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90B1 -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 - Google Patents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90B1
KR101690790B1 KR1020100057440A KR20100057440A KR101690790B1 KR 101690790 B1 KR101690790 B1 KR 101690790B1 KR 1020100057440 A KR1020100057440 A KR 1020100057440A KR 20100057440 A KR20100057440 A KR 20100057440A KR 101690790 B1 KR101690790 B1 KR 101690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handover
enodeb
serving bas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7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9683A (ko
Inventor
박순기
신연승
최성구
송평중
김영진
신재승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2/971,89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10149913A1/en
Publication of KR20110069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9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in case of dual connectivity, e.g. decoupled uplink/down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58Transmission of hand-off measurement information, e.g.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이 개시된다.
서빙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과 사용자 장치로부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빙 기지국은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하여, 다운링크 핸드오버 및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다운링크 핸드오버 및 업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한다.

Description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Method and serving eNodeB for deciding handover type in th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carrier aggregation}
본 발명은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에 관한 것으로서, CA에 따라 기지국 내에서의 핸드오버 또는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위한 판단기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 및 산업기술평가관리원의 IT성장동력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6-S-003-04, 과제명: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 플랫폼 개발].
기존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이동성 관리 방법은, 기존의 셀 개념들을 토대로 네트워크의 자원을 관리하는 알고리즘의 판단에 따라 핸드오버를 통한 접속 이동성 관리를 수행한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성 관리 방법은 Carrier Aggregation(CA)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것이므로, 이동성 관리의 방법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CA 환경(예, 커버리지 불일치, UL/DL 주파수 불일치)에 적합한 이동성 관리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Carrier Aggregation 셀룰러 이동통신 환경에서 사용자 장치(UE)의 이동성 관리 방안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와 기지국 내에서의 핸드오버 개념을 정립하고, 핸드오버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판단기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은, 상기 핸드오버 시 사용할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하여,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상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한 정보, CSAP(Control Service Access Point)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서 측정된 정보 및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웃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은,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기초로 Radio Condition 관련 프로세싱, Traffic Load 프로세싱 및 간섭관련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상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한다.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이웃 기지국에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다운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업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업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상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한다.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이웃 기지국에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다운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업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업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은, 상기 핸드오버 시 사용할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하여,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한 정보, CSAP(Control Service Access Point)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서 측정된 정보 및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웃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수집한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기초로 Radio Condition 관련 프로세싱, Traffic Load 프로세싱 및 간섭관련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한다.
상기 결정부는,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arrier aggregation 환경에서 사용자 장치의 이동성 관리를 수행(본 발명은 Inter-eNodeB HO)할 때, 상기의 세가지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빠르고 강인한 핸드오버 및 불필요한 핸드오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안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CA 환경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유형 판단에 필요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스템 용량을 증대시키고, 기지국 내에서의 핸드오버 또는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기지국내에서의 UE 이동성 관리를 주관하는 논리적 주체를 D-RRM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RRM의 제어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주파수 재사용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Carrier Aggregation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CA를 위한 CC 플래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CC 플래닝시 업/다운 셀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CC 환경에서 사용되는 핸드오버(HO)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ENODEBCCSNR 측정값을 이용한 핸드오버 시 사용할 CC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inter-eNodeB HO에서, DL BCcc 변경에 따른 다운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inter-eNodeB HO를 수행할 때, UL BCcc 변경에 따른 업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intra-eNodeB HO를 수행할 때, DL BCcc 변경에 따른 다운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intra-eNodeB HO를 수행할 때, UL BCcc 변경에 따른 업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모든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할 수 적용될 수 있는 기술로서, 이하에서는,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구조와 향후의 IMT-Advanced 구조를 포함한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을 기반으로 설명한다.
도 1의 시스템은,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구조로서, eNodeB(evolved NodeB)는 기지국을 의미하며,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의 'NodeB+RNC'와 유사한 노드이다. eNodeB 1(20)은 셀 A의 가운데에 위치하며, eNodeB 2(30)는 셀 B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액세스 게이트웨이(aGW: Access Gateway)(40)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AE Gateway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 관리 개체를 말한다. aGW(40)는 WCDMA에서의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과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과 유사한 노드이다. UE(10)는 사용자 장치로서, 모바일폰, 랩탑, 노트북과 같이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Mobile Station)일 수 있다.
eNodeB 관점에서는 기지국(eNodeB)과 사용자 장치(UE) 간의 무선(Radio) 인터페이스와, 기지국(eNodeB) 간의 인터페이스인 X2 인터페이스, aGW와 eNodeB 간의 인터페이스인 S1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각각 무선 네트워크 계층(Radio Network Layer)에서 제어 평면(Control Plane) 측면에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인터페이스, S1AP (S1 Application Part) 인터페이스, 및 X2AP(X2 Application Part)라 한다. 또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프로토콜로 정의되며, 기능별 프로시저들이 정의되고, 사용될 메시지들과 각 메시지 별 정보 등이 프로시저에 정의된다.
3GPP계열은 일반적으로 NCMA (Network Controlled Mobile Assisted)형태의 이동성관리를 수행한다. 즉, 3GPP계열은 네트워크(도 1의 경우, eNodeB)에서 핸드오버 예측, 결정 및 최적화를 수행하고, Mobile(예: User Equipment)는 네트워크의 이동성 관리 기능을 보조한다. 3GPP계열의 LTE 및 향후 LTE-Advanced 경우, 무선접속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내에서의 이동성 관리는 NCMA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UE)와 기지국(eNodeB)간의 논리적인 전용 무선채널이 있을 경우, 사용자 장치(UE)는 접속 상태(Connected 상태)에 있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의 접속 상태에서, 이동성 관리는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eNodeB)에서 주관한다.
서빙 기지국(eNodeB)은 이웃 기지국들과의 X2AP 시그널링을 통한 협조, 사용자 장치(UE)가 측정한 정보, 서빙 기지국(eNodeB) 내에서의 측정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장치(UE)의 이동성 관리를 지원한다.
도 2는 기지국(eNodeB)내에서의 UE 이동성 관리를 주관하는 논리적 주체를 D-RRM(Distributed Radio Resource Management)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즉, 도 2의 D-RRM(50 또는 60)은 기지국마다 존재하며, 결국 자원 관리는 분산형 자원관리를 지향한다.
도 2의 D-RRM(50 또는 60)은, 기지국(eNodeB 1, eNodeB 2)의 계층상으로는 L3(Layer 3)에 위치하며, 사용자 장치(UE)와는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RRC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각 기지국은 X2AP로 연결되어 있고, 기지국(eNodeB) 내부의 계층 (Layer 1, Layer 2)에 대한 자원 제어 및 무선 측정을 위하여 CSAP(Credit-based Slot Allocation Protocol) 인터페이스(CSAPL1, CSAPL2)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L1과 L2사이에 CSAPL1L2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
따라서, D-RRM(50, 60)은 기지국(eNodeB 1, eNodeB 2)과 사용자 장치(UE) 사이의 RRC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그널링을 통하여 UE의 자원을 제어하거나, UE에서의 상황(DL Meas, L2 Meas)에 대한 측정값(Measurement)을 보고받을 수 있다. DL Meas는 다운링크 측정을 의미하며, L2 Meas는 L2 측정을 의미한다.
또한, D-RRM(50)은 S1A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그널링을 통하여 MME와 인터페이스하고, X2AP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그널링을 통하여 이웃 eNodeB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또한, D-RRM(50)은 eNodeB 내부의 CSAP L1과 CSAP L2를 통하여 eNodeB 내부의 자원 제어 및 측정(N.UL Meas, L2 Meas)에 대한 보고를 받을 수 있다. N.UL Meas는 네트워크 업링크 측정, L2 Meas는 네트워크 L2 측정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eNodeB D-RRM(50)은 상술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동성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이동관리를 수행하는 D-RRM(20)의 기능을 본 발명에서는 CMC(Connection Mobility Control)라 명명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CMC에 대한 동작을 구체화한다. 또한, D-RRM(50)에는 CMC 이외에 TLC(Traffic & Load Control) 기능과 ICC (Interference Coordination Control) 기능이 있으며, 이러한 TLC 및 ICC에 의해 CMC에서의 이동성 관리가 어떻게 고려되어야 하는지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체화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D-RRM의 측정 및 제어 시그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 D-RRM을 참조하면, 도 2의 D-RRM(50)은 RRC, X2AP, S1AP 및 CSAP를 통하여 UE, 이웃 eNodeB, MME, D-RRM 자신의 eNodeB에서 하위 계층(L1, L2)와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다. 또한, D-RRM(50)은 RRC 프로토콜과 CSAP을 이용하여 각각 UE 상황(예: 도 2의 UE에서 L1의 DL Meas와 L2의 L2 Meas)과 자신 eNodeB에 대한 상황(예: 도 2의 eNodeB에서 L2의 N.L2 Meas와 L1의 N. UL Meas.)을 모니터링하고 동시에 측정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RRC 프로토콜과 CSAP은 이동성 관리를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eNodeB와 MME 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인 S1AP는 이동성 관리 기능의 일부(예: eNodeB 변경에 따른 eNodeB와 aGW간의 신호 및 데이터 Path 변경)를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X2AP는 이동성 관리 기능의 일부(예: 핸드오버 준비 및 기지국간 핸드오버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RRC는 UE와 eNodeB 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며, X2AP는 eNodeB와 eNodeB 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다. 또한, CSAP는 자신 eNodeB의 L1(PHY)과 L2(MAC, RLC, PDCP 및 GTP)와의 Control Service Access Point이며, S1AP는 eNodeB와 MME 간의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이다.
