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708B1 -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708B1
KR102192708B1 KR1020200050598A KR20200050598A KR102192708B1 KR 102192708 B1 KR102192708 B1 KR 102192708B1 KR 1020200050598 A KR1020200050598 A KR 1020200050598A KR 20200050598 A KR20200050598 A KR 20200050598A KR 102192708 B1 KR102192708 B1 KR 102192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user
air
clean air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식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50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3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having means for creating a fresh air curta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Abstract

본 발명은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청정기에서 발생된 청정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전면부로 전달되어 쾌적한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MASK DEVICE FOR INHALATION CLEAN AIR}
본 발명은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청정기에서 발생된 청정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전면부로 전달되어 쾌적한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 먼지는 여러 가지 복합 성분을 가진 대기중 부유 물질로서, 직경 10㎛이하의 입자상 물질을 말하며, 주로 석탄, 석유 등의 화석 연료가 연소될 때, 특히 제조 공장이나 자동차 등의 배출 가스에서 다량이 발생되는 대기오염 물질이다.
이러한 미세 먼지는 주로 연소 입자인 탄소, 유기 탄화수소, 질산염, 황산염, 유해 금속 성분으로 구성되며,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관련이 있고 사망률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들이 꾸준히 개발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미세 먼지 제거 장치들은, 주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미세 먼지 차단용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야외 활동을 위한 미세 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경우에는 직물 자체의 기능을 향상시킨 것으로, 미세 먼지가 마스크용 직물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미세 먼지 차단용 마스크는 그 자체가 일종의 필터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미세 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경우,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어야 그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으나, 야외 활동에서 미세 먼지 차단용 마스크의 가장자리가 사용자의 얼굴에 지속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사람과 이야기하는 경우와 같이 얼굴 근육이 움직이거나,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측면부의 틈으로 미세 먼지가 유입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미세 먼지를 차단하지 못하여 그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미세 먼지 차단율이 높은 마스크를 사용할 경우, 공기의 투과성이 낮아서 호흡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름철의 경우 마스크 착용시 더위 때문에 사용자가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호흡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마스크의 내부로 청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청정 마스크들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다.
후술하는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기재된 도면부호들은 각 도면의 해당 구성요소만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5977호에 개시된 공기청정 마스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공기청정 마스크 장치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아크 형상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배터리(11)와, 상기 배터리(11)의 일측에 설치되어 배터리(11)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으로 회전되는 송풍팬이 내장되어 설치되며 바람을 보내는 송풍기(12)와, 상기 송풍기(12)의 일측에 설치되어 먼지를 걸러주는 필터(13, 14)와, 상기 필터(13, 14)를 거쳐 나오는 공기가 흐르는 송풍호스(15)와, 상기 송풍호스(15)를 고정하는 호스고정부(21)가 구비된 마스크(20);로 구성된다.
도 2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2681호에 개시된 공기청정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의 공기청정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을 포함하는 안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안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바디(110); 필터(125)를 포함하고, 외부 공기를 필터링하여 상기 바디(11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시키는 필터부(120); 사용자의 들숨 또는 날숨인 경우에 따라 공기를 배출 또는 흡기하는 밸브부; 및 공기 질을 포함하는 환경정보를 검출하는 환경정보검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120)는 상기 바디(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1828호에 개시된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는 외기를 유입하여 필터링 한 후, 정화된 공기를 사용자의 얼굴 주변으로 분사하거나 마스크를 통해 직접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뿐만 아니라 기기를 소형화하여 휴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몸체모듈(100) 및 에어모듈(200)을 포함하며, 전체적으로 일측방향으로 개방부(a)가 형성된 타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다.
