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384B1 -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 Google Patents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384B1
KR102188384B1 KR1020200070833A KR20200070833A KR102188384B1 KR 102188384 B1 KR102188384 B1 KR 102188384B1 KR 1020200070833 A KR1020200070833 A KR 1020200070833A KR 20200070833 A KR20200070833 A KR 20200070833A KR 102188384 B1 KR102188384 B1 KR 10218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e
terminal
location
open
shar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8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조현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현용 filed Critical 조현용
Priority to KR1020200070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3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us sharing service. The system includes: a user terminal searching for at least one store based on a location or a search word and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ning hours of the at least one store, vacation information on the at least one store, and whether the at least one store is open; at least one franchisee terminal registering a store by uploading store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ning hours, location, and business name of the store and vacation information on the store and uploading whether the store is open by transmitting a response signal with respect to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in the case of a wakeup status; and a status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ing a storage unit performing store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storage from the at least one franchisee terminal, an upload unit transmitting the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to the at least one franchisee terminal and detecting the wakeup of the at least one franchisee terminal and uploading whether the terminal is open in a case where the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ll signal is received,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at least one franchisee terminal woken up with reference to the time searched for at the user terminal as open.

Description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sion system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본 발명은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영업시간을 기반으로 오픈 여부를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즉시성 및 현재성을 만족하는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nd provides a platform for sharing information that satisfies immediateness and presentness by checking whether or not to open in real time or periodically based on business hours.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는 위치기반의 검색과 광고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면서 자동 지역광고를 포함한 신규 사업 자원으로 분석되고 있다. 스마트폰에서 수집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LBS 사업은 다양한 위치정보 API로부터 위치의 특징을 분석하여 개별 애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발전되었으며 실내 측위, 자동차 및 선박의 네비게이션에 활용되다가 점점 그 범위를 확장하여 광고와 위치기반 마케팅, 위치기반 AR게임, 드론을 도입한 서비스 등에 활용되고 있다. 공공 서비스 측면에서는 사회안전망으로서 구조가 필요한 상황에서 구조작업을 위해 위치정보를 조회하는 기술도 점점 발전하고 있다. 이렇게 개별적인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사례는 발전하고 있지만, 이미 제시된 다양한 위치정보를 조합하고 정규화 과정을 수행하여 보다 정확한 정보로 재가공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Location-Based Service is being analyzed as a new business resource including automatic local advertisement, with location-based search and advertisement taking the largest proportion. The LBS business based on loc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smartphones has been developed as a service tha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locations from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APIs and provides them as individual applications, and is used for indoor positioning, navigation of cars and ships, and gradually expands its scope. Therefore, it is being used for advertisements, location-based marketing, location-based AR games, and services using drones. In terms of public service, the technology of inquiring location information for rescue work in situations where rescue is necessary as a social safety net is also gradually developing. Although cases of using individual location information are evolving, it is still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combines various location information already presented and performs a normalization process to reprocess it into more accurate information.

이때, 상점의 영업시간을 예측하거나 푸드트럭의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2084920호(2020년03월05일 공고)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9-0105186호(2019년09월16일 공개)에는, 근린생활시설의 전력사용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을 위하여 전력사용량 데이터에 대응되는 근린생활시설의 영업여부 데이터를 입력하며, 전력사용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근린생활시설의 전력사용량 데이터와 실측데이터 입력부에서 입력한 근린생활시설의 영업여부 데이터를 기 설정된 기간 이상 누적하여 기계학습을 수행하고, 근린생활시설의 전력사용량 데이터와 영업여부 데이터를 파라미터로 하는 근린생활시설 영업시간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구성과, 푸드트럭 점주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해 푸드트럭의 위치정보, 대표사진, 영업시간, 현재 영업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고, 요식업의 속성에는 음식 가격, 음식 종류, 사용하는 재료 종류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되어 있다.At this tim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predicting store business hours or sharing food truck information was conducted.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84920 (announced on March 5, 2020) and Korea In Public Patent No. 2019-0105186 (published on September 16, 2019), data on the business status of neighboring living facilities corresponding to power consumption data for collecting power consumption data of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for supervised learning. Input the power usage data of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collected by the power usag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and the operation status data of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entered by the actual measurement data input unit for more than a preset period to perform machine learning. The configuration to create a model for predicting business hours of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using electricity consumption data and business availability data as parameters,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food trucks, representative photos, business hours, and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 of the food truck store owner. Each of the configurations for extracting information on the current business status and extracting information on food prices, food types, and types of ingredients used are disclosed as attributes of the restaurant industry.

