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365B1 -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365B1
KR102187365B1 KR1020200089795A KR20200089795A KR102187365B1 KR 102187365 B1 KR102187365 B1 KR 102187365B1 KR 1020200089795 A KR1020200089795 A KR 1020200089795A KR 20200089795 A KR20200089795 A KR 20200089795A KR 102187365 B1 KR102187365 B1 KR 10218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facility
energy storage
urban development
complex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옥규
남성민
배형식
정승훈
박대만
송민영
이상춘
김민수
박승훈
이라임
민웅기
송지명
정두식
김주형
조길제
성려리
Original Assignee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광역시도시공사
재단법인 한국엘피지배관망사업단
조길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광역시 울주군, 울산광역시도시공사, 재단법인 한국엘피지배관망사업단, 조길제 filed Critical 울산광역시 울주군
Priority to KR1020200089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의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지역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공용지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계획지구 외곽지역에 위치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공장 운영비 및 농업용 난방지의 지출을 절감하고, 웰빙과 친환경 트렌드 확보로 주변 지역의 인구 유입을 유도하여 지역 경제 전반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anaging self-supply green-energy town hous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의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지역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공용지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운하우스(Town House)는 적어도 벽면 한쪽을 옆집과 공유하는 다층구조의 집이다.
즉, 아파트와 같은 타운하우스는 1970년대 도입되어, 1980년대를 지나면서 대중에게 정착되었다.
또한, 1990년대 신도시 아파트 등장으로 인해 다핵도시구조를 형성하며, 2000년대 고급주거아파트의 등장으로 도심주거, 직주근접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타운하우스는 기본적으로 거주 형태에서 점차 투자 형태로 발전하고 있는 상태이며, 민간 주도의 소규모 전원형 타운하우스가 다수 공급된 상태이나, 도심 접근성이 취약하고, 보안이 취약하고, 편의시설의 부재로 인한 생활불편을 초래하며, 그에 따른 시장 가치와 이용가치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135849호 [제목: 집단 한옥(한옥 타운하우스)건축 시 택지 최효율 배치 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의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지역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공용지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공공용지를 이용해서 연료전지 발전소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는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단지별 용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및 상기 단지별 용도를 근거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주변 단지와의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및 용역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상기 선택된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생태자연도, 산림청의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임상도, 전국 시군구의 도시관리 계획도를 관리하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및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지적도를 근거로 복수의 후보지에 대한 도시 여건을 각각 분석하고, 복수의 후보지별로 도시 여건 분석 결과에 따른 도시개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지별로 설정된 도시개발 기본 방향 및 도시 여건 분석 결과를 근거로 평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지별 평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후보지 중에서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지별 용도에 따라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및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한 주택 단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은 제어부에 의해,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단지별 용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류된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및 상기 단지별 용도를 근거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주변 단지와의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및 용역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지별 용도에 따라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및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한 주택 단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상기 단지별 용도를 근거로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및 주변 단지와의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를 추가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공사비 및 용역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와, 상기 선택된 다른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의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지역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공용지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계획지구 외곽지역에 위치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공장 운영비 및 농업용 난방지의 지출을 절감하고, 웰빙과 친환경 트렌드 확보로 주변 지역의 인구 유입을 유도하여 지역 경제 전반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공공용지를 이용해서 연료전지 발전소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함으로써, 연료전지를 통한 보조전력 제공에 따라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 열 생산을 통한 수익금의 일부를 저장 시설, 배관망, 공공용 전기공급 등에 투자하여 재원 여력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고, 청정한 에너지 공급으로 에너지 복지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음성 출력부(140) 및 제어부(15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내부의 임의의 구성 요소 또는 외부의 임의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와 통신 연결한다. 이때, 상기 외부의 임의의 단말기는 서버(미도시), 다른 단말(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IEEE 802.16,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광대역 무선 이동 통신 서비스(Wireless Mobile Broadband Service: WMBS) 등이 있으며,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와이 파이(Wi-Fi),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임의의 단말과 정보를 상호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상기 서버, 상기 다른 단말 등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11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지도 정보, 국토교통부의 국토지리정보원(미도시)(또는 국토지리정보원 서버)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 환경부(또는 환경부 서버)(미도시)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생태자연도, 산림청(또는 산림청 서버)(미도시)의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임상도, 전국 시군구의 도시관리 계획도를 관리하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한국토지정보시스템(미도시)(또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 서버)에서 제공하는 지적도 등을 수신한다.
