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242B1 -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 Google Patents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242B1
KR102189242B1 KR1020200019773A KR20200019773A KR102189242B1 KR 102189242 B1 KR102189242 B1 KR 102189242B1 KR 1020200019773 A KR1020200019773 A KR 1020200019773A KR 20200019773 A KR20200019773 A KR 20200019773A KR 102189242 B1 KR102189242 B1 KR 10218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feed
output
antenna device
transmission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박재돈
박종성
강인웅
김문일
이경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00019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06Microstrip slot antenna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04Fixed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5/00Devices for reflection, refraction, diffraction or polarisation of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e.g. quasi-optical devices
    • H01Q15/02Refracting or diffracting devices, e.g. lens, pris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erials With Secondary Device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는, 전파 전송을 위한 플렉시블 전송로를 포함하는 전송부, 플렉시블 전송로에 대하여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입출력부, 입출력부에 의한 신호의 입출력 위치에 플렉시블 전송로가 위치되도록 전송부 및 입출력부를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입출력부는 기판 상부에 접지면이 형성되며 접지면 및 기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슬롯 안테나, 접지면의 중앙영역의 상부에 걸쳐 디퍼렌셜 구조로 구성되어 양단의 끝이 슬롯을 각각 가로질러 접지면에 단락된 급전 피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INPUT/OUTPUT FEED ANTENNA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시블(flexible) 전송로를 통하여 전파 전송을 하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를 유선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동축선 형태의 케이블을 사용하거나 금속 구조물인 도파관을 사용한다. 그런데, 밀리미터파(Millimeter Wave)와 같은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동축선 형태의 케이블을 사용하게 되면 주파수 증가에 따라 손실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주파수가 높은 시스템의 유선 신호 전달 시스템은 동축선 형태의 케이블보다는 도파관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금속 구조물인 도파관 시스템은 동축선 케이블과 같은 유연성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시스템 구성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또한, 금속 도파관의 경우에도 테라헤르츠 대역과 같은 높은 주파수 영역에서는 금속 표면에서 발생하는 옴 손실(ohmic loss)이 높아지기 때문에 손실을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4625호, 등록일자 2019년 10월 15일.
일 실시예에 따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밀리미터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손실이 문제되지 않도록 플렉시블 전송로를 이용하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관점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는, 전파 전송을 위한 플렉시블 전송로를 포함하는 전송부;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에 대하여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입출력부; 상기 입출력부에 의한 상기 신호의 입출력 위치에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가 위치되도록 상기 전송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기판 상부에 접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면 및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슬롯 안테나; 상기 접지면의 중앙영역의 상부에 걸쳐 디퍼렌셜(differential) 구조로 구성되어 양단의 끝이 상기 슬롯을 각각 가로질러 상기 접지면에 단락된 급전 피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기판의 후면부와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 사이에, 반구면이 상기 블렉시블 전송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반구형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롯 안테나에는 상기 슬롯이 상기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슬롯과 상기 급전 피드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급전 피드는, 신호 급전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슬롯의 위치 사이에 각각 오픈-스터브(open-stu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픈-스터브는 상기 신호 급전 위치보다 상기 슬롯의 위치가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오픈-스터브는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는, 플렉시블 파이버(flexible fiber)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쪽에서 바라볼 때에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사각형 형상인 기판의 중앙영역에 상기 반구형 렌즈가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각형 형상인 기판의 네 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지지 구조체가 상기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의 끝단의 네 점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파이버(flexible fiber) 도파관 등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플렉시블 전송로를 이용함으로써, 플렉시블 전송로에 의하여 동축선 케이블의 성질인 유연성이 제공되기 때문에 동축선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구성에 제한이 없고, 플렉시블 전송로 내에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행 모드인 HE11 모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손실이 문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입출력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입출력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슬롯 안테나의 전면부의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슬롯 안테나의 후면부의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입출력부에 대하여 밀리미터 대역인 100 GHz에서 동작하는 반사 계수 성능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입출력부의 E-plane 및 H-plane 패턴 성능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도 9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 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름을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입출력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입출력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슬롯 안테나의 전면부의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를 구성하는 슬롯 안테나의 후면부의 나타낸 구성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는 전송부(110), 입출력부(120) 및 지지부(130)를 포함한다.
