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403B1 -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403B1
KR102191403B1 KR1020190014634A KR20190014634A KR102191403B1 KR 102191403 B1 KR102191403 B1 KR 102191403B1 KR 1020190014634 A KR1020190014634 A KR 1020190014634A KR 20190014634 A KR20190014634 A KR 20190014634A KR 102191403 B1 KR102191403 B1 KR 102191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eight adjustment
cassette
hold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178A (ko
Inventor
조병일
이상열
이영진
허원석
Original Assignee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아프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상아프론테크
Priority to KR102019001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403B1/ko
Priority to PCT/KR2019/017847 priority patent/WO2020162661A1/ko
Publication of KR20200097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0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6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 B65D2585/8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chines, engines, or vehicles in assembled or dismantled form for electrical components
    • B65D2585/88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터리가 상부에서 지지되는 실장부 및 상기 카세트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높이에 따라 상기 실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를 회전하여 상기 실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CASSETTE ASSEMBLY FOR HEIGHT ADJUSMENT AND TRAY FOR BATTERY HVING THE SAME}
본 발명은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보조 배터리 등의 IT 제품을 비롯하여,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등의 다양한 제품에서 리튬이온이 양극과 음극 사이를 이동하며 전기를 생성하는 파우치 셀형 2차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우치 셀형 2차 전지(이하, '배터리'로 약칭)는, 통상적으로 전력이 저장되는 셀, 셀을 둘러싸는 파우치 및 충방전을 위한 리드로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배터리는 두께, 폭 및 리드 높이와 같은 제품 규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제한된 공간에서 복수개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박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배터리의 생산라인에서는 공정간 이송 시 또는 완제품 출하 시 배터리를 수납하여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박형의 배터리를 다량으로 직립 수용할 수 있는 트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배터리용 트레이는 배터리의 크기에 맞도록 제작되므로 크기가 다른 배터리의 경우 트레이에 실장하여 이송 또는 운반할 수 없는 사용상 제한이 있다. 즉, 종래의 배터리용 트레이는 배터리의 제품 규격별로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가 있어, 경제성이 저하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용 트레이는 실장하고자 하는 배터리의 크기에 맞게 제작되므로 배터리를 트레이로부터 빼낼 때 쉽게 빠지지 않고 배터리 종류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장부를 교체할 경우, 실장부의 탈부착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프레임이 손상되기도 하며,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품 요소의 별도 제작이나 교체 없이도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 운반에 적용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조립 작업성,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터리가 상부에서 지지되는 실장부 및 상기 카세트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높이에 따라 상기 실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를 회전하여 상기 실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실장부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의 타면에 결합되고 양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1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1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의 일측에는 제1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의 타측에는 제1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홀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교차부분에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축 및 상기 제2 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이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브라켓과 이격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의 일측에는 제2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의 타측에는 제2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홀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축 및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축과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나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이동축과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회전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는 외측면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외측면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상기 전달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홀 및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달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홀더홀이 형성되는 홀더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홀더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홀은 상기 전달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홀은 원형 형상이며 상기 홀더홀의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홀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은 상기 전달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핀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트레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는, 실장부에 복수개의 카세트를 제공하며, 조절부를 통해 각 카세트가 베이스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장부가 상하 이동되어, 부품 요소의 별도 제작이나 교체 없이도 배터리의 폭, 두께 및 높이 등에 대한 다양한 규격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는, 트레이가 배터리의 규격에 대응되도록 카세트를 조절하여 배터리를 고정시킴으로써, 운반 중 배터리의 이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배터리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는,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한 종류의 트레이만 제작하면 되기 때문에 트레이 제작에 따른 금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트레이의 보관 및 관리도 수월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는, 복수개의 배터리가 카세트에 삽입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열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적재 및 수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는, 실장부에 삽입되는 배터리가 카세트에 의해 이격됨으로써, 배터리의 전극이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극에서 나오는 전류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는, 프레임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개방부를 형성하여 실장부의 배터리에 공기 순환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의 실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장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은 도 17에 도시된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높이조절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부재가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부재가 높이조절부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고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를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를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의 실장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211)에서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쪽을 상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에서 베이스부재(211) 쪽을 하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며,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에서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쪽을 우측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에서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쪽을 좌측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에서 제1 개구홀(105)쪽을 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하고 제1 개구홀(105)에서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 쪽을 후방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용 트레이(1)는 배터리의 크기나 종류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실장하기 위해서 트레이 조립체(3),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5),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7) 및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트레이 조립체(3)는 배터리 포장의 편리성과 운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각 카세트가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장부가 상하 이동되어, 부품 요소의 별도 제작이나 교체 없이도 배터리의 폭, 두께 및 높이 등에 대한 다양한 규격에 적용되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100), 실장부(200),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내부에 실장부(200)가 설치될 수 있어 배터리(미도시)가 실장되는 영역을 공간적으로 외부와 구획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플라스틱 수지 등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은 실장부(200)에 배터리가 인출 및 장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반 부품 요소에 대한 조립, 분해, 규격 조절 및 배터리에 대한 공기순환을 위해서 프레임의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개방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00)의 전면 하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1 개구홀(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2를 참고하면, 제1 개구홀(105)에는 두께조절부(500)의 제2 가이드부재(584b)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개구홀(105)을 통해 렌치, 드라이버, 로봇암 등의 수단을 두께조절부(500)의 제2 가이드부재(584b)을 가압한 후 회전시켜 두께조절부(500)를 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프레임(100) 외측의 후면 하단부에는 제2 개구홀(10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제2 개구홀(107)에는 높이조절부(700)의 제3 가이드부재(784b)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개구홀(107)을 통해 렌치, 드라이버, 로봇암 등의 수단을 제3 가이드부재(784b)를 가압한 후 회전시켜 높이조절부(700)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장부(200)는 베이스부재(211) 및 연결부재(215)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211)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21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레일부재(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을 참고하면, 레일부재(212)의 하단부에는 레일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레일홈(213)에 제1 및 제2 돌출부재(237, 247)가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홈(213)은 레일부재(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211)는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부재(211)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 베이스부재(211)의 우측 및 좌측에는 소정 길이로 연장된 바 형상의 연결부재(215)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부재(211)는 연결부재(215)에 의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시켜서 실장부(200)의 중량을 줄일 수 있다.