상기 저장부(12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즉,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 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되고,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12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2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지도 정보, 수치지형도, 생태자연도, 임상도,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지적도 등을 저장한다.
상기 표시부(또는 디스플레이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지도 정보, 수치지형도, 생태자연도, 임상도,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지적도 등을 표시한다.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소정 신호 처리된 신호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음성 출력부(140)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에 의해 생성된 안내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음성 출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신된 지도 정보, 수치지형도, 생태자연도, 임상도,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지적도 등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또는 음향 효과)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controller, 또는 MCU(microcontroller unit)(150)는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RAM, ROM, CPU, GPU, 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RAM, ROM, CPU, GPU 등은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상기 저장부(120)에 액세스하여,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부(12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콘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서버와의 연동에 의해,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및/또는 웹 사이트를 통해 도시 여건 분석 기능, 도시개발 기본 방향 설정 기능, 평가 기능,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선정 기능,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위치 선정 기능,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및 위치 선정 기능 등을 제공받기 위한 일반 사용자로 회원 가입하며, 개인 정보 등을 상기 서버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개인 정보는 아이디, 이메일 주소, 패스워드(또는 비밀번호), 이름,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주소지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사용자가 가입한 SNS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에 사용자로 회원 가입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SNS 계정은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 스토리 등과 관련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 절차 수행 시, 상기 제어부(150)는 본인 인증 수단(예를 들어 이동 전화, 신용카드, 아이핀 등 포함)을 통한 인증 기능을 완료해야 상기 서버에 대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정상적으로 완료할 수 있다.
또한, 회원 가입이 완료된 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전용 앱(또는 애플리케이션/응용 프로그램/특정 앱)을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용 앱은 도시 여건 분석 기능, 도시개발 기본 방향 설정 기능, 평가 기능,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선정 기능,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위치 선정 기능,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및 위치 선정 기능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도시개발의 목표, 성격, 범위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후보지에 대한 도시 여건을 각각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도시개발의 목표는 도시 개발 현황, 산업개발 현황 등 도시 특성 및 개발여건 분석을 통한 개발 방향 등을 포함하며, 상기 도시개발의 성격은 주변 도시와의 경쟁력 강화에 따른 인구 유입과 산업 발전 등을 포함하며, 상기 도시개발의 범위는 공간적, 시간적, 내용적으로 도시개발을 진행할 범위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내용적 범위는 대규모 주거형, 산업형, 타운하우스형, 관광휴양형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시 여건은 자연 환경, 인문 환경, 관련계획 검토, 지역 여건, 문제점 및 잠재력 등을 포함하며, 후보지에 대한 표고, 경사, 생태자연도, 임상도, 용도지역(또는 지구 현황), 지목별 토지현황, 소유별 토지현황, 도시관리계획 현황, 실효시설 현황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국토교통부의 국토지리정보원(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표고, 경사 등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환경부(미도시)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생태자연도를 이용하여 해당 후보지와 관련한 생태자연도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산림청(미도시)의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임상도를 이용하여 해당 후보지와 관련한 임상도를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전국 시군구의 도시관리 계획도를 관리하는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도시관리계획도를 이용하여 용도지역 지구 현황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한국토지정보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지적도를 이용하여 지목별 토지현황, 소유별 토지현황 등을 분석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국토교통부의 국토지리정보원(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생태자연도, 산림청의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임상도, 전국 시군구의 도시관리 계획도를 관리하는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한국토지정보시스템(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지적도 