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654B1 -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654B1
KR102188654B1 KR1020140061822A KR20140061822A KR102188654B1 KR 102188654 B1 KR102188654 B1 KR 102188654B1 KR 1020140061822 A KR1020140061822 A KR 1020140061822A KR 20140061822 A KR20140061822 A KR 20140061822A KR 102188654 B1 KR102188654 B1 KR 102188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hemoglobin
sensor strip
layer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4710A (ko
Inventor
박재호
유은별
오은조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주) 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코바이오메드 filed Critical (주) 미코바이오메드
Priority to KR1020140061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654B1/ko
Priority to PCT/KR2015/004708 priority patent/WO2015178610A1/ko
Publication of KR20150134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Abstract

센서 스트립은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그물층과, 상기 그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를 파괴하여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반응 시약이 도포된 반응층과, 상기 그물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그물층으로 상기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을 갖는 상부판 및 상기 반응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홀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층에 상기 헤모글로빈을 균일하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Sensor strip and hemoglobin density measuring device using the sensor strip}
본 발명은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혈액을 이용하여 질병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스트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헤모글로빈은 적혈구에서 발견되는 호흡 분자로서, 폐로부터 체세포로 산소를 운반하고 체세포로부터 폐로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기능을 갖는다.
헤모글로빈은 적혈구가 될 골수 중의 세포에서 생성된다. 빈혈증 및 겸상 적혈구 질환과 같은 특정 질환이 헤모글로빈의 결핍으로부터 야기된다. 다적혈구증 또는 적혈구 증다증과 같은 기타 질환은 과다한 농도의 적혈구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전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여 상기 질환의 진단 또는 모니터링을 도울 수 있다.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시안메트헤모글로빈법, 옥시헤모글로빈법, 아자이드메트헤모글로빈법, 염산헤마틴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법들 중 시안메트헤모글로빈범이 표준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시안메트헤모글로빈법은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을 페리시안화 칼륨과 반응시켜 해서 매트헤모글로빈으로 전환하고, 다시 시안화칼륨과 반응하여 시안메트헤모글로빈으로 전환한 후, 분광 광도계 파장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옥시헤모글로빈법은 항 응고제가 처리된 혈액에 탄산나트륨이나 암모니아를 가해 파장 514nm 및 576nm에서 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방법들은 시험측정의 단계가 많고 독성시약을 사용하며, 전문 실험실에서만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결과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어려우며, 상기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방법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센서 스트립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센서 스트립을 이용하는 헤모글로빈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은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그물층과, 상기 그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를 파괴하여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반응 시약이 도포된 반응층과, 상기 그물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그물층으로 상기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을 갖는 상부판 및 상기 반응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홀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acid),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도큐세이트 소디움 솔트(Docusate sodium salt), 트리톤 엑스 100(Triton X-100), 찹스(Charps), 트윈 20(Tween 20)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50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는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그물층과, 상기 그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를 파괴하여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반응 시약이 도포된 반응층과, 상기 그물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그물층으로 상기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을 갖는 상부판 및 상기 반응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홀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센서 스트립 및 상기 센서 스트립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판의 제2 홀을 통해 상기 반응층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반사율을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반사율에 대한 헤모글로빈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로 이루어지는 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500 내지 570 nm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는 혈액으로 광을 조사하고 헤모글로빈에서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는 광을 측정하여 상기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확인한다. 상기 혈액을 별도로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 측정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광의 반사율에 대한 헤모글로빈 농도를 연산하므로, 상기 헤모글로빈 농도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스트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스트립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센서 스트립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센서 스트립(100)은 혈액, 구체적으로 상기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을 이용하여 질병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그물층(110), 반응층(120), 상부판(130) 및 하부판(140)을 포함합니다. 이때, 상기 혈액은 항 응고제가 처리된 정맥혈, 모세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물층(110)은 그물 구조를 가지며,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한다. 그물층(110)의 구멍 크기가 약 100㎛ 미만이면, 그물층(110)이 너무 조밀하여 상기 혈액의 성분 중 크기가 큰 일부 성분이 그물층(110)에 걸려 상기 혈액이 그물층(110)의 하부층으로 흡수되는데 방해 요소로 작용한다. 예를 들면, 상기 혈액의 성분 중 혈구들이 그물층(110)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층으로 상기 혈액이 흡수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수 있다. 그물층(110)의 구멍 크기가 약 500㎛를 초과하면, 그물층(110)이 성기므로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기 전에 상기 하부층으로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그물층(110)에 의해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는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그물층(110)의 구멍 크기는 약 100 내지 5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층(120)은 상기 분리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반응 시약을 함유한다. 상기 반응 시약은 상기 혈액과 반응한다. 상기 반응 시약은 친수성 폴리머와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반응층(120)에 넓게 도포되며, 반응층(120)이 친수성 성질을 갖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혈액이 반응층(120)에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의 예로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acid),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혈액과 반응하여 상기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를 파괴한다. 따라서,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이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혈액이 상기 친수성 폴리머에 의해 반응층(120)에 균일하게 퍼지므로, 상기 헤모글로빈도 반응층(120)에 균일하게 퍼질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예로는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도큐세이트 소디움 솔트(Docusate sodium salt), 트리톤 엑스 100(Triton X-100), 찹스(Charps), 트윈 20(Tween 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세틸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도큐세이트 소디움 솔트, 트리톤 엑스 100, 트윈 20은 시그마사의 계면활성제 제품이다. 도큐세이트 소디움 솔트는 에이오티(AOT)로 불리기도 한다. 상기 찹스는 duchefa 사의 계면활성제 제품이다.
