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962B1 -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962B1
KR102188962B1 KR1020187021302A KR20187021302A KR102188962B1 KR 102188962 B1 KR102188962 B1 KR 102188962B1 KR 1020187021302 A KR1020187021302 A KR 1020187021302A KR 20187021302 A KR20187021302 A KR 20187021302A KR 102188962 B1 KR102188962 B1 KR 102188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ntent
user
termin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604A (ko
Inventor
토모히로 오카다
Original Assignee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0Multimedia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for support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23Media gateways
    • H04L65/103Media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표시 제어 방법은,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유저가 속하는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상기 유저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그룹에 속하는 일부 유저의 선택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개별 처리의 기동 요청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개별 처리가 기동되었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개별 처리를 실행하는 제3 단계를 가진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본 발명은,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과 관련된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상에서, 복수의 유저가 속하는 그룹을 형성하고, 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단말 사이에서 메시지나 스탬프 등의 콘텐츠를 공유하는 것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SNS를 제공하는 서버는, 유저의 단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유저의 용도에 따라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또한, 유저가 복수의 그룹에 속하고, 유저의 단말이 동시에 다른 그룹으로의 콘텐츠의 송수신을 하는 것이 널리 이루어지고 있고, 이 경우의 표시 제어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특개 2014-96097호
그렇지만, 종래 실시되고 있는 방법에서는, 유저의 단말은 동시에 복수의 그룹으로의 콘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었지만, 제1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등을 제2 그룹으로 인계할 수는 없었다.
제1 그룹에 속하는 유저와 제2 그룹에 속하는 유저가 중복되는 경우, 제2 그룹에서 콘텐츠 등을 송수신할 때에, 제1 그룹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등이 단말의 화면에 관련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일부의 유저의 단말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할 때에, 그룹의 상태를 적절히 관련하여 단말에 표시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형태에서는,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유저가 속하는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상기 유저의 단말에 있어서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그룹에 속하는 일부 유저의 선택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개별 처리의 기동 요청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개별 처리가 기동되었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개별 처리를 실행하는 제3 단계를 가지는 표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동일한 그룹에 속하는 일부의 유저의 단말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할 때에, 그룹의 상태를 적절히 관련하여 단말에 표시하게 될 수 있게 된다.
[도 1]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첫 번째)이다.
[도 3a]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두 번째)이다.
[도 3b]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세 번째)이다.
[도 4a]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첫 번째)이다.
[도 4b]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첫 번째)이다.
[도 4c]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첫 번째)이다.
[도 4d]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첫 번째)이다.
[도 4e]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첫 번째)이다.
[도 5]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두 번째)이다.
[도 6]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세 번째)이다.
[도 7]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그 4)이다.
[도 8]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그룹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콘텐츠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플로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의 화면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시스템 구성>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정보처리 시스템 1의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처리 시스템 1은 정보처리 장치 10과 단말 20을 가진다. 정보처리 장치 10과 단말 2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접속된다. 네트워크 2는 유선의 네트워크와, 무선의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예를 들면 서버에 의해 실현된다. 단말 20은, 스마트 폰, 태블릿 단말, PC(Personal Computer), 휴대 전화기, 게임용 콘솔, 터치 패드, 전자 서적 리더, 또는 웨어러블 단말 등이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의 유저에게,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SNS의 하나의 서비스로서, 단말 20 사이에서 메시지, 스탬프, 정지 영상 및 동영상 등의 콘텐츠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채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로부터의 채팅 서비스 상에서의 그룹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여 그룹을 생성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가 속하는 채팅 서비스의 그룹을 관리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로부터 그룹을 목적지로 설정한 콘텐츠를 수신하면 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로부터 기존의 그룹의 일부의 유저가 속하는 새로운 그룹의 생성의 요청을 수신하여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새로운 그룹은 기존의 그룹의 일부의 상태를 인계한다.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말 20은, SNS의 어플리케이션을 인스톨하고,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SNS의 제공을 받는다. 단말 20은 정보처리 장치 10을 통해, 단말 20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단말 20은, 콘텐츠를 단말 20의 유저를 송신원(送信元)으로 하여,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20은, 다른 단말 20으로부터의 콘텐츠를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수신한다. 단말 20은 수신한 콘텐츠를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한다.
단말 20은 유저로부터 그룹의 생성의 지시를 수신한다. 그룹의 생성의 지시에는 그룹에 속하는 유저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20은 그룹의 생성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그룹의 생성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또한, 단말 20은 유저로부터 기존의 그룹의 일부의 유저가 속하는 새로운 그룹의 생성의 지시를 수신하여, 새로운 그룹의 생성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동작 시퀀스>
(1) 서브그룹의 생성
도 2를 이용하여, 서브그룹의 생성과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를 설명한다.
도 2는 유저 A의 단말 20A와, 유저 B의 단말 20B와, 유저 C의 단말 20C 사이에서, 콘텐츠가 송수신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저 A와, 유저 B와, 유저 C는 동일한 채팅 서비스의 그룹인 그룹 #1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01에서, 단말 20A는 그룹 #1으로의 콘텐츠를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단계 S202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그룹 #1에 속하는 유저를 특정한다.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A에 추가로 유저 B 및 유저 C가 그룹 #1에 속하는 것을 특정한다.
단계 S203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B의 단말 20B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204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이와 같이, 유저 C의 단말 20C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205에서,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 그룹 #1에 속하는 다른 유저의 선택과,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변경 지시를 수신한다.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선택된 다른 유저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여 화면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유저 A로부터 유저 B의 선택을 수신한 경우, 단말 20A는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를 유저 A에서 확인하기 쉽도록, 유저 B 및/또는 유저 C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구체적인, 표시 형태가 변경된 경우의 화면 표시의 예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음으로, 단말 20A가 유저 A에서, 그룹 #1에 속하는 유저인 유저 B와의 사이에서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동작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그룹에 속하는 일부의 유저가 속하는 새롭게 생성되는 그룹을 서브그룹이라고 부른다. 서브그룹은, 서브그룹의 기초가 되는 그룹의 일부의 상태를 인계한다.
유저 A가 다른 유저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확인한 후에, 단말 20A가 유저 A로부터 그룹 #1의 일부 유저와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단계 S206 이후의 처리가 개시된다.
단계 S206에서,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 서브그룹의 생성의 지시를 수신한다. 서브그룹의 생성의 지시는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선택을 포함한다. 그룹 A로부터 서브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유저 A는 유저 B 또는 유저 C를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로서 선택 가능하다.
또한, 서브그룹의 생성의 지시는 서브그룹의 기초가 되는 그룹으로부터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인계 상태란, 서브그룹의 기초가 되는 그룹으로부터 송수신된 콘텐츠 및 콘텐츠가 다른 유저에게 열람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열람 상태(읽지 않음, 읽음) 등이다.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는 서브그룹으로 인계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20은 콘텐츠의 송신원이나, 콘텐츠가 송수신된 기간의 지정을 받아 서브그룹으로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와 그 열람 상태를 특정할 수 있다.
서브그룹의 생성의 지시는 서브그룹의 명칭 및 인계할 콘텐츠의 인계지에서의 표시 형태를 특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단말 20A가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로서 유저 B를 선택하는 지시를 유저 A에서 수신한 것으로 한다. 또한, 단말 20A가 인계 상태로서,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와 그 콘텐츠의 열람 상태로 하는 지정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한 것으로 한다. 단말 20A가 유저 A로부터 서브그룹의 명칭으로서 "서브그룹 #2" 지시를 수신한 것으로 한다. 단말 20A는, 단계 S205에서, 확인하기 쉽도록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 유저 B가 송신원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인계 상태로 할 수도 있다.
