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896B1 - 리싸이클링 준설차 - Google Patents

리싸이클링 준설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896B1
KR102192896B1 KR1020200041309A KR20200041309A KR102192896B1 KR 102192896 B1 KR102192896 B1 KR 102192896B1 KR 1020200041309 A KR1020200041309 A KR 1020200041309A KR 20200041309 A KR20200041309 A KR 20200041309A KR 102192896 B1 KR102192896 B1 KR 10219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dge
filter
tan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호
Original Assignee
동우인더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인더스(주) filed Critical 동우인더스(주)
Priority to KR1020200041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5Adaptations for pumps or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5Arrangements for hoses, tubes, or r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10Wheeled apparatus for emptying sewers or cesspools
    • E03F7/106Accessories, e.g. hose sup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9/00Arrangements or fixed installations methods or devices for cleaning or clearing sewer pipes, e.g. by 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 작업 시 발생된 슬러지를 흡입할 때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세척수로 재사용하고,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슬러지 흡입 효율을 높이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리싸이클링 준설차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는 하수관로를 준설하는 하수도 준설차에 있어서, 진공 펌프가 형성되어, 하수관로의 물 및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부, 상기 슬러지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부에서 흡입한 물 및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흡입하는 슬러지 펌프, 상기 슬러지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재 정화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및 고압 펌프가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하수관로에 분사하는 세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싸이클링 준설차{Sewage car that can recycle water}
본 발명은 리싸이클링 준설차에 관한 것으로, 하수관로의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를 정화시켜 재사용 할 수 있는 리싸이클링 준설차에 관한 것이다.
준설은 수중에서의 토사굴착이며, 하천유로의 확장, 항만의 수심 증가, 매립이나 축제용의 토사채취 등의 목적으로 행해지는 작업이다.
준설 작업 중, 하수관로 내부에 쌓이는 콘크리트 부식물, 각종 오물 및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준설 장치가 장착된 준설차가 사용된다. 하수관로 내부에 콘크리트 부식물, 각종 오물 및 슬러지가 쌓이게 되면, 하수관로를 막아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하수관로가 막히게 되면, 관내 압력이 상승하게 됨으로써, 관 이음부에 크랙이 발생하여, 하수가 유출될 수 있는 있으며, 이러한 하수의 유출은 토양의 오염을 불러온다. 또한, 퇴적물에 의해서 장마철 또는 집중 호우 시, 하수가 역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하수관로의 준설 작업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준설차를 이용한 준설 작업은 물을 고압 분사하여 하수관을 뚫고, 하수관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진공 펌프를 이용하여 흡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7633호를 참고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의 준설기(10)는 자동차의 적재함(2100)상에 탑재되어 있으므로 바켓(20)으로 퍼올린 준설토를 회전받침판(30)의 진동작동에 의하여 준설토 적재공간에 쌓하 준설작업 이후 준설기(10)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준설 작업으로 발생된 슬러지를 적재하는 적재 공간이 차게 되면, 슬러지 배출 공간으로 이동하여 슬러지를 배출한 후에, 다시 작업 공간으로 돌아오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했고, 적재 공간 내에 슬러지보다 세척에 사용된 물이 더 많이 포함되어, 적재 효율이 좋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또한, 준설 작업을 위해 분사되는 세척수가 제한되어 있어서, 세척수를 다 사용하게 되면, 추가 물공급 수단이 필요하거나, 세척수를 충전하기 위해 이동하고,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7633호 (등록일자 2010.10.07.)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준설 작업 시 발생된 슬러지를 흡입할 때 유입되는 물을 정화하여 세척수로 재사용하고,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슬러지 흡입 효율을 높이며, 자원을 절약할 수 있는 리싸이클링 준설차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는 하수관로를 준설하는 하수도 준설차에 있어서, 진공 펌프가 형성되어, 하수관로의 물 및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부, 상기 슬러지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부에서 흡입한 물 및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흡입하는 슬러지 펌프, 상기 슬러지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재 정화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및 고압 펌프가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하수관로에 분사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물을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슬러지 펌프와 연결되는 유입구, 상기 슬러지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물을 