한 쌍의 베이스부재(211) 사이에는 제1 조절홀(2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절홀(216)은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조절홀(216)은 베이스부재(211)에서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및 제2 체결부재(430, 450)가 제1 조절홀(216)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베이스부재(211)는 중심부에 제2 조절홀(217) 및 제3 조절홀(2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절홀(217) 및 제3 조절홀(218)은 타원 형상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조절홀(217) 및 제3 조절홀(218)에는 각각 제3 결합부재(257) 및 제4 결합부재(277)가 삽입된 상태로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될 수 있다.
제2 조절홀(217) 및 제3 조절홀(218)은 각각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 조절홀(217)은 베이스부재(21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단부에 형성된 제2 조절홀(217)과 후단부에 형성된 제2 조절홀(217)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2 조절홀(217)에 결합된 제3 결합부재(257)가 전후방향으로 직진 이동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조절홀(218)은 제2 조절홀(217)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조절홀(218)은 베이스부재(21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전단부에 형성된 제3 조절홀(218)과 후단부에 형성된 제3 조절홀(218)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제3 조절홀(218)에 결합된 제4 결합부재(277가 전후방향으로 직진 이동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8을 참고하면, 배터리를 용이하게 실장하기 위해서 베이스부재(211)의 상부면에는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가 안착될 수 있다.
한편,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는 복수개의 제1 벽체(23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1 벽체(231)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벽체(231) 사이 이격된 공간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슬롯(23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1 벽체(231)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1 지지대(23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대(235)는 복수개의 제1 벽체(231)의 하측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제1 벽체(23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대(235)는 사각형 단면의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235)의 전단부 및 후단부 하단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1 돌출부재(237)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돌출부재(237)는 레일홈(213)에 삽입된 상태로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레일홈(213)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235)의 중심부 하면에는 제1 설치홈(23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설치홈(235a)에는 돌출된 제1 결합부재(239)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재(239)는 제1 체결부재(430)와 결합된 상태로 제1 조절홀(216)에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출부재(237) 및 제1 결합부재(239)는 베이스부재(211)의 각각 레일홈(213) 및 제1 조절홀(216)에 삽입된 상태로 죄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는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와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는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와 한 쌍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벽체(241), 제2 슬롯(243), 제2 지지대(245), 제2 설치홈(245a), 제2 돌출부재(247) 및 제2 결합부재(249)는 제1 벽체(231), 제1 슬롯(233), 제1 지지대(235), 제1 설치홈(235a), 제1 돌출부재(239) 및 제1 결합부재(239)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의 양 단부는 각각 서로 이격된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의 제1 슬롯(233) 및 제2 슬롯(243)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는 복수개의 제3 벽체(25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벽체(251)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3 벽체(251) 사이 이격된 공간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3 슬롯(25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3 벽체(251)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3 지지대(255)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지지대(255)는 사각형 단면의 직육면체로서 하측면에 제3 설치홈(25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설치홈(255a)에는 제3 결합부재(25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결합부재(257)는 제2 조절홀(217)과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257)는 제3 설치홈(255a)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3 결합부재(257)는 베이스부재(211)에 형성된 제2 조절홀(217)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2 조절홀(217)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는 복수개의 제4 벽체(271)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벽체(271)는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4 벽체(271) 사이 이격된 공간에는 배터리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제4 슬롯(27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4 벽체(271)는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제4 지지대(275)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지지대(275)는 사각형 단면의 직육면체로서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제4 지지대(275)는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제4 지지대(275) 사이에는 제3 지지대(255)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4 지지대(275) 각각의 하측면에는 제4 설치홈(27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설치홈(275a)에는 제4 결합부재(27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결합부재(277)는 제3 조절홀(218)과 대응되게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부재(277)는 복수개로서 제4 지지대(275)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4 결합부재(277)는 베이스부재(211)에 형성된 제2 조절홀(217)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제3 조절홀(218)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4 벽체(271)는 하측 단부에 전후방향을 따라 관통된 관통부(27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부(271a)는 터널 형태로서 관통부에는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가 삽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와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4 벽체(271)의 하단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 형상의 걸림부재(2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재(272)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걸림부재(272)는 제4 지지대(275)에 전후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가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의 관통부(271a)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할 때, 제3 벽체(251)가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의 걸림부재(27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4 벽체(271) 사이에는 제3 벽체(251)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벽체(251) 및 제4 벽체(271)가 서로 교대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 벽체(251) 각각이 이격된 제1 거리(L1) 및 복수개의 제4 벽체(271) 각각이 이격된 제2 거리(L2)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벽체(251)와 제4 벽체(271) 사이의 제3 거리(L3)는 제1 거리(L1) 및 제2 거리(L2)와 할 수 있다.
