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380B1 -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 Google Patents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380B1
KR102190380B1 KR1020190126697A KR20190126697A KR102190380B1 KR 102190380 B1 KR102190380 B1 KR 102190380B1 KR 1020190126697 A KR1020190126697 A KR 1020190126697A KR 20190126697 A KR20190126697 A KR 20190126697A KR 102190380 B1 KR102190380 B1 KR 102190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xing plate
terminal
contact
hour 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형태
이상록
신영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9012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07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screw-in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04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comprising a separate cable clamping pa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 관한 것으로, 계량장치 설치함과 단자부 설치함으로 구성되는 본체, 단자부 설치함을 감싸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 커버, 단자부 설치함에 내장되며 도체부가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구비되고 단자볼트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체부의 외측을 조임 또는 조임 해제하도록 단자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구비된 단자부, 전선삽입홈에서 도체부와 단자볼트 사이에 삽입되고 도체부와 면접촉되는 전선고정판을 포함하여 전력량계의 소손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Detachment Preventive Structure of Cable for Electric Meter}
본 발명은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단자볼트의 풀림을 방지하고, 단자볼트가 도체부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여 단자부와 전력량계의 소손, 과열, 고장을 방지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물에 설치되어 사용전력량을 검침하기 위한 전력량계는 전력량계의 베이스, 단자절연블록, 조임형 단자부, 전류 코일로 가공되며, 그 사이에 전류량을 감지하는 변류기 속으로 전류코일이 통과하며, 전압의 분기를 위한 전압편, 전압편 고정나사와 전류코일을 고정하는 전류코일 고정나사가 포함되며, 전력량계의 보호를 위한 커버와 전원선과 부하선을 고정할 수 있는 단자볼트로 구성된다.
조임형 단자부는 전원선이나 부하선을 삽입 연결할 수 있는 원형 단면의 전선삽입홈을 구비하고, 전선을 고정하는 단자볼트, 전류코일을 고정하는 전류코일 고정나사가 체결되며, 그 수량은 연결되는 전선 수만큼 필요하다.
전류코일은 전류량을 감지하는 변류기 속으로 통과하며, 전류코일 양단이 각각 전원측과 부하측의 조임형 단자부에 접속되어 전류코일 고정나사로 체결된다.
조임형 단자부는 전선과 전류코일을 고정시키고, 전기적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조임형 단자부는 전선을 삽입하는 전선삽입홈이 구비되고, 전원선 혹은 부하선을 전선삽입홈에 삽입하여 단자볼트로 고정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순히 전선삽입홈에 삽입된 전선에 단자볼트를 직접적으로 접촉시켜 가압함에 따라 전선이 풀려 느슨해지거나 틈이 발생하고, 단자볼트가 풀리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전자식 전력량계의 단자부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1의 (a)는 단자부에 단자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의 (b)는 장시간 사용된 후 단자부에 단자볼트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조임형 단자부(1)는 전선삽입홈(2)에 전선(3)이 삽입된 상태에서 단자볼트(4)가 체결됨에 따라 단자볼트(4)가 직접적으로 전선(3)을 조여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는 단자볼트(4)의 전선(3)에 접촉되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소선으로 뭉친 연선으로 구비되는 전선의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힘을 가하는 구조이므로, 전선(3)이 풀려 느슨해지거나 틈이 발생하게 되며, 단자부(1), 단자볼트(4), 전선(3)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한다.
그리고, 단자볼트(4)의 전선(3)과 접촉되는 면에 평면이기 때문에, 전선을 퍼뜨려 펼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전선은 보다 쉽게 풀리거나 느슨해지게 되어 단자부(1), 단자볼트(4), 전선(3) 사이에 접촉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조임형 단자부(1)는 잘못 시공되거나, 최초에 제대로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장시간 진동이 가해지거나 오랜 사용으로 인해 단자볼트(4)가 풀리게 되며, 접촉 불량이 발생한다.