상기 슬러지 탱크로 전달하는 복귀구 및 상기 물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를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필터가 내재되되, 상부가 개폐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의 길이를 이루는 측면에서 물의 정화가 일어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면 내측이 상기 필터의 중심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필터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복귀구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슬러지 탱크 및 상기 물 탱크는 단일개의 탱크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물 탱크, 타측은 상기 슬러지 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이때, 상기 필터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10㎛ 이하로 필터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더 나아가, 상기 제2 필터부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 모터 및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필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축과 연결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상단면이 상기 복귀구의 형성위치보다 더 높이 위치하고, 돌출된 상단면이 상기 필터의 하단과 맞닿고 내부가 중공된 높이 이격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는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물 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물 탱크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 또는 유속을 감지하는 정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는 준설 작업을 통해 발생하는 오염수를 정화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오염수를 두 번의 필터링을 통하여 더욱 미세하게 정화함을 통해서, 펌프 및 노즐의 막힘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준설기를 사용하여 작업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의 작업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탱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터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필터부 조립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부 절단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회전부 절단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간략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간략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100)는 하수관로를 준설하는 하수도 준설차에 있어서, 진공 펌프(220)가 형성되어, 하수관로의 물 및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부(200),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에서 흡입한 물 및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300), 상기 슬러지 탱크(300)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탱크(300)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제1 필터부(400), 상기 제1 필터부(400)에서 정화된 물을 흡입하는 슬러지 펌프(510), 상기 슬러지 펌프(510)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재 정화하는 제2 필터부(500), 상기 제2 필터부(500)과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부(500)을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600) 및 고압 펌프(710)가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600)에 저장된 물을 하수관로에 분사하는 세척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는 상기 세척부(700)를 통하여 준설이 일어나는 하수관로에서 발생하는 물을 포함하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구성으로, 슬러지의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진공 펌프(220)와 슬러지가 이송되는 흡입관(21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슬러지 탱크(300)는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가 흡입한 물 및 슬러지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에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로부터 전달된 물 및 슬러지가 투하된다. 상기 슬러지 탱크(300)는 다량의 물 및 슬러지의 무게를 견디고, 다량의 물 및 슬러지를 저장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가지는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필터부(400)은 상기 슬러지 탱크(30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정화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필터부(400)과 연결된 상기 슬러지 펌프(510)의 흡입력을 통해서, 상기 슬러지 탱크(300)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향하여 유동되어 물의 정화가 일어난다.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에서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투하되는 물 및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탱크(300) 내부에서 무게 차이로 인하여, 상기 슬러지 탱크(300) 상부에는 입자가 작은 슬러지와 물이 위치하고, 하부에는 입자가 큰 슬러지 덩어리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 필터부(400)은 상기 슬러지 탱크(300)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구성으로, 상기 슬러지 탱크(300) 내부의 물을 슬러지로부터 분리시켜 물을 정화시키고,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 정화된 물은 상기 슬러지 펌프(510)를 통해서 상기 제2 필터부(500)로 전달된다.