RRC, X2AP, S1AP 및 CSAP는 제어 표준 프로토콜 및 로컬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볼 때 제어 평면에 해당한다. 측정 모니터링 및 제어의 목적은, 종합적인 이동성 관리 측면에서 신속하고 강인한 핸드오버를 위한 것으로, D.RRM은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을 활용하여 핸드오버 예측 및 결정, 핸드오버 조정 및 최적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Carrier Aggregation 개념에서의 이동성 관리 방법을 기술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사용하는 용어 및 기술을 보다 정확히 정의하고, 주파수 재사용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주파수 재사용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식별번호 '410'에 도시된 'Frequency'는 무선전송방식으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다. 할당된 주파수 대역은 업링크(UL: Up Link), 또는, 다운링크(DL: Down Link)를 위한 대역이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사업자가 도 4의 410과 같은 주파수를 DL 또는 UL에 대하여 할당받았다고 가정하면, 기지국은 기지국이 서비스하려는 무선전송방식의 특성에 따라,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FA(Frequency Assignment, FA1, FA2, FA3)로 분리할 수 있다.
식별번호 '421'은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FA1, FA2, FA3로 분할한 것으로, 셀간 간섭이 존재하면, 기지국은 '4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률(Reuse factor)을 3으로 하여 셀 플래닝함으로써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식별번호 '431'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셀의 총 데이터 처리량을 높이기 위하여,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셀을 섹터링한 경우이다. '431'의 경우, 하나의 기지국에 대하여 방향성 안테나를 이용하여 각 FA별로 3개의 섹터링을 적용한 경우이다. '432'는 '431'과 같이 만들어진 셀을 플래닝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식별번호 '441'은 무선전송방식의 특징에 의해,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FA1만을 가지고 셀 플래닝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경우, FA1의 주파수 재사용률은 1이다.
식별번호 '451'은 셀간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사업자가 FA2, FA3의 주파수를 할당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4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플래닝될 수 있다. 각 셀이 동일한 무선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접속된 UE가 FA1 셀에서 FA1 셀로 이동하면 Intra-frequency 핸드오버라 정의하고, FA1 셀에서 FA2 셀로 이동하는 것과 같이 다른 셀로 UE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Inter-frequency 핸드오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도 1에서 Cell A와 Cell B의 관계는 동일 FA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FA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재사용률은 셀간 간섭을 받지 않으면 1로 설정할 수 있으며, 무선전송방식으로 인해 셀간 간섭이 발생하면 사업자에게 할당된 주파수를 나누어 주파수 재사용률이 1 이상이 되도록 셀 플래닝하거나, 재사용률을 1로 하되 별도의 간섭 완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무선접속방식이 셀간 간섭을 야기하지 않아도, 할당된 주파수를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 가능한 하나의 주파수 캐리어를 CC(Component Carrier)라 할 때, CC 기술은 주파수 대역(FB)에 따라 복수의 CC(예를 들어, CC1, CC2, CC3)를 하나의 기지국에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CC 세트는 CA(Carrier Aggregation)을 위하여 동일 기지국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의 세트를 의미할 수 있다. CA는 하나의 기지국에서 동시 운용이 가능한 CC들의 집합을 의미하거나, 또는, 동일 기지국에서 CC들의 동시 운용이 가능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업링크(UL) CC 세트와 다운링크(DL) CC 세트가 각각 정의된다.
CC1, CC2, CC3는 '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으로 할당되거나, '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연속적으로 할당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FB)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사업자가 CC1, CC2, CC3를 모두 할당 받거나, 서로 다른 사업자에게 일부 CC가 할당될 수도 있다.
식별번호 '521'에 도시된 CC1, CC2 및 CC3은,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무선접속방식이 존재하거나, 또는, 간섭완화방법이 존재하는 경우, '5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셀 커버리지를 가지며,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어, 51)에서 동시에 운영되도록 기지국(51, 52, 53) 별로 CC 플래닝될 수 있다. 이는, 단말기(즉, 사용자 장치)의 성능에 따라 하나의 기지국(예를 들어, 51)에서 CC1, CC2, CC3를 모두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또한, 식별번호 '5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1, CC2 및 CC3를 섹터링하여 동일 기지국의 총 데이터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는 '532'와 같이 셀 플래닝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CA환경뿐만 아니라 CC 플래닝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A를 위한 CC 플래닝이 '522' 또는 '5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CC 커버리지를 갖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기지국별 CC 세트의 수가 같지 않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식별번호 '611'은 모든 기지국(61, 62, 63)의 CC1의 커버리지가 CC2 및 CC3의 커버리지보다 작도록 CC 플래닝된 예이다. 식별번호 '612'는 하나의 기지국(64)은 동일한 커버리지를 가지며, 다른 하나의 기지국(65)은 CC1의 커버리지가 작으며, 또 다른 기지국(66)은 CC1이 없도록 CC 플래닝된 경우를 보여준다.
도 7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CA환경뿐만 아니라, UL CC세트와 DL CC세트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업/다운 CC 세트 수의 불일치)경우가 발생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셀 개념은 UL의 주파수 대역과 DL의 주파수 대역은 하나의 쌍을 이루며, 도 5 및 도 6에서는 DL 커버리지를 기본으로 하여 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는 UL 주파수 대역폭과 DL 주파수 대역폭이 동일하다는 것과 한 쌍을 반드시 이룬다는 것을 암시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CA 환경에서, 하나의 기지국(71)에 CA 기술을 적용하는 경우, DL을 위해 주파수 대역의 개수와 UL을 위한 주파수 대역의 개수는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71)은 DL을 위해 복수의 주파수 대역(fc1_dl, fc2_dl, fc3_dl)을 사용하는 반면, UL을 위해 비대칭적으로 하나의 주파수 대역(fc6_ul)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비대칭'은 UL과 DL의 CC 세트의 개수가 불일치하는 것과 또는 주파수 폭(FB)의 차이도 포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주파수 대역 20 MHz는 일 예로서, 주파수 대역은 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8은 상기 기술한 다양한 CA 환경에서 정의될 수 있는 핸드오버(HO: Handover)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식별번호 '811'과 '812'는, 동일 기지국(eNodeB 1)에서 운용하는 CC세트(CC1, CC2) 사이에서의 핸드오버를 보여주며, 이를 Intra-eNodeB Batch HO라 한다.
식별번호 '811'을 참조하면, UE가 CC1을 사용하는 중 CC2를 이용함으로써 첫번째 Intra-eNodeB Batch HO가 발생하고, CC2를 사용하는 중 CC1을 이용함으로써 두번째 Intra-eNodeB Batch HO가 발생한다.
식별번호 '812'를 참조하면, 첫 번째 유형은, 하나의 CC(CC1)만을 사용하다가 두 개의 CC(CC1, CC2)를 동시에 사용하는 Intra-eNodeB CC Breakup HO이며, 두 번째 유형은 두 개의 CC(CC1, CC2)를 동시에 사용하다가 하나의 CC(CC1)만 사용하는 Intra-eNodeB CC Union HO이다.
'821'과 '822'는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를 CC 상황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821'을 참조하면, 첫 번째 유형은, UE가 이전 기지국(eNodeB 1)에서 하나의 CC1을 사용하는 중 다른 기지국(eNodeB 2)의 CC1로 이동하는 Inter-eNodeB Intra-CC Batch HO이며, 두 번째 유형은, UE가 하나의 기지국(eNodeB 2)에서 CC1을 사용하다가 다른 기지국(eNodeB 1)의 CC2로 이동하는 Inter-eNodeB Inter-CC Batch HO이다.
'822'를 참조하면, 첫 번째 유형은, UE가 이전 기지국(eNodeB 1)에서 CC1을 사용하다가 다른 기지국(eNodeB 2)으로의 핸드오버시 CC1과 CC2를 사용하는 Inter-eNodeB CC Breakup HO를 보여주고 있으며, 두 번째 유형은, UE가 하나의 기지국(eNodeB 2)에서 CC1과 CC2를 사용하다가 다른 기지국(eNodeB 1)의 CC1 하나만을 사용하는 Inter-eNodeB CC Union HO이다.