이처럼 조임형 단자부(1)에서 접촉 불량이 발생하면 접촉 불량 부위, 단자부가 과열되거나 전력량계의 소손 또는 화재 발생의 위험을 내포하는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전선이 풀려 느슨해지거나 전선에 생기는 틈으로 인한 접촉 불량과 단자볼트의 풀림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종래에 접촉 불량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던 전력량계의 소손, 과열, 폭발사고, 화재를 방지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량장치 설치함과 단자부 설치함으로 구성되는 본체, 단자부 설치함을 감싸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 커버, 단자부 설치함에 내장되며 도체부가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구비되고 단자볼트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체부의 외측을 조임 또는 조임 해제하도록 단자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구비된 단자부, 전선삽입홈에서 도체부와 단자볼트 사이에 삽입되고 도체부와 면접촉되는 전선고정판을 포함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전선고정판은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오목한 곡면은 전선삽입홈 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선삽입홈은 전선고정판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양측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전선고정판의 양측단이 삽입되는 확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고정판은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벤딩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자볼트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전선고정판은 양측단에서 돌출되며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확장홈에 삽입되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고정판은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단자볼트와 접촉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자볼트는 도체부의 조임 해제시 전선고정판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전선고정판과 접촉되는 단부에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삽입홈의 바닥면과 도체부 사이에 삽입되고,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도체부와 면접촉되는 보조고정판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체 커버는 단자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본체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단자볼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지지기둥은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며, 본체와 본체 커버의 결합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단자볼트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지기둥의 돌출된 단부와 탄성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고정판이 구비되어 단자볼트가 도체부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선이 풀려 느슨해지거나 전선에 생기는 틈으로 인한 접촉 불량과 단자볼트의 풀림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고정판이 구비되어 단자볼트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단자볼트와 곡면 접촉되어 지지함에 전선이 풀려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기둥이 구비되어 장시간 진동이 가해지거나 오랜 사용 후에도 단자볼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종래에 접촉 불량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던 전력량계의 소손, 과열, 고장, 폭발사고,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자부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본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자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자대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전선고정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서 다른 규격의 도체부가 삽입된 상태의 단자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서 전선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자대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서 보조고정판이 더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자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지지기둥과 탄성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자대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자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전선고정판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서 다른 규격의 도체부가 삽입된 상태의 단자대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서 전선고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자대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에서 보조고정판이 더 구비되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자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지지기둥과 탄성부재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는 계량장치 설치함(110)과 단자부 설치함(120)으로 구성되는 본체(100), 단자부 설치함(120)을 감싸도록 본체(100)에 결합되는 본체 커버(200), 단자부 설치함(120)에 내장되며 도체부(301)가 삽입되는 전선삽입홈(310)이 구비되고 단자볼트(3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체부(301)의 외측을 조임 또는 조임 해제하도록 단자볼트(330)가 체결되는 나사홀(320)이 구비된 단자부(300), 전선삽입홈(310)에서 도체부(301)와 단자볼트(330) 사이에 삽입되고 도체부(301)와 면접촉되는 전선고정판(4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력량계 구조는 기계식 또는 전자식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계량장치 설치함(110)과 단자부 설치함(120)으로 구성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결합되는 본체 커버(200)로 구성된다.
계량장치 설치함(110)에는 전력의 사용량을 나타내는 표시부가 구비되고, 계량원판과 계수기 등이 내장된다.
단자부 설치함(120)은 전원측 전선과 부하측 전선이 각각 접속되는 복수의 전류단자 및 전압단자를 갖는 단자부(300)가 내장된다.
전원측 전선과 부하측 전선인 도체부(301)는, 소선으로 뭉친 연선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커버(200)는 단자부 설치함(120)을 감싸도록 본체(100)에 결합되어 전력량계의 외관을 이루며, 전력량계의 단자부 설치함(120)을 보호한다.
여기서, 본체 커버(200)는 전력량계의 외관을 이루도록, 본체(100)와 본체 커버(200)가 결합된 상태는 외관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본체 커버(200)와 단자부 설치함(120)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본체(100)와 본체 커버(200)의 결합을 위해, 본체 커버(200)를 관통하여 단자부 설치함(120)에 구비된 결합부(121)에 체결되는 결합부재(201)가 구비된다.
