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429B1 -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 Google Patents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429B1
KR102191429B1 KR1020190028895A KR20190028895A KR102191429B1 KR 102191429 B1 KR102191429 B1 KR 102191429B1 KR 1020190028895 A KR1020190028895 A KR 1020190028895A KR 20190028895 A KR20190028895 A KR 20190028895A KR 102191429 B1 KR102191429 B1 KR 10219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moisture
oil
petroleum
lubr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612A (ko
Inventor
임영관
민경일
성광호
하종한
Original Assignee
한국석유관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석유관리원 filed Critical 한국석유관리원
Priority to KR1020190028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6Oils; Viscous liquids; Paints; Inks
    • G01N33/28Oils, i.e. hydrocarbon liquids
    • G01N33/2835Specif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ils or fuels
    • G01N33/2847Water in o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주유소 및 셀프주유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유기에 단순 부착함으로써, 일반 연료 소비자들이 직접 주유하는 과정에서 가짜석유 여부와 수분혼입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는 것으로, 주유자는 실시간으로 가짜석유 및 수분혼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차량의 고장, 부식 또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는 가짜석유에 의한 탈세, 환경오염 등 국민의 안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가짜석유 및 수분확인용 주유기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Kit of gas pump for the detection of illegal fuel and water}
본 발명은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짜석유와 연료 내 수분 판별이 용이하도록 키트를 주유기의 주유건(gas gun)에 장착시켜, 주유자가 주유할 때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검사키트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액체연료제품의 유종과 과세, 비과세제품의 구분 및 불법혼입과 제조를 막기 위해 식별제와 색소를 연료 내에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식별제는 연료의 물성을 변화시키지 않기 위해 낮은 농도로 석유제품에 희석되어지고 있으며, 연료 자체성분에 의해 화학적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안정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석유화학산업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식별제는 크게 가시적 식별제, 잠재적 식별제 및 화학적 식별제로 나뉘고, 국내에서는 현재 화학적 식별제인 Unimark 1494DB가 국내 법정식별제로 정해져서 등유와 부생연료유(1, 2호)에 10 mg/L 이상의 농도로 첨가되어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가짜석유제조업자들이 불법적으로 가격이 낮은 석유제품을, 가격이 높은 다른 석유제품에 혼합, 유통시키는 사례가 많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불법적으로 자동차용 경유에 등유를 혼합시켜 가짜경유를 제조, 유통시키는 사례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타 유종간의 불법혼합으로 제조되어진 가짜석유는 국가적으로는 탈세문제와 소비자는 차량의 고장으로 인한 안전성 문제를 유발하며, 배출가스 증가 등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킨다.
가짜석유를 분간하기 위해서 식별제인 Unimark 1494DB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야 하는데, Unimark 1494DB와 화학반응하면 보라색으로 발색되는 Developer C-5 발색제를 사용하여 발색여부를 육안 또는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해 확인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 검사기관 또는 분석기관이 아닌 일반 소비자의 경우 Developer C-5를 구할 수 없기 때문에 Unimark 1494DB의 유무를 판단할 수 없어 가짜석유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4계절이 뚜렷하여 온도 차이에 의한 지하유류저장시설 내 응축수가 필연적으로 발생되고, 주유소 시설관리 등의 문제로 인해 유류저장시설 내 수분이 혼입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수분은 유류보다 밀도가 높아 저장시설의 바닥에 가라앉아 위치한다. 주유소의 저장탱크 안팎의 온도차이로 저장탱크 안쪽면에 물방울이 맺히는 결로현상으로 인해 많은 양의 수분이 연료 내에 혼합되어 있는 경우이거나, 탱크로리에 의해 많은 양의 연료가 저장탱크에 공급될 때 저장탱크의 바닥에 가라 앉아있던 수분이 연료와 섞여 주유기를 통해 차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이 혼합된 연료는 저장시설, 배관, 주유기 등 주유시설의 부식을 발생시키고, 주유로 유입된 수분으로 인해 운전자의 차량 고장, 특히 시동 꺼짐 현상, 인젝터 및 펌프고장, 차량의 부식, 연비 저하 등의 문제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주행 중에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이 된다.