다만,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예측을 하는 것은 말 그대로 예측이나 예상일 뿐이지 현재 영업중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수단은 될 수 없다. 또, SNS를 통하여 푸드트럭의 정보를 추출한다고 할지라도 푸드트럭에 대한 SNS 피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푸드트럭은 온라인상에서 실존하지 않는 존재가 된다. 고객들은 현 시점에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검색을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검색되는 자료들은 과거 시점에 생성된 자료라는 것인데, 현재 영업중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과거자료를 보고 판단하는 것은 불확실성을 높이는 것으로 신뢰도가 낮다. 이에, 고객은 영업중인지 여부를 전화를 걸어 다시 확인해야 하고, 심지어 무점포 상점의 경우에는 전화번호도 없기 때문에 그 위치를 고객이 지나가면서 발견하는 즉시성이 요구되고 이에 영업시간조차 고객에게 알릴 방법이 없다. 이에, 영업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를 공유하는 방법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However, making predictions using big data is literally a prediction or prediction, and cannot be a means of confirming whether it is currently operating or not. In addition, even if food truck information is extracted through SNS, if there is no SNS feed for the food truck, the food truck does not exist online. Customers search to find the information they need at the present time, but ironically, the searched data is data created at a time in the past, but it is less reliable to judge by looking at past data to determine whether it is currently operating or not. . Therefore, the customer must call to check whether it is open or not, and even in the case of non-store stores, there is no phone number, so the instantaneous discovery of the location as the customer passes by is required, and there is a way to notify the customer even the business hours. non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method to check the business status in real time and share 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점의 영업시간, 상품 정보, 휴가 정보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되, 영업시간과 별개로 영업여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의 실시간 또는 주기적 통신을 통하여 오픈 여부를 체크하고, 오픈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오픈 상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할 것인지를 확인하도록 하며,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가맹점 단말의 장사개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오픈으로 체크하여 공유하고 위치를 변경하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가맹점 단말의 실시간 위치를 장사종료 버튼이 입력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이동하는 점포라고 할지라도 고객이 위치 기반 또는 검색어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점포를 가진 상점 뿐만 아니라 무점포인 상점까지 고객이 검색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s business hours, product information, and vacation information are uploaded and stored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but the business status independent from the business hours is real-time or periodic communication with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rough this, it checks whether it is open or not, and whether to keep the open state or change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if the start business button 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is selected, check it as open and share it. 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that changes its location,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is continuously checked until the business end button is pressed so that the customer can search based on location or search word, even if the store is mov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offline store status sharing services that enable customers to search and use not only stores but also stores that are non-stores. However,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as describ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위치 기반 또는 검색어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을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점의 영업 시간, 오픈 여부 및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상점의 위치, 상호명, 영업 시간 및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점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점을 등록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웨이크업(Wakeup) 상태인 경우 전송하는 것으로 오픈 여부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저장부,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호출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웨이크업을 감지하고 오픈 여부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웨이크업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오픈으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es for at least one store based on a location or a search word, and includes business hours, open status, and vac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store. When the store is registered by uploading the user terminal that outputs status information, the store's location, business name, store information including business hours and vacation information, and a response signal to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is in wakeup state By transmitting,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uploads open status and a storage unit that registers and stores stor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transmits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responds to the call signal. In the case of receiving a response signal, an upload unit that detects the wake-up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uploads whether it is open, and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wakes up based on a time searched by the user terminal as open. It includes a server that provides a state sharing service.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점의 영업시간, 상품 정보, 휴가 정보를 업로드받아 저장하되, 영업시간과 별개로 영업여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과의 실시간 또는 주기적 통신을 통하여 오픈 여부를 체크하고, 오픈 상태를 유지할 것인지 또는 오픈 상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할 것인지를 확인하도록 하며,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가맹점 단말의 장사개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오픈으로 체크하여 공유하고 위치를 변경하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가맹점 단말의 실시간 위치를 장사종료 버튼이 입력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체크함으로써 이동하는 점포라고 할지라도 고객이 위치 기반 또는 검색어 기반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점포를 가진 상점 뿐만 아니라 무점포인 상점까지 고객이 검색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e's business hours, product information, and vacation information are uploaded and stored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but the business status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It checks whether it is open through real-time or periodic communication of, and checks whether to keep the open state or change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when the start button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is selected, 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that checks open, shares, and changes its location, the real-time location of the affiliate store's terminal is continuously checked until the business end button is pressed so that customers can search based on location or search word, even if it is a moving store. Through this, customers can search and use not only stores with stores but also stores without stor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any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The terms "about", "substantially" and the like,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used in or close to the numerical value when manufacturing and material tolerances specific to the stated meaning are presented, and are used in the sens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ssist, accurate or absolute figures are used to prevent unfair use of the stated disclosure by unscrupulous infringers. A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tep (to)" or "step of" does not mean "step for".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unit" includes a unit realized by hardware, a unit realized by software, and a unit realized using both. Further, one unit may be realized using two or more hardware, or two or more units may be realized using one hardware. Meanwhile,'~ uni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unit'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s,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components and functions provided in the'~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units', or may be further divid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a security multimedia card.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may be performed instead in a server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 or device. Likewise,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being performed by the server may also be performed by a terminal, device, or device connected to the server.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some of the operations or functions described as mapping or matching with the terminal means mapping or matching the unique number of the terminal o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dividual, which i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Can be interpreted a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may includ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However, since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1 of FIG. 1 is only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through FIG. 1.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each component of FIG. 1 is generally connected through a network 2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connected to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rough the network 200. In addition,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connected to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through the network 200.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Here, the network refer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exchange is possible between respective nodes such as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servers, and examples of such networks include a local area network (LAN) and a wide area communication network (WAN: Wide Area Network), Internet (WWW: World Wide Web), wired/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elephone network, wired/wireless television communication network, etc. Examples of wireless data networks include 3G, 4G, 5G,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 (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 (Long Term Evolution),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and Wi-Fi. , 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Bluetooth(Bluetooth) network, NFC( Near-Field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broadcasting network, analog broadcasting network,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network, etc. are included, but are not limited thereto.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the term “at least one” is defined as a term including the singular number and the plural number, and even if the term “at least one” does not exist, each component may exist in the singular or plural, and may mean the singular or plural. It will be self-evident. In addition, it will be possible to ch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at each component is provided in a singular or plural.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점포의 영업시간, 휴가날짜, 현재 오픈 여부를 검색하는 고객의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a terminal of a customer that searches for an offline store's business hours, vacation dates, and whether they are currently open using a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related to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for example, as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navigation,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 phones, smart pads, and tablet PCs.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영업시간, 상호명, 상품 정보, 위치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영업 오픈시간 및 종료시간에 기 설정된 주기로 또는 실시간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웨이크업 여부를 확인하여 실제 오픈 여부를 확인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오픈시간 및 종료시간이 아닐지라도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웨이크업 상태를 체크하여 영업 여부를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접속하여 위치 기반 검색 또는 검색어 기반 검색을 실시하는 경우 위치 또는 검색어에 대응하는 결과를 표시하되 영업여부를 재확인하기 위하여 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이 온 가맹점 단말(400)을 기준으로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만약, 현재 오픈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 단말(100)에서 특정 상점을 검색하는 경우 오픈준비중이라는 아이콘을 지도 상에 오버레이하고 오픈시간을 기재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이 무점포 상점인 경우 가맹점 단말(400)의 실시간 위치에서 장사개시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해당 위치에서 검색이 되도록 업로드하고,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실시간으로 가맹점 단말(400)의 GPS를 확인함으로써 업데이트를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오픈 상태로 업로드되었지만 사용자 단말(100)에서 오픈 상태가 아님을 확인하는 자료를 업로드한 경우 오픈 상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하는 서버일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provides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web page, an app page, a program, or an application. In addi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receives and stores business hours, business names,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s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n addi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hecks the wake-up status by transmitting a signal at a preset period or in real time at the business open time and the end time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o check whether it is actually open. It could be a server. In addi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informs in real time whether or not it is open by checking the wake-up state in a preset period or in real time, even if it is not the open time and the end time. In addition, the status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accessing from the user terminal 100 and performing a location-based search or a search word-based search, displays a result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r search word, but transmits a signal to reconfirm the business status. Accordingly, it may be a server that transmits the response to the user terminal 100 based 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from which the response was received. If the user terminal 100 searches for a specific stor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currently open or not, it may be a server that notifies the user by overlaying an icon of preparing for opening on a map and recording the opening time. And,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f the affiliate store is a non-store store, when a business start button is input at a real-time location of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uploads to be searched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when the location is changed It may be a server that updates by checking the GPS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n a preset period or in real time. In addi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a server that changes the open state to an end state when the user terminal 100 uploads data confirming that the user terminal 100 is not in the open state, but vice versa. The same is true.

