 중 TN 값이 1로 유효한 대역 주파수의 개수를 확인하고, 확인한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 착좌 감지 장치(100)로의 사용자 착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는 [수학식 4]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TN은 TN=1 로 판정된 대역 주파수의 개수를 의미하고, n은 착좌 감지 장치(100) 설계 시 기 설정된 임의의 값, N은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개수, LT는 착좌 감지 장치(100)의 최종 착좌 판단 결과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Figure 112019036562309-pat00004
도 5a 내지 도 6f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착좌 판정부(150)가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를 판정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착좌 판정부(150)는 다양한 조건 및 결과 값을 통해 착좌 감지 장치(100)의 착좌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먼저, 도 6a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정상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좌 감지 장치(100)를 착좌한 경우로서,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가 감지되어, 정전 용량 계수 값(TS1, TS2, TS3, TS4)이 기 설정된 감도 값(TTHN) 보다 크므로, 착좌 판정부(150)는 착좌 감지 장치(100)에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LT=1, Touch on).
다음으로, 도 6b는 정상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좌 감지 장치(100)를 착좌하지 않은 경우로서,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정전 용량 계수 값(TS1, TS2, TS3, TS4)이 기 설정된 감도 값(TTHN) 보다 작으므로, 착좌 판정부(150)는 착좌 감지 장치(100)에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LT=0, Touch off).
다음으로, 도 6c 및 도 6d는 노이즈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좌 감지 장치(100)를 착좌하지 않은 경우로서, 노이즈에 의해 복수의 대역 주파수 중 1~2개의 대역 주파수에서 정전 용량 계수 값(TSN)이 기 설정된 감도 값(TTHN)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TN 이 1 이상으로 유효한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된 대역 주파수의 개수(예. n=3) 보다 작은 바, 착좌 판정부(150)는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LT=0, Touch off).
마지막으로, 도 6e 및 도 6f는 노이즈 상태에서 사용자가 착좌 감지 장치(100)를 착좌한 경우로서, 착좌 및 노이즈에 의해 복수의 대역 주파수 중 하나의 대역 주파수에서 정전 용량 계수 값(TSN)이 기 설정된 감도 값(TTHN)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TN 이 1 이상으로 유효한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된 대역 주파수의 개수(예. n=3)와 동일한 바,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LT=1, Touch on).
즉, 착좌 판정부(150)가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 착좌를 확인하고, 착좌가 유한 것으로 인정된 대역 주파수의 개수를 추가로 확인하 바, 사용자의 유효한 착좌와 함께 노이즈에 대한 변별력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 계수부(140)가 주파수를 군집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착좌 판정부(150)는 보다 정확한 착좌 감지를 위해 다양한 대역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착좌 판정부(150)가 정전 용량 계수 값 및 기준 계수 값을 이용하여 착좌를 판단하기 전에, 멀티 계수부(140)가 주파수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한 주파수들을 새롭게 군집할 수 있다.
즉, (a)는 멀티 계수부(140)가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 주파수들을 주파수 값에 따라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SBF2, … SBFN)로 군집한 경우라면, (b)는 멀티 계수부(140)가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SBF2, … SBFN)에서 1번째 내지 N번째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주파수들을 수집하고, 수집한 주파수들을 제1 합성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합성 대역 주파수(MSBF1, … MSBFN)로 군집한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멀티 계수부(140)가 대역 주파수를 연속된 주파수 값이 아닌, 일정한 규칙을 가지지 않은 주파수 값들을 하나의 대역으로 설정하고, 착좌 판정부(150)가 이를 기초로 착좌를 판단하는 바, 노이즈의 영향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착좌 판단을 위한 정전 용량 계수 값의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착좌 감지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착좌 감지가 유효함을 판단하기 위해, 주파수 발생부(130), 멀티 계수부(140) 및 착좌 판정부(150)의 기능을 순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6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e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형태의 제어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전원 공급부(170)는 착좌 감지 장치(100)가 사용자의 착좌를 감지하는 데에 있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170)는 3~5.5V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출력부(180)는 착좌 판정부(150)의 착좌 판정에 따라 착좌 감지 장치(100)에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좌 감지 장치(100)가 변좌에 연결되어 설치된 경우, 착좌 판정부(150)의 착좌 감지에 따라 출력부(180)는 유, 무선으로 연결된 LED를 구동시키거나, 변좌의 전열선을 가열하는 등의 기 설정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좌 감지 장치(100)는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로 동시에 대역 주파수를 전달하고, 주파수를 전달한 상태에서 정전 용량 변화를 관측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착좌를 정확하게 감별해 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역 주파수의 중심 주파수 값이 소수로 구성되는 바, 노이즈 외에 정수 배에 해당하는 배수 주파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착좌 감정을 위한 주파수 값을 정확하게 계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100)를 이용한 착좌 감지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S130 및 S140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서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단계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어느 한 단계가 다른 단계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착좌 감지 장치(100)는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내지 SBFN)를 순차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착좌 센서(120) 및 기준 센서(110)로 동시에 전달한다(S110). 이 때, 착좌 감지 장치(100)가 생성하는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내지 SBFN)에서 N은 2이상의 자연수, 각각의 대역 주파수는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 1번째 내지 M번째 주파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 주파수가 소수(prime number) 값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대역 주파수가 정수배가 되는 배수 주파수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0 단계 이후, 착좌 감지 장치(100)는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내지 SBFN)에서 착좌 센서(120) 및 기준 센서(110)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S120),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한다(S130).
