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2126B1 -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2126B1
KR102192126B1 KR1020190082795A KR20190082795A KR102192126B1 KR 102192126 B1 KR102192126 B1 KR 102192126B1 KR 1020190082795 A KR1020190082795 A KR 1020190082795A KR 20190082795 A KR20190082795 A KR 20190082795A KR 102192126 B1 KR102192126 B1 KR 102192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signal
controlling
target
simul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탁윤도
백준수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8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2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2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001Devices or systems for testing or checking
    • F41G7/002Devices or systems for testing or checking target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006Guided missiles training or simula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24Beam riding guidance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03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military purposes and tac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 신경망을 이용한 코덱 분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코덱에서 헤더의 특징을 추출하는 특징 추출 모듈, 상기 추출된 특징을 이용하여 순환 신경망 기반의 학습을 수행하는 학습 모듈 및 상기 학습 모듈의 학습된 학습 모델을 기반으로 입력된 코덱을 분류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LASER TARGET SIMUL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후면투사 방식을 이용하여 램버시안 반사(Lambertian Reflection) 특성을 가지는 표적 신호를 모의 시험하기 위한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도무기 체계 개발과정에 있어서, 모의비행시험은 다양한 운용환경 하에서의 무기체계의 성능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효율적인 시험방법이다. 특히 탐색기를 사용하는 유도무기는 탐색기로 인가되는 표적신호에 의해 유도성능이 결정적으로 영향 받게 되므로, 표적신호 모의 시스템은 모의비행시험 수행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여기서 유도무기의 탐색기에는 레이저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사용가능하다. 레이저 표적 신호는, 탐색기 자체 혹은 외부 조사기에서 레이저 신호가 방사된 후 표적 표면에서 반사되어 탐색기에 도달하게 되는 신호를 의미하며, 탐색기와 표적의 상대기하에 영향을 받으며 이때 표면에서의 반사특성은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에너지를 반사하는 램버시안(lambertian, 또는 람베르트) 형태를 가지게 된다.
종래의 표적신호 모의 시스템의 경우 지향성을 가지는 방사 소자를 활용하여 탐색기로 직접 신호를 방사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었지만, 이는 실제 레이저 표적의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사실적으로 모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즉, 모의비행시험(HILS; Hardware-In-the-Loop-Simulation)을 위한 종래의 표적신호 모의 시스템은 표적 표면에서의 반사특성이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동일한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특성을 가지는 경우에 대해서는 적용 가능하나, 실제 레이저와 같은 램버시안 반사(Lambertian Reflection) 특성을 가지는 신호를 적절히 모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이저 표적 신호의 모의를 위하여 기존의 표적모의 시스템과는 달리 후면투사방식을 활용한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통해 모의비행시험 수행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유도 무기 체계의 성능 효과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레이저 모의 표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를 스크린을 통해 투사하는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 및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및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는,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구현하는 후면 스크린 및 상기 후면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된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 및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투사 방향을 제어하는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운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의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 및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는, 레이저 신호원, 상기 레이저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감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제어 명령을 통해 방사되는 레이저 특성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는, 횡축과 종축 방향으로의 제어가 가능한 2축 스캐너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상기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신호를 탐색하는 레이저 탐색기 및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와 연동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는, 입력받은 상기 레이저 탐색기의 정보를 활용하여 6자유도 방정식의 실시간 연산을 수행하며, 상기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표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레이저 모의 표적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가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가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를 스크린을 통해 투사하는 단계 및 시스템 운영 장치가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및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는,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구현하는 후면 스크린 및 상기 