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063B1 -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 Google Patents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063B1
KR102191063B1 KR1020200104908A KR20200104908A KR102191063B1 KR 102191063 B1 KR102191063 B1 KR 102191063B1 KR 1020200104908 A KR1020200104908 A KR 1020200104908A KR 20200104908 A KR20200104908 A KR 20200104908A KR 102191063 B1 KR102191063 B1 KR 102191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pe
ring
support
fastened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옥천
Original Assignee
(주)나도공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도공방 filed Critical (주)나도공방
Priority to KR102020010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10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0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5Piercing type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로서, 다양한 액세서리를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원형 고리가 형성된 고리부가 착탈 가능한 지지바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PIERCINGS ACCESSORY COUPLING STRUCTURER}
본 발명은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식물 탈착에 용이한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인과의 차별화 또는 자신의 미를 돋보이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종류의 장신구가 사용되고 있고, 그 일예로 피어싱 액세서리(piercing accessories)가 있다.
이러한 피어싱 장신구는 신체의 일부에 구멍을 뚫어 고정시키는 장신구로, 통상의 피어싱 장신구는 피어싱 샤프트가 있으며, 피어싱 샤프트의 일측에는 살을 뚫고 나온 피어싱 샤프트를 고정하며, 탈착이 가능한 볼트탭과 너 트고정캡으로 이루어지거나 장신구의 일측에 구멍이 형성된 장식을 설치하고, 이 장식에 형성된 구멍에 신체에 뚫린 구멍을 통과한 바벨(barbell)을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 있다.
선행기술들은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여 액세서리로 사용되는 피어싱 액세 서리에 있어서, 피어싱 액세서리를 이루고 있는 고정수단에 결합된 장식수단이 고정수단 상에서 유동되도록 구성한 피어싱 액세서리에 관한 기술이 통상적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클립형 배꼽 피어싱의 결합 구조는 하부에 장식물을 체결할 수 있는 하부 장식물 연결바가 일체로 되어있는 텐션잠금부와 힌지부에 삽입, 결합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부 장식물을 체결할 수 있는 상부 장식물 연결바와 나사홈이 형성된 고정부가 일체로 되어있는 U자형 힌지작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즉, 힌지작동부를 닫으면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서 장치 사이에 피부가 끼워져 있게 되는 상태로 잠금 또는 풀림 상태를 형성하여 신체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클립형 배꼽 피어싱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피어싱의 형태로는, 봉 형태의 장착구가 구비되고, 그 장착구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는 이탈방지구를 장착하기 위한 끼움공이 형성되며, 이탈방지 구성은 장착구의 몸체의 두께보다 큰 머리부가 형성된 핀 형태의 몸체를 갖는 핀을 가지며, 핀의 길이 방향으로는 그 둘레를 따라 고리 형태로 된 복수개의 돌출된 구성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통상의 피어싱 액세서리 중에는 장신구의 일측에 고정홀이 형성된 장식을 설치한 피어싱본체와, 장식에 형성된 고정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벨로 구성된 것이 있다.
이렇게 구성된 피어싱 액세서리에서 탈착 가능한 장식물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걸쇄 구조는 통상적으로 주조 방식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러나 장식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걸쇄 구조는 형틀에 장식물 고정을 위한 홈을 형상하여야 하는데 이 홈을 너무 미세하게 형성하면 원하는 형상을 만들 수 없고, 너무 넓거나 크게 형성할 경우 지나치게 많은 양의 재료가 소모됨으로 금이나 은 등과 같은 고가의 재료를 사용할 경우 많은 자재비를 투자해야하며 장식물을 쉽게 탈착시킬 수 없다.
