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115B1 -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115B1
KR102187115B1 KR1020200059321A KR20200059321A KR102187115B1 KR 102187115 B1 KR102187115 B1 KR 102187115B1 KR 1020200059321 A KR1020200059321 A KR 1020200059321A KR 20200059321 A KR20200059321 A KR 20200059321A KR 102187115 B1 KR102187115 B1 KR 102187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collecting unit
dischar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네스
Priority to KR1020200059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B04C2009/001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with means for electrostatic separation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를 집진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Electrical precipitator capable of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본 발명은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진적인 도시화와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활동 범위의 팽창에 따른 산업시설과 교통량의 증가로 대기환경 오염도가 심화되었고, 특히, 미세먼지는 거대입자와 달리 코나 목에서 걸러지지 않고 폐 깊숙이 침투하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지하철역, 공장, 백화점 등 각종 산업시설 및 공공시설 등에 공기정화를 위한 집진장치를 설치하는 추세이다.
특히, 지하철역에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분진 또는 미세먼지 등의 먼지가 환기구나 계단을 통하여 유입되거나, 승객의 유동 또는 열차의 이동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그 중, 열차가 운행하는 터널 내에는 열차의 차륜과 선로 사이 마찰과 긁힘으로 인한 마모, 선로 연마작업과 지하구조물 유지 보수작업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먼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먼지는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축적되며 터널 내의 공기질을 지속적으로 악화시킬 것으로 예측되다.
그리고, 위와 같이 터널 내에서 발생하는 먼지는 양방향으로 운행하는 열차의 운행특성으로 인해 짧은 시간간격으로 방향이 계속하여 바뀌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특징이 있다.
종래,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장치는 공기가 단방향, 즉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열차가 운행되는 지하철역의 터널과 같이 공기가 서로 양방향으로 흐르거나 공기의 흐름이 자주 바뀌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집진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공기의 흐름이 양방향으로 발생하는 장소에서 양방향으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를 집진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집진부의 타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전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2방전전극은 각각 바(bar) 또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2방전전극은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제공되는 전극 몸체; 및 상기 전극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2방전전극은 각각 코일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에서 상기 집진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집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집진부는 중공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집진부의 중공은 상기 집진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집진부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에는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유도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방전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마주 보며 이격되는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 1 집진판의 상기 제 2 집진판과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제 1 집진판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 2 집진판의 상기 제 1 집진판과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상기 제 2 집진판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전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집진판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집진판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 2 관통홀 중 대응하는 제 2 관통홀과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상기 집진부 및 상기 방전부가 지지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인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양측에서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방전전극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제1방전전극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집진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집진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집진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보조 집진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집진부 및 보조 집진부의 조합체에 제공되는 방전부의 일 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1 관통홀과 제 2 관통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4에서 +X축 방향은 전기집진장치(100)의 전방을, +Y축 방향은 전기집진장치(100)의 좌측 방향을, +Z축방향은 전기집진장치(100)의 상측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100)는 공기의 흐름(F1, F2)이 양방향으로 발생하는 장소에 설치된다. 이때, 전기집진장치(100)를 중심으로 우측 방향(ex. 도 1에서 -Y축 방향)과 좌측 방향(ex. 도 1에서 +Y축 방향)에서의 공기의 흐름(F1, F2)은 서로 반대이다.
전기집진장치(100)는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F1, F2)에 따라 이동하는 먼지를 양측에서 유입하여 집진할 수 있다.