여기서,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that can access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가맹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은 점포가 있는 상점일 수도 있고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상점 정보, 위치, 영업시간 등을 업로드하고, 후자의 경우 이동성을 고려하여 장사개시 버튼과 장사종료 버튼으로, 버튼을 누른 시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일 수 있다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of an affiliated store us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related web page, app page, program, or application. In this case, the affiliated store may be a store with a store or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uploads store information, location, business hours, etc. to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nd in the latter case, the button is used as a business start button and a business end button in consideration of mobility. It may be a terminal that allows you to check the location at the time of pressing it.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Here, the computer may include, for example, a navigation system,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implemented as a terminal capable of accessing a remote server or terminal through a network.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guaranteed portability and mobility, and includes navigatio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Personal Digital Cellular (PDC),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 It may include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terminals, smart phones, smart pads, and tablet PCs.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included in the system of FIG. 1, and FIGS. 3 and 4 illustrate an embodiment in which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is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for explana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업로드부(320), 표시부(330), 무점포관리부(340), 위치공유부(350), 이동공유부(360), 지도부(370), 리뷰공유부(380) 및 변경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n upload unit 320, a display unit 330, a non-store management unit 340, a location sharing unit 350, and a mobile sharing unit ( 360), a leadership unit 370, a review sharing unit 380, and may include a change unit 39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other server (not shown) operating in conjunction with the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share the offline store state When transmitting a service application, program, app page, web page, etc.,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provid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pplications, programs, app pages, web pages, etc. Can be installed or opened. In addition, a service program may be driven in at least one user terminal 100 and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by using a script executed in a web browser. Here, the web browser is a program that allows you to use the Web (WWW: World Wide Web) service, which means a program that receives and displays hypertext described in HTML (Hyper Text Mark-up Language). For example, Netscape , Explorer, Chrome, etc. In addition, the application refers to an application program on the terminal, and includes, for example, an app running on a mobile terminal (smartphone).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상점의 위치, 상호명, 영업 시간 및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점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점을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영업 시간은 평일, 주말 등을 기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요일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서 금요일까지는 오전 8시부터 저녁 12시까지, 토요일은 오전 9시부터 새벽 2시까지, 일요일은 오전 9시부터 새벽 1 시까지 등으로 요일별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400)은,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나 메뉴와 가격 등을 상품 카테고리 태그를 지정함으로써 설정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storage unit 310 may register and store stor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register a store by uploading store information including store location, business name, business hours, and vacation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business hours may be set based on weekdays, weekends, or the like, or may be set for each day of the week. For example, it may be set for each day of the week from 8 am to 12 pm Monday to Friday, 9 am to 2 am on Saturday, 9 am to 1 am on Sunday, and so on. In additi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a terminal that sets the type, menu, and price of products to be sold by designating a product category tag.

업로드부(320)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고, 호출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웨이크업을 감지하고 오픈 여부를 업로드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은,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웨이크업(Wakeup) 상태인 경우 전송하는 것으로 오픈 여부를 업로드할 수 있다. 호출신호를 보내는 이유는 영업시간으로 표시는 했지만 아르바이트생이 출근을 하지 않아서 실제로 오픈이 안되었거나, 최근 코로나 사태(COVID-19)와 같이 장사가 안되어 잠정적으로 몇 주간 문을 닫거나, 휴일의 경우 연장하는 경우 또는 더 일찍 여는 경우나 그 반대의 경우가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upload unit 320 transmits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whe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ll signal, detects the wakeup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You can upload whether it is open or not.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when it is in a wakeup state, and uploads whether it is open or not. The reason for sending the call signal was indicated by business hours, but it was not actually open because part-time workers did not go to work, or the business was temporarily closed for several weeks due to the recent coronavirus (COVID-19), or extended in case of holidays. This is because there may be cases or cases of opening earlier and vice versa.

이때, 가맹점 단말(400)은 점포가 있는 상점의 경우 POS 단말일 수도 있는데, POS 단말은 대부분 아르바이트생 또는 점주가 출근을 한 후 켜게 되어 있다. POS 단말이 켜지지 않은 경우는 거의 문을 닫았다는 것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POS 단말로 신호를 보낸 후, 그에 대한 응답이 없으면 오픈이 안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PING 신호일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을 구매하지 않고도 업로드부(320)와 가맹점 단말(400)이 연결되어 통신을 할 수 있도록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a POS terminal in the case of a store with a store, and most of the POS terminals are turned on after a part-time job student or store owner goes to work. When the POS terminal is not turned on, it is data that can confirm in real time that the door is almost clos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ending a signal to the POS terminal,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ning is not possible if there is no response thereto. It may be a PING sign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SaaS (Software as a Servcie) may be used so that the upload unit 320 and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ithout purchasing a separate application or program.

SaaS는 인터넷 어디에서든 쉽게 이용할 수 있고, 웹브라우저만 있으면 어디서든 접근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의 요구사항에 따라 BaaS(Backend as a Service)를 더 추가할 수도 있다. 물론, 인프라나 플랫폼 자체가 구비되지 않은 가맹점의 경우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로 서버 운영에 필요한 서버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 여러 인프라 자원을 탄력적이고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IaaS는 자원을 쉽게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운영체제를 제공하므로 친숙한 환경이 주어질 수 있다. 또, PaaS(Platform as a Service)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데, 안정적인 환경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PaaS는 간편하게 원시코드를 빌드 및 배포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케일 아웃(Scale Out)을 하기 용이하다. BaaS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서비스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처리하기 힘든 가맹점 관리 및 푸시, 파일 처리 등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PaaS의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고 제공되는 백앤드 모듈을 REST API나 라이브러리 CALL을 통해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SaaS is easily accessible from anywhere on the Internet, and can be accessed from anywhere with a web browser.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add more BaaS (Backend as a Service)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affiliated store. Of course, in the case of affiliate stores that do not have an infrastructure or platform itself, various infrastructure resources such as server resources, IP, network, storage, and power required for server operation can be flexibly and quickly provided through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IaaS can easily add or remove resources and provide an operating system, so a familiar environment can be given. In addition, a service can be provided through PaaS (Platform as a Service), which provides a stable environment and APIs for developing application programs that use the environment. PaaS can easily build and deploy source code, and it is easy to scale out according to usage. BaaS is a mobile application-specific service, and it can provide server-side applications such as merchant management, push, and file processing that are difficult to handle in mobile applications. PaaS platform can be used, and the provided backend module can be configured to be used immediately through REST API or library CALL.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맹점 단말(400)이 혹시라도 잘못 기능하거나(Malfunction), 신호의 지연이나 에러가 발생할 확률을 고려하여 가맹점 단말(400)과 연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또는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를 비추는 카메라의 카메라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매장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또는 해당 위치에 무점포 상점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센서는 사람 추적, 사람 명수 파악, 사람 행위 등 다양한 지능 정보의 획득이 가능하다. 카메라 비전 센서를 이용하여 사람 점유 및 행위를 분석할 수도 있고, 움직이는 사람을 검출할 수도 있다. 이때, 사람은 장시간 정적 상태에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는 사람도 사람으로 식별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비휴먼 객체들은 트랙킹을 중단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사람의 명수 계산(People Counting)을 하고 명수가 0이 되면 종료 시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배경 모델링과 전경추출에서는 배경의 지속적인 업데이트 및 다수의 전경객체를 찾는다. 사람과 객체의 움직임 때문에 모션은 사람 검출 및 추적에 적합한 데이터이다. 모션 정보로 운동 히스토리 영상(Motion History Image, MHI)을 이용하여 객체의 추적 성능을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 least one camera or affiliated store interlocked with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n consideration of the probability that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function incorrectly (Malfunction), or a delay or error of a signal may occur. It may b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a person exists in a store or a non-store store exists in a corresponding location in real time using a camera vision sensor of a camera that illuminates the location of the terminal 400. The camera sensor is capable of acquiring a variety of intelligent information such as tracking a person, identifying the number of people, and performing a person's actions. Using a camera vision sensor,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occupancy and behavior of a person, or detect a moving person. At this time, since a person may be in a static state for a long time, it can be set to identify a person without movement as a person, and non-human objects can stop or remove tracking. Basically, people counting is performed, and when the number of people reaches 0, it can be estimated as the end time. Background modeling and foreground extraction continuously update the background and search for multiple foreground objects. Because of the movement of people and objects, motion is data suitable for human detection and tracking.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tracking performance of an object by using a motion history image (MHI) as motion information.