한편, 제3 결합부재(257) 또는 제4 결합부재(277)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인해서 제1 거리(L1) 및 제2 거리(L2)는 변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제3 벽체(251)와 제4 벽체(271) 사이의 제3 거리(L3)는 제1 거리(L1) 또는 제2 거리(L2)와 달라질 수 있다.
베이스부재(211)에는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5),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7) 및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9)가 설치됨으로써 배터리의 크기 즉 배터리의 폭, 두께 및 높이에 관계없이 배터리를 실장부(200)에 실장시킬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실장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폭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는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5)는 배터리의 폭과 관계없이 배터리를 실장부(200)에 실장시키기 위해서 실장부(200) 및 폭조절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200)에는 폭조절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폭조절부(400)는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폭이 다른 배터리의 종류와 관계없이 배터리를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폭조절부(400)는 제1 브라켓(300), 폭조절부재(410), 제1 고정부재(420), 제1 체결부재(430), 제2 체결부재(450), 제1 회전조절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베이스부재(2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의 좌측 및 우측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제1 절곡부(30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의 상부면은 베이스부재(211)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절곡부(300a)의 중심부에는 관통홀(301)이 형성될 수 있다. 폭조절부재(410)는 한 쌍의 관통홀(301)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폭조절부재(410)는 봉 형상으로 좌우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폭조절부재(410)는 제1 중심부(412), 제1 나사부(413) 및 제2 나사부(4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부(413) 및 제2 나사부(415)는 중심부(412)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나사부(413) 및 제2 나사부(415)는 외주면에 각각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나사부(413) 및 제2 나사부(415)는 각각 한 쌍의 제1 고정부재(4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고정부재(420)는 연결부재(215)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폭조절부재(410)는 베이스부재(211)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폭조절부재(410)는 베이스부재(21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폭조절부재(410)는 드라이버, 렌치, 로봇암 등의 회전수단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고정부재(420) 내측에는 제1 체결부재(430) 및 제2 체결부재(4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30)는 T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30)의 상부는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1 결합부재(239)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재(430)의 하부는 중심부에 제1 너트부재(432)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너트부재(432)는 중심부에 제1 체결공(4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공(434)에는 제1 나사부(413)와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제1 나사부(413)가 제1 체결공(43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450)는 T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450)의 상부는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2 결합부재(249)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체결부재(450)의 하부는 중심부에 제2 너트부재(452)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너트부재(452)는 중심부에 제2 체결공(4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체결공(454)에는 제2 나사부(415)와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제2 나사부(415)가 제2 체결공(454)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제1 회전조절부(480)는 폭조절부재(410)의 좌측단부에 연결되어 폭조절부재(410)를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조절부(480)는 제1 고정부재(4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회전조절부(480)는 렌치, 드라이버, 로봇암 등의 수단을 통해서 폭을 조절할 때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1 전달부재(482), 제1 커넥터(484), 제1 커넥터홀더(486), 제1 커넥터가이드(4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달부재(482)는 다각형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육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달부재(482)의 중심부에는 폭조절부재(410)의 전단부가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달부재(482)의 외측면에는 제1 연결홀(482a)이 형성되어 폭조절부재(410)의 제1 결합홀(410a)에 고정핀(미도시)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전달부재(482) 및 폭조절부재(410)가 결합됨으로써 제1 전달부재(482)의 회전으로 인해서 폭조절부재(4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커넥터(484)는 제1 홀더부재(484a) 및 제1 가이드부재(4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부재(484a) 및 제1 가이드부재(484b)는 기둥 형상이며, 제1 가이드부재(484b)는 제1 홀더부재(484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부재(484a)는 육각형 기둥 형상이고, 제1 가이드부재(484b)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부재(484b)의 외주면에는 지지핀(미도시)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고정홀(48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부재(484a)는 내부에 제1 전달부재(482)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홀더부재(484a)의 내부는 제1 전달부재(482)와 동일하게 육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홀더부재(484a)가 회전되면 제1 전달부재(482)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1 탄성부재(미도시)는 제1 커넥터(48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이드부재(484b)의 제1 고정홀(485)에는 축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지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는 제1 커넥터(484) 내부에 위치하고 탄성부재의 후단부는 제1 전달부재(482)에 지지되고 전단부는 지지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커넥터홀더(486) 및 제1 커넥터가이드(488)의 외형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홀더(486) 