단계 S207에서, 단말 20A는 서브그룹 #2의 생성 요청을 송신한다. 생성 요청에는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 식별자,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 및 서브그룹의 명칭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단계 S208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서브그룹 #2의 생성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서브그룹 #2에 속하는 유저로서 선택되고 있는 유저 B의 단말 20B에 서브그룹 #2에 속하는 것의 가부를 문의한다.
단계 S209에서, 단말 20B는 유저 B로부터 서브그룹 #2에 속한다는 취지의 지시를 수신한다.
단계 S210에서, 단말 20B는 서브그룹 #2에 속한다는 것을 승낙한 취지의 통지를,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단계 S211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A와 유저 B가 속하는 서브그룹 #2를 생성한다. 생성된 서브그룹 #2에는,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와 그 콘텐츠의 열람 상태가 포함된다.
단계 S212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A에 서브그룹 #2의 생성이 완료된 취지를 통지한다.
생성된 서브그룹 #2에는,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유저 A가 단말 20A에서 채팅 서비스를 기동하여, 서브그룹을 선택한 경우, 단말 20A의 화면에는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그룹 #1의 콘텐츠가 표시된다. 단말 20A가 유저 A로부터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표시 기간의 변경의 지시를 수신한 경우,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그룹 #1의 콘텐츠와 그 열람 상태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유저 B가 단말 20B에서 서브그룹 #2를 선택한 경우에도, 단말 20B는 단말 20A와 같은 표시를 하게 될 수 있다.
단계 S213에서, 단말 20A는 서브그룹 #2를 목적지로 하여, 정보처리 장치 10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214에서, 단말 20A는 단말 20A의 화면의 서브그룹 #2의 표시 영역에, 단계 S213로부터 송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 20A는 단계 S213에서 송신된 콘텐츠를,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에 후속하는 콘텐츠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20A는 단말 20B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에 후속하는 콘텐츠로서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15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서브그룹 #2에 속하는 유저가 유저 A와 유저 B인 것을 특정한다.
단계 S216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B의 단말 20B에 단말 20A로부터의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217에서, 단말 20B는 단말 20B의 화면의 서브그룹 #2의 표시 영역에,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말 20A와 동일하게, 단말 20B는 단계 S217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에 후속하는 콘텐츠로서 표시할 수 있다.
덧붙여,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2명의 유저가 서브그룹에 속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3명 이상의 유저가 서브그룹에 속하는 경우라도 같은 순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처리 장치 10이 그룹으로부터 서브그룹으로의 콘텐츠의 인계를 수행하고 있지만, 단말 20이 유저에서 지정된 콘텐츠를 서브그룹으로 인계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송신되고 난 후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콘텐츠는,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삭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2) 기존의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20로부터 서브그룹의 생성 요청을 받아, 정보처리 장치 10에 의해 서브그룹이 생성되고, 그룹의 상태가 서브그룹으로 인계되는 순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룹의 상태를 다른 그룹으로 인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다른 그룹으로 상태를 인계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는, 기존의 그룹으로 상태를 인계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와 같이, 유저 A의 단말 20A와, 유저 B의 단말 20B와, 유저 C의 단말 20C 사이에서, 콘텐츠가 송수신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저 A와, 유저 B와, 유저 C는 동일한 채팅 서비스의 그룹인 그룹 #1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유저 A와, 유저 B는 채팅 서비스의 그룹인 그룹 #2에 동시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01 내지 단계 S305의 순서에 대해서는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5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06에서,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 그룹 #1의 상태를 그룹 #2로 인계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인계하는 지시는 인계원인 그룹으로부터의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인계 상태란, 인계원인 그룹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및 콘텐츠의 열람 상태(읽지 않음, 읽음) 등이다.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는 인계지인 그룹으로 인계되는 콘텐츠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 20은 콘텐츠의 송신원이나, 콘텐츠가 송수신된 기간의 지정을 받아, 인계지인 그룹으로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와 그 열람 상태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인계하는 지시는 인계지인 그룹에 있어서의 인계된 콘텐츠의 표시 형태에 관한 지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단말 20A는 그룹 #1로부터 그룹 #2로의 인계 상태로서,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와 그 콘텐츠의 열람 상태로 하는 지정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한 것으로 한다. 단말 20A는, 단계 S305에서, 확인하기 쉽도록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 유저 B가 송신원으로서 설정되어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만 인계 상태로 할 수 있다.
단계 S307에서, 단말 20A는 그룹의 상태의 인계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인계 요청에는 인계원의 그룹 식별자, 인계지의 그룹 식별자 및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
즉, 단말 20A는 그룹 #1로부터 그룹 #2로의 천이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하고, 천이 요청은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상태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 S308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그룹의 상태의 인계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인계지인 그룹에 속하는 유저 B의 단말 20B에, 그룹 #1의 상태를 그룹 #2로 인계하는 것의 가부를 문의한다.
단계 S309에서, 단말 20B는 유저 B로부터 그룹 #1의 상태를 그룹 #2로 인계하는 것을 승낙하는 취지의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310에서, 단말 20B는 그룹의 상태의 인계를 승낙한다는 취지의 통지를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단계 S311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그룹 #1의 상태를 그룹 #2로 인계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의 결과, 정보처리 장치 10은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그룹 #1 내의 콘텐츠와 그 콘텐츠의 열람 상태를 그룹 #2 내의 콘텐츠 등으로서 관리한다.
단계 S312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A에 인계의 처리가 완료된 취지를 통지한다.
인계의 처리가 실행된 후, 그룹 #2에는 그룹 #1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가 포함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1 내에서 송수신된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 등이 포함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 A가 단말 20A에서 채팅 서비스를 기동하여 그룹 #2를 선택한 경우, 단말 20A의 화면에,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도 단말 20A의 화면에 표시된다. 유저 B가 단말 20B에서 그룹 #2를 선택한 경우에도, 단말 20B는 단말 20A와 같은 표시를 하게 될 수 있다. 표시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계 S313에서, 단말 20A는 그룹 #2를 목적지로 하여, 정보처리 장치 10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314에서, 단말 20A는 단말 20A의 화면의 그룹 #2의 표시 영역에,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와 함께, 단계 S313에서 송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계 S315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그룹 #2에 속하는 유저가 유저 A와 유저 B인 것을 특정한다.
단계 S316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B의 단말 20B에 단말 20A로부터의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317에서, 단말 20B는 단말 20B의 화면의 그룹 #2의 표시 영역에,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말 20A와 동일하게, 단말 20B는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와 함께 단계 S317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정보처리 장치 10이, 그룹 #1로부터 그룹 #2로의 콘텐츠의 인계를 수행하고 있지만, 단말 20이 유저에게 지정된 콘텐츠를 그룹 #2로 인계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송신되고 나서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콘텐츠는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삭제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3) 1대1 토크 모드로의 상태의 인계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를 수행하는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그룹에 포함되는 다른 유저 사이에서, 1대1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모드인 "1대1 토크 모드"에 상태의 인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1대1 토크 모드로 상태를 인계하는 경우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b는, 1대1 토크 모드로 상태를 인계하는 경우의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와 같이, 유저 A의 단말 20A와, 유저 B의 단말 20B와, 유저 C의 단말 20C 사이에서, 콘텐츠가 송수신되는 동작 시퀀스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유저 A와, 유저 B와, 유저 C는 동일한 채팅 서비스의 그룹인 그룹 #1에 속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351 내지 단계 S355에 대해서는, 단계 S301 내지 단계 S305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 S356에서,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 그룹 #1의 상태를 유저 A와 유저 B 사이의 1대1 토크 모드로 인계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인계 상태의 지정에 대해서는, 단계 S306과 같다.
