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417B1 -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417B1
KR102190417B1 KR1020190030039A KR20190030039A KR102190417B1 KR 102190417 B1 KR102190417 B1 KR 102190417B1 KR 1020190030039 A KR1020190030039 A KR 1020190030039A KR 20190030039 A KR20190030039 A KR 20190030039A KR 102190417 B1 KR102190417 B1 KR 102190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an
bridge
cover
coupled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0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821A (ko
Inventor
싱 쉬벤드라
디만 압둘
문영철
김슬기
배지훈
박지만
아난드 아난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9/0038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0359A1/ko
Priority to EP19819104.1A priority patent/EP3751144B1/en
Priority to US16/977,386 priority patent/US11873827B2/en
Priority to ES19819104T priority patent/ES2927331T3/es
Publication of KR2019014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8Ceil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1Testing thereof; Determination or simul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Stall or surge detection, e.g. condition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8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13Cooling the control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4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2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8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 F04D29/68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84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by influencing boundary lay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fluid inj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중심축에 위치되며, 모터어셈블리 및 전장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다단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Ceiling fa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동 발생장치는 팬을 구동하여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고, 발생된 공기 유동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동 발생장치는 보통 선풍기라 이름한다.
상기 유동 발생장치는 유동 발생 방식, 기능, 설치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유동 발생장치 중 벽면 또는 천장에 설치되어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천장 팬(Ceiling fan)이라 한다.
상기 천장 팬은 에어컨이나 일반적인 선풍기 보다 전력소모가 적어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이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정, 상점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 팬은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연결된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상기 천장 팬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은 실내 온도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천장 팬은 지면에 기립 배치되어 국부적인 공간으로 공기 유동을 집중시키는 일반적인 유동 발생장치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장 팬은 사용자보다 높은 위치인 천장에서 상대적으로 큰 용적으로 공기의 유동을 강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은 실내 전체의 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의 온도 분포를 고르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천장 팬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천장 팬은 회전하는 블레이드부와 각 구성이 일체로 결합되는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천장 팬을 바라볼 때, 상기 천장 팬의 하부 구성들이 블레이드부와 함께 회전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 천장 팬에서는 상기 하부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째, 종래 천장 팬에서는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하는 구성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공받아 진동과 소음이 큰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 천장 팬에서는, 모터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이 모터어셈블리 내에 설치되는 문제가 있다. 즉,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칩을 구비하기 위하여, 별도로 인쇄회로기판(PCB)의 설치 공간을 모터어셈블리 내부에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상기 인쇄회로기판(PCB)과 모터를 연결시키는 각종 와이어와 회전을 수행하는 모터가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해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넷째, 종래 천장 팬에 다수의 전장 부품을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전자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정전기 방전대책(Electrostatic Discharge, ESD) 등에 대한 규격을 만족시키기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가 있다.
다섯째, 종래 천장 팬은 해충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없는 문제가 있다.
여섯째, 종래 천장 팬은 실내 공간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는 다른 공기조화 제품들과 연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공개번호 (공개일자): 미국 특허출원공개공보 US 2017/0218962 A1 (2017년 08월 03일)
본 발명은 실내 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의 부분적인 공간에서 발생되는 기류 정체를 해소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아우터로터(outer rotor) 타입의 모터가 구비되는 천장 팬에 있어서 내부 구성을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장 부품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적 또는 위치적 제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장 부품에 의한 하중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에 의한 부품 간의 마찰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소음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레이드의 회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장부가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 방전대책(Electrostatic Discharge, ESD) 및 전자 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에 대한 국제적인 규격을 용이하게 만족시킬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천장을 바라보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인성과 가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전장 부품을 콤팩트(compact)하게 구비하면서도 방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구비하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해충을 퇴치할 수 있는 천장 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여 운전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통합적이고 종합적인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방 또는 난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난방 가전과 연동하여 운전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중심축에 위치되며, 모터어셈블리 및 전장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는 다층(multi-floor) 또는 다단(multi-stage)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장부는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전장부는 상기 모터어셈블리 하방에 위치하는 고층 전장부 및 상기 고층 전장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저층 전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고층 전장부 및 상기 저층 전장부를 고정시키는 브릿지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로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터는,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측에서 결합되도록 가이드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블레이드 내측으로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상기 샤프트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어퍼커버 및 로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상기 로우커버의 하단부와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 서포터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상기 브릿지서포터에 결합되는 브릿지케이스,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상측에 안착되는 컨트롤 어셈블리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하단부와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로우 컨트롤케이스 및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의 상측에 씌워지는 어퍼 컨트롤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정적 구성인 고정부 및 동적 구성인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회전자(rotor)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으로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비회전 위치에 설치되는 전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샤프트에 하측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상기 전장부의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브릿지서포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터플레이트 및 상기 서포터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플레이트는, 중심부에 상기 샤프트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샤프트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상기 브릿지서포터와 결합하는 브릿지케이스, 상기 브릿지케이스와 상기 브릿지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컨트롤어셈블리 및 상기 서포터메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가 안착되도록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안착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으로부터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샤프트와 결합되는 브릿지서포터, 상기 브릿지서포터의 하측에 결합되는 브릿지케이스, 상기 브릿지케이스와 상기 브릿지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컨트롤어셈블리,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 설치되며,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가이드하도록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다수 개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라이트가이드는, 각각 크기가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가이드는, 상방을 향하여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상단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장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빛이 투광되는 커버인 에스커션이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커션은,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천장 팬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양은, 블레이드의 회전 방향, 전원 상태, 통신 연결 상태, 절전 운전 동작 상태, 안티버그 모듈의 동작 상태 및 타이머 동작 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탄성 변형되는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에 인입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의 일 측을 고정하는 통신모듈 가이드 및 상기 통신 모듈의 타 측을 고정하는 통신모듈 걸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는, 상기 통신 모듈이 안착되도록 상단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안착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어셈블리는, 상기 브릿지케이스에 안착되는 로우 컨트롤케이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에 씌워지는 어퍼 컨트롤케이스 및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와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피시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피시비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 수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 및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커패시터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는, 상기 커패시터의 방열을 위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방열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너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브릿지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 상기 메인피시비 및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를 관통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브릿지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높이가 상이한 제 1 이너 브릿지 및 제 2 이너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상기 모터어셈블리, 상기 브릿지서포터, 상기 컨트롤어셈블리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 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매인블레이드의 내측 함몰 공간에 배치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천장에 결합되는 샤프트,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은,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이 구비되는 컨트롤어셈블리, 상기 컨트롤어셈블리의 하측에 위치하는 브릿지케이스, 상기 브릿지케이스를 상기 컨트롤어셈블리의 상측에서 지지하는 브릿지서포터,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하측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커버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해충을 퇴치시키기 위한 안티버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버그 모듈은, 초음파 발진회로가 구비되는 안티버그 피시비 및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와 연결되어 초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주파수의 범위를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는 상기 브릿지케이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내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고정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가이드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의 모서리를 고정하기 위해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를 고정시키는 스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는, 억지 끼움 방식으로 상기 스냅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를 실내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홀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출력홀에 대응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상기 스피커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스피커결합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홀은. 상기 스피커결합부의 내측으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피커결합부는, 상기 스피커가 삽입되는 끼움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다수의 브릿지가 삽입되는 다수의 브릿지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상기 다수의 브릿지홀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하는 이너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브릿지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를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사용자에게 설치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사인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티버그 모듈에는 냉각을 수행하는 히트싱크가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전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장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은, 온도, 습도,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모듈로부터 감지되는 정보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기를 관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비교하여 사각지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상기 사각지대에 근접한 제품의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사각지대가 해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일부 제품이 전원 오프(off)상태라면, 전원 온(on) 상태인 나머지 제품과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장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 설치되며,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상호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 제어방법으로는, 천장에 결합되는 샤프트,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에 있어서,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통신연결이 수행되어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제어하는 스마트 순환모드로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을 추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는, 냉방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냉방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상기 천장 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방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모드에 따라 판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방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상기 천장 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냉방운전으로 판단된 경우, 블레이드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을 수행하며, 난방운전으로 판단된 경우, 블레이드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 설정 정보와 감지된 정보의 차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를 기초로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수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실내 온도와 사용자 설정 온도의 차이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보완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제어 시퀀스를 동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히터, 선풍기, 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중(dual)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에 의하여 종래 보다 향상된 풍량 및 유속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의 쾌적감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류의 도달 범위가 증대되므로 실내의 부분적 공간에서 기류가 정체되는 현상을 최소화 또는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실내 공기의 순환 효과를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 팬의 하측 구성에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부품(모듈)을 안정적 고정 및 유지할 수 잇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하중 제한 값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구성을 모터의 아래에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잇다.
