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076B1 - 봉입형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 - Google Patents

봉입형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076B1
KR102189076B1 KR1020187030191A KR20187030191A KR102189076B1 KR 102189076 B1 KR102189076 B1 KR 102189076B1 KR 1020187030191 A KR1020187030191 A KR 1020187030191A KR 20187030191 A KR20187030191 A KR 20187030191A KR 102189076 B1 KR102189076 B1 KR 102189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thermal battery
bundle
ban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2447A (ko
Inventor
카멜 아주즈
패트릭 브와셀
베로니크 모네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8012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1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and the heat-exchanging means being enclosed in on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28F9/0135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formed by grids having only one tube per closed grid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3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the latent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granular particles or dispersed in a porous, fibrous or cellular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004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ly one medium being tubes having parts touching each other or tubes assembled in panel f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28F9/0131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formed by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28F9/0132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formed by slats, tie-rods, articulated or expandable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20/0004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 F28D2020/0021Particular heat storage apparatus the heat storage material being enclosed in loose or stack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40/00Spac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은 봉입형 상 변화 재료의 튜브(3')를 포함하는 다발(3)을 수용하는 밀폐체(2)를 갖는 열 전지에 관한 것이며, 다발(3)은 튜브(3')의 뱅크의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뱅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브레이싱 및 지지 바아(5)에 의해 연결되는 튜브(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아(5)는,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측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 개별 하우징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우징은 하나의 튜브(3')를 수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입형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
본 발명은 열 전지(thermal battery) 분야에 관한 것이며, 보다 정확하게는 상 변화 재료(phase change material)를 포함하는 열 전지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 전지는, 특히 전기 및 하이브리드 차량의 승객실을 난방하거나, 열 관리 회로의 열 전달 유체를 예열하는데 사용된다. 열 전지는 또한 내연 기관을 갖는 차량의 엔진 오일 또는 자동 변속기 오일을 예열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는, 상 변화 재료가 통상적으로 봉입형 형태, 특히 다발을 형성하는 튜브의 형태로 배치되는, 통상적으로 저장소(reservoir)를 형성하는 밀폐체(enclosure)를 포함한다. 열 전지의 성능은 수용할 수 있는 상 변화 재료의 양, 즉 다발에 존재하는 튜브의 개수뿐만 아니라, 열 전지를 통과하는 유체와 상기 튜브 사이의 접촉 표면적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므로, 튜브는, 열 전지를 통과하는 유체가 순환할 수 있도록,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배터리를 효율적이게 하기 위해, 열 전지 내에 상 변화 재료를 가능한 가장 많은 양을 포함시키도록, 튜브는 또한 서로 상당히 근접해야 한다.
예를 들면, 브레이스(brace)에 의해, 또는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발포형 재료에 의해 상 변화 재료 튜브를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지하는 공지된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책은 통상적으로 산업 공정에 포함시키기에 곤란하고 고가이거나, 유체에 큰 압력 강하를 발생시켜 열 전지의 효율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특허문헌 1) EP0179417 A1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종래 기술의 단점 중 적어도 일부를 극복하고 개선된 열 전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체 입구 및 출구를 포함하고, 봉입형 상 변화 재료의 튜브를 포함하는 다발을 수용하는 밀폐체를 갖는 열 전지에 관한 것이며, 다발은 튜브의 뱅크(bank)의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뱅크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브레이싱(bracing) 및 지지 바아에 의해 연결되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아는,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측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 개별 하우징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우징은 하나의 튜브를 수용할 수 있다.