'831'은, UE가 1개 이상의 CC를 사용하다가 추가된 CC를 사용하는 형태인 CC More Split Breakup HO와, 이와 반대로 CC의 개수가 적어지는 CC Less Split Breakup HO와, 핸드오버시에도 CC의 개수가 유지되는 CC Maintain Split breakup HO를 보여주고 있다. '831'에 도시된 호를 Split 현상이라 하며, Split 현상은 Intra-eNodeB 또는 Inter-eNodeB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는 UL과 DL이 한 쌍을 이루며, 다운링크(DL)를 기준으로 업링크(UL)도 같이 핸드오버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핸드오버는 다운링크(DL)을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CA 환경들을 고려할 때, Intra-eNodeB에서는 업링크(UL)와 다운링크(DL) 핸드오버는 독립적으로 수행되거나 또는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Inter-eNodeB에서는 업링크(UL)와 다운링크(DL) 핸드오버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나, Split 유형이나 Union 유형은 업링크(UL)와 다운링크( DL)가 같지 않을 수도 있다.
<핸드오버 과정>
이하에서는 핸드오버의 과정을 크게 세 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첫 째, 측정 모니터링 및 정보 수집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프레임워크의 D-RRM(50)은 RRC를 통하여 UE 측정 정보를 수집하고, CSAP를 통하여 자신의 eNodeB에 대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며, X2AP를 통하여 이웃 eNodeB들의 자원 준비 및 정보교환을 수행한다. 측정된 정보는 예를 들어, radio rink를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측정 정보는 D-RRM(50)의 각 기능(예를 들어, CMC, TLC, ICC 등)의 역할에 따라 프로세싱될 수 있다.
둘째, 핸드오버 준비 및 결정 단계이다. CMC는 프로세싱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재 가능한 후보 CC 세트를 준비하고, 그에 따른 핸드오버를 실제 수행할지 결정할 수 있다.
셋째, 핸드오버 실행 단계이다. UE는 적절한 시점에 핸드오버되어 다른 eNodeB, 즉, 다른 셀로 이동되어 새로운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둘째 단계에서, CMC는 TLC나 ICC의 요청을 수락하여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세 단계 수행 시 도입되는 CA 환경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의 D-RRM(50)이 3GPP의 NCMA(Network Controlled Mobile Assisited) 핸드오버 정책에 따라 도 8과 같은 핸드오버 유형을 결정하기 위해, 후보 CC 세트들을 준비하고, 핸드오버를 결정 및 실행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UE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집단계에서, UE는 사용중인 CC별 Radio Link 품질(L1 DL Meas.)과 사용중인 CC별 업링크(UL) 트래픽 버퍼의 상태(L2 Meas.) 등의 정보를 측정한 후, 측정된 결과를 RRC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현재의 서빙 기지국(eNodeB)으로 보고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다운링크가 불일치하는 상황이 존재하므로, 기지국의 L1은 기지국에서 UE가 사용중인 업링크 CC들의 Radio Link 품질을 UE별로 측정할 수 있다. 기지국의 L1은 CSAP을 이용하여, 측정된 업링크 CC들의 Radio Link 품질과 측정된 업링크 간섭 정보를 기지국의 L3에 보고할 수 있다. 이러한 측정 파라미터에 대한 상세 내용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7의 경우를 참조하여, 어느 한 기지국은 업링크(UL)를 위해 CC4, CC5, CC6를 사용하며, DL를 위해 CC1, CC2, CC3를 사용하며, UE1이 기지국(71)에 현재 접속된 상태에서 점선의 다운링크로 CC1, CC2, CC3을 사용하고 업링크로 CC6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CA 환경에서는 하기와 같은 파라미터 측정, 다운링크(DL)에 관련된 측정 정보뿐만 아니라 기지국(eNodeB)에서 측정된 업링크(UL)에 관련된 측정 정보(예: 버퍼량 측정과 기지국에서의 UL Radio 품질 측정, 간섭 측정)가 필요하다. 즉, 도 7과 같은 CC 업과 CC 다운에 대한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측정에 있어 UL와 DL를 따로 측정 관리하는 것이 CA 환경에서 더 적합할 수 있다.
기지국에서 CA 셀룰러 환경에서 이동성 관리를 위해 필요한 파라미터는 [표 1], [표 2], [표 3]과 같다. 이는, 도 7에서와 같이, eNodeB(71)이 다운링크로 CC1, CC2, CC3를 사용하고 업링크로 CC4, CC5, CC6를 사용하며, eNodeB(71)에 사용자 장치(UE1)이 현재 다운링크로 CC1, CC2, CC3를 사용하며, 업링크로 CC6를 사용 중이라는 가정에서의 파라미터이다.
파라미터 표기(값)
(Parm 1-1)
CC별 DL 최대 커패시티(DLMC: Maximum Capacity)
DLMC CC1 , DLMC CC2 , DLMC CC3
(Parm 1-2)
CC별 UL 최대 커패시티(ULMC)
ULMC CC4 , ULMC CC5 , ULMC CC6
(Parm 1-3)
Interference Coordination 정책에 따른 CC별 및/또는 위치별 UL/DL PRB 사용 정책
예를 들어 FFR 정책에 따른 UE별 셀의 현재 위치에 따른 CC별 PRB 사용 제한 또는 사용 장려등의 정책(사전에 정의되고 세미 스태틱하게 바뀔수도 있는 정보)
(Parm 1-4)
UE별 해당 UE에 보장되어야 할 총 품질
UE1인 경우, ULGQ UE1 , DLGQ UE1
(Parm 1-5)
UE별 해당 UE의 ULGQ 또는 DLGQ를 만족시키기 위한 CC별 분할 품질
UE1인 경우(참조: 도 7 점선),
ULCCGQ UE1CC6 ,
DLCCGQ UE1CC1, DLCCGQ UE1CC2 , DLCCGQ UE1CC3,
여기서, ULGQ UE1 = ULCCGQ UE1CC6,
DLGQUE1 =DLCCGQ UE1CC1 +DLCCGQ UE1CC2 +DLCCGQ UE1CC3
(Parm 1-6)
UE 별, UE의 현재 서빙 기지국(eNodeB)에서 해당 UE가 사용하는 CC별 DLCCGQ 또는 ULCCGQ를 보장하기 위한 각 CC별 측정되는 물리 신호 품질의 기준치
UE1인 경우(참조: 도 7 점선),
ULCCTH UE1CC6 ,
DLCCTH UE1CC1 , DLCCTH UE1CC2 ,DLCCTH UE1CC3

기지국의 L2 및 L1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은 [표 2]와 같다.
레이어 파라미터 측정값
L2
(도 2의 eNodeB L2에서의 N. L2 Meas 박스)
(Parm 2-1)
CC별 DL 가용 커패시티(DLCCAC: Available Capacity)
DLCCAC CC1 , DLCCAC CC2 , DLCCAC CC3
(Parm 2-2)
CC별 UL 가용 커패시티(ULCCAC)
ULCCAC CC4 , ULCCAC CC5 , ULCCAC CC6
(Parm 2-3)
UE별 UE가 현재 사용하는 CC별 DL 트래픽 버퍼량(DLBA: DL Buffer Amount)
DLCCBA UE1CC1 , DLCCBA UE1CC2 , DLCCBA UE1CC3
L1
(도2의 eNodeB L1에서의 Meas. 박스)
(Parm 2-4)
UE별 UE가 현재 사용하는 CC별 UL 품질(ULCCQ)
UE1의 경우, ULCCQ UE1CC6
(Parm 2-5)
현재 UE가 사용하는 CC별 자원영역으로 다른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오는 간섭의 레벨(ULCCIL: UL CC Interference Level)
UE1의 경우, ULCCIL UE1CC6

사용자 장치의 L2 및 L1에서 측정되는 측정값은 [표 3]과 같다.
