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0036B1 -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0036B1
KR102190036B1 KR1020200019295A KR20200019295A KR102190036B1 KR 102190036 B1 KR102190036 B1 KR 102190036B1 KR 1020200019295 A KR1020200019295 A KR 1020200019295A KR 20200019295 A KR20200019295 A KR 20200019295A KR 102190036 B1 KR102190036 B1 KR 102190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ischarge pipe
pressur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대주
김병호
Original Assignee
안대주
김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대주, 김병호 filed Critical 안대주
Priority to KR102020001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0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0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0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2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with means, e.g. a container,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a discharge device
    • B05B7/2402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 B05B7/244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by hand; Apparatus comprising containers fixed to the discharge device using carrying liquid for feeding, e.g. by suction, pressure or dissolution, a carried liquid from the container to the nozz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4Arrangement of water treatment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수(上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공급라인에 연결되고,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정수부와, 제1정수부와 연결된 유입배관을 통해 상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수를 승압시켜 토출배관으로 배출시키는 승압부와, 토출배관에 연결되고, 토출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정수부와, 제2정수부에 연결되고,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제2정수부로부터 공급받은 상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라인과,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승압부의 정지시 토출배관 내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HIGH-PRESSURE SPRAY SYSYEM WITH WATER PUR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개분무를 위한 분사장치 작동 시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상수를 사용하여 펌프에 공급한다. 그러나 상수배관 설치가 오래된 지역의 상수는 상수배관의 부식으로 녹슨 철성분의 함유된 상수가 사용되어 펌프가동 시 펌프, 펌프부품 및 노즐의 막힘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펌프 2차측 배관에서는 펌프가 정지 된 후 배수 처리를 통해 배관 내의 상수를 회수하게 되는데, 2차측 배관의 길이, 직경 등에 의해 배관 내에 모든 상수가 회수되지 못하고 잔물이 남아있게 된다. 이러한 배관 내의 잔물은 배관 내에 오랜시간 잔존하게 되면 오염되어 이물질들이 유입되며, 분사 장치에서 재사용됨에 따라 펌프 및 노즐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117288호(2012.02.09 등록, 발명의 명칭: 수 배관을 이용한 클린룸 습도제어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다중으로 상수를 정화 할 수 있는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수 처리 후 배관 내에 잔존하고 있는 상수를 정화할 수 있는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상수(上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정수부; 상기 제1정수부와 연결된 유입배관을 통해 상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수를 승압시켜 토출배관으로 배출시키는 승압부;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정수부; 상기 제2정수부에 연결되고,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제2정수부로부터 공급받은 상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라인; 및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승압부의 정지시 상기 토출배관 내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압부는,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토출배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배관으로 유입된 상수를 설정 압력으로 가압시켜 토출배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 모듈; 및 상기 펌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측정된 상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펌프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유입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배관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펌프 모듈을 정지시키는 제1스위치부; 및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배관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펌프 모듈을 정지시키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부는, 상기 토출배관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3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 모듈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드레인라인은,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드레인배관; 및 상기 드레인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펌프 모듈의 작동이 정지된 후 상기 드레인배관을 개방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라인은, 외부로부터 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제1정수부와 연결되어 상수를 상기 제1정수부로 이송시키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정수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밸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정수부는,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유입배관에 연결되는 제1케이스부; 및 상기 제1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 내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수부는, 상기 토출배관과 상기 분사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비되는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케이스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상수를 다중으로 정화함에 따라 이물질 걸림 등에 의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제2정수부가 토출배관에 연결됨에 따라 배수 후 배관에 남아있는 상수를 다시 정화시킬 수 있어 오염된 상수가 분사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제2케이스부가 강도높은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고압의 상수에 의한 제2정수부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드레인라인에 의해 토출배관 내의 압력을 뺄 수 있어 배관의 손상 및 분사노즐의 물방울 맺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배관 내의 이상 압력 발생 시 펌프 모듈을 정지시킬 수 있어 펌프 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상수의 공급압력을 감압시킬 수 있어 정수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라인과 제1정수부 및 승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수부와 분사라인 및 드레인라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관도이다.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의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라인과 제1정수부 및 승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수부와 분사라인 및 드레인라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공급라인(10), 제1정수부(20), 승압부(50), 제2정수부(60), 분사라인(70), 드레인라인(70)을 포함한다.