또한, 브릿지서포터에 의하여 다수의 전장 부품(모듈)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확장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부의 구성 요소가 최소화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동력을 제공받아도 종래와 동등 또는 종래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부와 고정부는 구조적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제품의 안전 및 회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의 회전 동작에도 불구하고 전장부가 결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고정부 및 회전부는 일체감을 이루도록 형성된 커버에 의하여, 외관이 유려해지고 천장 팬의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천장 팬의 동작 상태를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디스플레이가 블레이드의 회전에 상관없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시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호 결합되는 회전부의 구성 사이에 마찰 방지 공간(gap)을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회전에 따른 부품 간의 마찰이 최소화되어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즉, 제품의 정숙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모듈을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회전 시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드라이버 칩, Driver IC)이 모터어셈블리가 아닌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부에 함께 구비됨으로써, 전자기적 작용으로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어셈블리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불필요한 전자기적 간섭을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전자(rotor)와 고정자(stator)로 구성된 모터어셈블리에 제어 수단을 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모터어셈블리의 구조가 상대적으로 단순해지는 장점이 있다. 결국, 안정적인 회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구성을 제어하는 전장 부품이 전장부에 집중되어 배치되므로 구조적으로 용이하게 정전기 방전대책(ESD) 및 전자 장해(EMI)에 대한 국제적인 규격을 부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빛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되므로, 시각적 정보에 대한 시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품의 기능에 대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발광 시나리오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 팬으로부터 제공되는 시각 정보를 통하여 사용자가 멀리서도 직관적으로 천장 팬의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티버그 모듈에 의하여 해충을 퇴치할 수 있으므로, 각종 해충에 의한 제품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국, 제품의 위생성 및 관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의 전장 부품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른 공기조화 장치와 천장 팬이 연동하여 운전되므로 실내 공기조화를 종합적이고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효과적인 실내 공기순환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 냉방 또는 난방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장 팬과 다른 공조 장치가 연동되어 실내 공간의 설정온도를 공통적으로 추종하기 때문에, 각각의 제품이 설치된 위치에서 실내 환경을 감지하고 피드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호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각각의 위치에서 설정온도와 같이 사용자가 요구하는 공조환경 값을 만족시키도록 동작하기 때문에, 단독적으로 작동되는 경우보다 실내 공간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으며,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온도 분포 및 공기 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내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보다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천장 팬과 실내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제품별로 조작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브릿지서포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를 위에서 바라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브릿지서포터 및 전장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에 수용되는 구성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일부 구성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 및 브릿지케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에 디스플레이 모듈 및 통신 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을 아래에서 바라본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발광 부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1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1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냉방 또는 난방모드에 따른 회전 방향 및 기류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실내 공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13,15,30,90) 및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기 위해 회전할 수 있는 다수의 블레이드(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00,200)는, 메인블레이드(100)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서브블레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상기 커버(13,15,30,90)의 중심축과 동일하다. 또한, 샤프트(10,20)는 상기 커버(13,15,30,90)의 중심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천장 팬(1)의 중심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회전 중심축은 “중심축”이라 이름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은 상기 중심축을 향하는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외측면은 상기 내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으로서, 반경 방향을 향하는 측면으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중심축으로부터 수직한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은, 부압면(negative pressure surface)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하면은 정압면(positive pressure surface)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의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을 정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회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하는 전면에 리딩엣지가 형성되며, 후방을 향하는 후면에 트레일링엣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인블레이드(100)는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는 각각의 내측 단부가 접촉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의 중심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커버(13,15,30,9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하는 블레이드홀(103)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홀(103)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을 반경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내측 및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반원 형상의 블레이드홀(103)이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홀(103)에는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어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도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회전에 의하여, 천장 팬(1)의 중심부 영역의 공기는 블레이드홀(103)을 통해 유동이 강제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이중(dual)의 블레이드(100,200)가 회전함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으로부터 제공되는 풍량과 유속이 상대적으로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내 공간에서 공기 유속이 매우 느려 공기 순환이 어려워지는 지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하는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3) 및 로우커버(15)는 상기 샤프트(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어퍼커버(13)는 상단부가 천장 또는 벽면에 접촉되며, 하단부는 상기 로우커버(15)의 상단부와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어퍼커버(13)는 깔때기(funne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어퍼커버(13)의 하측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어퍼커버(1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상단부에서 상기 샤프트(10)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커버(15)는 하방을 향할수록 내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로우커버(15)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우커버(15)는 후술할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커버(15)는 상기 하우징커버(30)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0)는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샤프트(10)는 실내 천장의 콘크리트 벽면에 구비된 소정의 결합장치와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0)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성은 단단히 고정되고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샤프트(10)의 하단에 결합되는 모터샤프트(20) 및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외측에서 커버하는 하우징커버(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20) 및 상기 샤프트(10)는 일체로 결합되어 천장 팬(1)의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실내 천장에 결합된 상기 샤프트(10)와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모터샤프트(20)에 결합되는 다수의 구성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 축선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0) 및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샤프트(10,20)로 통칭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다수의 부품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모터어셈블리(40), 브릿지서포터(50),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80) 및 디스플레이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측에서 중심 축선 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고, 후술할 디스플레이커버(90)가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외부를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 하부가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은 하방을 향할수록 외측으로 확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되는 블레이드커넥터(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연결 또는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메인블레이드(100)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3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블레이드커넥터(35)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3개의 메인블레이드(100)가 형성하는 사이 각도와 동일한 사이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호 연결되는 두 메인블레이드(100)의 결합 지점에 위치되어, 각각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단부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로우커버(15)와 하우징커버(30)는, 외관의 일체감 및 통일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커버삽입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단부로부터 위를 향할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삽입부(31)는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상단부가 형성하는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기 때문에, 상기 로우커버(15)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블레이드(100,200)와 결합되는 하우징커버(30)는, 실내 천장과 고정된 로우커버(15)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의한 상호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깔끔하고 심플(simple)한 천장 팬(1)의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버삽입부(31)는 상기 모터샤프트(20)가 관통하여 위치하는 샤프트연결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연결부(33)는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중심부가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연결부(33)의 중심은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삽입부(31)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중심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중심 축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40), 상기 모터샤프트(20)에 결합되어 하방으로 정적(static)인 설치 공간을 확장시키는 브릿지서포터(50), 상기 브릿지서포터(50)의 하방에 위치하는 컨트롤어셈블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0) 및 브릿지서포터(5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40) 및 상기 브릿지서포터(50)는, 상기 모터샤프트(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0)는, 아우터로터(outer rotor) 타입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스테이터(stator)는 상기 모터샤프트(20)와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모터의 로터(rotor)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으로 위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서포터(50)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단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케이스 및 메인피시비(PC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으며, 천장 팬(1)의 제어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의 하방에 위치하는 브릿지케이스(70)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방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커버(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브릿지서포터(50) 및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를 하측에서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상기 브릿지서포터(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전장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천장 팬(1)의 최하단 중심부에 위치하여 천장 팬(1)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지면에 위치하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함께 회전하는 것이 아닌, 비 회전 위치로 규정될 수 있는 정적(static) 위치에서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다수의 전장 부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천장 팬(1)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안티버그 모듈(80), 조명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모듈(85),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8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티버그 모듈(80), 디스플레이 모듈(85) 및 통신 모듈(88)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은 빛을 제공할 수 있는 조명(LED) 및 상기 조명을 제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피시비(PC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 모듈(88)은 와이파이(WI-F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양한 공기조화 제품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하여,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른 공기조화 제품과 동기화될 수 있으며, 상호 연동되어 다양한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는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동일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양측 단부에서 서로 결합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상호 결합되어 일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일체로 결합된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의 중심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103,105)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홀(103,105)은, 오뚜기(roly-poly) 형상으로 개방된 홀(hol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103,105)은 데코커버(190)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가 위치되는 센터홀(105)과, 서브블레이드(200)가 위치되는 블레이드홀(103)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메인블레이드(100a,100b,100c)는, 각각 인접한 메인블레이드와 중심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며, 반경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의 각도는 120°일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서브블레이드(200)와 결합하기 위한 메인결합홀(115)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에는 체결 부재가 결합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상면(부압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결합홀(115)은 상기 블레이드홀(103)에 인접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 모서리를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1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데코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내측면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코커버(19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데코커버(19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에 삽입되는 제 1 데코커버(190a), 제 2 메인블레이드(100b)에 삽입되는 제 2 데코커버(190b) 및 제 3 메인블레이드(100c)에 삽입되는 제 3 데코커버(19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데코커버(19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종속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블레이드홀(103)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경사 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연장 면을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다른 받음각(angle of attack)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의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메인블레이드(100) 및 데코커버(190)와 결합하기 위한 서브결합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가 메인블레이드(1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결합홀(230)에 삽입되는 체결 부재는, 상기 데코체결홀(193) 및 메인결합홀(115)을 함께 관통하여 체결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일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결합홀(115)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서브결합홀(230)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시 상기 메인결합홀(115) 및 데코체결홀(193)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다수의 메인블레이드(100)간의 결합을 가이드 하는 서브커넥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서브블레이드(200)의 타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두 메인블레이드(100)가 서로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제 1 메인블레이드(100a)와 제 2 메인블레이드(100b)가 결합되는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커넥터(250)는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에 형성된 다수의 홀에(36,37) 대응되도록 홀(255,25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우징커버(30) 및 서브블레이드(200)가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와 결합된 때, 상기 서브커넥터(250) 및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서로의 홀이 연결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블레이드(100)에는, 상기 하우징커버(30), 서브블레이드(200) 및 메인블레이드(100)가 결합된 때, 상기 서브커넥터(250)의 홀에 연결되도록 정렬되는 전방커넥터홀(146) 및 후방커넥터홀(156)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브커넥터(250)가 서로 결합되는 두 개의 메인블레이드(100)에 안착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체결부재는, 상기 서브커넥터(250)의 홀(255,256)을 관통하여, 전방커넥터홀(146) 또는 후방커넥터홀(156)을 관통하고,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커넥터(35)의 홀(35,36)로 삽입되면서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70), 디스플레이커버(90) 및 다수의 모듈(80,82,88)을 전장부라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장부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천장 팬(1)의 구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전장부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장부는 실내 천장으로부터 전달되는 결합력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천장 팬(1)은 어퍼커버(13), 로우커버(15), 하우징커버(30), 디스플레이커버(9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므로 외관이 심플(simple)하고 통일적이므로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및 브릿지서포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모터어셈블리(40)는 상기 모터샤프트(20)에 연결되는 스테이터(stator, 41), 상기 모터샤프트(20)와 하우징커버(30)를 지지하는 베어링(43), 상기 베어링(43)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45) 및 하우징커버(30)와 결합되는 로터(rotor, 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터(41)는, 외측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되는 코어 및 상기 모터샤프트(20)와 결합되도록 중심부에 형성되는 모터샤프트 결합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에는 코일(미도시)이 권선될 수 있다.
