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31B1 - Lte 및 외부 wifi 대역폭 어그리게이션 - Google Patents

Lte 및 외부 wifi 대역폭 어그리게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31B1
KR102193631B1 KR1020167001282A KR20167001282A KR102193631B1 KR 102193631 B1 KR102193631 B1 KR 102193631B1 KR 1020167001282 A KR1020167001282 A KR 1020167001282A KR 20167001282 A KR20167001282 A KR 20167001282A KR 102193631 B1 KR102193631 B1 KR 102193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tocell
mobile device
transmission mode
data packet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1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1271A (ko
Inventor
용상 리
사미르 살립 솔리만
소움야 다스
봉용 송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1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1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91Access to open networks; Ingress point selection, e.g. ISP selection
    • H04L12/5692Selection among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12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 H04L47/125Avoiding congestion; Recovering from congestion by balancing the load, e.g. traffic engine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41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by acting on aggregated flow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04W40/246Connectivity information disco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들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공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무선 라우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1 송신 모드는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송신 모드는 무선 라우터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3 송신 모드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라우터에 라우팅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LTE 및 외부 WIFI 대역폭 어그리게이션{LTE AND EXTERNAL WIFI BANDWIDTH AGGREGATION}
[0001] 본 출원은, "LTE AND EXTERNAL WIFI BANDWIDTH AGGREGATION"란 명칭으로 2013년 6월 18일자에 출원되었으며,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이로써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히 통합되는 미국 특허 출원 제 13/920,832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한다.
[0002] LTE(Long Term Evolution) 펨토셀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기능하도록 가정 또는 직장에 설치될 수 있다. 펨토셀은 통상적으로 가정 또는 직장에서 광대역 연결을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제공자의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예컨대, 펨토셀은, 이더넷 연결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DSL(Digital Subscriber Line) 라우터 또는 케이블 모뎀에 연결될 수 있다.
[0003] 펨토셀은, UE(User Equipment)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컴퓨터, 또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타입들의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프라미어리 인터페이스(primary interface)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LTE 펨토셀들은 매크로셀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웃 펨토셀들로부터의 심각한 그리고 조정되지 않은 간섭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라디오 조건들은 시간 및 공간에 걸쳐 변할 수 있다.
[0004]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가정 또는 직장에서 WiFi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WiFi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단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인터페이스는 WiFi 액세스 포인트들 및/또는 WiF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다른 디바이스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05]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 방법은: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06] 이러한 방법의 구현들은 하기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wireless router)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무선 트랜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loading)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무선 트랜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의 백홀(backhaul)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는(encapsulating)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bridging)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만약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방법은,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LTE 사용자 플레인(plane)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방법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policy) 정보를 포함한다.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07]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는: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08]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하기의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의 백홀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며,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은 만약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장치는,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장치는,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장치는,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0009]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10]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구현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하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의 백홀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며, 컴퓨터로 하여금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만약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고, 그리고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고,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고,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11]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모듈들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를 위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할지,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그리고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0012]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하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의 백홀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만약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면, 펨토셀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그리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도록 구성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0013] 본 개시내용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14] 이러한 방법의 구현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하의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15] 본 개시내용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및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16]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이하의 특징들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17] 본 개시내용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예시적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게 하고,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게 하고 ―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18]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구현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패킷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패킷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19] 본 개시내용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모듈들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하고,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며 ―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된다.
[0020]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하기의 특징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패킷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데이터 패킷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21]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 선택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에 전송할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22] 이러한 방법의 구현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펨토셀에 전송하는 단계;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에 송신하는 단계;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은, 펨토셀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0023]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선택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에 전송할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24]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다음의 특징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는,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는,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는,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는, 펨토셀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0025] 본 개시내용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예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 선택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에 전송할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26]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구현들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트랜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트랜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컴퓨터로 하여금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컴퓨터로 하여금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컴퓨터로 하여금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펨토셀에 전송하고,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에 송신하고,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며, 그리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0027] 본 개시내용에 따라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모듈들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 선택하는 것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에 전송할지,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0028]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무선 트랜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무선 트랜시버와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펨토셀에 전송하고;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에 송신하고,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며, 그리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0029]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은 펨토셀에서,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펨토셀에서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는 단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세트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0030] 이러한 방법의 구현들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법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 방법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에 연결되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31]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펨토셀에서,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수단,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세트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0032]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다음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장치는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에 연결되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33]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예시적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에서,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고;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고, 그리고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세트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한다.
[0034] 이러한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의 구현들은 하기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로 하여금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한다.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에 연결되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35] 본 개시내용에 따라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는,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메모리에 연결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모듈들을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에서,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고;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며; 그리고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세트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0036] 이러한 장치의 구현들은 하기 특징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무선 트랜시버는 펨토셀에 연결되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이다.
[0037] 도 1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이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블록도이다.
[0038] 도 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에 따른 다운스트림 어그리게이션의 예의 블록도이다.
[0039] 도 3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에 따른 업스트림 어그리게이션의 예의 블록도이다.
[0040]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스택들의 도면들이다.
[0041] 도 5는, 선행 도면들에서 예시된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0042]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모리의 기능 모듈들을 예시하는, 도 5에 예시된 모바일 디바이스의 기능 블록도이다.
[0043] 도 7은, 선행 도면들에서 예시된 펨토셀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펨토셀의 블록도이다.
[0044] 도 8은, 모뎀/라우터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펨토셀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데이터 프레임 포맷들의 블록도이다.
[0045] 도 9는, 캡슐화를 이용하여 모뎀/라우터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펨토셀을 통해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 프레임 포맷들의 블록도이다.
[0046] 도 10은, 펨토셀에서 다운스트림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47] 도 11은,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48] 도 1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49] 도 13은, 데이터 패킷들이 WiFi 및 LTE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되는 경우 펨토셀로부터 다운링크 상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50] 도 14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업스트림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51] 도 15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서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52] 도 16은, 업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53] 도 17은, 펨토셀과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에서 WiFi 및 LTE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들 상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에서 수신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54] 도 18은, 모뎀/라우터에서 수신되는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0055]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메모리의 기능 모듈들을 예시하는, 도 7에 예시된 펨토셀의 기능 블록도이다.
[0056] 도 20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개시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0057] 도 21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개시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0058] 도 22는,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펨토셀-개시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0059] 도 23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펨토셀-개시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0060]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은, LTE 펨토셀의 대역폭을 외부 WiFi 라우터와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들은, 종래의 LTE 펨토셀 시스템의 결함들을 극복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본원에서 예시되는 예들에서, WiFi 라우터는, 광대역 인터넷 연결부에 연결되는 모뎀, 예컨대, DSL 모뎀 또는 케이블 모뎀과 통합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모뎀 및 WiFi 라우터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부와 통신하는 별개의 엔티티들일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 둘 모두에 적용될 수 있고, LTE 네트워크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컴포넌트들, 예컨대,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SGW(Serving Gateway), HSS(Home Subscriber Server), PGW(Packet Data Network Gateway)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 아키텍쳐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투명하다. 또한, 본원에서 논의되는 예시적인 구현들은 LTE 구현들에 관한 것이지만,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다른 무선 광역 네트워크(WWAN) 시스템들과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네트워크 환경
[0061] 도 1은, 본원에서 논의되는 대역폭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할 수 있는 예시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쳐(100)의 블록도이다. 네트워크 아키텍쳐(10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 모뎀/라우터(130), 펨토셀(115), 네트워크(110), 원격 서버(125) 및 보안 게이트웨이(15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원격 서버(125)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그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서버(125)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무선 네트워크 통신 제공자의 네트워크의 엘리먼트일 수 있거나, 또는 제 3의 컨텐츠 제공자, 예컨대, 웹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액세스되거나 그에 다운로드될 수 있는 다른 컨텐츠의 제공자일 수 있다.
[0062]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사용자 장비(UE), 모바일 스테이션, 단말, 액세스 단말, 가입자 유닛, 스테이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랩탑 컴퓨터, 또는 LTE 및 WiFi 무선 통신 프로토콜 둘 모두를 이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다른 디바이스일 수 있다.
[0063]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에 대한 백홀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광대역 연결을 제공하는 네트워크(110)에 대한 광대역 연결을 가진다. 네트워크(110)는 인터넷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네트워크들의 결합일 수 있다. 예컨대, 모뎀/라우터(130)는 특정 구현에 사용되는 광대역 서비스의 타입에 따라, DSL 모뎀/라우터 또는 케이블 모뎀/라우터일 수 있다.
[0064]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에 대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광대역 연결을 통해 네트워크(110)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이 네트워크(110)를 통해 서버(125), 보안 게이트웨이(150), 및/또는 다른 네트워크화된 엔티티들과 통신하게 하는 유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논의된 예시적 구현들에서, 유선 인터페이스는 모뎀/라우터(130)와 펨토셀(115) 사이에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다른 구현들에서, 다른 타입들의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들이 사용될 수 있다.
[0065] 모뎀/라우터(130)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WiFi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로서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액세스 포인트"는 일반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를 지칭하기 위하여 본원에 사용되고, 이의 하나의 예는 보통 WiFi로서 지칭되는 표준들의 IEEE 802.11 패밀리를 포함하는 IEEE 802 시리즈 준수 네트워크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의 액세스 포인트이다.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펨토셀(115)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대한 액세스를 그 펨토셀(115)에 제공한다.
[0066] 본원에 예시된 예들에서, WiFi 라우터는 DSL 모뎀 또는 케이블 모뎀 같은 광대역 인터넷 연결에 연결된 모뎀과 통합된다. 그러나, 다른 구현들에서, 모뎀 및 WiFi 라우터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과 통신하는 별개의 엔티티들일 수 있다. 게다가,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무선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펨토셀(115)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를 제공하는 다른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이 사용될 수 있다.
