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845B1 -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1845B1 KR102191845B1 KR1020200096753A KR20200096753A KR102191845B1 KR 102191845 B1 KR102191845 B1 KR 102191845B1 KR 1020200096753 A KR1020200096753 A KR 1020200096753A KR 20200096753 A KR20200096753 A KR 20200096753A KR 102191845 B1 KR102191845 B1 KR 1021918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smartphone
- guide beam
- photographing
- spiral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로서, 유도빔(20)에 장착된 상태로 나선봉(65)에 의하여 구동되는 슬라이더(30) 및 스마트폰(10) 홀더(40) 등이 구성되고, 슬라이더(30)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설치되어, 스마트폰(10)에 의하여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피검체와 함께 촬영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범용 시판 장비를 활용하여, 시설물 점검시 이동 촬영의 수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촬영 지점의 위치 및 피사체의 형태 제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극히 간소한 구성으로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범용 시판 장비를 활용하여, 시설물 점검시 이동 촬영의 수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촬영 지점의 위치 및 피사체의 형태 제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극히 간소한 구성으로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각종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로서, 유도빔(20)에 장착된 상태로 나선봉(65)에 의하여 구동되는 슬라이더(30) 및 스마트폰(10) 홀더(40) 등이 구성되고, 슬라이더(30)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설치되어, 스마트폰(10)에 의하여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피검체와 함께 촬영되도록 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장비 및 영상정보 처리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교량 및 터널을 비롯한 도로 시설, 측구, 관거 및 맨홀 등 수리시설 또는 주거용 및 업무용 건물, 다중 이용 시설 등 다양한 시설물의 점검에 있어서 디지털 영상 촬영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촬영 장비의 소형화 및 촬상 영상의 고도화에 따라 현장 점검원이 휴대 가능한 형태의 다양한 점검용 촬영 장치가 개발된 바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352070호, 특허 제1403915호 및 특허 제2105633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1352070호, 특허 제1403915호 및 특허 제2105633호를 비롯한 종래의 시설물 점검용 촬영 장치는 모두 디지털 촬상 소자가 적용된 광학 장비가 적용되어 피검체를 촬영한 영상정보가 전산 처리되는 기술로서, 전통적인 육안 검사 및 기록에 비하여 점검의 효율성, 편의성 및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우선, 특허 제1352070호는 봉체(棒體) 형태의 본체 말단에 대물(對物) 렌즈 및 촬상소자가 구성되고, 본체 타단의 파지부에는 촬상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가 장착된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내시경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점검원의 직접 근접이 어려운 협소한 지점이나 고소(高所) 시설물의 점검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나, 범용 장비가 아닌 전용 장치를 제작하여야 할 뿐 아니라, 촬상부 또는 출력부를 필요에 따라 분리 내지 변형할 수 없으므로 활용에 상당한 제약이 있었다.
특히, 일반 시판 카메라 및 모니터 등 범용 장비의 적용이 불가능하고, 전체 장치를 별도 제작하여야 하는 바, 막대한 제작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고장 발생시 고가의 수리 비용 역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봉체 선단에 카메라를 단순 장착하고, 점검원의 스마트폰과 카메라간 무선 통신로를 개설하여 촬상된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특허 제1403915호가 개발되었으며, 이로써 범용 장비를 활용하면서도 영상정보의 획득 및 처리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었으나, 스마트폰과 봉체 선단 카메라간 통신로 개설에 있어서, 스마트폰 등 정보기기 활용에 미숙한 점검원의 경우 상당한 애로점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이들 특허 제1352070호 및 특허 제1403915호는 봉체형 본체와 소형 카메라를 활용하여, 협소한 지점 또는 고소 등 점검원의 근접이 어려운 지점에 대한 용이한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주안점이 두어진 것으로, 사실상 촬상 및 영상정보 저장외에는 실질적 기능이 전혀 없으며, 시설물 점검에 있어서 요구되는 촬영 지점의 위치 또는 피사체의 형태상 제원 등을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은 전무한 것이다.