레이어 측정값
L2
(도 2의 UE L2에서의 L2 Meas. 박스)
(Parm 3-1)
UE 별, UE가 현재 사용하는 CC별 UL 트래픽 버퍼량
UE1인 경우(참조. 도 7 점선),
ULCCBA UE1CC6
L1
(도 2의 UE L1에서의 L1 Meas. 박스)
(Parm 3-2)
UE에서 현재 측정되는 기지국별 및 CC별 DL 품질(DLENBCCSNR)
- 서빙 기지국의 D-RRM은 UE가 측정할 기지국 대상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
- 서빙 기지국은 DLENBCCSNR에 대한 주기적인 보고 및/또는 이벤트 보고를 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
UE1인 경우(참조. 도 7 점선 그리고 서빙 기지국이 eNodeB1이고 이웃 기지국이 eNodeB2, eNodeB3가 존재한다면)
DLENBCCSNR UE1CC1eNodeB1,
DLENBCCSNR UE1CC2eNodeB1,
DLENBCCSNR UE1CC3eNodeB1
DLENBCCSNR UE1CC1eNodeB2,
DLENBCCSNR UE1CC2eNodeB2,
DLENBCCSNR UE1CC3eNodeB2
DLENBCCSNR UE1CC1eNodeB3,
DLENBCCSNR UE1CC2eNodeB3,
DLENBCCSNR UE1CC3eNodeB3
UE별 해당 UE가 사용하는 자원영역에 다른 기지국(eNodeB)으로부터 오는 CC별 간섭의 레벨(DLCCIL, DL CC Interference Level) UE 1의 경우,
DLCCIL UE1CC1 ,DLCCIL UE1CC2 ,DLCCIL UE1CC2

[표 3]에서, UL 버퍼량과 DL 간섭 레벨은 예를 들어,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운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CA 환경에서 이동성 관리를 위해 D-RRM은 [표 1]과 같은 semi-static한 정보의 관리 및 업데이트와, [표 2]와 같이 자신의 기지국에서 CSAP를 통해 측정되는 정보, 그리고, [표 3]과 같이 UE를 통해 측정되는 정보를 RRC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즉, D-RRM은 [표 1]과 같은 정보 및 [표 2], [표 3]과 같은 이러한 측정정보들을 바탕으로 CA 환경에서 이동성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CA환경에서 핸드오버는 크게 세가지 범주에서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첫째, 현재 접속된 CC들의 SNR 품질이 나빠지는 경우, 둘째, 시스템 측면에서 간섭을 완화하기 위한 경우, 셋째, 트래픽 상황에 따라 시스템 차원의 로드분배 요구 시에 핸드오버가 일어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첫 번째 범주는 D-RRM의 CMC가 필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두 번째 범주는 ICC가 담당하며, 세 번째 범주는 TLC가 담당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두 번째 범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RRM(50)내에 ICC(Interference Coordination Control) 기능이 있다면, ICC는 [표 1]에서 상술한 Interference Coordination 정책에 따른 CC별 UL/DL PRB(Physical Resource Block) 사용 정책 및 Proactive Approach에 의해 간섭제어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간섭 제어를 Interference Indication이라 할 수 있다.  Proactive Approach란 사전에 정의된 간섭 규정에 따라 간섭이 간섭을 예방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CC는 [표 2]와 [표3]을 참조하여 상술한 해당 UE가 사용하는 CC별 간섭 레벨(ULCCIL, DLCCIL)의 측정 결과에 따라 Reaction Approach를 이용하여 간섭제어를 할 수 있다. 이러한, ICC의 간섭제어에 의해서 CMC가 ICC로부터 받는 정보를 본 발명에서는 Interference Indication 정의한다. Reaction Approach는 간섭이 발생한 결과에 따라 간섭을 사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active 적인 측면에서 Interference Indication의 의미는, 간섭을 제어하기로 하였으니 해당 UE가 사용하는 CC에서 특정 PRB 자원 사용을 자제하거나 추천하는 것을 지시하거나, 또는 해당 CC를 사용하지 말거나 사용할 것을 지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Reactive적인 측면에서 Interference Indication의 의미는, 해당 UE가 사용하는 CC에서 발생하는 간섭의 레벨에 따른 조치를 요청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은 UE가 사용하는 해당 CC에서 사용중인 PRB에 간섭이 매우 많으므로, 이 때의 대응책으로서, 동일 CC에서 다른 PRB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다른 CC로의 이동을 검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A 환경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동일 CC에서 다른 PRB로 이동시키는 작업은 MAC 스케줄러에 의해 이루어 지는 일이다. 따라서, 상술한 ICC의 Interference Indication은, 간섭문제로 인하여 해당 UE가 해당 CC를 사용하지 말도록 제어하는 의미로 해석되며, 이러한 Interference Indication을 확인한 D-RRM(50)의 CMC는 해당 CC 사용을 배제하는 것으로 기술한다.
세 번째 경우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D-RRM(50)내에 Traffic Load Control(TLC) 기능이 있다면, TLC 기능은 [표 1], [표 2] 및 [표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정보를 고려 및 참조하여 Overload Indication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 중 고려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CC별 다운링크(DL)와 업링크(UL)의 최대 커패시터(DLMC(Parm 1-1), ULMC(Parm 1-2)), 품질((Parm 1-4), (Parm 1-5))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정보 중 참조되는 정보는 예를 들어, UL과 DL의 가용 커패시티(DLCCAC (Parm 2-1), ULCCAC(Parm 2-2)), UL과 DL의 트래픽 버퍼량(DLCCBA(Parm 2-3), ULCCBA(Parm 3-1))을 포함한다.
Overload Indication 제어란, D-RRM(50)의 TLC가 상술한 정보를 바탕으로, 임의 UE가 임의 CC를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CMC에게 알려주는 것을 의미한다.  CMC는 결정된 Overload Indication을 TLC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UE가 해당 CC를 사용중인 경우, 해당 CC의 사용을 배제한 상태에서, 가장 적합한 형태의 핸드오버를 실행할 수 있다.
[도 8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이하에서는, [표 1], [표 2] 및 [표 3]에 정의된 파라미터를 근거로 도 3의 현재 서빙 기지국의 D.RRM이 도 8의 핸드오버 유형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CA 환경에서 가장 큰 핸드오버의 변화 중 하나는 Intra-eNodeB HO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과, Intra-eNodeB HO의 UL과 DL이 서로 독립적인 시간에 개별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Intra-eNodeB HO는 동일 기지국에서 CC가 바뀌는 핸드오버이다.
반면, Inter-eNodeB HO는 DL과 UL이 동시에 함께 핸드오버되어야 한다. Inter-eNodeB HO는 기존 핸드오버처럼 주로 DLENODEBCCSNR 품질(표 3의 Parm 3-2)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ULCCQ 품질(표 2의 Parm 2-4)과 DLENODEBCCSNR 품질을 서로 고려하여야 한다. 즉, 어느 한쪽 링크(예를 들어, DL)에서 Best CC 세트(BCCC)가 결정되고, 결정된 BCCC가 Inter-eNodeB HO를 의미하면, 다른 링크(예를 들어, UL)의 Best CC 세트도 타겟 기지국의 CC들로부터 결정하여, 타겟 기지국에 대한 업링크 BCcc와 다운링크 BCcc가 함께 확보된 상태에서 Inter-eNodeB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BCcc가 타겟 기지국의 CC 세트이기 때문이다. BCcc는 서빙 기지국에서 현재 서비스되는 UE가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CC 세트를 의미한다.
현재 서빙 기지국에서의 UL(UCcc)와 DL(UCcc)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한 UL(BCcc)와 DL(BCcc)를 비교할 때, 도 8의 DL 기준 핸드오버 유형은 UL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DL이 '811' 또는 '812'와 같은 유형을 보일지라도, UL도 각각 '811' 또는 '812'와 같은 핸드오버가 DL과 동시에 일어난다고 볼 수 없다.
또한, 현재 서빙 기지국에서의 UL(UCcc)와 DL(UCcc)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한 UL(BCcc)와 DL(BCcc)를 비교할 때, 비교 결과가 Intra-eNodeB HO이면, UL Only HO, DL Only HO 또는 UL/DL 동시 HO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Union형태 또는 Split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서빙 기지국에서의 UL(UCcc)와 DL(UCcc)과, 서빙 기지국이 결정한 UL(BCcc)와 DL(BCcc)를 비교할 때, 비교 결과가 Inter-eNodeB HO이면, UL/DL이 동시에 HO 되며, DL에서 '822'의 Inter-eNodeB CC Breakup HO가 일어날 수 있고, UL에서 '821'의 Inter-eNodeB Intra-CC Batch HO가 일어 날 수 있다. 이는, Union 형태 또는 Split 형태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Inter-eNodeB HO는 타겟 eNodeB로 UL과 DL이 동시에 HO되어야 하지만 그 유형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후술할 도 9 내지 도 11은 이러한 유형 결정의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HO 결정 후 핸드오버 실행 시, 서빙 기지국은 UE에게 RRCConnectionReconfiguration (for HO) 메시지를 전송하며, 이 때, 결정된 UL 및/또는 DL BCcc를 사용하는데 필요한 PHY/MAC/RLC/PDCP에 대한 정보와 상호 엔터티간의 연결관계를 일괄적으로 제공한다.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가 Intra-eNodeB 핸드오버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Intra 계속 서빙 기지국의 지위를 유지하며, UE는 이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인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를 서빙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전송되는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가 Inter-eNodeB 핸드오버 명령을 포함하는 경우, 서빙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지위를 상실하고 이웃 기지국이 된다. UE는 메시지(RRCConnectionReconfiguration))가 지시하는 해당 이웃 기지국으로 응답 메시지인 RRCConnectionReconfigurationComplete를 전송한다. 이 메시지를 받은 이웃 기지국은 서빙 기지국의 지위를 갖게 된다.