상기 모터샤프트 결합홀에는 상기 모터샤프트(2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테이터(41)는 상기 모터샤프트(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로터(47)는 스테이터(4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47)는 동심원이 형성되는 링(ring)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터(47)는 상기 스테이터(41)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의 내주면에 장착되는 요크편과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47)는 하우징커버(3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주면은 상기 로터(47)의 회전 반경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터(47)는 상기 하우징커버(30)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결합부(48)는 상기 로터(47)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결합부(48)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 개의 커버결합부(48)는 상기 로터(47)의 외곽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결합부(48)는 상기 하우징커버(30)가 상측에서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결합부(48)는 돌출 형성된 상단부가 상기 커버삽입부(31)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커버결합부(48)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프레임이 연장되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봉은 상기 각각의 돌출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삽입봉은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는 원기둥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커버(30)의 커버삽입부(31)는 내면에 상기 삽입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삽입봉과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하우징커버(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커버삽입부(31)와 상기 로터(47)의 커버결합부(48)가 결합됨으로써,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모터어셈블리(40)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장점 있다.
상기 로터(47)는 상기 스테이터(41)와 상호 전자기적 작용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터(47)에 결합된 하우징커버(30)는 상기 로터(47)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로터(47)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동력은, 상기 하우징커버(30)를 통해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스테이터(41)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모터샤프트(20)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40)의 회전 중심축으로 이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실내 천장으로부터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정적(static)이다.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하우징커버(30) 및 상기 하우징커버(30)에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00,2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3)은 외측으로 상기 하우징커버(30)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커버삽입부(31)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샤프트연결부(33)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43)은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회전에 따른 모터샤프트(20)와 마찰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어링(43)은 볼(ball)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43)은 상부 베이링(43a) 및 하부 베어링(43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5)은 상기 상부베어링(43a)과 하부 베어링(43b)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45)의 중심부에는 상기 모터샤프트(20)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45)은 상기 상부 베어링(43a) 및 하부 베어링(43b)의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 천장으로부터 연결되어 지지되는 상기 모터어셈블리(40)의 하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릿지서포터(50)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서포터(50)는 서포터플레이트(51) 및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브릿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는 상기 모터샤프트(20)를 중심으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는 상기 로터(47)의 외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는 원판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는 상기 모터샤프트(2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샤프트삽입부(53) 및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의 강성을 유지시키는 다수의 보강리브(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삽입부(53)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삽입부(54)는 중심에 상기 모터샤프트(20)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터샤프트(20)는 상기 샤프트삽입부(53)가 형성하는 홀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52)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보강리브(52)는 상기 샤프트삽입부(53)로부터 반경 방향 및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5)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55)는 하방을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55)의 외주면에는 상기 브릿지(55)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다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5)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브릿지(55)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의 외측 단부에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브릿지(55)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저면에 수직하도록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브릿지(55)는 내부 방향으로 컨트롤어셈블리(60)가 위치되는 수용공간(57)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5)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방으로 고정되는 정적(static)인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릿지(55)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방으로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설치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은 천장 팬(1)의 회전과는 독립적으로, 회전 없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 구비되는 브릿지홀(71)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홀(71)로 삽입된 브릿지(55)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브릿지서포터(55)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단단히 고정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정적(static) 구성인 고정부 및 동적(dynamic) 구성인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비회전부로도 이름할 수 있다.
도 4에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를 구분하는 점선(F1-F1’)을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는, 실내 천장에 결합되는 샤프트(10), 어퍼커버(13), 로우커버(15), 모터샤프트(20), 스테이터(41), 브릿지서포터(50),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70), 다수의 모듈(80,85,88) 및 디스플레이커버(9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하우징커버(30),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에 의하면, 종래 천장 팬 보다 회전하는 구성(회전부)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상기 천장 팬(1)이 종래 천장 팬과 동등한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경우 토출되는 풍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등한 풍량을 제공하는 경우 회전 동력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서 소비전력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는, 사용자의 시각적 범위에 들어오는 외관적 구성은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하우징커버(30)는 상단부 직경이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하단부 직경이 상기 데코커버(190)의 센터홀(105)을 규정하는 중심부 직경 또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 직경과 동일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 및 상기 회전부는, 외관에서 주는 일체감에도 불구하고 상호 간의 마찰을 회피하기 위한 이격 공간(gap,107)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우커버(15)의 하단부 및 내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커버(30)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하단부는 외측 방향으로 이격 공간(107)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데코커버(190) 및 하우징커버(30)의 하단부와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을 수행하는 회전부 및 정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는 고정부 사이에 연결 부분이 최소화되어 마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를 구성하는 구성 간에도 이격 공간(gap)이 형성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데코커버(190)와 소정의 이격 공간(gap)이 형성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데코커버(190)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는 데코홈에 상기 이격 공간(gap)이 형성되도록 상기 데코커버(190)가 닿지 않는 다수의 더미홀 또는 더미홈을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 방식으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는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블레이드커넥터(35)와 이격 공간(gap)이 형성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회전하는 회전부 내에서 구성 간의 결합 상태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 소음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위한 힘은 상기 로터(47)의 회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위한 힘은, 상기 로터(47)와 결합된 상기 하우징커버(30), 상기 하우징커버(30)에 결합된 상기 메인블레이드(100)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100)에 결합된 상기 서브블레이드(200)로 전달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된 샤프트(1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샤프트(10)는 하측에 결합된 모터샤프트(20)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에 결합된 브릿지서포터(50) 및 상기 브릿지서포터(50)에 결합되는 전장부(60,70,80,85,88,9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를 상측에서 바라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어셈블리, 브릿지서포터 및 전장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하로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천장 팬(1)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들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에는,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전장 부품의 발열을 해소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에는 전선이 통과할 수 있는 하네스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 잡음에 의해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전장 부품의 신호 수신이 장애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는 하측으로 개방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측으로 개방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가 상측에서 씌워질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고정홈(62) 및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걸림돌기(61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2)은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의 상면에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홈(62)은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홈(62)에는 하방으로 타공 형성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2)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너 브릿지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홈(62)에 형성된 홀에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이너 브릿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홈(62)으로 별도의 체결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61a)는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의 상측 단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돌기(61a)는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의 측면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61a)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걸림돌기(61a)는 내측으로 홈이 형성되도록 ‘ㄱ’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61a)에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상측 단부가 끼워질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에 내측면으로 맞닿도록 씌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상측 단부는 상기 걸림돌기(61a)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하면이 개방되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브릿지(55)가 삽입되는 브릿지홀(71),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가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리브(72), 다수의 전장 부품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하네스홀(73)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삽입홈(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홀(71)은 상기 브릿지서포터(55)에 구비되는 브릿지(55)가 삽입되도록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릿지홀(71)은 다수의 브릿지(55)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브릿지홀(71)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측 단부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홀(71)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타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릿지(55)가 다수의 브릿지홀(71)에 각각 대응되도록 삽입되며, 각각의 브릿지(55)와 브릿지홀(71)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체결 부재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기 브릿지서포터(5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72)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72)에 의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의 저면이 안착되는 위치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72)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안착리브(72)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4) 측면이 끼워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네스홀(73)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 및 측면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네스홀(73)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커서(90)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전장 부품은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 등에 위치하는 다른 전장 부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측면 하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74)에는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74)은 디스플레이커버(90)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74)에 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측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하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커버연장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외둘레를 따라, 즉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체결가이드(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상단부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상단부 일 부분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체결가이드(92)는 절곡 연장되는 ‘ㄴ’ 형상으로 상방으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삽입홈(74)에 장착되므로, 상기 삽입홈(74)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삽입홈(74)의 형성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삽입홈(74)에 삽입 장착되도록 삽입홈(74)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에는 타공 형성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홀은 상기 삽입홈(74)에 형성되는 체결홀에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가이드(92) 및 삽입홈(74)에 형성된 체결홀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브릿지케이스(70)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장부(60,70,80,85,88,90)는 다단으로 층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전장부는, 2단의 전장부로 구비될 수 있다. 