도 4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7071호에 개시된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과 코가 외부와 격리되도록 입과 코를 감싸며 안면에 착용되고,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공급하되, 마스크본체(160)와 헤어밴드(150)를 포함하는 마스크부; 상기 마스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마스크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마스크부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20)와 상기 흡입부(12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부(200)는 상기 흡입부(12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도 1, 도 2 및 도 4에 개시된 마스크들은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마스크부가 다른 구성요소들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척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마스크부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다른 구성요소들까지 전부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도 3의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는 사용자의 호흡기와 다소 거리를 두고 위치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이 직접 청정 공기의 유입을 체감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KR 10-2035977 B1 (2019.10.23.공고) KR 10-1812681 B1 (2017.12.27.공고) KR 10-1701828 B1 (2017.02.02.공고) KR 10-1797071 B1 (2017.12.12.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청정기에서 발생된 청정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전면부로 전달되어 쾌적한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관점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필터부가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가 형성되거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 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공기청정수단과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공기청정수단과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는 필터부가 결합되고,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공기청정수단과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의 양측에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가 형성되거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 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공기청정수단과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이 형성되며,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공기청정수단과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에 결합된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 제2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공기청정수단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첨부 "도면"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각종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각 실시예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도 구현될 수도 있으며, 단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각각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됨으로써, 공기 청정기에서 발생된 청정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전면부로 전달되어 쾌적한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프레임에 형성된 결합공에 필터부를 결합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경우 외부로부터 미세먼지나 병원균 등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프레임의 양측에 귀걸이부나 헤어 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하고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안정적인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프레임에서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장치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미세먼지나 병원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프레임을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외곽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을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얼굴 크기와 형태가 다른 사용자에 따라 프레임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공기청정수단을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 또는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야외 활동시 휴대하기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35977호에 개시된 공기청정 마스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12681호에 개시된 공기청정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01828호에 개시된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7071호에 개시된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관점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필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귀걸이부가 형성된 도면이고, (b)는 헤어 밴드가 형성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다음 일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가 단계별로 일정 각도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공기청정수단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넥밴드 형태의 공기청정기이고, (b)는 벨트 착용 형태의 공기청정기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한 경우에는, 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촉하여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해당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에는, 제 3의 구성 요소 또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각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 ~ 사이에"와 "바로 ~ 사이에", 또는 " ~ 에 이웃하는"과 " ~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의 취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일면", "타면", "일측", "타측",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이와 같은 용어에 의해서 해당 구성 요소의 의미가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등의 위치와 관련된 용어는, 사용된다면, 해당 구성 요소에 대해서 해당 도면에서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하며, 이들의 위치에 대해서 절대적인 위치를 특정하지 않는 이상은, 이들 위치 관련 용어가 절대적인 위치를 언급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사용된다면,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할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관점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는데, 노즐부(N)는 프레임(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부(N)는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즉, 에어 튜브(2)의 일단은 공기 청정기와 연결되고, 에어 튜브(2)의 타단은 노즐부(N)가 형성된 프레임(10) 부분에 노즐부(N)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하부 배기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흡기 및 배기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안경이나 고글 등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배기방식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처럼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고, 노즐부(N)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2)로 연결됨으로써, 공기 청정기에서 발생된 청정한 공기가 사용자의 안면 전면부로 전달되어 쾌적한 야외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도 5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필터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는데, 노즐부(N)는 프레임(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부(N)는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즉, 에어 튜브(2)의 일단은 공기 청정기와 연결되고, 에어 튜브(2)의 타단은 노즐부(N)가 형성된 프레임(10) 부분에 노즐부(N)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하부 배기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흡기 및 배기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안경이나 고글 등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배기방식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12)과, 외곽 프레임(1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외곽 프레임(12)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외곽 프레임(12)과 지지 프레임(14) 사이에는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결합공(16)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결합공(16)에는 필터부(F)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공(16)에 필터부(F)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은 주지관용기술로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결합공(16)의 내주면과 필터부(F)의 외주면에 자석을 채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필터부(F)는 필터와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싱으로 구성되는데, 필터는 외부의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걸러주는 헤파 필터, 병원균 등을 걸러주는 항균 필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F)의 필터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청정에 대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피톤치드와 같은 공기정화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항균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합공(16)의 둘레 형상과 필터부(F)의 외곽 형상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고, 결합공(16)에 필터부(F)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안면부로 외부로부터 미세 먼지나 병원균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곽 프레임(12)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외곽 프레임(12)에서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장치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미세먼지나 병원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곽 프레임(12) 자체를 실리콘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외곽 프레임(12)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면 전체에 실리콘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6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귀걸이부가 형성된 도면이고, (b)는 헤어 밴드가 형성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는데, 노즐부(N)는 프레임(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부(N)는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즉, 에어 튜브(2)의 일단은 공기 청정기와 연결되고, 에어 튜브(2)의 타단은 노즐부(N)가 형성된 프레임(10) 부분에 노즐부(N)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하부 배기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흡기 및 배기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안경이나 고글 등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배기방식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프레임(10)의 양측에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E)가 형성되거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 밴드부(H)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프레임(10)의 양측에 귀걸이부(E)나 헤어 밴드부(H)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하고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안정적인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5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다음 일반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는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전술한 도 7의 귀걸이부(E) 또는 헤어 밴드부(H)가 형성되지 않은 마스크 장치), 일반 마스크(또는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M)를 그 위에 착용할 수도 있다.
이때, 일반 마스크(M)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청정 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에 필터부(F)를 결합할 수도 있고, 미세 먼지 차단 마스크(M)를 착용하는 경우에는 마스크 장치에 필터부(F)를 결합하여 이중 필터링을 하거나 필터부(F)를 결합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 9는 도 5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가 단계별로 일정 각도 접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한다.