여기서, 먼지는 입자가 큰 통상적인 먼지 및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를 포함하고, 공기 중에 포함되어 공기의 흐름(F1, F2)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집진장치(100)는 지하철역의 터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널 내부에는 열차(미도시)가 일방향(ex. 도 1에서 볼 때 -X축방향, 또는 전기집진장치(100)의 후방)으로 운행하는 제1선로(11) 및 열차가 타방향(ex. 도 1에서 볼 때 +X축방향, 또는 전기집진장치(100)의 전방)으로 운행하는 제2선로(12)가 설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00)는 제1선로(11)와 제2선로(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널 내부의 공기는 제1선로(11)를 운행하는 열차에 의해 일방향(도 1의 F1 참조)으로 흐르거나, 제2선로(12)를 운행하는 열차에 의해 타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도 1의 F2 참조). 터널 내부의 먼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F1, F2)에 따라 전기집진장치(10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기집진장치(100)는 서로 반대방향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집진 가능하도록 제공됨으로써, 공기의 흐름(F1, F2)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터널 내부에서도 먼지를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00)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전기집진장치(100)는 터널 내부에서 제1선로(11) 및 제2선로(12)의 연장방향으로 분산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기집진장치는 자동차가 운행하는 터널 내부 등 공기의 흐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발생하거나, 자주 바뀌는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는 집진부(110) 및 방전부(130)를 포함한다.
집진부(1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판(板, plate)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평판(平板)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전후 방향(ex. X축 방향)과 상하 방향(ex. Z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좌우 방향(ex. Y축 방향)으로의 두께를 가질 수 다.
또는 집진부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직육면체 형상의 속이 빈 박스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다.
집진부(110)는 스테인레스와 같이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집진부(110)는 공기의 흐름(F1, F2)이 집진부(11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집진부(110)는 도 1과 같이 터널 내부에서 일측면(ex. 우측면)이 제1선로(11)를 향하고, 타측면(ex. 좌측면)이 제2선로(12)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터널 내부에서 일방향으로 흐르는 공기(F1)는 비스듬하거나 수직하게 집진부(110)의 일측면으로 유입되고, 타방향으로 흐르는 공기(F2)는 비스듬하거나 수직하게 집진부(110)의 타측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터널 내부의 먼지는 공기와 함께 집진부(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 유입될 수 있다.
집진부(110)는 후술하는 방전부(130)와 함께 집진부(110)의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킨다. 이때, 집진부(110)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荷電)된 먼지를 집진한다. 이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방전부(130)는 집진부(110)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집진부(110)의 양측에서 집진부(110)로 유입되는 먼지는 방전부(130)와 집진부(110) 사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부(130)는 도 2 내지 도 4과 같이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제1방전전극(131)과 제2방전전극(133)은 배치 위치에서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제1방전전극(131)은 도 2 내지 도 4과 같이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된다. 이때, 제1방전전극(131)은 집진부(110)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방전전극(133)은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된다. 이때, 제2방전전극(133)은 집진부(110)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제1방전전극(131)은 집진부(110)의 일측면으로부터 제1설정간격으로 이격되고, 제2방전전극(133)은 집진부(110)의 타측면으로부터 제2설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설정간격은 집진부(110)의 일측면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코로나 방전에 의해 최대로 하전될 수 있는 집진부(110)의 일측면과 제1방전전극(131) 사이 간격이고, 제2설정간격은 집진부(110)의 타측면으로 이동하는 먼지가 코로나 방전에 의해 최대로 하전될 수 있는 집진부(110)의 타측면과 제2방전전극(133) 사이 간격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설정간격 및 제2설정간격은 수치해석 또는 다수의 실험 등의 방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은 각각 스테인레스와 같이 전기적 전도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전전극(131)은 집진부(11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제2방전전극(133)은 집진부(110)의 타측면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에는 각각 상대적으로 고전압(ex. 10 내지 15킬로볼트)이 인가되고, 집진부(110)는 전기적으로 접지되거나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참고로, 제1방전전극(131), 제2방전전극(133) 및 집진부(110)에 전압을 인가시키거나 접지시키는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제1방전전극(131)과 집진부(110)의 일측면 사이 및 제2방전전극(133)과 집진부(110)의 타측면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방전전극(131)은 집진부(11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 전장(電場)을 형성하고, 제2방전전극(133)은 집진부(110)의 타측면과의 사이에 전장을 형성할 수 있다.