또한, 완성된 피어싱 액세서리가 지나치게 무거운 경우 단순히 밴찌 등의 도구로 걸쇄 구조의 양단을 맞닿아 고정시키는 방법 외에는 고정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착용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1772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신체의 일부에 피어싱을 착용함에 있어서, 신체에 고정된 피어싱의 하단에 장식물이 고정되는 고리가 구비되어 있어 장식물을 보다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는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는, 다양한 액세서리를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원형 고리가 형성된 고리부가 착탈 가능한 지지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는, 꽃모양 등의 무늬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큐빅 등의 장식용구슬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식부; 상기 장식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직각으로 굽어지며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게 형성된 하단에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아; 상기 장식부와 연결되어 맞닿아 있는 상기 지지바아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있고, 다양한 액세서리를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모양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 및 구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이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지바아의 하단과 체결 가능하도록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바아는,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을 둥글게 감싸는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부; 상기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부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바아; 및 타단이 상기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부와 체결되며 일단이 상기 장식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로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부는, 상기 가로바아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벽은 상기 가로바아가 삽입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너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부는,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로 삽입하는 상기 가로바아와 맞물려 회전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바아는, 상기 중심부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의 형태와 체결 가능하도록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타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리부는,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액세서리를 통과시켜 고정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 원형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연결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체결부는,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위치되는 장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원형지지부; 상기 제1 원형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원형지지부의 중심과 맞물려 고정되며 가장자리가 둥근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톱니형상부; 상기 제1 톱니형상부의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으며 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 및 상기 제1 톱니형상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벽을 따라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연결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체결부는,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위치되는 장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원형지지부; 상기 제2 원형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원형지지부의 중심과 맞물려 고정되며 가장자리가 둥근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톱니형상부; 상기 제2 톱니형상부의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으며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기; 및 상기 제2 톱니형상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로바아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바아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볼은,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로 삽입하는 상기 지지바아와 맞물려 회전하며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를 이용하여 신체에 고정되어 있는 피어싱의 하단에 탈착 가능한 장식물을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의 구성 중 일부인 고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에 따라 형성된 피어싱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100)는 장식부(110), 지지바아(150), 고리부(130) 및 체결볼(19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부(110)는 꽃모양 등의 무늬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큐빅 등의 장식용 구슬이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지지바아(150)는 장식부(110)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원기둥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직각으로 굽어지며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길게 형성된 하단에 볼트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아(150)의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은 둥글게 감싸는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으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과 중심으로부터 장식부(110)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장식부(110)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바아(150)는 'ㄱ'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에는 구와 같이 둥근 볼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사람의 신체에 접촉함에 있어서 상해를 가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지지바아(150)는 'ㄱ'형태로 형성됨에 있어서 모두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왼쪽으로 이어지는 바아와 하단으로 이어지는 바아가 나뉘어 분리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ㄱ'의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바아(150)에 있어서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과 하단으로 길게 형성되는 부분은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나 왼쪽으로 이어지는 부분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리부(130)는 장식부(110)와 연결되어 맞닿아 있는 지지바아(150)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있을 수 있고, 다양한 액세서리를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모양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고리부(130)는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고, 기술자가 압력을 가하여 고리부(130)의 양단이 맞닿으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가 서로 맞물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일반적인 걸쇄 고리 장치의 경우 다른 연결부에 대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 기술자가 압력을 가하여 양단을 맞물리게 만들고 양단 사이의 간격을 좁혀 양단 사이로 고리 등의 장치가 통과될 수 없도록 만들어 고정시켜왔다.
그러나 본 발명이 제안하는 고리부(130)의 양단에는 기술자의 압력에 의해 고리부(130)의 양단이 맞닿으면,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부에 체결장치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압력을 가하여 양단 사이가 좁아짐에 의해 고리가 통과하지 못하는 등의 단순한 구성보다 뛰어난 체결력을 나타낼 수 있다.
체결볼(190)은 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이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아(150)의 하단과 체결 가능하도록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체결볼(190)은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로 삽입하는 지지바아(150)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회전함으로 지지바아(150)와 체결볼(190)은 체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100)는 장식부(110), 지지바아(150), 고리부(130) 및 체결볼(19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식부(110), 고리부(130) 및 체결볼(190)은 도 1을 통하여 설명하였으며, 상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도 2를 통하여서는 도 1과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는 지지바아(15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지지바아(150)는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을 둥글게 감싸는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는 중심부(156)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중심부(156)를 중심으로 하여 하단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 세로바아(157) 및 중심부(156)를 중심으로 하여 왼쪽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는 가로바아(15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바아(155)의 일단은 장식부(11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타단은 중심부(156)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로바아(155)의 타단은 중심부(156)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의 형태와 체결이 가능하도록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중심부(156)는 가로바아(155)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중심부(156)의 내부벽은 가로바아(155)가 삽입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중심부(156)는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로 삽입하는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가로바아(155)의 타단과 맞물려 회전할 수 있고, 회전함으로 중심부(156)와 가로바아(155)는 체결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ㄱ'의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바아(150)에 있어서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부(156)를 중심으로 하여 왼쪽으로 이어지는 부분인 가로바아(155)는 중심부(156)와 탈부착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ㄱ'의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바아(150)에 있어서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부(156)를 중심으로 하여 하단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바아(157)는 중심부(156)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3은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의 구성 중 일부인 고리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고리부(130)는 제1 연결부(131), 제2 연결부(139) 및 원형고리부(135)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연결부(131)와 제2 연결부(139)의 내부에는 각각 제1 체결부(1301) 및 제2 체결부(1309)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연결부(131)는 고리부(130)의 타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연결부(139)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39)는 고리부(130)의 일단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31)와 맞물려 체결될 수 있다.