전송부(110)는 전파 전송을 위한 플렉시블 전송로(1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시블 전송로(111)는 플렉시블 파이버(flexible fiber) 도파관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20)는 플렉시블 전송로(111)에 대하여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입출력부(120)에 의한 신호의 입출력 위치에 플렉시블 전송로(111)가 위치되도록 전송부(110) 및 입출력부(120)를 고정한다.
입출력부(120)는 슬롯 안테나(121) 및 급전 피드(122)를 포함하며, 반구형 렌즈(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렉시블 전송로(111)가 포함할 수 있는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등과 같이 파이버 형태의 도파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HE11 모드는 공기 중에서 전파가 진행하는 가우시안(Gaussian) 빔의 형태와의 신호 변환 효율이 매우 높다는 것을 고려하여, 가우시안 빔과 유사한 방사 필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입출력부(120)를 구현할 수 있다.
입출력부(120)가 가우시안 빔과 유사한 방사 필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슬롯 안테나(121)는 기판(1211) 상부에 접지면(1212)이 형성될 수 있고, 접지면(1212) 및 기판(1211)을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1213)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 안테나(121)에는 슬롯(1213)이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한 쌍이 배치될 수 있고, 한 쌍의 슬롯(1213)과 급전 피드(122)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단일의 피드 구조에 두 개의 슬롯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가우시안 빔과 유사한 필드를 구성할 수 있도록 E-plane 패턴과 H-plane 패턴의 방향에서 패턴 성능이 일치하는 성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기판(1211)은 플렉시블 전송로(111) 쪽에서 바라볼 때에 사각형 형상일 수 있고, 사각형 형상인 기판(1211)의 중앙영역에 반구형 렌즈(123)가 부착될 수 있으며, 지지부(130)는 사각형 형상인 기판(1211)의 네 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위치하는 제 1 지지 구조체(131), 제 2 지지 구조체(132), 제 3 지지 구조체(133) 및 제 4 지지 구조체(도시 생략됨)가 플렉시블 전송로(111)의 끝단의 네 점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급전 피드(122)는 접지면(1212)의 중앙영역의 상부에 걸쳐 디퍼렌셜(differential) 구조로 구성되어 양단의 끝이 슬롯(1213)을 각각 가로질러 접지면(1212)에 단락될 수 있다.
반구형 렌즈(123)는 기판(1211)의 후면부와 플렉시블 전송로(111) 사이에, 반구면이 블렉시블 전송로(111)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안테나 구조에 반구형 렌즈(123)를 장착함으로써, 슬롯 안테나(121)에서 발생하는 빔의 웨이스트(waist)를 플렉시블 전송로(111)의 입력 부분과 매칭시킴으로써, 슬롯 안테나(121)와 플렉시블 전송로(111)의 신호 변환 효율이 최대가 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반구형 렌즈(123)는 슬롯 안테나(121)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빔 웨이스트 길이를 플렉시블 전송로(111)의 크기와 매칭을 시켜 최대 신호 변환 효율을 제공함으로써, 입출력부(120)에서 플렉시블 전송로(111) 외로 방사되는 전력을 최소화 한다. 예를 들어, 반구형 렌즈(123)는 저손실의 실리콘(Si) 구조를 사용할 수 있지만, 기판()과 유사한 유전율의 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 더 높은 효율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급전 피드(122)는 신호 급전 위치(1221)와 한 쌍의 슬롯(1213)의 위치 사이에 각각 오픈-스터브(open-stub)(1222)가 배치될 수 있다. 오픈-스터브(1222)는 신호 급전 위치(1221)보다 슬롯(1213)의 위치가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오픈-스터브(1222)는 슬롯(1213)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오픈-스터브(1222)를 배치하면 E-plane 패턴과 H-plane 패턴을 일치시키기 위해 발생하는 동작 주파수 천이 문제를 주파수 성능의 보정을 통하여 해소할 수 있다. 즉, 오픈-스터브(1222)는 E-plane 패턴과 H-plane 패턴을 일치시키기 위해 벗어나게 되는 동작 주파수를 원하는 동작 주파수 대역으로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를 구성하는 입출력부(120)에 대하여 밀리미터 대역인 100 GHz에서 동작하는 반사 계수 성능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입출력부(120)의 E-plane 및 H-plane 패턴 성능을 나타내는 도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의 입출력부(120)는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으로의 신호 전달 최적화를 목표로 설계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에서 진행할 수 있는 HE11 모드 인가를 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 모드를 급전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입구에 가우시안 빔을 입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가우시안 빔과 HE11 모드의 전환 효율이 98 %로 매우 높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최적의 입출력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입출력부(120)가 가우시안 빔과 유사한 빔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가우시안 빔과 유사하도록 E-plane와 H-plane 방향에서 패턴 성능이 일치하는 성능이 필요한 것이며, 도 7에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를 구성하는 입출력부(120)가 해당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는 슬롯 안테나(121)에 형성된 두 슬롯의 길이와 거리 비율을 조절하여 E-plane과 H-plane 패턴을 일치시키는 설계를 사용했으며, 오픈-스터브(1222)는 E-plane과 H-plane 패턴을 일치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주파수 천이 문제를 보정하여 원하는 주파수에서 슬롯 안테나(121)가 동작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9는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서 가우시안 빔의 진행 예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고, 도 10은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내부에서 가우시안 빔의 HE11 모드에 의한 진행 예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1은 도 10의 진행 예시에 대응하는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내부에서 HE11 모드(902)의 단면도이다. 