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567B1 -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567B1
KR102192567B1 KR1020190003487A KR20190003487A KR102192567B1 KR 102192567 B1 KR102192567 B1 KR 102192567B1 KR 1020190003487 A KR1020190003487 A KR 1020190003487A KR 20190003487 A KR20190003487 A KR 20190003487A KR 102192567 B1 KR102192567 B1 KR 102192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nch
groove
wire
ball joint
measur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006A (ko
Inventor
이광천
Original Assignee
(주)인사이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사이트테크 filed Critical (주)인사이트테크
Priority to KR1020190003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5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2Gearings; Transmission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Abstract

본 발명은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에 설치되는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끊어짐을 방지하는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LOAD MEASURING DEVICE OF BALL JOINT}
본 발명은 볼 조인트의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볼 조인트는 현가장치에서 어퍼암, 로워암, 측부암의 결합부분에 적용되고, 회전 및 요동이 이루어지는 부시 또는 부시조인트 적용부위에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볼 조인트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748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조인트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 측정장치(1)가 고려될 수 있다.
하중 측정장치(1)는 하중을 측정하는 측정센서(50)와 측정센서(50)에 연결되는 피복 전선(60)을 포함한다.
배경 기술의 볼 조인트는 하중 측정장치(1)를 설치하기 위하여, 몸통부(20)에 측정센서(50)를 수용하는 홈부(40)가 형성되고, 몸통부(20)와 결합부(10) 내부에 중공부(30)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중공부(30)는 몸통부(20)와 결합부(10)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이다.
볼 조인트 상부에는 중공부(30)의 일측이 노출되는 제1홀(11)이 형성되고, 홈부(40)에는 중공부(30) 타측과 연통되는 제2홀(12)이 형성된다.
중공부(30)는 몸통부(20)와 결합부(10)의 내부 중심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중공부(31)와 몸통부(20)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중공부(32)로 구성된다.
제1중공부(31)의 일측은 제1홀(11)이 형성되고, 타측은 제2중공부(32)와 연통된다. 제2중공(32)의 일측은 제1중공(31)와 연통되고, 타측은 제2홀(12)이 형성된다.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중공부(31)와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중공부(32)가 연통되는 연결부에는 모서리부(33)가 형성된다. 이는 제1중공부(31)와 제2중공부(32)가 90도의 각도로 연통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성이다.
홈부(40)에는 측정센서(50)가 설치되며, 측정센서(50)에 연결되는 전선(60)은 제1홀(11)을 통해 삽입되어 제1중공부(31) 및 제2중공부(32)를 거쳐 제2홀(12)을 통해 배출된다. 제2홀(12)을 통해 배출된 전선(60)은 홈부(40)에 설치된 측정센서(50)와 연결되는 것이다.
전선(60)의 일측은 측정센서(50)에 연결되고 타측은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측정 기기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전선(60)은 제1중공부(31) 및 제2중공부(32)에 수용되거나, 제2홀(12)을 통해 배출되어 측정센서(50)에 연결될 때 필연적으로 모서리부(33)와 맞닿는다. 이때, 볼 조인트가 회전을 하게 되면, 볼 조인트 내부에 수용된 전선(60)은 모서리부(33)와 맞닿은 상태에서 유동하게 되므로, 모서리부(33)와 전선(60) 사이에는 마찰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전선(60)은 마찰력에 의해 피복이 벗겨지거나 끊어짐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공부(30)는 하나의 제1중공부(31)를 거쳐 복수개의 제2중공부(32)가 형성되는 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제1종공부(31) 내에서는 복수개의 전선(60)이 같은 공간에 수용된다.
제1중공부(31)에 복수개의 전선(60)이 수용됨으로써, 볼 조인트 회전시 전선(60)들이 꼬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전선(60)의 꼬임이 발생하게 되면, 전선(60)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장력에 의해 측정센서(50)와 연결된 부분이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선(60)을 볼 조인트의 내부로 설치하는 구조는 전선(60)을 설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13748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중 측정장치의 설치되는 전선의 끊어짐 및 꼬임을 방지하는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는, 볼의 형상을 가지는 볼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볼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볼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의 일측과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몸통부 외면에 형성된 제1트렌치부; 상기 제1트렌치부와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 외면에 형성된 제2트렌치부; 상기 홈부에 설치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와 연결되며,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상기 도선의 외면을 감싸주는 피복 전선을 포함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도선에 상기 피복 전선이 감싸진 상태로 상기 제1, 2트렌치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선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홈부에서 상기 측정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의 직경보다 상기 몸통부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2트렌치부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2트렌치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되, 상기 제1, 2트렌치부 사이의 단차는 완만하게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 전선의 외면이 상기 결합부의 외면 및 상기 몸통부의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2트렌치부의 깊이는 상기 피복전선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측정센서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홈부가 상기 제1, 2트렌치부 및 상기 볼부의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볼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1, 2트렌치부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설치된 상기 측정센서의 상면은, 상기 몸통부의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 2트렌치부는 복수개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2트렌치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선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는 각각의 트렌치부가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트렌치부 개별적으로 피복 전선을 수용함으로써, 볼 조인트에 복수개의 피복 전선이 설치되었다 하더라도, 전선들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부가 볼 조인트의 외면을 따라 일자의 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트렌치부 내부에는 피복 전선에 마찰이 이루어질 만한 요소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마찰에 의한 피복 전선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렌치부가 볼 조인트의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전선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의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2(a)는 종래의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의 측면도.