공급라인(10)은 상수가 공급되고, 제1정수부(20)와 연결되어 제1정수부(20)로 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급라인(10)은 공급배관(11), 감압밸브(1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배관(1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정수부(20)에 연결된다. 공급배관(11)의 타측은 상수펌프, 상수관 등의 상수공급수단과 연결되어 상수를 공급받는다.
감압밸브(12)는 공급배관(11)에 연결되고, 공급배관(11)으로부터 유입되는 상수의 압력을 조절하여 제1정수부(20)로 향하는 상수의 압력을 낮추어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압밸브(12)는 펌프 등에 의해 공급배관(11)으로 유입되는 상수의 압력이 3bar 이상인 경우 상수의 압력을 3bar 이하로 낮추어 제1정수부(2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감압밸브(12)는 높은 압력의 상수가 제1정수부(20)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 제1정수부(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정수부(20)는 공급라인(10)과 연결되고, 공급라인(10)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정수부(20)는 제1케이스부(21)와 제1필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케이스부(21)는 공급배관(11)과 유입배관(30) 사이에 설치되고, 공급배관(11)과 유입배관(30)을 연결시킨다. 제1케이스부(21)는 제1필터부(22)에서 여과되는 상수의 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케이스부(21)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각각 공급배관(11)과 유입배관(30)에 연결되는 연결구(23)가 구비된다. 제1케이스부(10)는 연결구(23)에 의해 공급배관(11), 유입배관(30)과 상수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수밀하게 결합된다.
제1필터부(22)는 제1케이스부(21)에 내장되고, 제1케이스부(21) 내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필터부(22)는 중공형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케이스부(21) 내부에 설치된다. 제1필터부(22)에는 미크론(micron) 단위의 미세한 구멍이 형성되어 공급배관(11)으로부터 유입된 상수는 통과시키면서 상수의 입자보다 상대적으로 큰 입자를 갖는 이물질은 통과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제1필터부(22)는 도 2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케이스부(21)에 내장되어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필터부(22)는 도 2에 도시된 중공사막(UF) 필터방식뿐만 아니라 나노트랩(NT) 필터 방식, 역삼투압(RO) 필터 방식등 다양한 방식의 필터구조를 가질 수 있다.
유입배관(30)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제1필터부(23)의 연결구(23)에 연결되고, 타측이 승압부(50)에 연결되어 승압부(50)로 상수를 공급한다.
토출배관(40)은 유입배관(30)과 마찬가지로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승압부(50)에 연결되고 타측이 분사라인(70)에 연결되어 승압부(50)에 의해 압력이 상승한 고압의 상수를 분사라인(70)으로 전달한다. 토출배관(40)은 유입배관(30)에 비해 고압의 상수가 흐르게 되므로 유입배관(30)보다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배관(40)은 약 8~10mm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승압부(50)는 제1정수부(20)와 연결된 유입배관(30)을 통해 상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수를 승압시켜 토출배관(40)으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압부(50)는 펌프 모듈(51)과 제어 모듈(52)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 모듈(51)은 유입배관(30)과 토출배관(40) 사이에 설치되고, 유입배관(30)으로 유입된 상수를 가압시키도록 구성된다. 펌프 모듈(51)은 후술할 분사라인(70)이 분사노즐(72)을 통해 상수를 분무할 수 있는 압력으로 상수를 가압 시키도록 충분한 구동력으로 작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 모듈(51)은 유입배관(30)을 통해 유입된 상수에 외력을 가해 토출배관(40)으로 배출시키는 펌프(51a)와, 펌프(51a)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2b)를 포함할 수 있다.