이에, 카메라의 위치 및 자세 등의 정보를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획득하여 수록하는 특허 제2105633호가 개발되었으나, 복잡한 구동장치 및 다수의 고감도 센서가 구성되는 바, 막대한 제작 비용이 소요되고, 고장 발생시 고가의 수리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구동장치 및 센서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전원 공급이 요구되고, 전체 장비의 복잡화 및 대형화가 불가피하여 운용에 상당한 전문성 및 숙련도가 필요함은 물론, 사실상 전체 장비의 휴대가 곤란한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촬영 및 영상정보 저장에 있어서 범용 시판 장비를 개조 없이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가의 센서 및 별도 전원 공급 없이도 이동 촬영은 물론 촬영 지점의 위치 및 피사체 형태상 제원의 파악이 가능하고, 극히 간소한 구성으로 간편한 휴대가 가능하도록 창안된 것으로, 점검 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각관체인 유도빔(20)에는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판체인 슬라이더(30)가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유도빔(20)의 내부에는 유도빔(20)과 평행한 수나사인 나선봉(65)이 설치되고, 슬라이더(30)의 하부에는 상기 나선봉(65)에 결합되는 암나사부(66)가 형성되어, 나선봉(65)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30)가 왕복되고, 유도빔(20)에는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인 표시부(21)가 형성되며, 슬라이더(30)에는 지시침(41)이 설치되고, 홀더(40)에는 반사경(50)이 장착되되,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의 촬영 영상에 반사경(50)이 포함되고, 반사경(50)에는 상기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이다.
또한, 점검 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각관체인 유도빔(20)에는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판체인 슬라이더(30)가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유도빔(20)의 내부에는 유도빔(20)과 평행한 수나사인 나선봉(65)이 설치되고, 슬라이더(30)의 하부에는 상기 나선봉(65)에 결합되는 암나사부(66)가 형성되어, 나선봉(65)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30)가 왕복되고, 유도빔(20)의 일 측면에는 후면판(70)이 설치되되, 후면판(70)의 유도빔(20)측 면에는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인 표시부(21)가 형성되며, 슬라이더(30)에는 지시침(41)이 설치되고,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설치면 이면(裏面)에는 부카메라(12)가 설치되어 부카메라(12) 촬영 영상내 상기 후면판(70)의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범용 시판 장비를 활용하여, 시설물 점검시 이동 촬영의 수행이 가능할 뿐 아니라, 촬영 지점의 위치 및 피사체의 형태 제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극히 간소한 구성으로 간편한 휴대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스마트폰(10)을 장착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상 경제성 및 사용 편의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조작 용의성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촬상 장비로서 일반 스마트폰(10)이 일체의 개조 및 변형 없이 활용될 수 있으므로, 장치 사용에 있어서 전문성 및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으며, 촬영된 영상정보의 확인, 저장 및 처리를 극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중 스마트폰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정면도 및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각 작동 방식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동 방식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후면판 적용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후면판 적용 실시예 요부 발췌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후면판 적용 실시예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중 스마트폰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정면도 및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지지각 작동 방식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구동 방식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후면판 적용 실시예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후면판 적용 실시예 요부 발췌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후면판 적용 실시예 사용상태 대표 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작동 원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관체(角管體) 형태의 유도빔(20)에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슬라이더(30)가 결합되어, 유도빔(20)을 따라 슬라이더(30)가 이동됨에 따라 스마트폰(10)이 동반 이동하면서 영상을 촬영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점검 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로서, 스마트폰(10)의 이동 계획 방향으로 유도빔(20)의 방향을 설정하여 유도빔(20) 저면을 점검 대상 시설물의 표면에 밀착한 상태에서, 스마트폰(10)을 이동시키면서 점검 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장치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활용하여 교량을 점검하는 상황을 예시한 것으로, 교각의 코핑 상면에 유도빔(20)을 밀착한 상태에서 교량의 교축 방향으로 스마트폰(10)을 이동시키면서 촬영을 실시하여, 거더의 말단부, 코핑 상면부 및 교좌장치 등을 촬영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으며, 동 도면상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점검원은 교량 상판과 코핑 사이의 지극히 협소한 공간에 직접 진입하지 않고도, 코핑 측면부에 구축된 점검로 등 안전하고 쾌적한 위치에서, 본 발명을 활용하여 교량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거더 사이의 공간에서 스마트폰(10)을 이동시키면서 자유롭고 간편한 촬영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간 결합 관계 및 상세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단면의 각관체(角管體)인 유도빔(20)에는 상면에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판체인 슬라이더(30)가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도 5에서와 같이, 유도빔(20)의 개방부 양 측벽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가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더(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23)와 일치하는 형상의 요입부(33)가 각각 형성되어, 돌출부(23)와 요입부(33)가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더(30)의 유도빔(20) 이탈이 억제된다.