원형고리부(135)는 고리 형태로 형성된 상단이 마련되어 있는 액세서리의 상단을 통과시켜 고정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부(131)의 내부에는 제2 연결부(139)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1301)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연결부(139)의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131)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1309)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체결부(1301)는 제1 지지부(1315), 제1 원형지지부(1311), 제1 톱니형상부(1317), 홈(1313) 및 제1 내부홈(131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체결부(1309)는 제2 지지부(1395), 제2 원형지지부(1391), 제2 톱니형상부(1397), 돌기(1393) 및 제2 내부홈(1399)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315)는 다수 개의 톱니를 가진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되는 다수 개의 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지지대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원형지지부(1311)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지지부(1315)의 상단에 위치하며 제1 톱니형상부(1317)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지지대(미도시)등의 장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톱니형상부(1317)는 가장자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톱니를 가진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톱니형상부(1317)는 제1 원형지지부(131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1 원형지지부(1311)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대(미도시) 등의 장치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홈(1313)은 제1 톱니형상부(1317)의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톱니형상부(1397)의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는 돌기(1393)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내부홈(1319)은 제1 톱니형상부(1317)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벽을 따라 다수 개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지지부(1395)는 다수 개의 톱니를 가진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단에 위치되는 다수 개의 장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중앙에 지지대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원형지지부(1391)는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2 지지부(1395)의 상단에 위치하며 제2 톱니형상부(1397)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중심부에 지지대(미도시)등의 장치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톱니형상부(1397)는 가장자리가 둥글게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 개의 톱니를 가진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톱니형상부(1397)는 제2 원형지지부(139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2 원형지지부(1391)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는 지지대(미도시) 등의 장치와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돌기(1393)는 제2 톱니형상부(1397)의 둥글게 형성되어 있는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톱니형상부(1317)의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는 홈(1313)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내부홈(1399)은 제2 톱니형상부(1397)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내부벽을 따라 다수 개의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제1 내부홈(1319)의 내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기는 제2 내부홈(1399)의 내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돌기와 교차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제1 내부홈(1319)과 제2 내부홈(1399)이 맞물려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내부홈(1319)의 내부벽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3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2 내부홈(1399)도 내부벽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3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홈(1399)에 형성되어 있는 3개의 돌기는 제1 내부홈(1319)에 형성되어 있는 비어 있는 간격 사이로 삽입될 수 있고, 제1 내부홈(1319)의 비어 있는 공간에 제2 내부홈(1399)의 내부벽에 형성되어 있는 돌기가 체결됨으로 고리부(130)는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에 따라 형성된 피어싱이 안착되는 안착부에 대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100)에 따라 형성된 피어싱이 안착되는 안착부(900)는 지지부(910), 고정부(930), 회전부(950), 제1 고리(970) 및 제2 고리(99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910)는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부(930)의 하단 모서리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고정부(930), 회전부(950), 제1 고리(970) 및 제2 고리(990)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철제 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지지부(910)는 원기둥 또는 사각기둥 등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이 고정부(930)의 하단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고정부(930)와 고정된 채로 분리가 불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정부(930)는 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되 측면에 회전부(950)가 마련될 정도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930)의 네 모서리에는 지지모듈(931, 933, 935, 937) 및 실린더(932, 934, 936, 938)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부(930)는 사각형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나 회전부(950)가 마련되어 있을 정도의 너비를 가지고 있어야하며, 회전부(950)의 회전을 용이하게 도울 수 있는 실린더(932, 934, 936, 938) 등의 장치를 구비할 수 있어야하고, 사용자 또는 보관자의 생활 공간에 보관이 용이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어야 한다.
회전부(950)는 제1 고리(970) 및 제2 고리(990)가 고정될 수 있는 고리고정모듈(954)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또는 보관자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950)의 내부에는 양단에 회전모듈(951, 959)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양단에 위치되어 있는 회전모듈(951, 959)을 연결시키며 감싸는 형태로 컨베이어 벨트(955)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회전부(95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고정모듈(954, 956)은 컨베이어 벨트(955)에 마련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955)의 내부에 레일이 별도로 설치되는 경우 레일에 마련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제1 고리(970)는 'S'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하단의 둥글게 형성된 고리에 피어싱이나 장식물 등의 걸쳐질 수 있는 액세서리를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다.