저층의 전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 및 브릿지케이스(70)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층의 전장부는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결합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술한 전자장해(EMI) 등 설치된 전장 부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쉽게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단의 전장부에 의하면,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어느 일 구성의 위치와 상대적으로 가까운 전장부에 제어 구성을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전선 연결이 짧아지고 쉬워지므로 전선이 공간을 차지하는 비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깔끔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하네스홀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선 연결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0)의 하방에 위치하는 브릿지서포터(50)는, 컨트롤어셈블리(60)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57)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다단의 전장부가 형성되도록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가 설치될 수 있는 설치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며, 정적(static) 구성 공간, 즉, 비회전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브릿지서포터(50)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주고 이어주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천장 팬은 회전하는 블레이드와, 상부 및 하부 구성이 일체로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라보는 시야(“시각적 범위”)내에 해당하는 하부 구성들은 블레이드와 함께 회전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의하면, 종래 천장 팬에서는 상기 하부 구성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천장 팬에서는 함께 회전하는 구성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아지므로 진동 및 소음이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천장 팬에서는 하부 부분이 회전 부분과 일체로 결합되기 때문에 하부 부분에 배치되는 구성들은 안정적으로 고정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천장 팬에서는 안전을 위해 하중을 제한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되는 전장 부품을 설치하기에 공간적으로 부족하거나 협소한 문제가 발생하며, 회전에 의해 위치적으로도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은 실내 천장으로부터 결합력을 유지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이격 배치되어 블레이드(100,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필수 구성만으로 구비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회전부에 포함되는 구성의 수가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회전 동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제공하여도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풍량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시각적 범위 내에 해당하는 천장 팬(1)의 일부 구성에는, 사용자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다수의 전장 부품(전장부)이 상대적으로 확장된 공간에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모터어셈블리(40)의 하측으로 위치시키고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을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전장부)은, 블레이드(100,200) 회전에 대한 영향이 없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편리하다.
또한, 상기 모터어셈블리(40) 하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전장부)은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허용 가능한 하중 값의 범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실내 바닥에서 천장을 바라보게 되는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커버(90)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기 때문에, 천장 팬(1)의 동작 정보 등에 대한 향상된 가독성 및 시인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회전부에 해당하는 하우징커버(30)의 블레이드커넥터(35), 메인블레이드(100) 및 서브블레이드(200)는 서로 소정의 이격 공간(gap)을 형성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부의 마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커버에 수용되는 구성을 확대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장부의 결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일부 구성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 및 브릿지케이스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릿지케이스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커버(30)의 내부 공간(37)에는 모터어셈블리(40)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하방에 위치하는 브릿지서포터(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서포터(50)는 상기 모터샤프트(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삽입부(53)는 상기 서포터플레이트(5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삽입부(53)는 상기 모터샤프트(20)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5)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릿지(55)는 서포터플레이트(51)의 둘레를 따라 수직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브릿지(55)는 내부 방향으로 컨트롤어셈블리(60)가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5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 구비되는 브릿지홀(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상하로 조립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다수의 전장 부품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에는,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전장 부품의 발열을 해소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2)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너 브릿지(75)의 개수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홈(62)에 형성된 홀에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이너 브릿지(75)가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홈(62)으로 체결 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이너홀(6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홀(67)은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홀(67)은 상기 이너 브릿지(75)에 대응되는 위치에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이너홀(67)을 삽입 및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홀(67)은 상기 고정홈(62)과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이너홀(67)과 고정홈(62)을 차례로 관통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너홀(67)은 상기 이너 브릿지(75)가 삽입 및 관통됨으로써, 상 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 지정된 위치에 안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방열홈(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열홈(66)은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하측 내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열홈(66)은 상대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되는 커패시터(60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열홈(602)은 함몰된 공간으로 상기 커패시터(602)가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커패시터(602)는 상기 방열홈(602)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방열홈(66)은 상측에 커패시터(602)가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커패시터(602)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는 천장 팬(1)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는 메인피시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600)에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이너 브릿지(75)가 삽입 및 관통하는 피시비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피시비(600)는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와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피시비(600)는 상기 피시비홀을 관통하는 이너 브릿지(75)에 의하여,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이너홀(67), 상기 피시비홀 및 상기 고정홈(62)을 차례로 삽입 또는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고정홈(62)에서 체결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 상기 메인피시비(600) 및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를 안정적으로 고정 및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600)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601,602,603,604)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피시비(600)에 설치되는 전장 부품은 상기 메인피시비(600)의 저면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메인피시비(600)에는 모터어셈블리(40)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 수(RPM)을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driver IC, 601),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커패시터(capacitor, 602), 교류 전원과 직류 전원을 상호 변환하는 전원공급장치(SMPS IC, 603) 및 전압이나 전류의 값을 변화시키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60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600)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601)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드라이버 칩(601)은 전자기적 작용으로 회전 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어셈블리(40)의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라이버 칩(601)은 불필요한 전자기적 간섭을 피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모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종래 천장 팬에서는, 모터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이 모터어셈블리 내에 설치된다. 즉, 종래 천장 팬에서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드라이버 칩을 구비하기 위하여, 별도 인쇄회로기판(PCB)의 설치 공간을 모터어셈블리 내부에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결국, 상기 인쇄회로기판(PCB)과 모터를 연결시키는 각종 전선들이 회전을 수행하는 모터와 간섭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모터어셈블리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에서는, 모터어셈블리(40)와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 즉 드라이버 칩(601)을 구조적으로 분리시켜 모터어셈블리(40)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잇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피시비(600)에 장착되는 드라이버 칩(601)에 의하면, 모터어셈블리(40)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로터(rotor)가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커패시터(602)는 상대적으로 다른 전장 부품 보다 크기가 크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의 컴팩트한 구성을 위하여, 상기 커패시터(602)는 상기 방열홈(606)이 형성하는 함몰 공간으로 하단부가 삽입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커패시터(602)는 상기 방열홈(606)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커패시터(602)는 열을 식힐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케이스(70)로 열 전달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603)는 전원의 제공이 필요한 상기 천장 팬(1)의 구성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603)는 소모전력을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메인피시비(600)에 장착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에 연결되는 전선은, 다수 개의 하네스홀(63,73)에 의해 용이하게 연결되고 정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브릿지(55)가 삽입되는 브릿지홀(71),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이너 브릿지(75),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가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안착리브(72), 다수의 전장 부품을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되는 하네스홀(73)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삽입홈(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다수의 브릿지홀(71)을 따라 그어지는 가상의 원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컨트롤어셉블리(60)와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안착 “‡향 및 안착 위치를 사용자가 용이하고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이너 브릿지(75)는 불규칙적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너 브릿지(75)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다수의 이너홀(67)이 상기 불규칙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이너 브릿지(75)와 알맞도록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회전 방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원기둥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이너홀(67)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이너홀(67), 상기 피시비홀 및 상기 고정홈(62)을 차례로 삽입 또는 관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이너 브릿지(75)의 수는 상기 이너홀(67), 피시비홀 및 고정홈(62)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 브릿지(75)는, 서로 높이와 형상이 상이한 제 1 이너 브릿지(75a) 및 제 2 이너 브릿지(7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는 상단부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는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 보다 낮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이너홀(67) 및 상기 메인피시비(600)의 피시비홀을 관통하며,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의 고정홈(62)에 삽입 또는 접촉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에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 상기 메인피시비(600) 및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는,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의 상단부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지점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의 상단부는 뭉툭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이너홀(67), 상기 메인피시비(600)의 피시비홀 및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의 