본 발명의 유도빔(20)은 이동 촬영에 있어서 스마트폰(10)의 안정적인 직선 이동을 유도하는 구성으로서,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유도빔(20)의 상면에는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인 표시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30)의 일단부에는 지시침(41)이 설치되어 슬라이더(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21) 상부에서 지시침(41)이 이동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지시침(41)이 장착되되, 슬라이더(30)가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유도빔(20) 상면에 표시된 표시부(21) 상부에서 지시침(41) 역시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지시침(41)의 말단 첨부(尖部)가 지시하는 표시부(21)의 눈금을 확인함으로써, 슬라이더(30)의 유도빔(20)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슬라이더(30) 상면에 구성되는 홀더(40)는 그 사전적 의미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을 포착 지지하는 고정장치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10)의 외곽부를 압착하는 방식의 홀더(40)가 예시되어 있으나, 이 밖에도 스마트폰(10) 표면에 접착되거나 자착(磁着)되는 등의 다양한 형식의 홀더(40)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홀더(40)의 상단에는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지향측으로 돌출되는 굴절봉(51)이 설치되고 굴절봉(51)의 선단부에는 경사를 이루는 반사경(50)이 장착되는데, 굴절봉(51)은 일단은 홀더(40)에 접합되고, 타단에는 반사경(50)이 설치되는 봉체로서, 굴절봉(51)에 굴곡이 형성됨에 따라 반사경(50)의 위치 및 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현재 시판되는 대부분의 스마트폰(10)에는 다수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 주카메라(11)란 스마트폰(10)의 화면 타측 면에 장착된 카메라를 의미하는 것으로, 통상의 스마트폰(10)에서는 화면 타측에 고사양 카메라를 장착하여 사용자가 촬상 영상을 스마트폰(10) 화면을 통하여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듯,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전방 상측에 경사를 이루면서 주카메라(11)의 지향 방향으로 소폭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는 반사경(50)은 전술한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을 주카메라(11)가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의 촬영 영상에 상기 반사경(50)이 포함되게 되고, 주카메라(11) 촬영 영상내 반사경(50)에는 상기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됨으로써, 주카메라(11) 촬상 영상만으로도 슬라이더(30) 및 스마트폰(10)의 유도빔(20)상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슬라이더(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그 측정치를 획득하거나, 스마트폰(10) 등 정보기기에 실시간 입력하는 등의 조치 없이,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의 촬영만으로 획득된 영상정보에 슬라이더(30) 및 스마트폰(10)의 위치가 자동으로 정확하게 수록될 수 있는 것으로, 이로써 스마트폰(10) 촬영 영상의 효용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의 화면상 실시간 출력되는 영상정보에는 당 시점의 스마트폰(10) 위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반사경(50)내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동반 촬영되어 포함되는 바, 피검체상 촬영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영상정보내 시준선(19)을 설정할 경우 정밀 측량기기에 필적하는 위치 정보 획득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폰(10) 화면을 표현한 도 6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로 촬상된 영상이 화면을 통하여 실시간 출력되는 과정에서 화면 중심부에 시준선(19)이 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시준선(19)은 대물렌즈에 물리적으로 표시된 것이 아니라 영상정보에 전산상 표시하는 것이며, 촬영된 영상정보를 후처리하는 과정에서 사후적으로 삽입할 수도 있다.
