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68B1 -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768B1
KR102075768B1 KR1020190041009A KR20190041009A KR102075768B1 KR 102075768 B1 KR102075768 B1 KR 102075768B1 KR 1020190041009 A KR1020190041009 A KR 1020190041009A KR 20190041009 A KR20190041009 A KR 20190041009A KR 102075768 B1 KR102075768 B1 KR 102075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mask
supply module
clamp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1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웅
Original Assignee
윤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웅 filed Critical 윤재웅
Priority to KR1020190041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7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246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the clip being released by tilting the clip or a part thereof to a position in which the axis of the openings surrounding the gripped elements is parallel to, or coincides with, the axis of the gripp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ransportable

Abstract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청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핑 유닛; 및 일단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청정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배출된 청정 공기를 상기 클램핑 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PORTABLE AIR CLEANING UNIT AND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하면서 기존의 마스크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청정 공기를 마스크를 통해 흡기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그 유닛을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현대인은 공기 중의 다양한 유해 물질에 노출되어 있는바, 유해 물질에는 각종 매연이나 최근 심각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 먼지는 물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꽃가루 및 각종 세균성 물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유해 물질이 인체의 호흡기로 침투하게 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여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 물질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공기정화기가 제안되고 있으나, 기존의 공기정화기는 실내와 같은 정해진 공간에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실외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므로, 실외 활동을 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개인용 마스크에 의존하고 있다.
마스크는 개인이 대기 중의 유해 물질을 거르기 위한 최소한의 소극적 대처 방안으로서 개인이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대기 오염이 심각한 날에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외출시에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미세 먼지와 같은 공기 중의 유해 물질을 거르는 차단율이 높은 경우 통기의 어려움이 있어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이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반대로 유해 물질의 차단율이 낮은 경우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호흡은 편리하지만 유해 물질 또한 그대로 마스크 내부로 들어올 수 있는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새로운 공기의 유입이 매우 제한적이고 호흡에 의해 날숨이 마스크의 내부에 갇혀 있기 때문에 마스크를 지속적으로 착용시 자신의 구취에 의한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 착용자의 경우 더운 날숨에 의해 안경에 김 서림이 발생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14642호 (2018.10.29. 등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존 마스크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휴대함으로써 외출시에도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신선한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청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핑 유닛; 및 일단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청정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배출된 청정 공기를 상기 클램핑 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청정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마스크의 내측에 배치되는 에어 공급모듈; 및 상기 에어 공급모듈에 탄력 지지되며,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의 사이에 상기 마스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공급모듈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제1면부; 및 상기 제1면부 상에서 호 형상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클립부와 마주보도록 제공되는 제2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공급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촉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제1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2면부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 상기 클립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클립부가 상기 에어 공급모듈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 상기 클립부를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클립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어 공급모듈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클립부와 상기 에어 공급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청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핑 유닛; 일단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청정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배출된 청정 공기를 상기 클램핑 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공급하는 에어 공급관; 및 휴대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 공급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의 타단으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는 유해물질 차단율이 높은 마스크를 착용하더라도 마스크 내부에 공급된 청정 공기에 의해 호흡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마스크 외부의 유해물질이 마스크 내부로 전혀 들어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 내부의 더운 날숨에 신선한 청정 공기가 더해지기 때문에 마스크 내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바, 안경 착용자의 경우에도 안경에 김 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과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의 구성을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의 클램핑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를 "A"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를 마스크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에서 클램핑 유닛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에서 클램핑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10)은 크게 클램핑 유닛(100) 및 에어 공급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00)은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기존의 마스크(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클램핑 유닛(100)이 마스크(1)에 결합되면 공기청정기(300)에 의해 정화된 청정 공기를 마스크(1)의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외출시에 호흡기 주변에 착용한 기존의 마스크(1)에 클램핑 유닛(100)을 끼우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마스크(1)의 내부로 공급되는 청정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클램핑 유닛(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한다.