고정홈(62)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는 상기 고정홈(62)을 관통할 수 있는 높이로 연장됨으로써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를 쉽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결합 및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 및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서 서로 교차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 및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는 동일한 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의 가이드에 의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 상기 메인피시비(600) 및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를 차례로 삽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의 상단부에 형성된 홀에 체결 부재를 삽입시켜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이너 브릿지(75a) 및 상기 제 2 이너 브릿지(75b)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결합을 쉽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안착리브(72)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72)에 의해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의 저면이 안착되는 위치가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리브(72)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안착리브(72)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4) 측면이 끼워지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이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삽입홈(74)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측면 하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홈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홈(74)에는 체결 부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74)은 디스플레이커버(90)의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방열홈(66)에 대응되는 방열홈 삽입부(7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열홈 삽입부(76)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방열홈 삽입부(76)는 상기 방열홈(66)이 안착되는 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과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의 저면은 서로 높이 차가 없이 형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는 상기 안티버그 모듈(80)의 일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내면에는 상기 안티버그 모듈(80)의 안티버그 피시비(81)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내측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고정가이드(77) 및 다수의 스냅(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가이드(77)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의 측단을 따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고정가이드(77)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의 측단 모서리 부분이 고정되도록,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가이드(77)는 절곡 형상인 ‘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가이드(77)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의 측단 모서리 네 곳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냅(78)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스냅(78)은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의 측단부를 형성하는 네 변의 중점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냅(78)은 억지 끼움 방식이 가능하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냅(78)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냅(78)은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냅(78)은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와 걸림이 이루어지도록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내측 상면에는 가이드 사인(7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사인(79)은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사인(79)은 브릿지케이스(70), 전선(wire), 안티버그 피시비(81) 등과 같은 구성의 결합 방향을 가이드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 사인(79)에 따라 용이하게 상기 브릿지케이스(70)를 조립할 수 있으며,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 설치되는 구성을 쉽게 장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에는 방열 기능을 위한 히트싱크(8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트싱크(82)는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를 냉각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설치되는 스피커(83)와 전선(wire)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선은 상술한 하네스홀(73)에 의해 용이하게 정리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커버에 디스플레이 모듈 및 통신 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하측 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되는 커버연장부(9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외둘레를 따라, 즉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연장부(91)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와 결합을 가이드하는 체결가이드(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92)는 상기 삽입홈(74)에 삽입되도록 삽입홈(74)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가 안착되는 안착가이드(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면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가이드(93)는 다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다수 개의 안착가이드(93)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안착가이드(93)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단부가 삽입되는 안착홈(93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93a)은 상기 안착가이드(93)의 상단부를 하방으로 절개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안착홈(93a)은 상기 안착가이드(93)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커버연장부(91)의 내면과 맞닿는 일 부분이 하방으로 함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착홈(93a)은 상기 안착가이드(93)의 수에 대응되도록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릿지케이스(70)의 하단부는 다수의 안착가이드(93)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안착홈(93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브릿지케이스(70)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내측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베이스 면에 형성되는 개구인 전원홀(90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면은 상기 커버연장부(91)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커버(90)의 내주면으로 규정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베이스 면을 디스플레이커버의 하면이라 이름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홀(90a)은 디스플레이 모듈(85)에 구비된 발광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빛이 실내 공간으로 향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원홀(90a)은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으로부터 일 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중심에 형성되는 개구인 출력홀(9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홀(95)은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다수 개의 홀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에는, 7개의 육각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출력홀(95)이 전체적으로 육각 형상을 이루도록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7 개의 육각 형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육각 형상은, 육각 형상으로 개구된 7개의 출력홀(95)로 형성할 수 잇다.
상기 출력홀(95)의 상측에는, 상기 안티버그 모듈(80)의 일부 구성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스피커(83)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스피커결합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결합부(900)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의 중심에 소정의 반경을 가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피커결합부(900)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원형의 리브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결합부(900)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단차 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83)는 상기 단차 면에 안착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결합부(900)는 상기 스피커(83)와 결합을 이루는 끼움홈(9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홈(910)은 상기 스피커(83)의 끼움부(83a)와 형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끼움홈(910)은 상기 끼움부(83a)가 인입 또는 삽입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피커(83)의 끼움부(83a)는 상기 끼움홈(91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피커결합부(900)는 중심을 향하여 다수 개의 타공된 홀(hole)의 집단으로 정의할 수 있는 출력홀(95)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83)는 상기 출력홀(95)에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도록 다수 개의 홀(hole)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83)는, 상기 안티버그 모듈(81)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를 음향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초음파를 상기 출력홀(95)을 통해 실내 공간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83)로부터 해충의 신경을 자극하는 초음파가 배출되므로 상기 천장 팬(1)의 주위로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의 부근에 상기 초음파를 기피하는 해충의 접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천장 팬(1)의 관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스피커(83)는 외측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끼움부(83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끼움부(83a)는 상기 스피커결합부(96)에 상기 스피커(83)가 안착될 때, 상기 끼움홈(96a)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끼움부(83a)와 상기 끼움홈(96a)은 서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81)는 상기 브릿지케이스(70)에 설치되고, 상기 스피커(83)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스피커결합부(900)에 설치됨으로써, 다수의 전장 부품이 구비된 천장 팬(1)을 보다 콤팩트(compact)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83) 및 스피커결합부(900)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은 상기 천장 팬(1)의 중심축 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연직 하방에는, 공기의 유속이 다른 실내 공간보다 상대적으로 느린 기류 정체 지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티버그 모듈(80)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는, 기류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피커(83)가 상기 천장 팬(1)의 하단 중심이 아닌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면, 스피커(83)로부터 출력된 초음파는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기류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많이 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는 공기의 압력 차, 공기의 유속, 기류의 방향 등의 영향에 의해 상기 천장 팬(1)의 주위 지역에 균일하게 퍼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티버그 모듈(80)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에 의해 효과적으로 해충을 퇴치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기류 변동이 적은 지역으로 초음파가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결국, 상기 스피커(93)가 설치되는 위치. 즉, 초음파가 출력되는 출력홀(95)의 최적의 위치는, 상기 천장 팬(1) 하단 중심부를 형성하는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이 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출력되는 초음파가 상대적으로 기류의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상기 천장 팬(1)을 중심으로 해충의 접근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결합부(900)에 설치된 스피커(83)의 상방으로, 디스플레이 모듈(8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96) 및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의 크기에 알맞도록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의 모서리 부분이 맞닿아 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의 상단 및 측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잇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96)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96)는 후크(hook) 형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9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를 따라 상측에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는 경우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9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이 안착 위치에 안착되어 인입이 완료된 경우, 탄성 복원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을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은 발광다이오드 설치부(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설치부(86)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에 설치되는 다수의 발광장치 중 일부 발광장치가 설치되는 구역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 설치부(86)는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에 각각 대응되는 발광다이오드(LED)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 설치부(86)는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에 설치된 다수의 발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가이드하는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는 상기 다수의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97)가 규정하는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원홀(90a)의 형성 위치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또는 하면)으로부터 사각 단면을 가지는 홀(hole)이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상하로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상하 방향으로 라이트홀(94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끝이 잘린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라이트가이드(94)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에 설치되는 발광장치에 수직 하방으로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라이트홀(94a)의 상측에 대응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발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빛은, 서로 간섭 또는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각각의 라이트가이드(94)를 따라 실내 공간으로 향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다수의 발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서로 다른 강도, 색 등을 가지는 빛은, 상기 라이트가이드(94)에 의해 서로 섞이지 않고 실내 공간을 향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기능에 따라 선명하고 명확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는 각각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 중 어느 일부는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사각 