상기 제2 필터부(500)은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더 미립하게 정화하여 상기 세척부(70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척수로 만드는 구성이다. 상기 제2 필터부(500)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5를 통하여 더욱 자세하게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물 탱크(600)는 상기 제2 필터부(500)이 정화한 물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수용 공간에 상기 제2 필터부(500)로부터 전달된 물이 투하된다. 상기 물 탱크(600)는 다량의 물의 무게를 견디고, 물을 저장한 상태로 운반될 수 있도록 일정 강도를 가지는 재질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물 탱크(600)에는 상기 제2 필터부(500)을 통해 정화된 물 이외에도 준설 작업을 위하여 미리 저장된 세척수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부(700)는 상기 물 탱크(600)에 연결되어, 상기 물 탱크(600)에 저장된 물을 하수관로에 분사하는 구성으로, 고압 펌프(710) 및 분사 노즐(720)로 이루어져, 하수관로를 청소 할 수 있다. 상기 고압 펌프(710)에 상기 진공 펌프(220)에 저장된 물 또는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 정화된 물을 사용하면, 상기 고압 펌프(710) 및 상기 분사 노즐(720)이 막힘으로 인하여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필터부(500)을 통하여 더 미립하게 정화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 펌프(710)의 운동은 피스톤 타입이며, 피스톤 운동을 통하여 고압수가 수용할 수 있는 최대 입자의 크기는 통상 100mesh(17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1차 필터부(400)에서 필터링 되는 입자의 크기는 웨지 스크린 필터 방식을 적용하여 40mesh(500㎛)으로 큰 입자들을 분리하며, 이렇게 슬러지와 분리된 탁한 물은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상기 고압 펌프(710)에서 재사용하기에 부적절하며, 상기 1차 필터부(400)에서 100mesh 이하의 필터를 사용할 경우, 과다한 슬러지와 물의 혼합으로 인하여,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필터링이 일어나지 않고, 적재되는 현생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40mesh 이하의 필터장치를 장착하여 필터링함으로써, 필터링된 물을 하수 관로로 재방류 시켜왔는데, 이러한 재방류된 물이 하수 관로를 통해 하수 처리장에 유입되면, 하수 처리장의 처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1차 필터부(400)에서 필터링된 물을 상기 제2 필터부(500)를 고압 펌프(710)에서 요구되는 물의 수준에 맞추어 추가로 필터링하여, 재사용함으로써, 하수 관로로 재방류되는 물의 양을 최소화 시킬 뿐만 아니라, 청수의 추가 공급을 최소화시켜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100)는 준설 작업을 통해 발생하는 오염수를 정화시켜 재사용함으로써, 세척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오염수를 두 번의 필터링을 통하여 더욱 미세하게 정화함을 통해서, 펌프 및 노즐의 막힘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슬러지 탱크(300) 및 상기 물 탱크(600)는, 단일개의 탱크 내부에 격벽(300a)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물 탱크(600), 타측은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탱크에 상기 격벽(300a)이 형성되어, 두 개의 공간을 이루고, 상기 격벽(300a)을 기준으로 일측은 상기 물 탱크(600)로, 타측은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사용됨으로써, 차량의 한정적인 공간 내에, 효율적인 준설 장치의 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격벽(300a)은 상기 물 탱크(600)와 상기 슬러지 탱크(300)를 완전히 분리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600)의 수용 용량보다 상기 슬러지 탱크(300)의 수용 용량이 더 크게 형성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필터부(500)은 일정 길이를 가지며, 물을 정화하는 필터(530) 및 상기 슬러지 펌프(510)와 연결되는 유입구(521), 상기 슬러지 탱크(300)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530)를 통과하지 못한 물을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전달하는 복귀구(522) 및 상기 물 탱크(600)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530)를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523)가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필터(530)가 내재되되, 상부가 개폐되는 하우징(5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530)는 상기 제1 필터부(400)에서 정화된 물을 재정화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서 전달된 물을 더 미세하게 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필터(5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구(521)를 통해 유입된 물을 10㎛ 이하로 필터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1차 필터부(400)에서 필터링 된 500㎛ 크기의 슬러지 및 물의 혼합물은 도4의 a를 통해 유입되고, 상기 회전부(550)의 회전을 통해 발생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필터(530)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530)를 통과한 상기 필터(530) 내부의 물은 10㎛ 이하의 정제된 물로, 상기 필터(530)를 통해 정제된 물은 도 4의 c를 통해 상기 물 탱크(600)로 전달되고, 10㎛를 초과하는 슬러지와 물의 혼합물은 도 4의 b를 통해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링 작업은 상기 슬러지 탱크(300)의 물이 모두 필터링 될 때까지 반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20)의 내부 수용 공간에는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슬러지 펌프(510)를 거쳐 유입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520)은 상부가 개폐되어, 상기 필터(530)의 장착 또는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530)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530)의 길이를 이루는 측면에서 물의 정화가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필터(530)의 상단 및 하단은 상기 하우징(520) 