및 제1 커넥터가이드(488)는 보조고정부재(421)에 의해 연결부재(215)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커넥터홀더(486) 및 제1 커넥터가이드(488)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1 홀더홀(486a) 및 제1 가이드홀(488a)이 형성되어 제1 커넥터(58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홀(486a)은 제1 홀더부재(484a)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이드홀(488a)은 제1 가이드부재(484b)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홀(486a)의 단면적은 제1 가이드홀(488a)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제1 홀더부재(484a)가 일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폭을 조절할 때에는 공구 등의 수단을 제1 가이드부재(484b)의 내부에 삽입하여 압력을 가해 밀게 되고 이때 제1 커넥터홀더(486)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던 제1 홀더부재(484a)가 제1 커넥터홀더(486)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제1 커넥터(484)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부재(484a)의 내부에는 제1 전달부재(48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1 홀더부재(484a)의 회전에 의해 제1 전달부재(482)가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폭조절부재(410)의 회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사용자가 폭조절을 완료할 때에는 제1 커넥터(484)의 내부에 삽입된 공구 등의 수단을 제거하게 되고 이때 제1 커넥터(484) 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1 홀더부재(484a)가 제1 커넥터홀더(486)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1 홀더부재(484a)가 회전될 수 없는 상태로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제1 홀더부재(484a)와 제1 가이드부재(484b)는 각각 제1 커넥터홀더(486) 및 제1 커넥터가이드(488)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폭조절부재(4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484)가 공구 등의 수단에 의해 제1 커넥터홀더(486)에서 인출되거나 제1 커넥터홀더(486)로 인입됨으로써, 폭조절부재(410)의 회전을 가능 또는 구속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폭조절부재(410)를 회전시키면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사이의 폭이 조절될 수 있다.
이때 폭조절부재(410)의 제1 나사부(413) 및 제2 나사부(415)는 각각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으로 형성됨으로써 폭조절부재(410)의 회전에 의해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는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폭조절부재(410)를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시키면 제1 체결부재(430) 및 제2 체결부재(450)가 서로 접근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사이의 폭이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폭조절부재(410)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가 이동되고 배터리 폭과 관계없이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 사이에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가 서로 멀어질 때에는 약 320 ~ 330mm의 폭 규격을 갖는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고,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40)가 서로 접근할 때에는 약 144mm ~ 150mm의 폭 규격을 갖는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5)는 폭조절부재(4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폭조절용 카세트(230) 및 제2 폭조절용 카세트(250)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폭이 다른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두께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1는 도 17에 도시된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의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7)는 배터리의 두께와 관계없이 배터리를 실장부(200)에 실장시키기 위해서 실장부(200) 및 두께조절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장부(200)에는 두께조절부(500)가 설치될 수 있다. 두께조절부(500)는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두께가 다른 배터리의 종류와 관계없이 배터리를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두께조절부(500)는 제1 브라켓(300), 두께조절부재(510), 제2 고정부재(520), 제3 체결부재(530) 및 제4 체결부재(550) 및 제2 회전조절부(5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베이스부재(2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상부면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개구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02)는 제1 브라켓(300)의 상부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부(302)는 소정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개구부(302)는 제1 및 제2 조절홀(217, 218)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및 제4 체결부재(530,550)는 개구부(30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두께조절부재(510)는 봉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두께조절부재(510)는 제2 중심부(512), 제3 나사부(513) 및 제4 나사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나사부(513) 및 제4 나사부(515)는 제2 중심부(512)를 기준으로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나사부(513) 및 제4 나사부(515)는 외주면에 각각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나사부(513) 및 제4 나사부(515)는 각각 한 쌍의 제2 고정부재(5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고정부재(520)는 제1 브라켓(30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두께조절부재(510)는 제1 브라켓(300)의 폭 방향 길이보다 더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두께조절부재(510)는 제1 브라켓(3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께조절부재(510)는 드라이버, 렌치, 로봇암 등의 회전수단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고정부재(520) 내측에는 제3 체결부재(530) 및 제4 체결부재(55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530)는 T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530)의 상부는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3 결합부재(257)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체결부재(530)의 하부는 중심부에 제3 너트부재(532)가 관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3 너트부재(532)는 중심부에 제3 체결공(5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공(534)에는 제3 나사부(513)와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제3 나사부(513)가 제3 체결공(534)에 결합될 수 있다.