[0067]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LTE-가능 무선 디바이스들에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은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제공자와 연관될 수 있고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모바일 통신 네트워크 제공자의 네트워크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커버리지 영역은 채널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심각하고 통제되지 않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매크로셀 기지국들 및/또는 다른 펨토셀들(도시되지 않음)의 커버리지 영역과 오버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들의 품질은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통신하기 위하여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통신들의 품질을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68]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어그리케이션 층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은 IP 어드레스들 및 이들의 개별 디바이스들과 연관된 포트 번호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펨토셀(115)에 의해 제어됨), 및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포함하는 정보를 서로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층은 인터넷 프로토콜(IP) 층의 상단에 구현된다. 정책 정보는 본원에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의 다양한 양상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책 정보는 LTE 사용자 평면 트래픽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WiFi 연결들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하고 LTE 제어 평면 트래픽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LTE 연결을 통해 라우팅될 수 있는 것을 명시할 수 있다. 정책 정보는 또한, 어그리게이션이 사용될 때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은, 백홀 스루풋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아래에 속하고, LTE 연결 및/또는 WiFi 연결들의 링크 조건들 품질이 하락하면, 및/또는 LTE 연결 및/또는 WiFi 연결들의 부하가 미리 결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면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0069] 보안 게이트웨이(150)는 펨토셀(115)과 보안 게이트웨이(150) 사이의 보안 통신 링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안 게이트웨이(150)는, 데이터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중 네트워크들(110)을 횡단할 수 있더라도, 데이터가 모바일 제공자의 네트워크 및 펨토셀(115) 사이에서 안전하게 교환되게 하는 보안 백홀 솔루션을 제공한다. 펨토셀(115) 및 보안 게이트웨이(150)는 네트워크(110)를 가로질러 송신될 데이터를 암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안 게이트웨이(150)는 서버(125) 같은 네트워크(110) 다른 곳에서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정된 수신측들(recipient)들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의 데이터를 하나 또는 그 초과의 공중 또는 사설 네트워크 연결들을 통해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70] 도 1에 예시된 예시적 네트워크 구성은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이 구현될 수 있는 네트워크의 하나의 가능한 구성의 단지 예이다. 다른 네트워크 구성들은 도 1에 예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컴포넌트들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구성으로 상호연결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하드웨어는 설명된 예시적 구현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 하드웨어
[0071] 도 5는 이전 도면들에 예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20)를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버스(601)에 의해 서로 연결된, 범용 프로세서(510),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520), LTE 인터페이스(230), WiFi 인터페이스(235), 및 비일시적 메모리(56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LTE 인터페이스(230)는 무선 수신기, 송신기, 트랜시버,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게 하는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인터페이스(230)는 라인(532)에 의해, 펨토셀(115) 및/또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에/으로부터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534)에 연결된다. WiFi 인터페이스(235)는 무선 수신기, 송신기, 트랜시버,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WiFi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게 하는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인터페이스(235)는 라인(572)에 의해, 모뎀 /라우터(130) 및/또는 WiFi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로/으로부터 통신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574)에 연결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도 5에 예시된 트랜시버에 부가하여 또는 대신하여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들을 수신 및/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예시된 예시적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LTE 인터페이스(230) 및 WiFi 인터페이스(235)를 포함하지만,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다른 구현들은 다른 타입들의 무선 통신들을 지원하는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원에 예시된 예들은 LTE 구현들로 제한되지 않고,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다른 WWAN 시스템들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72] 프로세서(510)는 Intel® Corporation 또는 AMD®, 마이크로제어기, 주문형 집적 회로(ASIC) 등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 같은 지능형 디바이스,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일 수 있다. 메모리(56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판독 전용 메모리(ROM)을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이다. 메모리(560)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로세서(51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가능, 프로세서-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한다(소프트웨어가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설명이 나타낼 수 있지만).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운로드되고, 디스크로부터 업로드되는 등등에 의해 메모리(560)에 로드될 수 있다. 게다가, 소프트웨어는 직접 실행 가능하지 않을 수 있는데, 예컨대 실행 전에 컴파일링을 요구할 수 있다.
[0073] 메모리(560) 내 소프트웨어는 본원에 설명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동작들을 프로세서(510)가 수행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74]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메모리의 기능 모듈들을 예시하는 도 5에 예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기능 블록도이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다른 기능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부가적인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도 2-도 4c, 도 10-도 18, 및 도 20-도 22에 예시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모바일 디바이스들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0075]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예들에서 논의된 어그리게이션 층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다운링크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표시하는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또한 업링크데이터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펨토셀(115)에게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또한, LTE 인터페이스(230) 및 WiFi 트랜시버(570)를 통해 펨토셀(115)로부터 다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펨토셀(115)에 의해 LTE 및 WiFi 연결들을 통해 전송된 패킷들에 포함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성하도록 이들 데이터 스트림들을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으로 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또한, 데이터 스트림을 WiFi 트랜시버(570) 및 LTE 인터페이스(230)를 사용하여 송신될 수 있는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또한 펨토셀(115)의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층과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과,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235) 및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MAC 어드레스들 및 IP 어드레스 같은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또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으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76]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으로서 역할을 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 및/또는 펨토 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이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에는 펨토셀(115)로부터 그리고 업링크 송신들의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될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077]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특정 타입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특정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타입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은 전송기와 수신기 사이의 WiFi 및 LTE 연결들 모두 또는 다른 타입의 연결을 사용하여 전송될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20) 또는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또한,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이 LT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전송되고,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이 다운링크 송신들을 위해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및/또는 데이터 스트림의 제 1 부분이 LT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데이터 스트림의 제 2 부분이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하이브리드 모드를 사용하여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가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078]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특정 타입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특정 송신 모드가 사용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음성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스트림들이 분할되지 않아야 하고, 대신에 WiFi 인터페이스 또는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되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079]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상이한 모바일 디바이스들(120)에 대한 상이한 어그리게이션 정책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제 1 모바일 디바이스들(120)이 본원에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과 연관된 송신 모드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반면에 제 2 모바일 디바이스들(120)이 본원에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의 서브세트만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들 각각과 연관된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들(120)과 연관된 가입자 계획과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0080]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송신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에 대해 어떠한 송신 모드를 선택할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임계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하이브리드 WiFi/LTE 기술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기 전에, 전송될 데이터의 임계량을 정의할 수 있다. 상이한 임계값들이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과 연관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임계값들이 상이한 모바일 디바이스들(120) 및/또는 펨토셀들(115)과 연관될 수 있다.
[0081]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LTE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WiFi 연결들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또한, LTE 제어 플레인 트래픽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0082]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또한, 펨토셀(115)에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백홀이 데이터 스루풋을 제한하면, 스루풋이 개선될 때까지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이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백홀에 의해 제공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속도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백홀에 의해 제공되는 다운링크 속도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저하하면,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스위칭 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백홀에 의해 제공되는 다운링크 속도들이 회복하면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을 다시 스위칭 온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사용하여 정지할 때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사용하여 재개할 수 있는 때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통지하기 위해 어그리게이션 구성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3]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WiFi 및 LTE 경로들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메모리(560)에서 디-지터 버퍼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끊김없는 어그리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LTE 경로와 WiFi 경로 사이의 스큐를 관리하기 위해 버퍼를 사용할 수 있다. 버퍼링은 LTE와 WiFi 경로들 사이의 레이턴시를 보상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662)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손실 및/또는 지연된 패킷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도달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LTE 인터페이스(230) 및/또는 WiFi 인터페이스(235)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4] 도 7은 이전의 도면들에 예시된 펨토셀(115)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펨토셀의 블록도이다. 펨토셀(115)은 버스(701)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범용 프로세서(710), DSP(digital signal processor)(720), LTE 무선 트랜시버(730), 이더넷 인터페이스(210) 및 비-일시적인 메모리(76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LTE 인터페이스(215)는, 펨토셀(115)이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 수신기, 송신기, 트랜시버 및/또는 다른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E 인터페이스(215)는 LTE 무선 통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다른 무선 디바이스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로부터 통신들을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734)에 라인(732)에 의해 연결된다. 이더넷 인터페이스(570)는 유선 데이터 연결을 모뎀/라우터(130)에 제공한다. 본원에 예시된 예가 펨토셀(115)과 모뎀/라우터(115) 사이에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만, 펨토셀(115)과 모뎀/라우터(130) 사이의 통신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유선 및/또는 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들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펨토셀(115)은 도 7에 예시된 트랜시버에 부가하여 또는 그 대신에 다른 무선 프로토콜들을 사용하여 통신들을 수신 및/또는 전송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트랜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예시적인 펨토셀(115)이 LTE 인터페이스(215) 및 이더넷 인터페이스(750)를 포함하지만, 펨토셀의 다른 구현들은 다른 타입들의 무선 통신들 및/또는 유선 통신들을 지원하는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예시된 예들이 LTE 구현들로 제한되지 않고, 펨토셀(115)은 다른 WWAN 시스템들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85] 프로세서(710)는 지능형 디바이스, 예컨대, 인텔® 코포레이션 또는 AMD®에 의해 제조된 것들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 CPU(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일 수 있다. 메모리(760)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및 판독-전용 메모리(ROM)를 포함하는 저장 디바이스이다. 메모리(760)는 (소프트웨어가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디스크립션이 판독할 수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세서(71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판독 가능, 프로세서-실행 가능 소프트웨어 코드를 저장한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다운로딩되고, 디스크로부터 업로딩되거나 기타 등등에 의해 메모리(760) 상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예컨대, 실행 전에 컴파일링을 요구하여 직접적으로 실행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0086] 메모리(760) 내의 소프트웨어는, 본원에 설명된 다양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는 것을 비롯하여, 프로세서(710)가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0087] 도 19는, 도 7에 도시된 메모리의 기능 모듈들을 예시하는 도 7에 예시된 펨토셀의 기능 블록도이다. 예컨대, 펨토셀(115)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을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은 또한 다른 기능을 펨토셀(115)에 제공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부가적인 기능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19에 예시된 펨토셀(115)은 도 2-4c, 10-18, 및 20-22에 예시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펨토셀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0088]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예들에서 논의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업링크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또한 다운링크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시작 및/또는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89]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또한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그리고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뎀/라우터(130)로부터 펨토셀(115)로 라우팅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다수의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전송된 패킷들을 포함한 오리지널 데이터를 재생성하기 위해 그러한 데이터 스트림들을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으로 어그리게이팅하고,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을 예정된 수신측으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정된 수신측은 서버(125)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같은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일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전송될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뎀/라우터(130) ― 패킷들을 모뎀/라우터의 WiF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전송할 수 있음 ― 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라우팅하고,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LTE 인터페이스(215)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90]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또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어떠한 송신 모드들이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이 사용될 수 있는 특정 조건들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이 사용될 수 없는 특정 조건들을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펨토셀(115)에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백홀이 데이터 스루풋을 제한하면, 스루풋이 개선될 때까지,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이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사용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백홀에 의해 제공되는 업링크 및/또는 다운링크 속도들을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백홀에 의해 제공되는 다운링크 속도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미만으로 저하하면,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을 스위칭 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백홀에 의해 제공되는 다운링크 속도들이 회복하면 다운링크 어그리게이션을 다시 스위칭 온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지시하기 위한 어그리게이션 구성 메시지를 펨토셀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LTE 사용자 플레인 트래픽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WiFi 연결들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또한, LTE 제어 플레인 트래픽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라우팅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0091] 펨토 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은 또한 백홀에 의해 제공된 업링크 속도들을 모니터링하고, 업링크 속도들이 미리 결정된 임계치 아래로 떨어지는 경우에, 업링크 어그리게이션을 턴 오프하도록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지시하도록 하는 어그리게이션 구성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또한 백홀에 의해 제공된 업링크 속도들을 모니터링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이 업링크 송신들을 위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의 이용을 재개하도록 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92] 펨토셀(115)의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간의 WiFi 및 LTE 경로들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또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펨토셀(115)의 메모리(760)에서 디-지터 버퍼를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끊김 없는 어그리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간의 LTE 경로와 WiFi 경로 간에 스큐(skew)를 관리하도록 버퍼를 이용할 수 있다. 버퍼링은 LTE와 WiFi 경로들 간에 레이턴시를 보상할 수 있다.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1962)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손실된 및/또는 지연된 패킷들이 펨토셀(115)에 도달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모뎀/라우터(130) 간의 WiFi 링크를 통해) 이더넷 인터페이스(215) 및/또는 LTE 인터페이스(2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93] 도 4a, 4b 및 도 4c는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스택들의 다이어그램들이다. 도 4a는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 간에 송신될 때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는 경로를 예시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블록도이다. 모뎀/라우터(130)는 LTE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간의 데이터의 전달에 관여되지 않는다. 도 4b 및 도 4c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간에 송신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부분이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라우팅되는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의 2개의 상이한 가능한 구현들을 예시한다.