맞닿도록 상기 하우징(5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필터(530)를 통과한 물은 상기 필터(53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배출구(523)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필터(530)를 통과하지 못한 물을 상기 필터(530)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는 복귀구(522)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슬러지 펌프(510)와 연결되는 상기 유입구(521)를 통해서, 상기 제1 필터부(400)을 통해 정화된 물이 상기 하우징(5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필터(530)를 통과하여 정화된 물은 상기 배출구(523)를 통해 상기 물 탱크(600)로 전달되고, 상기 필터(530)를 통과하지 못한 물은 상기 복귀구(522)를 통해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유입구(521)는 상기 제2 필터부(50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521)를 통해 유입된 물이 중력에 의해 하부로 내려가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입구(521)가 형성되는 상기 하우징(520)의 상부 외형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가 비어있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입구(521)를 통해서 유입된 물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바로 상기 복귀구(522)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520) 내부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520)은 상기 하우징(520)의 길이방향 내측이 상기 필터(530)의 중심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필터(530)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의 홀이 형성되는 막음판(52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막음판(524)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우징(520)의 길이방향 내측이 상기 필터(53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되, 중심부에 홀이 형성되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530)의 지름보다 상기 막음판(524)에 형성되는 홀의 지름의 크기에서 발생하는 틈으로만 물이 통과되어, 상기 하우징(520)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복귀구(522)로 바로 배출되지 않도록, 물의 흐름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필터(530)와 상기 막음판(524) 사이로 통과되는 물의 최대 유량은 상기 유입구(521)로 유입되는 최대 유량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막음판(524) 사이로 통과되는 물의 최대 유량이 상기 유입구(521)로 유입되는 최대 유량보다 작게 되면, 유입되는 물의 초과량이 상기 필터(530)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 상기 하우징(520)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물이 상기 슬러지 펌프(510)로 역순환 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520) 및 상기 슬러지 펌프(510)의 고장이 일어날 수 있으므로, 상기 막음판(524)의 형상은 상기 유입구(52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고려하여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필터부(500)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520)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 모터(540) 및 상기 필터(530)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필터(530)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축과 연결되는 회전부(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550)의 회전 날개(551)는 원심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부(550)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 날개(551)의 형상에 따라 원심력이 발생하여, 상기 필터(530) 내측 방향으로 물 및 슬러지 혼합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530) 외측의 필터링 되지 않은 물의 회전력을 높여서, 자연적으로 상기 필터(530) 내부로 물 및 슬러지 혼합물이 유입되어 필터링 됨과 동시에, 상기 필터(530)내부로 유입되지 못한 물은 자연적으로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되돌아가게 된다.
상기 유압 모터(540)는 상기 하우징(5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520) 내부에 삽입되는 상기 축이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상기 회전부(550)는 상기 축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530)의 길이방향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하우징(520)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필터(530)를 향해 유동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 및 하단을 고정하며, 상부가 상기 축과 연결되어, 상기 축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상기 블레이드를 회전 시킨다.
또한, 상기 하우징(520)은 상기 하우징(520)의 하면 내측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상단면이 상기 복귀구(522)의 형성위치보다 더 높이 위치하고, 돌출된 상단면이 상기 필터(530)의 하단과 맞닿고 내부가 중공된 높이 이격부(52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높이 이격부(525)는 상기 하우징(520) 하면 내측이 상부를 향해 돌출되되, 상기 필터(530)의 지름과 동일한 지름을 갖고,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 형상으로, 상기 높이 이격부(525)의 상면은 상기 필터(530)의 하단과 맞닿고, 상기 높이 이격부(525)의 하면은 상기 하우징(520)의 내면에 의해서 폐쇄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523)는 상기 높이 이격부(525)의 하면을 폐쇄하는 상기 하우징(520)의 하측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필터(530)를 통과하여 상기 높이 이격부(525)로 하강하는 물은 상기 높이 기격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523)를 통해서 상기 물 탱크(600)로 전달된다.