펌프(51a)는 대략 2bar 정도의 상수가 공급되면 상수에 외력을 가해 약 40bar 이상으로 승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펌프(51a)는 어느 하나의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보형 펌프, 용적형 펌프 등 상수의 압력을 승압시킬 수 있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구동모터(52b)는 펌프(51a)에 연결되고, 회전력 등의 구동력을 발생시켜 펌프(51a)의 작동을 온/오프 또는 조절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동모터(52b)는 구동력의 크기를 조절 할 수 있어 펌프(51a)가 상수에 가할 수 있는 외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어 모듈(52)은 펌프 모듈(51)과 연결되고, 유입배관(30)과 토출배관(40)으로부터 측정된 상수의 압력에 따라 펌프 모듈(51)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모듈(52)은 제1스위치부(53)와 제2스위치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위치부(53)는 유입배관(30)에 연결되고, 유입배관(30)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펌프 모듈(51)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1 설정 압력은 펌프 모듈(51)의 펌프(51a)의 공회전을 유발시킬 수 있는 유입배관(30) 내의 상수의 압력으로 펌프(51a)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스위치부(53)는 압력측정센서등에 의해 유입배관(30)내의 상수 압력이 2bar 이하로 떨어지면 구동모터(52b)의 작동을 중지시켜 펌프(51a)의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1스위치부(53)는 유입배관(30)에 흐르는 상수의 압력이 과도하게 낮아짐에 따라 펌프(51a)가 공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스위치부(54)는 토출배관(40)에 연결되고, 토출배관(40)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펌프 모듈(51)을 정지시킨다. 여기서 제2 설정 압력은 토출배관(40)에 누수가 발생함에 따른 압력으로 분사노즐(72)의 종류, 토출배관(40)의 직경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스위치부(54)는 압력측정센서등에 의해 토출배관(40)내의 상수 압력이 40bar 이하로 떨어지면 구동모터(52b)의 작동을 중지시켜 펌프(51a)의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2스위치부(54)는 토출배관(40)이 누수됨에 따라 발생 할 수 있는 장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스위치부(54)는 토출배관(40)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3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펌프 모듈(51)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3 설정 압력은 분사노즐(72), 제2정수부(60)의 막힘 등으로 인해 토출배관(40)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압력으로 토출배관(40)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스위치부(54)는 토출배관(40)내의 과도한 압력 상승에 따른 장비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정수부(60)는 토출배관(40)에 연결되고, 토출배관(40)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된다. 제2정수부(60)는 후술할 드레인라인(80)보다 뒤쪽에 배치되도록 토출배관(4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정수부(60)는 상수가 드레인라인(80)에 의해 배수된 후에도 토출배관(40) 내의 상수를 다시 정화시켜 분사라인(70)으로 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정수부(60)는 제2케이스부(61), 제2필터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케이스부(61)는 내부가 빈 형상을 갖고, 토출배관(40)과 분사라인(70)에 양단이 수밀하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제2케이스부(61)는 유입배관(30)보다 상대적으로 고압의 상수가 흐르는 토출배관(40)에 연결되므로 제1케이스부(21)보다 높은 강도의 재질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케이스부(61)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철, 알루미늄 등의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필터부(62)는 제2케이스부(61)의 내부에 결합되고, 제2케이스부(61)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형성된다. 제2필터부(62)는 폴리 프로필렌(PP) 등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공급배관(11)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압의 상수가 유입되므로 제1필터부(22)보다 강도가 더 강한 스테인리스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필터부(62)는 스테인리스로 제작된 그물망 형상의 메쉬(mesh)필터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부(61)가 토출배관(40)에 연결된 측에 결합되도록 제2케이스부(61) 내부에 설치된다. 있다. 그러나 제2필터부(62)는 도 3에 도시된 메쉬 필터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멤브레인(membrane)필터, 백(bag)필터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분사라인(70)은 제2정수부(60)에 연결되고, 제2정수부(60)로부터 공급받은 상수를 외부로 분사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라인(70)은 분사배관(71)과 분사노즐(72)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배관(71)은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토출배관(40)과 연결되어 승압부(50)에 의해 압력이 상승된 고압의 상수를 전달받는다.
분사노즐(72)은 분사배관(71)에 연결되어 분사배관(71)으로부터 고압의 상수를 전달받아 상수를 미립자화 하여 안개의 형태로 분무한다. 이러한 분사노즐(72)은 분사배관(71)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드레인라인(80)은 토출배관으로(40)부터 분기되고, 승압부(50)의 정지시 상기 토출배관(40)내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라인(80)은 드레인배관(81), 드레인밸브(82)를 포함한다.
드레인배관(81)은 관 형상으로 구비되고, 일측이 토출배관(40)으로부터 분기되고, 타측이 개방되거나 별도의 배수탱크(83)등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드레인밸브(82)는 드레인배관(81)에 연결되어 드레인배관(81)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인밸브(82)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밸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밸브(82)는 펌프 모듈(51)의 작동이 정지되면 드레인배관(81)을 개방하고, 펌프 모듈(51)의 작동 시에는 드레인배관(81)을 폐쇄한다. 드레인밸브(82)는 제어 모듈(52) 또는 별도의 제어수단(미도시)에 연결되어 드레인배관(81)의 개폐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도 4,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의 작동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급라인(10)의 공급배관(11)을 통해 유입된 상수는 감압밸브(12)에 의해 약 3bar 이하로 감압되어 제1정수부(20)로 유입된다.