제4 체결부재(550)는 T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체결부재(550)의 상부는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4 결합부재(277)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 체결부재(530)가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4 결합부재(277)와 결합된다면, 제4 체결부재(550)는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3 결합부재(257)와 결합됨으로써 서로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제4 체결부재(540)의 하부는 중심부에 제4 너트부재(미도시)가 관통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4 너트부재는 중심부에 제4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체결공에는 제4 나사부(515)와 대응되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제4 나사부(515)가 제4 체결공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제2 회전조절부(580)는 두께조절부재(510) 전단부에 연결되어 두께조절부재(510)를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회전조절부(580)는 제2 고정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전조절부(580)는 렌치, 드라이버, 로봇암 등의 수단을 통해서 두께를 조절할 때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2 전달부재(582), 제2 커넥터(584), 제2 커넥터홀더(586), 제2 커넥터가이드(5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달부재(582)는 다각형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육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전달부재(582)의 중심부에는 두께조절부재(510)의 전단부가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달부재(582)의 외측면에는 제2 연결홀(582a)이 형성되어 두께조절부재(510)의 제2 결합홀(510a)에 고정핀(미도시)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2 전달부재(582) 및 두께조절부재(510)가 결합됨으로써 제2 전달부재(582)의 회전으로 인해서 두께조절부재(5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 커넥터(584)는 제2 홀더부재(584a) 및 제2 가이드부재(5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부재(584a) 및 제2 가이드부재(584b)는 기둥 형상이며, 제2 가이드부재(584b)는 제2 홀더부재(584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부재(584a)는 육각형 기둥 형상이고, 제2 가이드부재(584b)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재(584b)의 외주면에는 지지핀(미도시)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2 고정홀(58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부재(584a)는 내부에 제2 전달부재(58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부재(584a)의 내부는 제2 전달부재(582)와 동일하게 육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홀더부재(584a)가 회전되면 제2 전달부재(582)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 탄성부재(미도시)는 제2 커넥터(58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부재(584b)의 제2 고정홀(585)에는 축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지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는 제2 커넥터(584) 내부에 위치하고 탄성부재의 후단부는 제2 전달부재(582)에 지지되고 전단부는 지지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커넥터홀더(586) 및 제2 커넥터가이드(588)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커넥터홀더(586) 및 제2 커넥터가이드(588)은 제1 브라켓(300)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커넥터홀더(586) 및 제2 커넥터가이드(588)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2 홀더홀(586a) 및 제2 가이드홀(588a)이 형성되어 제2 커넥터(58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홀(586a)은 제2 홀더부재(584a)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홀(588a)은 제2 가이드부재(584b)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홀(586a)의 단면적은 제2 가이드홀(588a)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제2 홀더부재(584a)가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두께를 조절할 때에는 공구 등의 수단을 제2 가이드부재(584b)의 내부에 삽입하여 압력을 가해 밀게 되고 이때 제2 커넥터홀더(586)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던 제2 홀더부재(584a)가 제2 커넥터홀더(586)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제2 커넥터(584)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부재(584a)의 내부에는 제2 전달부재(58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2 홀더부재(584a)의 회전에 의해 제2 전달부재(582)가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두께조절부재(510)의 회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사용자가 두께조절을 완료할 때에는 제2 커넥터(584)의 내부에 삽입된 공구 등의 수단을 제거하게 되고 이때 제2 커넥터(584) 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2 탄성부재(미도시)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2 홀더부재(584a)가 제2 커넥터홀더(586)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2 홀더부재(584a)가 회전될 수 없는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때, 제2 홀더부재(584a)와 제2 가이드부재(584b)는 각각 제2 커넥터홀더(586) 및 제2 커넥터가이드(588)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두께조절부재(5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584)가 공구 등의 수단에 의해 제2 커넥터홀더(586)에서 인출되거나 제2 커넥터홀더(586)로 인입됨으로써, 두께조절부재(510)의 회전을 가능 또는 구속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두께조절부재(510)를 회전시키면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는 각각 전후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두께조절부재(510)의 제3 나사부(513) 및 제4 나사부(515)는 각각 왼나사산 및 오른나사산으로 형성됨으로써 두께조절부재(510)의 회전에 의해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두께조절부재(510)를 일방 또는 타방으로 회전시키면 제3 체결부재(530) 및 제4 체결부재(550)가 서로 접근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함으로써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 사이의 두께가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다.