상기 높이 이격부(525)는 상기 회전부(550)의 회전력이 상기 복귀구(522) 및 상기 배출구(523), 특히 상기 복귀구(522)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상기 필터(530)에 의해서 필터링 된 물이 상기 배출구(523)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상기 필터(530)에 의해서 필터링 되지 않은 물이 상기 복귀구(522)로 유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520), 상기 유압 모터(540), 상기 회전부(550) 및 상기 필터(530)의 결합이 상기 하우징(520)의 상부 개방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530)는 상기 하우징(520)의 상부에 연결되되, 상기 유압 모터(540)의 회전력을 전달 받지 않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부(550)는 상기 필터(530)를 감싸며 상기 유압 모터(540)의 상기 축과 연결되고, 상기 유압 모터(540)는 상기 하우징(520)의 상부 외면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530), 상기 회전부(550) 및 상기 축은 서로 동심을 이루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싸이클링 준설차(100)의 리싸이클링 단계를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물 탱크(600)에 저장된 물이 상기 세척부(700)에 형성되는 상기 고압 펌프(710) 및 분사 노즐(720)을 통해서 하수관로에 분사되고, 상기 세척부(700)의 작동을 통해서 발생되는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흡입부(200)에 형성되는 상기 진공 펌프(220)와 상기 흡입관(210)을 통해서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이송되면, 상기 진공 펌프(220) 내부에 저장되는 물이 상기 제1 필터부(400)에 의해서 1차 정화되고, 1차 정화된 물을 상기 슬러지 펌프(510)가 흡입하여, 상기 제2 필터부(500)로 배출하고, 상기 슬러지 펌프(510)에 의해 흡입된 1차 정화된 물이 상기 제2 필터부(500)에 형성되는 상기 유입구(521)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520) 내부로 들어오면, 상기 필터(530)를 통해서 2차 정화되어, 2차 정화된 물은 상기 배출구(523)를 통해 상기 물 탱크(600)로 전달되고, 2차 정화되지 않은 물은 상기 복귀구(522)를 통해서 다시 상기 슬러지 탱크(300)로 복귀되는 단계를 통해서, 준설 및 리싸이클링 과정이 진행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싸이클링 준설차(100)는 상기 제2 필터부(500)과 상기 물 탱크(6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물 탱크(600)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 또는 유속을 감지하는 정화 감지부(8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정화 감지부(800)은 상기 제2 필터부(500)에서 상기 물 탱크(600)로 전달되는 2차 정화된 물의 양을 측정할 수 있어, 얼마만큼의 물이 정화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1차 필터부(400), 상기 슬러지 펌프(510) 및 상기 제2 필터부(500)의 오작동 유무도 유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리싸이클링 준설차
200 : 슬러지 흡입부 210 : 흡입관
220 : 진공 펌프
300 : 슬러지 탱크 300a : 격벽
400 : 제1 필터부
500 : 제2 필터부 510 : 슬러지 펌프
520 : 하우징 521 : 유입구
522 : 복귀구 523 : 배출구
524 : 막음판 525 : 높이 이격부
530 : 필터 540 : 유압 모터
550 : 회전부 551 : 회전 날개
600 : 물 탱크
700 : 세척부 710 : 고압 펌프
720 : 분사 노즐
800 : 정화 감지부

Claims (9)

  1. 하수관로를 준설하는 하수도 준설차에 있어서,
    진공 펌프가 형성되어, 하수관로의 물 및 슬러지를 흡입하는 슬러지 흡입부;
    상기 슬러지 흡입부와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흡입부에서 흡입한 물 및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의 물을 정화하는 제1 필터부;
    상기 제1 필터부에서 정화된 물을 흡입하는 슬러지 펌프;
    상기 슬러지 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제1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을 재 정화하는 제2 필터부;
    상기 제2 필터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필터부를 통해 정화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 및
    고압 펌프가 형성되고,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하수관로에 분사하는 세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터부는,
    일정 길이를 가지며, 물을 정화하는 필터; 및 상기 슬러지 펌프와 연결되는 유입구, 상기 슬러지 탱크와 연결되어 상기 필터를 통과하지 못한 물을 상기 슬러지 탱크로 전달하는 복귀구 및 상기 물 탱크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를 통해 정화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필터가 내재되되, 상부가 개폐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상면 및 하면이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의 길이를 이루는 측면에서 물의 정화가 일어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면 내측이 상기 필터의 중심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필터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의 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물이 상기 복귀구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막음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링 준설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탱크 및 상기 물 탱크는,
    단일개의 탱크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물 탱크, 타측은 상기 슬러지 탱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링 준설차.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을 10㎛ 이하로 필터링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링 준설차.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축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압 모터; 및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필터의 길이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부가 상기 축과 연결되는 회전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링 준설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하면 내측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돌출된 상단면이 상기 복귀구의 형성위치보다 더 높이 위치하고, 돌출된 상단면이 상기 필터의 하단과 맞닿고 내부가 중공된 높이 이격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링 준설차.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와 상기 물 탱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물 탱크로 전달되는 물의 유량 또는 유속을 감지하는 정화 감지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싸이클링 준설차.