단면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큰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 중 다른 일부는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사각 단면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작은 이격 거리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라이트가이드(94)는 다양한 세기 또는 색의 빛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과 다른, 별도의 모듈에 의해서도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저면 외측 둘레를 따라 원을 그리도록 형성되는 외곽 개구(801, 도16 참고)에 대응되도록 또 다른 발광다이오드(LE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통신모듈 가이드(99a), 통신모듈 걸림부(99b) 및 통신모듈 결합장치(9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88)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과 상기 통신 모듈(88)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일 측 공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하나의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측단이 안착되도록 상단부가 절곡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ㄴ’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88)은 상기 한 쌍의 통신모듈 가이드(99a)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일 측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타 측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의 상단에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상측에서 가압할 수 있는 한 쌍의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88)은 일 측부가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에 안착되고, 타 측부가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에 안착 및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결합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상기 통신 모듈(88)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후크(hook)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신 모듈(88)이 상기 통신모듈 가이드(99a) 및 상기 통신모듈 걸림부(99b)에 장착되도록 인입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 결합장치(98)는 탄성 변형되어 상기 통신 모듈(88)이 안착되도록 가이드 한 후, 다시 복원되어 상기 통신 모듈(88)을 고정 및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어셈블리(60), 브릿지케이스(90) 및 디스플레이커버(90)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므로 전자장해(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EMI), 정전기 방전대책(Electrostatic Discharge, ESD) 등에 대한 규격 만족이 문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1)의 상기 브릿지케이스(70)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다수의 전장 부품(모듈)이 설치되는 1단의 전장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는 다수의 전장 부품(모듈)이 설치되는 2단의 전장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전자방해(EMI) 및 정정기 방전대책(ESD) 규격을 안정적으로 만족시킬 수 있으며, 다수의 전장 부품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쉽게 다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불필요한 신호로부터 전기적인 교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61) 및 로우 컨트롤케이스(65)와, 상기 브릿지케이스(70)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는,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전장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불필요한 전자기 신호 또는 전자기 잡음에 의해 다른 위치에 설치된 전장 부품의 신호 수신이 장애를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을 아래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15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저면에는, 중심에 상기 출력홀(95)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저면에는, 상기 출력홀(95)의 일 측으로 전원홀(90a)이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저면에는 상기 출력홀(95)의 타 측으로 다수의 라이트홀(94a)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홀(90a)의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되는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라이트홀(94a)은 사각 형상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라이트홀(94a)은 각각 개구된 넓이가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라이트홀(94a)은 기능별로 위치가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라이트홀(94a)은 다수의 열과 행을 형성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다수의 라이트홀(94a) 중 가장 외측에 형성된 제 1 군의 라이트홀(94a)은 회전 방향 또는 회전 세기 등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군의 라이트홀(94a)은 동일한 개구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군의 라이트홀(94a) 보다 내측으로 형성된 제 2 군의 라이트홀(94a)은 타이머 온/오프(on/off) 여부 또는 타이머 설정 시간 등의 기능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군의 라이트홀(94a)은 각각의 기능에 따라 개구 면적이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군의 라이트홀(94a) 보다 내측으로 형성된 제 3 군의 라이트홀(94a)은 다양한 편의 기능의 온/오프(on/off)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군의 라이트홀(94a)은 동일한 개구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에는 빛이 투광되는 커버인 에스커션(미도시)이 하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에스커션은 상기 전원홀(90a) 및 상기 다수의 라이트홀(94a)의 하측에 각각 대응되는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상기 에스커션은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천장 팬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스커션은 금속 또는 코팅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에스커션에는 다양한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양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95)에 설치된 발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양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보다 선명하게 부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커션에서 상기 문양이 형성된 부분은, 빛이 투광되는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문양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은 불투광성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에스커션이 장착됨으로써, 상기 천장 팬(1)의 다양한 기능을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발광 시나리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발광 부분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하측으로 상기 에스커션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에스커션에 의하여 다수의 라이트홀(94)에 각각 대응되도록 배치된 발광다이오드(LED)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표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90)의 저면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외곽 개구(801)에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배치되어 상기 천장 팬(1)의 회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외곽 개구(801)는 원주 방향을 따라 4개의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의 블레이드(100,200)가 정방향(시계방향) 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외곽 개구(801)의 4개의 구역은, 어느 하나의 구역에서부터 시계 방향을 따라 시간 차를 두고 발광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외곽 개구(801)로부터 제공되는 빛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천장 팬(1)의 회전이 정방향인지 역방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전원홀(90a)로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상술한 에스커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전원홀(90a)에 대응되도록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에 의해 제공되는 빛은 실내 공간으로 조사되어 전원 상태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통신 모듈(88)의 연결 상태를 신호 형상의 문양(803)이 새겨진 에스커션을 통하여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신호 형상의 문양(803)의 상측에 형성되는 라이트홀(94)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상기 신호 형상의 문양(803)을 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신호 형상의 문양(803)에 빛을 통하여 상기 통신 모듈(88)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천장 팬(1)은 야간에 절전 운전이 수행되는 슬립(sleep)모드 동작 여부를 상기 달 형상의 문양(804)이 새겨진 에스커션을 통하여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안티버그 모듈(80)의 동작 상태를 벌레 형상의 문양(805)이 새겨진 에스커션을 통하여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홀(95)의 외곽 라인을 따라 설치된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제공되는 빛에 의하여 상기 안티버그 모듈(80)의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타이머 온 또는 오프 상태를 시계 형상의 문양(807)이 새겨진 에스커션을 통하여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다수 개의 사각 문양(806)이 새겨진 에스커션을 통하여 타이머의 단계를 시각적인 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타이머의 단계는 설정된 운전 시간으로 이해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은 각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전장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술한 메인피시비(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해, 연동된 다른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사용자 설정 온도, 실시간 실내 온도, 실시간 먼지 감지량 등의 정보를 수신 받고 처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300)는 상술한 정보를 반대로 상기 통신 모듈(88)을 통하여 다른 공기조화 제품에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모터의 회전수(RPM)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터어셈블리(40)에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조명의 밝기, 색상 등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85)과 연결되어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안티버그 모듈(80)과 연결되어 해충이 기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천장 팬(1)의 외부로 발산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30), 실내 공간의 환경을 감지할 수 있는 센싱 모듈(310) 및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수신받는 입력 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메모리부(3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을 수 있으며, 처리된 정보를 저장시킬 수도 있다.
상기 센싱 모듈(310)은 실내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 실내 먼지량을 감지하는 먼지 센서, 실내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제공받아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사익 센싱 모듈(310)에 의해 실내 온도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의 설정 온도와 차이를 판단한 후, 모터어셈블리(40)를 조작하여 회전수를 가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 모듈(320)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입력 모듈(32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천장 팬(1)의 시간 설정, 온도 설정, 풍량 설정 등의 정보를 수신 받아 처리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차트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되어 작동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의 입력 신호에 따라 전원이 켜질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전원 온(on)상태가 될 수 있다. (S10)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통신 모듈(88)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S20)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통신 모듈(88)을 리셋(reset)하여 제어 명령에 따라 올바르게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0)
여기서,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은 상기 통신 모듈(88)과 연결되는 통신 장치가 구비되는 냉난방 가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냉난방 가전으로는, 히터, 선풍기, 에어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통신 연결을 통하여 다른 공기조화 제품과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먼저 작동하고 있던 다른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연결된 공기조화 제품의 제어 시퀀스를 전송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
상세히,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 연결이 이루어진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의 입력 신호 또는 설정된 입력 상태에 따라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스마트 순환모드를 입력한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어부(300)는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하는 경우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천장 팬(1)의 일반 운전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8)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는, 상기 통신 모듈(88)에 의해 서로 연동 또는 동기화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실내 공간의 전체적인 공기 상태를 관리(management)할 수 있는 모드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로 진입한 경우 연동된 상기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45)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냉난방 가전)의 운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 받아 상기 천장 팬(1)의 운전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냉난방 가전) 중 전원이 오프(off)된 가전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모두 전원 오프(off) 상태라면 일반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48)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일부 제품이 전원 오프(off)상태라면 상기 전원 오프 상태의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과 함께 통합적인 운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감지한 실내 환경 정보를 수신 받을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벽면에 설치된 에어컨으로부터 감지된 실내 온도를 전송 받을 수 있으며, 지면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로부터 실내 먼지량 및 쾌적도 정보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0)는 자체적으로 천장 부근에 설치된 상기 센싱 모듈(310)의 정보와 비교하여 실내 공간의 사각지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이후 스마트 순환모드에 따른 운전을 실행하면서 상기 사각지대로 판단된 위치로 기류 순환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천장 팬(1) 및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설정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에 대한 사용자 설정 값이 각각 다른 경우, 상기 천장 팬(1)으로 입력된 사용자 설정 정보로 일치시켜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스마트 순환모드에 따른 운전을 실행할 수 있다.(S50)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에 따른 운전에서는, 상기 천장 팬(1)의 냉방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의 운전에 대응되는 블레이드(100,200)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S60,70)
일례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 운전이 실행되면, 상기 천장 팬(1)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모드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냉방운전을 수행하면 냉방모드로 판단하며(S60),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난방운전을 수행하면 난방모드로 판단(S70)할 수 있다.
