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71B1 -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71B1
KR102191771B1 KR1020190121078A KR20190121078A KR102191771B1 KR 102191771 B1 KR102191771 B1 KR 102191771B1 KR 1020190121078 A KR1020190121078 A KR 1020190121078A KR 20190121078 A KR20190121078 A KR 20190121078A KR 102191771 B1 KR102191771 B1 KR 102191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water
wind turbine
vertical colum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경
김동주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1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771B1/ko
Priority to PCT/KR2020/000372 priority patent/WO202106625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5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offshore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20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wind motors; Masts or towers for wind motors
    • F03D13/22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Abstract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Offshore wind power equipment of floating type}
본 발명은, 해상에 부유하는 상태로 해상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풍력발전은 고정식과 부유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고정식은 수심이 깊지 않은 바다의 해저면에 기초공사를 하고, 그 기초공사 위에 구조물을 설치한 후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방식이고, 부유식은 해수면 위에 부유 구조물을 띄우고 그 부유 구조물 위에 발전설비를 설치하는 방식이다.
해양 부유 구조물은 해수면 위에 떠 있는 상태로 계류될 수 있는 것으로, 기능, 구조, 계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SEMI(Semi-submersible), TLP(Tensioned Leg Platform), SPAR,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ding), FSRU 또는 시추용 리그(Rig) 등으로 칭해지는 많은 종류의 해양 부유 구조물이 있다.
이와 같은, 해양 부유 구조물은 그 종류에 따라 한 방식의 계류 시스템을 이용한다. 예컨대, SPAR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터트 계류(Taut mooring) 또는 세미-터트 계류(Semi-taut mooring)방식을 취하며, TLP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인장각(Tensioned leg)들을 이용하는 TLP 계류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SPAR 타입의 해양 부유 구조물은 거친 해양 조건에서는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발전효율이 떨어짐과 더불어 추가적으로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부유체나 구조체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치 비용 및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54942호(2014.05.09)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해상에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하면서 해상에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한 발전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 상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 상기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는 해수가이드바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은 해수가이드바디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에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게추는 메인바디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무게추에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유체이동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내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접촉증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내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접촉증대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내주면에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결합 설치하며, 링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접촉증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해수유입로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해수유입로에는 해수유입로를 통해 유입 이동하는 해수에 의해 작동하도록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터빈을 결합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는, 풍력발전기에 연결된 수직기둥의 하단에는 해상에서 부유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지지부유체를 결합 구비하고, 지지부유체는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메인바디의 내측으로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해수유입로가 형성되어, 해수와 지지부유체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키면서 해상에 부유상태로 상하 운동시 자세 안정성을 높이는 바, 풍력발전기를 통한 발전 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지부유체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지지부유체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지부유체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는, 풍력발전기(200), 수직기둥(200), 지지부유체(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풍력발전기(100)는 이후 설명될 수직기둥(200)과 지지부유체(300)를 통해 해수면으로부터 상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해상에서 발생하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이다. 