집진부(110)의 일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집진부(110)의 일측면과 제1방전전극(131) 사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고, 그 하전된 먼지는 전기력에 의해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부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부(110)의 타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집진부(110)의 타측면과 제2방전전극(133) 사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고, 그 하전된 먼지는 전기력에 의해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집진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10)는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과 함께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전극기능을 하며, 동시에 하전된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기능을 할 수 있다.
제1방전전극(131)과 제2방전전극(133)은 도 2 내지 도 4과 같이 일 방향(ex. X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제1방전전극과 제2방전전극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wire)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은 각각 집진부(110)의 양측에서 강한 전장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 변형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보다 많은 양이 효과적으로 하전되어 집진부(110)에 집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방전전극(131-1) 및 제2방전전극(미도시)은 각각 도 5와 같이 전극 몸체(131a)와 복수의 돌기(131b)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1방전전극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극 몸체(131a)는 일 방향(ex. 도 5에서 X축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제공된다.
복수의 돌기(131b)는 전극 몸체(131a)의 연장 방향을 따라 전극 몸체(131a)의 외측면에 형성된다.
복수의 돌기(131b)는 도 와 같이 불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으나 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기(131b)는 각각 집진부(도 2의 110 참조)에 대해 나란한 방향(ex. Z축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방전전극(131-1) 및 제2방전전극(미도시)은 각각 복수의 돌기(131b)에 의해 피뢰침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전극 몸체(131a)와 복수의 돌기(131b)는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돌기(131b)는 전극 몸체(131a)와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전극 몸체(131a)에 결합될 수 잇다.
다른 예로, 제1방전전극(131-2) 및 제2방전전극(미도시)은 도 6과 같이 각각 코일 형상을 가진 와이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은 도 3의 제1방전전극의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외에도, 제1방전전극 및 제2방전전극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집진부와의 사이에서 강한 전장을 형성하는, 즉 코로나 방전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은 각각 적어도 하나가 제공될 수 있다. 제1방전전극(131) 및 제2방전전극(133)의 수는 집진부(110)의 크기 또는 코로나 방전 효과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전전극(131)은 도 3과 같이 5개가 제공되어 상하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방전전극(133)은 제1방전전극(131)의 수와 동일하게 제공되어 상하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부(110) 및 방전부(130)는 도 2 내지 도 4과 같이 프레임부(150)에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150)는 설치장소의 지지면(ex. 터널 내부의 바닥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 및 방전부(130)는 프레임부(150)를 매개로 지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150)에는 방전부(130)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압공급수단(미도시), 집진부(110)을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수단(미도시), 전압의 공급 또는 중지를 위한 제어수단(미도시) 등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방전부(130) 및 집진부(110)는 프레임부(150)를 매개로 전압이 인가되거나 접지될 수 있다.
프레임부(150)는 도 2 내지 도 4과 같이 상호 연결된 복수의 프레임부재(151, 15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부재(151, 152) 중 일부 프레임부재(151)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부 프레임부재(152)는 판(板)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bar)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부재(151)는 전후 방향(ex. X축 방향) 또는 상하 방향(ex. Z축 방향) 또는 좌우 방향(ex. 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집진부(110)와 방전부(130)는 복수의 프레임부재(151, 15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와 방전부(130)는 볼트 결합, 용접 결합 등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프레임부(15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부재(151, 152)는 서로 연결되어 도 2와 같이 일부가 개방된 박스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집진부(110)와 방전부(130)는 복수의 프레임부재(151, 152)가 형성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는 복수의 프레임부재(151, 152)가 형성하는 내부 영역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부(110)는 프레임부(15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는 집진된 먼지에 의해 오염된 경우 프레임부(150)에서 분리된 후 신속하게 세척될 수 있어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110)는 세척 후 신속하며 용이하게 프레임부(150)에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집진부(110)의 상측부에는 도 7과 같이 'ㄱ'자 단면 형상을 가지는 안착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집진부의 결합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집진부(110)의 안착부(111) 및 안착부(111)가 안착되는 프레임부재(151a)는 도 2 내지 도 4에서 생략되었다.