도 8을 BCcc와 UCcc 관점에서 다시 설명하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쪽에서 결정되는 Best CC 세트가 UCcc와 같다면 핸드오버가 발생한다.
또한, UL 또는 DL 측에서 결정되는 BCcc가 소스 기지국 내의 CC에서 결정되며, 결정된 BCcc가 UCcc와 다르면 Intra-eNodeB HO가 발생한다. 그러나, UL만 다르다면 UL 독자적인 Intra-eNodeB HO가 발생하고, DL만 다르다면 DL 독자적인 Intra-eNodeB HO가 발생한다.
결정된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 BCcc가 이웃 기지국의 CC이면, 이웃 기지국과의 핸드쉐이크 메시지 교환이 필요하며, 이러한 교환을 통해 결정된 (Parm 4-2-3)이 최종 협상된 BCcc로 결정된다. 핸드쉐이크 메시지 교환은, [표 4]의 4-1 메시지를 서빙 기지국에서 이웃기지국으로 보내고, 4-2 메시지를 이웃 기지국이 응답으로서 서빙 기지국에게 보내는 과정일 수 있다. 이웃 기지국이 (Parm 4-2-3)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Handover Request
(4-1)
(Parm 4-1-1)
UE ID (해당 UE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 어떤 형태든 상관 없음)
UE1 ID
(Parm 4-1-2)
서빙 eNodeB ID {표 1의 (Parm 1-4) ULGQ, DLGQ}
eNodeB 1 {ULGQ UE1 = 30, DLGQ UE1= 40}
(Parm 4-1-3)
서빙 eNodeB ID {표1의 (Parm 1-5)ULCCGQ, DLCCGQ}
eNodeB 1 {DLCCGQ CC1 =13, DLCCGQ CC2 =12, DLCCGQ CC3 =15, ULCCGQ CC6=30}
(Parm 4-1-4)
표 3의 (Parm 3-2)중에서 TPREP보다 큰 DLENODEBCCSNR을 조건을 갖는 이웃 기지국들 중에서 Handover Request를 보낼 해당 기지국들에 대한 CC 세트
Handover Request를 보낼 이웃 eNodeB ID {DL-CC 세트}
eNodeB 2 {CC2, CC3}
(Parm 4-1-5)
서빙 eNodeB ID {사용 CC 세트}
- (Parm 4-1-3을 통해서도 추정할 수 있는 정보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추가함)
eNodeB 1 {DL(CC1,CC2,CC3), UL(CC6)}
(Parm 4-1-6)
서빙 eNodeB ID {Full coverage DL CC 세트}
eNodeB 1 {DL(CC2,CC3), UL(CC5, CC6)}
(Parm 4-1-7)
UE1에서 최대 지원가능한 CC 개수
- UEDLCapa, UEULCapa
UEDLCapa(3)
UEULCapa(3))
Handover Request ACK
(4-2)
(Parm 4-2-1)
UE ID (해당 UE를 구분할 수 있는 정보로 어떤 형태든 상관 없음)
UE1 ID
(Parm 4-2-2) 성공 또는 실패
Success or Failure
Success인 경우만 (Parm 4-5, 4-6, 4-7이 유효한 정보임)
Success
(Parm 4-2-3)
이웃 eNodeB ID {사용가능한 DU-CC 세트, UL-CC세트}
eNodeB 2 {DL(CC3), UL(CC5)}
-
(Parm 4-2-4)
이웃 eNodeB ID {표 1의 (Parm 1-4) ULGQ, DLGQ}
eNodeB 2 {ULGQ UE1 , DLGQ UE1}
(Parm 4-2-5)
이웃 eNodeB ID {표1의 (Parm 1-5)ULCCGQ, DLCCGQ}
eNodeB 2 {DLCCGQ CC3 , ULCCGQ CC5}

다음과 같은 상황을 고려하여 핸드오버 유형의 사례를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n 서빙 기지국 UCcc
UE1 UL UCcc = eNodeB1{CC6}
UE1 DL UCcc = eNodeB1{CC1, CC2, CC3}
n Case 1
UE1 UL UCcc = eNodeB1{CC6}
UE1 DL UCcc = eNodeB1{CC1, CC2, CC3}
n Case 2
UE1 UL BCcc = eNodeB1{ CC6}
UE1 DL BCcc = eNodeB1{ CC2, CC3}
n Case 3
UE1 UL BCcc = eNodeB1{ CC5}
UE1 DL BCcc = eNodeB1{ CC1, CC2, CC3}
n Case 4
UE1 UL BCcc = eNodeB2{CC5}
UE1 DL BCcc = eNodeB1{CC2,CC3}
n Case 4-1
UE1 UL BCcc = eNodeB2{CC5}
UE1 DL BCcc = eNodeB2{CC1,CC3}
[UCcc AND Case 1. BCcc]
→ 아무런 HO가 발생하지 않는다.
[UCcc AND Case 2. BCcc]
→ [DL HO Execution]만 일어나며 핸드오버 유형은 Intra-eNodeB CC Less Split breakup HO이다.
[UCcc AND Case 3. BCcc]
→ [UL HO Execution]만 일어나며 핸드오버 유형은 Intra-eNodeB CC Batch HO이다.
[UCcc AND Case 4. BCcc]
→ Case 4에서 UL BCcc에 inter-eNodeB가 있음을 인식한다.
→ [표 4]의 4-1 메시지를 eNodeB2로 보낸다 (Parm 4-1-4의 경우, DL만 해당하며 여기에서는 표 1의 (Parm 1-6) DLCCTH를 넘는 eNodeB2의 DLENODEBCCSNR의 CC를 큰 순으로 넣을 수 있음). 이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표 4의 4-2메시지의 (Parm 4-2-2)가 success라면 (Parm 4-2-3)을 BCcc로 업데이트 한다.
→ 응답 온 BCcc가 case 4-1이라면, [DL HO Execution]과 [UL HO Execution]이 하나의 메시지로 처리되어 동시에 처리되어야 한다. 전자(DL)는 Inter-eNodeB CC Less Split breakup HO이고 후자(UL)는 Inter-eNodeB Inter-CC Batch HO 형태이다.
[데이터 프로세싱]
한편, HO 결정시 사용되는 데이터 프로세싱은, 도 2의 프레임워크에서 RRC, X2AP 및 CSAP로부터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근거로 핸드오버 결정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이다. 데이터 프로세싱은 크게 Radio Condition 관련 프로세싱, Traffic Load 관련 프로세싱, 간섭관련 프로세싱으로 구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범주를 각각 CMC, TLC 및 ICC라는 논리적 엔터티가 담당하며, 두 번째 범주와 세 번째 범주의 경우 TLC 및 ICC가 CMC에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데이터 프로세싱-CMC 기능으로 Radio Condition 관련 프로세싱]
도 7의 경우, CMC 관점에서의 데이터 프로세싱이란 도 2의 프레임워크에서 RRC, X2AP, CSAP으로부터 핸드오버 관련 정보를 받고 그 정보를 근거로 핸드오버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CC 세트의 집합은 크게 두 가지로 관리한다. 하나는 현재 UE가 사용하는 서빙 기지국의 CC 세트(Used CC: UCcc)라 하며, UL과 DL 각각 관리된다. 다른 하나는, 서빙 기지국과 이웃기지국마다 UL과 DL에서의 Radio Condition을 측정하고, 측정된 Radio Condition에 기반하여 CC 세트(Measured CC: MCcc)을 마련하며, MCcc 중 사용하기 가장 좋은 조건을 가진 CC를 Best CC로 정의한다.
[UCcc]
UE1-DL UCcc = eNodeB1{CC1, CC2}
UE1-UL UCcc = eNodeB1{CC6}
UE1이 UL로 eNodeB1의 CC6를 사용하고, DL로 CC1, CC2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임.
[MCcc]
UE1-DL MCcc = eNodeB1{CC1,CC2,CC3}
UE1-DL MCcc = eNodeB2{CC1,CC2,CC3}
UE1-UL MCcc = eNodeB1{CC4,CC5,CC6}
서빙 기지국(eNodeB 1)의 D-RRM은 CC별로 측정 대상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빙 기지국(eNodeB 1)은 측정제어를 통해, 서빙 기지국(eNodeB 1)의 DL CC1, CC2, CC3과 이웃 기지국(eNodeB 2)의 DL CC1, CC2, CC3에 대한 DLENODEBCCSNR(Parm 3-2)를 측정하도록 UE1에게 지시한다.