등을 근거로 상기 복수의 후보지에 대한 도시 여건을 각각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SWOT 분석을 통해, 내부 역량인 강점(Strength: S)과 관련해서 친환경적인 자연경관 제공을 통한 쾌적한 주거환경 제공, 필수 편의시설 단지 내부에 설치 등의 항목을 분석하고, 내부 역량인 약점(Weakness: W)과 관련해서 제1종 일반주거지역으로 결정되어 있는 도시지역으로 부지 매입비용이 높아 대규모 초기 부지 매입 자금이 필요함 등의 항목을 분석하고, 외부 환경인 기회(Opportunity: O)와 관련해서 대규모 타운하우스, 관광 휴양지 등이라는 특성에 따른 호재, 지역거점 기능 역할을 할 가능성이 커 투자 가치가 높음 등의 항목을 분석하고, 외부 환경인 위협(Threat: T)과 관련해서 지속적인 경기침체 및 주택시장 위축, 불확실한 부동산정책에 대한 소비자 구매심리 결여 등의 항목을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후보지별 도시 여건 분석 결과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시부(130) 내의 지도상에 상기 복수의 후보지를 미리 설정된 마커를 이용하여 각각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후보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마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마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마커에 대응하는 도시 여건 분석 결과를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혼합현실(Mixed Reality: MR) 등의 형태(또는 상기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후보지별로 도시 여건 분석 결과에 따른 도시개발 기본 방향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도시개발 기본 방향은 도시개발 개념 및 개발 방향, 계획지표, 공간구조 구상, 교통체계 구상, 공원녹지 구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간구조 구상은 상기 도시개발의 범위에 따른 단지 조성을 위한 주거용지/산업용지 계획, 적정 생활편익시설 및 공공기반시설 확보, 주변 지역 및 각 구역별 상호 연계가 가능한 공간구상 수립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교통체계 구상은 가로의 기능 및 위계별 구분을 통한 교통체계구상 수립, 도로의 경우 보차분리를 원칙으로 적정 도로 폭 계획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원 녹지 구상은 지형을 살린 경관축 형성, 주거용지변 완충녹지 계획으로 정주환경 보호, 생활권 중심에 공원, 광장을 계획하여 쾌적한 주거단지 조성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후보지별 도시개발 기본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표시부(130) 내의 지도상의 상기 복수의 후보지에 각각 표시되는 마커의 일측에(또는 인접하게) 다른 마커를 각각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상기 복수의 후보지에 대응하는 복수의 다른 마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다른 마커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다른 마커에 대응하는 도시개발 기본 방향에 대한 정보를 가상현실, 증강현실, 혼합현실 등의 형태로(또는 상기 가상현실, 증강현실 및 혼합현실 중 어느 하나의 형태)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또는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후보지별로 설정된 도시개발 기본 방향에 대해 평가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후보지별로 설정된 도시개발 기본 방향, 복수의 후보지별로 도시 여건 분석 결과 등을 근거로 복수의 후보지별로 평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복수의 후보지별 평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후보지 중에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선정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복수의 후보지에 대한 각각의 평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후보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선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또는 계획 지구)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류(또는 구획)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주택 단지(예를 들어 농가 주택 단지, 전원 주택 단지 등 포함),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충전소, 그린생활 시설 단지 등과 같이, 단지별 용도(또는 단지별 특성)에 따라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분류된(또는 구획된)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서의 총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등을 고려하여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상기 단지별 용도 등을 고려하여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은 에너지(또는 연료)(예를 들어 수소 가스, LPG 가스 등 포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미도시),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에너지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배관(미도시), 상기 저장 탱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실(미도시) 등으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서의 총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단지(또는 주변 지역)와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해당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또는 선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지별 용도에 따라 상기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상기 축사 단지, 상기 농공단지,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한 주택 단지 등에 인접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의 외곽 지역 도시가스 공급에 따른 사용료 인상 부담을 줄이고, 외곽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아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신규 인구 유입을 유도하며, 저렴한 에너지 공급으로 농업용 난방비의 과도한 지출을 방지하여 농업 경쟁력을 높이고, 생산비 절감에 따른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을 제공하며, LPG 배관망 사업과 수소도시 실증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개발 계획을 고도화할 수 있다.