도 7은 반사경(50)을 통한 표시부(21) 및 지시침(41) 촬영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40)에 고정된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전방 상측에 경사를 이루면서 반사경(50)이 위치하게 되고,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대물렌즈에서 전방측으로 반사경(50)이 소폭 이격되어,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 화각(畵角)의 경계부에 반사경(50)이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반사경(50)은 경사를 이루며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 전방에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도 7의 우측 도면에서와 같이,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 화각내 반사경(50)이 포함은 되되, 화각의 경계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피검체과 반사경(50)이 동반 촬영되고, 반사경(50)에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을 통하여, 각종 시설물 점검시 피검체의 촬영 수행에 있어서, 스마트폰(10)의 정밀한 직선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촬영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데, 본 발명 구성의 안정적인 거치 및 슬라이더(30)의 원활하고 간편한 이동 조작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이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유도빔(20)의 안정적이고 정확한 피검체 거치가 가능하도록 유도빔(20)의 말단부에 지지각(28)을 구성한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유도빔(20)의 측면에 직선 봉체인 지지각(28)의 일단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데, 본 발명 장치의 휴대시 또는 유도빔(20)의 전구간이 평면에 밀착되는 경우에는 지지각(28)을 회전 절첩하여 유도부와 지지각(28)이 평행을 이루도록 하고, 도 2에서와 같이, 피검체의 경계부에 유도빔(20)을 거치하게 되는 경우 지지각(28)을 회전 전개하여 유도빔(20)과 지지각(28)이 직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피검체 경계부의 수평면 및 수직면 모두에 본 발명 장치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서와 같이, 유도빔(20)의 말단에는 마감판(25)이 부착되어 슬라이더(30)가 유도빔(20) 말단을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지지각(28)과 유도빔(20)간 힌지 연결부의 마감판(25)측 부위에는,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는 않았으나, 외측으로 돌출된 스토퍼를 형성하여 지지각(28)의 전개시 지지각(28)과 유도빔(20)이 직각을 이루면서 지지각(28)이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유도빔(20)에 결합되는 슬라이더(30)는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이동이 가능한데,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유도빔(20)의 내부에는 유도빔(20)과 평행한 수나사인 나선봉(65)이 설치되고, 슬라이더(30)의 하부에는 상기 나선봉(65)에 결합되는 암나사부(66)가 형성되어, 나선봉(65)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30)가 왕복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점검원이 다이얼(61)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유도빔(20)의 말단에서도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유도빔(20) 내부에는 수나사인 나선봉(65)을 유도빔(20)과 평행한 자세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되, 나선봉(65)의 양측 단부를 유도빔(20) 양측 말단부의 마감판(25)에 결합하고, 마감판(25)과 결합되는 나선봉(65)의 양측 단부에는 나사선을 형성하지 않음으로써, 나선봉(65)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나선봉(65) 자체의 축방향 이동은 발생되지 않으며, 슬라이더(30)의 하부에는 나선봉(65)과 치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암나사부(66)를 형성함으로써, 암나사부(66)에 나선봉(65)이 결합된 상태에서 나선봉(65)이 회전되면, 돌출부(23) 및 요입부(33)간 결합에 의하여 회전이 억제되는 슬라이더(30)는 나선봉(65)과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나선봉(65)의 회전은 도 9에서와 같이, 나선봉(65)과 유도빔(20) 외부의 다이얼(61)을 연결하고, 다이얼(61)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나선봉(65)과 모터 등을 연결하여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나선봉(65)이 정, 역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30) 역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시판되는 스마트폰(10)에는 화면 타측면에 장착되는 주카메라(11) 외에도 화면측을 비롯한 다양한 위치에 다수의 카메라가 구성되어 있는 바, 이를 활용함으로써 유도빔(20)상의 슬라이더(30) 및 스마트폰(10) 위치를 특정할 수 있으며, 그 실시예가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의 실시예는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설치면 이면(裏面)에 추가 설치된 부카메라(12)를 활용하여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을 동시 촬영하는 것으로, 유도빔(20), 슬라이더(30) 및 홀더(40) 등 본 발명 장치의 구조적 구성 및 이동 관련 구성에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즉,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단면의 각관체인 유도빔(20)에는 상면에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판체인 슬라이더(30)가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활동(sliding)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유도빔(20)의 개방부 양 측벽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3)가 각각 형성되고, 슬라이더(30)의 양 측면에는 상기 돌출부(23)와 일치하는 형상의 요입부(33)가 각각 형성되어, 돌출부(23)와 요입부(33)가 상호 결합되어 슬라이더(30)의 유도빔(20) 이탈이 억제되는 구성이 적용되는 것이다.