표시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웨이크업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오픈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은, 위치 기반 또는 검색어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을 검색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점의 영업 시간, 오픈 여부 및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집 근처의 단골 가게만을 선정하여 보여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isplay unit 330 may display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at wakes up based on a time searched by the user terminal 100 as open. Accordingly, the user terminal 100 may search for at least one store based on a location or a search word, and output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business hours, open status, and va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tore. Of course,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show only regular stores near the hou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무점포관리부(340)는,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오픈으로 설정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무점포는 위치가 일정치 않다. 물론, 자릿세를 내고 고정적인 장소에서 장사를 하는 경우도 존재하지만 아닌 경우도 존재한다. 전자의 경우에는 영업위치 및 영업시간을 설정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누르는 시간의 위치가 영업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 시간 단위나 이동하는 시간 단위로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를 추적하여 영업위치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그리고, 영업시간이 존재하더라도 대부분 재료가 떨어지면 장사를 종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영업시간과는 별도로 장사종료 버튼을 누르도록 하여 장사가 종료되었음에도 영업시간으로 떠서 헛걸음을 하게 하는 손님이 없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the non-store management unit 340 may set to open and upload when a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e location of non-stores is not constant. Of course, there are cases where you pay a tax and do business in a fixed place, but there are cases where it is not. In the former case, a business location and business hours may be set, and in the latter case, a location of a time when a business start button is pressed on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may be set as the business location. In the latter case, the business location may be updated by tracking the loc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periodically, for example, in an hour unit or a moving time unit. And, even if there are business hours, most of the business ends when the ingredients run out, so you can press the business end button separately from business hours so that there are no customers who leave the business hours and make a fuss about it. .

위치공유부(350)는,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한 시점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GPS 위치를 무점포 상점의 위치로 설정하여 오픈으로 업로드할 수 있다. 다만, GPS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지연 시간 오차, 전리층의 영향, 위성 시계 오차, 다중 경로에 따른 오차 등으로 인해 정확도가 제한된다. 상용 GPS의 위치 정확도는 수평으로 약 10[m], 수직으로 약 20[m]로 알려져 있는데, 무점포 상점의 경우 고객들이 충분히 지도를 보고 찾아갈 수 있을만큼의 위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때, 위치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가장 쉬운 접근방법은 다양한 오차에 대한 보정 알고리즘이 포함된 RTK(Real Time Kinematic)-GPS, A-GPS(Assisted GPS), DGPS(Differential GPS), CDGPS(Carrior phase DGPS) 등을 이용할 수 있다.The location sharing unit 350, 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when selecting a business start button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e GPS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t the tim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By setting the location as the location of a non-store shop, you can upload it as open. However, GPS accuracy is limited due to delay time errors of signals received from satellites, effects of the ionosphere, satellite clock errors, and errors due to multiple paths. The location accuracy of commercial GPS is known to be about 10 [m] horizontally and about 20 [m] vertically. In the case of non-store stores, the location accuracy must be provided enough for customers to see and visit the map. At this time, the easiest approach for improving location accuracy is RTK (Real Time Kinematic)-GPS, A-GPS (Assisted GPS), DGPS (Differential GPS), CDGPS (Carrior phase DGPS), which include correction algorithms for various errors. Etc. can be used.

다만, 이러한 방법들은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지만 별도의 통신링크가 필요하거나, 추가적인 인프라를 요구하고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 저사양 GPS의 위치 정보 간 정합을 수행하여 저사양 GPS의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만약 푸드트럭과 같은 차량이 항상 도로 위를 주행한다는 가정 하에 지도 정보에 포함된 중앙선의 위치 정보와 차량이 주행 중 현재부터 과거 일정 시간 동안 획득되는 저사양 GPS의 위치 정보를 대상으로 반복 최근접점(Iterative Closest Point; ICP) 알고리즘을 통해 지도의 중앙선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획득된 저사양 GPS의 위치 정보의 회전행렬(Rotation Matrix)와 병진벡터(Translation Vector)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본적으로 획득된 저사양 GPS의 위치 정보를 지도의 중앙선에 가장 근사하도록 보정하고 부가적으로 보정된 저사양 GPS 위치 정보를 지도의 중앙선에 사영함으로써 추가적인 보정을 수행하여 저사양 GPS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However, these methods can obtain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but require a separate communication link, additional infrastructure, and high cost. Accordingly, a method of corr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w specification GPS by performing matching betwe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w specification GPS can be used. If a vehicle such as a food truck is always driving on the road, iteratively targe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nter line included in the map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w-spec GPS acquired for a certain time from the present to the past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The rotation matrix and translation vector of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low-spec GPS obtained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enter line of the map are calculated through the Closest Point (ICP) algorithm, and by using this, the low-spec GPS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ethod of improving the location accuracy of the low-spec GPS by performing additional correction by correc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o approximate the center line of the map and projecting the additionally corrected low-spec GP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enter line of the map.

보통 ICP 알고리즘은 두 점군 사이의 거리 차이를 최소화하는 회전행렬과 병진벡터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으로 센서(영상, LIDAR, RADAR 등)로부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에서 획득된 환경의 2차원 또는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서로 매칭함으로써 지도를 작성하거나 위치를 추정하는 분야에 이용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반복 최근접점 알고리즘의 분야를 새롭게 확장하여 스캔한 센서 데이터 간 매칭이 아닌 지도 정보의 중앙선 위치 정보와 저사양 GPS 위치 정보 간 매칭에 활용하여 저사양 GPS의 위치 정확도 향상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센서를 요구하지 않으며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 간 정합을 수행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적은 계산량이 요구되어 무점포 상인이 가지고 있는 핸드폰이 저사양일지라도 컴퓨팅 자원 및 네트워킹 자원의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Usually, the ICP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calculates a rotation matrix and a translation vector that minimizes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wo point groups. 2D or 3D point cloud data of the environment acquired from the previous frame and the current frame from sensors (images, LIDAR, RADAR, etc.) Although it is used in the field of creating a map or estimating the location by matching each other,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ewly expands the field of the iterative nearest point algorithm, and the center line of map information is not matched between scanned sensor data. Since it can be used for matching between location information and low-spec GPS location information to improve the location accuracy of low-spec GPS, it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sensor,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calculation is required due to the matching between location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Even if your mobile phone has a low specification, you can use it without limitation of computing and networking resources.