또한, 과거와 같이 원거리에서 도시가스를 수급하는 것이 아니라, 에너지 취약 지역 등을 포함하는 지역(또는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내의 저장 시설에 에너지를 저장하여 두고, 해당 지역 내에서 전방위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서의 총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상기 주변 단지와의 안정성 등을 근거로 해당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를 추가로 선택(또는 선정)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 및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가 동일한 공공용지에 위치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공공용지에 위치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는 복수의 공간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구조물(미도시)과, 발전에 필요한 연료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일부 공간에 배치되는 연료 제공부(미도시)와, 상기 연료 제공부로부터 연료를 제공받아 전기화학적 원리에 의해 직류전력을 생산하고,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일부 공간에 적층배치되는 복수의 연료전지 스택(미도시)과,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 스택에 의해 발전된 직류전력을 교류전력 형태로 변환시키는 상기 복수의 공간 중 다른 공간에 배치되는 전력 변환부(미도시)와, 상기 연료 제공부, 상기 복수의 연료전지 스택, 상기 전력 변환부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를 이용한 발전 원리는 전기를 이용해서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하는 것을 역이용해, 수소와 산소에서 전기에너지를 얻는 방식으로, 석유나 가스 등에서 추출한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물과 전기에너지(또는 직류전력)를 얻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상기 연료전지를 이용한 보조전력 및 열을 생성하는 연료전지 발전소는 LPG 가스 내의 프로판(C3H8) 중 수소를 분리하여 연료전지 내에서 물과 반응시켜 전기와 열을 생산하는 설비이다. 이때, 상기 연료전지 규모는 1.76MW(440kW×4대)로 기존 디젤발전용량(18.6MW)의 약 10%를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는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를 통한 발전 후 부산물이 물이기 때문에 청정발전방식으로 신재생에너지 설비에 해당하며, 태양광이나 풍력과는 달리 기후 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한 전력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는 기존 에너지 자립섬 발전 설비를 대체할 수 있는 정도의 전력을 생산하고, 약 100℃의 온수(.09Gcal/hr) 생산이 가능하며, 생산된 온수는 LPG 기화설비 또는 주변지역 주민편의시설의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는 향후 LPG 가스 공급 계획에 따라 연료전지의 설치대수, 발전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불안정한 공급량(예를 들어 여름철 소, 겨울철 대)에 대해서 적응적으로 발전 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를 통한 보조전력 및 열 생산을 통한 수익금의 일부를 저장 시설 및 배관망, 공공용 전기 공급 등에 투자하도록 투자 계획을 설계하여, 재원 여력이 어려운 지역에도 저렴하고 청정한 에너지 공급으로 에너지 복지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는 공사비(예를 들어 토공, 우수공, 오수공, 상수공, 포장공, 하천공, 저류지공, 조경공, 전기공, 가로등공, 부대공 등 포함), 용역비(예를 들어 항공측량, 드론측량, 토질조사,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기본계획,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실시설계, 조경기본설계, 조경실시설계, 확정측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및 실시설계항목,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사전재해영향성검토(행정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개발사업), 에너지이용계획수립 등을 포함하는 제영향평가 항목, 부대비 등을 포함하는 조성부대비 항목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는 공사비(예를 들어 토공, 우수공, 오수공, 상수공, 포장공, 하천공, 저류지공, 조경공, 전기공, 가로등공, 부대공 등 포함), 용역비(예를 들어 항공측량, 드론측량, 토질조사,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기본계획,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실시설계, 조경기본설계, 조경실시설계, 확정측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및 실시설계항목,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사전재해영향성검토(행정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개발사업), 에너지이용계획수립 등을 포함하는 제영향평가 항목, 부대비 등을 포함하는 조성부대비 항목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 상기 산출된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의 위치 및 규모, 상기 산출된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 등을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은 토지이용구상, 교통처리구상, 기반시설구상, 가구 및 획지, 건축물 등에 관한 구상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의 위치 및 규모 등을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은 구역계 확정 및 기초조사, 개발계획안 작성, 도시개발구역지정 입안, 군계획위원회 자문 및 주문의견 청취, 구역지정 신청,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구역 지정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 시행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사업비에 따라 단계별로(또는 기간별로) 해당 사업비의 지출을 관리 및/또는 감독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비는 공사비(예를 들어 토공, 우수공, 오수공, 상수공, 포장공, 하천공, 저류지공, 조경공, 전기공, 가로등공, 부대공 등 포함), 용역비(예를 들어 항공측량, 드론측량, 토질조사, 단지조성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단지조성기본설계, 단지조성실시설계, 조경기본설계, 조경실시설계, 확정측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및 실시설계항목,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사전재해영향성검토(행정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개발사업), 에너지이용계획수립 등을 포함하는 제영향평가 