보다 구체적으로, 도 9를 참조하면, 착좌 감지 장치(100)는 주파수를 이루는 하나의 신호(signal)를 하나의 카운트로 간주함으로써,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기준 센서(110)와 착좌 센서(120)에서 카운트된 주파수를 통해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내지 SBFN)에서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을 산출한다(S132).
S130 단계 이후, 착좌 감지 장치(100)는 계수한 주파수 값을 기초로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내지 SBFN) 각각에서의 착좌를 개별적으로 판단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착좌 센서(120)는 전원 노이즈와 같은 외부 노이즈에 의해서는 기준 센서(110)와 동일한 정전 용량 변화 값을 가지지만,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되는 경우, 기준 센서(110) 보다 큰 정전 용량 변화 값을 가진다. 그에 따라, 착좌 감지 장치(100)는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기 설정된 감도 값보다 큰 값을 가지는 지 판단한다(S141).
S141 단계에서의 판단에 따라,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기 설정된 감도 값보다 큰 경우, 착좌 감지 장치(100)는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고(S142, YES), 복수의 대역 주파수(SBF1 내지 SBFN) 중 몇 개의 대역 주파수가 유효한 착좌를 감지했는지 판단한다.
반면, S141 단계에서의 판단에 따라, 착좌 센서(120)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기 설정된 감도 값보다 작은 경우, 착좌 감지 장치(100)는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 감지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S144, NO).
S142 단계 이후, 착좌 감지 장치(100)는 유효한 대역 주파수의 개수를 확인하고, 유효 개수가 기 설정된 대역 주파수 개수보다 많거나 동일한 지 판단한다(S143). 즉, 착좌 감지 장치(100)는 N개의 대역 주파수 중 사용자의 착좌 감지를 확정 짓는 대역 주파수 개수를 기 설정해둘 수 있다.
S143 단계에서의 판단 결과, 유효한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한 대역 주파수 개수보다 많거나 동일한 경우, 착좌 감지 장치(100)는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착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며(S145, YES), 기 설정한 대역 주파수 개수보다 적은 경우,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착좌가 무효인 것으로 판단한다(S146, NO).
지금까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좌 감지 장치(100)의 착좌 감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착좌 감지 장치(100)는 보다 정확한 정전 용량의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 기준 센서(110) 및 착좌 센서(120)에 동일한 주파수를 전달하고, 노이즈 또는 착좌에 따른 정전 용량의 변화를 관측하는 과정에서 기 설정된 기준 값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상황에 부합하는 기준 값이 새롭게 설정되어 착좌를 판정하기 위한 정확도가 상승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온도, 습도에 따라 노이즈가 발생하더라도 다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착좌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의 착좌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 광학적 판독 매체 등 모든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시지의 데이터 포맷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착좌 감지 장치
110: 기준 센서
120: 착좌 센서
130: 주파수 발생부
140: 멀티 계수부
150: 착좌 판정부
160: 제어부
170: 전원 공급부
180: 출력부

Claims (16)

  1. 기준 센서;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며, 착좌에 따라 정전 용량이 가변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어,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상기 주파수 발생부가 발생시킨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하는 멀티 계수부; 및
    상기 멀티 계수부가 계수한 계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의 착좌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착좌 판정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는,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는 각각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 1번째 내지M 번째 주파수(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1번째 내지 N번째 대역 주파수는,
    상기 중심 주파수 값이 소수(prime number) 값을 가지는, 착좌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로 동시에 전달하는,
    착좌 감지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계수부는,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1번째 내지 M번째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주파수들을 수집하고, 수집한 주파수들을 제1 합성 대역 주파수 내지 제M 합성 대역 주파수로 군집(群集)하는, 착좌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 계수부는,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을 산출하는,
    착좌 감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판정부는,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기 설정된 감도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며,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 상기 착좌 감지 장치의 착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착좌 감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는,
    상기 착좌 감지 장치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정전 용량의 크기가 동일하게 변화하는, 착좌 감지 장치.