지지 바아는 열 전지의 설계에서 고도의 모듈화를 허용하면서, 또한 생산비가 저감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러한 지지 바아의 사용은 다발을 형성하기 위해 튜브가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지지 및 배열될 수 있게 하면서, 다발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 강하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하나의 뱅크 내에서의 튜브 사이의 간격은 2개의 하우징 사이의 측벽의 폭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하우징은 튜브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튜브의 직경보다 작은 삽입 개구를 가져서, 상기 튜브가 하우징 내로 클립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연속적인 뱅크의 지지 바아는 서로 평행하고 튜브에 수직인 평면 상에 오점형 배열(quincuncial arrangement)로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연속적인 뱅크 사이의 지지 바아는 서로 위에 놓이지 않고, 유체가 과도한 압력 강하없이 튜브 사이에서 유동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연속적인 뱅크의 지지 바아는 2개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그룹화되고, 지지 바아의 폭보다 적어도 큰 거리만큼 분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다발은 프레임 내에 수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프레임은 다발을 둘러싸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외부 브레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플랜지는 지지 바아가 삽입되는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뱅크는 지지 바아 사이에 내부 브레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뱅크는 편평하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다발은 원통형이고, 뱅크는 만곡되고 동심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지지 바아는, 그 대향면 중 2개의 면 상에, 2개의 중첩된 뱅크를 지지하도록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뱅크 사이의 간격은 지지 바아의 양 측부 상에 위치된 하우징을 분리하는 상기 지지 바아의 벽의 두께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지지 바아의 하나의 면 상의 하우징 및 상기 지지 바아의 다른 면 상의 하우징은 오점형 배열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지지 바아는 그 면들 중 하나의 면 상에만 하우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2개의 연속적인 뱅크의 튜브는 오점형 배열로 배치되고, 상부 뱅크의 튜브는 하부 뱅크의 지지 바아의 측벽 상에 안착되고, 상기 뱅크의 튜브 사이의 간격은 상기 측벽의 높이에 의해 한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공된 하기의 설명을 읽는 것으로부터, 그리고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열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열 전지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뱅크의 적층체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도 4는 튜브 다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튜브 다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지지 바아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도 6의 지지 바아와 뱅크의 중첩을 각각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8은 플랜지와 튜브 다발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지지 바아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의 지지 바아와 뱅크의 적층체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적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
도 11은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뱅크의 적층체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다양한 도면에서,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진다.
하기의 실시예는 예시이다. 설명에서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언급되지만, 이것은 각각의 언급이 동일한 실시예에 관련되거나, 특성이 단일 실시예에만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이한 실시예의 간단한 특징은 또한 다른 실시예를 제공하도록 조합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유체가 유체 입구(2a)와 출구(2b) 사이에서 유동하는 밀폐체(2)를 포함하는 열 전지(1)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열 전지(1)는 밀폐체(2) 내에 상 변화 재료의 튜브(3')로 구성된 다발(3)을 포함한다. 다발(3)의 튜브(3')는 서로 평행하게 위치된다. 다발(3)은, 예를 들어 개구(2c)를 통해 밀폐체(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2c)는 다발(3)의 삽입 후에 커버(2d)에 의해 폐쇄된다.
다발(3)은 밀폐체(2) 내의 유체의 순환 유동에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 변화 물질의 튜브(3') 각각은, 상 변화 물질이 내부에 위치되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 튜브형 벽을 포함한다. 튜브형 벽은 튜브(3')의 단부에서 밀봉 방식으로 폐쇄된다.
도 3 및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다발(3)은 튜브(3')의 뱅크(bank)(4)의 적층체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뱅크(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브레이싱(bracing) 및 지지 바아(5)에 의해 연결되는 튜브(3')를 포함한다.
지지 바아(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일 수 있다. 본 경우에, 뱅크(4)는 편평하고, 서로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뱅크(4)의 지지 바아(5)의 길이(L)는 뱅크(4)의 폭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다발(3)의 형상은 지지 바아(5)의 길이(L) 및 결과적으로 뱅크(4)의 서로간의 폭을 변경함으로써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대체로 원통형인 형상의 다발(3)의 예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다발(3)의 다른 형상, 예를 들어 평행육면체가 가능하며 상상될 수 있다.
지지 바아(5)는 도 6 내지 도 7b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바아(5)는,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측벽(51)에 의해 서로 분리된 개별 하우징(50)을 포함한다. 하우징(50) 각각은 뱅크(4)를 형성하기 위해 튜브(3')를 수용하도록 의도된다. 뱅크(4) 내에서의 튜브(3') 사이의 간격은, 특히 2개의 하우징(50) 사이의 측벽(51)의 폭(Lp)에 의해 한정된다.
튜브(3')를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50)은 상기 튜브(3')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튜브(3')의 직경보다 작은 삽입 개구(52)를 가질 수 있어, 상기 튜브(3')는 하우징(50) 내로 클립 결합될 수 있다. 본 경우에, 측벽(51)은 탄성을 가지며, 변형되어 서로 멀어지게 이동할 수 있어서 튜브(3')가 하우징(50)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튜브(3')가 삽입된 경우, 측벽(51)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튜브(3')를 부분적으로 파지하여 튜브(3')를 로킹한다.