[0094] 도 4b는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데이터의 적어도 부분을 라우팅함으로써 개시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기술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데이터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간에서 취할 수 있는 경로를 예시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어그리게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 어그리게이션 층(225) 및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LTE RLC(Radio Link Control) 서브 층에서 수행된다. RLC 층 어그리게이션에서, IP 층을 포함하지 않는 WiFi MAC 층 어드레싱이 이용될 수 있다.
[0095]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235) 및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펨토셀(115)에 송신된 업링크 데이터 스트림들 상에서 어그리게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의 RLC 층에서 구현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펨토셀(115)로 송신될 데이터 스트림을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모뎀/라우터(130)에 송신되는 제 1 부분 및 LTE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여 펨토셀에 직접 송신되는 제 2 부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부분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 인터페이스(235)에 의해 구현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아래로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 인터페이스(215)에 의해 구현된 펨토셀(115)의 LTE 프로토콜 스택에서 역으로 위로 도 4a에서 예시된 경로를 따를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이용하여 송신된 데이터의 부분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에 의해 수신되고, 모뎀/라우터(130)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펨토셀(115)로 라우팅한다. 펨토셀(115)은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펨토셀(115)의 LTE 프로토콜 스택의 RLC 층에서 동작하는 어그리게이션 층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과 연관되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의 LTE 연결을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로 WiFi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팅한다.
[0096] 유사하게,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15)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되는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들 상에서 어그리게이션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펨토셀(115)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될 데이터 스트림을, 모뎀/라우터(130)에 라우팅되고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송신될 제 1 부분 및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이용하여 펨토셀에 직접 송신될 제 2 부분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데이터의 부분은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에 의해 구현된 펨토셀(115)의 LTE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아래로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구현된 LTE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역으로 위로 도 4a에서 예시된 경로를 따를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라우팅되는 송신된 데이터의 부분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프로토콜 스택의 RLC 층에서 동작하는 어그리게이션 층은 동일한 데이터 스트림과 연관되는 LTE 연결을 통해 수신된 임의의 데이터로 WiFi 연결을 통해 수신된 데이터 데이터를 어그리게이팅한다.
[0097] 도 4c는 개시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이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데이터의 적어도 부분을 라우팅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120)과 펨토셀(115) 간에 데이터를 송신하는데 이용되는 경우 데이터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른 경로를 예시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블록도이다. 도 4c에서 예시된 예에서, 어그리게이션은 도 4b에서 예시된 예의 RLC 서브층에서 보단,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 및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IP(Internet Protocol) 서브 층에서 수행된다. IP 층 어그리게이션에서, IP 캡슐화(IP 오버 IP) 또는 WiFi MAC 층 어드레싱(IP 층과 관계 없음)은 여기서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현들
[0098] 다음의 예들은 LTE 및 WiFi 대역폭의 어그리게이션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한다. 이들 예시적인 구현들은 도 1에서 예시된 펨토셀(115),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모뎀/라우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운스트림 대역폭 어그리게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스트림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고, 업스트림 대역폭 어그리게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스트림들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들은 다수의 데이터 트랜잭션들을 포함할 수 있고, 1개 초과의 목적지로 예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운스트림 컨텐츠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컨텐츠, 이메일, 웹 페이지 컨텐츠, 애플리케이션 컨텐츠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되는 다른 정보의 다수의 스트림들을 포함할 수 있다.
[0099] 도 2는 도 1에서 예시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다운링크 대역폭 어그리게이션의 예의 블록도이다. 다운스트림 어그리게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예정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들이 모뎀/라우터(130)에서 수신되는 경우 수행될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에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은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뎀/라우터(130)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데이터 스트림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때 이용할 송신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송신 모드에서, 펨토셀(115)은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이용하여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제 2 송신 모드에서, 펨토셀(115)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패킷들을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에 라우팅할 수 있다. 제 3 송신 모드에서, 펨토셀(115)은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하고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모뎀/라우터(130)에 라우팅할 수 있다.
[0100]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펨토셀(115)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라우팅하는데 어느 송신 모드를 이용할지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송신 모드가 선택될 때,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을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 인터페이스(215)는 그 후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패킷들을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에 의해 송신되는 패킷들을 수신할 수 있고, LTE 인터페이스(230)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된 패킷들을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수신된 타입의 데이터 스트림을 소비하도록 구성된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120) 상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소비자들에게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을 제공할 수 있다.
[0101] 제 2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되도록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데이터 스트림들의 패킷들을 라우팅하게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펨토셀(115)과 모뎀/라우터(130) 간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의 패킷들을 모뎀/라우터(130)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허브 또는 스위치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디바이스들을 통해 데이터 스트림들로부터의 패킷들을 또한 라우팅할 수 있다. 도 2에서 예시된 예에서, 펨토셀(115)은 모뎀/라우터(130)의 이더넷 인터페이스(240)에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포함한다. 이 예시적인 구현들은 펨토셀(115)이 모뎀/라우터(130)와 통신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이더넷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지만, 다른 구현들은 펨토셀(115) 및 모뎀/라우터(130)가 통신하는 것을 가능케 하도록 다른 데이터 통신 또는 네트워킹 프로토콜들을 이용할 수 있다. 모뎀/라우터(240)의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는 스위치(245)에 수신된 패킷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위치(245)는 결국 모바일 디바이스(120)로의 전송을 위해 데이터 패킷들을 WiFi 인터페이스(245)에 라우팅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WiFi 인터페이스(235)는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된 패킷들을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 상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소비자들에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을 제공할 수 있다.
[0102]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하고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 인터페이스(215)는 이후,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에 의해 송신된 패킷들을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할 수 있고, LTE 인터페이스(230)는 데이터 스트림의 수신된 패킷들을 어그리게이션 층(225)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펨토셀(115)과 모뎀/라우터(130)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모뎀/라우터(130)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패킷들을 허브 또는 스위치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중간 디바이스들을 통해 라우팅할 수 있다. 모뎀/라우터(240)의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는 수신된 패킷들을 스위치(245)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스위치(245)는 차례로,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로의 송신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245)로 라우팅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에 의해 수신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으로 제공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LTE 인터페이스(230)와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각각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과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03] 패킷들의 제 1 부분과 패킷들의 제 2 부분은 데이터 스트림 내의 동시 패킷들일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패킷들의 인터리빙된 세트들일 수도 있다. 더욱이, 패킷들이 2개의 상이한 인터페이스들을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패킷들이 무질서하게 수신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수신하고 이 패킷들을 다시 하나의 코히어런트 데이터 스트림으로 재정렬/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끊김없는 어그리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에서 LTE 경로와 WiFi 경로 사이에서 스큐를 관리하는 디-지터 버퍼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한 버퍼링은 LTE와 WiFi 경로들 사이의 레이턴시를 보상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손실된 그리고/또는 지연된 패킷들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서 LTE 인터페이스(230) 및/또는 WiFi 인터페이스(23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04]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채널 조건들 및/또는 다른 고려사항들에 기초하여 어느 송신 모드를 사용할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인터페이스(215)가 매크로셀 및/또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인근 펨토셀들로부터 간섭을 경험하고 있거나 또는 LTE 다운링크 채널들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면,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다운링크 채널에 대한 채널 조건들이 양호하고 그리고/또는 WiFi 인터페이스가 이미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면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제 3 송신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이는, 채널 품질이 WiFi와 LTE 송신들 둘 모두에 대해 양호한 모드이다.
[0105]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업스트림 대역폭 어그리게이션의 예의 블록도이다. 업스트림 어그리게이션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에 관하여 수행될 수 있다.
[0106]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 및 LTE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는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로 분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은 이후, 펨토셀(115)로 라우팅될 수 있으며, 펨토셀(115)은 보안 게이트웨이(150)로의 송신을 위해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을 다시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 게이트웨이는 결국, 이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서버(125)와 같은 예정된 데이터 스트림 목적지로 라우팅할 수 있다.
[0107]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LTE 인터페이스(230)로 제공하고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WiFi 인터페이스(235)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에 의해 송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들을 스위치(245)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잇다. 스위치(245)는 이후, 수신된 패킷들을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로 라우팅할 수 있고,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는 패킷들을 펨토셀(115)로 전송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는 모뎀/라우터(130)로부터 패킷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들을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으로 제공할 수 있다.
[0108]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는 모바일 디바이스(115)의 LTE 인터페이스(230)에 의해 송신된 패킷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들을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으로 제공할 수 있다.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어그리게이팅하고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보안 게이트웨이(15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안 게이트 웨이는 결국, 이 하나의 데이터 스트림을 서버(125)와 같은 예정된 데이터 스트림 목적지(또는 제 1 및 제 2 데이터 스트림들의 데이터 패킷들에서 식별된 다른 목적지)로 라우팅할 수 있다.