한국특허등록 제 2014-1409453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에는 주유되고 있는 주유의 일부분을 유입장치로 유입하고, 검사장치로 이동시켜 전기적, 화학적 및 물리적 기법을 이용하여 정품여부를 검사하고, 결과 및 데이터를 주유소에 설치된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모니터링 및 재 수집되어 서비스 수신그룹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이 기재되어있다.
종래 기술은 유류의 성분검사를 하기 위해 전기적, 화학적 및 물리적 기법을 사용하므로 장비의 부품과 과정이 복잡하며, 설치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주유소 점주들이 장비를 설치하기를 꺼려한다. 또한, 주유자가 결과를 통보받기까지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정보를 받기 위해 별도의 단말기를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 2014-1409453호 ("주유소에서 주유되고 있는 유류의 정품 여부 결과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유사유류 검사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재 운영되고 있는 주유소 및 셀프주유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유기에 단순 부착함으로써, 일반 연료 소비자들이 직접 주유하는 과정에서 가짜석유 여부와 수분혼입 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하기위한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는 주유소에 구비된 주유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주유건의 전단 또는 후단에 탈부착 가능한 본체부; 및 다공성 여과재에 염기성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염기 발색부; 및 다공성 여과재에 수분확인용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수분 발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반응에 의한 색변화를 통해 가짜석유 및 수분함유를 동시에 확인 가능한발색키트;를 포함하며, 상기 발색키트는, 상기 염기 발색부 및 상기 수분 발색부의 구역이 구분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본체부는,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되, 상기 본체부의 외부관 및 내부관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관의 일부에는 유동하는 석유와 상기 발색키트가 접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 및, 상기 내부관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발색키트와 접촉한 석유가 배출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발색키트의 색변화를 관찰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창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유건의 후단에 위치한 연결부와 결합이 가능한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과 볼트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주유건에는, 상기 주유건의 전단에 위치한 주유노즐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발색키트와 유동하는 석유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유노즐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별도의 클립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주유건의 전단에 위치한 주유노즐의 맨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주유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염기 발색부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염기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 발색부는, 코발트염화물 및 황산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과의 반응으로 색변화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유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로서, 다공성 여과재에 염기성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염기 발색부; 및 다공성 여과재에 수분확인용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수분 발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기 발색부 및 상기 수분 발색부의 반응에 의한 색변화를 통해 가짜석유 및 수분함유를 동시에 확인 가능한발색키트; 및 상기 발색키트의 한쪽 단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에 접착 가능한 접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기 발색부 및 상기 수분 발색부의 구역이 구분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주유건에는, 상기 주유건의 전단에 위치한 주유노즐에 상기 접착부가 형성된 상기 발색키트과 유동하는 석유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주유노즐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상기 발색키트가 감싸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부착되며 상기 주유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염기 발색부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이 포함하여 이루어진 염기성 물질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분 발색부는, 코발트염화물 및 황산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과의 반응으로 색변화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는 주유소 및 셀프주유소에 구비함으로써 주유를 하는 소비자가 현장에서 가짜석유 또는 수분혼입여부를 육안으로 손쉽게 식별 가능하기 때문에 가짜석유 및 수분혼합연료에 의한 차량고장, 연비저하,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는 가짜석유에 의한 탈세, 환경오염 등 국민의 안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색키트가 삽입되고, 유입구멍이 형성된 본체부의 사시도
도 2a는 실시예 1-1의 발색키트 정면도
도 2b는 실시예 1-1의 발색키트가 결합된 본체부의 횡단면도
도 3a은 실시예 1-2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색키트 정면도
도 3b는 실시예 1-2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색키트가 결합된 본체부의 횡단면도
도 4a는 실시예 1-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색키드 정면도
도 4b는 실시예 1-2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색키트가 결합된 본체부의 횡단면도
도 5a는 실시예 2-1의 본체부 종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부분확대도
도 6a는 실시예 2-2의 본체부 종단면도
도 6b는 도 6a의 부분확대도
도 7은 실시예 3-1의 사시도
도 8은 실시예 3-3의 사시도
도 9는 실시예 3-4의 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4-1의 정면도
도 11a는 실시예 4-2의 일실시예 정면도