이러한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는데, 노즐부(N)는 프레임(1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부(N)는 휴대 가능한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즉, 에어 튜브(2)의 일단은 공기 청정기와 연결되고, 에어 튜브(2)의 타단은 노즐부(N)가 형성된 프레임(10) 부분에 노즐부(N)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는, 하부 배기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의 흡기 및 배기를 용이하게 하였으며,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안경이나 고글 등에 습기가 생기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배기방식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프레임(1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12)과, 외곽 프레임(1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외곽 프레임(12)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외곽 프레임(12)은,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마스크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프레임(12a); 및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12a)에 결합된 제2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프레임(12a), 제2프레임(12b) 및 지지 프레임(14)은 힌지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제1프레임(12a) 및 제2프레임(12b)은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지지 프레임(14)의 내부에는 힌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프레임(10)을 제1프레임(12a)과 제2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 외곽 프레임(12) 및 지지 프레임(14)으로 구성하고,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제1프레임(12a) 및 제2프레임(12b)을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얼굴 크기와 형태가 다른 사용자에 따라 프레임(10)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른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3)을 포함한다.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하고,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며, 노즐부(N)는 공기청정수단(3)과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공기청정수단(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형 넥 밴드 형태의 공기청정기이거나 벨트 착용형 공기청정기일 수 있는데, 이러한 휴대형 공기청정기에 대한 기술은 주지관용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3)을 포함한다.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하고,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며, 노즐부(N)는 공기청정수단(3)과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12)과, 외곽 프레임(1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외곽 프레임(12)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이때, 외곽 프레임(12)과 지지 프레임(14) 사이에는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양측에 한 쌍의 결합공(16)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6)에는 필터부(F)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공(16)에 필터부(F)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구성은 주지관용기술로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결합공(16)의 내주면과 필터부(F)의 외주면에 자석을 채용하여 결합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필터부(F)는 필터와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싱으로 구성되는데, 필터는 외부의 공기에서 미세 먼지를 걸러주는 헤파 필터, 병원균 등을 걸러주는 항균 필터 등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필터부(F)의 필터는 음이온 발생기능이 있는 필터를 사용하여 공기 청정에 대한 효과를 높일 수 있고, 피톤치드와 같은 공기정화에 효과가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항균효과를 더욱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3)을 포함한다.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하고,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고, 노즐부(N)는 공기청정수단(3)과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이때, 프레임(10)의 양측에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가 형성되거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 밴드부가 형성된다.
이처럼 프레임(10)의 양측에 귀걸이부나 헤어 밴드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마스크 장치를 착용하고 야외 활동을 하는 경우 안정적인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3)을 포함한다.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하고,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N)는 공기청정수단(3)과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이때 프레임(1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12)과, 외곽 프레임(1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12)의 상측과 하측에 연결된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하고, 외곽 프레임(12)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이 형성된다.
이처럼 프레임(10)에서 얼굴과 맞닿는 면에는 실리콘 층을 형성함으로써, 마스크 장치가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미세먼지나 병원균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곽 프레임(12) 자체를 실리콘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외곽 프레임(12)에서 사용자의 얼굴과 마주하는 면 전체에 실리콘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와 상기 마스크 장치로 공급되는 청정공기를 발생시키는 공기청정수단(3)을 포함한다.
마스크 장치는,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10)을 포함하고, 프레임(10)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N)가 형성되고, 노즐부(N)는 공기청정수단(3)과 에어 튜브(2)로 연결된다.
이러한 프레임(10)은, 테두리를 형성하는 외곽 프레임(12)과, 외곽 프레임(12)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12)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14)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곽 프레임(12)은,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제1프레임(12a); 및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프레임(12a)에 결합된 제2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프레임(12a), 제2프레임(12b) 및 지지 프레임(14)은 힌지 결합되어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12a) 및 제2프레임(12b)은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지지 프레임(14)의 내부에는 힌지 장치가 설치된다.
이처럼 프레임(10)을 제1프레임(12a)과 제2프레임(12b)으로 이루어진 외곽 프레임(12) 및 지지 프레임(14)으로 구성하고, 지지 프레임(14)을 기준으로 제1프레임(12a) 및 제2프레임(12b)을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얼굴 크기와 형태가 다른 사용자에 따라 프레임(10)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10의 공기청정수단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넥밴드 형태의 공기청정기이고, (b)는 벨트 착용 형태의 공기청정기이다.
공기청정수단(3)은,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일 수 있다.
이처럼 공기청정수단(3)을 사용자의 목에 거는 넥(neck) 밴드 형태 또는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공기청정기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야외 활동시 휴대하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상, 일부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항목에 기재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에 관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거나 본 발명과 균등한 실시를 행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이 완전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에 의해서 정의될 뿐임을 알아야 한다.