결합부재(201)는 본체 커버(200)를 관통하여 결합부(121)에 체결됨에 따라 본체(100)에 본체 커버(200)를 결합시키며, 결합부재(201)와 결합부(121)는 본체(100)에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단자부(300)는 전력량계의 종류에 따라 단상 2선식 계기에는 4개가 구비되고, 3상 4선식 계기에는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단자부(300)는 도체부(301)가 삽입되는 원형 단면의 전선삽입홈(310)이 구비되고, 단자볼트(330)가 체결되는 나사홀(320)이 구비되며, 전선삽입홈(310)의 반대측에는 전류코일이 연결될 수 있다.
전선삽입홈(310)은 도체부(301)가 삽입되는 단부의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체부(301)의 삽입을 가이드하며, 조립이 수월해지게 된다.
나사홀(320)은 전선삽입홈(310)과 연통되게 형성되며, 전선삽입홈(310)과 수직되게 배치되어 단자볼트(3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도체부(301)의 외측을 조임 또는 조임 해제하도록 구비된다.
단자볼트(330)는 나사홀(320)에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몸통부와 공구 또는 작업자가 잡을 수 있도록 몸통의 상단부에 공구홈이 형성된 머리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자볼트(330)는 나사홀(320)에 체결됨에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여 도체부(301)의 외측을 조이며 나사홀(320)에서 풀림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도체부(301)의 외측을 조임 해제한다.
이러한 단자볼트(330)는 하나 또는 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단자볼트(330)가 두개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단자부 설치함(120)에는 전선삽입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도체부(301)가 관통하는 제1관통홀(122)이 형성되고, 나사홀(320)과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볼트(330)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123)이 형성된다.
그리고, 단자볼트(330)가 도체부(301)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도체부(301)와 단자볼트(330) 사이에 삽입되는 전선고정판(410)이 구비된다.
전선고정판(410)은 전선삽입홈(310)에서 도체부(301)와 단자볼트(330) 사이에 삽입되고, 도체부(301)와 면접촉된다.
이때, 단자부(300), 도체부(301), 단자볼트(330), 전선고정판(410)은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단자볼트(330)의 조임시 전선고정판(41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전선고정판(410)은 도체부(301) 보다 기계적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선고정판(410)은 도체부(301)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401)으로 형성되어 단자볼트(330)의 조임력이 가해지면 도체부(301)가 밀착되며 변형되면서 면접촉된다.
그리고, 전선고정판(410)과 도체부(301)의 접촉시 접촉부위가 곡면으로 이루어져, 단자볼트(330)의 조임력이 도체부(30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분산되어 전달된다.
즉, 단자볼트(330)의 조임력이 전선고정판(410)에 하측방향으로 가해지면 전선고정판(410)을 거치면서 도체부(301)에 전선고정판(410)의 오목한 곡면(401)의 중심방향으로 분산되어 전달된다.
이에 따라, 도체부(301)가 풀려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도체부(301)가 전선삽입홈(310)의 곡면과 전선고정판(410)의 오목한 곡면(401) 사이에서 고정됨에 따라 접촉 불량이 방지되며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단자볼트(330)의 조임 또는 조임 해제에 따라 전선고정판(410)의 상하방향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전선삽입홈(310)에는 전선고정판(410)의 양측이 삽입되는 확장홈(311)이 형성된다.
확장홈(311)은 전선삽입홈(310)의 양측에서 함몰되게 형성되며, 단자볼트(330)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수직한 평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선고정판(410)의 양측단이 평면에 지지되어 전선고정판(410)을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한다.
그리고, 전선고정판(410)에는 확장홈(311)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날개부(402)가 구비된다.
또한, 전선고정판(410)은 일예로 벤딩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날개부(402)가 양측단에서 돌출되며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전선고정판(410)은 일정한 두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운데부분은 상측으로 볼록하게 벤딩되고 양측단은 상향 경사지게 절곡된 하나의 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가공이 용이하다.
이러한 날개부(402)는 확장홈(311)에 삽입되어 가이드됨에 따라 단자볼트(330)의 조임 또는 조임 해제시 전선고정판(41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선삽입홈(310)에서 전선고정판(41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단자볼트(330)는 도체부(301)의 조임 해제시 전선고정판(41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전선고정판(410)과 접촉되는 단부에 자석부재(302)가 구비된다.