도 11b는 실시예 4-2의 다른 실시예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주유소에 구비된 주유건(100)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주유건(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탈부착 가능한 본체부(200),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구비되고, 반응에 의한 색변화를 통해 가짜석유 또는 수분함유를 확인하는 발색키트(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있고, 이하 각 부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주유건(100)은 일반 주유소 및 셀프주유소에 구비되어있는 일반적인 주유 도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상기 주유건(100)의 전단에 위치하여 차량에 주유를 주입하는 통로인 주유노즐(110)과 상기 주유건(100)의 후단에 위치하여 주유호스와 연결되는 연결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주유노즐(110)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주유노즐(110)과 결합했을 때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발색키트(300)와 상기 주유노즐(110)을 통해 이동하는 석유가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구멍(111)은 상기 발색키트(300)가 색변화 할 수 있는 정도의 석유의 양이 유출 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이면 상관없고, 상기 주유건(100)은 상기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구멍(111)이 형성되지 않았으면, 상기 구멍(111)을 형성할 수 있는 도구를 이용해 상기 주유노즐(110)에 상기 구멍(111)을 하나 이상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이고, 길이방향으로 통공된 관형태로,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별도의 상기 발색키트(300)가 상기 발색키트(300)의 하우징과 함께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200) 내부의 중앙 또는 접하는 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색키트(300)는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는 형태이면 상관없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본체부(200)는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되, 상기 본체부(200)의 외부관(210) 및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관(220)에는 유동하는 석유와 상기 발색키트(300)가 접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221)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멍(221)은 상기 주유노즐(110)을 통해 이동하는 석유가 상기 발색키트(300)와 접촉하여 색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석유를 상기 발색키트(300)로 유입되게 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내부관(220)에 하나의 일정 이상의 크기를 가진 상기 유입구멍(221)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내부관(220)의 양 단 끝에 각각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 형성되어 일 단의 상기 유입구멍(221)으로 석유가 상기 주유노즐(110)에서 상기 발색키트(300)로 유입되고, 상기 발색키트(300)에 흡수된 후 다시 타단의 상기 유입구멍(221)을 통해 상기 주유노즐(110)로 배출될 수 있게 위치가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관(220) 전체가 다공성 막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외부관(210)과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삽입된 상기 발색키트(300)에 석유가 흡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멍(221)은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 형성되면 상관없으므로, 그 위치, 개수, 모양 등의 형태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본체부(200)의 하우징은 탄성을 가지는 변형 가능한 재질 또는 형상 고정된 고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주유건(100)의 전단 또는 후단에 연결될 때, 연결되는 위치의 형태 또는 특성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사용하여 탈부착 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투명,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삽입된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본체부(200)가 반투명으로 형성될 때는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식별할 수 있는 정도이면 상관없고, 상기 외부관(210)만 반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200)는 불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하나 이상의 창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발색키트(300)를 상기 주유건(100)과 연결하고,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육안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부(200)가 불투명으로 형성될 경우 상기 본체부(200)를 상기 주유건(100)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확인할 수 도 있지만, 분리하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게 상기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창은 상기 본체부(200)에 형성되어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관찰 가능하게 형성되면 상관없기 때문에, 형성되는 성질, 모양, 크기, 위치 등의 형태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발색키트(300)는 다공성 여과재에 염기성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져, 가짜석유와 접촉하면 색변화 하는 염기 발색부(310)와 다공성 여과재에 수분확인용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져, 수분 함유된 석유와 접촉하면 색변화 하는 수분 발색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염기 발색부(310)는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탄산칼슘, 탄산칼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등과 같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성분들 중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염기 발색부(310)는 다공성 여과재에 상기 염기성 물질이 흡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등유에 포함된 화학적 식별제인 Unimark 1494DB가 상기 염기 발색부(310)와 만나면 변색하기 때문에 Unimark 1494DB의 존재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경유에 품질이 낮은 등유를 혼합시킨 가짜석유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고, 주유자가 상기 발색키트(300)가 구비된 상기 주유건(100)을 이용해 경유를 주유할 때, 상기 주유노즐(110)을 이동하는 경유가 상기 유입구멍(221)을 통해 상기 발색키트(300)와 접촉하고, 상기 발색키트(300)에 포함된 상기 염기 발색부(310)와 Unimark 1494DB가 화학반응하여 상기 염기 발색부(310)의 시트가 보라색으로 발색될 수 있다.