도 2(b)는 종래의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의 A-A'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가 로워암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의 측면도.
도 6(a)는 도 4의 B-B'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C-C'선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볼 조인트의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하중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나, 이러한 하중 측정장치는 로워암에 사용되는 볼 조인트뿐만 아니라 다른 기계부품 등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볼 조인트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100)는 볼의 형상을 가지는 볼부(130)와 외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 결합부(110), 볼부(130)와 결합부(110)를 연결하는 몸통부(120), 몸통부(120)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150), 홈부(150)의 일측과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몸통부(120) 외면에 형성된 제1트렌치부(141), 제1트렌치부와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결합부(110) 외면에 형성된 제2트렌치부(142), 홈부(150)에 설치되는 측정센서(160) 및 측정센서(160)와 연결되며 제1, 2트렌치부(141, 142)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선(170)을 포함하며 형성된다.
볼부(130)는 볼의 형상을 가지며 형성되며, 볼 조인트는 볼부(130)에 의해 로워암(200) 등 기계부품과 결합 시 회전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10)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볼 조인트 상부에 형성되며, 외면에 나사산(111)이 형성된다. 또한, 결합부(110)의 외면에는 제2트렌치부(142)가 형성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합부(110)의 일측은 몸통부(120)와 연결되고, 결합부(110) 외면에 형성되는 제2트렌치부(142)는 몸통부(120) 외면에 형성되는 제1트렌치부(141)와 연통된다.
몸통부(120)는 볼부(130)와 결합부(110) 사이에 형성되며, 볼부(130)와 결합부(110)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몸통부(120)의 일측은 결합부(110)와 연결되고 타측은 볼부(130)와 연결되는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120)의 직경은 결합부(11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몸통부(120)와 결합부(110)는 단차지며 형성된다.
몸통부(120)의 직경은 상부에서 중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다가, 중부 이상 즉, 몸통부(120)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볼부(130)를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몸통부(120)의 외면에는 측정센서(160)가 구비되는 홈부(150)와 제1트렌치부(141)가 형성되고, 제1트렌치부(141)의 일측은 홈부(150)와 연통되고, 타측은 제2트렌치부(142)와 연통된다.
홈부(150)는 몸통부(120)의 외면에 형성되고, 몸통부(120)에 깊이를 가지면서 폐쇄된 홈을 형성한다.
홈부(150)는 몸통부(120)의 하면에 형성되고,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홈부(150)의 일측은 제1트렌치부(141)와 연통되고, 타측은 볼부(130)와 맞닿으며 형성된다.
홈부(150)의 깊이는 볼부(130)의 외측면보다 깊게 형성되며, 또한 제1트렌치부(141) 보다 깊게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150)는 제1트렌치부(141) 및 볼부(130)의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고 있다.
홈부(150)에 깊이는 홈부(150)에 측정센서(160)가 설치되더라도, 측정센서(160)의 상면이 몸통부(120)의 외면, 즉 볼 조인트의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홈부(150)를 깊게 형성하면, 홈부(150)에 설치되는 측정센서(16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트렌치부(140) 및 볼부(130)보다 깊게 형성하여 단차를 이룸으로써, 측정센서(160)를 홈부(150)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가 과다공급 되더라도, 접착제가 트렌치부(140) 또는 볼부(130)로 넘쳐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홈부(150)의 크기는 홈부(150) 내부에 수용되는 측정센서(160) 및 제1트렌치부(14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홈부(150)는 몸통부(120) 외면에 4개 형성되며,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몸통부(120) 외면을 따라 배치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홈부(150)를 기준으로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도면에는 홈부(150)가 직사각형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 원형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트렌치부(140)는 제1트렌치부(141)와 제2트렌치부(142)로 구성되고, 제1, 2트렌치부(141, 142)는 복수개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전선(170)을 각각 수용한다.