안착부(111)는 집진부(110)가 제작될 때 집진부(110)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집진부(1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집진부(110)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안착부(111)는 프레임부(도 2 내지 도 4의 150)의 상부의 중앙를 구성하며 전후 방향(ex.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를 가지는 프레임부재(151a)에 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는 안착부(111)를 통해 프레임부재(151a)에 걸림지지될 수 있다.
안착부(111)와 프레임부재(151a)는 도 7과 같이 볼트부재(153)를 통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볼트부재(153)는 안착부(111)를 관통하여 프레임부재(151a)에 삽입되도록 조임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11)는 프레임부재(151a)에 고정되고, 집진부(110)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때 흔들리는 것이 방지되어 코로나 방전을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볼트부재(153)는 풀림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부(111)는 프레임부재(151)에 대해 고정이 해제되고, 집진부(110)는 프레임부재(151a)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외에도, 집진부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슬라이딩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프레임부에 탈부착될 수 있다.
한편, 집진부가 프레임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100)는 하나의 집진부(110)을 중심으로 양측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양방향으로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F1, F2)으로 인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입되는 먼지를 양측에서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나아가,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먼지를 집진함으로써, 입자가 아주 작은 미세먼지 등도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집진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집진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AA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0에 도시된 와류유도부재는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하지 않았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200)는 집진부(110)와 보조 집진부(120)와 방전부(미도시)와 프레임부(미도시)를 포함하고, 전기집진장치(20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집진부(11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판(板, plate)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하나의 판(板, plat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진부(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에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집진부(11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보조 집진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배치되는 보조 집진부(120)는 일단부가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집진부(110)의 일측면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배치되는 보조 집진부(120)는 일단부가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지지되며, 타단부가 집진부(110)의 타측면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와 같은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또는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집진부(1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와 전기적으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와 같이 접지되거나, 집진부(110)와 같은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와 보조 집진부(120)의 조합체는 먼지를 집진하는 하나의 집진모듈을 구성하고, 집진부(110) 단독으로 구성되는 경우보다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집진장치(200)는 먼지를 집진하는 집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 집진부(12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중공(120a)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집진부(120)는 도 8과 같이 육각기둥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보조 집진부(120)는 일단부가 집진부(110)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개방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로 유입되는 먼지는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에서 맴돌아 상대적으로 긴 시간동안 정체되어 집진부(110) 또는 보조 집진부(120)에 보다 효과적으로 집진될 수 있다.
일례로,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은 도 10과 같이 집진부(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보조 집진부(120-1)의 중공(213a)은 도 11과 같이 집진부(110)에 대해 집진부(110)로 먼지가 유입되는 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1은 도 10의 보조 집진부의 일 변형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경우, 집진부(110)로 이동하는 먼지는 보다 많은 양이 보조 집진부(120-1)의 중공(213a)으로 유입되어 집진부(110) 또는 보조 집진부(120-1)에 집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보조 집진부(120)는 도 8 내지 도10과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일 례로, 복수의 보조 집진부(12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보조 집진부(120)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보조 집진부(120)가 측벽을 공유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허니콤 구조를 형성하며 구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고,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보조 집진부는 도 8과 달리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동일한 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보조 집진부(120)는 집진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집진부(110)에는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관통홀(110h)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0h)은 집진부(110)를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홀(110h)의 일측 개방구는 도 10과 같이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된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에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관통홀(110h)의 타측 개방구는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에 연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10h)은 먼지가 집진부(110)를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집진부(110)의 일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 중 일부는 집진부(110)의 일측에서 하전되지 못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집진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집진부(110)에 관통홀(110h)이 없는 경우, 먼지는 집진부(110)의 일측에서 계속 비산하며 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0h)은 집진부(110)의 일측에서 하전되지 못한 먼지가 공기와 함께 집진부(110)의 타측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집진부(110)의 타측으로 이동한 먼지는 집진부(110)의 타측면과 방전부(미도시) 사이에서 발생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어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집진될 수 있다.