상기 수분 발색부(320)는 코발트염화물, 황산구리를 포함하여, 수분과의 반응으로 색변화 가능한 수분확인용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분 발색부(320)는 다공성 여과재에 상기 수분확인용 물질이 흡착되어 형성되어 있고, 석유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 수분 발색부(320)와 만나면 변색하여 수분함유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시설의 노후화 또는 탱크의 결로현상 등으로 인한 수분이 포함된 석유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이고, 주유자가 상기 발색키트(300)가 구비된 상기 주유건(100)을 이용해 석유를 주유할 때, 상기 주유노즐(110)을 통해 이동하는 석유가 상기 유입구멍(221)을 통해 상기 발색키트(300)와 접촉하고, 상기 발색키트(300)에 포함된 상기 수분 발색부(320)와 수분이 화학반응하며 상기 수분 발색부(320)의 시트가 붉은색으로 발색될 수 있다.
도 2a, 3a, 4a를 참고하면, 상기 염기 발색부(310)와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포함된 상기 발색키트(300)는 상기 염기 발색부(310) 및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혼합 형성 되거나, 상기 염기 발색부(310) 및 상기 수분 발색부(320)의 구역이 구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색키트(300) 내에 상기 염기 발색부(310)와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포함되어서 시트의 변색이 식별 가능하게 구비되면 상관없으므로, 형태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염기 발색부(310) 및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상기 발색키트(300)에 혼합 형성될 때의 혼합비는 1:9~9:1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색키트(300)는 주유 시 상기 주유노즐(110)의 상기 유입구멍(221)을 통해 상기 발색키트(300)에 흡수된 석유가 Unimark 1494DB가 포함되어 있거나 수분이 포함되어 있을 때 상기 발색키트(300)에서 해당 키트의 색변화를 식별 가능하게 형성 되면 상관없고, Unimark 1494DB와 수분이 둘 다 포함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염기 발색부(310)와 상기 수분 발색부(320)의 변색된 부분과 색변화를 육안으로 구분 가능하게 형성 되는 것이면 상관없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1: 혼합 형성된 염기 발색부 및 수분 발색부를 포함하는 발색키트
도 2a는 상기 염기 발색부(310) 및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혼합되어 형성된 상기 발색키드(300)를 펼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통형상으로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형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1-1은 상기 염기 발색부(310)의 염기성 물질과 상기 수분 발색부(320)의 수분확인용 물질이 1:9~9:1 이내의 혼합비로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발색키트(300)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1-2: 구분 가능한 구역을 가지며 형성된 염기 발색부 및 수분 발색부를 포함하는 발색키트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염기 발색부(310) 및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길이방향으로 구분 가능한 구역을 가지며 형성된 상기 발색키드(300)를 펼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통형상으로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형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a는 상기 염기 발색부(310) 및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수직방향으로 구분 가능한 구역을 가지며 형성된 상기 발색키드(300)를 펼친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통형상으로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형태의 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발색키트(300)는 상기 염기 발색부(310)와 상기 수분 발색부(320)가 각각의 구분 가능한 구역을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기 때문에 형태를 반드시 한정하지 않고, 실시예 1-2는 상기 본체부(20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된 것과 상기 본체부(200)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 있는 상기 발색키트(300)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2-1 : 석유의 입출이 가능하게 본체부의 내부관에 형성되는 유입구멍
도 5a는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내부관(220)에 상기 유입구멍(221)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200)의 종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부분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2-1은 상기 내부관(2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하나 이상의 상기 유입구멍(221)이 형성된 것으로, 상단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멍(221)은 상기 주유노즐(110)을 유동하는 석유가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 사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고, 하단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멍(221)은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에 유입된 석유가 상키 발색키트(300)가 흡수 하는 일정 이상의 양을 제외한 나머지를 상기 주유노즐(110)로 배출할 수 있게 형성된 것으로, 상단과 하단의 역할은 바뀌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멍(221)의 크기와 위치는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기 때문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2-2 : 본체부의 내부관에 형성되는 다공성 유입구멍
도 6a는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상기 본체부(200)의 상기 내부관(220)에 다공성 형태의 상기 유입구멍(221)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200)의 종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부분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2-2는 상기 유입구멍(221)이 다공성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입구멍(221)은 상기 내부관(220)에 석유 이외의 이물질은 필터링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내부관(220) 전면에 막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유입구멍(221)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3-1 : 암나사형으로 형성된 본체부
도 7을 참고하면, 통형상으로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외부관(210)과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상기 본체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3-1은 상기 주유건(100)의 상기 연결부(120)와 볼트결합으로 연결되기 위해 상기 본체부(200)의 내부가 암나사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유입구멍(221)(미도시)이 형성되는 상기 내부관(220)에 나사선(230)을 포함하여 형성된 상기 본체부(200)의 실시예이다. 상기 나사선(230)은 상기 본체부(200)의 외부에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100)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200)의 상단 또는 하단, 상단과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100)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나사선(230)이 형성되는 위치와 모양은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연결부(120) 이외에 상기 나사선(230)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주유건(100)과 볼트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는 부위이면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 3-2 : 밴드형으로 형성된 본체부
