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027B1 -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027B1
KR102189027B1 KR1020180154761A KR20180154761A KR102189027B1 KR 102189027 B1 KR102189027 B1 KR 102189027B1 KR 1020180154761 A KR1020180154761 A KR 1020180154761A KR 20180154761 A KR20180154761 A KR 20180154761A KR 102189027 B1 KR102189027 B1 KR 102189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vey
questionnaire
query
customer information
internet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666A (ko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스유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스유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스유틸
Priority to KR102018015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0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7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involving input on product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설문 질의문의 일부 질의문을 선별하여 부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를 결합하여 전체 설문 질의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의 특징은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하는 질의문 분류부와,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고객정보 분류부와,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고객의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 별로 그룹화하여 선정하는 고객정보 생성부와,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고객의 그룹화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하고,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는 질의문 처리부와,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여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으로 결합하는 질의문 결합부와, 상기 질의문 처리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Online Survey and Compensation using Onli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쇼핑몰 등을 활용한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온라인 쇼핑몰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설문 질의문의 일부 질의문을 선별하여 부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제공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생활이 복잡해지고 각 개인의 개성과 활동 영역이 세분화되면서, 각 사회단체들은 전체의 의견을 수렴하여 구성원들의 호응도가 높은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내리기 위해 각종 여론 조사 및 설문조사를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사회 이슈나 제품 또는 정당의 지지도에 대한 여론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설문조사를 위해 미리 질의문을 선별하고, 통상적으로 5개의 보기를 마련한다. 이처럼 질의문을 객관식으로 선정하는 이유는 조사결과에 대한 통계를 작성하여 설문 응답자의 여론을 수치화하기 위해서 이다. 또한, 사회 이슈 또는 제품에 대한 추가적인 의견을 조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몇 개의 주관식 답안을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설문조사의 경우 그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도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조사대상이 되는 이슈 및 제품과 관련된 인원을 선정해야 하며, 편파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도록 지역/연령/성별의 분포를 고르게 하여야 한다. 또한 특수 목적을 위해 제한된 지역/성별/연령/에 대해서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에 대한 설문조사는 도시/20~30대/여성에 대해서만 조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는 대면, 유선(전화), 우편 등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이렇게 조사된 결과는 취합하여 통계를 작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오프라인 설문조사의 경우, 오프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함으로 인해 다소의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급성을 요하는 이슈에 대한 여론파악 및 대응에 활용하기에 부적합한 면이 있었다.
왜냐하면 설문조사를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표본 대상을 추출하고, 조사를 시행하고, 조사 결과를 분석하는데 최소 4~5일 가량이 소요되게 된다. 그러나 시급성을 요하는 이슈들은 일 단위로 이슈 발생하고, 이슈의 주제가 변화하는 현실과 비추어 보면 다소 늦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설문조사의 결과가 나올 시점에는 이미 다른 이슈가 확산되고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이다.
또한, 설문조사 대상의 선정 방법이 지역/성별/연령을 감안하여 무작위 대상에게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개인의 관심도와 관계없이 설문 대상을 선별하게 되므로 설문조사 결과의 신뢰도에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설문조사 내용에 대하여 전혀 관심이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의 결과에 어느 정도의 신뢰도를 주어야 할지, 이를 전체적인 여론의 동향으로 인정해야 할지 판단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여론파악의 도구로서 거의 유일하게 사용되고 있는 대면, 유선, 우편 등의 오프라인 설문조사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요구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7879호 (등록일자 2009.09.10.) 등록특허공보 제10-1094511호 (등록일자 2011.12.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온라인 쇼핑몰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설문 질의문의 일부 질의문을 선별하여 부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를 결합하여 전체 설문 질의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설문 질의문의 일부 질의문을 선별하여 부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제공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의 특징은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하는 질의문 분류부와,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고객정보 분류부와,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고객의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 별로 그룹화하여 선정하는 고객정보 생성부와,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고객의 그룹화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하고,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는 질의문 처리부와,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여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으로 결합하는 질의문 결합부와, 상기 질의문 처리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은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고객을 지역/연령/성별 등으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하는 고객정보 DB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의문 분류부는 서브 질의문에 공통의 고유값(ID)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상 처리부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설문 진행을 모두 수행하면, 보상을 인터넷 사이트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상 처리부는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보상의 종류(값)를 화면에 미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의 특징은 (A) 질의문 분류부를 통해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와, (B) 고객정보 분류부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와, (C) 고객정보 생성부를 통해 상기 분류된 고객의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 별로 그룹화하는 단계와, (D) 질의문 처리부를 통해 상기 그룹화된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여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E) 질의문 