반응층(120)에 함유되는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1 : 1 미만인 경우, 상기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이 충분히 외부로 도출되기 어렵다.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1 : 50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친수성 폴리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 상기 혈액이 반응층(120)에 균일하게 퍼지기 어려우며, 상기 계면활성제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상기 계면활성제가 상기 친수성 폴리머의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중량비가 1 : 1 내지 50 인 경우에 반응층(120)에서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질 수 있고,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이 충분히 외부로 도출될 수 있다.
반응층(120)의 두께는 반응층(120)의 흡수력과 연관된다. 반응층(120)의 두께가 약 100㎛ 미만일 때, 반응층(120)에 포함된 반응 시약이 상대적으로 적다. 따라서, 상기 혈액과 상기 반응 시약이 충분히 반응하지 못하므로, 반응층(120)의 발생 정도가 낮아 반응층(120)의 민감도가 저하되며 상기 혈액에 대한 정확한 측정값을 유도할 수 없다. 또한, 반응층(120)의 두께가 약 500㎛ 이상일 때, 반응층(120)에 포함되는 시약이 필요 이상으로 많아 반응 시약이 남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응 시약이 과다하게 사용되므로, 불필요한 비용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상부판(130)은 그물층(110) 상에 배치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갖는다. 상부판(130)은 제1 홀(132)을 갖는다. 제1 홀(132)은 상부판(130)의 상하를 관통한다. 제1 홀(132)은 그물층(110)을 노출하며, 제1 홀(132)을 통해 상기 혈액이 주입될 수 있다.
상부판(130)은 하부판(140)과의 체결을 위해 다수의 체결홀(134)들을 갖는다.
또한, 상부판(130)은 상부면에 걸림턱(136)을 갖는다.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 측정을 위해 센서 스트립(100)을 측정기에 삽입할 때 걸림턱(136)은 센서 스트립(100)이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한다.
하부판(140)은 반응층(120) 하부에 배치되며,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태를 갖는다. 하부판(140)은 제2 홀(142)을 갖는다. 제2 홀(142)은 하부판(140)의 상하를 관통한다. 제2 홀(142)과 제1 홀(132)은 서로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제2 홀(142)은 반응층(120)을 노출하며, 제2 홀(142)을 통해 반응층(110)에 함유된 혈액의 반사율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혈액의 반사율 측정은 반응층(120)으로 광을 조사하고, 상기 혈액의 헤모글로빈에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는 광의 비율을 확인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140)은 상부면에 다수의 체결핀(144)들을 갖는다. 체결핀(144)들은 체결홀(134)들과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체결핀(144)들이 체결홀(134)들에 각각 삽입되어 상부판(130)과 하부판(14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판(130)의 체결홀(134)들과 하부판(140)의 체결핀(144)들은 다수개가 구비되므로, 상부판(130)과 하부판(140)이 일정하고 압력으로 그물층(110) 및 반응층(120)을 고정할 수 있다.