또한, 지지 바아(5)가, 튜브(3')가 끼워맞춰지는 폐쇄된 하우징(50)을 포함하는 것도 실행 가능할 것이다. 지지 바아(5)는, 예를 들어 튜브(3') 주위에 오버몰딩되어 뱅크(4)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바아(5)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고, 열 전지(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원하는 길이(L)로 절단된 긴 스트립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바아(5)는 열 전지의 설계에서 고도의 모듈화를 허용하면서, 또한 생산비가 저감될 수 있게 한다. 또한, 그러한 지지 바아(5)의 사용은 다발(3)을 형성하기 위해 튜브(3')가 서로에 대해 정확하게 지지 및 배열될 수 있게 하면서, 다발을 통과하는 유체의 압력 강하를 제한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b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바아(5)는 그 대향면 중 2 개의 면 상에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 바아(5)는, 그 면의 각각 상에 하나씩, 2개의 중첩된 뱅크(4)의 튜브(3')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면, 뱅크(4) 사이의 간격은 지지 바아(5)의 양 측부 상에 위치된 상기 하우징(50)을 분리하는 상기 지지 바아(5)의 벽의 두께(E)에 의해 한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또한 튜브(3')의 개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지지 바아(5)의 하나의 면 상의 하우징(50) 및 상기 지지 바아(5)의 다른 면 상의 하우징(50)은 오점형 배열(quincuncial arrangement)로 배치된다.
본 경우에서, 그리고 본 특허 출원의 나머지 부분에서, "오점형 배열(quincuncial arrangement)로 배치된"이라는 용어는, 매 2개의 행 중 하나가 그것의 전후의 행에 대해 소정 양만큼, 특히 요소의 절반만큼 오프셋되어 있는 행 단위의 요소의 반복 배열을 의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연속적인 뱅크(4)의 지지 바아(5)는 바람직하게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고 튜브(3')에 수직인 평면 상에 오점형 배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연속적인 뱅크(4) 사이의 지지 바아(5)는 서로 위에 놓이지 않고, 유체가 과도한 압력 강하없이 튜브(3') 사이에서 순환하게 한다(유체의 유동이 2개의 흑색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
하나의 지지 바아(5)가 2개의 중첩된 뱅크(4)를 지지하기 때문에, 모든 뱅크(4)가 함께 지지되어, 다발(3)의 응집력 및 형상이 유지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발(3)의 횡단면에서, 연속적인 뱅크(4)의 지지 바아(5)는 2개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그룹화되고 지지 바아(5)의 폭(Lb)보다 적어도 큰 거리(D)만큼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 바아(5)가 인접하지 않아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유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지지 바아(5)가 지지 조립체(6)를 형성한다. 그 길이에 걸쳐서, 다발(3)은 복수의 지지 조립체(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지지 조립체(6)는 또한 도 2 및 도 5에서 볼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b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바아(5)는 그 면들 중 하나의 면에만 하우징(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지지 바아(5)는 단일 뱅크(4)의 튜브(3')만을 지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 2 실시예에서, 2개의 연속적인 뱅크(4)의 튜브(3')는, 유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또한 튜브(3')의 개수를 최적화하기 위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점형 배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뱅크(4)의 튜브(3')는 하부 뱅크(4)의 지지 바아(5)의 측벽(51) 상에 안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뱅크(4)의 튜브(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측벽(51)의 단부와 베이스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상기 측벽(51)의 높이(Hp)에 의해 한정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속적인 뱅크(4)의 지지 바아(5)는 바람직하게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고 튜브(3')에 수직인 평면 상에 오점형 배열로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연속적인 뱅크(4) 사이의 지지 바아(5)는 서로 위에 놓이지 않고, 유체가 과도한 압력 강하없이 튜브(3') 사이에서 순환하게 한다(유체의 유동이 2개의 흑색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음). 유사하게, 다발(3)의 횡단면에서, 지지 바아(5)는 2개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그룹화되고 지지 바아(5)의 폭(Lb)보다 적어도 큰 거리(D)만큼 분리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지지 바아(5)가 인접하지 않아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의 유동을 허용한다. 그러면, 상기 지지 바아(5)가 지지 조립체(6)를 형성한다. 그 길이에 걸쳐서, 다발(3)은 복수의 지지 조립체(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조립체(6)는 또한 도 2 및 도 5에서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다발(3)은 각각의 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지지 조립체(6)를 포함하고, 상기 단부들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 지지 조립체(6)를 포함한다. 이것은 뱅크(4)의 서로로부터의 일정한 분리를 허용하고, 따라서 다발(3)의 전체 길이에 걸쳐 튜브(3')의 일정한 간격을 허용한다. 도 1,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다발(3)은 총 4개의 지지 조립체(6)를 포함한다.