냉방모드(운전)로 판단된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가 정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정방향 회전은 블레이드(100,2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의 정방향 회전은 냉방운전의 냉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S65)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냉방(모드)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공간에 냉방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터어셈블리(40)를 미리 설정된 기본 회전수(RPM)에 따라 정방향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난방모드(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천장 팬(1)은 블레이드(100,200)가 역방향 회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 회전은 블레이드(100,200)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의 역방향 회전은 난방운전의 난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S75)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이 난방(운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공간에 난방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모터어셈블리(40)를 미리 설정된 기본 회전수(RPM)에 따라 역방향 운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잇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 모드를 추종하도록 운전이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사용자 설정정보와 감지된 실내 정보의 차이를 판단할 수 있다.(S80)
보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천장 팬(1)의 센싱 모듈(310)의 감지 정보와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의 감지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실내 온도와 사용자 설정온도 차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센싱 모듈(310)의 감지 정보를 실내 천장 공간의 공기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지면에 설치된 공기청정기로부터 수신된 감지 정보를 실내 지면 근접 공간의 공기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실내 측벽에 설치된 에어컨으로부터 수신된 담지 정보를 실내 측방 공간의 공기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실내 공간의 구획 별로 사용자 설정 값과 감지 값의 차이를 구하여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실내 공간의 각각의 구획 별 저장정보를 이용하여 연동된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보완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사용자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 값에 따라 모터 회전수(RPM)를 변경시킬 수 있다.(S85)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냉방운전이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이 크다면 모터 회전수(RPM)를 증가시켜 실내 공기의 순환이 빨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특정 구획 공간에서 사용자 설정 값과 감지 값의 차이가 큰 경우, 해당되는 구획 공간에 가장 근접한 공기조화 제품의 냉방 또는 난방 강도를 강화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천장 팬(1)의 회전수(RPM)를 증가시켜 냉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감지 값이 사용자 설정 값을 만족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90)
일례로,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온도가 사용자 설정 온도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감지 값이 사용자 설정 값에 만족한 경우 스마트 순환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의 냉방 또는 난방모드에 따른 회전 방향 및 기류 방향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공간에 냉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정방향 회전(R)을 수행하며, 난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역방향 회전(R’)을 수행한다. 이에 의하면, 냉방 또는 난방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천장 팬(1)이 시계 방향(R)으로 정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실내 공간에서 기류 방향은 상기 천장 팬(1)에 가까울 수록 하강기류를 형성하며, 먼 공간일수록 상승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천장 팬(1)이 정회전을 수행하는 경우, 블레이드(100,200)에 의해 천장 팬(1) 근처 공기가 하방으로 밀리게 되며, 상대적으로 천장 팬(1)에서 멀어지는 실내 측벽 부근 공기는 실내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상승하여 음압이 형성되는 천장 팬(1)의 부근으로 유동할 수 있다.(C)
따라서, 냉방모드가 수행될 때, 상기 천장 팬(1)이 정회전을 수행하게 되면 실내 하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곽으로 밀어내도록 순환시킬 수 있으므로 냉방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난방모드가 수행되는 경우, 대체적으로 실내 온도는 낮은 온도를 형성하게 되므로 공기조화 제품을 통해 토출된 따뜻한 공기는 온도 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승기류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천장 팬(1)은 난방모드에서 역방향(R’)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역방향(R’) 회전에 의하면, 블레이드(100,2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천장 팬(1) 부근의 공기가 실내 상측으로 올라오도록 기류가 강제되므로 실내 측벽에서는 하강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H)
이에 의하면, 상기 천장 팬(1)은 차가운 실내 온도에 의하여 다른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토출된 따듯한 공기가 천장 부근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해소하고, 천장 부근의 공기를 실내 하방으로 강제하도록 순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난방 효과가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천장 팬과 다수의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실내 공기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실내 공간(Room)에는 다양한 공기조화 제품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 공기조화 제품의 설치 위치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 제품은 에어컨, 공기청정기, 제습기, 가습기, 일반 선풍기, 난방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천장 팬(1)은 실내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에는 다른 공기조화 제품이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세히. 실내 일측 벽면에는 벽걸이형 에어컨(D1)가 설치될 수 있고, 실내 타측 공간에는 지면에 기립되어 위치하는 공기청정기(D2) 또는 가습기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천장 팬(1)은 상기 에어컨(D1) 및 공기청정기(D2)와 연동되어 운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 팬(1), 에어컨(D1) 및 공기청정기(D2)은, 사용자에 이하여 설정된 실내 공기 환경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 공간에 설치된 다양한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동일한 사용자 설정 값으로 통일되어 운전할 수 있다.
즉, 실내 공간에 설치된 전체 공기조화 제품이 연동되어 통일적, 종합적으로 실내 공기조화 환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실내 천장, 벽면, 지면 등에서 각각의 공기조화 제품의 작동하므로 실내 공기 순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며 냉방 또는 난방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즉,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에 따라, 실내 온도를 설정 온도로 빠르게 도달시킬 수 있으며, 공기 청정 시간도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M)는 빠르게 실내 공기 환경에 쾌적감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공기조화 제품이 설치된 위치에서, 먼지량, 온도 등을 감지하고 사용자 설정 값에 도달하도록 운전하기 때문에 실내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실내 공기환경을 만들 수 있다.
1: 천장 팬 10: 샤프트
20: 모터샤프트 30: 하우징커버
60: 컨트롤어셈블리 70: 브릿지케이스
90: 디스플레이커버 100: 메인블레이드
200: 서브블레이드

Claims (27)

  1.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샤프트의 하측에 결합되는 브릿지서포터;
    상기 브릿지서포터에 의하여 지지되는 전장부;
    상기 모터어셈블리 및 상기 전장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커버;
    상기 하우징커버에 결합하는 메인블레이드; 및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에 배치되는 서브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봉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내면에 상기 커버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천장 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상기 브릿지서포터에 결합되는 브릿지케이스;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상측에 안착되는 컨트롤 어셈블리; 및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커버를 포함하는 천장 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케이스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다수의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을 차폐하도록 결합하는 천장 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상기 하우징커버의 하단과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천장 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는,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상면에 안착되는 로우 컨트롤케이스; 및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의 상측에 씌워지는 어퍼 컨트롤케이스를 포함하는 천장 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전장 부품이 설치되는 다수의 층을 형성하는 천장 팬.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장부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비 회전하는 천장 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서포터는,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서포터플레이트; 및
    상기 서포터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천장 팬.
  10.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며,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아래에서 상기 샤프트와 결합하며, 하방으로 연장되는 브릿지가 구비되는 브릿지서포터;
    상기 브릿지의 하단에 결합되는 브릿지케이스;
    상기 브릿지케이스와 상기 브릿지서포터 사이에 위치하는 컨트롤어셈블리;
    상기 브릿지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커버; 및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 설치되며, 발광장치가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봉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내면에 상기 커버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천장 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홀이 형성되도록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발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빛을 가이드하는 라이트가이드를 포함하는 천장 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라이트가이드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팬.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에는, 빛이 투광되는 커버인 에스커션이 저면에 설치되며,
    상기 에스커션에는,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라이트가이드와 상하 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천장 팬의 기능을 나타내는 문양이 형성되는 천장 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는,
    베이스 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디스플레이 모듈을 고정시키는 디스플레이모듈 가이드; 및
    디스플레이 모듈이 인입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디스플레이모듈 결합장치를 더 포함하는 천장 팬.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어셈블리는,
    상기 브릿지케이스에 안착되는 로우 컨트롤케이스;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에 씌워지는 어퍼 컨트롤케이스; 및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와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메인피시비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피시비에는,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구비된 모터의 회전 수를 제어하는 드라이버 칩 및 정전 용량을 얻기 위한 커패시터가 장착되는 천장 팬.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는, 상기 커패시터의 방열을 위해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방열홈을 포함하는 천장 팬.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케이스는,
    상기 로우 컨트롤케이스, 상기 메인피시비 및 상기 어퍼 컨트롤케이스를 관통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는 이너 브릿지를 포함하는 천장 팬.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가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해충을 퇴치시키기 위한 안티버그 모듈을 더 포함하는 천장 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안티버그 모듈은,
    초음파 발진회로가 구비되는 안티버그 피시비; 및
    상기 안티버그 피시비와 연결되어 초음파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천장 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커버의 중심에는,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초음파를 실내 공간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홀이 형성되는 천장 팬.