그리고, 집진부(110)의 타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 중 하전되지 못한 먼지 역시 같은 메커니즘으로 집진부(11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집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부(110)은 먼지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110h)이 형성됨으로써, 집진부(110)로 유입되는 먼지를 집진부(110)의 양측에서 효과적으로 집진할 수 있다.
관통홀(110h)은 도 10과 같이 집진부(110)로 먼지가 유입되는 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 중 하전되지 못한 먼지가 보다 많이 관통홀(110h)을 통과하여 그 반대측면에서 집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관통홀은 도 10과 달리 판 형태로 제공되는 집진부(110)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관통홀(110h)은 도 8 내지 도 10과 같이 집진부(110)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통홀(110h)은 집진부(110)의 상하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10h)의 수는 집진부(110)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관통홀(110h)에는 도 10과 같이 와류를 유도할 수 있는 와류유도부재(118)가 형성될 수 있다. 와류유도부재(118)는 관통홀(110h)을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와류를 유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집진부(110)의 일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는 공기와 함께 관통홀(110h)을 통과하여 집진부(110)의 타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관통홀(110h)을 통과하는 공기는 와류유도부재(118)와 충돌하며 집진부(110)의 타측에서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공기와 함께 관통홀(110h)을 통과한 먼지는 와류에 의해 집진부(110)의 타측, 즉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인접한 영역에 정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류에 의해 정체된 먼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어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효과적으로 집진될 수 있다.
집진부(110)의 타측면으로 유입되는 먼지 역시 같은 메커니즘으로 와류에 의해 정체되어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집진될 수 있다.
예컨대, 와류유도부재(118)는 도 10과 같이 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와류유도부재(118)는 일단부가 관통홀(110h)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관통홀(110h)의 중앙을 향해 연장될 수 이다.
이외에도, 와류유도부재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와류를 생성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와류유도부재(118)는 도 10과 같이 하나의 관통홀(110h)에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와류유도부재(118)는 관통홀(110h)의 둘레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0h)에 형성된 와류유도부재(118)와 같은 와류유도부재는 도 10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중공부(120a)를 형성하는 보조 집진부(120)의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공부(120a)로 유입되는 공기에 와류가 발생하여 장시간 중공부(120a)에 머물며 효과적으로 집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집진부에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고 보조 집진부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집진부에 보조 집진부가 형성되지 않고 관통홀만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집진부(110)와 보조 집진부(120)의 조합체에 도 12와 같은 방전부(130')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12는 도 10의 집진부 및 보조 집진부의 조합체에 제공되는 방전부의 일 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방전부(130')는 제1방전전극(131-3) 및 제2방전전극(133-3)을 포함하고, 집진부(110)와 보조 집진부(120)의 조합체를 중심으로 양측에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방전전극(131-3) 및 제2방전전극(133-3)은 각각 집진부(110)의 측면과의 간격과 보조 집진부(120)의 돌출 방향의 끝단과의 간격이 같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방전전극(131-3) 및 제2방전전극(133-3)의 일부는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집진부(110)의 측면에 대해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일부는 보조 집진부(120)의 돌출 방향의 끝단과 이격되어 집진부(110)의 측면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방전전극(131-3) 및 제2방전전극(133-3)는 각각 집진부(110)의 일측면 및 집진부(110)의 타측면을 마주보는 일부 영역이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에 삽입되도록 절곡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집진부(110)의 일측면과 제1방전전극(131-3) 중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에 삽입된 영역 사이 간격(D1) 및 보조 집진부(120)의 돌출 방향의 끝단과 제1방전전극(131-3)의 대향(對向) 영역 사이 간격(D2)은 제1설정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즉, D1=D2=제1설정간격).