이러한, 풍력발전기(100)는 해수면보다 상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수직기둥(200)의 상단에 연결상태로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풍력발전기(100)는 수직기둥(200)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내측에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발전기가 마련된 낫셀(도면미도시)과, 낫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면서 낫셀의 발전기에서 전력이 생산되게 하는 블레이드(110)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낫셀은 수직기둥(2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직기둥(200)은 풍력발전기(100)를 해수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지지하는 기둥부재이다. 이러한, 수직기둥(200)의 상단은 풍력발전기(100)의 하단,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100)의 낫셀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한다. 여기서, 수직기둥(200)의 상단은 낫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낫셀의 일측에 고정되게 연결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기둥(200)의 하단은 이후 설명될 지지부유체(3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수도 있다. 이같이, 수직기둥(200)의 하단을 지지부유체(30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할 경우, 일정 세기 이상의 바람이 발생시 지지부유체(300)로 힘이 모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바람에 의한 흔들림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지지부유체(300)가 풍력발전기(100)와 수직기둥(200)을 해상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수직기둥(200)과 지지부유체(300)의 연결 부분에서 응력이 분산되게 하면서 연결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부유체(300)는 앞서 설명한 수직기둥(200)과 함께 풍력발전기(100)를 해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위치에 배치되게 지지하는 구조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100)와 수직기둥(200)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지지부유체(300)의 상단은 해수면보다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하며, 지지부유체(300)의 하단은 해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면서 수중에 잠김상태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유체(300)는 부력을 가지는 원기둥 형태를 가지는 상태로 풍력발전기(100) 및 수직기둥(200)을 해상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한다. 이때, 지지부유체(300)는 해상의 해수면 아래 수중에 잠김되는 하단 부분에 대해 해수와의 마찰면을 증대시키면서 상하운동시 자세 안정성을 증대시키면서 안정적인 부유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지지부유체(300)는 메인바디(310), 해수가이드바디(320), 무게추(33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310)는 수직기둥(200)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메인바디(310)는 해상에서 부유할 수 있는 안정적인 부력을 제공함과 더불어 무게추(33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내벽(311)과 외벽(312) 사이에 공간부(313)가 형성된 이중벽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인바디(310)의 하단에는 상단보다 외경 크기가 크게 형성되면서 해수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외경증대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내벽(311)과 외벽(312) 사이의 공간부(313)에는 합성수지제를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합성수지제는 외부 충격에 의한 외벽(312) 손상시 내벽(311)까지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해수가이드바디(320)는 메인바디(310)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부분이다. 즉, 해수가이드바디(320)는 상하로 개방된 해수유입로(321)가 형성되어 해수면에서 부유하는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유입로(321)로 해수가 유입 접촉되게 하는 바, 해수와의 마찰을 증대시켜 해상에 부유상태로 상하운동시 안정성을 증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바디(310)의 길이는 해수가이드바디(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메인바디(310)의 상단은 해수가이드바디(32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면서 메인바디(310)가 해수면에서 하방의 수중으로 잠김 이동시, 해수가이드바디(320)의 하단에서 해수유입로(321)를 통해 유입되는 해수가 해수가이드바디(320) 상단 방향으로 안정적인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즉, 메인바디(310)의 길이는 해수가이드바디(3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메인바디(310)의 상단은 해수가이드바디(320)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경우, 해수유입로(321)를 통해 해수가이드바디(320) 내측으로 해수가 유입시 해수유입로(321)에 들어차 있던 공기가 메인바디(310)의 내측 상단으로 안정적인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메인바디(310)의 상단부에는 해수유입로(321)를 통해 해수가 유입 또는 배출될 때, 메인바디(310)의 상측 공간에서 외부로의 공기 배출 또는 외부에서 메인바디(310)의 상측 공간으로 공기 유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기순환공(도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무게추(330)는 지지부유체(300)의 자중을 증대시키는 부분이다. 즉, 무게추(330)는 무게추(330)는 메인바디(310)의 하단에 결합 설치되면서 메인바디(310) 하단의 중량을 증대되게 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링 형태를 가지는 상태로 메인바디(310)의 공간부(313) 하측에 삽입상태로 메인바디(310)에 결합 설치한다. 