이동공유부(360)는,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이 이동형 상점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한 시점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GPS 위치를 무점포 상점의 위치로 설정하여 오픈으로 업로드하고, 기 설정된 주기별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GPS 위치를 추적하여 장사종료 버튼이 선택될 때까지 위치를 공유할 수 있다.The mobile sharing unit 360, when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is a mobile store, when a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t a tim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 the location of the non-store store is set as the location of the non-store store, uploaded, and the GPS location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s tracked for each preset period, and the location can be shared until the business end button is selected.

지도부(37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메뉴 카테고리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를 지정하고,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하는 경우 지도 기반으로 메뉴 카테고리 태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에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때, 메뉴 카테고리 태그는 고정된 분류자가 아니라 유동적인 분류자일 수 있다.The leadership unit 370 selects any one of the menu category tags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o designate the type of product to be sold, and when the user terminal 100 searches for a menu category tag, It may be overlaid on the location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In this case, the menu category tag may not be a fixed classifier but a flexible classifier.

데이터의 정제와 분류를 위해서는 정보자원의 분석이 요구되나, 다양한 종류의 상품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서로 다르고, 보유하고 있는 인적자원 및 물적자원 등이 서로 다름에 따라 각각의 가맹점주가 자신이 판매하는 상품을 기 설정된 태그로 자신의 정보를 표현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때, 태그(선택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부분의 플랫폼에서는 기타 박스를 생성하고, 기타에 상품을 표현할 수 있는 정보를 기재하도록 하는데, 이렇게 기재된 데이터를 태그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을 벡터 형태로 표현한 후 벡터 형태로 표현된 기타 박스의 단어 및 문장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클러스터링이란 텍스트 마이닝과 정보검색이론 분야의 연구에서 많이 적용되는 대표적인 비지도학습 방법이며, 군집화 방법에 따라 계층구조 클러스터링(Hierarchical Clustering), 분할구조 클러스터링(Partitional Clustering), 그리고 스펙트럼구조클러스터링(Spectral Clustering)으로 나누어진다.Analysis of information resources is required for data purification and classification, but the products sold by each franchisee according to the different terms used in various types of products and different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In many cases, you cannot express your own information with a preset tag. At this time, if the tag (optional) does not exist, most platforms create other boxes and write information that can express the product on others.In order to tag the described data,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words and sentences included in other boxes are expressed in a vector form, and then words and sentences of other boxes expressed in a vector form are clustered. At this time, clustering is a representative unsupervised learning method that is widely applied in studies in the fields of text mining and information retrieval, and according to the clustering method, hierarchical clustering, partitional clustering, and spectral structure clustering Clustering).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은 상향식 계층군집화(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알고리즘과 K-means 알고리즘이 있는데, K-means 알고리즘은 상향식 계층 클러스터링보다 성능은 떨어지지만 효율적인 군집화 알고리즘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군집화 성능보다 효율성에 더 초점을 맞추어 K-means 알고리즘을 군집화 알고리즘으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상향식 계층군집화 알고리즘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K-means 알고리즘은, 벡터 공간내의 K개의 중심점을 K개의 클러스터로 표현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지고 수행되며, 일반적으로 각 벡터의 코사인 유사도 산출을 통해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K-means 알고리즘은 클러스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따라 bisecting, antipole, multipole 등의 다양한 확장 알고리즘을 더 이용할 수 있다.The most commonly used clustering algorithms are the agglomerative hierarchical clustering algorithm and the K-means algorithm, and the K-means algorithm is evaluated as an efficient clustering algorithm although its performance is lower than that of bottom-up hierarchical clustering. According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K-means algorithm may be applied as a clustering algorithm by focusing more on efficiency than on clustering performance. Of course, the bottom-up hierarchical clustering algorithm is not excluded. In this case, the K-means algorithm is performed under the premise that K center points in the vector space can be expressed as K clusters, and in general, clusters are formed by calculating the cosine similarity of each vector. The K-means algorithm can further use various extension algorithms such as bisecting, antipole, and multipole, depending on the cluster creation method.

상술한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bove-described proces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첫 번째로, 기타 박스에 기재된 단어 및 문장의 형태소 분석 및 불용어 제거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기타 박스에 기재된 단어 및 문장을 가지고 K-means를 수행하기 위해 기타 박스에 기재된 데이터들은 클러스터링 수행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되어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단어 및 문장을 벡터로 변환하는 수치화 작업을 진행한다. 수치화 작업을 위하여 단어 및 문장에 대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며, 그 결과 형태소 하나하나가 한 벡터의 차원을 이루게 된다. 해당 형태소의 포함 여부에 따라 각각의 벡터 요소들은 1 또는 0의 값을 가지게 되며, 이 과정에서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할 수 있다.First, a morpheme analysis and stopword removal process of words and sentences described in other boxes may be performed. In order to perform K-means with words and sentences written in other boxes, data written in other boxes should be converted into a form suitable for performing clustering. To this end, a numerical process is performed to convert words and sentences into vectors. Morphological analysis of words and sentences is performed for numerical work, and as a result, each morpheme forms the dimension of a vector. Depending on whether the corresponding morpheme is included, each vector element has a value of 1 or 0, and a morpheme analyzer can be used in this process.

두 번째는, 태그 풀(Tag Pool)을 생성하는 것이다. 단어 및 문장이 기재된 기타 박스 간의 거리 측정 및 비교 가능한 기준은 벡터 곱을 통해 달성된다. 이를 위해 모든 형태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표준벡터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며, 이러한 표준벡터로 모든 기타 박스로부터 추출된 태그 풀을 사용할 수 있다. 태그 풀은, 모든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태그들을 중복 없이 모두 담고 있는 풀을 의미한다. The second is to create a tag pool. Distance measurements and comparable criteria between other boxes in which words and sentences are written are achieved through vector multiplication.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define a standard vector that contains information on all morphemes, and the tag pool extracted from all other boxes can be used with this standard vector. The tag pool refers to a pool that contains all tags extracted from words and sentences included in all other boxes without overlapping.