  21.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고정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메인블레이드;
    상기 메인블레이드의 내측에 안착되는 서브블레이드; 및
    상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며, 다수의 전장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장부는,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및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봉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내면에 상기 커버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천장 팬.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실내의 온도, 습도, 먼지량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로부터 감지되는 정보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종합하여 실내 공기를 관리하도록 제어하는 천장 팬.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 온도와 실내 온도의 차이 값을 실내 공간의 구획된 공간 별로 비교하여 사각지대를 판단하는 천장 팬.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 중 상기 사각지대에 근접한 제품의 설정을 변경하여 상기 사각지대가 해소되도록 제어하는 천장 팬.
  25. 실내 천장 또는 벽면에 결합되는 샤프트에 고정되는 모터어셈블리, 상기 모터어셈블리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메인블레이드, 상기 메인블레이드에 결합되는 서브블레이드 및 상기 샤프트에 의해 지지되며, 실내에 설치되는 공기조화 제품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모듈 및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상기 모터어셈블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천장 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 제품과 통신연결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통신연결에 의하여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스마트 순환모드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서로의 동작상태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제어하는 스마트 순환모드로 운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는 스테이터; 및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샤프트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는,
    상기 스테이터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프레임; 및
    상기 하우징커버와 결합되는 커버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결합부는,
    상기 프레임의 외주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삽입봉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는, 내면에 상기 커버결합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삽입봉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천장 팬 제어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순환모드는,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의 운전모드에 따라 판단 냉방 또는 난방운전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냉방 또는 난방운전에 따라 상기 천장 팬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천장 팬 제어방법.
  27. 제 25 항에 있어서,
    구획된 실내 공간 별로, 실내 온도와 사용자 설정 온도의 차이 값을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차이 값을 기초로, 상기 연동된 공기조화 제품과 함께 보완운전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장 팬 제어방법.
KR1020190030039A 2018-06-12 2019-03-15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KR102190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3881 WO2019240359A1 (ko) 2018-06-12 2019-04-02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EP19819104.1A EP3751144B1 (en) 2018-06-12 2019-04-02 Ceiling fa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6/977,386 US11873827B2 (en) 2018-06-12 2019-04-02 Ceiling fa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S19819104T ES2927331T3 (es) 2018-06-12 2019-04-02 Ventilador de techo y método de control para el mism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507 2018-06-12
KR1020180067501 2018-06-12
KR20180067476 2018-06-12
KR20180067507 2018-06-12
KR1020180067478 2018-06-12
KR20180067478 2018-06-12
KR20180067501 2018-06-12
KR1020180067476 2018-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821A KR20190140821A (ko) 2019-12-20
KR102190417B1 true KR102190417B1 (ko) 2020-12-11

Family

ID=69063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0039A KR102190417B1 (ko) 2018-06-12 2019-03-15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73827B2 (ko)
EP (1) EP3751144B1 (ko)
KR (1) KR1021904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57A (ko) * 2021-09-27 2023-04-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 실링팬
WO2024101838A1 (en) * 2022-11-09 2024-05-16 New Motech Co., Ltd. Ceiling fan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052B1 (ko) * 2020-10-21 2021-11-01 이현민 기류 수렴 유도부재 및 필터부가 구비된 실링팬
KR102314365B1 (ko) * 2021-02-24 2021-10-20 정선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대공간 공조용 통합 자동제어 시스템을 구비한 대공간 공조기
CN216111385U (zh) * 2021-10-18 2022-03-22 佛山市启正电气有限公司 一种吊扇的安装结构及其吊扇
KR20240117207A (ko) * 2023-01-25 2024-08-01 뉴모텍(주) 타프 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7381A1 (en) * 2004-06-15 2005-12-15 Chinmoy Banerjee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US20070139884A1 (en) * 2005-12-21 2007-06-21 Foster Jimmy G Sr Dual impeller push-pull axial fan heat sink
US20140023507A1 (en) * 2007-10-10 2014-01-23 Moog Inc. Ceiling fan system with brushless motor
JP2015055157A (ja) * 2013-09-10 2015-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天井扇風機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0596A (en) 1953-08-06 1957-04-30 Leo M Stirling Dual fan construction
US4892460A (en) * 1989-01-30 1990-01-09 Volk Steve J Propeller breeze enhancing blades for conventional ceiling fans
CN2400737Y (zh) * 1999-11-25 2000-10-11 北京中立格林控制技术有限公司 中央空调室内变风量温度控制装置
US6769883B2 (en) * 2002-11-23 2004-08-03 Hunter Fan Company Fan with motor ventilation system
KR20090061172A (ko) * 2007-12-11 2009-06-16 문오형 해충퇴치수단을 구비한 조명기구
JP5211813B2 (ja) 2008-04-10 2013-06-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天井扇
WO2011016703A2 (en) * 2009-08-07 2011-02-10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DE102009055609A1 (de) * 2009-11-25 2011-05-26 Behr Gmbh & Co. Kg Lüft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CN103282671B (zh) * 2011-01-07 2016-08-1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吊扇
US9360020B2 (en) * 2014-04-23 2016-06-07 Electric Torque Machines Inc Self-cooling fan assembly
EP3120029A4 (en) * 2014-03-17 2018-03-07 Delta T Corporation Fan with remote temperature sensor and mounting arrangement
WO2016025595A1 (en) * 2014-08-12 2016-02-18 Hunter Fan Company Electronic ceiling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6715919B (zh) 2014-09-29 2019-04-30 松下制造马来西亚有限公司 吊扇
US10379208B2 (en) * 2016-05-02 2019-08-13 Lutron Technology Company Llc Fan speed control device
WO2018081611A1 (en) * 2016-10-28 2018-05-03 FutureAir, In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air signature detection and mangement based on internet-of-things technology
AU2019226049B2 (en) * 2018-02-26 2024-08-01 Termotera Ltd. Cooling, heating and humidity stabilization using humidity fluctuations
CN210152947U (zh) * 2018-02-28 2020-03-17 创科(澳门离岸商业服务)有限公司 风扇和用于控制风扇的远程设备和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7381A1 (en) * 2004-06-15 2005-12-15 Chinmoy Banerjee System to contro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living space
US20070139884A1 (en) * 2005-12-21 2007-06-21 Foster Jimmy G Sr Dual impeller push-pull axial fan heat sink
US20140023507A1 (en) * 2007-10-10 2014-01-23 Moog Inc. Ceiling fan system with brushless motor
JP2015055157A (ja) * 2013-09-10 2015-03-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天井扇風機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4657A (ko) * 2021-09-27 2023-04-04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 실링팬
KR102590181B1 (ko) * 2021-09-27 2023-10-1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청정 실링팬
WO2024101838A1 (en) * 2022-11-09 2024-05-16 New Motech Co., Ltd. Ceiling fan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3827B2 (en) 2024-01-16
KR20190140821A (ko) 2019-12-20
US20210048032A1 (en) 2021-02-18
EP3751144A1 (en) 2020-12-16
EP3751144A4 (en) 2021-11-10
EP3751144B1 (en)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0417B1 (ko)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CN105402700B (zh) 排气扇灯模块
KR102231039B1 (ko) 천장 팬 및 그 제어방법
US9243792B2 (en) Lamp
US20070092375A1 (en) Circumferential air conditioning fan
US20070096570A1 (en) Cooling fan
KR200450128Y1 (ko) 무선 ap 겸용 스피커
EP3493023B1 (en) Power supply
US20190166728A1 (en) Power supply
US20150330619A1 (en) Ceiling fan
JP6854402B2 (ja) 天井扇風機
ES2927331T3 (es) Ventilador de techo y método de control para el mismo
JP2009115360A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CN111108814B (zh) 加热烹调器
US20050213302A1 (en) Heat-dissipating device for a portable computer
US20060152683A1 (en) Cooling fan with embedded light source
CN106196534B (zh) 蜗壳结构及具有其的新风机
CN107124848A (zh) 电机驱动单元
CN216592012U (zh) 一种除湿机
CN108131725B (zh) 空调器的壳体组件及具有其的空调器
US20050031464A1 (en) Heat-dissipating fan device with light-emitting capability
US20180058709A1 (en) Ventilation fan
CN211230891U (zh) 发光风扇结构
CN217952655U (zh) 一种空调显示结构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4360941A (ja) 空気調和機の室外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