또한, 서빙 기지국(eNodeB 1)은, UE1이 사용 중인 서빙 기지국(eNodeB 1)의 UL CC4, CC5, CC6에 대해 ULCCQ (Parm 2-4)를 측정하도록, 서빙 기지국(eNodeB 1)의 L1에게 지시한다.
이러한 측정 제어를 통해 결정된 MCcc로부터, DL에 대해서는 CC별로 DLENODEBCCSNR 측정값이 획득되며, UL에 대해서는 ULCCQ 측정값이 획득된다.
[BCcc]
DL의 경우, UCcc의 각 CC 멤버에 대한 DLENODEBCCSNR이 'DLCCTH (Parm 1-6) + DLCCTHMargin'보다 크면, DL UCcc = DL BCcc가 된다.
UL의 경우, UCcc의 각 CC 멤버에 대한 ULCCQ가 'ULCCTH(Parm 1-6)+ULCCTHMargin)'보다 크면, UL UCcc = UL BCcc가 된다.
여기서, DLCCTH, ULCCTH에 대하여 시스템 운용상의 마진(DLCCTHMargin, ULCCTHMargin)값을 적용할 수도 있다.
DL의 경우, UCcc의 각 CC 멤버에 대한 DLENODEBCCSNR이 'DLCCTH (Parm 1-6) + DLCCTHMargin'보다 낮아지는 경우에 DL BCcc를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A. Algorithm DL BCcc 결정 과정
a.1 If ((서빙 eNodeB의 DL UCcc의 CC멤버의 DLENODEBCCSNR) < (DLCCTH+ DLCCTHMargin))
then
{
a.1.1 DL MCcc의 각 CC의 DLENODEBSNR이 'DLCCTH'를 넘는 CC들에 대한 그 차이의 합을 구한다.
a.1.2 a.1.1에서 구한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것을 일단 BCcc라고 정한다.
a.1.3 if(BCcc가 intra-eNodeB라면)
{
a.1.3.1 TLC 기능에 의해 서빙기지국 DL MCcc 멤버 중 (DLCCTH+ DLCCTHMargin)보다 큰 멤버 중에서 가장 큰 순으로 DLGQ(Parm 1-4)와 DLCCAC(Parm 2-1)를 고려하여 할당한다.
a.1.3.2 할당이 성공하면 그 할당된 것을 BCcc로 결정하고 할당에 실패하며 a.1.1에서 구한 두번째 값을 BCcc로 결정한다. 결국 이것은 inter-eNodeB이므로 a.1.4안의 처리루틴으로 간다.
}
a.1.4 else //inter-eNodeB라면
{
a.1.4-1 표 4의 4-1 메시지를 이웃 기지국으로 보낸다.
a.1.4-2 표 4의 4-2 메시지를 받는다. 표 4-2의 (Parm 4-2-2)가 success이면 (Parm 4-2-3)을 BCcc로 결정한다.
a.1.4-3 표 4의 4-2의 (Parm 4-2-2)가 failure이면 a.1.1에서 구한 값 다음 큰 값을 BCcc로 결정하고 a.1.1에 해당하는 eNodeB가 있을 때까지 a.1.4를 반복한다.
}
}
a.1.1을 설명하면
DLCCTH가 각 CC별로 7로 같고 DL UCcc = {CC1, CC2, CC3}라면
UE1-DL MCcc = eNodeB1{CC1,CC2,CC3} → DLENODEBCCSNR{5,18,13} ? (18-7)+(13-7)= 17
UE1-DL MCcc = eNodeB2{CC1,CC2,CC3} ? DLENODEBCCSNR{3, 2, 8} ? (8-1) = 7;
로 a.1.3 (intra-eNodeB)로 들어가 처리된다.
DLCCTH가 각 CC별로 7로 같고 DL UCcc = {CC1, CC2, CC3}라면
UE1-DL MCcc = eNodeB1{CC1,CC2,CC3} ? DLENODEBCCSNR{8,8,8} ? (8-7)+(8-7)+(8-7)= 3
UE1-DL MCcc = eNodeB2{CC1,CC2,CC3} ? DLENODEBCCSNR{9,10,11} ? (9-7)+(10-7)+(11-7)= 9
로 a.1.4 (inter-eNodeB)로 들어가 처리된다.
a.1.4에서 X2AP 메시지인 4-1과 4-2를 이용하여 이웃 기지국과 핸드쉐이크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진행되거나, a.1.1 조건을 만족하는 이웃 기지국과 패러렐하게 진행되거나, 또는, 임의 DNENODEBCCSNR값이 임의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진행될 수 있다. X2AP를 이용하는 경우, 반드시 Parm 4-2-3)을 통해 DL BCcc도 같이 전달된다.
UL의 경우, UCcc의 각 CC 멤버에 대한 ULCCQ가 'ULCCTH(Parm 1-6)+ULCCTHMargin)'보다 낮아지는 경우, UL BCcc를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B. Algorithm UL BCcc 결정 과정
b.1 If ((서빙 eNodeB의 UL UCcc의 CC멤버의 ULCCQ) < (ULCCTH+ ULCCTHMargin))
then
{
b.1.1 UL MCcc의 각 CC의 ULCCQ이 'ULCCTH'를 넘는 CC들에 대한 그 차이의 합을 구한다.
b.1.2 b.1.1에서 구한 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갖는 것을 일단 BCcc라고 정한다.
b.1.3
b.1.3.1 TLC 기능에 의해 서빙기지국 UL MCcc 멤버 중 (ULCCTH+ ULCCTHMargin)보다 큰 멤버 중에서 가장 큰 순으로 ULGQ(Parm 1-4)와 ULCCAC(Parm 2-1)를 고려하여 할당한다.
b.1.3.2 if(할당이 성공)
{
그 할당을 BCcc로 결정한다
}
b.1.3.3 else //(할당이 실패)
{
b.1.3.3-1 a.1.1에서 구한 값 중에서 Intra-eNodeB를 제외한 값이 큰 순서대로 [표 4]의 4-1 메시지를 이웃 기지국으로 보낸다.
b.1.3.3-2 [표 4]의 4-2 메시지를 받는다. [표 4]의 (Parm 4-2-2)가 success이면 (Parm 4-2-3)을 BCcc로 결정한다.
b.1.3.3-2 [표 4]의 4-2의 (Parm 4-2-2)가 failure이면 a.1.1에서 구한 값 다음 큰 값을 BCcc로 결정하고 a.1.1에 해당하는 eNodeB가 있을 때까지 b1.3.3를 반복한다.
}

실시 예로서, a.1.1을 설명하면
ULCCTH가 각 CC별로 7로 같고 UL UCcc = {CC6}라면
UE1-UL MCcc = eNodeB1{CC4,CC5,CC6} ? DLENODEBCCSNR{18,12,5} ? b.1 조건이 됨
[데이터 프로세싱 - TLC 기능으로 Traffic Load 관련 프로세싱]
하나의 기지국에 있는 D-RRM의 TLC는 자신의 기지국의 CC들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또는, D-RRM의 TLC는 다른 이웃 기지국의 TLC와 X2AP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쉐이크 메시지나 지시를 송수신함으로써, 자신의 D-RRM의 CMC에게 Traffic Load Balancing 차원에서 CC에 대한 사용을 금지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TLI(Traffic Load Indication)라 정의하며, 자신의 기지국내에서 특정 UE에 대하여 임의 CC를 사용제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상술한 A 알고리즘 및 B 알고리즘의 a.1.1, a.1.3.1, b.1.1, b.1.3.1에서 해당 CC를 배제하여야 한다.
[데이터 프로세싱-ICC 기능으로 Interference Coordination 관련 프로세싱]
하나의 기지국에 있는 D-RRM의 ICC는 자신의 기지국의 CC들의 사용을 금지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또는, D-RRM의 ICC는 이웃 기지국의 D-RRM의 ICC와의 X2AP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쉐이크 메시지나 지시를 송수신함으로써, 자신의 D-RRM CMC에게 Interference Coordination 차원에서 CC에 대한 사용을 금지하거나 추천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ICI(Interference Coordination Indication)라고 정의하며, 자신의 기지국내에서의 특정 UE에 대하여 임의 CC에 대한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의에 따르면, 상술한 A 및 B 알고리즘에서 a.1.1, a.1.3.1, b.1.1, b.1.3.1에서 해당 CC를 배제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핸드오버(HO) 유형이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의해 결정되는 Inter-eNodeB HO 유형은 DL 또는 UL을 함께 표기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DLENODEBCCSNR 측정값을 이용한 핸드오버 시 사용할 CC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90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RRC, CSAP 및 X2AP를 통해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
91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의 D-RRM의 CMC는 상술한 데이터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데이터 프로세싱은 상술한 바와 같이, Radio Condition Processing, Traffic/Load Processing 및 Interference Processing을 포함한다.