세 번째는, 태그의 계층구조를 제작하는 과정인데, 태그 계층구조는 앞서 제작한 태그 풀을 기반으로 제작된다. 태그 계층구조 생성을 위한 벡터는 태그 풀의 요소를 서로 비교하면서 임의의 태그들이 동일한 태그 풀에 포함된 경우가 몇 번 있는가에 따라 벡터 값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가맹점주가 하나의 기타 박스에 입력한 단어 및 문장에서 임의의 두 태그를 동시에 입력한 정도에 따라 벡터값이 부여된다. 이러한 방식을 따라 산출된 각각의 태그 벡터들은 단위벡터로 변환 후 K-means를 통해 클러스터링 되고, 군집 분석을 통해 유사도가 높은 벡터들끼리 그룹화하여 몇 개의 태그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다시 각각의 그룹에 대해 위와 같은 클러스터링 작업을 반복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전체 태그 집합에 대한 태그 계층구조를 생성할 수 있다.The third is the process of creating a tag hierarchy, which is created based on the previously created tag pool. A vector for generating a tag hierarchy may be assigned a vector value according to how many times there are arbitrary tags included in the same tag pool while comparing elements of the tag pool with each other. For example, a vector valu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wo arbitrary tags are simultaneously input from a word and sentence entered by a plurality of franchisees in one other box. Each of the tag vectors calculated according to this method is converted into a unit vector and then clustered through K-means, and vectors having high similarity are grouped together through cluster analysis, and thus can be classified into several tag groups. And again, it is possible to create a tag hierarchy for the entire tag set by repeatedly applying the above clustering operation to each group.

마지막으로, 태그 벡터를 계산해야 하는데, 마지막으로 태그 벡터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군집화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위한 모든 준비 과정이 끝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각각의 기타 박스가 서로 얼마나 닮은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유추해 볼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태그 계층구조를 태그 벡터에 반영하기 위해 계층구조를 바탕으로 계산된 값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부여되는 벡터 값은 예를 들어, Leacock-Chodorow Measure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acock-Chodorow Measure는 0부터 무한대까지의 값으로 어휘 유사도를 표현하기 때문에, 태그 벡터의 가중치를 업데이트하는 용도로 적용할 수 있다.Finally, the tag vector needs to be calculated, and finally,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the tag vector, all preparations for performing the clustering algorithm are completed. Through this process, a criterion for inferring how similar information each other box has to each other is established. In addition, in order to reflect the tag hierarchy in the tag vector, a value calculated based on the hierarchy structure can be used, and the vector value assigned at this time can use, for example, Leacock-Chodorow Meas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ince the Leacock-Chodorow Measure expresses vocabulary similarity with values ranging from 0 to infinity, it can be applied to update the weight of the tag vector.

이렇게 클러스터링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되면, 각 기타 박스를 묶는 작업을 통하여 새로운 태그를 도출할 수 있다. 이때, 첫 클러스터링 K값의 결정을 위해, K-means 클러스터링 적용할 때, 군집화 결과 그룹의 개수(K)는 군집화 성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경우 K는 정적인 변수로 설정되어 그 개수에 맞추어 클러스터링 결과를 도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서로 다른 상품의 방향성, 특이성으로 인하여 다른 방향의 태그를 가지는 특성을 고려하면 일정한 K값을 정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When all preparations for clustering are completed in this way, a new tag can be derived by tying each other box. At this time, to determine the first clustering K value, when applying K-means clustering, the number of groups as a result of clustering (K)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lustering performance. In most cases, K is set as a static variable and the clustering results are derived according to the number, but it is very difficult to determine a constant K value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aving tags in different directions due to the direction and specificity of different products. to be.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는 기타 박스에 포함된 단어 및 문장에 따른 각기 다른 태그에 따라 각기 다른 K값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K-means는 최적의 클러스터가 생성될 때까지 반복하여 군집을 재생성한다. 즉, K-means에 의해 일단 클러스터가 생성되면 클러스터된 모든 그룹들에 대하여 중심 값을 다시 계산하고 모든 태그 풀을 대상으로 K개의 클러스터에 순서대로 벡터 곱을 수행한다. 그 후 수행결과 벡터 곱이 가장 컸던 그룹에 다시 그 태그 풀을 배정하며 마지막 태그 풀까지 벡터곱과 배정 과정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새로운 클러스터링 결과가 산출되면 다시 중심 값을 구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최적의 클러스터링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이때, 종료 시점은, 새롭게 형성된 결과들이 직전의 클러스터링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아무런 변화가 일어나지 않았을 때이다. Accordingly, 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t different K values according to different tags according to words and sentences included in other boxes. K-means regenerate clusters repeatedly until an optimal cluster is generated. That is, once a cluster is created by K-means, the centroid value is recalculated for all clustered groups, and vector multiplication is performed on K clusters in order for all tag pools. After that, the tag pool is allocated again to the group with the largest vector product as a result of the execution, and vector product and allocation process is performed until the last tag pool. Accordingly, when a new clustering result is calculated,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center value is repeatedly performed to achieve an optimal clustering state. At this time, the end point is when no change occurs when the newly form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clustering results.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다른 주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이고, 리뷰공유부(38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상품에 대한 평점 및 리뷰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지도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각 상품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되던 평가 기준은 제품마다 상이한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소비자 의견이 반영된 온라인 리뷰를 통해 상품의 특징, 주제를 추출하고 이를 평가기준으로 사용했지만, 여전히 상품과 연관성이 낮은 평가 기준이 추출되거나 부적절한 단어가 정제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리뷰공유부(380)는,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기법으로 리뷰로부터 평가 기준 후보군을 추출하고 이를 k-최근접 이웃 접근법(k-Nearest Neighbor Approach, k-NN)을 이용해 정제하는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rresponding to different subjects, and the review sharing unit 380 is a rating and review for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and produc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May be mapped with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stored, and displayed on a map. At this time, the evaluation criteria used to evaluate each product did not reflect the opinions of different consumers for each product,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mes of the product were extracted through online reviews reflecting consumer opinions and used as evaluation criteria.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evaluation criteria with a low correlation to and from being extracted or inappropriate words are not refined. Accordingly, the review sharing unit 380 extracts an evaluation criterion candidate group from the review using 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echnique and uses a k-Nearest Neighbor Approach (k-NN) You can use a model to refine it.