즉, 두께조절부재(510)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270)가 이동되고 배터리 두께와 관계없이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 사이에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가 서로 멀어질 때에는 약 13 ~ 17mm의 두께 규격을 갖는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고,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가 서로 접근할 때는 약 3mm ~ 5mm의 두께 규격을 갖는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7)는 두께조절부재(5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250) 및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270) 사이 간격이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두께가 다른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높이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높이조절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부재가 높이조절부에 의해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5은 도 11에 도시된 베이스부재가 높이조절부에 의해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실장부(200)에는 높이조절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2 및 도 23을 참고하면, 높이조절부(700)는 제1 및 제2 브라켓(300, 320), 제1 및 2 링크(701, 702), 제1 및 제2 지지축(704, 705), 제1 및 제2 이동축(706, 707), 높이조절부재(710), 제3 고정부재(720), 이동부재(730) 및 제3 회전조절부(7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베이스부재(211)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브라켓(320)은 제1 브라켓(3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브라켓(300) 및 제2 브라켓(320) 사이에는 폭조절부(400), 두께조절부(500) 및 높이조절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은 상부면의 전방 및 후방에는 개구부(302)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302)는 제1 브라켓(300)의 상부면에 한 쌍으로 형성되고, 전방 및 후방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의 좌측 및 우측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제1 절곡부(30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300)의 상부면은 베이스부재(211)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300a)의 중심부에는 관통홀(301)이 형성될 수 있다. 폭조절부재(410)는 한 쌍의 관통홀(301)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관통홀(301)의 후방에는 제1 지지홀(304)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301)의 전방에는 제1 이동홀(30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홀(304)에는 제1 지지축(704)이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홀(306)은 제1 절곡부(300a)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동축(706)은 제1 이동홀(306)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20)의 좌측 및 우측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한 쌍의 제2 절곡부(32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320)은 제1 브라켓(300)의 하방에 배치되며, 프레임(100)의 내부 하부면과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절곡부(320a)에는 제2 지지홀(324) 및 제2 이동홀(3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홀(324) 및 제2 이동홀(326)은 제1 지지홀(304) 및 제1 이동홀(306)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홀(324)에는 제2 지지축(705)이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홀(326)은 제2 절곡부(320a)의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축(707)은 제2 이동홀(326)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링크(701) 및 제2 링크(702)는 바 형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 링크(701) 및 제2 링크(702)는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701) 및 제2 링크(702)는 서로 X자로 교차되도록 배치되며, 교차부분에는 힌지부(703)가 설치되어 힌지부(703)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링크(701)의 상단부에는 제1 지지축(704)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제2 이동축(707)이 연결될 수 있다. 제2 링크(702)의 상단부에는 제1 이동축(706)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제2 지지축(705)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축(704)은 제1 링크(701)의 상단부를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지지축(704)은 제1 지지홀(304)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지지축(705)은 제2 링크(702)의 하단부를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축(705)은 제2 지지홀(324)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다.
제1 이동축(706)은 제2 링크(702)의 상단부를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고, 제2 이동축(707)은 제1 링크(702)의 하단부를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축(706, 707)은 각각 제1 및 제2 브라켓(300, 320)에 형성된 제1 및 제2 이동홀(306,326)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링크(701) 및 제2 링크(702)가 함께 전후방으로 이동되며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재(710)는 봉 형상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재(710)는 후방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5 나사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고정부재(720)의 상부에는 제5 나사부(7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제2 지지축(705)이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재(730)의 상부에는 제5 나사부(7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는 제2 이동축(707)이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 회전조절부(780)는 높이조절부재(710) 전단부에 연결되어 높이조절부재(710)를 회전 및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회전조절부(780)는 제3 고정부재(5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3 회전조절부(780)는 렌치, 드라이버, 로봇암 등의 수단을 통해서 높이를 조절할 때 이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3 전달부재(782), 제3 커넥터(784), 제3 커넥터홀더(786), 제3 커넥터가이드(78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달부재(782)는 다각형 기둥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육각형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달부재(782)의 중심부에는 높이조절부재(710)의 전단부가 관통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전달부재(782)의 외측면에는 제3 연결홀(782a)이 형성되어 높이조절부재(710)의 제3 결합홀(710a)에 고정핀(미도시)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렇게 제3 전달부재(782) 및 높이조절부재(710)가 결합됨으로써 제3 전달부재(782)의 회전으로 인해서 높이조절부재(7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3 커넥터(784)는 제3 홀더부재(784a) 및 제3 가이드부재(7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홀더부재(784a) 및 제3 가이드부재(784b)는 기둥 