이러한, 무게추(330)는 지지부유체(300)의 자중을 증대시킬 수 있게 콘크리트구조물이나 금속구조물로 형성된 상태로 지지부유체(300)의 무게 중심을 낮아지게 하면서, 추가적인 계류장치의 설치가 되지 않더라도 지지부유체(300)가 풍력발전기(100)를 해상의 일정한 위치 구역 내에서 안정적인 부유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유체(300)는 해상의 일정한 위치 구역 내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하는 계류와이어(도면미도시)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즉, 계류와이어의 길이방향 일단은 지지부유체(3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바디(310)의 일측에 연결되고, 계류와이어의 길이방향 타단은 해저면에 앵커나 별도의 중량부재를 통해 연결되게 배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유체(300a,300b,300c,300d)의 확대단면도로써, 도 3과 같이 지지부유체(300a)는 무게추(330a)에 복수의 유체이동공(331)을 관통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유체이동공(331)은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면서 공간부(313a)를 외부와 연결되게 하는 바, 앞서 설명한 해수가이드바디(320a)의 해수유입로(321a) 외에 메인바디(310a)의 내벽(312a)과 외벽(312b) 사이의 공간부(313a)로 해수의 유입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해수와의 마찰력을 증대되게 하여, 지지부유체(300a)의 부유상태에서 상하방향 자세 안정성을 높이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유체(300b)에는 해수가이드바디(320b) 내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접촉증대홈(340)을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메인바디(310b)와 무게추(330b)는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로 지지부유체(300c)의 해수가이드바디(320c) 내주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접촉증대돌기(350)를 돌출되도록 형성되게 한다. 여기서, 메인바디(310c)와 무게추(330c)는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6과 같이, 지지부유체(300d)의 해수가이드바디(320d) 내주면에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링 형상을 가지는 접촉증대부재(360)를 결합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310d)와 무게추(330d)는 앞서 설명한 일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증대돌기(350)나 접촉증대부재(360)는 바람이나 조류에 의해서 지지부유체(300a)와의 자유수면 높이가 낮아질 경우, 해수가이드바디(320a,320d)의 해수유입로(321a,321d)에 유입된 해수의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면서 해수와의 마찰면을 최대한 오랜시간 유지되게 하여, 해상에서 부유시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는, 도 7과 같이 지지부유체(300)의 해수가이드바디(320)의 내측에 터빈(400)를 결합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터빈(400)은 해수가이드바디(320)의 해수유입로(321)에 배치되면서 해수유입로(321)를 통해 유입된 후 이동하는 해수에 의해 작동하면서 앞서 설명한 풍력발전기(100)를 통한 전기 생산 외에 추가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터빈(400)은 해수유입로(321)를 통해 유입된 후 이동하는 해수에 의한 전기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를 해수가이드바디(320)의 해수유입로(421)에 배치되게 해수가이드바디(320)에 결합 설치할 수 있다. 이같이, 터빈(400)이 해수가이드바디(320)의 내측에 설치되게 할 경우, 해수유입로(321)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해수가이드바디(320)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해수유입로(321)를 통해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해수의 유속이 빨라지게 하면서 해수가이드바디(320)의 상부에 배치된 터빈(400)의 발전효율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는, 상기 풍력발전기(100)에 연결된 수직기둥(200)의 하단에는 해상에서 부유상태로 지지되게 하는 지지부유체(300)를 결합 구비하고, 지지부유체(300)는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메인바디(310)의 내측으로 해수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게 하는 해수유입로(321)가 형성되어, 해수와 지지부유체(300)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키면서 해상에 부유상태로 상하 운동시 자세 안정성을 높이는 바, 풍력발전기(100)를 통한 발전효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풍력발전기 200: 수직기둥
300: 지지부유체 310: 메인바디
320: 해수가이드바디 321: 해수유입로
330: 무게추 331: 유체이동공
400: 터빈

Claims (7)

  1.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과;
    상기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바디에는 내벽과 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 이중벽 구조를 가지며,
    상기 무게추는 메인바디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공간부에 삽입 설치하며,
    상기 무게추에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유체이동공이 형성된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2.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과;
    상기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내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접촉증대홈이 형성된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3.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과;
    상기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내주면에는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접촉증대돌기가 돌출 형성된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4.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과;
    상기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내주면에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결합 설치하며, 링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접촉증대부재를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5. 풍력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와;
    상기 풍력발전기의 하단에 설치하며, 풍력발전기를 해수면을 기준으로 상방에 배치되도록 지지하는 수직기둥과;