그리고, 집진부(110)의 타측면과 제2방전전극(133-3) 중 보조 집진부(120)의 중공(120a)에 삽입된 영역 사이 간격(D3) 및 보조 집진부(120)의 돌출 방향의 끝단과 제2방전전극(133-3)의 대향 영역 사이 간격(D4)은 제2설정간격을 형성할 수 있다(즉, D3=D4=제2설정간격).
이 경우, 제1방전전극(131-3) 및 제2방전전극(133-3)은 각각 집진부(110) 및 보조 집진부(120)의 조합체에 대해 일정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집진부(110) 및 보조 집진부(120)의 조합체의 전체 면적에 걸쳐 일정한 집진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방전전극 및 제2방전전극은 도 12와 달리 절곡 없이 판 형태로 제공되는 집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예에서 도 12에 도시된 형태의 방전전극(131-3, 133-3)이 사용되고 있으나 도 4, 도 5 및 6에 도시된 형태의 방전전극(131, 131-1, 131-2)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300)는 집진부(110')와 방전부(130)와 프레임부(150)를 포함하고, 전기집진장치(30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집진부(110')는 상호 마주보며 이격되는 한 쌍의 제 1 집진판(111)과 제 2 집진판(113)을 포함한다. 제 1 집진판(111)과 제 2 집진판(113)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전부(130)는 제 1 방전전극(131)과 제 2 방전전극(133)을 포함한다.
제 1 방전전극(131)은 제 1 집진판(111)의 제 2 집진판(113)과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방전전극(131)은 제 1 집진판(111)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 1 방전전극(131)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방전전극(133)은 제 2 집진판(113)의 제 1 집진판(111)과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2 방전전극(133)은 제 2 집진판(113)에 대해 나란하게 연장된다. 제 2 방전전극(133)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집진부(110’) 및 방전부(130)에 의해 집진부(110’)를 중심으로 집진부(110’)의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즉, 제 1 집진판(111)과 제 1 방전전극(131) 사이와 제 2 집진판(113)과 제 2 방전전극(133)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여 제 1 집진판(111)과 제 2 집진판(113)에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제 1 집진판(111)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111h)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집진판(113)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2 관통홀(113h)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집진판(111)으로 유입된 먼지는 제 1 집진판(111)과 제 1 방전전극(131) 사이에서 하전되어 대부분 제 1 집진판(111)에 부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집진판(111)과 제 1 방전전극(131) 사이에서 하전된 먼지 중 일부는 제 1 관통홀(111h)을 통과하여 제 1 집진판(111)과 제 2 집진판(113) 사이 공간에 갇혀 제 1 집진판(111) 또는 제 2 집진판(113)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집진판(111)으로 유입되었으나 제 1 집진판(111)과 제 1 방전전극(131) 사이에서 하전되지 못한 먼지는 공기와 함께 제 1 관통홀(111h)과 제 2 관통홀(113h)을 통과하여 제 2 집진판(113)과 제 2 방전전극(133) 사이에서 하전되어 제 2 집진판(113)에 부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 2 집진판(113)으로 유입된 먼지는 제 2 집진판(113)과 제 2 방전전극(133) 사이에서 하전되어 대부분 제 2 집진판(113)에 집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집진판(113)과 제 2 방전전극(133) 사이에서 하전된 먼지 중 일부는 제 2 관통홀(113h)을 통과하여 제 2 집진판(113)과 제 1 집진판(111) 사이 공간에 갇혀 제 2 집진판(113) 또는 제 1 집진판(111)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집진판(113)으로 유입되었으나 제 2 집진판(113)과 제 2 방전전극(133) 사이에서 하전되지 못한 먼지는 공기와 함께 제 2 관통홀(113h)과 제 1 관통홀(111h)을 통과하여 제 1 집진판(111)과 제 1 방전전극(131) 사이에서 하전되어 제 1 집진판(111)에 부착되어 집진될 수 있다.