다만,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유도빔(20)의 일 측면에는 후면판(70)이 기립 상태로 설치되되, 후면판(70)의 유도빔(20)측 면에는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인 표시부(21)가 형성되며, 슬라이더(30)의 일단부에는 지시침(41)이 설치되어 슬라이더(30)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표시부(21) 전면(前面)에서 지시침(41)이 이동되는 구성이 적용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설치면 이면에는 부카메라(12)가 설치되어, 도 12에서와 같이 부카메라(12) 촬영 영상내 상기 후면판(70)의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된다.
즉, 동일한 카메라로 피검체와 표시부(21)가 동반 촬영되는 것이 아니라, 도 12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피검체는 주카메라(11)로 촬영되고, 지시침(41) 및 후면판(70)의 표시부(21)는 주카메라(11) 이면측의 부카메라(12)를 통하여 촬영되어, 주카메라(11)와 부카메라(12)에 의한 동시(同時) 촬영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렇듯, 각자 동시 촬영된 주카메라(11) 촬상 영상과 부카메라(12) 촬상 영상은 스마트폰(10)내 처리장치로 입력된 후 합성되어 도 12에서와 같이, 단일 영상정보로 가공됨으로써, 스마트폰(10)의 유도빔(20)상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의 상부 도면에서 예시된 스마트폰(10)의 화면에서는 피검체를 촬영한 주카메라(11) 촬상 영상 내부에,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을 촬영한 부카메라(12) 촬상 영상이 PIC(Picture In Picture) 방식으로 삽입되어 있으나, 이 밖에 스플릿(split) 화면 등 다양한 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10 : 스마트폰
11 : 주카메라
12 : 부카메라
19 : 시준선
20 : 유도빔
21 : 표시부
23 : 돌출부
25 : 마감판
28 : 지지각
30 : 슬라이더
33 : 요입부
40 : 홀더
41 : 지시침
50 : 반사경
51 : 굴절봉
61 : 다이얼
65 : 나선봉
66 : 암나사부
70 : 후면판
11 : 주카메라
12 : 부카메라
19 : 시준선
20 : 유도빔
21 : 표시부
23 : 돌출부
25 : 마감판
28 : 지지각
30 : 슬라이더
33 : 요입부
40 : 홀더
41 : 지시침
50 : 반사경
51 : 굴절봉
61 : 다이얼
65 : 나선봉
66 : 암나사부
70 : 후면판
Claims (2)
- 점검 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각관체인 유도빔(20)에는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판체인 슬라이더(30)가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유도빔(20)의 내부에는 유도빔(20)과 평행한 수나사인 나선봉(65)이 설치되고, 슬라이더(30)의 하부에는 상기 나선봉(65)에 결합되는 암나사부(66)가 형성되어, 나선봉(65)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30)가 왕복되고;
유도빔(20)에는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인 표시부(21)가 형성되며;
슬라이더(30)에는 지시침(41)이 설치되고;
홀더(40)에는 반사경(50)이 장착되되, 스마트폰(10) 주카메라(11)의 촬영 영상에 반사경(50)이 포함되고, 반사경(50)에는 상기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 점검 대상 시설물을 촬영하는 시설물 점검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각관체인 유도빔(20)에는 스마트폰(10) 홀더(40)가 장착된 판체인 슬라이더(30)가 활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유도빔(20)의 내부에는 유도빔(20)과 평행한 수나사인 나선봉(65)이 설치되고, 슬라이더(30)의 하부에는 상기 나선봉(65)에 결합되는 암나사부(66)가 형성되어, 나선봉(65)이 회전됨에 따라 슬라이더(30)가 왕복되고;
유도빔(20)의 일 측면에는 후면판(70)이 설치되되, 후면판(70)의 유도빔(20)측 면에는 유도빔(20)의 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눈금인 표시부(21)가 형성되며;
슬라이더(30)에는 지시침(41)이 설치되고;
스마트폰(10)의 주카메라(11) 설치면 이면(裏面)에는 부카메라(12)가 설치되어 부카메라(12) 촬영 영상내 상기 후면판(70)의 표시부(21) 및 지시침(41)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6753A KR102191845B1 (ko) | 2020-08-03 | 2020-08-03 |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96753A KR102191845B1 (ko) | 2020-08-03 | 2020-08-03 |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1845B1 true KR102191845B1 (ko) | 2020-12-16 |