단계 S357에서, 단말 20A는 그룹의 상태의 1대1 토크 모드로의 인계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인계 요청은 인계원의 그룹 식별자, 유저 B의 식별자 및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 등을 포함한다.
단계 S358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그룹의 상태의 인계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유저 B의 단말 20B에 그룹 #1의 상태를 유저 A와의 1대1 토크 모드로 인계하는 것의 가부를 문의한다.
단계 S359에서, 단말 20B는 유저 B로부터 그룹 #1의 상태를 유저 A와의 1대1 토크 모드로 인계하는 것을 승낙하는 취지의 입력을 수신한다.
단계 S360에서, 단말 20B는 그룹의 상태의 인계를 승낙한 취지의 통지를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단계 S361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그룹 #1의 상태를 유저 A와 유저 B와의 1대1 토크 모드로 인계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의 결과, 정보처리 장치 10은 지정된 기간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그룹 #1 내의 콘텐츠와 그 콘텐츠의 열람 상태를, 유저 A와 유저 B와의 1대1 토크 모드의 콘텐츠 등으로서 관리한다. 여기에서는, 과거 1개월분의 콘텐츠 등이 인계된 것으로 한다.
단계 S362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A에 인계의 처리가 완료된 취지를 통지한다. 인계 처리가 완료되면, 인계된 상태가, 1대1 토크 모드로 천이한다.
인계의 처리가 실행된 후, 유저 A와 유저 B의 1대1 토크 모드에는, 그룹 #1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가 포함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1 내에서 송수신된 과거 1개월분의 유저 A 및 유저 B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 등이 포함되게 된다.
이 때문에, 유저 A가 단말 20A에서 채팅 서비스를 기동하여 유저 B와의 1대1 토크 모드를 선택한 경우, 단말 20A의 화면에는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도 단말 20A의 화면에 표시된다. 유저 B가 단말 20B에서 유저 A와의 1대1 토크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도, 단말 20B는 단말 20A와 같은 표시를 하게 될 수 있다.
단계 S363에서, 단말 20A는 유저 B를 목적지로 하여, 정보처리 장치 10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364에서, 단말 20A는 단말 20A의 화면의 유저 B와의 1대1 토크 모드의 표시 영역에,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와 함께, 단계 S363에서 송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계 S365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콘텐츠의 목적지를 유저 B로 특정한다.
단계 S366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유저 B의 단말 20B에 단말 20A로부터의 콘텐츠를 송신한다.
단계 S367에서, 단말 20B는 단말 20B의 화면의 유저 A와의 1대1 토크 모드의 표시 영역에,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한다. 단말 20A와 동일하게, 단말 20B는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와 함께 단계 S367에서 수신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화면 표시 예>
(1) 서브그룹의 생성
도 4a~도 4e 및 도 5를 이용하여, 서브그룹의 생성과 관련되는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단계 S205에 있어서의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의 좌측에 다른 유저가 송신원이 되는 콘텐츠인 메시지 31(31B/31C)가, 다른 유저를 나타내는 아이콘 30(30B/30C)과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아이콘 30B와 함께 표시되고 있는 메시지 31B는 유저 B를 송신원으로 하는 메시지이며, 아이콘 30C와 함께 표시되고 있는 메시지 31C는 유저 C를 송신원으로 하는 메시지이다. 또한, 화면의 우측에 유저 A의 송신원이 되는 메시지 31A가 표시된다. 각 메시지는 메시지의 송수신 시각이나 다른 유저에 의한 열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읽음"의 표시) 등의 상태 32와 함께 표시된다.
단계 S205에서,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다른 유저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도 4a는 단말 20A가 유저 A로부터의 지시를 받고, 유저 B로부터의 메시지 31B를 강조된 표시 형태로 표시하고, 유저 C로부터의 메시지 31C를 그레이 아웃된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유저 A는 유저 B로부터의 메시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4a의 예에서는, 유저 C로부터의 메시지 31C의 표시 형태를 그레이 아웃하고 있었으나, 유저 C로부터의 메시지 31C를 비표시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저 C로부터의 메시지 31C가 그레이 아웃이나 비표시로 된 경우, 유저 B로부터의 메시지 31B를 보통의 표시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유저 C로부터의 메시지 31C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것에 더하여, 단말 20A는 유저 A의 메시지 31A의 표시 형태를 그레이 아웃이나 비표시로 하는 것에 의해, 유저 B로부터의 메시지 31B에 의해 관심이 집중되도록 화면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다.
단말 20A는, 유저 B로부터의 메시지 31B에 의해 관심이 집중되도록, 메시지 31B를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말 20A는 유저 A의 메시지 31A의 일부를 비표시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 B의 메시지 31B에 대한 응답을 확인하기 위해, 메시지 31B로부터 소정의 개수 이내의 유저 A의 메시지 31A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b 내지 도 4e, 도 5의 (A) 및 (B)는, 단계 S206에 있어서의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20A가 기존의 그룹(그룹 A)를 이용하여 채팅 서비스를 실행 중에, 유저 A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수신함에 따라 서브그룹을 생성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도 4b는 도 4a의 화면을 표시하고 있을 때에 단말 20A가 유저 A에서 소정의 조작을 수신한 때의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단말 20A는 소정의 조작을 수신함에 따라, 서브그룹을 생성할지 여부를 유저에게 확인하는 메시지인 "특정한 유저와 개별 토크를 개시할까요?"(40)를 화면에 표시한다. Yes 41이 선택된 경우, 단말 20A는, 도 4c의 화면을 표시한다. No 42가 선택된 경우, 서브그룹의 생성에 관한 처리를 종료한다.
도 4c는, 단말 20A가 서브그룹에 속하는 다른 유저의 선택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이다. 단말 20A는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개별 토크를 개시할 유저를 선택해 주세요(43)"를, 그룹 A에 속하는 유저의 리스트 44와 함께 표시한다. 단말 20A의 유저 A는 그룹에 속하는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 20A는 그룹 A에 속하는 다른 유저인 유저 B 및 유저 C를 선택 가능한 상태로 표시한다. 단말 20A는 유저의 리스트 44의 선택란 45가 선택되어, 멤버 선택 완료 버튼 46의 선택을 수신하면 도 4d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4d는, 단말 20A가 서브그룹으로 인계할 콘텐츠의 선택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이다. 단말 20A는 콘텐츠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인계할 콘텐츠를 선택해 주세요(47)"를 콘텐츠 지정 테이블 48과 함께 표시한다. 단말 20A는 "콘텐츠의 송신원 유저(49)", "콘텐츠 종류(50)" 및 "열람 상태(51)" 등의 지정을 유저로부터 수신하여, 인계할 콘텐츠를 특정할 수 있다. 도 4c의 예에서는, 유저 A는, 인계할 콘텐츠 종류로서, 메시지, 스탬프, 사진 및 동영상의 지정이 가능하다. 또한, 도 4d의 예에서는, 유저 A는 인계할 콘텐츠의 열람 상태로서, "읽지 않음만" 또는 "모두" 중 어느 한 쪽을 지정할 수 있다. "읽지 않음만"이 선택된 경우에는, 선택된 콘텐츠 종류의 콘텐츠 내에서, 서브그룹에 속하는 다른 유저에게 열람되지 않은 콘텐츠가 서브그룹으로 인계된다.