형상이며, 제3 가이드부재(784b)는 제3 홀더부재(784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홀더부재(784a)는 육각형 기둥 형상이고, 제3 가이드부재(784b)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부재(784b)의 외주면에는 지지핀(미도시)이 관통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제3 고정홀(785)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더부재(784a)는 내부에 제3 전달부재(78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더부재(784a)의 내부는 제3 전달부재(782)와 동일하게 육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3 홀더부재(784a)가 회전되면 제3 전달부재(782)도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3 탄성부재(783)는 제3 커넥터(784)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3 가이드부재(784b)의 제3 고정홀(785)에는 축방향과 수직하게 관통하여 고정되는 지지핀(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783)는 제3 커넥터(784) 내부에 위치하며, 제3 탄성부재의 후단부는 제3 전달부재(782)에 지지되고 전단부는 지지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3 커넥터홀더(786) 및 제3 커넥터가이드(788)는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커넥터홀더(786) 및 제3 커넥터가이드(788)은 제2 브라켓(320)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커넥터홀더(786) 및 제3 커넥터가이드(788)의 중심부에는 각각 제3 홀더홀(786a) 및 제3 가이드홀(788a)이 형성되어 제3 커넥터(784)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3 홀더홀(786a)은 제3 홀더부재(784a)의 외측면과 대응되게 육각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가이드홀(788a)은 제3 가이드부재(784b)의 외주면과 대응되게 원형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홀더홀(786a)의 단면적은 제3 가이드홀(788a)의 단면적보다 넓을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제3 홀더부재(784a)가 전방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높이를 조절할 때에는 공구 등의 회전수단을 제3 가이드부재(784b)의 내부에 삽입하여 압력을 가해 밀게 되고 이때 제3 커넥터홀더(786)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던 제3 홀더부재(784a)가 제3 커넥터홀더(786)로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제3 커넥터(784)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때, 제3 홀더부재(784a)의 내부에는 제3 전달부재(78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제3 홀더부재(784a)의 회전에 의해 제3 전달부재(782)가 회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높이조절부재(710)의 회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사용자가 높이조절을 완료할 때에는 제3 커넥터(784)의 내부에 삽입된 공구 등의 수단을 제거하게 되고 이때 제3 커넥터(784) 내부에서 압축되어 있던 제3 탄성부재(783)의 복원력에 의해서, 제3 홀더부재(784a)가 제3 커넥터홀더(786)의 내부로 인입되어 제3 홀더부재(784a)가 회전될 수 없는 상태로 될 수 있다. 이때, 제3 홀더부재(784a)와 제3 가이드부재(784b)는 각각 제3 커넥터홀더(786) 및 제3 커넥터가이드(788)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높이조절부재(7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3 커넥터(784)가 공구 등의 회전수단에 의해 제3 커넥터홀더(786)에서 인출되거나 제3 커넥터홀더(786)로 인입됨으로써, 높이조절부재(710)의 회전을 가능 또는 구속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고하면, 베이스부재(211)는 사용자가 높이조절부재(710)를 회전시켜 제1 이동축(706) 및 제2 이동축(707)을 이동시킴으로써 베이스부재(2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재(71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730)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이동축(706, 707)이 함께 이동하여 제1 및 제2 링크(701, 702)의 교차각이 조절됨으로써 제1 브라켓(300) 및 제2 브라켓(320)이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재(710)의 회전에 따라서, 베이스부재(211)가 상승 및 하강하고 이를 통해 배터리 높이와 관계없이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211)가 최대한 상승된 상태일 때는 약 100 ~ 110mm의 높이 규격을 갖는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고, 베이스부재(211)가 최대한 하강된 상태일 때는 약 200mm ~ 220mm의 높이 규격을 갖는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9)는 높이조절부재(7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베이스부재(21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이가 다른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가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용 트레이는 폭조절부, 두께조절부, 높이조절부 중 하나 이상을 구동 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폭, 두께, 높이에 관한 다양한 규격의 배터리를 수용할 수 있어, 배터리의 규격에 따른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배터리용 트레이 3: 트레이 조립체
5: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7: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9: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100: 프레임
101: 개방부 105: 제1 개구홀
107: 제2 개구홀 200: 실장부
211: 베이스부재 212: 레일부재
213: 레일홈 215: 연결부재
216: 제1 조절홀 217: 제2 조절홀
218: 제3 조절홀
230: 제1 폭조절용 카세트 231: 제1 벽체
233: 제1 슬롯 235: 제1 지지대
235a: 제1 설치홈 237: 제1 돌출부재
239: 제1 결합부재
240: 제2 폭조절용 카세트 241: 제2 벽체
243: 제2 슬롯 245: 제2 지지대
245a: 제2 설치홈 247: 제2 돌출부재
249: 제2 결합부재
250: 제1 두께조절용 카세트 251: 제3 벽체
253: 제3 슬롯 255: 제3 지지대
255a: 제3 설치홈 257: 제3 결합부재
270: 제2 두께조절용 카세트 271: 제4 벽체
271a: 관통부 273: 제4 슬롯
275: 제4 지지대 275a: 제4 설치홈
277: 제4 결합부재
300: 제1 브라켓 300a: 절곡부
301: 관통홀 302: 개구부
304: 제1 지지홀 306: 제1 이동홀
320: 제2 브라켓 324: 제2 지지홀
326: 제2 이동홀
400: 폭조절부 410: 폭조절부재
410a: 제1 결합홀 412: 제1 중심부
413: 제1 나사부 415: 제2 나사부
420: 제1 고정부재 421: 보조고정부재
430: 제1 체결부재 432: 제1 너트부재
434: 제1 체결공 450: 제2 체결부재
452: 제2 너트부재 454: 제2 체결공
480: 제1 회전조절부 482: 제1 전달부재
482a: 제1 연결홀 484: 제1 커넥터
484a: 제1 홀더부재 484b: 제1 가이드부재
485: 제1 고정홀 486: 제1 커넥터홀더
486a: 제1 홀더홀 488: 제1 커넥터가이드
488a: 제1 가이드홀
500: 두께조절부 510: 두께조절부재
510a: 제2 결합홀 512: 제2 중심부
513: 제3 나사부 515: 제4 나사부
520: 제2 고정부재 530: 제3 체결부재
532: 제3 너트부재 534: 제3 체결공
550: 제4 체결부재 554: 제4 체결공
580: 제2 회전조절부 582: 제2 전달부재
582a: 제2 연결홀 584: 제2 커넥터
584a: 제2 홀더부재 584b: 제2 가이드부재
585: 제2 고정홀 586: 제2 커넥터홀더
586a: 제2 홀더홀 588: 제2 커넥터가이드
588a: 제2 가이드홀
700: 높이조절부 701: 제1 링크
702: 제2 링크 703: 힌지부
704: 제1 지지축 705: 제2 지지축
706: 제1 이동축 707: 제2 이동축
710: 높이조절부재 710a: 결합홀
713: 제5 나사부 720: 제3 고정부재
730: 이동부재
780: 제3 회전조절부 782: 제3 전달부재
782a: 제3 연결홀 783: 제3 탄성부재
784: 제3 커넥터 784a: 홀더부재
784b: 제3 가이드부재 785: 제3 고정홀
786: 제3 커넥터홀더 786a: 제3 홀더홀
788: 제3 커넥터가이드 788a: 제3 가이드홀

Claims (14)

  1. 상부가 개구된 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고, 배터리가 상부에서 지지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재와 결합되며 양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부가 형성된 제1 브라켓을 구비한 실장부; 및