[0109]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채널 조건들 및/또는 채널 사용량에 기초하여 LTE 인터페이스(230) 및/또는 WiFi 인터페이스(235)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매크로셀 또는 다른 펨토셀이 LTE 송신을 위한 채널 품질에 영향을 주는 간섭을 유발하고 있는 경우 WiFi 인터페이스(235)를 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WiFi 채널 상에 간섭이 있다면 LTE 인터페이스(230)을 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LTE 채널 상에 간섭이 있다면 WiFi 인터페이스(235)를 주로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또한, 다른 인자들, 이를 테면, 송신될 데이터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서비스 품질(QoS) 요건들, 모바일 디바이스로 송신될 다른 데이터와 연관된 QoS 요건들 및/또는 펨토셀(115) 및/또는 모뎀/라우터(130)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QoS 요건들을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0]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끊김없는 어그리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LTE 경로와 WiFi 경로 사이의 스큐를 관리하는 디-지터 버퍼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한 버퍼링은, LTE와 WiFi 경로들 간의 레이턴시를 보상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손실된 및/또는 지연된 패킷들이 펨토셀(115)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서 LTE 인터페이스(215) 및/또는 이더넷 인터페이스(215)(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WiFi 경로를 따라 펨토셀(115)로 이동하는 데이터는 모뎀/라우터(130)로부터 펨토셀(115)로 라우팅될 것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1] 도 8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펨토셀(115)을 통해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 프레임 포맷들의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 모뎀/라우터(130)는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모뎀/라우터가 브리지이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 구현들에서 펨토셀(115)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에 의해 유사한 기술들이 사용될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징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지 않는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은, 본원에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도 9에 예시된 캡슐화 기술을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12] 도 8에 도시된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에서, 프레임(8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포맷의 예를 제공한다. 프레임을 위한 목적지 MAC 어드레스 필드(810)는 펨토셀(115)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소스 MAC 어드레스 필드(815)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82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도 8에 도시된 예가 IEEE 802.3 프레임 포맷을 이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반면, 본원에 논의된 기술들은 다른 프레임 포맷들, 이를 테면, IEEE 802.11 프레임 포맷 및/또는 다른 프레임 포맷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이 RLC 층 또는 IP 층 중 어느 하나에서 구현되는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예들과 함께 예시적인 프레임 포맷이 사용될 수 있다.
[0113]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는 제 1 IP 어드레스와 연관될 수 있고 WiFi 인터페이스(235)는 제 2 IP 어드레스와 연관될 수 있다.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제 1 IP 어드레스는 무선 통신 제공자와 연관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제 1 IP 어드레스는 무선 통신 제공자와 연관된 공개적으로 어드레스가능한 어드레스 공간의 부분인 공중 IP 어드레스일 수 있는 반면, 다른 구현들에서, 제 1 IP 어드레스는 무선 통신 제공자와 연관된 IP 어드레스일 수 있다. WiFi 인터페이스(235)와 연관된 제 2 IP 어드레스는 모뎀/라우터(130)에 의해 WiFi 인터페이스(235)에 할당되고 라우터/모뎀(130)과 연관된 하나의 공중 IP 어드레스와 연관된 개인 IP 어드레스 공간의 일부인 개인 IP 어드레스일 수 있다. 업링크 트래픽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펨토셀(115)로 라우팅할 경우,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820)는 LTE 인터페이스(82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LTE 인터페이스(82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는 모뎀/라우터(130)의 NAT 모듈에 의해 모뎀/라우터(130)의 공중 IP 어드레스로 전환되지 않을 것인데, LTE 인터페이스(82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가 모뎀/라우터(130)에 의해 유지되는 개인 어드레스의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825)는 패킷의 목적지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825)는, 예정되는 패킷의 목적지가 서버(125)인 경우, 서버(125)와 연관된 공중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것이다. 체크섬 필드(830)는, 프레임(805)의 다른 필드들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크섬 값으로 설정되고 프레임(805)이 전송 중에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페이로드 필드(835)는 예정되는 프레임(805)의 목적지로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한다.
[0114] 프레임(840)은, 펨토셀(115)이 데이터 프레임(805)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펨토셀(115)로부터 모뎀/라우터(130)로 송신될 수 있는 프레임의 일 예이다. 프레임(840)의 목적지 MAC 필드는 모뎀/라우터(130)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소스 MAC 어드레스 필드(845)는 펨토셀(115)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855)는 펨토셀(115)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목적지 IP 어드레스는 보안 게이트웨이 서버(15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보안 게이트웨이 서버는, 펨토셀(115)이 연관되는 모바일 네트워크 제공자와 연관된 서버이다. 보안 게이트웨이 서버는, 펨토셀(115)에 의해 그 서버로 라우팅된 트래픽을 수신하고, 수신된 트래픽을 적절한 최종 목적지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보안 게이트웨이 서버는,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825)에서 표시된 최종 목적으로 프레임(805)을 라우팅할 수 있다. 체크섬 필드(865)는, 프레임(840)의 다른 필드들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크섬 값으로 설정되며, 프레임(840)이 전달중에 손상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펨토셀(115)과 보안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교환되는 패킷들의 페이로드는 암호화되며, 페이로드 필드(870)는 암호화된 형태로 프레임(805)의 컨텐츠들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예에서, 소스 IP 필드(820),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825), 체크섬 필드(830), 및 페이로드 필드(835)의 컨텐츠들은 암호화되며, 프레임(840)의 페이로드 필드(870)에서 송신될 수 있다. 프레임(840)은, 모뎀/라우터130)의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로의 펨토셀(115)의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펨토셀(115)로부터 모뎀/라우터(130)로 전송될 수 있다.
[0115] 프레임(875)은, 펨토셀(115)로부터 프레임(840)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인터넷을 통해 보안 게이트웨이 서버로 모뎀/라우터(130)에 의해 송신될 수 있는 프레임의 일 예이다. 프레임(875)의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880)는 모뎀/라우터(130)의 공용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고,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875)는 보안 게이트웨이 서버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체크섬(880)은, 프레임(875)의 다른 필드들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크섬 값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875)이 전달중에 손상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페이로드 필드(885)는, 프레임(840)으로부터의 페이로드 필드(870)의 암호화된 컨텐츠들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0116] 도 9는, IP 패킷 캡슐화를 사용하여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하여 펨토셀(115)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데이터 프레임 포맷들의 블록도이다. 도 9에 예시된 예는,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유사한 기술들은, 모뎀/라우터가 브리징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지 않는 구현들에서, 펨토셀(115)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다운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0117] 도 9의 다이어그램은 3개의 스테이지들로 예시된다. 제 1 스테이지에서, 프레임(903)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모뎀/라우터(130)로 송신되고, 모뎀/라우터(130)는 데이터 프레임을 펨토셀(115)로 라우팅한다. 제 2 스테이지에서, 펨토셀(115)은, 프레임(907)의 페이로드 필드(975) 내의 프레임(903)으로부터의 데이터를 갭슐화 및 암호화한 것을 포함하는 패킷(907)을 생성하며, 프레임(907)을 모뎀/라우터(130)로 라우팅한다. 제 3 스테이지에서,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로부터 프레임(907)을 수신하며, 프레임(909)의 페이로드 필드(995) 내의 프레임(907)으로부터 암호화된 페이로드를 포함하는 프레임(909)을 생성하고, 모뎀/라우터(13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보안 게이트웨이(150)로 프레임(909)을 전송한다.
[0118] 프레임(903)은, 업링크 프로세스의 스테이지 1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펨토셀(115)로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포맷의 일 예를 제공한다. 프레임에 대한 목적지 MAC 필드(905)는 모뎀/라우터(130)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되고, 소스 MAC 어드레스 필드(91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915)는 (도 8에 예시된 예 - 여기서, 프레임(805)의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됨 - 와는 대조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되며, 목적지 IP 어드레스(920)는 펨토셀(115)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체크섬 필드(925)는, 프레임(903)의 다른 필드들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크섬 값으로 설정되며, 프레임(903)이 전달중에 손상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903)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된 제 2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930)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는 공용 IP 어드레스일 수 있으며, 데이터를 역으로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라우팅하기 위하여 로컬 네트워크 상에 있지 않은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935)는 프레임(903)의 예정된 수신측과 연관된 공용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예컨대, 프레임(903)에 포함된 데이터의 예정된 수신측이 서버(125)이면, 서버(125)의 공용 IP 어드레스는 제 2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935)에 포함될 것이다. 페이로드(945)에 포함된 데이터가 전달중에 손상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예정된 수신측(및 필드의 임의의 중간 수신측들)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제 2 체크섬 필드(940)가 제공된다. 페이로드 필드(945)는, 프레임(903)의 예정된 수신측으로 송신될 데이터를 포함한다.
[0119] 프레임(907)은, 업링크 프로세스의 스테이지 2에서 펨토셀(115)로부터 모뎀/라우터(130)로 프레임을 전송할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프레임 포맷의 일 예를 제공한다. 목적지 MAC 필드(950)는 모뎀/라우터(130)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고, 소스 MAC 어드레스 필드(955)는 펨토셀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960)는 펨토셀(115)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고,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965)는 보안 게이트웨이(150)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체크섬 필드(970)는, 프레임(907)의 다른 필드들 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체크섬 값으로 설정되며, 프레임(907)이 전달중에 손상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수신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펨토셀(115)은 또한, 프레임(907)에 대한 암호화된 페이로드 필드(975)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은, 보안 게이트웨이(150)와의 보안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암호화된 통신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펨토셀(115)은, 펨토셀(115)이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하는 프레임(903)으로부터의 제 2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930), 제 2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935), 체크섬(940), 및 페이로드(945)로부터의 값들을 암호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20]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로부터 프레임(909)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프레임(907)을 수신하고 프레임(909)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909)은, 모뎀/라우터(130)와 연관된 공용 IP 어드레스로 설정된 소스 IP 어드레스 필드(980)를 포함한다.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985)는 보안 게이트웨이(150)의 공용 IP 어드레스로 설정된다. 프레임(909)의 페이로드 필드(995)는, 보안 게이트웨이(150)로 전송되도록 펨토셀(115)에 의해 생성된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프레임(975)의 페이로드 필드(975)의 컨텐츠들이다. 보안 게이트웨이(150)는, 프레임(909)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페이로드의 컨텐츠들을 암호해독하고, 프레임(903)으로부터의 페이로드 필드(945)의 본래의 컨텐츠들을 네트워크(110)를 통해 예정된 수신측으로 전송할 것이다. 도 9에 예시된 예가 IEE 802.3 프레임 포맷과 함께 사용될 수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기술들은 다른 프레임 포맷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0121] 도 10은 펨토셀에서 다운스트림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0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에서 구현될 수 있다.
[0122]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다(스테이지(1005).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은 서버(125),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 또는 다른 네트워크-연결된 엔티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는, 네트워크(110)를 통해 소스 네트워크-연결된 엔티티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펨토셀(115)로 라우팅할 수 있다.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은, 보안 게이트웨이(150)로부터 또는 다른 네트워크-연결된 엔티티, 예컨대 서버(125)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와 연관된 IP 어드레스가 통상적으로 모뎀/라우터(130)와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WiFi 통신들을 위해 사용된 로컬 네트워크 연결과 연관된 개인 IP 어드레스일 것이므로, 데이터 패킷들의 목적지 어드레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 있다.