후면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된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가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및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가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투사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운영 장치가 제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이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의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이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는, 레이저 신호원, 상기 레이저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감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제어 명령을 통해 방사되는 레이저 특성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는, 횡축과 종축 방향으로의 제어가 가능한 2축 스캐너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 탐색기를 이용한 탐색기가 적용된 유도무기 체계의 모의비행시험 수행에 있어서, 무기체계의 사실적 성능검증을 위해서는 탐색기의 표적 추적 성능이 평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실제 환경에서 발생가능한 표적신호를 모의할 수 있는 신호 모의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모의비행시험 시뮬레이션 루프를 구성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후면투사방식을 활용하여 레이저 탐색기가 적용된 유도 무기 체계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표적 표면에서의 반사 특성이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동일한 정반사(Specular Reflection) 형태인 경우에 대해서는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레이저와 같은 램버시안 반사(Lambertian Reflection) 특성을 가지는 표적에 관한 신호를 모의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여기서 램버시안 반사(Lambertian Reflection)를 갖는 표면은, 관찰자가 바라보는 각도와 관계없이 같은 겉보기 밝기를 갖는다. 즉, 물체 표면의 휘도가 등방성(等方性)을 가질 때 그 표면이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갖는다고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과는 다른 후면 투사방식을 활용한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고안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시스템 운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은,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100),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200) 및 시스템 운영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 요소들 중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100)는, 레이저 표적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레이저 표적 생성기(100)는, 실제 레이저 신호를 발생시킨 후 이를 상황에 맞춰서 적절히 감쇄시키거나 ON/OFF 제어하는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110)와 생성된 레이저빔의 투사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12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110)는, 레이저 신호원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감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스템 운영 장치(300)의 레이저 신호 연산 컴퓨터에서 연산된 제어 명령을 통해 방사되는 레이저 신호의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120)는 스크린의 후면을 향해 방사될 레이저 빔의 위치를 제어하는 장치로, 횡축과 종축 방향으로의 제어가 가능한 2축 스캐너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영 시스템(300)의 레이저 투사 장치 제어 컴퓨터(3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200)는, 생성된 레이저 신호를 투영시켜 실제 환경에서의 레이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200)는, 표적 표면에서의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후면 투사 스크린(210)과 레이저 탐색기 앞단에서 위치하여 실제 환경에서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레이저 신호가 레이저 탐색기로 입사되도록 만들어주는 콜리메이터(220)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시스템 운영 장치(300)는,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와 연결되어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 운영 장치(300)는,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110)의 제어명령 생성을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레이저 신호 연산 컴퓨터(310)와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120)를 제어하기 위한 투사 장치 제어 컴퓨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레이저 신호 연산 컴퓨터(310)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100)에 신호 생성 여부를 ON/OFF로 제어하며 상황에 맞는 레이저 빔의 신호 레벨이 주어진 조건에 맞춰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도록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에 내장된 감쇄기의 조정 명령을 산출하며, 투사 장치 제어 컴퓨터(320)는, 사용자의 요구 혹은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의 연산 결과에 따라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120)를 운용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하나의 시스템 구성도로 도시하면 도 5와 같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술한 각각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의 구성 요소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은, 크게 시스템 운영 장치(300) 및 레이저 투사 장치(400)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레이저 투사 장치(400)는, 상술한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100) 및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은 외부 진동을 차단하는 광학 테이블에서 스크린 투영(Illuminated Screen) 방식을 통해 레이저 표적 신호를 모의할 수 있다. 즉 레이저 투사 장치를 차폐 및 방진 시설(600)로 둘러쌀 수 있다.
먼저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110)로부터 레이저 빔 신호를 생성하고,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120)가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의 위치를 조절한다. 따라서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110)로부터 생성된 신호가 제어된 위치로 투사될 수 있다.