상술한 모델은, 준비 단계와 추출 단계로 이루어진다. 준비 단계에서는 워드임베딩(Word Embedding) 모델과 평가 기준 후보군을 정제하기 위한 k-NN 분류기를 생성한다. 추출 단계에서는 k-NN 분류기와 언급 비율을 이용해 평가 기준 후보군을 정제하고 최종 결과를 도출한다. 성능 평가를 위해 명사 빈도 추출 모델, LDA 빈도 추출 모델, 실제 상품 평가 사이트가 제공하는 평가 기준을 세 비교 모델로 선정할 수 있고 세 모델과의 비교를 위해 설문을 진행하고 점수화하여 결과를 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점을 뭉뚱그려 별점 5 점이 아니라, 어떠한 특성을 가진 상품이나 음식 등이 판매되고 있는지, 즉 리뷰 특성을 반영한 상품군 별 차원을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인사이트 발굴을 위한 리뷰 분석에 기여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odel consists of a preparation step and an extraction step. In the preparatory stage, a word embedding model and a k-NN classifier are created to refine the evaluation criteria candidate group. In the extraction step, the candidate group for evaluation criteria is refined using the k-NN classifier and the mention ratio, and the final result is deriv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the noun frequency extraction model, the LDA frequency extraction model, and the evaluation criteria provided by the actual product evaluation site can be selected as three comparison models, and the results can be tes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and scoring for comparison with the three models. have. Accordingly, it can be used to derive the dimensions for each product group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product or food, that i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ew, rather than a 5 star rating by grouping the ratings. You can contribute.

사용자 단말(100)은 서로 다른 주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이고, 변경부(39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오픈되었지만 오픈 아님으로 표시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오픈이 아니지만 오픈이라고 표시된 경우에 대한 제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오픈 여부를 변경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상술한 신호 검출 및 카메라 비전을 이용해도 혹시 모를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100)에서 이를 검증하는 자료를 보내주는 경우, 예를 들어, 사진을 찍어서 현재 오픈이 되지 않았음을 보내주거나 영업점 앞에 "개인 사정으로 3일간 쉽니다" 등의 쪽지가 붙어있는 경우 오픈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00 i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corresponding to different subjects, and the change unit 390 indicates that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has been open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but is not open, or at least When reporting data for a case where one affiliated store is not open but marked as open is received, whether or not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is open may be changed and uploaded. Since an unknown error may occur even when the above-described signal detection and camera vision are used, when the user terminal 100 sends data to verify this, for example, taking a picture and sending that it is not currently open or a branch office You can change the open status if there is a note such as "I will be closed for 3 days due to personal reasons" at the front.

이하, 상술한 도 2의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of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examples.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is only any one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을 참조하면, (a)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영업시간, 상품, 휴가, 위치 등의 정보를 등록하도록 하고, 이를 위치 및 상품 카테고리 태그 기반으로 분류 및 지도 상에 오버레이한다. 그리고,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위치 기반으로 검색을 시작하는 경우,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오픈 상태가 확인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을 검색한 후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게 된다.3, (a)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gisters information such as business hours, products, vacations, and locations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this is based on location and product category tags. Sort by and overlay on the map. In addition, when the user terminal 100 inputs a search word or starts a search based on a loca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arches for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whose open status is confirmed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또, (c)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로 주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응답이 오는지에 따라 웨이크업 상태를 확인하여 오픈 상태를 유지할지 또는 종료 상태로 변경할지를 결정하며, (d) 응답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오픈 상태를 종료 상태로 변경함으로써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이 되지 않도록 하거나 다음 오픈 시간을 알려주는 방식으로 지도상에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c)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periodically or in real time transmits a signal to th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to check the wake-up state according to whether a response is received and whether to maintain the open state or change to the end state. It is determined, and (d) when there is no response signal, the open state is changed to the end state so that the user terminal 100 does not search, or the next open time may be displayed on a map.

도 4의 (a)를 참조하면,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이동식 푸드트럭이나 무점포 상점인 경우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장사개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장사개시 버튼이 선택된 시각의 위치를 무점포 상점의 위치로 설정하여 지도상에 오픈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b)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집근처 핫도그 집을 검색하는 경우, 가맹점 단말(400)이 해당 그 위치에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고, 존재하는 경우 동일 위치로 사용자 단말(100)로 안내하고, 만약 아닌 경우에는 검색 결과에서 제거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ure 4 (a),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e case of a mobile food truck or a non-store stor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from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e location of the tim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Set the location of a non-store shop to be displayed in an open state on the map. And, (b) when the user terminal 100 searches for a hot dog house near the house, the (b)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checks whether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exists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if there is, the user moves to the same location. It is guided to the terminal 100, and if not, it is removed from the search result.

(c) 또,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미리 주문을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로 주문할 수 있도록 하며, 주문결제가 완료되면,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갈 동안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배달 업체와 연결하여 배달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지도에 표시되는 화면은 (d)와 같은데 각 상품의 종류와 별점 및 가격과, 오픈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현재 어느 음식점이나 상점이 가능한지를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지도는 고정된 것이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지속적인 신호확인으로 실시간으로 변경 및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c) In additio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allows the user terminal 100 to place an order in advance through O2O (Online to Offline) service, and when the order payment is completed,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s transmitted to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so that the user can prepare while going. Or, you can connect with a delivery company to make delivery service possibl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p of the user terminal 100 is shown in (d). By displaying the type, star rating, price, and open status of each product, it is possible to grasp which restaurant or store is currently available. This map is not fixed and may be changed and updated in real time with continuous signal check as described above.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that are not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of FIGS. 2 to 4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for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through FIG. 1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components included in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a process in which data is transmitted/received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but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ly interpreted as such an embodiment, and is illustrated in FIG. 5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may be changed.

도 5를 참조하면,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부터 상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한다(S5100).Referring to FIG. 5,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registers and stores store information from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S5100).

그리고,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로 전송하고, 호출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의 웨이크업을 감지하고 오픈 여부를 업로드하고(S5200),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웨이크업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을 오픈으로 표시한다(S5300).And,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transmits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to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when receiving a respons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all signal, detects the wakeup of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and uploads whether it is open or not. (S5200),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that has been woken up based on a time searched by the user terminal is displayed as open (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The order between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order of the above-described steps S5100 to S5300 may be mutually changed, and some of the steps may be executed or deleted at the same time.

이와 같은 도 5의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The matters not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of FIG. 5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method of providing the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through FIGS. 1 to 4 or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descrip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omitted.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n application or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this may include a program included in a platform or an operating system basically installed in the terminal). In addition, it may be executed by an application (ie, a program) directly installed on the master terminal by a user through an application providing server such as an application store server, an application, or a web server related to the service. In this sense, the method for providing a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n application (i.e., a program) that is basically installed in a terminal or directly installed by a user, and can be read by a computer such as a terminal. It can be recorded on an existing recording medium.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7)