    상기 풍력발전기 및 수직기둥을 해상의 지정된 위치에서 부유상태로 지지하도록 수직기둥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설치하는 지지부유체;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유체는,
    상단을 수직기둥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관 형태를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내측에 삽입 설치하며, 해수면에서 상하방향으로의 부유 위치에 따라 수중에 배치되는 하단을 통해 해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해수유입로가 형성된 관 형태의 해수가이드바디와,
    상기 메인바디의 하단에 결합 설치하며, 메인바디 하단의 중량을 증대시키는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해수유입로는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해수가이드바디의 해수유입로에는 해수유입로를 통해 유입 이동하는 해수에 의해 작동하도록 해수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터빈을 결합 구비하는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는 해수가이드바디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메인바디의 상단은 해수가이드바디의 상단보다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7. 삭제
KR1020190121078A 2019-09-30 2019-09-30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KR102191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78A KR102191771B1 (ko) 2019-09-30 2019-09-30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PCT/KR2020/000372 WO2021066258A1 (ko) 2019-09-30 2020-01-09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078A KR102191771B1 (ko) 2019-09-30 2019-09-30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771B1 true KR102191771B1 (ko) 2020-12-16

Family

ID=7404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078A KR102191771B1 (ko) 2019-09-30 2019-09-30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1771B1 (ko)
WO (1) WO20210662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5859B (zh) * 2021-11-15 2022-07-01 中建中环工程有限公司 一种具有污水净化功能的自动调节生态景观浮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263A (ko) * 2007-08-08 2009-02-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과 풍력 및 파력을 이용한 등부표용 하이브리드 발전및 관리시스템
KR20130084868A (ko) * 2012-01-18 2013-07-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부유식 풍력발전장치
KR20150038807A (ko) * 2013-09-30 2015-04-09 한국전력공사 파력발전장치
KR20190085424A (ko) * 2018-01-10 2019-07-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력 발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38896B2 (en) * 2012-12-19 2016-01-19 Universitat Politècnica De Catalunya Floa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a wind turbine
KR20170126764A (ko) * 2016-05-10 2017-11-20 이정용 파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263A (ko) * 2007-08-08 2009-02-12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과 풍력 및 파력을 이용한 등부표용 하이브리드 발전및 관리시스템
KR20130084868A (ko) * 2012-01-18 2013-07-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부유식 풍력발전장치
KR20150038807A (ko) * 2013-09-30 2015-04-09 한국전력공사 파력발전장치
KR20190085424A (ko) * 2018-01-10 2019-07-1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파력 발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258A1 (ko) 2021-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65775B2 (en)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102001278B1 (ko) 낮은 수직운동의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CN103917439B (zh) 具有外置柱的离岸平台
US6371697B2 (en) Floating vessel for deep 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CN108473185B (zh) 低运动半潜式井台
JP2022528280A (ja) 単一カラム半潜水型プラットフォーム
JP2005180351A (ja) 水上用風力発電装置
KR20200084041A (ko) 부이 및 그 부이를 위한 설치 방법
KR102191771B1 (ko) 부유식 해상 풍력발전장치
US8220406B2 (en) Off-shore structure, a buoyancy structure,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an off-shore structure
JP2006519137A (ja) ライザー・パイプの支持システムおよび支持方法
EP0350490A1 (en) FASTENING / CARRYING CONSTRUCTION DEVICE.
KR101185959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
KR102192116B1 (ko) 스파형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KR101368892B1 (ko) 부유식 구조물의 스퍼드캔
KR101202156B1 (ko) 수상 부유 풍력 발전기
KR101054336B1 (ko) 공기 부양식 터빈 지지체를 가지는 조류발전장치
KR102359503B1 (ko) 해상 풍력발전 설비 고정장치
KR102359506B1 (ko) 해상 풍력발전 설비의 고정 방법
KR102144424B1 (ko) 인장계류식 풍력발전기 및 이의 설치 및 해체 방법
KR20210077838A (ko) 수상 부유 시설물용 부력체
KR102359504B1 (ko) 해상 풍력발전 설비 고정장치
MXPA01000199A (es) Fijacion lateral de elevador de pozo y sistema de instalacion de plataforma para mar abierto.
NL2031193B1 (en) Marine structure and method
KR101099728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 및 그 흘수 조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