하부판(140)은 간격 돌기(146)들을 갖는다. 간격 돌기(146)들은 제2 홀(142)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하부판(140)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되면서 하부판(14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폭 방향으로 연장한다. 간격돌기(146)들은 상부판(130)을 지지하여 상부판(130)과 하부판(14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판(130)과 하부판(140)의 불균일로 인한 측정 오차를 방지하여 상기 측정값의 재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한편, 상부판(130)과 하부판(140)은 일측이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에 홀과 핀이 각각 구비되어 결합됨으로써 서로 체결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300)는 센서 스트립(100) 및 측정기(200)를 포함한다.
센서 스트립(100)은 그물층(110), 반응층(120), 상부판(130) 및 하부판(140)을 포함한다. 센서 스트립(100)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센서 스트립(1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센서 스트립(100)에서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은 계면 활성제에 의해 외부로 도출되어 반응층(120)에 퍼진다.
측정기(200)는 센서 스트립(100)을 수용하여 반응층(120)으로 광을 조사하고 반응층(12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상기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한다.
측정기(200)는 광원부(210), 렌즈부(220), 검출부(230) 및 연산부(240)를 포함한다.
광원부(210)는 센서 스트립(1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센서 스트립(100)을 향해 광을 조사한다. 상기 광은 하부판(140)의 제2 홀(142)을 통해 반응층(120)으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광은 약 500 내지 570 nm의 파장을 갖는다.
상기 광의 파장이 약 500 nm 미만이거나 약 570 n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헤모글로빈이 광을 흡수할 수 없다. 즉, 상기 헤모글로빈이 흡수할 수 있는 광의 파장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혈액에 포함된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가 달라지더라도 반응층(120)의 반사율이 변화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광을 이용하여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기 어렵다.
렌즈부(220)는 광원부(210)와 센서 스트립(100) 사이에 배치된다. 렌즈부(220)는 광원부(220)에서 조사된 광이 반응층(120)으로 집속되도록 한다. 따라서, 반응층(120)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검출부(230)는 광원부(210)의 일측에 배치되며, 반응층(120)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한다. 이때, 광원부(210)와 검출부(230)는 반응층(120)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를 이룬다. 예를 들면, 상기 각도는 약 45도일 수 있다.
상기 광이 반응층(120)에 조사되면, 상기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이 상기 광을 흡수한다. 상기 헤모글로빈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광은 반사되어 검출부(230)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부(230)는 광원부(210)에서 조사된 광에 대한 검출된 광의 비율을 계산하여 반사율을 측정한다. 반응층(120)의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라 검출부(230)에서 측정되는 반사율이 달라질 수 있다.
연산부(240)는 검출부(250)로부터 상기 반사율을 전달받고,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반사율에 대한 헤모글로빈 농도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연산부(240)는 상기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헤모글로빈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연산부(240)는 검출부(250)로부터 전달된 반사율을 확인하고,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에서 상기 반사율에 대응하는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연산한다.
따라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300)는 복잡한 반응없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기 혈액에 포함된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는 혈액이 포함된 반응층의 광 반사율을 이용하여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한다.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센서 스트립 110 : 그물층
120 : 반응층 130 : 상부판
132 : 제1 홀 134 : 체결홀
136 : 걸림턱 140 : 하부판
142 : 제2 홀 144 : 체결핀
146 : 간격 돌기

Claims (5)

  1.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그물층;
    상기 그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를 파괴하여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반응 시약이 도포된 반응층;
    상기 그물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그물층으로 상기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을 갖는 상부판; 및
    상기 반응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홀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은 상부면에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혈액의 헤모글로빈의 농도 측정을 위해 센서 스트립을 측정기에 삽입할 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센서 스트립이 상기 측정기에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는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l),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acid),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Cet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도큐세이트 소디움 솔트(Docusate sodium salt), 트리톤 엑스 100(Triton X-100), 찹스(Charps), 트윈 20(Tween 2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1 : 1 내지 5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스트립.