단자볼트(330)의 전선고정판(410)과 접촉되는 단부에는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양측면에 관통하여 형성된 자석삽입홀(331)이 구비되며, 자석삽입홀(331)에 자석부재(302)가 삽입되어 구비된다.
전선고정판(410)은 이러한 자석부재(302)의 자성으로 인해 단자볼트(330)의 조임 해제시 전선고정판(410)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선삽입홈(310)의 도체부(301)가 삽입될 공간을 쉽게 확보할 수 있어 전선삽입홈(310)에 도체부(301)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부(300)에는 다양한 규격의 도체부(301)가 삽입될 수 있으며, 단자볼트(330)와 도체부(301) 사이에 전선고정판(410)이 구비되어도 다양한 규격의 도체부(301)가 삽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단자부(300)의 전선삽입홈(310)의 곡률반경은 허용전선의 반지름이다.
이에 따라 전선고정판(410)은 도체부(301)와 접촉하는 오목한 곡면(401)의 곡률반경이 전선삽입홈(310)의 곡률반경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전선고정판(410)에 따라 다른 규격의 도체부(301)가 삽입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인 도 7을 참고하면, 단면적이 작은 도체부(301)는 단자볼트(330)의 조임력이 가해지면 도체부(301)가 전선고정판(410)에 밀착되게 타원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면접촉되어 고정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도체부(301)의 단면적이 달라지더라도, 도체부(301)가 전선고정판(410)의 가운데부분에서 곡면으로 접촉될 수 있어서 도체부(30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또한,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선고정판(420)을 도시한 도면으로, 단자볼트(330)가 전선고정판(42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전선고정판(420)은 단자볼트(330)와 접촉하는 면이 수평면(421)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선고정판(420)은 도체부(301)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401)으로 형성되며 단자볼트(330)와 접촉하는 면이 수평면(421)으로 형성되어, 가운데부분에서 양측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는 보조고정판(500)이 더 구비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전선삽입홈(340)이 사각 단면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도체부(301)의 하측이 곡면으로 지지되도록 보조고정판(500)이 더 구비된다.
보조고정판(500)은 전선삽입홈(340)의 바닥면과 도체부(301) 사이에 삽입되고, 도체부(301)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510)으로 형성되어 도체부(301)와 면접촉된다.
이러한 보조고정판(500)은 전선고정판(4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별도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한다.
그리고, 도체부(301)는 상측에 전선고정판(410)이 구비되고 하측에 보조고정판(500)이 구비됨에 따라 단자볼트(330)의 조임 또는 조임 해제시 오목한 곡면(401,510)에 지지되는 것이다.
또한, 사각 단면의 전선삽입홈(340)에 전선고정판(410)과 보조고정판(500)의 양측이 삽입되는 확장공간(341)이 형성된다.
보조고정판(500)에는 확장공간(341)에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보조날개부(520)가 구비된다.
보조날개부(520)는 확장공간(341)의 단차면에 안착되어 위치되고, 보조고정판(500)의 오목한 곡면(510)이 유지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단자볼트(33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본체 커버(200)와 단자볼트(33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기둥(210)이 도시되어 있다.
지지기둥(210)은 본체 커버(200)의 본체(100)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단자볼트(330)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기둥(210)은 본체 커버(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에 본체 커버(200)가 결합되면 지지기둥(210)이 단자볼트(330)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단자볼트(33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지지기둥(210)은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220)가 구비된다.
탄성부재(220)는 본체(100)와 본체 커버(200)의 결합시 지지기둥(210)과 단자볼트(330) 사이에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단자볼트(330)를 탄성지지한다.
이로 인해, 다규격의 도체부(301)를 고정시키기 위해 단자볼트(33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기둥(210)과 단자볼트(330) 사이의 거리가 조정되더라도, 탄성부재(220)가 구비되어 지지기둥(210)과 단자볼트(330) 사이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탄성부재(220)는 압축된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단자볼트(330)에 지속적인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단자볼트(330)의 풀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그리고, 지지기둥(210)의 돌출된 단부와 탄성부재(220) 중 어느 한쪽에는 체결홈(211)이 구비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체결홈(211)에 삽입 체결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221)가 구비됨에 따라 탄성부재(220)를 지지기둥(210)에 조립한다.