다발(3)은 또한 뱅크(4) 내에,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는 내부 브레이스(internal brace)(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내부 브레이스(41)는, 보다 특별하게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된 중실형 강성 튜브일 수 있으며, 특히 뱅크(4) 내의 튜브(3')를 각각 대신하여, 지지 바아(5)의 하우징(50) 내로 클립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브레이스(41)는 뱅크(4)를 보강하면서 지지 바아(5)를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내부 브레이스(41)는 또한 지지 조립체(6)의 응집력을 유지하고 이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지지 바아(5)의 위치에서, 내부 브레이스(41)는 내부 브레이스(41)의 단면 감소에 대응하는 홈(42)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홈(42)은 지지 바아(5)의 하우징(50) 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튜브(3')를 따르는 서로에 대한 상기 지지 바아(5)의 어떠한 병진 운동도 방지된다.
다발(3)은 바람직하게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에 수용된다. 이러한 프레임(7)은 특히, 다발(3)의 형태를 강화하고 그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프레임(7)은 다발(3)에 강성도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프레임(7)은 특히, 다발(3)을 횡방향으로 둘러싸는 플랜지(70)와, 상기 플랜지(70)를 연결하는 외부 브레이스(71)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70) 및 외부 브레이스(71)는 금속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70)는 또한 지지 바아(5)가 삽입되는 홈(70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특별하게는, 지지 바아(5)가 튜브(3') 상에 클립 결합될 수 있다는 사실과 독립적으로, 그리고 내부 브레이스(41)의 존재 가능성과 독립적으로, 이들 홈(701)은 상기 지지 바아(5)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 바아(5)가 프레임(7)에 연결되게 한다. 뱅크(4)가 편평한 경우, 홈(701) 내에 삽입되는 것은 상이한 지지 바아(5)의 단부이다. 그러면, 플랜지(70)는 적어도 2개의 평행한 홈(701)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 조립체(6)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발(3)의 조립 및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발(3)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2개의 절반-다발로 조립될 수 있다. 절반-다발은, 예를 들어 플랜지(70)의 위치에 존재하는 수형/암형 체결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함께 조립 및 체결될 수 있다.
편평한 대신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뱅크(4)는 원통형 다발(3)을 형성하도록 만곡되고 동심으로 적층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 바아(5)에 대한 응력, 특히 곡률 반경으로 인한 응력을 제한하기 위해, 편평한 뱅크(4)를 적층함으로써 다발(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뱅크(4)가 만곡되고 동심을 이루면, 프레임(7)의 사용은, 특히 상기 뱅크(4)의 곡률뿐만 아니라 다발(3)의 원통형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예에서, 특히 지지 바아(5)가 그 면들 중 하나의 면에만 하우징(50)을 갖는 경우, 플랜지(70)의 홈(701) 내에 삽입되는 것은 외측 뱅크(4)의 지지 바아(5)의 배면, 즉 하우징(50)을 갖지 않는 부분이다.
따라서, 명백하게는, 지지 바아(5)를 사용하여 튜브(3') 사이에 브레이스를 형성하고 이 튜브(3')를 뱅크(4)로 조직화함으로써, 열 전지(1)를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발(3)을 조립하는 것이 보다 용이해진다.

Claims (15)

  1. 유체 입구(2a) 및 출구(2b)를 포함하고, 봉입형 상 변화 재료의 튜브(3')를 포함하는 다발(3)을 수용하는 밀폐체(2)를 갖는 열 전지(1)에 있어서,
    상기 다발(3)은 튜브(3')의 뱅크(4)의 적층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뱅크(4)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브레이싱 및 지지 바아(5)에 의해 연결되는 튜브(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아(5)는, 그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측벽(51)에 의해 서로 분리된 개별 하우징(50)을 포함하고, 각각의 하우징(50)은 하나의 튜브(3')를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지지 바아(5)는, 그 대향면 중 2개의 면 상에, 2개의 중첩된 뱅크(4)를 지지하도록 하우징(50)을 포함하고, 상기 뱅크(4)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 바아(5)의 양 측부 상에 위치된 하우징(50)을 분리하는 상기 지지 바아(5)의 벽의 두께(E)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의 뱅크(4) 내에서의 상기 튜브(3') 사이의 간격은 2개의 하우징(50) 사이의 측벽(51)의 폭(Lp)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0)은 상기 튜브(3')의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튜브(3')의 직경보다 작은 삽입 개구(52)를 가져서, 상기 튜브(3')가 상기 하우징(50) 내로 클립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뱅크(4)의 지지 바아(5)는 서로 평행하고 상기 튜브(3')에 수직인 평면 상에 오점형 배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뱅크(4)의 지지 바아(5)는 2개의 평행한 평면 상에서 그룹화되고, 상기 지지 바아(5)의 폭(Lb)보다 적어도 큰 거리(D)만큼 분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3)은 프레임(7) 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7)은 상기 다발(3)을 둘러싸는 플랜지(70)와, 상기 플랜지(70)를 연결하는 외부 브레이스(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70)는 지지 바아(5)가 삽입되는 홈(7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4)는 상기 지지 바아(5) 사이에 내부 브레이스(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뱅크(4)는 편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발(3)은 원통형이고, 상기 뱅크(4)는 만곡되고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12. 삭제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아(5)의 하나의 면 상의 하우징(50) 및 상기 지지 바아(5)의 다른 면 상의 하우징(50)은 오점형 배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바아(5)는 그 면들 중 하나의 면 상에만 하우징(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2개의 연속적인 뱅크(4)의 튜브(3')는 오점형 배열로 배치되고, 상부 뱅크(4)의 튜브(3')는 하부 뱅크(4)의 지지 바아(5)의 측벽(51) 상에 안착되고, 상기 뱅크(4)의 튜브(3') 사이의 간격은 상기 측벽(51)의 높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지.
