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060B1 - 신발 살균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신발 살균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060B1
KR102187060B1 KR1020200001033A KR20200001033A KR102187060B1 KR 102187060 B1 KR102187060 B1 KR 102187060B1 KR 1020200001033 A KR1020200001033 A KR 1020200001033A KR 20200001033 A KR20200001033 A KR 20200001033A KR 102187060 B1 KR102187060 B1 KR 10218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temperature
humidity
air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해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름뱅이
Priority to KR1020200001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A47L23/205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with he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며,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시켜 신발의 내외부를 동시에 살균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순환 후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성 및 살균 건조효율을 향상시킨 신발 살균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발 살균건조 장치{DEVICE FOR STERILIZING AND DRYING SHOES}
본 발명은 신발 살균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계절 또는 날씨와 신발 내외부의 온습도에 따라 건조 및 살균 시간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살균건조하고자 하는 신발이 안착되는 공간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동시에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일 신는 신발은 장시간 사용으로 인해 내부에 땀이 차게 되어 신발 내부에 각종 세균이 번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악취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위생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한다.
우천시에는 신발이 빗물에 젖게 되어 그 상태로 계속 사용하게 되면 신발 내부에 습기와 세균 등의 발생으로 인해 악취나 발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신발 내부의 습기와 세균을 없애기 위해서는 세탁 또는 자연 건조를 이용하는데, 세탁 또는 자연 건조를 하는 작업은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매일 청결한 신발을 신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의 살균 및 건조를 위한 오존, 자외선 및 열풍을 이용한 제품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들의 대부분이 별도의 신발을 수납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거나 열풍으로 인해 실내 전체에 신발의 악취가 번지게 되어 실내에서 사용이 어렵거나, 오존 등의 그 자체의 비릿한 악취로 인해 실내 사용이 어려웠다.
또한, 자외선이 신발 내부의 발가락이 닿는 가장 깊숙한 곳까지 직접 닿지 않거나 자외선이 국부적으로만 조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종래의 제품들은 휴대가 불가능할 정도로 크기가 크거나 가구 등으로 사용되는 수납장 수준이었다.
일예로,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0994864호 "신발소독기"에서는 내부에 신발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상부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덮개로 구성된 함체와, 덮개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UV램프와 송풍기가 장착되고, 신발의 내부에 삽입되는 연장관이 형성된 삽입수단과, 받침대의 상면에 형성되며 신발의 앞부분에 밀착되는 앞단턱과, 신발의 뒷부분에 밀착되는 뒷단턱으로 구성되는 신발고정수단과, 덮개의 내측 전방에 설치되어 신발의 앞부분을 세척하는 브러쉬장치와, UV램프와 송풍기 및 브러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신발소독기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신발소독기는 계절 또는 날씨와 신발 내외부의 습도에 따라 건조시간 및 살균시간을 변경해야되나, 일괄적인 살균시간과 건조 온도를 가지고 살균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신발을 효율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제10-1260063호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에서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신발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본체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구성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 내에 신발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전원을 공급하면 신발 내부로 온풍을 공급하여 신발을 건조시키게 구성되는 신발건조수단을 포함한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를 제안하였다.