제2 고리(990)는 상단은 회전부(950)의 고리고정모듈(9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둥글고 얇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하단은 내부가 비어 있으며 아랫 방향이 둥근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비어 있는 내부로 피어싱이나 장식물 등의 걸쳐질 수 있는 액세서리를 고정시켜 보관할 수 있다.
제1 고리(970) 및 제2 고리(990)는 회전부(950)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련되어 있는 고리고정모듈(954)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 또는 보관자의 선택에 의하여 고리고정모듈(954)에서 다른 고리고정모듈(956)으로 이동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9에 형상화된 제1 고리(970)와 제2 고리(990), 고리고정모듈(954, 956)과 다른 고리고정모듈(954, 956)은 본 발명이 제안하는 안착부(900)의 구성을 이해하기 쉽게 구현한 도면으로서 제1 고리(970)와 제2 고리(990)는 고리고정모듈(954, 956)과 다른 고리고정모듈(954, 956) 외에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홈에 고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전부(950)의 회전모듈(951, 959)이 회전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955)가 회전모듈(951, 959)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회전부(950)는 회전할 수 있다.
회전모듈(951, 959)은 원형의 핸들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부(95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회전부(950)는 고리고정모듈(954, 956)에 고정되어 있는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제거되어 있는 경우에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회전부(95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고정모듈(954, 956)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회전모듈(951, 959)이 회전하지 않아 회전부(950)를 회전시킬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모듈(951, 959)은 회전모듈(951, 959)을 감싸고 있는 컨베이어 벨트(955)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데 기존 설치되어 있는 컨베이어 벨트(955)의 무게보다 많이 나가는 경우 고리고정모듈(954, 956)에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정지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회전모듈(951, 959)은 컨베이어 벨트(955)의 하단에 고정되는 하중을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이를 통하여 고리고정모듈(954, 956)에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 컨베이어 벨트(955)의 하중이 감지되므로 회전모듈(951, 959)은 회전이 불가능하도록 정지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회전모듈(951, 959)은 사용자의 의도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으나,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회전부(950)의 고리고정모듈(954, 956)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회전부(950)는 회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모듈(951, 959)은 내부에 무게 감지 센서 등의 회전부(950)의 무게 또는 하중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회전모듈(951, 959)은 회전부(950)에 구비되어 있는 장치 외의 무게가 감지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정지되어 있을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 등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회전부(950)의 컨베이어 벨트(955)는 회전모듈(951, 959)을 감싸고 있어 회전모듈(951, 959)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실린더(932, 934, 936, 938)는 회전부(95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을 수 있고, 회전부(95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부(95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고리고정모듈(954, 956)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축할 수 있고, 다수 개의 고리고정모듈(954, 956)이 통과하면 이완하여 회전부(950)와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실린더(932, 934, 936, 938)는 회전부(950)가 회전모듈(951, 959)에 의해 회전하는 경우에 한정하여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회전모듈(951, 959)은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회전부(950)의 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만 회전 구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데, 실린더(932, 934, 936, 938)는 회전모듈(951, 959)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955)가 회전하는 경우에만 수축 또는 이완하여 회전부(950)에 형성되어 있는 고리고정모듈(954, 956)을 통과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실린더(932, 934, 936, 938)는 회전모듈(951, 959)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955)에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감지되어 회전 구동이 가능한 경우에만 수축 또는 이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회전부(950)에 제1 고리(970) 또는 제2 고리(990)가 고정되어 있을 때 압력을 가하여 회전하고자 하여도 실린더(932, 934, 936, 938)가 수축하지 않아 고리고정모듈(954, 956)이 통과할 수 없어 회전부(950)를 회전시킬 수 없다.
지지모듈(931, 933, 935, 937)은 실린더(932, 934, 936, 938)가 수축 또는 이완할 때에 실린더(932, 934, 936, 938)가 좌우로 흔들리지 않을 수 있도록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실린더(932, 934, 936, 938)의 일단이 지지모듈(931, 933, 935, 937)과 맞닿으면 실린더(932, 934, 936, 938)는 수축이 정지될 수 있다.
한편, 실린더(932, 934, 936, 938)의 일단이 지지모듈(931, 933, 935, 937)과 맞닿아 더 이상 수축하지 못하는 경우, 실린더(932, 934, 936, 938)는 강제로 이완하여 회전부(950)와 밀착될 수 있다.