항목, 부대비 등을 포함하는 조성부대비 항목 등 포함), 보상비(예를 들어 토지보상비, 건축물 보상비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시개발 사업 시행에 따른 관리 및/또는 감독 기능 수행 중, 해당 도시개발 사업 시행과 관련해서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도시개발 사업 시행을 감독하는 관리자(또는 감독자)가 해당 불일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를 상기 표시부(130) 및/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를 소지한 사용자가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지역에 방문하여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포커스하거나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에 구비된 GPS 수신기(미도시)를 통해 확인되는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서 포커스 상태가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2초) 이상 유지되는 경우에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실시간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정보를 관리(또는 저장)하며, 해당 도시개발사업과 관련한 정보를 위치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등 포함)와 연동(또는 매핑/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카메라를 통해 해당 영역을 포커스하거나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카메라를 통해 표시되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의 일측에 또 다른 마커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되는 또 다른 마커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또 다른 마커에 대응하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부(130)에 바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도시 여건 분석 기능, 도시개발 기본 방향 설정 기능, 평가 기능,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선정 기능,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위치 선정 기능,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및 위치 선정 기능 등은 상기 서버에서 제공하는 전용 앱 형태로 수행하거나 또는, 해당 서버에서 제공하는 웹 사이트 등을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의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지역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공용지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공공용지를 이용해서 연료전지 발전소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을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50)는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또는 계획 지구)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류(또는 구획)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주택 단지(예를 들어 농가 주택 단지, 전원 주택 단지 등 포함),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충전소, 그린생활 시설 단지 등과 같이, 단지별 용도(또는 단지별 특성)에 따라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복수의 블록으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분류된(또는 구획된)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제 1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주택 단지,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충전소, 그린생활 시설 단지 등의 단지별 용도에 따라 복수의 블록(예를 들어 제 1 블록 내지 제 100 블록)으로 분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분류된 제 1 블록 내지 제 100 블록에 대해서 각 블록에서의 예상 에너지 소비량인 제 1 예상 에너지 소비량 내지 제 100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각각 산출한다(S21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서의 총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등을 고려하여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상기 단지별 용도 등을 고려하여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은 에너지(또는 연료)(예를 들어 수소 가스, LPG 가스 등 포함)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미도시), 상기 저장 탱크에 저장된 에너지를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한 배관(미도시), 상기 저장 탱크를 제어하기 위한 기계실(미도시) 등으로 구성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블록 내지 제 100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예상 에너지 소비량 내지 제 100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등을 근거로 에너지 저장 시설의 제 1 규모를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제 1 규모, 상기 단지별 용도 등을 근거로 연료전지 발전소의 제 2 규모를 설정한다(S22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서의 총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단지(또는 주변 지역)와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해당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또는 선정)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단지별 용도에 따라 상기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상기 축사 단지, 상기 농공단지,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한 주택 단지 등에 인접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의 외곽 지역 도시가스 공급에 따른 사용료 인상 부담을 줄이고, 외곽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아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신규 인구 유입을 유도하며, 저렴한 에너지 공급으로 농업용 난방비의 과도한 지출을 방지하여 농업 경쟁력을 높이고, 생산비 절감에 따른 안정적인 농산물 수급을 제공하며, LPG 배관망 사업과 수소도시 실증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도시개발 계획을 