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456B1 -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456B1
KR102189456B1 KR1020200004357A KR20200004357A KR102189456B1 KR 102189456 B1 KR102189456 B1 KR 102189456B1 KR 1020200004357 A KR1020200004357 A KR 1020200004357A KR 20200004357 A KR20200004357 A KR 20200004357A KR 102189456 B1 KR102189456 B1 KR 102189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yethylene
adhesive
flame
repel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델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델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델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4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4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84Application of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10Inorganic fibres
    • B32B2262/101Glass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호일층(10)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상하 양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20, 70)과; 상기 접착제층(20) 상에 접착되는 발수ㆍ난연 섬유층(30)과;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층(40)과;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및; 상기 접착제층(70) 상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및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으로 구성되어 야간의 보온덮개 효율 및 주간의 차광 효율을 동시에 탁월하게 증진시켜 다기능성 텐트 원단으로 사용에 적합하고, 글라스촙화이버와 ARG촙화이버로 발수ㆍ난연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수성 및 나연성이 뛰어나며, 접합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알루미늄 호일의 물리적으로 나 빗물이나 겨울철 눈이 내릴 경우 강수에 의해 산화 부식이 용이하지 않아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Multifunctional tent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호일층과 발수ㆍ난연 섬유층을 접착제로 접착한 발수ㆍ난연 섬유층에 T다이 작업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과 UV강화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합하고, 알루미늄 호일에는 T다이 작업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과 폴리에틸렌 마대지층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합하여 텐트 원단을 제작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재료비의 절감과 용이한 제작으로 제품의 가격을 저렴하게 하면서도 수명이 길고 야간의 보온덮개 효율 및 주간의 자외선(UV) 차광 효율을 동시에 탁월하게 증진시킨 발수성이 우수한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텐트 원단으로는 합성섬유 원단(1)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1층 내지 2층으로 코팅되어 있는 텐트 원단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 종래의 텐트 원단에 악취제거, 방수, 항균, 방염 등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내에 별도의 기능성 약제(항균제 등)들을 첨가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제조공정이 복잡해 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종 기능성 약제들을 첨가하여 후가공 공정으로 방수/항균/방염/소취 기능들을 향상시킨 종래의 텐트 원단은 사용도중 상기 기능이 점차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종래 텐트 원단은 원적외선 발산기능이 없어서 텐트내 생체 건강을 증진시키는 기능이 결여 되었다.
이와 같은 텐트 원단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개발된 것으로, 특허 제0432803호(Int.Cl.7 D06M 11/00)의 "천연 옥 함유 다기능성 텐트지"가 등록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 제0432803호의 "천연 옥 함유 다기능성 텐트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섬유 원단(1) 상에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베이스 코팅층(2)과 톱 코팅층(3)이 차례로 형성되어 있는 텐트지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코팅층(2) 또는 톱 코팅층(3) 또는 베이스 코팅층(2)과 톱코팅층(3) 내에 천연 옥 분말이 폴리우레탄 수지에 대해 각각 30 ∼ 90중량부 함유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소취성, 방수성, 방염성, 항균성 등이 반영구적으로 우수함과 동시에, 원적외선을 발산하여 건강 증진에는 크게 기여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텐트지로는 특허 제0490462호(Int.Cl.7 D06M 11/00)의 "광촉매 담지 텐트지 캔버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이 등록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상기 특허 제0490462호의 "광촉매 담지 텐트지 캔버스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표면이 광촉매로 코팅된 텐트지 캔버스로서, 텐트지 캔버스에 함유된 가소제량이, JIS-K5400에 규정된 일조 탄소 아크식 촉진 내후성 시험에서 1500 시간 경과 후, 초기와 비교하여 50 % 이상 잔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촉진내후시험 1500 시간 경과 후, 또는 옥외 노출 3 년 경과 후에, 초기와 비교하여 텐트지 캔버스에 함유된 가소제가 50 % 이상 잔존함으로써 텐트지 캔버스의 경화에 기인한 인열강도의 경시적 열화가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광촉매층 표면에 부착된 유기물계의 오염이 광촉매 작용에 의해 신속하게 분해되고, 잔존 무기계의 오물이 또한 부착제의 역할을 하는 오일과 같은 유기물계의 오물이 없기 때문에, 강우시 신속하게 세척된다는 특징이 있으며, 장시간 동안 방오성을 유지할 수 있고, 가소제가 필요 이상 손실되지 않으며, 인열강도의 경시적 열화가 촉진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텐트지는 방수 기능을 위하여 PU 코팅(Poly Urethane Coating)이 되고 그리고 자외선 차단을 위하여 실버 코팅이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텐트지는 주로 폴리우레탄으로 방수 또는 발수 기능을 위해서만 코팅이 된다. 