일예로, 도면에는 지지기둥(210)에 체결홈(211)이 형성되고, 탄성부재(220)에 체결돌기(221)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체결돌기(221)는 탄성부재(220)의 중심에서 지지기둥(2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출된 끝단에는 단차지며 직경이 확대 형성된 걸림쇠(222)가 구비된다.
또한, 체결홈(211)은 체결돌기(221)와 걸림쇠(2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체결돌기(221)와 걸림쇠(22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돌기(221)는 탄성 재질로 마련됨에 따라 체결홈(211)에 삽입될 때 걸림쇠(222)의 직경이 축소되면서 삽입되고 체결홈(211)에 안착되어 지지기둥(210)과 탄성부재(220)가 쉽게 조립된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걸림쇠(222)의 단부 모서리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체결홈(211)의 삽입 체결이 가이드 될 수도 있다.
또한, 단자부 설치함(120)에는 지지기둥(210)과 탄성부재(220)가 단자볼트(330)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위치를 가이드하는 위치가이드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가이드부(124)는 단자부 설치함(120)의 제2관통홀(123)의 테두리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비되어 지지기둥(210)과 탄성부재(220)가 삽입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전선고정판이 구비되어 단자볼트가 도체부에 직접적으로 힘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선이 풀려 느슨해지거나 전선에 생기는 틈으로 인한 접촉 불량과 단자볼트의 풀림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선고정판이 구비되어 단자볼트와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단자볼트와 곡면 접촉되어 지지함에 전선이 풀려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류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기둥이 구비되어 장시간 진동이 가해지거나 오랜 사용 후에도 단자볼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종래에 접촉 불량으로 빈번하게 발생하던 전력량계의 소손, 과열, 고장, 폭발사고,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계량장치 설치함
120: 단자부 설치함 121: 결합부
122: 제1관통홀 123: 제2관통홀
124: 위치가이드부 200: 본체 커버
201: 결합부재 210: 지지기둥
211: 체결홈 220: 탄성부재
221: 체결돌기 222: 걸림쇠
300: 단자부 301: 도체부
302: 자석부재 310, 340: 전선삽입홈
311: 확장홈 320: 나사홀
330: 단자볼트 331: 자석삽입홀
341: 확장공간 401: 오목한 곡면
402: 날개부 410, 420: 전선고정판
421: 수평면 500: 보조고정판
510: 오목한 곡면

Claims (11)

  1. 계량장치 설치함과 단자부 설치함으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단자부 설치함을 감싸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본체 커버;
    상기 단자부 설치함에 내장되며, 도체부가 삽입되는 전선삽입홈이 구비되고, 단자볼트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도체부의 외측을 조임 또는 조임 해제하도록 상기 단자볼트가 체결되는 나사홀이 구비된 단자부; 및
    상기 전선삽입홈에서 상기 도체부와 단자볼트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도체부와 면접촉되는 전선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삽입홈은,
    상기 전선고정판의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양측에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전선고정판의 양측단이 삽입되는 확장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판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오목한 곡면은 상기 전선삽입홈 보다 큰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판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벤딩된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단자볼트와 접촉하는 면이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판은,
    양측단에서 돌출되며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확장홈에 삽입되는 날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판은 상기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단자볼트와 접촉하는 면이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볼트는,
    상기 도체부의 조임 해제시 상기 전선고정판도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전선고정판과 접촉되는 단부에 자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삽입홈의 바닥면과 상기 도체부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도체부와 접촉하는 면이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체부와 면접촉되는 보조고정판;
    을 더 포함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커버는,
    상기 단자볼트의 풀림을 방지하도록,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자볼트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기둥;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은,