[0123] 그 후, 펨토셀(115)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스테이지(1010)).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예시된 예시적인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LTE 인터페이스(230) 및 WiFi 인터페이스(235) 둘 모두를 포함한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펨토셀(215)의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할지를 결정하고,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하여 데이터 패킷들을 모뎀/라우터(130)에 라우팅하고,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하며,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의 송신을 위하여 모뎀/라우터(130)에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는 도 11에 예시되고 상세히 아래에서 설명된다.
[0124] 그 후, 데이터 패킷들은 선택된 송신 모델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스테이지(1015)).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패킷들의 모두 또는 일부가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될 것이라면, 송신을 위하여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송신될 임의의 패킷들을 LTE 인터페이스(215)에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또한,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송신될 임의의 패킷들을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뎀/라우터(130)에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후,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하는 것을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0125] 도 11은, 본원에 기재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1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도 10에 예시된 프로세스의 스테이지(1010)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26] 펨토셀(115)은, WiFi 및/또는 LTE 다운링크 채널들의 채널 특징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1105)). 예컨대,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다운링크 채널 조건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또한, LTE 다운링크 채널들 및/또는 WiFi 다운링크 채널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채널 조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27] 펨토셀(115)은 또한, WiFi 및 LTE 채널들과 현재 연관된 데이터 로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1110)).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어떤 데이터가 WiFi 및 LTE 채널들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라우팅되고 있는지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28] 채널 특징들 및/또는 채널들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송신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단계 1115).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채널 특징들 및/또는 채널들의 부하에 기초하여 어느 송신 모드를 사용할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29]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또한, 다른 팩터들,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QoS,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데이터 스트림,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다른 데이터와 연관된 QoS 및/또는 펨토셀(115) 및/또는 모뎀/라우터(130)에 연결되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QoS를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30] 도 12는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운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2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도 10에 예시된 프로세스의 단계(1015)를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31] 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단계 1205).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선택된다면, 다운링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LTE 채널 및 WiFi 채널 둘 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수 있다.
[0132] 하이브리드/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패킷들의 제 1 부분이 모뎀/라우터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단계 1210).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패킷들의 제 2 부분이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단계 1215).
[0133]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되도록, 모뎀/라우터(130)로 라우팅될 수 있다(단계 1220). 어그리게이트 층(205)은 데이터 패킷들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트 층(205)은 데이터 패킷들을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뎀/라우터(130)로 라우팅할 수 있다.
[0134]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은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사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수 있다(단계 1225).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킷들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0135] 하이브리드/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WiFi-전용 송신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단계 1230). WiFi-전용 송신 모드가 선택되었다면,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펨토셀(115)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한 모바일 디바이스(120)로의 송신을 위해,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뎀/라우터(130)로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단계 1235).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패킷들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할 수 있다.
[0136] 하이브리드/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도 WiFi-전용 모드도 선택되지 않았다면,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0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단계 1240). 패킷들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0137] 도 13은 펨토셀(115)로부터 다운링크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인데, 여기서 데이터 패킷들은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WiFi 인터페이스 및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된다. 도 13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38]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서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모뎀/라우터(130) 사이에서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환되는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할 때 두 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139]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선택적으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11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단계 1305).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의 WiFi 연결 및 LTE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되려고 준비됨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때,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다른 데이터 패킷들이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듀레이션 동안 펨토셀(115) 및 모뎀/라우터(130)로부터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되지 못하게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이러한 차단은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또는 펨토셀(115)에 의해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그리게이션 층은 차단 기능을 구현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0140]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로부터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1310). 펨토셀(115)은 펨토셀(115)의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이들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LTE 인터페이스(23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41]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로부터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1315). 펨토셀(115)은,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선택하고,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모뎀/라우터(130)에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모뎀/라우터(130)는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
[0142]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선택적으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펨토셀(115)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단계 1320).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과 연관된 데이터가 송신되었고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어그리게이트 세션 데이터가 종료되었음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43] 이후,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WiFi 연결 및 LTE 연결을 통해 각각 송신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으로 원래 분할되었던 데이터 스트림으로 재조립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의 제 1 세트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어그리게이팅할 수 있다(단계 132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데이터 패킷들이 수신될 때,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WiFi 인터페이스(235) 및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수신된 패킷들로부터 본래 데이터 스트림을 재조립하는 것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데이터 패킷들은 본래 데이터 스트림에서 패킷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하는 패킷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어그리게이션 층은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에서 패킷이 속하는 곳을 결정하기 위해 패킷 시퀀스 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을 모바일 디바이스(120) 상의 데이터 스트림 소비자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중단되지 않은 데이터 스트림을 데이터 스트림 소비자에 제공하려고 시도하기 위해,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을 데이터 스트림 소비자에 제공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의 적어도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메모리에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사용되는 버퍼의 크기는 WiFi 연결 및 LTE 연결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레이트들에 따라 좌우될 수 있고, WiFi 연결 및 LTE 연결이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는 경우 더 작은 버퍼가 요구될 수 있고, WiFi 연결 및/또는 LTE 연결이 더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한다면 더 큰 버퍼가 요구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LTE 연결 및 WiFi 연결에 대한 채널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버퍼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44] 도 14는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업스트림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예시적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4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45]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이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로의 송신을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단계 1405). 예컨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스트림은 원격 네트워크-가능 엔티티, 예컨대, 서버(125)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예정될 수 있다.
[0146]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단계 1410).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115)에 송신하기 위해 사용할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후, 펨토셀(115)은 데이터 스트림을 데이터 스트림의 예정된 수신측으로 라우팅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예시된 예시적 구현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LTE 인터페이스(230) 및 WiFi 인터페이스(235) 둘 다를 포함한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펨토셀(115)에 송신할지의 여부를 결정하거나,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터/모뎀(130)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사용하여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펨토셀(115)에 전송하거나, 또는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터/모뎀(130)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사용하여 펨토셀(115)에 송신하고 그리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사용하여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펨토셀(11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47] 이후, 데이터 패킷들은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단계 141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선택된 어그리게이션 방법에 따라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11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이 WiFi 연결 및 LTE 연결 둘 다를 통해 송신될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기 위해 신호를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48] 도 15는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서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5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도 14에 예시된 프로세스의 스테이지(1410)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구현될 수 있다.
[0149] 펨토셀(115)은 WiFi 및/또는 LTE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채널 특징들을 결정(스테이지(1505))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15)로부터의 업링크 채널 조건 정보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또한, LTE 업링크 채널들에 대한 펨토셀(115)로부터 그리고/또는 WiFi 다운링크 채널들에 대한 모뎀/라우터(130)로부터 채널 조건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50]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WiFi 및 LTE 업링크 채널들과 현재 연관된 데이터 부하를 결정(스테이지(1510))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어떤 데이터가 WiFi 및 LTE 업링크 채널들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 라우팅되고 있는지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 및/또는 모뎀/라우터(130)는 또한, 부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주기적으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51] 송신 모드는 채널 특징들 및/또는 채널들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스테이지(151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채널 특징들 및/또는 채널들의 부하에 기초하여 어떤 송신 모드를 이용할 것인지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또한, 다른 인자들, 이를테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QoS,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데이터 스트림,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다른 데이터와 연관된 QoS 및/또는 펨토셀(115) 및/또는 모뎀/라우터(130)에 연결된 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QoS를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52] 도 16은 본원에 기재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펨토셀(115)로 업링크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6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도 14에 예시된 프로세스의 스테이지(1415)를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6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구현될 수 있다.
[0153] 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스테이지(160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펨토셀(115)로 업링크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될 송신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업링크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은 LTE 및 WiFi 채널들 둘 모두 상에서 펨토셀(115)에 송신될 수 있다.
[0154] 하이브리드/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선택된 경우, 펨토셀(115)에 송신될 패킷들의 제 1 부분은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펨토셀(115)에 송신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스테이지(1610)).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될 패킷들의 제 2 부분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스테이지(1615)).
[0155]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모뎀/라우터(130)에 송신될 수 있다(스테이지(1620)).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패킷들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를 패킷을 수신할 것으로 예정되는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할 수 있다. 모뎀/라우터(130)는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패킷들을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펨토셀(115)로 라우팅할 수 있다.
[0156]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이용하여 펨토셀(115)에 송신될 수 있다(스테이지(162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펨토셀(115)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57] 하이브리드/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WiFi-전용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지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스테이지(1630)). WiFi-전용 송신 모드가 선택된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펨토셀(115)로 라우팅하기 위한 모뎀/라우터(130)에 송신(스테이지(1635))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58] 하이브리드/어그리게이트 송신 모드도 그리고 WiFi-전용 모드도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펨토셀(115)에 송신(스테이지(1640))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킷들의 소스 IP 어드레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고, 패킷들의 목적지 IP 어드레스는 패킷들이 펨토셀(115)에 의해 궁극적으로 라우팅될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의 IP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0159] 도 17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업링크들 상에서 펨토셀(115)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고, 여기서, 데이터 패킷들은 본원에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WiFi 및 LTE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송신된다. 도 17에 예시된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60]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20)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모뎀/라우터(130) 사이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교환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할 때 이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어그리게이션 정보의 교환이 펨토셀(115)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파워 온될 때마다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어그리게이션 정보의 교환이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 또는 펨토셀(115)에 새로운 IP 어드레스가 할당되거나, 모바일 디바이스(120) 또는 펨토셀(115)의 IP 어드레스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어그리게이션 정보의 교환이 어그리게이션 세션이 디바이스들 사이에 설정될 때마다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신에,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각각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은 어그리게이션 정보가 변경되는 이벤트, 이를테면, 디바이스가 IP 어드레스를 할당받거나, 업데이트된 IP 어드레스, 포트 정보에 대한 변경 및/또는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대한 다른 변경들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다른 디바이스와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61]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170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WiFi 및 LTE 연결들을 통해 펨토셀(115)에 전송되려고 함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신호를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어그리게이션 세션의 듀레이션 동안 다른 데이터 패킷들이 펨토셀(115) 및 모뎀/라우터(130)에 송신되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송신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62] 그 다음, 펨토셀(115)은 모뎀/라우터(1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1710)).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를 통해 펨토셀(115)로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킷들의 제 1 부분은 모뎀/라우터(130)에 송신되고, 모뎀/라우터(130)는 그 다음, 수신된 패킷들을 모뎀/라우터(130)와 펨토셀(115) 사이의 이더넷 연결을 통해 펨토셀(115)로 라우팅할 수 있다.