투사된 상기 레이저 신호는, 후면 투사 스크린(210)을 투영한다. 후면 투사 스크린(210)을 통해 레이저는 산란되고, 산란된 레이저 신호는 콜리메이터(220)를 투영하여 탐색기로 전달 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이저 탐색기가 사용된 탐색기의 모의 비행 시험 수행을 위한 시스템 구성으로,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500)와 레이저 신호 모의장치 및 시험 대상인 레이저 탐색기(700)가 서로 연동되어 동작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500)는 입력받은 레이저 탐색기(700)의 추적 및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6자유도(6 Degrees Of Freedom) 방정식의 실시간 연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해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의 구동을 위한 유도무기와 표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연산하게 된다. 연산된 결과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으로 전달되어 레이저 표적 신호 모의를 위해 활용되며, 이는 다시 레이저 탐색기(700)의 추적 및 상태 정보에 영향을 주게 되어 모의비행시험 수행을 위한 시뮬레이션 루프가 형성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하기 하기 위한 설비는, 4분면 광 검출기(4-Quadrant Photo Detector)로 구성된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는 유도무기의 기능과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모의비행시험 장비로, 크게 중앙시뮬레이션 컴퓨터(500)와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500)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되어 동작하며 6자유도방정식의 연산을 통해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유도무기와 표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중앙시뮬레이션 컴퓨터로의 정보를 바탕으로 레이저 신호를 생성한 후 후면 투사방식으로 모의함으로써 레이저 센서가 장착된 유도무기의 HILS(Hardware-In-the-Loop-Simulation; 모의 비행 시험)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레이저는 기본적으로 직진성의 물리적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투사 스크린을 투과하게 하게 되면 실제 표적에서 램버시안 반사 형태로 후면으로 산란되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밀도를 갖고 퍼져 나가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때 실제 탐색기로 입력되는 수신신호의 크기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9070329410-pat00001
여기서, Pr은 탐색기 수신 에너지, Ps는 레이저 빔 생성기 신호 출력, T는 레이저 빔 생성기 광학계 투과율, a는 대기 감쇄 계수, rT는 송신 거리, t는 스크린 투과도, AR은 탐색기 수신부 광학계 면적, rR은 수신 거리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제어 방법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이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와 연동이 시작되면, 동기화 신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동기화 신호가 발생한 경우, 탐색기와 표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중앙 통제 컴퓨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120).
S120 단계에서 수신된 정보 및 표적의 산란 특성을 고려하여 레이저 송수신 방적식으로부터 탐색기의 수신 신호 레벨을 계산할 수 있다(S130).
한편, S130단계에서 계산된 탐색기의 수신 신호 레벨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레이저 빔 생성기 동작을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S140).
한편, 탐색기 및 표적 사이의 기하 관계를 고려하여 후면 투사 스크린의 적절한 위치로 레이저 빔을 송신하기 위한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의 작동을 생성할 수 있다(S150).
적절한 위치로 작동하는 경우 프로그램은 종료되고,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중앙 통제 컴퓨터와의 연동이 종료된다(S16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탐색기를 이용한 탐색기가 적용된 유도무기 체계의 모의비행시험 수행에 있어서, 무기체계의 사실적 성능검증을 위해서는 탐색기의 표적 추적 성능이 평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실제 환경에서 발생가능한 표적신호를 모의할 수 있는 신호 모의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모의비행시험 시뮬레이션 루프를 구성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후면투사방식을 활용하여 레이저 탐색기가 적용된 유도 무기 체계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100: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110: 레이저 빔 생성기
120: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
200: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
210: 후면 투사 스크린
220: 콜리메이터
300: 시스템 운영 장치
310: 레이저 신호 연산 컴퓨터
311: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320: 레이저 투사 장치 제어 컴퓨터
321: 제어 소프트웨어

Claims (11)

  1.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를 스크린을 통해 투사하는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 및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및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는,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구현하는 후면 스크린 및
    상기 후면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된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는,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제어하는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 및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투사 방향을 제어하는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운영 장치는,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의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 및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를 제어하기 위한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는,
    레이저 신호원, 상기 레이저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감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제어 명령을 통해 방사되는 레이저 특성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는,