    돌출된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본체와 본체 커버의 결합시 압축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단자볼트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의 돌출된 단부와 탄성부재 중 어느 한쪽에는 체결홈이 구비되고, 나머지 한쪽에는 상기 체결홈에 삽입 체결되도록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KR1020190126697A 2019-10-14 2019-10-14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KR102190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97A KR102190380B1 (ko) 2019-10-14 2019-10-14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697A KR102190380B1 (ko) 2019-10-14 2019-10-14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380B1 true KR102190380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697A KR102190380B1 (ko) 2019-10-14 2019-10-14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3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0325A (zh) * 2023-06-28 2023-07-28 哈尔滨汇鑫仪器仪表有限责任公司 一种窄带物联网智能电能表
KR102668784B1 (ko)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집합건물용 적산전력량계에서 복수의 인입케이블을 취부하는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93Y1 (ko) * 1999-10-29 2000-05-15 한국전력공사 계기단자
JP2002139518A (ja) * 2000-11-06 2002-05-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無停電交換器
KR200339399Y1 (ko) * 2003-10-14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단자함
KR200392542Y1 (ko) * 2005-05-11 2005-08-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
JP2006275792A (ja) * 2005-03-29 2006-10-1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用通信装置
KR100772207B1 (ko) * 2007-01-26 2007-11-01 박대우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JP2011226890A (ja) * 2010-04-19 2011-1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
KR101756716B1 (ko) * 2016-07-18 2017-07-11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볼트 풀림 방지기능을 갖춘 단자대 블록
KR20170136665A (ko) * 2016-06-01 2017-12-12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단자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093Y1 (ko) * 1999-10-29 2000-05-15 한국전력공사 계기단자
JP2002139518A (ja) * 2000-11-06 2002-05-17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無停電交換器
KR200339399Y1 (ko) * 2003-10-14 2004-01-24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단자함
JP2006275792A (ja) * 2005-03-29 2006-10-12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用通信装置
KR200392542Y1 (ko) * 2005-05-11 2005-08-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력량계
KR100772207B1 (ko) * 2007-01-26 2007-11-01 박대우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JP2011226890A (ja) * 2010-04-19 2011-11-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量計
KR20170136665A (ko) * 2016-06-01 2017-12-12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의 단자대
KR101756716B1 (ko) * 2016-07-18 2017-07-11 사단법인 장우 일자리협회 볼트 풀림 방지기능을 갖춘 단자대 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0325A (zh) * 2023-06-28 2023-07-28 哈尔滨汇鑫仪器仪表有限责任公司 一种窄带物联网智能电能表
CN116500325B (zh) * 2023-06-28 2023-09-26 哈尔滨汇鑫仪器仪表有限责任公司 一种窄带物联网智能电能表
KR102668784B1 (ko)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집합건물용 적산전력량계에서 복수의 인입케이블을 취부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4037B2 (en) Reactor having temperature sensor attached to terminal base unit
US6747864B2 (en) Distribution board with uninterruptible socket terminal block
KR102190380B1 (ko) 전선탈락 방지형 전력량계 구조
KR20170136665A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KR20190019458A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접속구조
JP5511814B2 (ja) 複数の避雷器柱体を有する放電電流路を備えた避雷器装置
JP6380894B2 (ja) 絶縁トロリー
US8081491B2 (en) External neutral current sensor matched to a circuit breaker
JP6260677B1 (ja) 電磁接触器
JPS6391971A (ja) ねじ込端子
US3066204A (en) Electric terminal
JPWO2015159354A1 (ja) 電力量計用端子装置及び電力量計
KR20160002783U (ko) 전자식 전력량계의 시험용 단자나사
JP6558113B2 (ja) 短絡防止具及び短絡防止方法
US20120133463A1 (en) Switching device
KR20170073236A (ko) 점퍼선 설치기구
KR101302576B1 (ko) 스마트 분전반
KR101898685B1 (ko) 전류 전압 미터기
KR19980042874A (ko) 모선 지지장치
KR20190049036A (ko) 개폐기용 지지유닛
US4952898A (en) Transformer secondary buss adapter apparatus
KR102600884B1 (ko) 설치 용이성이 향상된 모듈형 전압측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673938B1 (ko) 변압기용 부싱
KR200492092Y1 (ko) 부스바 지지장치
CN221079756U (zh) 一种干式变压器高压侧进线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