개선된 코팅 방법으로서 폴리우레탄 코팅에 UV 차단 및 방염을 위한 코팅을 접목시킨 방법이 공지되어 있지만 주로 천막 또는 고무 보트의 코팅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므로 텐트지에 적합한 실리콘 방염 및 자외선 처리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텐트지에 실리콘 코팅으로 처리를 하는 경우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능성 물질을 고착을 시킴으로서 방염, UV 차단 및 항균성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실리콘 코팅으로 텐트지를 처리함으로 종래 방수 및 발수와 같은 한정된 기능만이 나타나도록 하는 PU 코팅의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실리콘 코팅으로서 텐트지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서 기능성 텐트의 제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한 종래의 PU 코팅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향상된 기능을 가진 기능성 텐트지의 제조를 위해 종래에 개발된 기술로서, 특허 제0644792호(Int.Cl.7 D06M 15/643)의 "실리콘 코팅 텐트지 및 코팅방법"이 등록특허공보에 게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상기 특허 제0644792호의 "실리콘 코팅 텐트지 및 코팅방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팅이 된 텐트지 원단(21)에 있어서, 실리콘 및 방염제를 포함하는 제1 코팅층(23); 실리콘, 방염제 및 UV 차단제를 포함하는 제2 코팅층(25)을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고, 제1 코팅층(23)은 실리콘 액 + 방염제로 이루어지고, 제2 코팅층(25)은 실리콘 액 + 방염제 + UV 차단제로 이루어져 기능성 코팅을 형성함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PU제품에 비하여 경량이 될 수 있고, 또한 기능성 코팅은 방염, UV 차단 및 항균성을 가지므로 전문 산악 및 레져용 텐트의 소재로 활용이 될 수 있고, 또한 그밖에 산업용 소재로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특허 제0644792호의 "실리콘 코팅 텐트지 및 코팅방법"은 내구성이 우수하고 경량인 장점이 있는 것이지만, 텐트의 특성인 주간 차광의 면에서 차광 효율이 낮은 결점 뿐만 아니라 야간에는 보온이 잘 되지 않아 전문 산악 및 레져용 텐트의 텐트지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특허 제2025230호(Int.Cl.7 D06M 11/00)의 "적외선 차폐용 텐트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열차단 텐트원단"이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상기 특허 제2025230호의 "적외선 차폐용 텐트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열차단 텐트원단"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트원단에 적외선 흡수물질을 웨트 코팅하여 적외선 흡수층을 형성하는 하도 코팅단계; 상기 적외선 흡수층 위에 적외선 반사물질을 스퍼터링 공정에 의해 코팅하여 적외선 반사층을 형성하는 중도 코팅단계; 및 상기 적외선 반사층 위에 웨트 코팅하여 적외선 반사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형성하는 상도 코팅단계;로 이루어져 텐트원단(10) 상에, 적외선 흡수층(11), 적외선 반사층(12) 및 보호층(13)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형성된 것으로, 적외선 차단 성능을 배가시킬 수 있고, 코팅제에 포함된 부가 성분에 의해 방수, 방매 및 방염의 기능도 병행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2025230호의 "적외선 차폐용 텐트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열차단 텐트원단"은 적외선 차폐로 인한 열차단으로 기온이 떨어지는 야간에 텐트 내부가 보온되지 않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방수는 되지만 텐트원단 자체에 습기가 스며들어 텐트를 사용 후 접어서 보관하기 전에 텐트를 말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 특허 제0432803호 등록특허공보 2 : 특허 제0490462호 등록특허공보 3 : 특허 제0644792호 등록특허공보 4 : 특허 제2025230호 공개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의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알루미늄 호일층과 발수ㆍ난연 섬유층을 접착제로 접착한 발수ㆍ난연 섬유층에 T다이 작업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과 UV강화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합하고, 알루미늄 호일에는 T다이 작업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과 폴리에틸렌 마대지층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합하여 제작함으로써 야간의 보온효율 및 주간의 차광 효율을 동시에 탁월하게 증진시켜 텐트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한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글라스촙화이버와 ARG촙화이버로 발수ㆍ난연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수성 및 나연성이 뛰어난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알루미늄 호일과의 접합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물리적이나 또는 빗물이나 겨울철 눈이 내릴 경우 