제 1 관통홀(111h)과 제 2 관통홀(113h)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대응하는 제 1 관통홀(111h)과 제 2 관통홀(113h)은 도 14와 같이 정렬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대응하는 제 1 관통홀(111h)과 제 2 관통홀(113h)은 도 15와 같이 연결관(117)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집진판(111)으로 유입된 먼지 또는 제 2 집진판(113)으로 유입된 먼지는 연결관(117)을 통해 반대쪽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 1 관통홀과 제 2 관통홀을 연결하는 연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전기집진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BB선을 화살표방향으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400)는 집진부(110)와, 방전부(130")와, 프레임부(미도시)와, 지지부(170)를 포함하고, 전기집진장치(40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유입되는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집진부(110)는 판(板, plate)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집진부(110)는 하나의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집진부(110)에는 집진부(110)를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하는 관통홀(11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110h)은 먼지가 집진부(110)을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110h)은 복수로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홀(110h)은 집진부(110)의 상하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방전부(130")는 집진부(110)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방전부(130")는 방전전극(13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전전극(135)은 집진부(11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방전전극(135)은 바(bar) 또는 와이어(wir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135)은 관통홀(110h)에 배치된다. 이 경우, 방전전극(135)은 그 외측면이 관통홀(110h)의 내측면에 대해 이격되도록 관통홀(110h)의 중심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방전전극(135)은 집진부(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홀(110h)에 배치된 방전전극(135)은 일단부가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대해 돌출되고, 타단부가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대해 돌출될 수 있다.
방전전극(135)은 스테인레스와 같이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전전극(135)은 일단부가 집진부(110)의 일측면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고, 타단부가 집진부(110)의 타측면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은 양측에서 하전된 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나아가 방전전극(135)과 관통홀(110h)의 내측면 사이에서도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어, 관통홀(110h)을 통과하는 먼지가 하전될 수 있다. 이 경우, 집진부(110)이 집진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방전전극(135)은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방전전극(135)의 수는 관통홀(110h)의 수에 대응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방전전극(135)은 집진부(110)에 대해 상하 방향(ex. Z축 방향) 또는 전후 방향(ex. X축 방향)으로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방전전극(135)은 지지부(170)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한 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한 지지부(170)는 집진부(110)의 일측면에 대해 돌출된 모든 방전전극(135)의 일단부를 지지하여 상호 연결시킨다. 그리고 나머지 한 지지부(170)는 집진부(110)의 타측면에 대해 돌출된 모든 방전전극(135)의 타단부를 지지하여 상호 연결시킬 수 있다.
지지부(170)는 집진부(110)의 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집진부(110)에 대해 돌출된 복수의 방전전극(135)의 각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프레임부(미도시)에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방전전극(135)은 지지부(170)를 매개로 프레임부에 지지되며, 관통홀(110h)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부(170)는 프레임부를 통해 전압공급수단(미도시)과 연결되고, 복수의 방전전극(135)에는 지지부(170)를 매개로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지지부(170)는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격자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방전부(130")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집진부(1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전기집진장치
110 : 집진부
110h : 관통홀
111 : 제 1 집진판
111h : 제 1 관통홀
113 : 제 2 집진판
113h : 제 2 관통홀
120 : 보조 집진부
120a : 중공
130 : 방전부
131 : 제1방전전극
133 : 제2방전전극
135 : 방전전극
150 : 프레임부
170: 지지부

Claims (16)

  1. 집진부;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방전부; 및
    상기 집진부의 일측면 및 타측면 각각에서 상기 집진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보조 집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를 집진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집진부는 중공을 가지는 기둥 형태로 제공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집진부의 중공은 상기 집진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의 일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집진부의 타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2방전전극은 각각 바(bar) 또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는,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2방전전극은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제공되는 전극 몸체; 및