  4.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그물층과, 상기 그물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혈액이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친수성 폴리머와 상기 혈액에 포함된 적혈구를 파괴하여 상기 적혈구 내부의 헤모글로빈을 외부로 도출시키기 위한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반응 시약이 도포된 반응층과, 상기 그물층 상에 배치되며, 상기 그물층으로 상기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제1 홀을 갖는 상부판 및 상기 반응층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의 반사율을 측정하기 위한 제2 홀을 가지며, 상기 상부판과 결합되는 하부판을 포함하는 센서 스트립; 및
    상기 센서 스트립을 수용하여 상기 혈액에 포함된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를 측정하는 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기는,
    상기 센서 스트립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판의 제2 홀을 통해 상기 반응층으로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광원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반응층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반사율을 측정하는 검출부 및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에 따른 반사율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반사율에 대한 헤모글로빈 농도를 연산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판은 상부면에 걸림턱을 가지며, 상기 헤모글로빈의 농도 측정을 위해 상기 센서 스트립을 상기 측정기에 삽입할 때 상기 걸림턱은 상기 센서 스트립이 상기 측정기에 삽입되는 깊이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500 내지 570 nm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KR1020140061822A 2014-05-22 2014-05-22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KR10218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22A KR102188654B1 (ko) 2014-05-22 2014-05-22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PCT/KR2015/004708 WO2015178610A1 (ko) 2014-05-22 2015-05-12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822A KR102188654B1 (ko) 2014-05-22 2014-05-22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10A KR20150134710A (ko) 2015-12-02
KR102188654B1 true KR102188654B1 (ko) 2020-12-08

Family

ID=54554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822A KR102188654B1 (ko) 2014-05-22 2014-05-22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8654B1 (ko)
WO (1) WO2015178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6891B (zh) * 2017-01-03 2019-03-01 长沙中生众捷生物技术有限公司 血红蛋白的检测试剂及血红蛋白的检测试纸
KR101981862B1 (ko) * 2017-09-18 2019-05-23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측면 흐름을 이용한 진단스트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6037A1 (en) * 2003-02-11 2004-08-12 Mawhirt James A. Hemoglobin test strip and analysis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354C (zh) * 1995-10-23 2004-04-21 斯托迈奇克公司 利用反射光谱成象分析血液的装置和方法
JP2008194488A (ja) * 1999-11-30 2008-08-28 Nippon Koden Corp ヘモグロビン濃度測定装置
CN101374458B (zh) * 2006-01-31 2012-04-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血液传感器以及具有其的血液检查装置
KR101423770B1 (ko) * 2008-01-08 2014-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혈과 용혈에 의한 헤모글로빈의 정량적 측정 방법 및측정 장치
KR101240963B1 (ko) * 2011-03-25 2013-03-11 (주)미코바이오메드 광학센서 스트립 및 이를 구비한 진단기기
KR101608684B1 (ko) * 2012-04-13 2016-04-05 바디텍메드(주) 헤모글로빈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952957B1 (ko) * 2012-06-20 2019-02-28 주식회사 미코바이오메드 센서 스트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6037A1 (en) * 2003-02-11 2004-08-12 Mawhirt James A. Hemoglobin test strip and analysi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710A (ko) 2015-12-02
WO2015178610A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0673B2 (en) Joint spectroscopic and biosensor system for point-of-care testing
US9651564B2 (en)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hemoglobin
Owen et al. A calibration-free ammonia breath sensor using a quantum cascade laser with WMS 2f/1f
JP6087049B2 (ja) 蛍光ファントム装置および蛍光イメージング方法
KR102188654B1 (ko) 센서 스트립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농도 측정 장치
JP7295167B2 (ja) 全血試料内のパーセント酸素飽和度を測定する方法
CN106999114B (zh) 用于经改善的生物信号采集的多光谱测量
Afshari et al. Cerebral oximetry performance testing with a 3D-printed vascular array phantom
EP3661420B1 (en) Scavenger protein(s) for improved preservation of analyte detection sensor(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20091148A1 (en) Rapid blood testing system
JP6408449B2 (ja) 濃度分析方法及び濃度分析装置
Wada et al. Evaluation of two glucose meters and interference corrections for screening neonatal hypoglycemia
US95189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hemoglobin concentration within blood using light and heat light scattering
KR20150004388U (ko) 센서 스트립 구조물
Wegerich et al. An in vitro laboratory investigation on layer thickness-independent prediction of the hemoglobin concentration
Luppa et al. Blood gas analysis and disorders of acid-base balance–including analytical methods
CA3170696C (en) Point-of-care testing system, analyzer and method
JPWO2018061772A1 (ja) 成分測定装置、成分測定方法及び成分測定プログラム
US20230097185A1 (en) Precision optical chamber device,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2009133836A (ja) 光学式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