KR1020200041309A 2020-04-06 2020-04-06 리싸이클링 준설차 KR10219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09A KR102192896B1 (ko) 2020-04-06 2020-04-06 리싸이클링 준설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09A KR102192896B1 (ko) 2020-04-06 2020-04-06 리싸이클링 준설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896B1 true KR102192896B1 (ko) 2020-12-18

Family

ID=74041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309A KR102192896B1 (ko) 2020-04-06 2020-04-06 리싸이클링 준설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8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8009A (zh) * 2022-06-29 2022-10-14 湖北省应急智能装备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清洗吸污车内循环过滤处理装置
KR102588102B1 (ko) * 2023-05-31 2023-10-12 (주)익선건설 준설차용 복합 방식을 이용한 도심지 내의 빗물받이 및 빗물받이 연결관 하수도 청소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43B1 (ko) *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100987633B1 (ko) 2010-01-18 2010-10-13 김인식 차량탑재형 바켓준설기를 이용한 하수관거 준설공법
KR101302269B1 (ko) * 2013-03-18 2013-09-02 강석웅 하이드로싸이클론 농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1443B1 (ko) *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100987633B1 (ko) 2010-01-18 2010-10-13 김인식 차량탑재형 바켓준설기를 이용한 하수관거 준설공법
KR101302269B1 (ko) * 2013-03-18 2013-09-02 강석웅 하이드로싸이클론 농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8009A (zh) * 2022-06-29 2022-10-14 湖北省应急智能装备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清洗吸污车内循环过滤处理装置
KR102588102B1 (ko) * 2023-05-31 2023-10-12 (주)익선건설 준설차용 복합 방식을 이용한 도심지 내의 빗물받이 및 빗물받이 연결관 하수도 청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896B1 (ko) 리싸이클링 준설차
US20140374331A1 (en) Filter system
JPH0285426A (ja) 高濃度浚渫装置
KR100928073B1 (ko) 복합식 준설차
CN112517364A (zh) 一种用于桥梁建设的施工装置
US5244308A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JP5209624B2 (ja) 水中濃縮セル、沈殿物分離機及び沈殿物濃縮方法
JP7001803B2 (ja) 揚砂搬送装置
CN211200516U (zh) 一种环保型水利工程清淤装置
KR100371918B1 (ko) 준설장치
KR101444401B1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101925607B1 (ko) 하천, 호소의 퇴적오니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오니 처리 공법
JP6147010B2 (ja) 河川内の土砂等堆積防止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土砂等排出システム
JP6807788B2 (ja) 揚砂搬送装置
JP2010000424A (ja) 固液体分離装置
JP2005188490A (ja) サンドポンプ
JP6789556B2 (ja) ジェット・ツイスター・ポンプおよびそれを備えた資源回収装置
JP3652957B2 (ja) 高深度排泥システム
KR100484793B1 (ko) 취수관 세정방법
WO2016040798A1 (en) Filter system
JP6004529B2 (ja) 泥土処理システム
JPH0689554B2 (ja) 浚渫装置
KR100356071B1 (ko) 준설장치용 진공유지 로타리배출펌프
KR200199553Y1 (ko) 준설장치
JP3662301B2 (ja) ポンプ装置用吸水ストレ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