915단계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결과, DL의 BCcc가 변경되면, 92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변경된 BCcc가 자신의 CC 세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920단계는, 변경된 BCcc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HO가 inter-eNodeB HO를 의미하는지 판단한다. inter-eNodeB HO는 기지국 간에 발생하는 HO이다.
변경된 BCcc가 자신의 CC 세트에 포함되면, 즉, inter-eNodeB HO가 아니면, 서빙 기지국은 후술할 도 12의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920단계의 판단결과, 변경된 BCcc가 타겟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 2)에 해당하면, 즉, inter-eNodeB HO이면, 92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UL CC Indication Processing을 수행한다. DL/UL CC Indication Processing은 DL관점에서 inter-eNodeB 핸드오버를 해야 하는지를 UL과 함께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930단계에서, DL/UL CC Indication이 False이면, 93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 BCcc에서 타겟 기지국(eNodeB 2)의 CC를 배제하고, 다음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intra-eNodeB, 즉, 서빙 기지국(eNodeB 1)의 CC에서 BCcc를 결정한다.
반면, 930단계에서, DL/UL CC Indication이 True로 판단되면, 94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eNodeB 2)의 CC들에서 UL BCcc set을 결정한다. 이때 핸드오버의 유형 결정은 UCcc내의 멤버 수, BCcc의 멤버 수 및 CC 비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UL/DL 핸드오버의 유형이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945단계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결과, UL의 BCcc가 변경되면, 95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변경된 BCcc가 자신의 CC 세트에 포함되는지 판단한다. 즉, 950단계는, 변경된 BCcc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HO가 inter-eNodeB HO를 의미하는지 판단한다.
변경된 BCcc가 자신의 CC 세트에 포함되면, 즉, inter-eNodeB HO가 아니면, 서빙 기지국은 후술할 도 13의 과정을 수행한다.
950단계의 판단결과, 변경된 BCcc가 타겟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 2)에 해당하면, 즉, inter-eNodeB HO이면, 95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UL/DL CC Indication Processing을 수행한다. UL/DL CC Indication Processing은 UL관점에서 inter-eNodeB 핸드오버를 해야 하는지를 DL과 함께 고려하는 것을 의미한다.
960단계에서, UL/DL CC Indication이 False이면, 96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UL BCcc에서 타겟 기지국(eNodeB 2)의 CC를 배제하고, 다음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intra-eNodeB, 즉, 서빙 기지국(eNodeB 1)의 CC에서 BCcc를 결정한다.
반면, 960단계에서, UL/DL CC Indication이 True로 판단되면, 97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타겟 기지국(eNodeB 2)의 CC들에서 DL BCcc를 결정한다. 이때 핸드오버의 유형 결정은 UCcc내의 멤버 수, BCcc의 멤버 수 및 CC 비교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UL/DL 핸드오버의 유형이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DL BCcc가 변경되고, 변경된 DL BCcc가 inter-eNodeB 핸드오버를 의미하면, 핸드오버를 실제 실행하기 위해서는, UL BCcc를 타겟 기지국(eNodeB 2)의 CC로 변경하여 동일한 시점에서 DL/UL HO Execution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반대로, UL BCcc가 변경되고, 변경된 UL BCcc가 inter-eNodeB 핸드오버를 의미하면, 핸드오버를 실제 실행하기 위해서는, DL BCcc셋을 타겟 기지국(eNodeB 2)로 변경하여 동일한 시점에서 UL/DL HO Execution이 일어나도록 해야 한다. 이때, DL HO와 UL HO는 inter-eNodeB의 경우에 동시에 실행되지만, DL HO와 UL HO의 유형은 다를 수 있다.
도 10은 inter-eNodeB HO에서, DL BCcc 변경에 따른 다운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00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사용중인 CC 세트(DL UCCC)의 멤버수를 확인하여 1이면, 1010단계에서 915단계에서 변경된 CC 세트(DL BCCC)의 멤버수가 1인지 확인한다.
101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 UCCC와 DL BCCC가 동일한지 판단한다. 즉, 서빙 기지국은 현재 다운링크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핸드오버시 사용할 후보 주파수 대역이 서로 동일한지 판단한다. 판단결과, 서로 동일하면, 102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2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intra-CC Batch HO로 결정한다.
또한, 1015단계의 판단결과 DL UCCC와 DL BCCC가 다르면, 102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2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inter-CC Batch HO로 결정한다.
또한, 1010단계에서 확인된 DL BCCC의 멤버수가 1이 아니면, 103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22'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CC Breakup HO로 결정한다.
한편, 1005단계에서 확인된 DL UCCC의 멤버수가 1이 아니면, 103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 BCCC의 멤버수가 1인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DL BCCC의 멤버수가 1이면, 104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22'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CC Union HO로 결정한다.
또한, 1035단계에서 확인된 DL BCCC의 멤버수가 1이 아니면, 104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 UCCC의 멤버수와 DL BCCC의 멤버수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DL BCCC의 멤버수가 더 많으면, 105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3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CC more split Breakup HO로 결정한다.
또한, 1055단계에서, DL UCCC의 멤버수가 DL BCCC의 멤버수가 동일하면, 106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3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CC maintain split Breakup HO로 결정한다.
1055단계에서, DL UCCC의 멤버수가 DL BCCC의 멤버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즉, DL UCCC의 멤버수가 더 많으면, 106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3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CC less split Breakup HO로 결정한다.
상술한 도 10은, inter-eNodeB HO에서 DL BCcc 변경에 따른 inter-eNodeB HO 유형 결정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DL BCcc가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핸드오버가 inter-eNodeB이면, 핸드오버 유형은 DL UCcc 내의 CC 멤버수, DL BCcc 내의 CC 멤버수, 그리고, CC 비교를 통하여 결정된다. 이때, DL inter-eNodeB 핸드오버 실행은 UL과 직접적인 상관없이 수행된다.
도 11은 inter-eNodeB HO를 수행할 때, UL BCcc 변경에 따른 업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의 1105단계 내지 1165단계는 도 10의 1005단계 내지 1065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er-eNodeB HO의 경우, UL과 DL에 대한 핸드오버 유형은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나, UL과 DL에 대한 HO는 동시에 실행된다.
도 12는 intra-eNodeB HO를 수행할 때, DL BCcc 변경에 따른 다운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20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사용중인 CC 세트(DL UCCC)의 멤버수를 확인하여 1이면, 1210단계에서 915단계에서 변경된 CC 세트(DL BCCC)의 멤버수가 1인지 확인한다.
확인된 DL BCCC의 멤버수가 1이면, 121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1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ra-eNodeB CC Batch HO로 결정한다.
또한, 1210단계에서 확인된 DL BCCC의 멤버수가 1이 아니면, 122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12'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ra-eNodeB CC Breakup HO로 결정한다.
한편, 1205단계에서 확인된 DL UCCC의 멤버수가 1이 아니면, 122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 BCCC의 멤버수가 1인지 확인한다.
확인 결과, DL BCCC의 멤버수가 1이면, 123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12'를 참조하여 설명한 intra-eNodeB CC Union HO로 결정한다.
또한, 1225단계에서 확인된 DL BCCC의 멤버수가 1이 아니면, 123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DL UCCC의 멤버수와 DL BCCC의 멤버수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DL BCCC의 멤버수가 더 많으면, 124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3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ra-eNodeB CC more split Breakup HO로 결정한다.
또한, 1245단계에서, DL UCCC의 멤버수가 DL BCCC의 멤버수가 동일하면, 125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3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ra-eNodeB CC maintain split Breakup HO로 결정한다.
1245단계에서, DL UCCC의 멤버수가 DL BCCC의 멤버수가 동일하지 않으면, 즉, DL UCCC의 멤버수가 더 많으면, 125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의 유형을 도 8의 '831'을 참조하여 설명한 intra-eNodeB CC less split Breakup HO로 결정한다.
상술한 도 12는, intra-eNodeB HO에서 DL BCcc 변경에 따른 intra-eNodeB HO 유형 결정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DL BCcc가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핸드오버가 intra-eNodeB HO이면, 핸드오버 유형은 DL UCcc 내의 CC 멤버수, DL BCcc 내의 CC 멤버수, 그리고, CC 비교를 통하여 결정된다. 이때, DL intra-eNodeB 핸드오버 실행은 UL과 직접적인 상관없이 수행된다.