[0163] 그 다음, 펨토셀(115)은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171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펨토셀(115)에 송신될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은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 패킷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LTE 인터페이스(215)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을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64] 그 다음, 펨토셀(115)은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1715)).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데이터 스트림과 연관된 데이터가 송신됨을 그리고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이 종료됨을 시그널링하기 위해 신호를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65] 그 다음, 펨토셀(115)은 WiFi 및 LTE 연결들 각각을 통해 송신된 제 1 및 제 2 부분들로 원래 분할되었던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의 제 1 세트 및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세트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어그리게이팅할 수 있다(스테이지(1720)).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이 완료된다는 신호를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및 제 2 부분들을 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패킷들이 수신될 때 모뎀/라우터(130) 및 LTE 인터페이스(215)로부터 수신된 패킷들로부터의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의 리어셈블링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데이터 패킷들은 원래의 데이터 스트림에서 패킷의 상대적 포지션을 표시하는 패킷 시퀀스 번호를 포함할 수 있고, 어그리게이션 층은 패킷 시퀀스 번호를 이용하여 패킷이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에서 어디에 속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을 보안 서버(15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보안 서버(150)는 차례로, 데이터 스트림을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 이를테면, 서버(125)에 또는 심지어 또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 및/또는 모뎀/라우터(130)에 연결될 수 있거나, 또 다른 기지국 또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연관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스트림을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로 스트리밍하기 전에 펨토셀(115)의 메모리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의 적어도 일부를 버퍼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이용되는 버퍼의 크기는 WiFi 및 LTE 연결에 의해 제공되는 데이터 레이트들에 의존할 수 있고, WiFi 및 LTE 연결들이 더 높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경우 더 작은 버퍼가 요구될 수 있고, WiFi 및/또는 LTE 연결들이 더 낮은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는 경우 더 큰 버퍼가 요구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LTE 및 WiFi 연결들 상에서 채널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버퍼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66] 그 후에,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은 예정된 수신측으로 포워딩될 수 있다(스테이지(1725)).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은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을 서버 게이트웨이(150)로 포워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서버 게이트웨이(150)는 차례로, 데이터 스트림을, 서버(125)와 같은 다른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 또는 다른 모바일 디바이스(120)로 포워딩할 수 있다(스테이지(1730)).
[0167] 도 18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펨토셀(115)로 모뎀/라우터(130)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예시적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18에서 예시된 프로세스는 모뎀/라우터(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스는,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데이터 스트림과 연관된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것으로 시작된다(스테이지(1805)).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에 패킷들을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1810)). 모뎀/라우터(130)는 이더넷 인터페이스(240)를 통해 펨토셀(115)에 패킷들을 라우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서 예시된 캡슐화 기술이 구현되고 있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업링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들은, 목적지 IP 어드레스 필드 및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된 이들의 목적지 MAC 필드(905)를 가질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캡슐화 기술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도 8에서 예시된 프레임 포맷과 유사한 프레임 포맷이 사용될 수 있고, 목적지 MAC 어드레스 필드(810)는 펨토셀(115)의 MAC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고, 소스 MAC 어드레스 필드(815)는 UE LTE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MAC 어드레스로 설정될 수 있다.
[0168] 도 20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개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도 20에서 예시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69]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대해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LTE 연결이 설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 연결은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펨토셀(115)의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하는 경우에 설정될 수 있고,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펨토셀(115)로부터의 핸드오프와 연관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리부팅되는 경우에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 및/또는 LTE 인터페이스(12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신 파라미터들이 할당 또는 업데이트되는 경우에,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70]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펨토셀(115)에 전송하는 것으로 시작될 수 있다(스테이지(2005)).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 및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을 구성하기 위해, 펨토셀(115)에 전송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펨토셀(115)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15)이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지 않았다고 결정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횟수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또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재전송하기 전에, 또는 펨토셀(115)이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에 응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결정을 행하기 전에, 타임아웃 기간이 경과하기를 기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71] 그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에 전송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에 응답하여 펨토셀(115)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010)).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펨토셀(115)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통신들에 대해 사용될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 양자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가장 높은 버전 넘버가, 펨토셀(115)과의 어그리게이션 세션 통신들에 대해 사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0172] 그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115)에 송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015)).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펨토셀(115)에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하는 경우에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에 송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0173]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펨토셀(115)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020)).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하는 경우에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MAC 어드레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이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또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펨토셀(115)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특정 타입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특정한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되어야 하는 것, 또는 특정 타입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어그리게이션이 사용될 수 없는 것을 표시할 수 있다.
[0174] 또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WiFi 연결이 테스트될 수 있다(스테이지(2025)).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연결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테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WiFi 인터페이스(235)를 사용하여 모뎀/라우터(130)에 테스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고, 모뎀/라우터(130)는 펨토셀(115)에 테스트 메시지를 라우팅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펨토셀(115)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테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이더넷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 후에, 모뎀/라우터(130)는 WiFi 인터페이스(24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송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전송할 수 있고, WiFi 연결을 통해 전송된 메시지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테스트 메시지가 펨토셀(115)에 의해 수신되었지만, 펨토셀(115)에 의해 전송된 응답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혀 도달하지 않은 것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것은 또한,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지 여부의 결정을 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펨토셀(115)과 연관된 IP 어드레스들 및/또는 IP 서브넷 마스크들을 검사함으로써,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75] 그 후에,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2030)).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연결이 검증된 경우에,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을 인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뎀/라우터(130)의 커버리지 영역에 있는 경우에 WiFi 연결의 자동 선택을 디스에이블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들(120)은,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연결이 이용가능한 경우에 모뎀/라우터(130)와 같은 WiFi 액세스 포인트에 자동적으로 연결하고, LTE 또는 다른 WWAN 연결을 스위칭 오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LTE 네트워크 또는 다른 WWLAN 상의 데이터 사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WiFi가 이용가능한 경우에 WiFi-전용 연결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하도록 구성된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또한, (스테이지(2025)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에 어그리게이션 세션들 동안에 펨토셀(115)에 업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도 8에서 예시된 비-캡슐화 접근법을 선택하거나, 또는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에 도 9에서 예시된 캡슐화 접근법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76] 도 21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개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도 21에서 예시된 방법은 펨토셀(1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77]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105)). 펨토셀(115)은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를 식별하기 위한 펨토셀(115)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178] 펨토셀(115)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스테이지(2110)). 펨토셀(115)은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펨토셀(115)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또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통신들을 위해 이용될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의 어그리게이션 세션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펨토셀(115) 양쪽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최고 버전 번호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79]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115)).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에 의해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의 MAC 어드레스 및/또는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0180] 펨토셀(115)은 또한,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수 있다(스테이지(2120)).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의 MAC 어드레스 및/또는 IP 어드레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이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또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데이터를 펨토셀(115)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특정 유형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특정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되어야 함을 또는 어그리게이션이 특정 유형들의 데이터 스트림들과는 사용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0181]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2125)).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테스트 메시지를 펨토셀(11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테스트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메시지들의 교환은,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WiFi 연결이 설정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은,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WiFi 연결을 설정하는데 문제들이 존재하는 경우, WiFi 연결에 따른 문제들을 진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WiFi 연결을 통해 테스트 메시지 및/또는 응답을 전송하는 것에 추가하여,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테스트 메시지 및/또는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것은 또한,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IP 서브넷 마스크들 및/또는 IP 어드레스들을 검사함으로써,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82] 펨토셀(115)은 어그리게이션 층(205)을 구성할 수 있다(스테이지(2130)).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연결이 검증된 경우,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를 위해 사용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비롯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공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단 어그리게이션 층(205)이 구성되면, 펨토셀(115)은 본원에서 논의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실행할 수 있다. 펨토셀(115)은 다수의 모바일 디바이스들(12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그리고 펨토셀(115)에 연결된 각각의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대해 본원에서 설명된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또한, (스테이지(2125)에서 결정된 바와 같이)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는 경우 어그리게이션 세션들 동안 다운링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할 때 도 8에 예시된 비-캡슐화 접근방식을 선택하거나 또는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도 9에 예시된 캡슐화 접근방식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83] 도 22는 본원에서 개시된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을 위한 펨토셀-개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도 22에서 예시된 방법은 펨토셀(1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84] 펨토셀(115)은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을 구성하기 위한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은 LTE 연결이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설정되는 것에 응답하여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TE 연결은,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펨토셀(115)의 커버리지 영역에 진입할 때 설정될 수 있고,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다른 펨토셀(115)로부터의 핸드오프와 연관될 수 있다.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이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시 시작될 수 있다.