결합부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성되는 서브 질의문에 공통의 고유값(ID)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의 전체 개수를 선택하면 서브 질의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설문 질의문의 개수에 대응되는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은 (F) 보상 처리부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단계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설문 진행을 모두 수행하면, 보상을 상기 인터넷 사이트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은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F) 단계는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보상의 종류(값)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온라인 쇼핑몰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함으로써, 설문조사의 대상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지역/연령/성별 등을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설문 질의문의 일부 질의문을 선별하여 부분적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를 결합하여 전체 설문 질의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설문조사의 질의문을 답변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설문조사 참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데 반해, 설문조사 기관에는 전체 설문조사 질의문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사용자에게 차별적 보상을 제공하여 설문조사의 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온라인을 통하여 설문조사의 질의문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 진행되는 설문조사의 대상선정 및 설문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시켜 설문조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종래의 설문조사 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긴급 이슈에 대한 실시간 설문조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다섯째, 종래의 설문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대폭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보다 빠르고 적절한 여론 대응을 가능하게 하며, 여론 대응에 대한 결과로 여론이 변화하는 추이까지 분석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는 도 1에서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은 인터넷 사이트(100), 설문조사기관 서버(200) 및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넷 사이트(100)는 온라인 쇼핑몰, 블로그, 온라인 카페, 온라인 메신저 등 다수의 사용자들이 특정의 또는 공통의 목적으로 회원 가입되어 온라인을 통해 콘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제공할 수 있는 사이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넷 사이트(100)는 회원 가입된 사용자들의 지역/연령/성별 등의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설문조사기관 서버(200)는 다수의 설문의뢰기관에서 설문조사를 의뢰받아 그 결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한국리서치 업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설문조사기관 서버(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설문조사의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100)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설문조사의 대상을 기반으로 지역/연령/성별 등을 분류하여 선정한다. 그리고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설문 질의문의 일부 질의문을 선별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을 생성하고, 생성된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한다. 그리고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된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에 의해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를 결합하여 전체 설문 질의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한다. 그리고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의 질의문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2 는 도 1에서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질의문 분류부(310), 고객정보 분류부(320), 고객정보 생성부(330), 질의문 처리부(340), 질의문 결합부(350), 보상 처리부(360)를 포함한다. 그리고 고객정보 DB(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의문 분류부(310)는 설문조사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한다. 이때, 질의문 분류부(310)는 설문조사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들에 대해 각각 서브 질의문을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질의문 분류부(310)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에서 분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질의문에 모두 공통의 고유값(ID)을 설정한다. 이때, 공통의 고유값은 서로 다른 설문조사의 서브 질의문과 서로 다른 고유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320)는 인터넷 사이트(100)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연령/성별 등으로 각각 분류한다. 이때, 고객정보 분류부(320)는 그룹화하는 고객의 분류 정보로 지역, 연령, 성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인터넷 사이트(100)에서 저장되는 고객의 정보에 해당되면 모두 분류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고객정보 생성부(330)는 고객정보 분류부(320)에서 분류된 고객의 지역/연령/성별 별로 각각 그룹화하여 선정한다. 이때 선정되는 그룹화되는 고객은 지역/연령/성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선정할 수도 있다. 이때, 고객정보 생성부(330)는 설문의뢰기관에서 제공되는 설문조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집단 성향별로 고객정보를 미리 그룹화하여 저장한다. 예로서, 첫번째 그룹화에서는 30대/여성/주1회 구매고객, 두번째 그룹화에서는 30대/여성/월1회 구매고객, 세번째 그룹화에서는 40대/여성/주1회 구매고객 등으로 미리 그룹화하여 저장한다.
상기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설문조사기관 서버(200)으로부터 제공되는 설문조사의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100)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설문조사의 대상을 기반으로 지역/연령/성별 등을 분류하여 선정한다. 이때, 고객정보 생성부(330)에서 모집단 성향별로 고객정보를 미리 그룹화하여 저장하므로서,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에서 질의문을 설문조사의 대상에 분류하여 설정할 때, 이미 그룹화되어 저장된 모집단 성향별 고객정보를 이용한다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설문조사의 대상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그룹화된 성향별 고객정보를 통해 질의문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기본 질문(연령대, 나이, 성별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설문조사의 질의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실질적인 질의문을 더 많이 조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질의문 처리부(340)는 고객정보 분류부(320)에서 분류된 고객의 지역/연령/성별 등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질의문 처리부(340)는 인터넷 사이트(100)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질의문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의 전체 개수를 선택하면 서브 질의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설문 질의문의 개수를 갖는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여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브 질의문은 고객정보 분류부(320)에서 분류된 고객의 정보에 해당되는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에 한정된다. 또한, 질의문 처리부(340)는 하나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골고루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하여 서브 질의문이 중복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질의문 결합부(350)는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여 설문조사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으로 결합하여 전체 설문 질의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한다.