도 13은 intra-eNodeB HO를 수행할 때, UL BCcc 변경에 따른 업링크의 CA 핸드오버 유형 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의 1305단계 내지 1355단계는 도 12의 1205단계 내지 1255단계와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UL BCcc가 변경되는 경우, 대응하는 핸드오버가 intra-eNodeB HO이면, 핸드오버 유형은 UL UCcc 내의 CC 멤버수, UL BCcc 내의 CC 멤버수, 그리고, CC 비교를 통하여 결정된다. 이때, UL intra-eNodeB 핸드오버 실행은 DL과 직접적인 상관이 없이 수행된다.
[도 9 UL/DL CC Indication Processing 또는 DL/UL CC Indication Processing]
이하에서는 도 9의 925단계에서 수행되는 UL/DL CC Indication Processing과 955단계에서 수행되는 DL/UL CC Indication Processing에 대해 설명한다.
서빙 기지국은, DL BCcc가 inter-eNodeB로 결정된 경우, DL/UL CC Indication Processing을 하며, UL BCcc가 inter-eNodeB로 결정된 경우, UL/DL CC Indication Processing을 한다. CC Indication Processing은, 임의 링크(예를 들어, DL)에서 결정한 inter-eNodeB가 다른 eNodeB에서도 유용한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상술한 A.알고리즘에 의해 inter-eNodeB를 의미하는 DL BCcc(들)이 결정된 상태에서 DL/UL CC Indication Processing이 수행된다. 이 과정은, 현재 서빙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DL UCcc에서도 아직까지는 데이터를 전송할 할 수 있다고 판단된 상태에서 UL 을 변경할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UL 입장에서 inter-eNodeB로 BCcc(들)이 결정되었다면, DL/UL CC Indication은 True가 되어 Inter-eNodeB HO를 목표로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그러나, UL 입장에서 intra-eNodeB 의미의 BCcc가 결정되었다면 A.알고리즘에 의해 나온 inter-eNodeB 의미의 BCcc와 intra-eNodeB 의미의 BCcc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True 혹은 False를 결정한다. 만약, True라면 Inter-eNodeB HO를 목표로 다음 절차를 진행하고 False라면 A.알고리즘에 의한 결과인 DL BCcc(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Intra-eNodeB내에서의 BCcc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B.알고리즘에 의해 inter-eNodeB를 의미하는 UL BCcc(들)이 결정된 상태에서 UL/DL CC Indication Processing이 수행된다. 이 과정에서 현재 서빙 기지국에서 사용중인 UL UCcc에서도 아직까지는 데이터를 전송할 할 수 있다고 판단된 상태에서 DL 을 변경할지를 고려하는 것이다. DL 입장에서 inter-eNodeB로 BCcc(들)을 결정했다면 UL/DL CC Indication은 True가 되어 Inter-eNodeB HO를 목표로 다음 절차를 진행한다. 그러나, DL 입장에서 intra-eNodeB 의미의 BCcc를 결정했다면 B.알고리즘에 의해 나온 inter-eNodeB 의미의 BCcc와 intra-eNodeB 의미의 BCcc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True 혹은 False를 결정한다. 만약, True라면 Inter-eNodeB HO를 목표로 다음 절차를 진행하고, False라면 B.알고리즘에 의한 결과인 UL BCcc(들)을 배제한 상태에서 Intra-eNodeB내에서의 BCcc를 찾는 과정을 수행한다.
서빙 기지국은 판단된 Indication이 True이면, [표 4]의 4-1 및 4-2를 이용하여 협상한 결과를 따르며, Indication이 False라면 결정된 inter-eNodeB BCcc를 배제한 상태에서 intra-eNodeB내에서 만족하는 BCcc를 다시 계산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40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핸드오버 시 사용할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
141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한다. 1410단계는 도 9의 910단계와 유사하다.
141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는 예를 들어, 도 9에서 설명한 DL BCcc일 수 있다. 또한,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는 예를 들어, 도 9에서 설명한 UL BCcc일 수 있다. 1415단계는 도 9의 915단계 또는 945단계와 유사하다.
1420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1415단계에서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서빙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 및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업링크 핸드오버 또는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즉, 1420단계는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기지국 내의 핸드오버에 대응하는지 또는 기지국 간의 핸드오버에 대응하는지에 따라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1420단계는 예를 들어, 도 9의 920단계 내지 940단계 또는 950단계 내지 970단계와 유사하다.
만약, 1415단계에서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이웃 기지국에 속하면, 1420단계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이웃 기지국 또는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도 9의 935단계 또는 940단계와 유사하다.
또한, 1415단계에서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이웃 기지국에 속하면, 1420단계는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이웃 기지국 또는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도 9의 965단계 또는 970단계와 유사하다.
1425단계에서, 서빙 기지국은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주파수 대역 세트(예를 들어, DL UCcc 또는 UL UCcc)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예를 들어, DL BCcc 또는 UL BCcc)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빙 기지국(1500)은 수집부(1510), 데이터 처리부(1520) 및 결정부(1530)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서빙 기지국(1500)은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서빙 기지국일 수 있다.
수집부(1510)는 핸드오버 시 사용할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 처리부(1520)는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하고, 데이터 프로세싱 결과를 기초로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DL BCcc, UL BCcc)를 결정한다.
결정부(1530)는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서빙 기지국(1500) 내에 속하는지 또는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업링크 핸드오버 또는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4)

  1.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가 현재 접속된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시 사용할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하여,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상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상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서빙 기지국이 RRC(Radio Resource Contro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한 정보, CSAP(Control Service Access Point)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서 측정된 정보 및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웃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은,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기초로 Radio Condition 관련 프로세싱, Traffic Load 프로세싱 및 간섭관련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이웃 기지국에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다운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업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업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상기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이웃 기지국에서 선택되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다운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다운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가 사용 중인 업링크에 대한 주파수 대역 개수 및 상기 업링크에 대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 내의 주파수 대역 개수를 고려하여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서빙 기지국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10.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장치의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시 사용할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데 필요한 측정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데이터 프로세싱하여,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 및 상기 서빙 기지국의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핸드오버 또는 상기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하는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가 측정한 정보, CSAP(Control Service Access Point)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서빙 기지국 내에서 측정된 정보 및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이웃 기지국의 자원 정보를 수집하는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수집된 측정 정보를 기초로 Radio Condition 관련 프로세싱, Traffic Load 프로세싱 및 간섭관련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임시 주파수 대역 세트가 다운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이며, 상기 이웃 기지국 내에 속하면, 업링크 핸드오버를 위한 최적 주파수 대역 세트를 상기 이웃 기지국 또는 상기 서빙 기지국에서 선택하는 핸드오버 유형 결정을 위한 서빙 기지국.
  14. 삭제
KR1020100057440A 2009-12-17 2010-06-17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 KR101690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971,897 US20110149913A1 (en) 2009-12-17 2010-12-17 Method and serving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handover type,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25988 2009-12-17
KR1020090125988 2009-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683A KR20110069683A (ko) 2011-06-23
KR101690790B1 true KR101690790B1 (ko) 2016-12-28

Family

ID=44401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7440A KR101690790B1 (ko) 2009-12-17 2010-06-17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7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9329A1 (en) * 2013-06-18 2014-12-18 Qualcomm Incorporated Lte and external wifi bandwidth aggreg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481B1 (ko) * 2007-03-26 2014-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수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683A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49913A1 (en) Method and serving base station for determining handover type,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US10433228B2 (en) Method, equipment and system for handing over cell in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JP535251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制御方法
KR101576908B1 (ko) 다중 셀 간 협력적 간섭 제어 시스템 및 방법
EP2708066B1 (en) Methods in base stations, base stations, computer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JP5721819B2 (ja) 階層的セル構造を有する無線通信システムでの干渉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463700B1 (ko) 캐리어 집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핸드오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801992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ondary node change and base station
US80951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measurement
CA3046463C (en)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cellular site capacity
WO2015127880A1 (zh) 一种基站频率资源配置方法及网络设备
US10206156B2 (en) Radio access management system
WO2012079604A1 (en) Technique for inter-cell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
CN103222324A (zh) 网间协同的方法、协同节点和网络侧设备
CN102938894B (zh) 一种异构网中小小区的测量方法
KR20130045366A (ko) 캐리어 집성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핸드오버용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2202107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target neighbor cell for handover of user equipment (ue)
CN106797614B (zh) 无线基站、移动站、无线通信系统、无线基站的控制方法以及记录介质
JP53062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690790B1 (ko)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유형 결정 방법 및 서빙 기지국
KR20110069684A (ko) Carrier Aggregation을 이용하는 무선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간 핸드오버를 위한 방법
Zhang Handover control parameters optimisation in LTE networks
EP2330854A1 (en) Method, entities, and interface configured for supporting dynamic spectrum management
KR20220085239A (ko) 코어 네트워크에 연결된 스몰셀(SmallCell) 게이트웨이, 스몰셀 게이트웨이에 의해 수행되는 스몰셀 관리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