지지모듈(931, 933, 935, 937)은 실린더(932, 934, 936, 938)의 타단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이 공간에 실린더(932, 934, 936, 938)를 삽입하여 고정시킴으로 실린더(932, 934, 936, 938)의 흔들림을 방지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110: 장식부
130: 고리부
150: 지지바아
190: 체결볼
900: 안착부

Claims (2)

  1. 다양한 액세서리를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는 원형 고리가 형성된 고리부가 착탈 가능한 지지바아를 포함하고,
    꽃모양 등의 무늬를 형상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큐빅 등의 장식용구슬이 부착되어 고정되도록 둥근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는 장식부;
    상기 장식부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직각으로 굽어지며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길게 형성된 하단에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지지바아;
    상기 장식부와 연결되어 맞닿아 있는 상기 지지바아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있고, 다양한 액세서리를 하단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형 모양의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고리부; 및
    구의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이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기 지지바아의 하단과 체결 가능하도록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볼;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아는,
    직각으로 굽혀지는 부분을 둥글게 감싸는 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중심부;
    상기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부로부터 하단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세로바아; 및
    타단이 상기 직각으로 굽혀지는 중심부와 체결되며 일단이 상기 장식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로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부는,
    상기 가로바아의 타단이 삽입 가능하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벽은 상기 가로바아가 삽입하여 체결 가능하도록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는,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로 삽입하는 상기 가로바아와 맞물려 회전하며 체결되고,
    상기 가로바아는,
    상기 중심부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너비로 형성되고, 상기 중심부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의 형태와 체결 가능하도록 볼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타단을 구비하고,
    상기 고리부는,
    타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 가능하도록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액세서리를 통과시켜 고정 가능하도록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된 원형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제2 연결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위치되는 장치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1 원형지지부;
    상기 제1 원형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원형지지부의 중심과 맞물려 고정되며 가장자리가 둥근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 톱니형상부;
    상기 제1 톱니형상부의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으며 돌기가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홈; 및
    상기 제1 톱니형상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되 내부벽을 따라 다수 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내부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결부는,
    내부에 상기 제1 연결부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위치되는 장치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는 제2 원형지지부;
    상기 제2 원형지지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원형지지부의 중심과 맞물려 고정되며 가장자리가 둥근 톱니 바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 톱니형상부;
    상기 제2 톱니형상부의 가장자리마다 마련되어 있으며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돌기; 및
    상기 제2 톱니형상부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제2 내부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가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로바아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어 상기 가로바아를 감싸는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볼은,
    너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내부로 삽입하는 상기 지지바아와 맞물려 회전하며 체결되는,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2. 삭제
KR1020200104908A 2020-08-20 2020-08-20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KR1021910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08A KR102191063B1 (ko) 2020-08-20 2020-08-20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908A KR102191063B1 (ko) 2020-08-20 2020-08-20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1063B1 true KR102191063B1 (ko) 2020-12-14

Family

ID=73780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908A KR102191063B1 (ko) 2020-08-20 2020-08-20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10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871Y1 (ko) * 2006-05-22 2006-08-02 박병권 클립형 배꼽 피어싱
KR101811772B1 (ko) 2017-06-15 2017-12-22 (주)골드팡 피어싱 결합구조를 갖는 장신용 구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871Y1 (ko) * 2006-05-22 2006-08-02 박병권 클립형 배꼽 피어싱
KR101811772B1 (ko) 2017-06-15 2017-12-22 (주)골드팡 피어싱 결합구조를 갖는 장신용 구슬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29837S1 (en) Tiered jewelry stone setting
US4121720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jewelry
US6820442B2 (en) Personal ornament
US20070261330A1 (en) Decorative curtain hanger
USD898491S1 (en) Hanging jewelry and cosmetics organizer
KR102191063B1 (ko) 피어싱 액세서리 결합 구조체
US9578933B2 (en) Closure system for articles
WO2014048212A1 (zh) 一种首饰空托、钻石吊坠及其组装方法
USD493745S1 (en) Pear-shaped faceted gemstone crown
US6471077B1 (en) Neckform for displaying jewelry
USD536906S1 (en) Display rack
US5369854A (en) Necklace clasp
US5289700A (en) Slidably adjustable earring post
US20040237587A1 (en) Interchangeable precious stone mounting arrangement
USD429898S (en) Garment hanger for shipping and display
KR101910869B1 (ko) 가방 끈 길이 조절장치
JP6347500B1 (ja) 揺れる装身具
JP3124952U (ja) 装身具
US20140250671A1 (en) Attachment and hanging accessories for handbags to hang on flat surfaces
US947646A (en) Display-stand.
KR200395111Y1 (ko) 낚시대 받침구
KR950006709Y1 (ko) 장신구의 보석 체결장치
US20240065393A1 (en) Jewelry product
KR101842939B1 (ko) 착용성 및 체결력이 우수한 팔찌용 힌지부의 체결구조
JPH0641522U (ja) ネックレス用止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