상기 보상 처리부(360)는 질의문 처리부(34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보상은 포인트, 할인권, 쿠폰, 현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 다양한 형태의 보상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보상 처리부(360)는 인터넷 사이트(100)를 통해 사용자가 설문 진행을 모두 수행하면, 보상을 인터넷 사이트(100)로 바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지급된 보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상 처리부(360)는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보상의 종류(값)를 화면에 미리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설문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보상이 무엇인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객정보 DB(370)는 인터넷 사이트(100)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고객을 지역/연령/성별 등으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질의문 분류부(310)를 통해 설문조사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한다(S10). 이때,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에서 분류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서브 질의문에 모두 공통의 고유값(ID)을 설정한다. 그리고 공통의 고유값은 서로 다른 설문조사의 서브 질의문과 서로 다른 고유값으로 설정된다.
이어서, 고객정보 분류부(320)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100)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연령/성별 등으로 각각 분류한다(S20). 이때, 인터넷 사이트(100)에 저장된 고객정보는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에서 제공받아 고객을 지역/연령/성별 등으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고객정보 생성부(330)를 통해 상기 분류된 고객의 지역/연령/성별 별로 각각 그룹화한다(S30). 이때, 고객정보 생성부(330)는 설문의뢰기관에서 제공되는 설문조사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집단 성향별로 고객정보를 미리 그룹화하여 저장한다. 예로서, 첫번째 그룹화에서는 30대/여성/주1회 구매고객, 두번째 그룹화에서는 30대/여성/월1회 구매고객, 세번째 그룹화에서는 40대/여성/주1회 구매고객 등으로 미리 그룹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선정되는 그룹화되는 고객은 지역/연령/성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선정할 수도 있다.
이어서 질의문 처리부(340)를 통해 상기 지역/연령/성별 별로 그룹화된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여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한다(S40). 이때, 고객정보 생성부(330)에서 모집단 성향별로 고객정보를 미리 그룹화하여 저장하므로서,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에서 질의문을 설문조사의 대상에 분류하여 설정할 때, 이미 그룹화되어 저장된 모집단 성향별 고객정보를 이용한다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설문조사의 대상을 선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그룹화된 성향별 고객정보를 통해 질의문의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기본 질문(연령대, 나이, 성별 등)을 생략할 수 있어, 설문조사의 질의문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보다 실질적인 질의문을 더 많이 조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질의문 처리부(340)는 인터넷 사이트(100)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질의문을 선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의 전체 개수를 선택하면 서브 질의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설문 질의문의 개수를 갖는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여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서브 질의문은 고객정보 분류부(320)에서 분류된 고객의 정보에 해당되는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에 한정된다.
다음으로 질의문 결합부(350)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100)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여 설문조사기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 전체 설문 질의문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를 획득한다(S50).
한편,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보상 처리부(360)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100)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 이때, 제공되는 보상은 포인트, 할인권, 쿠폰, 현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 다양한 형태의 보상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인터넷 사이트(100)를 통해 사용자가 설문 진행을 모두 수행하면, 보상을 인터넷 사이트(100)로 바로 전달하여 사용자가 지급된 보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설문조사 및 보상 서버(300)는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보상의 종류(값)를 화면에 미리 표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설문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보상이 무엇인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인터넷 사이트 200 : 설문조사기관 서버
300 : 설문조사 및 보상서버 310 : 질의문 분류부
320 : 고객정보 분류부 330 : 고객정보 생성부
340 : 질의문 처리부 350 : 질의문 결합부
360 : 보상 처리부 370 : 고객 정보 DB

Claims (11)

  1.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하는 질의문 분류부와,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고객정보 분류부와,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 별로 그룹화하는 고객정보 생성부와,
    상기 고객정보 분류부에서 분류된 고객의 그룹화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하고, 상기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는 질의문 처리부와,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여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으로 결합하는 질의문 결합부와,
    상기 질의문 처리부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보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 처리부는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보상의 종류(값)를 화면에 미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은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제공받아 고객을 지역,연령,성별 중 적어도 하나로 각각 분류하여 저장하는 고객정보 DB를 더 포함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문 분류부는 서브 질의문에 공통의 고유값(ID)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처리부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설문 진행을 모두 수행하면, 보상을 인터넷 사이트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5. 삭제
  6. (A) 질의문 분류부를 통해 설문조사기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하나의 설문조사의 설문 질의문을 적어도 두개 이상의 설문 질의문으로 그룹화하여 부분적 설문조사 질의문(서브 질의문)을 생성하는 단계와,
    (B) 고객정보 분류부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에 저장된 고객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로 분류하는 단계와,
    (C) 고객정보 생성부를 통해 상기 분류된 고객을 지역, 연령, 성별 중 적어도 하나 별로 그룹화하는 단계와,
    (D) 질의문 처리부를 통해 상기 그룹화된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문조사에 따른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여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하는 단계와,
    (E) 질의문 결합부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로 전달된 설문조사 서브 질의문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부분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 결과들을 결합하는 단계와,
    (F) 보상 처리부를 통해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는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생성하고, 수행된 질의문의 개수에 따른 차별적 보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을 선택 개수를 선택하면, 선택된 개수에 대응되어 제공되는 보상의 종류(값)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되는 서브 질의문에 공통의 고유값(ID)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설문 질의문의 전체 개수를 선택하면 서브 질의문 중 사용자가 선택한 설문 질의문의 개수에 대응되는 서브 질의문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사용자가 설문 진행을 모두 수행하면, 보상을 상기 인터넷 사이트로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방법.