또한, 에어 공급관(200)은 외출시에 개인이 휴대할 수 있는 소형 공기청정기(300)와 클램핑 유닛(100)을 서로 연결하여 공기청정기(300)에서 정화 후 배출되는 청정 공기를 클램핑 유닛(100)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 공급관(200)의 일단은 클램핑 유닛(100)에 연결되고 에어 공급관(200)의 타단은 공기청정기(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청정기(300)에서 배출된 청정 공기가 에어 공급관(200)을 따라 이동하며 클램핑 유닛(100)을 통해 마스크(1)의 내부까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20)는 상기한 클램핑 유닛(100)과 에어 공급관(200)을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10) 이외에 공기청정기(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청정기(300)는, 휴대 가능한 소형의 크기로 구성되며, 에어 공급관(200)의 타단에 연결되어 에어 공급관(200)의 타단으로 청정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300)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기부(310)가 제공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300)의 타측에는 정화된 청정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가 제공될 수 있다.
배출부에는 에어 공급관(200)의 타단과 연결되기 위한 배기 니플(3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30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유해 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램핑 유닛(1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공급모듈(110) 및 클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 공급모듈(110)은 에어 공급관(200)의 일단과 연결되어 에어 공급관(200)으로부터 청정 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구성이다. 에어 공급모듈(110)은 마스크(1)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마스크(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에어 공급모듈(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면부(111)와 제2면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면부(111)는 마스크(1)의 착용시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안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안면의 굴곡도를 고려하여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제1면부(111)는 도면상에는 마치 평면인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제1면부(111)가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안면의 굴곡도를 고려하여 평면에 가까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면부(112)는 제1면부(111) 상에서 호 형상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제1면부(111)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 공간(113)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면부(112)는 제1면부(111)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용 공간(113)이 형성되는바, 이에 따라 에어 공급관(200)을 통해 공급된 청정 공기는 제1면부(111)와 제2면부(112) 사이의 수용 공간(113)에 일시적으로 머물다가 마스크(1)의 내부로 폭넓고 균일하게 퍼지면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면부(111)와 제2면부(112)에 의해 생성되는 에어 공급모듈(110)의 수용 공간(113)은 에어 공급관(200)의 일단이 마스크(1)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에어 공급관(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청정 공기가 마스크(1)의 내부로 신속하고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는 특유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제2면부(112)는 클립부(120)와 마주보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에어 공급모듈(110)은 쿠션패드(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쿠션패드(114)는 제1면부(111)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구성으로서, 제1면부(111)의 외표면이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때 사용자의 피부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접촉 충격을 완화하여 착용감을 개선시키며, 착용 상태에서 보행시 에어 공급모듈(11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클립부(120)는 에어 공급모듈(110)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에어 공급모듈(110)과의 사이에 마스크(1)가 끼워지도록 마스크(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 5 참조).
클립부(120)는 에어 공급모듈(110)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여 제2면부(112)와의 사이에 끼워지는 마스크(1)를 가압할 수 있는바, 클램핑 유닛(100)을 마스크(1)에 설치할 때 클립부(120)에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면 클립부(120)는 탄성력을 이기고 벌어지게 된다.
또한 클립부(120)와 에어 공급모듈(110) 사이에 마스크(1)가 끼워진 상태에서 클립부(120)에 가해지는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클립부(120)가 에어 공급모듈(110)의 제2면부(112) 쪽으로 탄성 이동되어 마스크(1)를 가압하게 되는바, 이에 따라 클램핑 유닛(100)이 마스크(1)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클립부(1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면부(112)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호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클립부(120)가 제2면부(11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2면부(112)와 클립부(120) 간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어 그 사이에 배치되는 마스크(1)를 보다 큰 힘으로 압착하기 때문에 클램핑 유닛(100)이 마스크(1)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클램핑 유닛(10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공급모듈(110)과 클립부(120)를 일체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연결부(130)는 클립부(120)가 에어 공급모듈(110)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구성이며,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클립부(120) 역시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에 끼워지기 전에는 클립부(120)가 에어 공급모듈(110) 쪽으로 위치되다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가 끼워지면 클립부(120) 및 탄성 연결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탄성 변형되면서 마스크(1)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클램핑 유닛(100)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140) 및 탄성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140)는 에어 공급모듈(110)과 클립부(1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립부(120)는 힌지부(140)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에어 공급모듈(11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클립부(120)가 에어 공급모듈(110)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클립부(120)와 에어 공급모듈(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5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가 끼워지기 전에는 탄성부재(150)에 의해 클립부(120)가 에어 공급모듈(1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위치되다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가 끼워지면 마스크(1)의 두께에 의해 탄성부재(150)가 압축되면서 클립부(120)가 마스크(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용자가 기존의 마스크(1)를 착용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핑 유닛(100)을 마스크(1)의 일측에 설치하고 클램핑 유닛(100)과 공기청정기(300)를 에어 공급관(200)으로 연결하면 공기청정기(300)에서 정화된 청정 공기가 마스크(1)의 내부로 공급되는바, 사용자는 유해물질 차단율이 높은 마스크(1)를 착용하더라도 마스크(1) 내부에 공급된 청정 공기에 의해 호흡을 쉽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마스크(1) 외부의 유해물질이 마스크(1) 내부로 전혀 들어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크(1) 내부의 더운 날숨에 신선한 청정 공기가 더해지기 때문에 마스크(1) 내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하지 않는바, 안경 착용자의 경우에도 안경에 김 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마스크 10 : 공기청정 유닛
20 : 공기청정 장치 100 : 클램핑 유닛
110 : 에어 공급모듈 111 : 제1면부
112 : 제2면부 113 : 수용 공간
114 : 쿠션패드 120 : 클립부
130 : 탄성 연결부 140 : 힌지부
150 : 탄성부재 200 : 에어 공급관
300 : 공기청정기

Claims (8)