그러나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는 뚜껑의 바닥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신발건조수단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독립적으로는 사용이 불가한 구조일 뿐만 아니라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공이 항상 개방되어 있는 관계로 외부가 습한 환경인 경우에는 외부의 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건조 효율에 떨어지는 한계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94864호(2010.11.10.등록) 한국등록특허 제10-1260063호(2013.04.22.등록)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며,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시켜 신발의 내외부를 동시에 살균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순환 후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성 및 살균 건조효율을 향상시킨 신발 살균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며,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시켜 신발의 내외부를 동시에 살균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순환 후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성 및 살균 건조효율을 향상시킨 신발 살균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와, 날개차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압송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내부에 열을 낮추기 위한 방열판과, 살균을 위한 자외선를 조사하는 제1자외선 램프,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습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팬의 날개차 회전에 의해 외부로 송풍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의 인서트모듈; 상기 인서트모듈이 안착되는 모듈안착홈과, 신발이 수용되는 신발안착홈이 형성되고, 공기 순환을 위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이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팬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2온습도센서가 구비되는 상부커버; 상기 인서트모듈의 제1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팬과, 상기 히터와 상기 제1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키되, 상기 인서트모듈의 제1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경우 상기 히터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상부커버의 제2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공기유입 밸브의 개폐 및 상기 공기배출팬을 동작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인서트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인서트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모듈을 상기 모듈안착홈에 탈거된 상태에서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릴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모듈의 하부 플레이트의 바닥면과, 상기 모듈안착홈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 인력이 작용하는 각각 영구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를 힌지 회동시켜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스테핑 모터; 상기 신발안착홈 내에 신발이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신발감지센서; 및 상기 스테핑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가 개폐시키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신발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신발안착홈 내에 신발이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의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메인전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발안착홈의 둘레면에는 사용자가 신발이 안착되는 공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등과, 살균을 위한 자외선를 조사하는 제2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자외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제2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제2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신발안착홈의 안착된 신발을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신발안착홈에 안착된 신발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양단부를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로프 송급롤러 및 상기 송급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신발 상하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시켜 신발의 내외부를 동시에 살균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순환 후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릴 케이블이 구비됨에 따라 인서트모듈만을 탈거하여 연장 가능한 구조를 가지므로 신발의 종류, 신발의 사이즈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종류의 신발을 살균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인서트모듈에 제1온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상부커버의 내측에 제2온습도센서 구비됨에 따라 제1온습도센서에서 신발 내측의 온습도 상태에 맞춰 인서트모듈을 가동시키고, 신발이 안착된 내부 공간의 온습도 상태에 맞춰 공기 유입밸브를 개방하고 공기배출팬을 가동시켜 보다 효율적으로 신발을 살균 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신발 상하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신발의 살균건조 종료 이후에 상부커버를 개방하는 동시에 살균건조가 종료된 신발을 상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인서트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인서트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 작동시에 공기 순환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B-B'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장치의 내구조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신발 상하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좌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인서트모듈의 단면을 도시한 인서트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A-A'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 작동시에 공기 순환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8은 도 1의 B-B'단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 건조장치의 내구조를 도시한 내부구조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살균건조 장치의 신발 상하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9를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가 가능하며,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을 밀폐시켜 신발의 내외부를 동시에 살균 및 건조 처리할 수 있는 동시에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으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순환 후 신발이 안착되는 내부공간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휴대성 및 살균 건조효율을 향상시킨 신발 살균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의 인서트모듈(100)과, 상기 인서트모듈(100)과 신발(10)이 수용되는 홈이 각각 형성되며 공기 순환을 위한 공기유입공(200c)과 공기배출공(200b)이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설치되는 하부프레임(200)과,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300)와, 상기 인서트모듈(100)에 구비되는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살균 건조를 위한 기기를 동작시키되,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경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되는 히터(13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부(400)와, 상기 상부커버(300)에 구비되는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공기 유입 및 배출을 위한 기기를 동작시키는 제2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모듈(100)은 신발을 살균 건조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110)와, 날개차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압송하는 팬(120)과, 상기 팬(120)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30)와, 내부에 열을 낮추기 위한 방열판(140)과, 살균을 위한 자외선를 조사하는 제1자와선 램프(150),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습도센서(160)가 내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히터(130)는 온도가 적정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체적으로 전류의 양을 줄여 적정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PTC 히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모듈안착홈(200a)에 안착된 상기 인서트모듈(100)을 탈거하여 신발의 내부로 인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동작시에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130)의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며, 통상적으로 신발은 60℃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될 우려가 있으므로 기설정된 온도는 60℃ 미만의 온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인서트모듈(100)은 상기 히터(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팬(120)의 날개차 회전에 의해 외부로 송풍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모듈(100)이 안착되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모듈안착홈(200a)으로부터 상기 인서트모듈(100)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인서트모듈(100)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내부에 안착되는 신발을 살균 건조하기 전 상기 인서트모듈(100)을 탈거한 후, 신발(10)의 내부로 인입시킨 다음 상기 팬(120), 상기 히터(130), 상기 방열판(140), 제1자와선 램프(150), 제1온습도센서(160)가 동작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200)에는 상기 인서트모듈(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0)와, 상기 배터리(230) 및 상기 인서트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모듈(100)이 안착되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모듈안착홈(200a)에서 탈거된 상태에서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릴 케이블(240)이 구비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인서트모듈(100)을 상기 모듈안착홈(200a)에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하부 플레이트(110)의 바닥면과 상기 모듈안착홈(200a)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 인력이 작용하는 영구자석(미도시)이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프레임(200)은 살균 건조하기 위한 상기 인서트모듈(100)과, 살균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10)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함체로서, 상부는 개방되며 살균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이 수용되는 신발안착홈(200b)과, 상기 인서트모듈(100)이 안착되는 모듈안착홈(200a)이 형성된다.