통형상으로 상기 외부관(210)과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주유건(100)의 상기 주유노즐(110)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게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밴드의 형태를 가지며 형성된 상기 본체부(200)의 실시예이다. 실시예 3-2는 도 1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따로 도시하지 않았고, 탄성을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를 늘린 후 상기 주유노즐(110)에 끼움결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유입구멍(221)이 형성된 상기 내부관(220)이 상기 주유노즐(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111)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주유노즐(110)의 내부를 유동하는 석유가 상기 외부관(210) 및 상기 내부관(220) 사이로 유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주유노즐(110) 이외에 상기 주유건(100)과 끼움결합 할 수 있는 위치이면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 3-3 : 클립형으로 형성된 본체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본체부(200)는 통형상으로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는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외부관(210)과 상기 내부관(220)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상기 본체부(200)를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 3-3은 상기 본체부(200)의 외주면에 별도의 클립부재(240)가 부착되어 상기 주유노즐(110)의 맨 끝단에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결합할 수 있는 상기 본체부(200)의 실시예이다. 상기 클립부재(240)는 상기 주유노즐(110)과 결합 가능한 크기를 가지면 상관없고, 상기 주유노즐(110) 끝단의 내부에 삽입되며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주유건(100)과 결합 가능한 위치이면 상관없이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 3-4 : 테이프형으로 형성된 본체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발색키트(300)의 한쪽 단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100)에 접착 가능한 접착부(400)를 포함하고 있는 테이프의 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3-4는 상기 접착부(400)가 상기 발색키트(300)의 상단 및 하단에 연장되며 형성된 테이프형이다. 상기 접착부(400)는 상기 발색키트(300)의 상단 및 하단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접착부(400)는 상기 발색키트(300)의 단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발색키트(300)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색키트(300)가 상기 주유건(100)에 접착하여 사용 가능한 상기 접착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이면 상관없으므로 상기 발색키트(300)와 상기 접착부(400)의 구성의 형태는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테이프형은 상기 주유건(100)에서 석유 검출이 가능한 부분에 필요한 만큼 절단하여 상기 접착부(400)를 이용하여 상기 주유건(100)에 접착시켜 상기 발색키트(300)의 색변화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주유건(100)을 이동하는 석유가 검출될 수 있거나 상기 접착부(400)가 접착 가능한 위치이면 상관없이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1 : 주유건에 본 발명의 식별키트가 장착된 예1
실시예 4-1은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주유건(100)에 결합되는 실시예로,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주유건(100)의 후단에 형성된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주유건(100) 사이에 상기 본체부(200)가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된 상기 본체부(200)는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주유건(100) 사이에 볼트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부(120)의 후단과 상기 주유건(100)의 주유호스에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4-2 : 주유건에 본 발명의 식별키트가 장착된 예2
도 11a 및 11b를 참고하면, 실시예 4-2는 상기 주유건(100)의 전단에 형성된 상기 주유노즐(110)에 상기 본체부(200)가 결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발색키트(300)가 삽입되고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주유노즐(110) 중에 결합 가능한 위치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주유노즐(11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기 구멍(111)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주유노즐(110)과 결합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에 대한 것으로, 통형상의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구비되고, 화학반응을 통해 색변화하는 상기 발색키트(300)를 구비하고 있는 주유기 키트를 일반적인 주유소 및 셀프주유소에 구비되어있는 상기 주유건(100)에 단순 결합 또는 부착 하는 것으로 석유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소비자가 주유소에서 주유할 때 실시간으로 가짜석유의 여부를 육안으로 손쉽게 식별 할 수 있고 가짜석유 및 수분혼합연료에 의한 차량고장, 연비저하, 안전사고 등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유소 시설의 노후화 및 운영관리 미흡 또는 날씨의 영향으로 인한 결로현상의 발생으로 석유를 저장하는 탱크로리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에도 주유기 키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분함유의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수분으로 인한 주유소 시설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운영되고 있는 주유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유기에 적용가능하고,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쉽게 가짜석유 및 수분혼합연료를 파악할 수 있으며, 선행기술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설치 방법도 단순하다. 또한, 해당 성분이 검출되지 않으면 계속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가짜석유를 사용하지 않는 주유소나 수분함유연료가 없는 주유소에서는 한 번의 설치로 계속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주유기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므로, 상기 발색키트(300)가 색변형된 주유기 키트가 있을 경우 탈착하여 새 제품으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도 용이하다.