강수에 의해 알루미늄 호일의 산화 부식이 용이하지 않아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내후성이 뛰어난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재료비의 절감과 단순한 제조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은 알루미늄 호일층(10)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상하 양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20, 70)과; 상기 접착제층(20) 상에 접착되는 발수ㆍ난연 섬유층(30)과;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층(40)과;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및; 상기 접착제층(70) 상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및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호일층과 발수ㆍ난연 섬유층을 접착제로 접착한 발수ㆍ난연 섬유층에 T다이 작업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과 UV강화 폴리에틸렌 필름층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합하고, 알루미늄 호일에는 T다이 작업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과 폴리에틸렌 마대지층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합하여 차광막을 제작함으로써 야간의 보온덮개 효율 및 주간의 차광 효율을 동시에 탁월하게 증진시켜 텐트지로서의 사용에 적합하고, 글라스촙화이버와 ARG촙화이버로 발수ㆍ난연 섬유층을 형성함으로써 발수성 및 나연성이 뛰어나며, 접합면이 쉽게 벗겨지지 않아 알루미늄 호일의 물리적으로 나 빗물이나 겨울철 눈이 내릴 경우 강수에 의해 산화 부식이 용이하지 않아 장기간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수명이 길 뿐만 아니라 구조가 단순하여 간단한 제조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텐트지의 단면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종래 코팅 방법의 실시를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단계별로 코팅이 이루어진 종래 텐트지 원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종래 텐트 원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 제조공정별 형성되는 텐트 원단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의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 제조공정별 형성되는 텐트 원단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을 제조하는 공정 순서도로서,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은 알루미늄 호일층(10)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상하 양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20, 70)과; 상기 접착제층(20) 상에 접착되는 발수ㆍ난연 섬유층(30)과;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층(40)과;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및; 상기 접착제층(70) 하면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및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하면에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바람직한 두께는 5㎛ ∼ 9㎛이고 두께 6㎛ ∼ 7㎛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두께가 5㎛ 보다 얇으면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이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적층 공정에서 알루미늄 호일층(10)이 쉽게 끊어져 수율이 떨어지고,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두께가 9㎛보다 두꺼우면,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가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접착제층(20, 40, 70)으로는 2액형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아크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은 글라스촙화이버 50중량%와 ARG촙화이버 50중량%로 조성되는 것으로,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의 바람직한 두께는 11㎛ ∼ 13㎛ 이다.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의 두께가 11㎛ 보다 얇으면, 발수성 및 난연성이 부족하게 되거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적층 공정에서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이 끊어져 형성되는 구멍으로 빗물이 흘러 알루미늄 호일층(10)을 산화 부식시키고,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의 두께가 13㎛보다 두꺼우면,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지고 가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의 바람직한 두께는 15㎛ ∼ 18㎛ 이고,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의 바람직한 두께는 20㎛ ∼ 25㎛ 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과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의 두께를 합친 두께가 35㎛ 보다 얇으면,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과 합지 작업시 장력에 의해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이 늘어나 숙성실에서 숙성시 적층 작업시 가해진 장력이 회복되면서 적층품에 주름이 발생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과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의 두께를 합친 두께가 43㎛ 보다 두꺼우면, 제품이 무거워지고 재료의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은 폴리에틸렌 96 ∼ 99.5중량%와 UV 차단제 0.5 ∼ 3중량%로 조성되고, UV 차단제로는 UV강화 수지, UV강화 실리콘, UV강화 에폭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조성에서 UV 차단제가 0.5중량% 보다 적으면, UV에 의해 필름이 손상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고, UV 차단제가 3중량% 보다 많으면,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의 바람직한 두께는 10㎛ ∼ 15㎛ 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의 바람직한 두께는 15㎛ ∼ 20㎛ 이다.