도 10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살펴보면,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의 입구에 가우시안 빔 웨이스트(901)가 위치하는 경우 HE11 모드로 전환되어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을 따라 흐르는 필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가우시안 빔과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사이에 매칭이 되지 않은 경우에 가우시안 빔의 진행 예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2를 살펴보면, 방사로 인해 신호의 전력 손실(903)이 발생하는 필드 분포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와 같은 필드 방사 손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반구형 렌즈(123)이다. 반구형 렌즈(123)는 슬롯 안테나(121)에서 방사하는 방사 패턴을 모아주는 기능을 수행하여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의 입구 크기에 매칭되는 빔 형성을 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최소의 손실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도 13은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의 슬롯 안테나(121)를 반구형 렌즈(123) 없이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에 직접 결합한 경우의 전력 손실(903)의 필드 분포를 나타낸 것이고, 도 14은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의 슬롯 안테나(121)를 반구형 렌즈(123) 없이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시킨 경우의 전력 손실(903)의 필드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 및 도 14를 살펴보면, 필드의 일부분은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의 내부로 진행하지만, 대부분이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외부로 방사하여 큰 전력 손실을 보여주는 것을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5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100)의 슬롯 안테나(121)에 반구형 렌즈(123)가 결합된 입출력부(120)의 경우에 입출력부(120)와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내부에서 가우시안 빔의 HE11 모드(902)에 의한 진행 예시를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이다. 도 15의 아래쪽 도면은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내부에서 HE11 모드(902)의 단면도이다. 도 15를 살펴보면, 반구형 렌즈(123)를 사용하는 경우에 신호의 대부분이 방사하지 않고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으로 급전되어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슬롯 안테나(121)에 의해 생성된 가우시안 빔을 반구형 렌즈(123)를 통과시켜 가우시안 빔 웨이스트를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입구에서 매칭시켜주는 경우에 전달 효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등으로 구현할 수 있는 플렉시블 전송로를 이용함으로써, 플렉시블 전송로에 의하여 동축선 케이블의 성질인 유연성이 제공되기 때문에 동축선 케이블과 마찬가지로 시스템 구성에 제한이 없고, 플렉시블 전송로 내에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진행 모드인 HE11 모드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밀리미터파 이상의 높은 주파수의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케이블 손실 및 금속 손실 등의 손실이 문제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110: 전송부
120: 입출력부 121: 슬롯 안테나
1211: 기판 1212: 접지면
1213: 슬롯 122: 급전 피드
1221: 신호 급전 위치 1222: 오픈-스터브
123: 반구형 렌즈 130: 지지부

Claims (8)

  1. 전파 전송을 위한 플렉시블(flexible) 전송로를 포함하는 전송부;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에 대하여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는 입출력부; 및
    상기 입출력부에 의한 상기 신호의 입출력 위치에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가 위치되도록 상기 전송부 및 상기 입출력부를 고정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출력부는, 기판 상부에 접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접지면 및 상기 기판을 관통하는 복수의 슬롯이 형성된 슬롯 안테나; 및