위치 기반 또는 검색어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점을 검색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점의 영업 시간, 오픈 여부 및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100);
상점의 위치, 상호명, 영업 시간 및 휴가 정보를 포함하는 상점 정보를 업로드하여 상점을 등록하고,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웨이크업(Wakeup) 상태인 경우 전송하는 것으로 오픈 여부를 업로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상기 상점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저장부(310), 실시간 또는 주기적 호출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 전송하고, 상기 호출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웨이크업을 감지하고 오픈 여부를 업로드하는 업로드부(320),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하는 시각을 기준으로 웨이크업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을 오픈으로 표시하는 표시부(330)를 포함하는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부(320)는, 상기 가맹점 단말(400)과 SaaS(Software as a Servcie)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를 비추는 카메라 비전 센서가 탑재된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업로드부(320)는, 실시간으로 매장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또는 해당 위치에 무점포 상점이 존재하는지의 확인을 통해 오픈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메뉴 카테고리 태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를 지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하는 경우 지도 기반으로 메뉴 카테고리 태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위치에 오버레이하는 지도부(3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뉴 카테고리 태그는 유동적 분류자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로부터 태그화가 되지 않은 메뉴 카테고리 관련 단어 및 문장이 제공되면, 제공되는 상기 메뉴 카테고리 관련 단어 및 문장을 벡터 형태로 표현한 후 벡터 형태로 표현된 단어 및 문장의 클러스터링을 수행하여 상기 메뉴 카테고리 관련 단어 및 문장의 태그화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이고, 상기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및 상품에 대한 평점 및 리뷰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과 매핑하여 저장하고 지도에 표시하는 리뷰공유부(3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이고, 상기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오픈되었지만 오픈 아님으로 표시되거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이 오픈이 아니지만 오픈이라고 표시된 경우에 대한 제보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의 오픈 여부를 변경하여 업로드하는 변경부(39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user terminal 100 for searching for at least one store based on a location or a search word and outputting status information including business hours, open status, and vacation information of the at least one store;
Stores are registered by uploading store information including store location, business name, business hours, and vacation information, and a response signal to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wakeup state to upload whether it is open or not.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A storage unit 310 that registers and stores the store information from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and transmits a real-time or periodic call signal to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and a response corresponding to the call signal When receiving a signal, an upload unit 320 that detects the wake-up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uploads whether it is open, and at least one wake-up based on a time searched by the user terminal 100 Including; a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cluding a display unit 330 for displaying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s open,
The upload unit 320 performs communication using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SaaS (Software as a Servcie),
It further includes a camera equipped with a camera vision sensor that illuminates the location of th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nd the upload unit 320 checks whether there is a person in the store or a non-store store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in real time. Detects whether it is open through
When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selects any one of menu category tags from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o designate a type of product to be sold, and searches the user terminal 100 A map-based menu category tag is overlayed on the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further includes,
The menu category tag is a flexible classifier, and when untagged menu category related words and sentences are provided from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e provided menu category related words and sentences are expressed in a vector form and then vector Tagging of words and sentences related to the menu category by performing clustering of words and sentences expressed in a form,
The user terminal 100 i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nd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receives ratings and reviews for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and product receiv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 review sharing unit 380 that maps and stores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and displays it on a map; further includes,
The user terminal 100 i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and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displays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opened but not open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00, or A change unit 390 for changing and uploa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is open when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is not open but reports data is received;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오픈으로 설정하여 업로드하는 무점포관리부(3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when a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from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 non-store management unit 340 for setting and uploading to ope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의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한 시점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GPS 위치를 무점포 상점의 위치로 설정하여 오픈으로 업로드하는 위치공유부(3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In the case of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in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the GPS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 store terminal 400 at the tim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is the location of the non-store store. A location sharing unit 350 that is set to and uploaded to open;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점포가 없는 무점포 상점이 이동형 상점인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에서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장사개시 버튼을 선택한 시점의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GPS 위치를 무점포 상점의 위치로 설정하여 오픈으로 업로드하고, 기 설정된 주기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단말(400)의 GPS 위치를 추적하여 장사종료 버튼이 선택될 때까지 위치를 공유하는 이동공유부(3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점포 상태 공유 서비스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erver 300,
When a non-store store without a store is a mobile store, when a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on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the GPS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at the time when the business start button is selected is not stored. A mobile sharing unit 360 configured to set the location of the store and upload it as open, track the GPS location of the at least one affiliated store terminal 400 for each preset period, and share the location until a business end button is selected;
Offline store state sharing service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70833A 2020-06-11 2020-06-11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R102188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33A KR102188384B1 (en) 2020-06-11 2020-06-11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833A KR102188384B1 (en) 2020-06-11 2020-06-11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384B1 true KR102188384B1 (en) 2020-12-08

Family

ID=73779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833A KR102188384B1 (en) 2020-06-11 2020-06-11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3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96B1 (en) * 2022-12-21 2023-11-15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System for providing store management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6880A (en) * 2008-09-09 2010-03-25 Fujitsu Ltd Portable terminal, server,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20131883A (en) * 2011-05-26 2012-12-05 김진동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region based information
KR20150020400A (en) * 2013-08-13 2015-0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tore
KR20160087485A (en) * 2015-01-13 2016-07-22 주식회사 케이티 Geofenc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80008333A (en) * 2016-07-14 2018-01-24 정태환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notifying of changed business information, server and termin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6880A (en) * 2008-09-09 2010-03-25 Fujitsu Ltd Portable terminal, server, and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20120131883A (en) * 2011-05-26 2012-12-05 김진동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region based information
KR20150020400A (en) * 2013-08-13 2015-0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store
KR20160087485A (en) * 2015-01-13 2016-07-22 주식회사 케이티 Geofence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80008333A (en) * 2016-07-14 2018-01-24 정태환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notifying of changed business information, server and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96B1 (en) * 2022-12-21 2023-11-15 주식회사 인조이웍스 System for providing store management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62627B (en) Analyzing semantic places and related data from multiple location data reports
Biagioni et al. Inferring road maps from global positioning system traces: Survey and comparative evaluation
US2019037807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data analytics model selection for real-time data visualization
CN111949834A (en) Site selection method and site selection platform
KR102236546B1 (en) Method for providing big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smart tourism service capable of making a choice corresponding to purpose of travel
CN112241489B (en) Information pushing method, device, readabl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Tjaden Measuring migration 2.0: a review of digital data sources
Long et al. Identifying subcenters with a nonparametric method and ubiquitous point-of-interest data: A case study of 284 Chinese cities
Bi et al. How built environment impacts online car-hailing ridership
JP7315446B2 (en) Processing device,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program
Terroso-Saenz et al. Human mobility forecasting with region-based flows and geotagged Twitter data
KR102188384B1 (en) System for providing offline stor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KR20210065773A (en) Big data based emotional information analysis and evaluation system and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2511634B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awareness based cross-domain recommendation service for retail kiosk
Guo et al. Fine-grained dynamic price prediction in ride-on-demand services: Models and evaluations
Zhou et al. Learning with self-attention for rental market spatial dynamics in the Atlanta metropolitan area
US20230258461A1 (en) Interactive analytical framework for multimodal transportation
Liao et al. Location prediction through activity purpose: integrating temporal and sequential models
Elashmawi et al. IOT Based Smart Parking System Using Ensemble Learning.
Garcia-Arteaga et al. A network-based analysis to assess COVID-19 disruptions in the Bogotá BRT system
Murray GIS in regional research
JP71452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102606732B1 (en) Travel Product Reverse Auction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an algorithm
Satra et al. Location Based Smart Resource Management
JP715937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