[0185]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는 펨토셀(115)이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시 시작될 수 있다(스테이지(2205)).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본원에서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그리고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을 구성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본원에서 개시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식별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본원에서 개시된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펨토셀(115)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어그리게이션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지 않았음을 결정하기 전에,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미리 결정된 횟수들로 재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또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재전송하기 전에 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에 대해 응답하지 않을 것이라는 결정을 하기 전에 타임아웃 기간이 경과하기를 기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86] 그 후에,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에 응답하여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210)).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펨토셀(115)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또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통신들을 위해 사용될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 및 펨토셀(115) 양쪽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최고 버전 번호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의 어그리게이션 세션 통신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0187] 펨토셀(115)은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송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215)). 펨토셀(115)에 의해 전송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에 의해 전송된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의 MAC 어드레스 및/또는 IP 어드레스 및/또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이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에 의해 전송되어 수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또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데이터를 펨토셀(115)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할 때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특정 유형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특정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되어야 함을 또는 어그리게이션이 특정 유형들의 데이터 스트림들과는 사용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0188] 펨토셀(115)은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220)).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펨토셀(115)에 송신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본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에 송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의 MAC 어드레스 및/또는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0189]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WiFi 연결이 또한 테스트될 수 있다(스테이지(2225)).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테스트 메시지를 펨토셀(115)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테스트 메시지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메시지들의 교환은,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에 WiFi 연결이 설정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은,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WiFi 연결을 설정하는데 문제들이 존재하는 경우, WiFi 연결에 따른 문제들을 진단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WiFi 연결을 통해 테스트 메시지 및/또는 응답을 전송하는 것에 추가하여, LTE 인터페이스(215)를 통해 테스트 메시지 및/또는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의 부분으로서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것은 또한,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IP 서브넷 마스크들 및/또는 IP 어드레스들을 검사함으로써,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90]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그 후,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 수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존재한다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에 기초하여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2230)).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연결이 검증되어 있는 경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본원에서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사용을 위한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 뿐만 아니라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임의의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스테이지(2225)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면, 어그리게이션 세션들 동안 다운링크 데이터를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는 경우 도 8에 예시된 비-캡슐화 접근법을 선택하거나, 또는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도 9에 예시된 캡슐화 접근법을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0191] 도 23은 본원에 개시되는 기술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어그리게이션 층들의 발견 및 구성에 대한 펨토셀-개시 프로세스의 예의 흐름도이다. 도 23에 예시된 방법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0192]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305)).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펨토셀(115)로부터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모바일 디바이스(120)가 본원에 개시되는 어그리게이션 기술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기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120)로부터의 정보에 대한 요청을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는, 펨토셀(115)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0193]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어그리게이션 발견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펨토셀(115)에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스테이지(2310)).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LTE 인터페이스(225)를 통해 펨토셀(115)에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 또는 버전들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은 또한,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의 통신들에 대해 사용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과의 어그리게이션 세션들에 대한 사용에 대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둘 모두에 의해 지원되는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가장 높은 버전 넘버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통신하는 경우 사용하기 위한 어그리게이션 프로토콜들의 버전을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94] 모바일 디바이스는 펨토셀(115)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스테이지(2315)).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LTE 연결을 통해 펨토셀(115)로부터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하는 경우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 MAC 어드레스, 및/또는 모뎀/라우터(130)의 WiFi 인터페이스(245)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스트림들을 전송 및/또는 수신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펨토셀(115)로부터 수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또한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는, 펨토셀(115)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어그리게이션 정책은, 특정한 타입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이 특정한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송신되어야 함을 표시하거나 또는 특정한 타입들의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해 어그리게이션이 사용될 수 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0195]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또한 펨토셀(115)에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스테이지(2320)).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MAC 어드레스 정보, IP 어드레스 정보, 포트 정보, 및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 따라 정보를 라우팅하는 경우 2개의 디바이스들의 어그리게이션 층들이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펨토셀(115)에 전송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WiFi 인터페이스(235)의 IP 어드레스 및/또는 MAC 어드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0196]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모바일 펨토셀(115)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스테이지(2325)).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펨토셀(115)에 테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들에서, 펨토셀(115)의 어그리게이션 층(20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에 테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테스트 메시지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서의 메시지들의 교환은, 2개의 디바이스들 사이의 WiFi 연결이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과 모바일 디바이스(120) 사이에 WiFi 연결을 설정하는데 문제들이 있는 이벤트에서 WiFi 연결에 대한 문제들을 진단하는 것을 용이하기 위해, WiFi 연결을 통해 테스트 메시지 및/또는 응답을 전송하는 것에 부가하여, LTE 인터페이스(230)를 통해 펨토셀(115)에 테스트 메시지 및/또는 테스트 메시지 응답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발견 및 구성 프로세스의 일부로서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것은 또한,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지의 결정을 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펨토셀(115) 및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연관된 IP 어드레스들 및/또는 IP 서브넷 마스크들을 검토함으로써,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197]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어그리게이션 층(225)을 구성할 수 있다(스테이지(2330)).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펨토셀(115) 사이의 연결이 검증된 경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을 인에이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본원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술들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에 대한 사용을 위한 송신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펨토셀(115)에 의해 모바일 디바이스(120)와 공유되는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포함된 임의의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단 어그리게이션 층(225)이 구성되었으면, 모바일 디바이스(120)는, 펨토셀(115)과의 본원에 논의된 어그리게이션 기술들 중 하나 또는 그 초과를 실행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120)의 어그리게이션 층(225)은, (스테이지(2325)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면, 어그리게이션 세션들 동안 업링크 데이터를 펨토셀(115)에 전송하는 경우 도 8에 예시된 비-캡슐화 접근법을 선택하거나, 또는 모뎀/라우터(130)가 브리지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도 9에 예시된 캡슐화 접근법을 선택하는 것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0198]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하여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이들 방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 구현에 대해,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래밍가능 로직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래밍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결합 내에 구현될 수 있다.
[0199]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대해, 방법들은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모듈들(예컨대, 절차들, 함수들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명령들을 유형으로 구현하는 임의의 머신-판독가능 매체는,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을 구현할 시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소프트웨어 코드들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유닛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유닛의 내부에 또는 프로세서 유닛의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메모리"는 장기, 단기,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다른 메모리의 임의의 타입을 의미하며, 임의의 특정한 타입의 메모리 또는 메모리들의 수, 또는 메모리가 저장되는 매체들의 타입에 제한되지 않는다. 유형의 매체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자기 저장부, 광학 저장 매체들 등과 같은 머신 판독가능 매체들의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물리적 물품들을 포함한다.
[0200]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면, 기능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저장될 수 있다. 예들은, 데이터 구조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인코딩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을 포함한다.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물리적 컴퓨터 저장 매체들을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Blu-ray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들을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 것들의 결합들은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그러한 매체들은 또한, 머신 판독가능일 수 있는 비-일시적인 매체들의 예들을 제공하며, 여기서, 컴퓨터들은 그러한 비-일시적인 매체들로부터 판독할 수 있는 머신의 예이다.
[0201] 본원에 논의된 일반적 원리들은 본 개시내용 또는 청구항들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구현들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48)

  1.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aggregating)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제 1 송신 모드, 제 2 송신 모드 또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 모드는 상기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모드는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wireless router)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loading)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의 백홀(backhaul)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encapsulate)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bridging)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는 단계가 수행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LTE 사용자 플레인(plane)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단계;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policy)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6.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제 1 송신 모드, 제 2 송신 모드 또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 모드는 상기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모드는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기 위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1.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2.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의 백홀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3.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5.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8. 제 16항에 있어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31.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유형의(tangible)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송신 모드, 제 2 송신 모드 또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송신 모드는 상기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모드는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4.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5.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6.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7.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의 백홀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8.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39. 제 38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0.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1. 제 40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3.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46.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모듈들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펨토셀에서, 모바일 디바이스에 대한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며 ―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1 송신 모드, 제 2 송신 모드 또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송신 모드는 상기 펨토셀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송신 모드는 무선 트랜시버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의 송신을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4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4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49.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0.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1.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2.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의 백홀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3.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4. 제 5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무선 라우터가 브리징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상기 펨토셀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5.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6. 제 5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7.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8.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 송신하고;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펨토셀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59.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60. 제 5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61.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상기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62.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63.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64.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65.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상기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66.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67.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68. 제 6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69.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상기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70.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71.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72. 제 6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73.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모듈들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펨토셀로부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며 ―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상기 펨토셀로부터 분리됨 ―; 그리고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74.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75.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76. 제 7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77.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할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아니면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78.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79.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0.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1.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2.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3.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4. 제 8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5.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6. 제 77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는,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7. 제 77항에 있어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는 단계;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는 단계;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8.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89. 제 87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90.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선택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할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아니면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1.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2.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3.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4.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5.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6.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7. 제 9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8.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99. 제 90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00. 제 90항에 있어서,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수단;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기 위한 수단;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01. 제 10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02. 제 100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03.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 상기 선택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할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아니면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됨 ―; 및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04.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05.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06.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07.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08.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09.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0. 제 10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상기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1.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2.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은,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및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3. 제 10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및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4. 제 1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5. 제 113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16.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모듈들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모듈에서, 원격 네트워크 엔티티에 송신될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의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 연관된 펨토셀에 전송하기 위한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 상기 선택하는 것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LTE(Long Term Evolutio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스트림으로부터의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할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에 라우팅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상기 펨토셀 외부의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할지, 아니면 상기 LTE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는 것 및 상기 펨토셀로의 라우팅을 위해 WiFi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상기 무선 트랜시버에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3 송신 모드를 사용하여 상기 스트림으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송신할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됨 ―; 그리고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17.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18.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링크 조건들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19.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LTE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0.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무선 트랜시버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 간의 WiFi 링크의 부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1.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펨토셀에 송신되는 패킷들을 캡슐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2.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것에 응답하여,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3.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제 3 송신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4.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트랜시버는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5.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LTE 사용자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2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그리고
    LTE 제어 플레인 데이터를 위해 상기 제 1 송신 모드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6. 제 1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어그리게이션 발견 메시지를 상기 펨토셀에 전송하고;
    어그리게이션 발견 응답을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고;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에 송신하고;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를 상기 펨토셀로부터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 및 상기 제 2 어그리게이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그리게이션 층을 구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7.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그리게이션 정보는 어그리게이션 정책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8. 제 12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펨토셀과의 WiFi 연결을 테스트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29.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는 단계;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30. 제 12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31. 제 12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32. 제 129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셀에 연결된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33.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위한 수단;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34. 제 1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35. 제 1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36. 제 133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셀에 연결된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37.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명령들이 저장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컴퓨터로 하여금: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38. 제 13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39. 제 137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게 하도록 구성된 명령들을 더 포함하는,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40. 제 137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셀에 연결된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유형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141. 펨토셀에서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로서,
    유형의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가능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세서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상기 메모리에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모듈들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및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및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한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어그리게이팅 송신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를 통해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을 수신하고;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제 2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고;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펨토셀에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리어셈블링하기 위해서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어그리게이팅하며; 그리고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의 예정된 수신측인 목적지 네트워크 엔티티에 상기 어그리게이팅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42. 제 14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하기 이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시작을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43. 제 14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어그리게이션 모듈은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1 부분 및 상기 데이터 패킷들의 제 2 부분을 수신한 이후에, 어그리게이트 데이터 세션의 종료를 표시하는 신호를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44. 제 141항에 있어서,
    상기 펨토셀 외부의 디바이스는 상기 펨토셀에 연결된 무선 라우터의 무선 트랜시버인,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장치.
  14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LTE 링크 상의 간섭 또는 WiFi 링크 상의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LTE 링크 상의 간섭 또는 상기 WiFi 링크 상의 간섭 중 적어도 하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송신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4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펨토셀로부터 또는 상기 무선 트랜시버로부터 다른 데이터 패킷들이 송신되는 것을 막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4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에 대한 간섭 둘 모두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14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신 모드는 상기 LTE 인터페이스 및 상기 WiFi 인터페이스 둘 모두의 채널 품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선택되는, 무선 통신 트래픽을 어그리게이팅하기 위한 방법.