제1정수부(20)로 유입된 상수는 제1필터부(22)를 통과하면서 내부의 이물질이 1차적으로 걸러진다.
이후 상수는 제1정수부(20)에서 유입배관(30)을 따라 펌프 모듈(51)로 유입된다. 펌프 모듈(51)은 펌프(51a)에 의해 유입된 상수에 외력을 가하여 압력을 상승시키고 토출배관(40)으로 약 40bar 이상의 고압의 상수를 배출시킨다.
이후 상수는 토출배관(40)을 따라 제2정수부(60)로 유입되어 제2필터부(62)에 의해 상수 내의 이물질이 2차적으로 걸러진다. 이때 토출배관(40) 내의 상수는 드레인밸브(82)가 드레인배관(81)의 유로를 폐쇄하고 있어 드레인배관(81)으로는 흐르지 않게 된다.
이후 상수는 분사라인(70)으로 유입되고, 분사라인(70)에 연결된 분사노즐(72)에 의해 안개 형태로 외부로 분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분사노즐(72)에 의한 분무가 완료되면 펌프 모듈(51)의 작동이 중지된다. 펌프 모듈은(51) 제1스위치부(53)에 의해 유입배관(30)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작동이 중지될 수 있다. 또한 펌프 모듈(51)은 제2스위치부(54)에 의해 토출배관(40)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 이하이거나 제3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에도 작동이 중지된다.
펌프 모듈(51)의 작동이 중지됨에 따라 제어 모듈(52) 또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드레인밸브(82)가 드레인배관(81)을 개방한다. 드레인배관(81)의 일측이 대기중으로 개방됨에 따라 토출배관(40)내의 압력은 드레인배관(81)을 통해 외부로 빠지게 되고, 이에 따라 토출배관(40)내의 상수가 드레인배관(81)을 통해 배수탱크(83) 등으로 빠져나온다.
이후 다시 펌프 모듈(50)이 작동되면, 제어 모듈(52) 또는 별도의 제어수단에 의해 드레인밸브(82)가 드레인배관(81)을 다시 폐쇄한다. 이 경우, 드레인배관(81)의 직경, 길이 등에 의해 토출배관(40) 또는 드레인배관(81)내에 상수가 완전히 배수되지 못하고 남아있게 된다.
토출배관(40) 또는 드레인배관(81)내에 잔존하고 있는 상수는 펌프 모듈(51)이 작동됨에 따라 제2정수부(60)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제2정수부(60)에 의해 다시금 이물질이 걸러진다.
상술한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상수를 다중으로 정화함에 따라 이물질 걸림 등에 의한 장비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제2정수부가 토출배관에 연결됨에 따라 배수 후 배관에 남아있는 상수를 다시 정화시킬 수 있어 오염된 상수가 분사 장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제2케이스부가 강도높은 재질로 제작됨에 따라 고압의 상수에 의한 제2정수부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드레인라인에 의해 토출배관 내의 압력을 뺄 수 있어 배관의 손상 및 분사노즐의 물방울 맺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배관 내의 이상 압력 발생 시 펌프 모듈을 정지시킬 수 있어 펌프 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은 상수의 공급압력을 감압시킬 수 있어 정수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공급라인 11 : 공급배관
12 : 감압밸브 20 : 제1정수부
21 : 제1케이스부 22 : 제1필터부
23 : 연결구 30 : 유입배관
40 : 토출배관 50 : 승압부
51 : 펌프 모듈 51a : 펌프
51b : 구동모터 52 : 제어 모듈
53 : 제1스위치부 54 : 제2스위치부
60 : 제2정수부 61 : 제2케이스부
62 : 제2필터부 70 : 분사라인
71 : 분사배관 72 : 분사노즐
80 : 드레인라인 81 : 드레인배관
82 : 드레인밸브

Claims (7)

  1. 상수(上水)가 공급되는 공급라인;
    상기 공급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정수부;
    상기 제1정수부와 연결된 유입배관을 통해 상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상수를 승압시켜 토출배관으로 배출시키는 승압부;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정수부;
    상기 제2정수부에 연결되고, 분사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제2정수부로부터 공급받은 상수를 외부로 분사시키는 분사라인; 및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승압부의 정지시 상기 토출배관 내의 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드레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승압부는,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토출배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배관으로 유입된 상수를 가압시켜 토출배관으로 배출시키는 펌프 모듈; 및
    상기 펌프 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유입배관과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측정된 상수의 압력에 따라 상기 펌프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유입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유입배관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펌프 모듈을 정지시키는 제1스위치부; 및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토출배관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 이하인 경우 상기 펌프 모듈을 정지시키며, 상기 토출배관에서 측정된 상수의 압력이 제3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상기 펌프 모듈을 정지시키는 제2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설정 압력은 상기 펌프 모듈의 공회전을 유발시키는 상수의 압력이고,
    상기 제2 설정 압력은, 상기 토출배관에 누수가 발생함에 따른 상수의 압력이고,