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과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의 두께를 합친 두께가 25㎛ 보다 얇으면, 상기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의 단차가 극복되지 않아 완벽한 접착을 이룰 수 없으며,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과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의 두께를 합친 두께가 35㎛ 두꺼우면, 제품이 무거워지고 재료의 증가로 가격이 상승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 제조방법은 6㎛ ∼ 7㎛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층(10)을 프레스롤을 통해 접착제에 통과시켜 알루미늄 호일층(10)에 접착제층(20)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제 1 접착제 도포공정(S1공정)과; 상기 접착제층(20)과 11㎛ ∼ 13㎛의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을 프레스롤을 통과시켜 접착한 후 안내롤을 거쳐 덕터를 통과시켜 90℃ ∼ 110℃에서 경화시키는 발수ㆍ난연 섬유층 형성공정(S2공정)과;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을 1급지로 공급하고 접착제와 용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챔버에서 40 ∼ 80℃로 용제를 건조시켜 접착제층(40)을 형성하는 제 2 접착제 도포공정(S3공정)과;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를 통해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을 압출 코팅하여 형성하면서 2급지에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을 공급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15㎛ ∼ 18㎛ 두께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과 20㎛ ∼ 25㎛ 두께의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을 적층시킨 후 숙성실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접착제층(40)을 경화시키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 형성공정(S4공정)과; 상기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을 1급지로 공급하고 접착제와 용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챔버에서 40 ∼ 80℃로 용제를 건조시켜 접착제층(70)을 형성하는 제 3 접착제 도포공정(S5공정) 및; 상기 접착제층(70) 하면에 T다이를 통해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을 압출 코팅하여 형성하면서 2급지에 폴리에틸렌 마대지를 공급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10㎛ ∼ 15㎛ 두께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과 15㎛ ∼ 20㎛ 두께의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을 적층시킨 후 숙성실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접착제층(70)을 경화시키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및 폴리에틸렌 마대지층 형성공정(S6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실제로 제조한 다음 제조된 본 발명 다기능성 텐트 원단(P)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트(X)로 제작하여 사용할 때 주간에는 텐트(X) 내부로 조사되는 햇빛과 열을 차단하게 되고, 야간에는 보온덮개로 작용하게 된다.
실시예 1
본 발명 도 8에 도시한 순서도의 공정으로 다기능성 텐트 원단을 실제로 제작하고 그 성능을 검토하였다.
먼저 제 1 접착제 도포공정(S1공정)에서 6㎛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층(10)을 프레스롤을 통해 접착제에 통과시켜 알루미늄 호일층(10)에 접착제층(20)을 도포하여 형성하고(도 6a), 발수ㆍ난연 섬유층 형성공정(S2공정)에서 접착제층(2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과 12㎛ 두께의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을 프레스롤을 통과시켜 접착한 후 안내롤을 거쳐 덕터를 통과시켜 100℃에서 경화시켰다(도 6b).
이어서 제 2 접착제 도포공정(S3공정)에서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을 프레스롤을 통해 접착제에 통과시켜 발수ㆍ난연 섬유층(30)에 접착제층(40)을 도포하여 형성하고(도 6c),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 형성공정(S4공정)에서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를 통해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을 압출 코팅하여 형성하면서 2급지에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을 공급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16㎛ 두께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과 23㎛ 두께의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을 적층시킨 후 숙성실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접착제층(40)을 경화시켰다(도 6d).
다음으로 제 3 접착제 도포공정(S5공정)에서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을 1급지로 공급하고 접착제와 용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챔버에서 60℃로 용제를 건조시켜 접착제층(70)을 형성하였다(도 6e).