KR1020187030191A 2016-03-18 2017-03-17 봉입형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 KR1021890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2311 2016-03-18
FR1652311A FR3049117B1 (fr) 2016-03-18 2016-03-18 Batterie thermique a materiau a changement de phase encapsule
PCT/FR2017/050628 WO2017158309A1 (fr) 2016-03-18 2017-03-17 Batterie thermique a matériau a changement de phase encapsul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447A KR20180122447A (ko) 2018-11-12
KR102189076B1 true KR102189076B1 (ko) 2020-12-09

Family

ID=5608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191A KR102189076B1 (ko) 2016-03-18 2017-03-17 봉입형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48086A1 (ko)
EP (1) EP3455574A1 (ko)
KR (1) KR102189076B1 (ko)
FR (1) FR3049117B1 (ko)
WO (1) WO2017158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47707A1 (en) * 2018-11-01 2020-05-06 Perkins Engines Company Ltd Thermal energy and storage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064A1 (en) * 2005-08-03 2007-0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act heat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6390A (en) * 1984-10-18 1986-10-14 Maccracken Calvin D Superdensity assembly method and system for plastic heat exchanger resists large buoyancy forces and provides fast melt down in phase change thermal storage
US6889751B1 (en) * 2000-10-04 2005-05-10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Latent heat storage device
WO2015024518A1 (zh) * 2013-08-22 2015-02-26 上海工电能源科技有限公司 圆筒式梯度蓄热器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9064A1 (en) * 2005-08-03 2007-02-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pact heat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8309A1 (fr) 2017-09-21
FR3049117B1 (fr) 2018-04-27
EP3455574A1 (fr) 2019-03-20
US20200348086A1 (en) 2020-11-05
KR20180122447A (ko) 2018-11-12
FR3049117A1 (fr)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1002B2 (en) Battery module
CN110114933B (zh) 电池组壳体和包括其的电池组
US8122943B2 (en) Heat exchanger with heat storage
WO2011088997A1 (de) Temperierbare batteriezellenanordnung
US9520626B2 (en) Expandable stacked plate heat exchanger for a battery unit
JP4880095B2 (ja) 熱交換器
US9406918B2 (en) Support feature for joining of battery cell tabs
US20100236767A1 (en) Hydrogen gas storing device
JP2013110080A (ja) 組電池モジュール
DE102010005097A1 (de) Temperierbare Batteriezellenanordnung
US11927404B2 (en) Heat exchange tube, processing method for same, and heat exchanger having same
EP2530762A1 (en) Battery arrangement
US20230282919A1 (en) Battery module having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cell swelling, and battery pack and vehicle comprising same
JP7384542B2 (ja) 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4502335A (ja) 熱交換器ヘッダボックスおよび対応する熱交換器
KR102189076B1 (ko) 봉입형 상 변화 재료를 갖는 열 전지
KR20170024097A (ko) 열교환기의 교환기 다발용 헤더
JP3861359B2 (ja) 電池温度調整装置
US9255740B2 (en) Heat exchanger with heat accumulator
CN112290158B (zh) 蓄电模块
KR102622141B1 (ko) 고전압 배터리 서브모듈
KR101550245B1 (ko) 평판형 열교환 반응기 및 이의 제조방법
JP7098355B2 (ja) 電池モジュール及び組電池
KR20180053339A (ko) 튜브들을 포함하는 열에너지 저장 배터리용 저장 열교환 다발
EP3449197B1 (fr) Echangeur thermique en matière plastique et véhicule comprenant cet échangeur therm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