도 4d에서는, 그룹 A에 속하는 모든 유저(유저 A, 유저 B, 유저 C)가 송신원인 콘텐츠를 선택 가능하지만, 새롭게 생성되는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콘텐츠만을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콘텐츠, 예를 들면, 유저 A 및/또는 유저 B만이 선택된 쪽이, 유저가 단말 20 상에서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 사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를 시계열을 따라 확인하기가 쉽다는 메리트가 있다.
유저에게 인계할 콘텐츠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유저는 용도에 따라 인계할 콘텐츠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텐츠 종류로서 메시지가 선택된 경우, 유저는 인계 전의 그룹에 있어서의 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콘텐츠 종류로서 사진이 선택된 경우, 유저는, 인계 전의 그룹으로 송신된 사진을 정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말 20A는 콘텐츠 지정 테이블 48의 선택란 45가 선택되고, 콘텐츠 선택 완료 버튼 95의 선택을 수신하면, 도 4e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4e는, 단말 20A가 콘텐츠를 인계할 기간의 지정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이다. 단말 20A는 콘텐츠를 인계할 기간의 지정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 인계할 기간을 선택해 주세요(52)"를, 기간 선택 테이블 53과 함께 표시한다.
기간 선택 테이블 53에는, 기간(1주간 1개월)의 선택란 45 및 기간의 직접 지정란 54가 마련되고 있다. 단말 20A는 기간 선택 테이블 53의 선택란 45의 선택 또는, 직접 지정란 54에 기간의 입력이 되어, 기간 지정 완료 버튼 55의 선택을 수신하면, 도 5의 (A)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5의 (A)는, 단말 20A가 서브그룹의 명칭의 설정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이다. 단말 20A는 서브그룹의 명칭의 설정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개별 토크의 그룹명을 설정해 주세요(56)"를 명칭의 입력란 57과 함께 표시한다.
단말 20A는 서브그룹명의 입력을 수신하고, 완료 버튼 58의 선택을 수신하면, 도 5의 (B)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5의(B)는, 단말 20A가 그룹에서 서브그룹으로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지정을, 유저 A로부터 수신하는 화면이다. 단말 20A는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결정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선택해 주세요(59)"를 표시 형태 선택 테이블 60과 함께 표시한다.
단말 20A는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선택을 수신하고, 완료 버튼 61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계 S207의 서브그룹 #2의 생성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도 5의 (C)는, 단계 S214에 있어서의,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20A의 화면에는, 서브그룹 #2에 포함되는 콘텐츠가,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와 함께 표시된다. 여기서,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란, 콘텐츠의 송수신 일시 및 콘텐츠의 다른 유저의 열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읽음 표시)이다.
도 5의 (C)에서는, 그룹 #1로부터 서브그룹 #2로 인계된 콘텐츠 62(62A~62E)는, 서브그룹 #2에서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 80과는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인계된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63(63A~63E)는, 그룹 #1에 있어서의 콘텐츠가 송수신된 시각과, 다른 유저의 열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가 표시되고 있다.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 80의 콘텐츠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81은, 새롭게 생성된 콘텐츠 80이 단말 20A로부터 송신된 시각과, 서브그룹의 다른 유저의 열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2) 기존의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기존의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와 관련되는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에 대해서 설명한다. 서브그룹의 생성의 화면의 표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4a~도 4e 및 도 5를 적절히 참조한다.
단계 S305에서,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의 지시를 받음에 따라, 유저 A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단계 S205와 동일하게, 다른 유저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단말 20A는, 예를 들면, 도 4a의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306에서, 콘텐츠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어 표시되고 있을 때에, 유저 A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수신함에 따라, 단말 20A는 기존의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에 관한 처리를 개시한다.
단말 20A는, 도 4b 및 도 4c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유저 A에 다른 유저의 선택을 촉구한다. 유저 A에 의해 선택된 다른 유저 사이에서, 기존의 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단말 20A는 도 6의 (A)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6의 (A)는, 단말 20A가 새로운 그룹을 생성할 것인지, 기존의 그룹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1대1 토크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의 선택을, 유저 A에게 촉구하는 화면이다.
단말 20A는 새로운 그룹을 생성해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새로운 그룹을 생성합니까?"(63)를 선택지 64와 함께 표시한다.
"새로운 그룹을 생성"에 대응하는 선택란 45가 선택되어, 선택 버튼 65가, 유저 A에 선택된 경우, 단말 20A는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 단말 20A는 서브그룹의 생성의 처리를 개시한다.
"기존의 그룹을 사용"에 대응하는 선택란 45가 선택되고, 선택 버튼 65가 유저 A에 선택된 경우, 단말 20A는 기존의 그룹으로 인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 단말 20A는 도 6의 (B)의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1대1 토크 모드를 사용"에 대응하는 선택란 45가 선택되고, 선택 버튼 65가 유저 A에게서 선택된 경우, 단말 20A는, 1대1 토크 모드로 인계하여 처리를 실행하는 화면을 표시한다(후술). 덧붙여, "1대1 토크 모드를 사용"의 표시 및 선택란에 대해서는, 한 사람의 다른 유저가 선택된 경우로 표시된다.
도 6의 (B)는, 단말 20A가 선택된 다른 유저와의 기존의 그룹을 이용할 것인지 여부를 유저 A에게 확인하기 위한 화면이다. 단말 20A는 메시지 "그룹 #2를 사용해도 되겠습니까?"(66)를 화면에 표시한다. Yes 67이 선택된 경우, 단말 20A는, 도 6의 (C)의 화면을 표시한다. No 68이 선택된 경우, 기존의 그룹으로의 인계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6의 (C)는, 단말 20A가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방법의 선택을, 유저 A에게 촉구하는 화면이다. 단말 20은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방법의 선택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방법을 선택해 주세요(69)"를, 선택지 70과 함께 표시한다.
단말 20A는, "시계열을 따라 표시" 또는 "정리하여 표시"에 대응하는 선택란 45가 선택되고, 선택 버튼 82가 유저 A에 의해 선택되면, 단계 S307의 인계 요청을 송신한다.
덧붙여, 단말 20A는, 도 6의 (C)의 화면을 표시시킨 후에, 도 5의 (B)의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선택을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고, 도 6의 (C)의 화면을 표시시키기 전에, 도 5의 (B)의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선택을 촉구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도 7은, 단말 20A가 기존의 그룹에 콘텐츠를 인계했을 때의 화면의 표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도 6의 (C)의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시계열을 따라 표시"가, 유저 A에 선택된 경우의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기존의 그룹인 그룹 #2로 송수신된 콘텐츠 72와, 그룹 #1로부터 그룹 #2로 인계된 콘텐츠 71이, 같은 시계열로 표시된다. 단말 20A는 유저 A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그룹 #2로 송수신된 콘텐츠와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를 구별 가능한 표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말 20A의 유저 A는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를 구별하면서, 그룹 #2의 유저 사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를 시계열을 따라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도 6의 (C)의 인계한 콘텐츠의 표시 방법에 있어서, "정리하여 표시"가, 유저 A에게서 선택된 경우의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콘텐츠 표시 영역 77에 존재하는 콘텐츠다. 단말 20A가 유저 A로부터 스크롤 등에 의해 표시 영역의 변경을 수신함에 따라, 콘텐츠 표시 영역 77에서 표시되는 콘텐츠는 변경된다.