  9. 기준 센서,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며, 착좌에 따라 정전 용량이 가변되는 착좌 센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와 연결되어,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주파수 발생부 및 상기 주파수 발생부와 연결되어 착좌를 판단하는 멀티 계수부를 포함하는 착좌 감지 장치의 착좌 감지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한 각각의 정전 용량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계수하는 단계; 및
    상기 계수한 주파수 값을 기초로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의 착좌 감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는,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N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대역 주파수는 각각의 중심 주파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가변된 1번째 내지M 번째 주파수(M은 2 이상의 자연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1번째 내지 N번째 대역 주파수는 상기 중심 주파수 값이 소수(prime number) 값을 가지는, 착좌 감지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에서 1번째 내지 N번째 주파수 각각에 해당하는 주파수들을 수집하고, 수집한 주파수들을 제1 합성 대역 주파수 내지 제N 합성대역 주파수로 군집(群集)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군집한 제1 서브 대역 주파수 내지 제M 서브 대역 주파수에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의 정전 용량 변화를 감지하는, 착좌 감지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를 계수하는 단계는,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에서 감지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카운트한 후,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 각각에서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좌 감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감지를 개별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과 기 설정된 감도 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 상기 착좌 센서의 정전 용량 계수 값이 상기 정전 용량 기준 계수 값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해당 대역 주파수에서의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좌 감지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착좌 감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는 대역 주파수의 개수가 기 설정된 개수 이상일 경우, 상기 착좌 감지 장치의 착좌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착좌 감지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 센서 및 상기 기준 센서는,
    상기 복수의 대역 주파수를 동시에 전달 받으며,
    상기 착좌 감지 장치에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정전 용량의 크기가 동일하게 변화하는,
    착좌 감지 방법.
KR1020190041784A 2019-04-10 2019-04-10 착좌 감지 장치 KR102193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84A KR102193785B1 (ko) 2019-04-10 2019-04-10 착좌 감지 장치
CN201910355528.3A CN111813276A (zh) 2019-04-10 2019-04-29 就坐检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784A KR102193785B1 (ko) 2019-04-10 2019-04-10 착좌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517A KR20200119517A (ko) 2020-10-20
KR102193785B1 true KR102193785B1 (ko) 2020-12-21

Family

ID=7284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784A KR102193785B1 (ko) 2019-04-10 2019-04-10 착좌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3785B1 (ko)
CN (1) CN1118132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70590A1 (zh) * 2021-02-10 2022-08-18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电容基准的方法、电容基准的确定装置和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97B1 (ko) * 2009-04-01 2010-04-22 그린칩 주식회사 터치센서의 터치 판정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358B1 (ko) 2009-03-03 2012-04-16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노이즈 제거가 가능한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031996B1 (ko) * 2009-03-03 2011-05-02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선형으로 변화되는 주파수를 이용한 터치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153334B1 (ko) * 2009-09-17 2012-06-05 그린칩 주식회사 터치 검출장치 및 방법
WO2015087541A1 (ja) * 2013-12-13 2015-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便座装置、および便器装置
CN105939672B (zh) * 2014-12-22 2018-10-23 奥林巴斯株式会社 超声波观测装置以及超声波观测装置的工作方法
CN108073329B (zh) * 2018-01-31 2021-04-27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装置及其驱动方法和终端
CN109191803B (zh) * 2018-07-20 2021-04-23 深圳中云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坐姿检测方法和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997B1 (ko) * 2009-04-01 2010-04-22 그린칩 주식회사 터치센서의 터치 판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517A (ko) 2020-10-20
CN111813276A (zh)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5038B2 (en) Detection of a conductive object during an initialization process of a touch-sensing device
USRE48614E1 (en) Dynamic adjustment of received signal threshold in an active stylus
CN107111759B (zh) 用于检测手指是否出现并感测指纹图案的方法及装置
JP6732105B2 (ja) 容量検出モジュール、方法及び電子機器
CN105302383B (zh) 一种电容触摸传感器抗干扰的方法和设备
US8654098B2 (en) Capacitive touch screen controller implementing a sensing method for improved noise immunity
EP2546730A2 (en) Combined force and proximity sensing
US10338741B2 (en) Failure detection device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for input interface device
JP2015232542A (ja) グリップセンサ
US20130106713A1 (en) Active Stylus with Filter Having a Threshold
KR102193785B1 (ko) 착좌 감지 장치
US10761638B2 (en) Detection of piezoelectric sensor elements
US11075634B2 (en) Switching operation sensing apparatus with touch input member identification
EP1968026A1 (en) Linear fire-detector alarming system based on data fusion and the method
US11233508B2 (en) Capacitive touch sensor and method
JP4710573B2 (ja) 静電容量型デジタル式タッチパネル
CN107943642B (zh) 一种电容式触摸感应装置的性能测试方法
US201001064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meal activity using pressure sensor
CN109714037A (zh) 压力按键传感器、按压检测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3961797U (zh) 一种基于电阻应变的电子烟咪头
CN112752179B (zh) 一种耳机控制方法、手柄模块及耳机
US107826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work-frequency reducing method thereof
EP2722988B1 (en) A method of the touch detection for capacitive touch sensors
TWI740701B (zh) 觸控事件的判斷方法
US10983642B2 (en) Using driven shield and touch elements lock algorithm for achieving liquid tolerant capacitive touch solu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