    상기 제3 설정 압력은, 상기 토출배관의 파손이 일어날 수 있는 상수의 압력이고,
    상기 제1정수부는,
    상기 공급라인과 상기 유입배관에 연결되는 제1케이스부; 및
    상기 제1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 내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수부는,
    상기 토출배관과 상기 분사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구비되는 제2케이스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2케이스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케이스부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케이스부는 스테인리스 재질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부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비되는 그물망 형상의 메쉬필터로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라인은,
    상기 토출배관으로부터 분기되는 드레인배관; 및
    상기 드레인배관과 연결되고, 상기 펌프 모듈의 작동이 정지된 후 상기 드레인배관을 개방하는 드레인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라인은,
    외부로부터 상수를 공급받고, 상기 제1정수부와 연결되어 상수를 상기 제1정수부로 이송시키는 공급배관; 및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정수부로 유입되는 상수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감압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정수부는 상기 드레인라인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토출배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019295A 2020-02-17 2020-02-17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KR102190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95A KR102190036B1 (ko) 2020-02-17 2020-02-17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95A KR102190036B1 (ko) 2020-02-17 2020-02-17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0036B1 true KR102190036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95A KR102190036B1 (ko) 2020-02-17 2020-02-17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0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59B1 (ko) * 2022-02-10 2023-05-08 주식회사 에버디포 스마트 쿨링포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121A (ja) * 1993-03-15 1994-11-22 Mk Seiko Co Ltd スプレー式洗浄装置
KR100541036B1 (ko) * 2003-06-26 2006-01-10 방태만 정수필터를 구비한 수분무방식의 가습장치
KR101051597B1 (ko) * 2010-11-03 2011-07-22 주식회사 오클레어 인공신장기용 정수장치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0121A (ja) * 1993-03-15 1994-11-22 Mk Seiko Co Ltd スプレー式洗浄装置
KR100541036B1 (ko) * 2003-06-26 2006-01-10 방태만 정수필터를 구비한 수분무방식의 가습장치
KR101051597B1 (ko) * 2010-11-03 2011-07-22 주식회사 오클레어 인공신장기용 정수장치
KR101107284B1 (ko) * 2011-07-12 2012-01-25 주식회사 인광이앤씨 분진제거를 위한 미스트 살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59B1 (ko) * 2022-02-10 2023-05-08 주식회사 에버디포 스마트 쿨링포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485B1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US11879236B2 (en) Intake filter for water collection system with pressure activated backwash valve
KR102190036B1 (ko) 정수기능이 구비된 고압 분무 시스템
CN106082467A (zh) 防漏水净水机及其控制方法
JP2016221432A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5019094B2 (ja) 浄水装置
KR100571001B1 (ko) 방제용 동력분사장치
WO2011130522A1 (en) Mobile fluid treatment system
JP3554296B2 (ja) ろ過分離膜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ろ過装置
CN214693653U (zh) 一种城市黑臭河湖水体水质高效净化设备
KR100315968B1 (ko) 흡입진공압 해제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20240021604A (ko) 고압 분무 시스템
KR200206446Y1 (ko) 오수정화장치
JP3608227B2 (ja) 膜分離装置
JP2006116388A (ja) 散気設備および散気設備の運転方法
KR102540024B1 (ko) 워터젯을 이용한 상수도 노후관 세척시스템
JP6699346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200342078Y1 (ko) 방제용 동력분사장치
CN113731965B (zh) 用于对车辆液压制动系统处理的设备
JPH03161088A (ja) 逆浸透膜式浄水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20443563U (zh) 一种超滤膜系统集成式反冲洗装置
JPH1157706A (ja) 浄水器
CN210457765U (zh) 一种预防反渗透有机物污染的冲洗装置
KR200365421Y1 (ko) 오.폐수의 처리장치
KR0175898B1 (ko) 정수기의 정수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