인계한 콘텐츠가 정리하여 표시되는 경우, 그룹 #2로 송수신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기존 콘텐츠의 표시 영역 79(79A 및 79B) 사이에, 그룹 #1로부터 인계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인계 콘텐츠의 표시 영역 78이 마련된다.
도 7의 (B)의 예에서는, 기존 콘텐츠의 표시 영역 79A 및 79B 사이에, 인계 콘텐츠의 표시 영역 78이 마련된다. 인계 콘텐츠의 표시 영역 78은 "인계 콘텐츠 시작"의 마크 75와, "인계 콘텐츠 끝"의 마크 76으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단말 20A의 유저 A는, 그룹 #1로부터 인계한 콘텐츠를 정리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 7의 (B)에서는, 인계 콘텐츠의 표시 영역 78이 기존 콘텐츠의 표시 영역 79A 및 79B 사이에 설정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인계하고 콘텐츠의 표시 영역 78은, 인계 처리가 완료된 때에, 기존 콘텐츠의 표시 영역 79의 아래, 즉, 최신의 콘텐츠가 표시되어야 하는 장소에 마련될 수도 있다.
덧붙여, 1대1 토크로의 인계시에도, 단말 20A의 화면에는, 도 7과 같은 표시가 된다.
(3) 1대1 토크 모드로의 상태의 인계
다음으로, 1대1 토크 모드로 상태를 인계하는 경우의 단말 20A의 화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1대1 토크 모드로 상태를 인계하는 경우의 단말 20A의 화면의 표시는, 기존의 그룹에 상태의 인계와 대체로 같으므로, 다른 부분만 설명한다.
단계 S356에서, 단계 S306과 동일하게, 다른 유저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의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단말 20A는, 예를 들면, 도 4a의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356에서, 콘텐츠의 표시 형태가 변경되고 있을 때에, 유저 A로부터 소정의 조작을 수신함에 따라, 단말 20A는 1대1 토크 모드로의 상태의 인계에 관한 처리를 개시한다. 단말 20A에 도 6의 (A)의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에, "1대1 토크 모드를 사용"에 대응하는 선택란 45가 선택되고, 선택 버튼 65가 유저 A에 선택된 경우, 단말 20A는 도 6의 (D)의 화면을 표시한다.
도 6의 (D)에서는, 1대1 토크 모드로의 상태의 인계의 처리를 개시해도 될지 여부의 확인을 촉구하는 메시지인 "1대1 토크 모드를 사용해도 되겠습니까?"(96)가 표시된다. Yes 97이 선택된 경우, 1대1 토크 모드로의 인계의 처리가 계속된다. No 98이 선택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하드웨어 구성>
다음으로, 정보처리 시스템 1에 포함되는 각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정보처리 장치
정보처리 장치 10은, 일반적인 컴퓨터의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서, 컴퓨터 300은,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301, RAM(Random Access Memory) 302, ROM(Read Only Memory) 303, 스토리지 장치 304, 입력장치 305, 표시장치 306, 통신 I/F(Interface) 307 및 외부 I/F 308을 가지고,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B를 통해 접속된다.
CPU 301은, ROM 303과 이나 스토리지 장치 304 등의 메모리에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RAM 302 상에서 읽어내어,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컴퓨터 300의 제어나 기능을 실현하는 연산 장치이다. ROM 303은 컴퓨터 300의 기동시에 실행되는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OS(Operating System)의 설정 및 각종 설정 등의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RAM 302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 보관 유지하는 휘발성의 메모리이다. 스토리지 장치 304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대용량의 기억장치이다.
입력장치 305는, 예를 들면,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며, 유저가 각종 조작 신호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표시장치 306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등이며, 컴퓨터 300에 의한 처리 결과를 표시한다. 덧붙여, 입력장치 305 또는/및 표시장치 306은 필요할 때에 접속하여 이용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통신 I/F 307은, 컴퓨터 300을 네트워크 2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I/F 308은,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이다. 외부 장치에는, 외부기억매체 308a 등이 있다. 이로 인해, 컴퓨터 300은 외부 I/F 308을 통해 외부기억매체 308a의 판독 및/또는 기입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기억매체 308a에는 예를 들면, 각종의 광학 디스크나 각종의 메모리 카드 등이 포함된다.
CPU 301이, ROM 303 등에 저장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정보처리 장치 1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2) 단말
도 9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2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말 20은, CPU 201, ROM 202, RAM 203, 기억장치 204, 입출력 장치 205, 통신 I/F 206 및 디스플레이 207(표시장치)를 구비한다. 덧붙여, 단말 20의 하드웨어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B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기억장치 204는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CPU 201은, 기억장치 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ROM 202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다. ROM 202는, 기억장치 204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을 CPU 201이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AM 203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주기억장치이다. RAM 203은, 각종 프로그램이 CPU 201에 의해 실행될 때에 전개되는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입출력 장치 205는, 단말 20에 대한 각종 지시를 입력하는 입력장치 및 단말 20에서 처리된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의 기능을 포함한다. 입출력 장치 205는 디스플레이 207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207은, 터치 반응형 디스플레이(터치 패널)로 할 수 있다. 통신 I/F 206은, 네트워크 2를 통해 단말 20과 정보처리 장치 10과의 통신을 수행한다.
CPU 201이, 기억장치 204 등에 저장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단말 20의 각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기능 구성>
(1) 단말의 기능 구성
도 10을 이용하여, 단말 20의 기능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말 20은, 송수신부 210, 표시 제어부 220, 입력부 230, 그룹 설정부 240, 콘텐츠 처리부 250 및 정보 기억부 260을 가진다. 정보 기억부 260은 그룹 관리 테이블 261,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 및, 콘텐츠 저장부 263을 가진다.
송수신부 21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정보처리 장치 10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표시 제어부 220은, 입력부 230, 그룹 설정부 240 및 콘텐츠 처리부 250 등으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단말 20의 화면의 표시 제어를 수행한다.
입력부 230은, 단말 20의 유저로부터의 각종 지시를 수신한다.
그룹 설정부 240은, 입력부 230이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음에 따라, 서브그룹의 생성의 요청 및 다른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의 요청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그룹 설정부 240은,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서브그룹의 생성의 요청에 대한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면, 생성된 서브그룹에 관한 내용을 그룹 관리 테이블 261에 기억하도록 한다. 또한, 그룹 설정부 240은 새롭게 생성된 서브그룹용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를 생성한다. 그룹 설정부 240은 생성원의 그룹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로부터,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새롭게 생성된 서브그룹용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에 설정한다. 덧붙여,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는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로부터 특정된다.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는 유저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된다.
그룹 설정부 240은,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다른 그룹으로의 상태의 인계 요청에 대한 완료의 통지를 수신하면, 그룹 설정부 240은 그룹의 상태를 인계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설정부 240은 그룹 관리 테이블 261에 인계원인 그룹과 인계지인 그룹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도록 한다. 또한, 그룹 설정부 240은, 인계원인 그룹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로부터,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인계지의 그룹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에 설정한다. 덧붙여, 서브그룹의 생성시와 동일하게,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는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로부터 특정된다.
콘텐츠 처리부 250은 입력부 230이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음에 따라, 메시지의 작성을 실시하고, 작성된 메시지를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50은 입력부 230이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받음에 따라, 선택 가능한 스탬프, 사진 및 동영상을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할 것을 표시 제어부 220에 지시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50은 입력부 230이 유저로부터 스탬프 등의 선택의 지시를 받음에 따라, 선택된 스탬프 등을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콘텐츠 처리부 250은 선택 가능한 스탬프 등을 표시하도록 할 때에, 콘텐츠 저장부 263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한다.