고도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또는 해당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서의 총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상기 주변 단지와의 안정성 등을 근거로 해당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를 추가로 선택(또는 선정)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 및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가 동일한 공공용지에 위치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고 또는, 서로 다른 공공용지에 위치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산출된 제 1 블록 내지 제 100 블록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예상 에너지 소비량 내지 제 100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제 1 규모, 상기 설정된 연료전지 발전소의 제 2 규모, 주변에 위치한 주택 단지,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충전소, 그린생활 시설 단지 등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제 1 공공용지 내지 제 5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제 3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제 4 공공용지를 선택한다(S23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는 공사비(예를 들어 토공, 우수공, 오수공, 상수공, 포장공, 하천공, 저류지공, 조경공, 전기공, 가로등공, 부대공 등 포함), 용역비(예를 들어 항공측량, 드론측량, 토질조사,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기본계획,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실시설계, 조경기본설계, 조경실시설계, 확정측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및 실시설계항목,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사전재해영향성검토(행정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개발사업), 에너지이용계획수립 등을 포함하는 제영향평가 항목, 부대비 등을 포함하는 조성부대비 항목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는 공사비(예를 들어 토공, 우수공, 오수공, 상수공, 포장공, 하천공, 저류지공, 조경공, 전기공, 가로등공, 부대공 등 포함), 용역비(예를 들어 항공측량, 드론측량, 토질조사,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기본계획, 에너지 저장 시설 조성실시설계, 조경기본설계, 조경실시설계, 확정측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및 실시설계항목,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사전재해영향성검토(행정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개발사업), 에너지이용계획수립 등을 포함하는 제영향평가 항목, 부대비 등을 포함하는 조성부대비 항목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제 3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제 1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선택된 제 4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제 1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를 산출한다(S240).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 상기 산출된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의 위치 및 규모, 상기 산출된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 등을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은 토지이용구상, 교통처리구상, 기반시설구상, 가구 및 획지, 건축물 등에 관한 구상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 상기 연료전지 발전소의 위치 및 규모 등을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은 구역계 확정 및 기초조사, 개발계획안 작성, 도시개발구역지정 입안, 군계획위원회 자문 및 주문의견 청취, 구역지정 신청,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구역 지정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 시행을 관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사업비에 따라 단계별로(또는 기간별로) 해당 사업비의 지출을 관리 및/또는 감독한다. 여기서, 상기 사업비는 공사비(예를 들어 토공, 우수공, 오수공, 상수공, 포장공, 하천공, 저류지공, 조경공, 전기공, 가로등공, 부대공 등 포함), 용역비(예를 들어 항공측량, 드론측량, 토질조사, 단지조성기본계획, 지구단위계획, 단지조성기본설계, 단지조성실시설계, 조경기본설계, 조경실시설계, 확정측량 등을 포함하는 기본 및 실시설계항목, 전략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교통영향분석개선대책, 사전재해영향성검토(행정계획), 사전재해영향성검토(개발사업), 에너지이용계획수립 등을 포함하는 제영향평가 항목, 부대비 등을 포함하는 조성부대비 항목 등 포함), 보상비(예를 들어 토지보상비, 건축물 보상비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도시개발 사업 시행에 따른 관리 및/또는 감독 기능 수행 중, 해당 도시개발 사업 시행과 관련해서 일치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알람 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도시개발 사업 시행을 감독하는 관리자(또는 감독자)가 해당 불일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생성된 알람 신호를 표시부(130) 및/또는 음성 출력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제 1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서 토지이용계획도를 설정하고, 사업성분석 기간(예를 들어 공사기간: 인가일~2022년 12월, 사업성분석기간: 2020년 ~ 2022년), 연차별 투자계획(예를 들어 2020년 보상비와 용역비 30,561, 2021년 공사비의 50% 7,006, 2022년 공사비의 50% 7,006, 단위(백만원), 용역비 중 20억원은 에너지 저장 시설과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용역비를 포함하고, 공사비 중 30억원은 에너지 저장 시설과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공사비를 포함), 수입계획(예를 들어 단독주택,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등에 대한 23,122백만원, 18,181백만원 및 12,323백만원 등 총 56,091백만원), 분석 종합(예를 들어 투자비 44,573백만원, 분양수입 56,091백만원, 분양후 개발이익 11,518백만원,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할인율5.5% 적용시 6,899백만원, 편익/비용비율(B/C Ratio) 1.16, 내부수익률(Internal rate of return: IRR) 9.75, 투자비 회수 시점 분양시(3년차)-완공시 등 포함) 등을 포함하는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해당 제 1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한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단지 조성을 위한 도시개발 사업 시행 전반에 걸친 관리 및/또는 감독 기능을 수행한다(S2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의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산출된 블록 단위별 에너지 소비량,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주변 지역과의 안전성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공공용지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용역비 등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하여,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계획지구 외곽지역에 위치한 지역에서도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아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공장 운영비 및 농업용 난방지의 지출을 절감하고, 웰빙과 친환경 트렌드 확보로 주변 지역의 인구 유입을 유도하여 지역 경제 전반의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도시 개발 계획에 따른 계획지구 내에 위치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다른 공공용지를 이용해서 연료전지 발전소를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도시 개발 계획을 확정하여 개발계획 및 실시계획인가에 따른 도시개발 사업을 시행하여, 연료전지를 통한 보조전력 제공에 따라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고, 열 생산을 통한 수익금의 일부를 저장 시설, 배관망, 공공용 전기공급 등에 투자하여 재원 여력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공급받고, 청정한 에너지 공급으로 에너지 복지를 구현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110: 통신부 120: 저장부
130: 표시부 140: 음성 출력부
150: 제어부

Claims (7)

  1.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단지별 용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및 상기 단지별 용도를 근거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고,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주변 단지와의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및 용역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고, 상기 선택된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수치지형도, 환경부의 환경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생태자연도, 산림청의 산림공간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임상도, 전국 시군구의 도시관리 계획도를 관리하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용도지역 지구 현황 정보 및 한국토지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지적도를 근거로 복수의 후보지에 대한 도시 여건을 각각 분석하고, 복수의 후보지별로 도시 여건 분석 결과에 따른 도시개발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지별로 설정된 도시개발 기본 방향 및 도시 여건 분석 결과를 근거로 평가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복수의 후보지별 평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후보지 중에서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지별 용도에 따라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및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한 주택 단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4.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에 포함된 제어부에 의해, 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선정된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를 단지별 용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분류된 복수의 블록 단위별로 예상 에너지 소비량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및 상기 단지별 용도를 근거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주변 단지와의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에 대한 공사비 및 용역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설 사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어느 하나의 공공용지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단지별 용도에 따라 농업용 비닐하우스 단지, 축사 단지, 농공단지 및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 중 외곽 지역에 위치한 주택 단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도록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이 위치할 공공용지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설정된 에너지 저장 시설의 규모 및 상기 단지별 용도를 근거로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산출된 블록 단위별 예상 에너지 소비량, 상기 단지별 용도, 상기 설정된 연료전지 발전소의 규모 및 주변 단지와의 안전성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포함된 복수의 공공용지 중에서 연료전지 발전소가 위치할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를 추가로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다른 하나의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에 대한 공사비 및 용역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발전소 사업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선택된 공공용지에서의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와, 상기 선택된 다른 공공용지에서의 연료전지 발전소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에 대해 기초조사 및 기본구상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너지 저장 시설의 위치 및 규모를 반영하여 상기 최종 도시개발 사업 대상지와 관련한 도시개발사업 추진 절차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방법.