    상기 접지면의 중앙영역의 상부에 걸쳐 디퍼렌셜(differential) 구조로 구성되어 양단의 끝이 상기 슬롯을 각각 가로질러 상기 접지면에 단락된 급전 피드를 포함하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기판의 후면부와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 사이에, 반구면이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를 향하도록 배치된 반구형 렌즈를 더 포함하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안테나에는 상기 슬롯이 상기 중앙영역을 기준으로 대칭하도록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슬롯과 상기 급전 피드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된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 피드는, 신호 급전 위치와 상기 한 쌍의 슬롯의 위치 사이에 각각 오픈-스터브(open-stub)가 배치된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스터브는 상기 신호 급전 위치보다 상기 슬롯의 위치가 더 가까운 곳에 배치된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스터브는 상기 슬롯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전송로는, 플렉시블 파이버(flexible fiber) 도파관을 포함하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 쪽에서 바라볼 때에 사각형 형상이고,
    상기 사각형 형상인 기판의 중앙영역에 상기 반구형 렌즈가 부착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사각형 형상인 기판의 네 개의 꼭지점 부근에 각각 위치하는 네 개의 지지 구조체가 상기 플렉시블 파이버 도파관의 끝단의 네 점을 각각 지지하는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KR1020200019773A 2020-02-18 2020-02-18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KR10218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73A KR102189242B1 (ko) 2020-02-18 2020-02-18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773A KR102189242B1 (ko) 2020-02-18 2020-02-18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242B1 true KR102189242B1 (ko) 2020-12-09

Family

ID=7378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773A KR102189242B1 (ko) 2020-02-18 2020-02-18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2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396A (ko) * 2001-01-20 2002-07-26 한현길 기지국용 광대역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KR20050049630A (ko) * 2003-11-22 2005-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평판형 방사소자를 이용한 원형편파용 혼 안테나
KR20180039593A (ko) * 2018-03-27 2018-04-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온 칩 안테나
KR20190000320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센서뷰 고 이득 안테나
KR102034625B1 (ko) 2018-10-12 2019-10-21 주식회사 기가레인 이득 및 사이드 로브 특성이 개선된 안테나 모듈, 배열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396A (ko) * 2001-01-20 2002-07-26 한현길 기지국용 광대역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 및 그 설계방법
KR20050049630A (ko) * 2003-11-22 2005-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평판형 방사소자를 이용한 원형편파용 혼 안테나
KR20190000320A (ko) * 2017-06-22 2019-01-02 주식회사 센서뷰 고 이득 안테나
KR20180039593A (ko) * 2018-03-27 2018-04-1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온 칩 안테나
KR102034625B1 (ko) 2018-10-12 2019-10-21 주식회사 기가레인 이득 및 사이드 로브 특성이 개선된 안테나 모듈, 배열 안테나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200B2 (en) Antenna device, array antenna, multi-sector antenna, high-frequency wave transceiver
JP5514325B2 (ja) アンテナ装置
US6445354B1 (en) Aperture coupled slot array antenna
US9502778B2 (en) Antenna apparatus less susceptible to surround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JPH11317615A (ja) 多周波マイクロストリップアンテナと前記アンテナを備える装置
EP3764462A1 (en) Antenna device for beam steering and focusing
WO2019211908A1 (ja) 導波管スロットアレーアンテナ
US20160352000A1 (en) Antenna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20150333408A1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EP3404766B1 (en) Waveguide circuit
US11664882B2 (en) Radio wave repeater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2189242B1 (ko) 입출력 피드 안테나 장치
US7612732B2 (en) Antenna with stripline splitter circuit
WO2022085653A1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レーダ装置
JP4127087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無線装置
KR101754022B1 (ko) 빔조향이 가능한 전방향성 수직 배열 안테나
JP6216267B2 (ja) アンテナ用ユニット
EP1537627B1 (en) Rlsa antenna having two orthogonal linear polarisations
KR20090122458A (ko) 테이퍼진 슬롯 안테나
KR20110057658A (ko) 접지부에 슬롯이 형성된 페이즈 쉬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JP2020115619A (ja) 導波管−伝送線路変換器、導波管スロットアンテナ、および導波管スロットアレーアンテナ
EP3499638A1 (en) Waveguide strip line transducer and power feed circuit
KR102146465B1 (ko) 비대칭 구조로 설계되는 조정부를 구비한 이중편파 도파관 안테나
WO2021215161A1 (ja) 多モード導波管アンテナ
US3496571A (en) Low profile feedback slot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