상기 신발안착홈(200b)은 한 켤레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신발안착홈(200b)에 수용된 한 켤레의 신발을 각각 살균 건조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안착홈(200a) 또한 한 쌍으로 형성되며 마찬가지로 상기 인서트모듈(100)도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신발안착홈(200b)이 형성된 영역의 둘레면에는 사용자가 신발(10)이 안착되는 공간임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미도시)과,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자외선 램프(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조명등(미도시)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점등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에는 공기 순환을 위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200c)과,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공(200b)이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기유입공(200c)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 밸브(210)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200b)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팬(220)이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상부커버(300)에 의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프레임의 신발안착홈(200b)에 수용된 신발(10)의 살균 건조하는 과정 중에 습해진 내부 공기를 외부로 순환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외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를 용이하게 들고 다닐 수 있도록 손잡이(2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300)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단 일측에 경첩을 매개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2온습도센서(310)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는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와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는면에서 기능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나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는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동작시키는 것이라는 점에서 신발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구성이며,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가 상기 상부커버(300)에 의해 폐쇄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00)에는 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축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300)의 힌지 회동을 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테핑 모터(320)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신발안착홈(200b) 내에 신발의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신발감지센서(33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에는 상기 스테핑 모터(32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300)가 개폐시키되,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300)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신발감지센서(33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신발안착홈(200b) 내에 신발이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제어부(400) 및 상기 제2제어부(500)의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메인전원(2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메인전원(260)은 상기 신발감지센서(330)로부터 상기 신발안착홈(200b) 내에 신발(10)이 존재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300)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시킨 상태에서만 온(ON) 상태가 되어 상기 제1제어부(400)와 상기 제2제어부(500)의 제어 동작이 가능케하는 것이다.
상기 스테핑 모터는 스텝(step) 상태의 펄스(pulse)에 순서를 부여함으로써 주어진 펄스 수에 비례한 각도 만큼 회전시키도록 구성하여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개 폐쇄된 상태에서 동작시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가 개방되는 위치로 상기 상부커버(300)를 회동시키고,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동작시 상기 상부커버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위치로 회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00)의 외측에는 상기 스테핑 모터(320)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상부커버(300)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스테핑 모터(320) 동작시키는 개폐버튼(3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버튼(350)은 사용자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가 상기 상부커버(300)에 의해 개방되었는지 폐쇄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LED가 설치되어 개방시에 초록색 폐쇄시에 빨간색 등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가 상기 상부커버에 의해 개방되었는지 폐쇄되었는지를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개방과 폐쇄를 알리는 알림이 송출되도록 스피커(미도시)가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커버(300)에는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유입구(300a)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를 각 구성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구비되며, 상기 상부커버(300)에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는 배터리 잔량표시용 LED조명(340)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LED조명이 5개 구비한다면, 배터리의 잔량이 80% 이상 ~ 100%인 경우 5개 배터리 잔량표시용 LED조명(340)이 모두 켜진 상태, 배터리의 잔량이 60% 이상 ~ 80% 미만인 경우 4개의 배터리 잔량표시용 LED조명(340)만이 켜진 상태, 배터리의 잔량의 40% 이상 ~ 60& 미만인 경우 3개의 배터리 잔량 표시용 LED조명만이 켜진 상태, 배터리의 잔량이 20% 이상 40% 미만인 경우 2개의 배터리 잔량 표시용 LED조명만이 켜진 상태, 배터리의 잔량이 20% 미만인 경우 1개의 배터리 잔량 표시용 LED조명만이 켜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배터리의 잔량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230)의 경우 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되며, 필요시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전달받아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외측에는 전기단자(27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제어부(400)는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 및 습도값을 기준으로 상기 팬(120)과 상기 히터(130)와 상기 제1자와선 램프(150)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팬(120)과, 상기 히터(130)와 상기 제1자와선 램프(150)를 동작시키며, 동작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경우에는 상기 히터(130)의 가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1제어부(400)에서는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55% 미만인 경우,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팬(120)과, 히터(130)와, 제1자와선 램프(150)를 0~15분 사이에 15분동안 동작시킨다.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55% 이상 70% 미만인 경우,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팬(120)과, 히터(130)를 0~30분 사이 30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제1자와선 램프(150)를 15~30분 사이 15분동안 동작시킨다.