    상기 실장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높이에 따라 상기 실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조절부는,
    일측에 형성된 나사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부를 회전하여 상기 실장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의 일측에는 제1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절곡부의 타측에는 제1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이동홀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링크;
    상기 제1 링크와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되는 제2 링크 및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의 교차부분에 힌지부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지지축 및
    상기 제2 링크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이동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이동축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과 이격 배치되고, 양단부가 상방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제2 절곡부가 형성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의 일측에는 제2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절곡부의 타측에는 제2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이동홀은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홀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이동축 및
    상기 제1 링크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지지축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축과 연결되는 고정부재 및
    상기 나사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 이동축과 연결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높이조절부재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재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높이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사용하는 회전수단과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외측면에 연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외측면에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재가 상기 전달부재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홀 및 상기 결합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전달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홀더홀이 형성되는 홀더부재 및
    상기 홀더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홀더홀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홀은 상기 전달부재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다각형 형상이고, 상기 가이드홀은 원형 형상이며 상기 홀더홀의 단면적은 상기 가이드홀의 단면적보다 넓은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13.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고 일측은 상기 전달부재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커넥터의 내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지지핀에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14. 제1 항 및 제3 항 내지 제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트레이.
KR1020190014634A 2019-02-07 2019-02-07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102191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634A KR102191403B1 (ko) 2019-02-07 2019-02-07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PCT/KR2019/017847 WO2020162661A1 (ko) 2019-02-07 2019-12-17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634A KR102191403B1 (ko) 2019-02-07 2019-02-07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78A KR20200097178A (ko) 2020-08-18
KR102191403B1 true KR102191403B1 (ko) 2020-12-15

Family

ID=7226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634A KR102191403B1 (ko) 2019-02-07 2019-02-07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4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46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트레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120B1 (ko) * 2016-04-06 2018-03-15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배터리 운반 트레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1826B1 (ko) * 2014-06-17 2020-03-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셀 수납용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9120B1 (ko) * 2016-04-06 2018-03-15 주식회사 한일하이테크 배터리 운반 트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9046A1 (ko) * 2021-10-05 2023-04-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178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9120B1 (ko) 배터리 운반 트레이
KR102247190B1 (ko) 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US8889280B2 (en) Battery storage module and mounting seat
WO2014073544A1 (ja) ラック構造、蓄電システム、およびラック構造の組立方法
EP3783690A1 (en) Battery pack manufactur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battery pack
KR102037209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팩 조립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조립 방법
JP7221994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それを含む電力貯蔵装置
KR102191403B1 (ko) 높이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102191400B1 (ko) 폭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102225251B1 (ko) 두께조절용 카세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용 트레이
KR20130014487A (ko) 전지 조립 장치 및 전지 조립체의 제조 방법
JP2007066772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2214216B1 (ko) 배터리 운반용 랙
CN115443013A (zh) 防震扩容型服务器系统机柜
KR102351343B1 (ko) 배터리 충방전 공정용 트레이
EP4109652A1 (en) Battery pack, power consum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attery pack
KR20210119651A (ko) 배터리 랙에 배터리 팩을 적재시키는 이송 지그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랙 적재방법
KR102283961B1 (ko) 이차전지
KR102627769B1 (ko) 배터리 운반 트레이
KR102570025B1 (ko) 간격조절이 편리한 배터리셀 운반트레이
CN210703316U (zh) 用于电池的焊接工装
KR101764493B1 (ko) 전기자동차 베터리에 사용되는 롤 타입 전극판 이송 파레트
CN217749914U (zh) 激光切割的切割头固定装置及激光切割装置
WO2023226188A1 (zh) 电池托盘及电池化成分容装置
KR102547920B1 (ko) 멀티 스태커 크레인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셀 전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