콘텐츠 처리부 250은 메시지나 스탬프 등의 각종 콘텐츠를 송수신부 210을 통해, 정보처리 장치 10에 송신한다. 또한, 콘텐츠 처리부 250은 송신되는 콘텐츠의 목적지에 그룹 또는 유저 식별자를 설정한다. 목적지에 그룹 식별자가 설정된 경우, 설정된 그룹에 속하는 유저의 단말 20에 콘텐츠가 전송된다.
정보 기억부 260은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그룹 관리 테이블 261은 단말 20의 유저가 속하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룹 관리 테이블 261의 일례를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그룹 관리 테이블 261은 그룹을 일의(一意)로 특정하는 그룹 식별자, 그룹의 명칭인 그룹명, 그룹 속성, 관련 그룹 식별자 및 그룹에 속하는 유저를 나타내는 유저 식별자를 대응시켜 기억한다.
그룹의 속성은, 보통 또는 서브그룹 중 어느 한 쪽으로 설정된다. 관련 그룹 식별자에는 상태를 인계한 그룹의 식별자가 설정된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 002의 그룹은 그룹 식별자 001의 상태를 인계하여 새롭게 생성된 서브그룹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그룹 식별자 004의 그룹은 그룹 식별자 003의 그룹의 상태를 기존의 그룹(그룹 식별자 004)이 인계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는 서브그룹을 포함하는 그룹마다 생성된다.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는 송수신된 콘텐츠와 콘텐츠에 관한 정보를 관련하여 기억하고 있다. 도 12에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그룹 식별자 001의 그룹에서 송수신된 콘텐츠와, 콘텐츠에 관한 정보가 대응되어 기억되고 있다. 콘텐츠에 관한 정보로서, 송수신 시각, 송신원 유저 식별자, 콘텐츠 종류 및 열람 상태가 기억되고 있다.
콘텐츠 저장부 263은 단말 20로부터 송신하는 스탬프,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기억한다.
(2) 정보처리 장치의 기능 구성
정보처리 장치 10은 송수신부 110, 콘텐츠 전송부 120, 그룹 처리부 130 및 정보 기억부 140을 가진다. 또한, 정보 기억부 140은 그룹 관리 테이블 141,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 및 유저 관리 테이블 143을 가진다.
송수신부 110은, 네트워크 2를 통해, 단말 20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한다.
콘텐츠 전송부 120은 단말 2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목적지의 유저의 단말 20에 송신한다. 콘텐츠 전송부 120은 유저 관리 테이블 143을 참조하여, 목적지의 유저의 단말 20의 주소를 특정하여 콘텐츠를 전송한다. 콘텐츠의 목적지에 그룹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콘텐츠 전송부 120은 그룹 관리 테이블 141을 참조하여, 그룹에 속하는 유저를 특정하고, 유저 관리 테이블 143을 참조하여 목적지의 유저의 단말 20의 주소를 특정한다.
그룹 처리부 130은 단말 20에서 서브그룹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그룹에 속하는 다른 유저의 단말 20에 서브그룹에 속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덧붙여, 생성 요청은 서브그룹에 속하는 유저 식별자를 포함한다.
송수신부 110이, 다른 유저의 단말 20으로부터, 서브그룹에 속하는 것을 승낙하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그룹 처리부 130은 서브그룹의 생성의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처리부 130은 서브그룹용 그룹 관리 테이블 141을 생성한다. 또한, 그룹 처리부 130은 서브그룹용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를 생성한다. 그룹 처리부 130은 생성원의 그룹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로부터,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새롭게 생성된 서브그룹용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에 설정한다. 덧붙여,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는, 서브그룹의 생성 요청에 포함되는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로부터 특정된다.
서브그룹의 생성의 처리는, 서브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유저의 그룹 관리 테이블 141 및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에 대해 실행된다.
그룹 처리부 130은 단말 20로부터 다른 그룹으로의 그룹의 상태의 인계 요청을 수신하고, 인계지의 그룹에 속하는 다른 유저의 단말 20에 그룹의 상태의 인계를 승낙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덧붙여, 인계 요청은 인계원의 그룹 식별자와 인계지의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다.
송수신부 110이, 다른 유저의 단말 20로부터, 다른 그룹으로의 그룹의 상태의 인계를 승낙한다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그룹 처리부 130은 그룹의 상태를 인계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처리부 130은, 그룹 관리 테이블 141에 인계원인 그룹과, 인계지인 그룹의 대응 관계를 기억하도록 한다. 또한, 그룹 처리부 130은 인계원인 그룹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로부터,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 등을 취득하여, 인계지인 그룹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에 설정한다. 덧붙여, 서브그룹의 생성시와 동일하게, 인계해야 하는 콘텐츠는 인계 요청에 포함되는 인계 상태를 특정하는 정보로부터 특정된다.
그룹의 상태를 인계하는 처리는 서브그룹에 속하는 각각의 유저의 그룹 관리 테이블 141 및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에 대해 실행된다.
또한, 그룹 처리부 130은 유저의 단말 20로부터 다른 유저와의 "1대1 토크 모드"로의 그룹의 상태의 인계 요청을 수신하고, 다른 유저의 단말 20에 그룹의 상태의 인계를 승낙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메시지를 송신한다. 덧붙여, 인계 요청은 인계원의 그룹 식별자와 다른 유저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송수신부 110이, 다른 유저의 단말 20으로부터, 그룹의 인계를 승낙하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그룹 처리부 130은 그룹의 상태를 인계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송수신부 110이, 다른 유저의 단말 20로부터, "1대1 토크 모드"로의 그룹의 상태의 인계를 승낙하는 취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 그룹 처리부 130은 그룹의 상태를 인계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인계하는 처리의 내용에 대해서는, 다른 그룹으로의 인계의 처리와 동일하다.
정보 기억부 140은 각종 정보를 기억한다. 정보 기억부 140은 단말 20이 기억하고 있는 유저 각각에 관한 그룹 관리 테이블 261과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를 기억한다.
그룹 관리 테이블 141은 단말 20의 그룹 관리 테이블 261과 같은 내용을 기억한다. 콘텐츠 관리 테이블 142는 단말 20의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와 같은 내용을 기억한다.
유저 관리 테이블 143은 SNS의 유저와 유저의 단말 20의 주소를 대응하여 기억하고 있다.
<동작 플로우>
도 14를 이용하여, 제1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동작 플로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401에서, 그룹 #1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하고 있을 때에, 입력부 230이 "개별 토크"를 개시한다는 취지의 지시를 수신한다. 여기서, 개별 토크란 그룹에 포함되는 일부의 유저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하는 것이다.
단계 S1402에서, 표시 제어부 220은 그룹 #1에 속하는 유저를 선택 가능한 상태로, 단말 20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입력부 230은 개별 토크를 개시하는 유저의 선택을 수신한다.
단계 S1404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고 개별 토크를 개시할지, 기존의 그룹을 사용하고 개별 토크를 개시할지의 판단을 촉구하는 표시를 표시 제어부 220에 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20은 도 6의 (A)의 화면을 표시하여 유저의 선택을 촉구한다.