10 : 프레임
12 : 외곽 프레임
12a : 제1프레임
12b : 제2프레임
14 : 지지프레임
16 : 결합공
N : 노즐부
E : 귀걸이부
H : 헤어 밴드부
F : 필터부
2 : 에어 튜브
3 : 공기청정수단
M : 일반 마스크(또는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Claims (5)

  1.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청정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마스크 장치로서,
    사용자의 입과 코를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에는 청정공기를 사용자의 안면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노즐부가 형성되고,
    상기 노즐부는 소정의 공기 청정기와 에어 튜브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테두리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얼굴에 밀착되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의 중앙에 위치하여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기 외곽 프레임의 상측과 하측에 결합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외곽 프레임은,
    소정 길이로 이루어져 절곡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안면 좌측에 배치되고, 절곡 형성된 내측 공간에 필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제1프레임; 및 소정 길이로 이루어져 상기 제1프레임과 대칭되게 절곡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안면 우측에 배치되고, 절곡 형성된 내측 공간에 필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하는 제2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 제2프레임의 일단 및 지지 프레임의 상단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의 타단, 제2프레임의 타단 및 지지 프레임의 하단은 힌지 결합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은 일정 각도로 접히거나 전개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에는,
    끈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귀에 거는 귀걸이부가 형성되거나, 밴드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어 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00050598A 2020-04-27 2020-04-27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KR102192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98A KR102192708B1 (ko) 2020-04-27 2020-04-27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598A KR102192708B1 (ko) 2020-04-27 2020-04-27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708B1 true KR102192708B1 (ko) 2020-12-17

Family

ID=7408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598A KR102192708B1 (ko) 2020-04-27 2020-04-27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70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750A (ko) * 2011-11-08 2013-05-16 배준철 프레임 마스크
KR101701828B1 (ko) 2016-08-05 2017-02-02 (주)텍스트무브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
KR101797071B1 (ko) 2017-02-16 2017-12-12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KR101812681B1 (ko) 2017-07-18 2017-12-27 장인호 공기청정 마스크
KR20190028895A (ko) * 2017-09-11 2019-03-20 윤대웅 햇빛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20190033149A (ko) * 2017-09-21 2019-03-29 윤대웅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KR102035977B1 (ko) 2019-05-27 2019-10-23 이수철 공기청정 마스크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0750A (ko) * 2011-11-08 2013-05-16 배준철 프레임 마스크
KR101701828B1 (ko) 2016-08-05 2017-02-02 (주)텍스트무브 넥밴드형 에어 블로워
KR101797071B1 (ko) 2017-02-16 2017-12-12 (주)대현엔텍 웨어러블 공기청정 마스크
KR101812681B1 (ko) 2017-07-18 2017-12-27 장인호 공기청정 마스크
KR20190028895A (ko) * 2017-09-11 2019-03-20 윤대웅 햇빛 및 미세먼지 차단 기능을 가지는 마스크
KR20190033149A (ko) * 2017-09-21 2019-03-29 윤대웅 흡착필터 및 이에 사용되는 페이스글라스
KR102035977B1 (ko) 2019-05-27 2019-10-23 이수철 공기청정 마스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2707B1 (ko) 웨어러블 공기청정 시스템
US20200353294A1 (en) Respirator
KR101905431B1 (ko) 공기정화 마스크 시스템
WO2018188600A1 (zh) 一种空气净化装置面罩
KR101574021B1 (ko) 전동식 공기정화 호흡기 보호구
KR102173429B1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US20210378346A1 (en) Invisible face mask
KR101619494B1 (ko) 흡입부 분리형 기능성 마스크
CN106823181A (zh) 头戴式防病毒呼吸器
KR102333134B1 (ko) 센서를 구비한 오염물질 흡입 방지용 마스크
CN204306086U (zh) 一种交警用防雾霾口罩
US20160082296A1 (en) Fully sealed anti-pollution mask
US11865261B2 (en) Respirator mask
KR102192708B1 (ko) 청정공기 흡입용 마스크 장치
CN212141186U (zh) 防护头罩
KR20220025620A (ko) 통기량이 확대되는 투명 마스크 장치
US20230115249A1 (en) Locally directed filtered air environment apparatus
KR102066861B1 (ko) 미세먼지 제거 안경
CN206183827U (zh) 耳罩式无阻力呼吸装置
JP7273424B2 (ja) 携帯型空気清浄装置
KR102075768B1 (ko)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KR102067401B1 (ko) 마스크 기구
KR20200094523A (ko) 목도리형 공기정화장치
CN111317929A (zh) 防护头罩
CN206730301U (zh) 头戴式防病毒呼吸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