    상기 전극 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상기 전극 몸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2방전전극은 각각 코일 형상을 가지는 와이어 형태로 제공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8. 삭제
  9. 삭제
  10.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집진부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는 와류를 유도하는 와류유도부재가 형성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11.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집진부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집진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홀에 배치되고,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돌출되는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12.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를 중심으로 양측에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도록 형성되는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집진부는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를 집진하고,
    상기 집진부는,
    마주 보며 이격되는 제 1 집진판과 제 2 집진판을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제 1 집진판의 상기 제 2 집진판과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방전전극; 및
    상기 제 2 집진판의 상기 제 1 집진판과 마주보는 측면의 반대 측면에 대해 이격되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방전전극을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진판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집진판에는 먼지가 통과하는 복수의 제 2 관통홀이 형성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은 각각 상기 복수의 제 2 관통홀 중 대응하는 제 2 관통홀과 연결관으로 상호 연결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15. 제1항 내지 제7항,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 및 상기 방전부가 지지되는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KR1020200059321A 2020-05-18 2020-05-18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KR102187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21A KR102187115B1 (ko) 2020-05-18 2020-05-18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321A KR102187115B1 (ko) 2020-05-18 2020-05-18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115B1 true KR102187115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321A KR102187115B1 (ko) 2020-05-18 2020-05-18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1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19Y1 (ko) * 2002-02-06 2002-05-17 주식회사 옥시큐어 공기정화기의 방전판구조
KR20080023802A (ko) * 2006-09-12 2008-03-17 정동협 전기집진기용 방전판
JP2019122909A (ja) * 2018-01-15 2019-07-2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819Y1 (ko) * 2002-02-06 2002-05-17 주식회사 옥시큐어 공기정화기의 방전판구조
KR20080023802A (ko) * 2006-09-12 2008-03-17 정동협 전기집진기용 방전판
JP2019122909A (ja) * 2018-01-15 2019-07-25 三菱日立パワーシステムズ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403B1 (ko)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미세먼지 제거시스템
US5601791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ollection of multiple pollutants
CN101124046B (zh) 填充床洗涤器的刚性电极离子化
CN103384566A (zh) 用于静电除尘器的高电压部件附近的结构的电气屏蔽装置
US6632267B1 (en) Method and device for separating materials in the form of particles and/or drops from a gas flow
US4521229A (en) Tubular discharge electrode for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187115B1 (ko) 양방향 집진이 가능한 전기집진장치
KR102284828B1 (ko) 집진장치
CN101374605A (zh) 用于空气净化,特别是用在通风及空调设施的装置
KR102292732B1 (ko) Hvac 연계형 집진장치
CN208198419U (zh) 一种轨道车辆用防尘防水进风格栅
KR20100066889A (ko) 지하철 역 터널에 설치되는 자기성 분진 수거 장치
KR102284836B1 (ko) 집진장치
KR102000020B1 (ko) 비산먼지 집진장치
US2658582A (en) Liquid washed electrical precipitator
US4332597A (en) Plate electrode arrangement for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405895B1 (ko) 미세먼지 제거기능 향상을 위한 복합대전부를 갖는 전기집진장치
KR102311176B1 (ko) 핀형 방전판을 갖는 양방향전기집진모듈
US3553939A (en) Electro static precipitator having means to support the collecting electrodes
JP3313653B2 (ja) 静電集塵機
RU2243822C1 (ru) Электрофильтр
US4640695A (en) Segmented electrode collecting panel assembly
KR101725241B1 (ko) 전기하전을 통한 미세 부유물의 메쉬 필터 흡착현상 저감기능과 미세 부유물 흡입 최소화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공기흡입장치 및 차량용 공기흡입구조
KR102460583B1 (ko) 난류 유동을 이용한 미세입자 응집장치
KR102259575B1 (ko) 도시철도 본선환기구 노출형 양방향 집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