  1. 마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청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핑 유닛; 및
    일단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청정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배출된 청정 공기를 상기 클램핑 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청정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에어 공급모듈; 및
    상기 에어 공급모듈에 탄력 지지되며,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의 사이에 상기 마스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스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공급모듈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공급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제1면부; 및
    상기 제1면부 상에서 호 형상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청정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클립부와 마주보도록 제공되는 제2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공급모듈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접촉 충격이 완화되도록 상기 제1면부의 외표면에 제공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2면부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면을 갖도록 호 형상으로 구성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 상기 클립부를 일체로 연결하며, 상기 클립부가 상기 에어 공급모듈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 상기 클립부를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클립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에어 공급모듈을 향하는 방향으로 회동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클립부와 상기 에어 공급모듈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8. 마스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청정 공기를 공급하도록 제공되는 클램핑 유닛;
    일단은 상기 클램핑 유닛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기청정기에 연결되어 상기 공기청정기에서 배출된 청정 공기를 상기 클램핑 유닛을 통해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공급관; 및
    휴대 가능한 크기로 구성되며, 상기 에어 공급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의 타단으로 청정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에어 공급관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청정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에어 공급모듈; 및
    상기 에어 공급모듈에 탄력 지지되며, 상기 에어 공급모듈과의 사이에 상기 마스크가 끼워지도록 상기 마스크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에어 공급모듈 쪽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클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공급모듈은,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는 제1면부; 및
    상기 제1면부 상에서 호 형상의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면부와의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면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에어 공급관을 통해 청정 공기를 공급받고, 상기 클립부와 마주보도록 제공되는 제2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공기청정 장치.
KR1020190041009A 2019-04-08 2019-04-08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KR102075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09A KR102075768B1 (ko) 2019-04-08 2019-04-08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1009A KR102075768B1 (ko) 2019-04-08 2019-04-08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768B1 true KR102075768B1 (ko) 2020-02-10

Family

ID=6962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1009A KR102075768B1 (ko) 2019-04-08 2019-04-08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31U (ko) * 2020-06-22 2021-12-29 김진향 마스크 탈착형 공기청정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46Y1 (ko) * 2002-02-04 2002-04-22 박영홍 휴대용 미니 공기 정화기
KR20130001357U (ko) * 2011-08-18 2013-02-27 김태형 휴대용 송풍기
JP3196741U (ja) * 2015-01-19 2015-04-02 ブルーエアー・エービー 呼吸マスク
KR20150035891A (ko) * 2015-02-27 2015-04-07 장종현 마스크용 입김 누출 차단장치
KR101784258B1 (ko) * 2016-06-09 2017-10-11 이여한 휴대용 공기 공급장치
KR20180024245A (ko) * 2016-08-29 2018-03-08 나용훈 휴대용 공기 정화기
KR20180001107U (ko) * 2018-04-09 2018-04-20 노현옥 휴대용 공기 청정 마스크
KR101914642B1 (ko) 2018-08-17 2018-11-06 비클시스템주식회사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346Y1 (ko) * 2002-02-04 2002-04-22 박영홍 휴대용 미니 공기 정화기
KR20130001357U (ko) * 2011-08-18 2013-02-27 김태형 휴대용 송풍기
JP3196741U (ja) * 2015-01-19 2015-04-02 ブルーエアー・エービー 呼吸マスク
KR20150035891A (ko) * 2015-02-27 2015-04-07 장종현 마스크용 입김 누출 차단장치
KR101784258B1 (ko) * 2016-06-09 2017-10-11 이여한 휴대용 공기 공급장치
KR20180024245A (ko) * 2016-08-29 2018-03-08 나용훈 휴대용 공기 정화기
KR20180001107U (ko) * 2018-04-09 2018-04-20 노현옥 휴대용 공기 청정 마스크
KR101914642B1 (ko) 2018-08-17 2018-11-06 비클시스템주식회사 안면 마스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931U (ko) * 2020-06-22 2021-12-29 김진향 마스크 탈착형 공기청정기
KR200496338Y1 (ko) * 2020-06-22 2023-01-06 주식회사 경진케어 마스크 탈착형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431B1 (ko) 공기정화 마스크 시스템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ES2900864T3 (es) Equipo de respiración mejorado (PAPR)
KR101404760B1 (ko) 다기능 마스크
RU2642776C2 (ru) Респираторная маска с приемной камерой чистого воздуха
US5357947A (en) Face mask
US20100108071A1 (en) Apparatuses to filter air
KR102216080B1 (ko) 일체형 안면 보호구
JP2007151823A (ja) 携帯型空調装置のアタッチメントならびに携帯型空調装置
CN113873909B (zh) 佩戴式空气净化系统
KR100897161B1 (ko) 비강내 삽입형 호흡정화 마스크
KR102471392B1 (ko) 기능성 마스크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KR20200113049A (ko) 산소 증강형 미세 먼지 제거 마스크
KR102075768B1 (ko) 휴대용 공기청정 유닛 및 장치
KR20180001813A (ko) 기능성 황사 마스크
KR102484402B1 (ko) 전동식 공기 정화 호흡기
US20030217751A1 (en) Washable dust mask
CN212651241U (zh) 一种带外接管的鼻罩
KR102303186B1 (ko) 착탈식 감염 예방 마스크 공기 배출장치
JP2006296486A (ja) マスク
US20120279507A1 (en) Integral Valve Effect Respirator
KR20220000647U (ko) 마스크와 공기정화공급모듈을 이용한 멀티형 공기청정기
KR200442577Y1 (ko) 방진, 방열 방습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