KR1020200089795A 2020-07-20 2020-07-20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795A KR102187365B1 (ko) 2020-07-20 2020-07-20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795A KR102187365B1 (ko) 2020-07-20 2020-07-20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365B1 true KR102187365B1 (ko) 2020-12-07

Family

ID=73791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795A KR102187365B1 (ko) 2020-07-20 2020-07-20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57B1 (ko) 2021-10-13 2023-01-27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 단위 에너지 사용량 추정 시스템
CN116644941A (zh) * 2023-07-18 2023-08-25 北京珞安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物联网的工业能源规划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221A (ko) * 2009-11-17 2011-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20135849A (ko) 2011-06-07 2012-12-17 이성규 집단 한옥(한옥 타운하우스)건축 시 택지 최효율 배치 구조
KR20190022156A (ko) * 2017-08-25 2019-03-06 김경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최적 풍력발전 모델 선정 방법
KR101968166B1 (ko) * 2018-04-10 2019-04-11 문창건 Gis 기반 신재생 에너지 사업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4221A (ko) * 2009-11-17 2011-05-2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웹지리정보시스템을 활용한 부동산 개발사업의 사업대상지 선정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20135849A (ko) 2011-06-07 2012-12-17 이성규 집단 한옥(한옥 타운하우스)건축 시 택지 최효율 배치 구조
KR20190022156A (ko) * 2017-08-25 2019-03-06 김경수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최적 풍력발전 모델 선정 방법
KR101968166B1 (ko) * 2018-04-10 2019-04-11 문창건 Gis 기반 신재생 에너지 사업 컨설팅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환경부, '친환경에너지타운 조성사업공모 계획',2017.01 *
환경부,'친환경에너지타운 업무 매뉴얼',2015.09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3457B1 (ko) 2021-10-13 2023-01-27 한국토지주택공사 도시 단위 에너지 사용량 추정 시스템
CN116644941A (zh) * 2023-07-18 2023-08-25 北京珞安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物联网的工业能源规划系统
CN116644941B (zh) * 2023-07-18 2023-10-24 北京珞安科技有限责任公司 基于物联网的工业能源规划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kraborty et al. Open data for informal settlements: Toward a user׳ s guide for urban managers and planners
Xavier et al. Participatory governance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South African energy sector: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environmental leadership
Corfee-Morlot et al. Cities, climate change and multilevel governance
Riva Sanseverino et al. Smart cities: Case studies
Halil et al. Feasibility study and economic assessment in green building projects
KR20200058064A (ko) 부동산 관련 데이터 정보를 이용한 부동산 물건의 미래 예측 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2187364B1 (ko) 공공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7365B1 (ko) 자급형 그린에너지 타운하우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Bhatt et al. Smart development of Ahmedabad-Gandhinagar twin city metropolitan region, Gujarat, India
Li et al. Construction of Smart City Street Landscape Big Data‐Driven Intelligent System Based on Industry 4.0
Yadav et al. New sustainable ideas for materialistic solutions of smart city in India: A review from allahabad city
Jog et al. Need & gap analysis of converting a city into smart city
KR102559390B1 (ko) 토지의 미래가치의 예측기능이 구비된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US20230316413A1 (en) Determining geocoded region based rating systems for decisioning outputs
Sarkar Eco-Innovations in Designing Ecocity, Ecotown and Aerotropolis
de Amicis et al. I-scope-interoperable smart city services through an open platform for urban ecosystems
Borlase et al. Smart cities
Baskar et al. Quantum Computing Smart City: Fostering Sustainability and Green Infrastructure With Smart City
Biermann et al. Improving the location of low income housing delivery in South African urban areas.
Amoroso et al. Geodesign: applications towards smarter planning and urban design solutions
Vinod Kumar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Smart Global Mega Cities” and Conclusions of Cities Case Studies Tokyo, New York, Mumbai, Hong Kong-Shenzhen, and Kolkata
Elfiky A proposed assessment scheme for smart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Bartoněk et al. Comparison with the Reference Value on the Example of GIS-Based Applications
Nadolu et al. Urban shrinkage in Timisoara, Romania
Basista et al. A land consolidation geoportal as a useful tool in land consolidation projects–A case study of villages in southern Po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