표시 제어부 220은 단말 20의 화면에 판단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입력부 230이 새로운 그룹을 생성한다는 선택을 수신한 경우(단계 S1404 Yes), 단계 S1405로 진행한다. 한편, 입력부 230이 기존의 그룹을 사용한다는 선택을 수신한 경우(단계 S1404 No), 단계 S1409로 진행한다. 여기서,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경우, 그룹 설정부 240은 그룹 #1로부터의 서브그룹을 생성하는 처리를 개시하고, 기존의 그룹을 사용하는 경우, 그룹 #1의 상태를 다른 그룹으로 인계하는 처리를 개시한다.
단계 S1405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표시 제어부 220에 그룹 #1로부터 인계할 콘텐츠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표시 제어부 220은 단말 20의 화면에 콘텐츠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20은 도 4c 및 도 4d의 화면을 표시하여, 유저에게 콘텐츠의 선택을 촉구한다. 콘텐츠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계 S14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06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표시 제어부 220에 서브그룹의 명칭의 입력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표시 제어부 220은 단말 20의 화면에 서브그룹의 명칭의 입력을 촉구하는 표시를 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20은 도 5의 (A)의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서브그룹명의 입력을 촉구한다. 서브그룹명의 입력을 수신하면, 단계 S1407로 진행한다.
단계 S1407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표시 제어부 220으로 그룹 #1로부터 인계할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표시 제어부 220은 단말 20의 화면에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20은, 도 5의 (B)의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에게 표시 형태의 선택을 촉구한다. 표시 형태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계 S1408로 진행한다.
단계 S1408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서브그룹의 생성이 완료된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그룹 설정부 240은 그룹 관리 테이블 261 및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에 생성된 서브그룹의 정보를 설정한다.
단계 S1409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단계 S1405와 동일하게, 그룹 #1로부터 인계할 콘텐츠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콘텐츠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계 S14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1410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단계 S1407과 동일하게, 콘텐츠의 표시 형태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표시 형태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계 S1411로 진행한다.
단계 S1411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표시 제어부 220으로 그룹 #1로부터 인계할 콘텐츠의 표시 방법의 선택을 촉구하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표시 제어부 220은 도 6의 (C)의 화면을 표시하여, 유저에게 표시 방법의 선택을 촉구한다. 표시 방법의 선택을 수신하면, 단계 S1412로 진행한다.
단계 S1412에서, 그룹 설정부 240은 정보처리 장치 10으로부터 그룹의 인계의 처리가 완료된 취지의 통지를 받으면, 그룹 설정부 240은, 정보처리 장치 10과 동일하게, 그룹 관리 테이블 261 및 콘텐츠 관리 테이블 262에 그룹의 인계의 처리를 수행한다.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룹 #1에 속하는 일부의 유저인 유저 A와 유저 B의 단말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할 때에, 적절하게 그룹 #1의 상태를 관련하여 표시하게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단말 20이, 인계 상태에 관한 지시를 유저로부터 수신하는 것에 의해, 인계하여 표시되는 콘텐츠 등을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저 A 및/또는 유저 B가 송신한 콘텐츠와 그 열람 상태만을 인계하고, 다른 유저에 의해 송신된 콘텐츠 등을 인계하지 않는 것에 의해, 유저 A와 유저 B의 교환을 확인하기가 쉽게 된다는 메리트가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그룹의 일부의 유저의 단말 20에서 개별적으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개시하는 경우, 별개의 그룹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이 수행되고 있었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동일한 그룹 내에서 일부의 유저의 단말 20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동작 시퀀스
도 15를 이용하여,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동작 시퀀스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계 S1501 내지 단계 S1504는, 단계 S201 내지 단계 S204와 동일하다.
단계 S1505에서, 단말 20A가, 유저 A로부터, 그룹 #1 내에서 유저 B와 개별적으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실행한다는 취지의 지시를 수신한다.
단계 S1506에서, 단말 20A는 그룹 #1 내에서 유저 B와 개별적으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개별 모드의 기동 요청을 송신한다. 개별 모드의 기동 요청에는, 개별적으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할 유저 식별자를 포함한다.
단계 S1507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개별 모드의 기동 가부를 유저 B의 단말 20B에 문의한다.
단계 S1508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개별 모드의 기동을 승낙하는 취지의 응답을 단말 20B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1509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개별 모드의 기동이 완료된 취지를 단말 20A에 통지한다.
단계 S1510에서, 단말 20A는 유저 B로의 콘텐츠의 송신의 지시를 유저 A로부터 수신한다.
단계 S1511에서, 단말 20A는 정보처리 장치 10에 콘텐츠를 송신한다. 여기서, 콘텐츠의 송신지는 그룹 #1이 아니라, 유저 B로 설정되고, 콘텐츠의 표시지로 그룹 #1이 설정된다.
단계 S1512에서, 정보처리 장치 10은 단말 20A로부터의 콘텐츠를 단말 20B에 송신한다.
단계 S1513에서, 단말 20B는 수신한 콘텐츠를 화면의 그룹 #1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덧붙여, 개별 모드에서 송수신된 콘텐츠는 그룹 #1의 서브그룹에서 송수신된 콘텐츠로서 단말 20 및 정보처리 장치 10에서 관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서브그룹에서 송수신된 콘텐츠는 그룹 #1과 동일한 표시 영역에 표시된다.
(2) 화면 표시 예
도 16에서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단말 20의 화면의 표시 예를 나타낸다.
단말 20의 화면에,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90과, 개별 모드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91이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다.
또한, 개별 모드를 기동 중인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 92가 표시된다.
개별 모드에서는, 동일한 표시 영역에 그룹 #1에서 송수신한 콘텐츠와, 개별 모드여 송수신한 콘텐츠가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되기 때문에, 단말 20의 유저는 표시 영역을 변환하는 일 없이 콘텐츠를 확인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룹 #1에 속하는 일부의 유저인 유저 A와 유저 B의 단말 사이에서 콘텐츠의 송수신을 할 경우에, 적절하게 그룹 #1의 상태를 관련하여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그 외]
서브그룹의 생성 처리, 기존의 그룹에의 인계의 처리 및 개별 모드의 처리는, 개별 처리의 일례이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를 단말 20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 20이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내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술한 실시 형태가 달성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에, 기억 매체에는 상술한 표시 제어 방법을 단말 20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유저가 속하는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상기 유저의 단말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그룹에 속하는 일부 유저의 선택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개별적으로 상기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개별 처리의 기동 요청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개별 처리가 기동되었다는 취지의 응답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개별 처리를 실행하는 제3 단계를 단말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억 매체에 기억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 자체가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게 된다.
또한, 컴퓨터 장치가 읽어낸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뿐만인 것은 아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의 지시에 따라, 컴퓨터 장치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러한 처리에 의해 전술한 실시 형태의 기능이 실현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형 및 치환을 더할 수 있다.
본 국제 출원은 2016년 3월 3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 출원 2016-041463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 전부의 내용을 여기에서 원용한다.