트렌치부(140)의 폭은 트렌치부(140)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17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며, 트렌치부(140)는 홈부(150)에부터 결합부(110)의 최상단까지 볼 조인트의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트렌치부(141)는 홈부(150)의 일측과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몸통부(120) 외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트렌치부(141)는 몸통부(120) 외면에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트렌치부(141)의 일측은 홈부(150)와 연통되고, 타측은 제2트렌치부(142)와 연통된다.
제1트렌치부(141)는 4개로 구성되며,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몸통부(120)의 외면을 따라 배치된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트렌치부(141)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을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제2트렌치부(142)는 제1트렌치부(141)와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결합부(110) 외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트렌치부(142)의 일측은 제1트렌치부(141)와 연통되고, 타측은 결합부(110)의 상면과 맞닿는다.
제2트렌치부(142)는 4개로 구성되며, 각각 일정한 간격으로 결합부(110)의 외면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제2트렌치부(14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따라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제1트렌치부(141)와 제2트렌치부(142)는 동일 깊이로 형성되나, 결합부(110)와 몸통부(120)의 직경차이로 인하여, 단차 지며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렌치부(141)는 단면상에서 제2트렌치부(142)보다 높게 형성된다.
이때, 제1트렌치부(141)와 제2트렌치부(142)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는 직각의 형상이 아닌 완만한 경사를 이루며 형성된다.
트렌치부(140)의 깊이는 내부에 수용되는 전선(170)의 표면이 볼 조인트의 외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도록 깊게 형성된다. 즉, 트렌치부(140)의 깊이는 전선(17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된다.
트렌치부(140)의 깊이가 전선(170)의 두께보다 낮게 형성될 경우, 전선(170)의 피복 전선(172)이 손상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부(110)에 형성된 나사산(111)에는 너트가 결합되는데, 전선(170)의 외면이 결합부(110)의 외면보다 돌출될 경우, 너트 체결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체결되는 너트에 의해, 전선(170)의 피복이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렌치부(140)의 깊이를 전선(17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함으로써, 전선(170)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2트렌치부(141, 142)의 단면 형상은 3변이 직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밑변이 오목한 형상을 가진 형태, 2변이 45도의 각도를 가진 형태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2트렌치부(141, 142)는 측정센서(160)로 연결되는 전선(170)을 수용 및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하나의 제1, 2트렌치부(141, 142)에는 하나의 전선(170)만이 수용된다.
측정센서(160)는 홈부(150)에 설치되며, 볼 조인트에 걸리는 하중을 측정하는 기능을 한다.
측정센서(160)는 각 홈부(150)당 한 개씩 설치되며, 각각의 측정센서(160)에는 하나의 전선(170)이 연결된다.
전선(170)은 전류가 흐르는 도선(171)과 도선(171)의 외면을 감싸주는 피복 전선(172)을 포함한다.
전선(170)은 도선(171)에 피복 전선(172)이 감싸진 형태로 트렌치부(140)에 수용되고, 전선(170)의 피복 전선(172)이 벗겨진 상태, 즉, 도선(171)을 외부로 노출 시킨 상태로 측정센서(160)와 연결한다.
전선(170)은 측정센서(160)와 연결되며 제1, 2트렌치부(141, 142)의 내부에 구비된다. 전선(170)은 각 트렌치부(140)당 한 개씩 구비되며, 제1, 2트렌치부(141, 142)에 수용되는 전선(170)은 접착제로 고정 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100)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100)는 측정센서(160)와 측정센서(160)에 연결되는 전선(170)을 포함하고, 하중 측정장치(100)는 볼 조인트 외면에 형성된 홈부(150) 및 트렌치부(140)에 설치된다.
홈부(150) 및 트렌치부(140)는 볼 조인트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홈부(150)와 트렌치부(140)는 연통된다.
측정센서(160)는 볼 조인트 외면에 형성된 홈부(150)에 수용되고, 측정센서(160)에 연결되는 전선(170)은 제1, 2트렌치부(141, 142)에 수용된다.