KR1020167001282A 2013-06-18 2014-06-10 Lte 및 외부 wifi 대역폭 어그리게이션 KR102193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0,832 US20140369329A1 (en) 2013-06-18 2013-06-18 Lte and external wifi bandwidth aggregation
US13/920,832 2013-06-18
PCT/US2014/041701 WO2014204716A2 (en) 2013-06-18 2014-06-10 Lte and external wifi bandwidth aggreg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1271A KR20160021271A (ko) 2016-02-24
KR102193631B1 true KR102193631B1 (ko) 2020-12-21

Family

ID=5106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1282A KR102193631B1 (ko) 2013-06-18 2014-06-10 Lte 및 외부 wifi 대역폭 어그리게이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40369329A1 (ko)
EP (1) EP3011775B1 (ko)
JP (1) JP2016523482A (ko)
KR (1) KR102193631B1 (ko)
CN (1) CN105308919B (ko)
WO (1) WO20142047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15514A1 (ko) * 2012-02-01 2013-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측정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730271B2 (en) * 2013-06-03 2017-08-08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splitting and recombining communications in multi-network environments
CN103338482B (zh) * 2013-07-24 2016-08-24 成都西加云杉科技有限公司 分流数据传输方法、传输设备以及用户终端
US10237801B2 (en) * 2013-09-19 2019-03-19 Qualcomm Incorporated Inter-RAT and intra-RAT small cell reselection
JP6164056B2 (ja) * 2013-11-12 2017-07-1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送信装置、中継装置及び通信方法
US9179472B2 (en) * 2013-11-14 2015-11-03 Broadcom Corporation Dynamic aggregation for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transceivers of a host device
JP6156843B2 (ja) * 2013-11-27 2017-07-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そのシステムおよび無線基地局
US9516356B2 (en) * 2013-12-06 2016-12-06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Parallel scheduling of multilayered media
US9924382B2 (en) * 2014-07-16 2018-03-20 Cisco Technology, Inc. Interfrequency and inter-technology neighbor planning on a self-organizing network
US9923772B2 (en) * 2014-07-16 2018-03-20 Cisco Technology, Inc. Interfrequency and inter-technology neighbor planning on a self-organizing network
CN104168582B (zh) * 2014-08-08 2017-12-26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微小区基站系统、相关设备及数据处理方法
US9775087B2 (en) 2014-10-23 2017-09-26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 modes for wireless entity and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RU2693686C2 (ru) 2014-11-04 2019-07-03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Способы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интеграции беспроводных сетей широкого охвата с беспроводными локальными сетями
US9892180B2 (en) 2014-11-21 2018-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transfer between multiple databases
US9603055B2 (en) * 2015-01-30 2017-03-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ntrolling LTE/Wi-Fi aggregation
US9788242B2 (en) * 2015-02-05 2017-10-10 Mediatek Inc. Network selection and data aggregation with LTE-WLAN aggregation
US9781652B2 (en) * 2015-02-05 2017-10-0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of LWA PDU routing
EP3257317B1 (en) 2015-02-13 2022-08-03 Nokia Technologies Oy Uplink scheduling with wlan/3gpp aggregation
BR112017017402A2 (pt) * 2015-02-20 2018-04-03 Fujitsu Ltd sistema de comunicações sem fio, estação de base e estação móvel
US20180199394A1 (en) * 2015-03-06 2018-07-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communication node for traffic aggregation
JP2018512788A (ja) 2015-03-10 2018-05-17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トラフィックフロー分割方法およびトラフィックフロー分割装置
US10547557B2 (en) 2015-03-11 2020-0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point data flow control
EP3269198B1 (en) * 2015-03-13 2018-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aggregation setup between wlan and 3gpp
WO2016146145A1 (en) * 2015-03-13 2016-09-22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Communication network aggregation test payload
EP3278514B1 (en) 2015-03-30 2019-03-0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Data transmission
EP3278598B1 (en) * 2015-03-31 2019-05-2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Interface selection
US10462698B2 (en) 2015-03-31 2019-10-2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WLAN-LTE interface selection
US10231177B2 (en) 2015-03-31 2019-03-12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Interface selection in a wireless router
KR102461929B1 (ko) 2015-09-25 2022-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7076454A1 (en) * 2015-11-05 2017-05-1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Initiating measuring, reporting and/or use of secondary path delay to allocate packets or bearers among primary path and secondary path in wireless network
GB2548905B (en) 2016-04-01 2021-07-28 Tcl Communication Ltd Systems and methods for RAN-WLAN aggregation
WO2018007591A1 (en) * 2016-07-08 2018-01-11 Alcatel Lucent Flow aggregation and routing for multi-connectivity client devices
EP3277049B1 (de) * 2016-07-29 2022-03-23 Deutsche Telekom AG Funkzugangsentität
ES2765881T3 (es) * 2016-07-29 2020-06-11 Deutsche Telekom Ag Entidad de acceso por radio
CN106302215A (zh) * 2016-08-30 2017-01-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发报文的方法及装置
WO2018060540A1 (en) * 2016-09-28 2018-04-05 Nokia Technologies Oy Enhancing communication efficiency
WO2018116148A1 (en) 2016-12-20 2018-06-28 Netsia Inc. System and method for service group based dynamic optimization of
WO2018116145A1 (en) 2016-12-20 2018-06-28 Netsia Inc. System and apparatus for programmable virtualization and optimization of aggregated wireless radio access technologies
DE102017005131A1 (de) * 2017-05-30 2018-12-06 Diehl Metering Systems Gmbh Verfahren zur Übertragung einer Information
CN108990110B (zh) * 2018-07-26 2022-0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网络流量管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US20200106699A1 (en) * 2018-10-01 2020-04-02 Citrix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link wan connectivity for saas applications
WO2020122782A1 (en) * 2018-12-12 2020-06-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system with de-jitter buffer for reducing jitter
CN109729556B (zh) * 2019-02-12 2020-10-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链路连接方法及相关装置
CN109803325B (zh) 2019-02-12 2020-12-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分流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FI20195887A1 (en) 2019-10-15 2021-04-16 Nokia Technologies Oy Selective transmissions on a wireless device
US11096229B1 (en) 2020-01-29 2021-08-17 Dell Products L.P. Endpoint computing device dynamic network slice utilization system
US11178198B1 (en) * 2020-11-04 2021-11-16 Disney Enterprises, Inc. Buffering data on high bandwidth networks
CN117897989A (zh) * 2021-09-24 2024-04-16 苹果公司 基于ip的ue聚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3583A1 (en) 2004-02-13 2005-09-29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04218A1 (en) 2005-11-08 2007-05-10 Microsoft Corporation Adapting a communication network to varying conditions
US20080125163A1 (en) 2006-11-24 2008-05-29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via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EP2451218A1 (en) 2010-11-04 2012-05-0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point
US20120188949A1 (en) 2011-01-20 2012-07-26 Motorola-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rou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29346A1 (en) * 2006-11-06 2009-05-21 Hong Tengywe E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TCP Sessions in a Mobile Data Network and Developing Corresponding Performance Metrics
US8798017B2 (en) * 2008-11-21 2014-08-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Home service integration and management by employing local breakout mechanisms in a femtocell
US20100159991A1 (en) * 2008-12-22 2010-06-24 Mediatek Inc. Reliable femtocell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WO2010121205A1 (en) * 2009-04-16 2010-10-21 Nearverse, Inc. Method and apapratus for distributed communication using short range and wide range communication links
US9094892B2 (en) * 2009-10-12 2015-07-28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wide area network technology aggregation and broadcast
KR101690790B1 (ko) * 2009-12-17 2016-12-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
KR20140116554A (ko) * 2010-02-12 2014-10-0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이트 간의 데이터 분할
US8750926B2 (en) * 2010-06-18 2014-06-10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rdinating multiple radio transceivers within the same device platform
JP5277236B2 (ja) * 2010-11-26 2013-08-2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可搬型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JP5488642B2 (ja) * 2011-05-31 2014-05-14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可搬型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及びその設定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715981B1 (en) * 2011-06-01 2018-11-28 NTT DoCoMo, Inc. Enhanced loc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EP2720503A4 (en) * 2011-06-06 2014-10-29 Fujitsu Ltd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US9356765B2 (en) * 2011-08-24 2016-05-3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method for aggregation of heterogeneous component carrier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station using the same
RU2581622C2 (ru) * 2011-10-03 2016-04-20 Интел Корпорейшн Механизмы одноранговой (d2d) коммуникации
JP5646437B2 (ja) * 2011-11-15 2014-12-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回線終端装置
TWI475920B (zh) * 2011-12-20 2015-03-01 Acer Inc 行動通訊裝置、無線通訊系統、毫微蜂巢式基地台以及資源分配之方法
JP5962096B2 (ja) * 2012-03-16 2016-08-03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端末、及び通信方法
JP5935572B2 (ja) * 2012-07-27 2016-06-15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パケット振分け方法
US8923880B2 (en) * 2012-09-28 2014-12-30 Intel Corporation Selective joinder of user equipment with wireless cel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13583A1 (en) 2004-02-13 2005-09-29 Lg Electronics Inc.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70104218A1 (en) 2005-11-08 2007-05-10 Microsoft Corporation Adapting a communication network to varying conditions
US20080125163A1 (en) 2006-11-24 2008-05-29 Institute For Information Industr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ransmitting data via a plurality of network interfaces
EP2451218A1 (en) 2010-11-04 2012-05-09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Wireless communication access point
US20120188949A1 (en) 2011-01-20 2012-07-26 Motorola-Mobility,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rout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308919A (zh) 2016-02-03
KR20160021271A (ko) 2016-02-24
EP3011775A2 (en) 2016-04-27
WO2014204716A2 (en) 2014-12-24
EP3011775B1 (en) 2022-07-06
CN105308919B (zh) 2019-04-16
WO2014204716A3 (en) 2015-04-30
JP2016523482A (ja) 2016-08-08
US20140369329A1 (en)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631B1 (ko) Lte 및 외부 wifi 대역폭 어그리게이션
KR102578298B1 (ko) 백홀 네트워크들에서의 트래픽 플로우 이전
JP6463839B2 (ja) モバイル環境におけるフローベースのアドレス指定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9253015B2 (en) Transparent proxy architecture for multi-path data connections
US8588793B2 (en) Bandwidth management for a converged gateway in a hybrid network
US923182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s
EP2811779A1 (en) System, user equipment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ulti-network joint transmission
US10085253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wireless access points
EP3586489B1 (en) Methods and network elements for multi-connectivity control
US20130064198A1 (en) Multipath transport tunnel over multiple air interfaces connecting wireless stations
US20140153489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Inter-Converged Gateway (ICGW) Communications
US2020026762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r and slice-based security gateway for 5g
US9998947B2 (en) Intelligent handling of voice calls from mobile voice client devices
KR20200015777A (ko) 패킷 전송 방법, 프록시 서버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De Schepper et al. ORCHESTRA: Supercharging wireless backhaul networks through multi-technology management
CN117121556A (zh) 用于时间敏感联网的切换技术
JP6237111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基地局、中継装置、及び、移動局
KR20190074614A (ko) 동적 터널링 기반 트래픽 전송 시스템, 그리고 이의 시그널링 방법
US20230247476A1 (en) Data Unit Handling in a Wireless System
EP4349060A1 (en) Backhaul link issues in an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network
Tri et al. Architecture Design Release 3 Documentation
Dao et al. Architecture Design Release 3 Documentation
Main et al. Project Number: CELTIC/CP7-011 Project Title: Mobile Networks Evolution for Individual Communications Experience–MEVICO Document Type: PU (Publi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