1 정보처리 시스템
10 정보처리 장치
20 단말
110 송수신부(정보처리 장치)
120 콘텐츠 전송부
130 그룹 처리부
140 정보 기억부(정보처리 장치)
141 그룹 관리 테이블(정보처리 장치)
142 콘텐츠 관리 테이블(정보처리 장치)
143 유저 관리 테이블
210 송수신부
220 표시 제어부
230 입력부
240 그룹 설정부
250 콘텐츠 처리부
260 정보 기억부
261 그룹 관리 테이블(단말)
262 콘텐츠 관리 테이블(단말)
263 콘텐츠 저장부

Claims (13)

  1. 단말에서의 표시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유저가 속하는 제1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일부 유저의 선택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유저,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일부 유저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처리의 요청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중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룹으로 인계하여 표시하는 제3 단계를 가지는, 표시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와 상기 인계된 콘텐츠를 함께 표시하는 제4 단계를 가지는, 표시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소정의 기간 동안에, 상기 일부 유저의 단말로부터 상기 제1 그룹으로 송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룹으로 인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에, 상기 단말로부터 송신된 상기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룹으로 인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인계된 콘텐츠와, 상기 제2 그룹 내에서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상기 인계한 콘텐츠와, 상기 제2 그룹 내에서 새롭게 송수신된 콘텐츠를, 같은 시계열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인계한 콘텐츠를 제1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를 상기 제1 표시 영역과 다른 제2 표시 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처리의 요청은, 상기 유저와 상기 일부 유저가 속하는 새로운 그룹의 생성의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처리의 요청은,
    상기 유저와 상기 일부 유저가 속하는 기존의 그룹으로의 천이의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처리의 요청은, 상기 유저와 상기 다른 유저 사이에서의 1대1로의 콘텐츠의 송수신 처리의 실행 요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상기 제1 그룹에서 송수신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의 송신지에 상기 일부 유저를 설정하고, 상기 제1 그룹에서 송수신된 적어도 일부의 콘텐츠의 표시지에 상기 제1 그룹의 표시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제어 방법.
  12. 단말인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유저가 속하는 제1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일부 유저의 선택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유저, 및 상기 제1 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일부 유저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처리의 요청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중에서, 상기 제1 단계에서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룹으로 인계하여 표시시키는 제3 단계를 단말에서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13. 단말에 있어서,
    정보처리 장치를 통해, 상기 단말의 유저가 속하는 제1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1 그룹에 속하는 일부 유저의 선택을 수신함에 따라, 상기 일부 유저를 송신원으로 하는 콘텐츠를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수신함에 따라, 상기 유저, 및 상기 표시 제어부에 의한 다른 콘텐츠와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의 송신원인 상기 일부 유저를 포함하는 제2 그룹의 다른 유저의 단말과의 사이에서 콘텐츠를 송수신하는 처리의 요청을 상기 정보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송신부
    를 가지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룹 내에서 송수신된 콘텐츠 중에서, 상기 다른 표시 형태로 표시된 콘텐츠를 상기 제2 그룹으로 인계하여 표시하는, 단말.
KR1020187021302A 2016-03-03 2017-03-03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KR1021889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41463A JP6356169B2 (ja) 2016-03-03 2016-03-03 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
JPJP-P-2016-041463 2016-03-03
PCT/JP2017/008501 WO2017150710A1 (ja) 2016-03-03 2017-03-03 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604A KR20180098604A (ko) 2018-09-04
KR102188962B1 true KR102188962B1 (ko) 2020-12-09

Family

ID=5974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1302A KR102188962B1 (ko) 2016-03-03 2017-03-03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182061B2 (ko)
JP (1) JP6356169B2 (ko)
KR (1) KR102188962B1 (ko)
CN (2) CN108886541B (ko)
WO (1) WO20171507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97B1 (ko) * 2018-07-06 2019-12-31 주식회사 카카오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CN109450769B (zh) * 2018-09-17 2021-08-10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智能交互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2202660B (zh) * 2019-07-08 2022-11-22 钉钉控股(开曼)有限公司 通讯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112A1 (en) * 2014-03-20 2015-09-24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group and exiting group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3282A (ja) 1997-04-04 1998-10-23 Casio Comput Co Ltd 電子メール送受信装置、電子メール送受信方法及び電子メール作成方法
JP3644580B2 (ja) * 1999-03-19 2005-04-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US8037150B2 (en) * 2002-11-21 2011-10-11 Aol Inc.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ple personas in a communications environment
US9304675B2 (en) * 2006-09-06 2016-04-05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instant messaging
KR101701832B1 (ko) * 2010-05-31 201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그룹 대화 제어 방법
US8862055B2 (en) * 2011-02-04 2014-10-14 Takwak GmBh Systems and methods for defining group of users with mobile devices
US9043410B2 (en) 2011-08-15 2015-05-26 Skype Retrieval of stored transmissions
KR101850821B1 (ko) 2011-09-15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메시지 표시 방법
JP5981823B2 (ja) * 2012-09-28 2016-08-3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ッセージ表示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02016B2 (ja) * 2012-11-12 2017-03-2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表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EP2741192A3 (en) * 2012-12-06 2016-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050814B1 (ko) * 2013-04-02 2019-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대화에서 사적 대화 제공 장치 및 방법
US9304665B2 (en) * 2013-04-05 2016-04-05 Yaho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message selection and organization
KR20140142579A (ko) * 2013-06-04 2014-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장치의 그룹 채팅 제어 방법 및 그 휴대 장치
CN103402008A (zh) * 2013-07-26 2013-11-20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快速群发信息的方法和装置
KR101663891B1 (ko) * 2014-03-17 2016-10-07 주식회사 카카오 추출된 메시지를 채팅창에 구별하여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채팅 서버
WO2015142007A1 (ko) * 2014-03-17 2015-09-24 주식회사 다음카카오 추출된 메시지를 채팅창에 구별하여 표시하는 메시지 표시 방법,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 및 채팅 서버
CN103888344B (zh) * 2014-03-20 2017-07-14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群组创建方法、群组退出方法和装置
US9544257B2 (en) * 2014-04-04 2017-01-10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conducting private messaging
CN104980345B (zh) * 2015-07-06 2019-03-05 浙江翼信科技有限公司 一种即时通信应用中群组消息的显示方法和装置
US20170032021A1 (en) * 2015-07-27 2017-02-02 Investor's Forum Chat room for managing multiple conversation strea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1112A1 (en) * 2014-03-20 2015-09-24 Xiaomi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group and exiting gro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56169B2 (ja) 2018-07-11
US11182061B2 (en) 2021-11-23
WO2017150710A1 (ja) 2017-09-08
JP2017158111A (ja) 2017-09-07
CN108886541B (zh) 2021-03-09
US20190012070A1 (en) 2019-01-10
US11789600B2 (en) 2023-10-17
KR20180098604A (ko) 2018-09-04
US20220113859A1 (en) 2022-04-14
CN108886541A (zh) 2018-11-23
CN112968993A (zh)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3387B2 (ja) リソース共有方法、端末、および記憶媒体
US9925465B2 (en) Game ac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method, server, terminal, and system
US10148733B2 (en) Mobile device,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170111299A1 (en) Display control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JP6064381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
KR102188962B1 (ko) 표시 제어 방법,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단말
CN104077026A (zh) 显示用于执行应用的服务页的方法和设备
US20160253143A1 (en) Terminal device, screen sharing method, and screen sharing system
US11743529B2 (en)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KR20140137238A (ko) 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JP5884350B2 (ja) ネットワークデータ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コンテンツ投影方法
CN106559312B (zh) 基于受控设备的群组管理方法和装置
KR20140015737A (ko) 사용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 및 단말기와 각각의 제어 방법
US20170111297A1 (en) Display control method, termi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160274855A1 (en) System, display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087433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사진 공유 방법
JP2002268968A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サーバ及び携帯型端末
JP7034998B2 (ja) プログラム、表示方法、及び端末
JP6606574B2 (ja) 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端末
JP703990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面共有端末制御方法
JP201508220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16455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会議システム
JP6533245B2 (ja) 表示制御方法、端末、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8088128A (ja) サーバ、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17077B1 (ja) 漫画作成支援装置、漫画作成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