  11. 삭제
KR1020180154761A 2018-12-04 2018-12-04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89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61A KR102189027B1 (ko) 2018-12-04 2018-12-04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761A KR102189027B1 (ko) 2018-12-04 2018-12-04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66A KR20200067666A (ko) 2020-06-12
KR102189027B1 true KR102189027B1 (ko) 2020-12-09

Family

ID=71088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61A KR102189027B1 (ko) 2018-12-04 2018-12-04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0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876A (ko) 2021-05-12 2022-11-21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 정보를 활용한 설문조사 응답 결과의 신뢰도 평가 방법 및 서버
KR20230093989A (ko) 2021-12-20 2023-06-27 주식회사 만듦 머신러닝 기반 서베이 플랫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5469A (ja) * 2016-06-30 2018-01-11 株式会社マクロミル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065A (ko) * 2000-07-11 2002-01-19 강병석 인터넷을 통한 필드테스트 방법
KR100917879B1 (ko) 2007-07-12 2009-09-16 주식회사 테크노스퀘어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그룹 설문조사 방법, 서버 및시스템
KR101094511B1 (ko) 2009-11-19 2011-12-19 주식회사 알에스엔 웹 문서를 이용하여 설문조사용 질의문의 결과를 획득하는 시스템
KR102220508B1 (ko) * 2014-01-07 2021-02-25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타겟 사용자 장치를 결정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서비스 장치, 타겟 사용자 장치를 결정하여 설문 조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05469A (ja) * 2016-06-30 2018-01-11 株式会社マクロミル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666A (ko) 2020-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izar et al. Servic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customer trust, and customer loyalty in service of Paediatric Polyclinic over Private H Hospital of East Jakarta, Indonesia
Lu et al. A multidimensional and hierarchical model of mobile service quality
Picoto et al. An organizational perspective on m-business: usage factors and value determination
Adil et al. SERVQUAL and SERVPERF: A review of measures in services marketing research
Roach Consumer perceptions of mobile phone marketing: a direct marketing innovation
Susskind et al. To look or book: An examination of consumers’ apprehensiveness toward Internet use
Hosseini et al. Effective factors of the adoption of mobile banking services by customers
Nazir et al. Impact of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on customer satisfaction in hoteling industry
Bulmer et al. Trends in alcohol consump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t a northeastern public university, 2002–2008
KR102189027B1 (ko) 온라인 설문조사 및 보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01015B1 (ko) 여론 및 설문조사 시스템 및 그 방법
Sanaullah et al. Analyzing impact of relationship benefit and commitment on developing loyalty using machine intelligence approach
Hong Predicting user-level marketing performance of location-based social networking sites
SOANTAHON Analysis of the Level of Responsiveness of Local Government Public Services through Social Media
McDevitt et al. Proprietary market research: Are online panels appropriate?
Abadi et al.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level of user's acceptance of e-banking among some customers of banks in iran
Del Ponte et al. Evaluating SoJump. com as a tool for online behavioral research in China
Báez-Montenegro et al. Understanding the determinants of festival attendee spending: the role of cultural capital
Gakii et al. Advertising and service quality in the mobile phone industry in Kenya
Andrew et al. Service Quality and Client’s Satisfaction: A Case Study among Employees at a Government Agency in Kota Samarahan towards Counter Services in Urban Transformation Centre (UTC) Kuching
Guo et al. A Study on the Effect of Haidilao’s Brand Marketing Strategies on Brand Image and Loyalty
Ayanyemi-Adeboje et al. Predictive Factors in Mobile Loan Acceptance and Use by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Lagos, Nigeria
Omong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among mobile telephony subscribers in Nairobi
Wiberg Seeking loyalty on social media: A quantitative study examining the effects of brand information regarding sustainability efforts on brand loyalty and its antecedents in the fast-fashion industry.
Opele et al. The impact of electronic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on customer ret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