마지막 공정으로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및 폴리에틸렌 마대지층 형성공정(S5공정)에서 상기 접착제층(70) 하면에 T다이를 통해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을 압출 코팅하여 형성하면서 2급지에 폴리에틸렌 마대지를 공급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13㎛ 두께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과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하면에 18㎛ 두께의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을 적층시킨 후 숙성실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접착제층(70)을 경화시켰다(도 6f).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제조된 다기능성 텐트 원단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텐트로 만들어 사용하고, 다기능성 텐트 원단의 시료(가로 × 세로 = 100㎝ × 100㎝) 10개를 한국소방검정공사에 의뢰하여 KSF2271(난연성시험)의 규정에 따라 난연성을 측정한 결과 난연 1급의 판정을 받아 불연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텐트에 채용시 빗물이나 눈이 녹으면서 다기능성 텐트 원단 내부 알루미늄 호일층(10)으로 물이 스며들지 않아 물에 의해 발수ㆍ난연 섬유층(30)에서 알루미늄 호일층(10)이 부분적으로 떨어져 형성되는 부분적인 물주머니가 형성되지 않았고, 그로 인해 알루미늄 호일층(10)이 산화되어 부식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할 수 있었으며, 텐트의 주간 차광 효율 및 야간 보온 효율이 뛰어남도 확인하였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알루미늄 호일층 20, 40, 70 : 접착제층
30 : 발수ㆍ난연 섬유층 50, 80 :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60 :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 90 : 폴리에틸렌 마대지층
P : 다기능성 텐트 원단 X : 텐트

Claims (5)

  1. 알루미늄 호일층(10)과;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상하 양면에 도포되는 접착제층(20, 70)과; 상기 접착제층(20) 상에 접착되는 발수ㆍ난연 섬유층(30)과;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 상에 도포되는 접착제층(40)과;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 및; 상기 접착제층(70) 하면에 T다이 압출작업으로 샌드위치 방식으로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및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 하면에 접착되는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으로 구성된 다기능성 텐트 원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호일층(10)의 두께는 6㎛ ∼ 7㎛,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의 두께는 11㎛ ∼ 13㎛,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50)의 두께는 15㎛ ∼ 18㎛, 상기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의 두께는 20㎛ ∼ 25㎛, 상기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의 두께는 10㎛ ∼ 15㎛, 상기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의 두께는 15㎛ ∼ 2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텐트 원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20, 40, 70)은 2액형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아크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텐트 원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은 글라스촙화이버 50중량%와 ARG촙화이버 50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텐트 원단.
  5. 6㎛ ∼ 7㎛ 두께의 알루미늄 호일층(10)을 프레스롤을 통해 접착제에 통과시켜 알루미늄 호일층(10)에 접착제층(20)을 도포하여 형성하는 제 1 접착제 도포공정(S1공정)과; 상기 접착제층(20)과 11㎛ ∼ 13㎛의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을 프레스롤을 통과시켜 접착한 후 안내롤을 거쳐 덕터를 통과시켜 90℃ ∼ 110℃에서 경화시키는 발수ㆍ난연 섬유층 형성공정(S2공정)과; 상기 발수ㆍ난연 섬유층(3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을 1급지로 공급하고 접착제와 용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챔버에서 40 ∼ 80℃로 용제를 건조시켜 접착제층(40)을 형성하는 제 2 접착제 도포공정(S3공정)과; 상기 접착제층(40) 상에 T다이를 통해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을 압출 코팅하여 형성하면서 2급지에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을 공급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15㎛ ∼ 18㎛ 두께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50)과 20㎛ ∼ 25㎛ 두께의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을 적층시킨 후 숙성실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접착제층(40)을 경화시키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및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 형성공정(S4공정)과; 상기 자외선(UV) 차단 폴리에틸렌 필름층(60)이 형성된 알루미늄 호일층(10)을 1급지로 공급하고 접착제와 용제가 혼합된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챔버에서 40 ∼ 80℃로 용제를 건조시켜 접착제층(70)을 형성하는 제 3 접착제 도포공정(S5공정) 및; 상기 접착제층(70) 하면에 T다이를 통해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을 압출 코팅하여 형성하면서 2급지에 폴리에틸렌 마대지를 공급하여 샌드위치 방식으로 10㎛ ∼ 15㎛ 두께의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80)과 15㎛ ∼ 20㎛ 두께의 폴리에틸렌 마대지층(90)을 적층시킨 후 숙성실에서 48시간 동안 보관하여 접착제층(70)을 경화시키는 폴리에틸렌 압출코팅층 및 폴리에틸렌 마대지층 형성공정(S6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다기능성 텐트 원단 제조방법.