Family
ID=7404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96753A KR102191845B1 (ko) | 2020-08-03 | 2020-08-03 |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1845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70643B2 (ja) * | 2006-05-25 | 2010-10-27 | 豊田スチールセンター株式会社 | 板材幅測定システム及び板材幅測定方法 |
KR101682060B1 (ko) * | 2015-12-10 | 2016-12-02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레벨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벨 교정방법 |
KR101991094B1 (ko) * | 2018-04-23 | 2019-06-19 | 주식회사 울프슨랩 | 거리 측정 방법, 거리 측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
2020
- 2020-08-03 KR KR1020200096753A patent/KR10219184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70643B2 (ja) * | 2006-05-25 | 2010-10-27 | 豊田スチールセンター株式会社 | 板材幅測定システム及び板材幅測定方法 |
KR101682060B1 (ko) * | 2015-12-10 | 2016-12-02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레벨 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벨 교정방법 |
KR101991094B1 (ko) * | 2018-04-23 | 2019-06-19 | 주식회사 울프슨랩 | 거리 측정 방법, 거리 측정 장치, 컴퓨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112432B2 (ja) | 被測定物の検査測定装置 | |
US10444160B2 (en) | Surface defects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herical optical components | |
US6924929B2 (en) | Microscope apparatus | |
CN103261838B (zh) | 机器人测绘仪和包括自准直目标的用于测绘仪的望远镜的自动自准直的方法 | |
US20150116691A1 (en) | Indoor survey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192341B1 (ko) | 스마트폰 기반 이동 촬영형 시설물 점검 장치 | |
CN106442544A (zh) | 全景成像系统 | |
US7961401B1 (en) | System for providing two position zoom-focus | |
RU2009138941A (ru) | Система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тестирования для контроля множества параметров, касающихся работы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отображения различных видов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 |
CN111614951B (zh) | 一种一体化云台摄像机的光轴校准设备及方法 | |
RU2013154761A (ru) | Обследование лопастей винта | |
CN110455221A (zh) | 一种快速测量光学镜片曲率半径的光路结构和设备 | |
JP6456783B2 (ja) | 配筋測定装置 | |
CN110823531B (zh) | 一种数字化光具座 | |
CN107543830A (zh) | 球面光学元件表面疵病的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 |
JP2019074470A (ja) | 画像測定装置の調整方法 | |
KR102191845B1 (ko) | 촬영 위치 조절형 영상기반 시설물 점검 장치 | |
US10162189B2 (en) |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he visual alignment of a pipettor tip and a reference point marker | |
KR102191842B1 (ko) | 이동 촬영식 시설물 점검 장치 | |
JP5484598B2 (ja) | 融着接続装置及び融着接続方法 | |
US20170351055A1 (en) | Lens barrel, image captur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2181139A (ja) | レンズ検査装置 | |
TWI597474B (zh) | Measuring device | |
CN113686875A (zh) | 一种桥墩内壁缺陷检测设备及方法 | |
US9282325B2 (en) | Compact system for presenting wide field object target to test optic or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