    횡축과 종축 방향으로의 제어가 가능한 2축 스캐너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6.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에 있어서,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를 스크린을 통해 투사하는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 및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및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제어하는 시스템 운영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는,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구현하는 후면 스크린 및
    상기 후면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된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은,
    상기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으로부터 발생된 레이저 신호를 탐색하는 레이저 탐색기와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와 연동이 가능하고,
    상기 중앙 시뮬레이션 컴퓨터는,
    입력받은 상기 레이저 탐색기의 정보를 활용하여 6자유도 방정식의 실시간 연산을 수행하며, 상기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표적의 위치 및 자세 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7.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가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가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를 스크린을 통해 투사하는 단계; 및
    시스템 운영 장치가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생성기 및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표적 신호 투영기는,
    램버시안 반사 특성을 구현하는 후면 스크린 및
    상기 후면 스크린으로부터 전달된 레이저 신호를 출력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가 레이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제어하는 단계; 및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가 상기 생성된 레이저 신호의 투사 방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 운영 장치가 제어하는 단계는,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이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의 제어를 위한 연산을 수행하는 단계; 및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이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빔 신호 생성기는,
    레이저 신호원, 상기 레이저 신호원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 및 감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신호 연산 모듈에서 연산된 제어 명령을 통해 방사되는 레이저 특성 신호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제어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 위치 제어기는,
    횡축과 종축 방향으로의 제어가 가능한 2축 스캐너 모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사 장치 제어 모듈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90082795A 2019-07-09 2019-07-09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95A KR102192126B1 (ko) 2019-07-09 2019-07-09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795A KR102192126B1 (ko) 2019-07-09 2019-07-09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2126B1 true KR102192126B1 (ko) 2020-12-16

Family

ID=7404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795A KR102192126B1 (ko) 2019-07-09 2019-07-09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21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124A (ko) * 1998-11-19 2000-06-15 안중환 비접촉식 표면거칠기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134118B1 (ko) * 2012-01-05 2012-04-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hils 시스템
JP5852383B2 (ja) * 2011-09-26 2016-02-03 エフ・エー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124A (ko) * 1998-11-19 2000-06-15 안중환 비접촉식 표면거칠기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5852383B2 (ja) * 2011-09-26 2016-02-03 エフ・エーシステム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KR101134118B1 (ko) * 2012-01-05 2012-04-09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혼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성능을 검증하는 hils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4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10262230B1 (en) Object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EP1779055B1 (en) Enhancement of aimpoint in simulated training systems
US9723293B1 (en) Identifying projection surfaces in augmented reality environments
KR102174598B1 (ko) 회절 인지를 통한 비가시선 음원 위치 추적 방법 및 시스템
CN112529022B (zh) 一种训练样本的生成方法及装置
JP6970376B2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Kim et al. Development of simulator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s utilizing underwater acoustic and optical sensing emulators
Stout Simulation of N-wave and shaped supersonic signature turbulent variations
KR102192126B1 (ko)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0293259B2 (en) Control of audio effects using volumetric data
CN110347007B (zh) 一种投影灯中激光器的校准方法和装置
CN112805075B (zh) 高级游戏可视化系统
CN116753777A (zh) 激光武器瞄准性能测试方法及系统
Manivasagam et al. Towards zero domain gap: A comprehensive study of realistic lidar simulation for autonomy testing
KR102638087B1 (ko) 레이저 표적 모의 시스템 및 레이저 표적 모의 방법
KR101518306B1 (ko) 3d 입체 영상 생성 기술을 이용한 소방 훈련 시뮬레이션 방법
CN113117327B (zh) 增强现实互动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102252061B1 (ko) 위치 추적 시스템을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
Jankauskis et al. TipTrap: A Co-located Direct Manipulation Technique for Acoustically Levitated Content.
CN111897241A (zh) 传感器融合多目标模拟硬件在环仿真系统
CN111526292A (zh) 音视频混合监控方法、设备及存储装置
KR102516795B1 (ko) 소나 이미지 시뮬레이터 장치 및 수중 객체 탐지 장치
CN208954604U (zh) 一种激光云投影机
KR102136258B1 (ko) 수중운동체 성능 검증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