본 발명을 이용함으로써, 주유자는 실시간으로 가짜석유 및 수분혼입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 이는 차량의 부식 또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국가적으로는 연료유의 불법 혼합을 방지함으로써 건전한 석유시장 유통질서를 확보하고 가짜석유제품으로부터 국민의 안전과 환경보호 및 국가 탈세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혼입 연료로부터 차양의 고장으로 인한 배출가스에 의한 환경오염 문제 까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주유소의 소유주도 주유소에 본 발명을 구비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얻을 수 있으며, 소유주가 구매한 석유의 진위여부를 분별할 수 있고, 수분함유여부를 인지하여 시설 내에 수분으로 인한 설비장치의 부식을 예방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종래는 전문 검사기관이 주유소들을 방문하여 별도의 검사를 통해서 가짜석유의 진위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을 구비함으로써, 주유소의 소유자 또는 소비자가 직접 파악하고 신고함으로써 유통 되고 있는 석유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적으로 효율적인 유류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주유건 110 : 주유노즐
111 : 구멍 120 : 연결부
200 : 본체부 210 : 외부관
220 : 내부관 221 : 유입구멍
230 : 나사선 240 : 클립부재
300 : 발색키트 310 : 염기 발색부
320 : 수분 발색부 400 : 접착부

Claims (16)

  1. 주유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로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으로, 상기 주유건의 전단 또는 후단에 탈부착 가능한 본체부; 및
    다공성 여과재에 염기성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염기 발색부; 및 다공성 여과재에 수분확인용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수분 발색부;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부 내부에 구비되고, 반응에 의한 색변화를 통해 가짜석유 및 수분함유를 동시에 확인 가능한발색키트;
    를 포함하며,
    상기 발색키트는,
    상기 염기 발색부 및 상기 수분 발색부의 구역이 구분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부가 통공된 이중관 구조를 가지되, 상기 본체부의 외부관 및 내부관 사이에 상기 발색키트가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내부관의 일부에는 유동하는 석유와 상기 발색키트가 접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유입구멍 및,
    상기 내부관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발색키트와 접촉한 석유가 배출 가능한 하나 이상의 배출구멍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변형 가능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발색키트의 색변화를 관찰 가능한 투명 또는 반투명한 창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유건의 후단에 위치한 연결부와 결합이 가능한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과 볼트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에는,
    상기 주유건의 전단에 위치한 주유노즐에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발색키트와 유동하는 석유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유노즐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 가능한 밴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별도의 클립부재가 부착되어, 상기 주유건의 전단에 위치한 주유노즐의 맨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주유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 발색부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염기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발색부는,
    코발트염화물 및 황산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과의 반응으로 색변화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12. 주유건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로서,
    다공성 여과재에 염기성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염기 발색부; 및 다공성 여과재에 수분확인용 물질이 흡착된 형태로 이루어진 수분 발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염기 발색부 및 상기 수분 발색부의 반응에 의한 색변화를 통해 가짜석유 및 수분함유를 동시에 확인 가능한발색키트; 및
    상기 발색키트의 한쪽 단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주유건에 접착 가능한 접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염기 발색부 및 상기 수분 발색부의 구역이 구분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13. 삭제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건에는,
    상기 주유건의 전단에 위치한 주유노즐에 상기 접착부가 형성된 상기 발색키트와 유동하는 석유가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주유노즐에 형성된 상기 구멍을 포함하는 외주면을 상기 발색키트가 감싸고, 상기 접착부가 상기 주유노즐에 부착되며 상기 주유건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 발색부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칼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염기성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발색부는,