KR1020200004357A 2020-01-13 2020-01-13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189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57A KR102189456B1 (ko) 2020-01-13 2020-01-13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357A KR102189456B1 (ko) 2020-01-13 2020-01-13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456B1 true KR102189456B1 (ko) 2020-12-11

Family

ID=7378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357A KR102189456B1 (ko) 2020-01-13 2020-01-13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4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0161A (zh) * 2022-11-04 2023-05-09 宿迁市佳鑫布业有限公司 一种阻燃防紫外线遮阳篷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803B1 (ko) 2001-06-07 2004-05-22 주식회사성원산업 천연 옥 함유 다기능성 텐트지
KR100490462B1 (ko) 2000-02-08 2005-05-17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광촉매 담지 텐트지 캔버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396429Y1 (ko) * 2005-07-12 2005-09-21 최광원 인삼재배용 차양막
KR100644792B1 (ko) 2005-09-20 2006-11-14 이기오 실리콘 코팅 텐트지 및 코팅 방법
KR100735153B1 (ko) * 2006-10-16 2007-07-03 안진상 농업용 차광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191A (ko) * 2008-01-23 2009-07-28 안진상 난연성 농업용 보온 차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3907A (ko) * 2008-08-01 2010-02-10 유화산업주식회사 포장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5504379A (ja) * 2011-11-17 2015-02-12 シン,ヨン−スゥン 不燃断熱シートとそ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5230B1 (ko) 2018-02-06 2019-09-25 (주)나노피엔씨 적외선 차폐용 텐트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열차단 텐트원단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462B1 (ko) 2000-02-08 2005-05-17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광촉매 담지 텐트지 캔버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32803B1 (ko) 2001-06-07 2004-05-22 주식회사성원산업 천연 옥 함유 다기능성 텐트지
KR200396429Y1 (ko) * 2005-07-12 2005-09-21 최광원 인삼재배용 차양막
KR100644792B1 (ko) 2005-09-20 2006-11-14 이기오 실리콘 코팅 텐트지 및 코팅 방법
KR100735153B1 (ko) * 2006-10-16 2007-07-03 안진상 농업용 차광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191A (ko) * 2008-01-23 2009-07-28 안진상 난연성 농업용 보온 차광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3907A (ko) * 2008-08-01 2010-02-10 유화산업주식회사 포장지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5504379A (ja) * 2011-11-17 2015-02-12 シン,ヨン−スゥン 不燃断熱シートとそ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25230B1 (ko) 2018-02-06 2019-09-25 (주)나노피엔씨 적외선 차폐용 텐트원단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열차단 텐트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0161A (zh) * 2022-11-04 2023-05-09 宿迁市佳鑫布业有限公司 一种阻燃防紫外线遮阳篷布及其制备方法
CN116080161B (zh) * 2022-11-04 2024-04-09 宿迁市佳鑫布业有限公司 一种阻燃防紫外线遮阳篷布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7370A (en) Ir-reflecting, water vapor-permeable flexible web
AU689308B2 (en) Oil-barrier waterproofing membrane laminate
US4054711A (en) Composite insulation jacket
US20060281379A1 (en) Breathable, water resistant fabric
RU2633152C2 (ru) Кровельная изоляция
NL2016897B1 (en) Composite sheet material useful as vehicle roof panel,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KR102189456B1 (ko) 다기능성 텐트 원단 및 그 제조방법
JP2010261212A (ja) アスファルトルーフィングとこれを用いた屋根構造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20110033658A1 (en) Composition of a radiation reflecting breather membrane
US20040127120A1 (en) High strength polymeric composite laminate for use as a roofing underlayment
US4013812A (en) Laminated fabric
JP2009509816A (ja) 合成膜
US3899622A (en) Laminated fabric
CN112601661A (zh) 具有透光性和拉伸性的多层复合材料
GR1009427B (el) Προηγμενο αναπνεον πολυστρωμο για οροφες
CA2708993A1 (en) A hail-resistant roofing membrane and method for making same
GB2212417A (en) Adhesive waterproofing structure
KR102196839B1 (ko) 차광용 천막지 및 그 제조방법
JP3027443B2 (ja) 建築物被覆材
DE202016004544U1 (de) Folienabdeckung für ein Schwimmbad mit Solar- und Isoliereffekt
US20110162298A1 (en) Two layers extensible band for external protection of building structures
WO2012073224A1 (en) A material for coating waterproofing surfaces and method of coating waterproofing surfaces
DE1704909B2 (de) Abdichtungsbahn aus faserverstaerkten elastomeren
BG60905B1 (bg) Втвърдяващ се пластичен листов материал и метод за получаването м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