이때, 복수개의 측정센서(160)는 각각의 홈부(15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고, 전선(170) 또한 각각의 트렌치부(140)에 수용된다. 다시 말해, 하나의 홈부(150) 및 트렌치부(140)는 각각 독립적인 공간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개의 전선(170)은 적어도 볼 조인트 범위 내에서는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각각의 트렌치부(140)가 독립적인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트렌치부(140) 내부에 전선(170)을 개별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볼 조인트에 복수개의 측정센서(160) 및 전선(170)이 설치된다 하더라도, 전선(170)들 간의 간섭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볼 조인트의 회전 등으로 인한 전선(170)의 꼬임발생이 방지가 되고, 이로 인해, 전선(170)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끊어짐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트렌치부(140)가 볼 조인트의 외면을 따라 일자의 띠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트렌치부(140) 내부에는 전선(170)에 마찰이 이루어질 만한 요소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1트렌치부(141)와 제2트렌치부(142) 사이에 단차가 형성이 되지만, 직각의 형상이 아닌 완만하게 경사진 면으로 구성함으로써, 전선(170)에 마찰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요소가 사전에 차단된다. 따라서, 전선(170)의 피복 및 끊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렌치부(140)가 볼 조인트의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전선(170)의 설치가 용이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200: 로워암
110: 결합부 111: 나사산
120: 몸통부 130: 볼부
140: 트렌치부 141: 제1트렌치부
142: 제2트렌치부 150: 홈부
160: 측정센서 170: 전선
171: 피복 전선 172: 도선

Claims (4)

  1. 볼의 형상을 가지는 볼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
    상기 볼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에서, 상기 볼부와 상기 결합부를 연결하는 몸통부;
    상기 몸통부의 외면에 형성된 홈부;
    상기 홈부의 일측과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몸통부 외면에 형성된 제1트렌치부;
    상기 제1트렌치부와 연통되어 길이 방향으로 상기 결합부 외면에 형성된 제2트렌치부;
    상기 홈부에 설치되는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와 연결되며,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상기 도선의 외면을 감싸주는 피복 전선을 포함하는 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은, 상기 도선에 상기 피복 전선이 감싸진 상태로 상기 제1, 2트렌치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선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로 상기 홈부에서 상기 측정센서와 연결되며,
    상기 결합부의 직경보다 상기 몸통부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2트렌치부는 서로 동일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2트렌치부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되, 상기 제1, 2트렌치부 사이의 단차는 완만하게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피복 전선의 외면이 상기 결합부의 외면 및 상기 몸통부의 외면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상기 제1, 2트렌치부의 깊이는 상기 피복전선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되고,
    상기 측정센서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홈부가 상기 제1, 2트렌치부 및 상기 볼부의 외측면과 단차를 이루도록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볼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1, 2트렌치부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 설치된 상기 측정센서의 상면은, 상기 몸통부의 외면으로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트렌치부는 복수개 형성되되,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선을 각각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트렌치부에 수용되는 상기 전선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4. 삭제
KR1020190003487A 2019-01-10 2019-01-10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KR102192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87A KR102192567B1 (ko) 2019-01-10 2019-01-10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487A KR102192567B1 (ko) 2019-01-10 2019-01-10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006A KR20200087006A (ko) 2020-07-20
KR102192567B1 true KR102192567B1 (ko) 2020-12-17

Family

ID=71831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487A KR102192567B1 (ko) 2019-01-10 2019-01-10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5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82B1 (ko) * 2017-07-21 2018-07-10 김경호 전동 엑추에이터의 센서 장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1504A1 (de) * 2004-10-21 2006-05-18 Zf Friedrichshafen Ag Kraftmesssystem mit zumindest einem Kugelgelenk
KR20150137481A (ko) 2014-05-29 2015-12-09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볼조인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682B1 (ko) * 2017-07-21 2018-07-10 김경호 전동 엑추에이터의 센서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006A (ko) 202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2378B (zh) 具有加強的背端設計之電氣連接器
EP3483988B1 (en) Connector
KR100754765B1 (ko)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KR102192567B1 (ko) 볼 조인트 하중 측정장치
US20100144170A1 (en) Electric junction box
ES2439460T3 (es) Conector con un cuerpo aislante de una sola pieza
KR860002882A (ko) 접속기
JP2017204445A (ja) フラットケーブル及び止水ケーブル
US1148928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5090055B2 (ja) コネクタ
JPH0155753B2 (ko)
JP3361395B2 (ja) 光コネクタブーツ
JPS61206182A (ja) プラグ
JP2010108634A (ja) コード付き接続具
CN114459622B (zh) 一种用于温度传感器的静电防护装置
US6265668B1 (en) Protecting device for plug
JP3563550B2 (ja) ワイヤ・ロープ端末の封止構造
KR940016289A (ko) 절결단위형을 조합하여 전자파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방법 및 절결단위형을 형성한 물품
KR100633259B1 (ko) 케이블 고정용 밴드
KR200184351Y1 (ko) 써모커플 컨넥터의 시스와이어 보호구조
CN211238668U (zh) 用于一多芯电缆的分支结构
CN106356130B (zh) 一种设有光缆管的软电缆
WO2022034726A1 (ja) 水分検出センサ
FI82571B (fi) Anordning foer dragavlastning av ledning.
KR101113435B1 (ko)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