    코발트염화물 및 황산구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분과의 반응으로 색변화 가능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KR1020190028895A 2019-03-13 2019-03-13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KR102191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95A KR102191429B1 (ko) 2019-03-13 2019-03-13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895A KR102191429B1 (ko) 2019-03-13 2019-03-13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12A KR20200109612A (ko) 2020-09-23
KR102191429B1 true KR102191429B1 (ko) 2020-12-15

Family

ID=7270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895A KR102191429B1 (ko) 2019-03-13 2019-03-13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4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3144A (ja) * 2003-07-25 2005-02-17 Nichiyu Giken Kogyo Co Ltd 温度履歴および水分付着履歴インジケ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の不良原因確認方法
KR101376064B1 (ko) * 2013-04-29 2014-03-20 주식회사 이도링크 휴대용 분석장치를 이용한 주유정보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0244A (ja) * 1996-09-20 1998-04-10 Nof Corp 水分検知ラベル
KR20030040312A (ko) * 2003-04-24 2003-05-22 (주)이노바이오시스템 염료를 이용한 유사휘발유 검지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시료측정 방법
KR101170933B1 (ko) * 2010-03-23 2012-08-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다이아세틸렌 함유 폴리머 센서 섬유를 이용한 유사휘발유 검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사휘발유 검지 장치
KR101515364B1 (ko) * 2012-10-23 2015-05-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염기 반응성 식별제 감지용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염기 반응성 식별제 감지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3144A (ja) * 2003-07-25 2005-02-17 Nichiyu Giken Kogyo Co Ltd 温度履歴および水分付着履歴インジケー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の不良原因確認方法
KR101376064B1 (ko) * 2013-04-29 2014-03-20 주식회사 이도링크 휴대용 분석장치를 이용한 주유정보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612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Development of natural gas as a vehicular fuel in Pakistan: issues and prospects
KR102191429B1 (ko) 가짜석유 및 수분 확인용 주유기 키트
EP2183588A1 (en) Direct detection of markers in pressurized hydrocarbon fluids
Amorin et al. The use of liquefied petroleum gas (LPG) as a fuel for commercial vehicles in Ghana: A case study at tema community 1
JP5555870B1 (ja) 不正燃料の判別方法及び判別装置
EP1354847B1 (de) Betankungsverfahren,-vorrichtung und System
Gedik et al. Characterization of the properties of diesel-base oil-solvent-waste oil blends used as generic fuel in diesel engines
KR101118104B1 (ko) 주유건 잠금장치를 갖는 주유량 정보제공 시스템
US20120180556A1 (en) Detection of markers in pressurized hydrocarbon fluids
US20130047963A1 (en) Warranty violation detection system for disallowed fuels
Lowell et al. Natural Gas Systems: Suggested changes to truck and motorcoach regulations and inspection procedures
US3453886A (en) Visual oil level indicator
Douglas et al. Forensic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oil sands-based bitumen released into a complex sediment environment
KR101891996B1 (ko) 무자료거래 유류의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22993Y1 (ko) 차량 연료 판별 색상 부착물
KR20140121980A (ko) 차량용 유사연료 검사장치
Moriarty et al. E15 and Infrastructure
Lambert Solving the filtration challenges for diesel fuel
Bihari et al. Use of Adjusting and Instructing Information in Product Harm Crisis Communication
KR20210066664A (ko) 가짜석유 발색 키트
Heusser Air Brake Inspections on Five-Axle Combinations
Lopes et al. Development of the TOP TIER TM Diesel Standard
Mikkonen et al. Misfueling: what if gasoline is fueled into a diesel car and vice versa?
US20200131019A1 (en) A product identifier and a delivery method
Shaffer ABS Operational Status on In-Use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