상기 제1제어부(400)에서는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70% 이상 85% 미만인 경우,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팬(120)과, 히터(130)를 0~60분 사이 60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제1자와선 램프(150)를 45~60분 사이 15분동안 동작시킨다.
상기 제1제어부(400)에서는 상기 제1온습도센서(16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80% 이상인 경우,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팬(120)과, 히터(130)를 0~120분 사이 120분동안 동작시키고, 상기 인서트모듈(100)의 제1자와선 램프(150)를 105~120분 사이 15분동안 동작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500)는 상기 상부커버(300)의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공기유입 밸브(210)의 개폐와 상기 공기배출팬(220) 및 제2자외선 램프(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55%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자외선 램프(미도시)를 0~15분 사이 15분간 동작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55% 이상 70%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자외선 램프(미도시)를 15~30분 사이 15분간 동작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70% 이상 85% 미만인 경우, 상기 제2자외선 램프(미도시)를 45~60분 사이 15분간 동작시킨다.
상기 제2제어부(500)에서는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가 85% 이상인 경우, 상기 제2자외선 램프(미도시)를 105~120분 사이 15분간 동작시킨다.
한편 상기 제2제어부(500)에서는 상기 공기유입 밸브(210)를 0~5분 사이 5분간 개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팬(220)은 0~5분 사이 5분간 동작시킨 이후,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이 기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높은 습도값일 경우에는 계속해서 상기 공기유입 밸브(210)를 개방시키는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팬(220)을 동작시키고, 반대로 상기 제2온습도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이 기설정된 기준습도보다 낮은 습도값일 경우 상기 공기유입 밸브(210)를 폐쇄시키는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팬(220)의 동작을 중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제어부(400) 및 상기 제2제어부(500)의 제어동작은 상기 신발감지센서(330)로부터 신발안착홈(200b)에 신발이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달받는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300)가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전술된 동작방식과 같이 통상적으로 AUTO MODE로 신발을 살균 건조할 수 있으며, 하부프레임(200)의 신발안착홈(200b)에 신발(10)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신호를 전달받는 경우에는 POWER ON SUSPEND MODE로 전력 사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상기 하부프레임(200)의 신발안착홈(200b)에 수용되는 신발(10)에 대해 살균 건조가 완료된 이후, 상기 상부커버(300)의 개방과 동시에 상기 신발안착홈(200b)에 안착된 신발(10)을 상방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신발 상하이송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신발 상하이송수단(600)은 상기 신발안착홈(200b)에 안착된 신발(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송판(610)과, 상기 이송판(610)을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로프(620)와, 상기 로프(620)의 양단부를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로프 송급롤러(630) 및 상기 로프 송급롤러(63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6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구동모터(640)의 정방향 동작에 의해 로프 송급롤러(630)가 로프를 권취함으로써 상기 이송판(610)이 상부로 이동되며, 상기 이송판(610)이 상부로 이송된 상태에서 다시 하부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모터(640) 역방향 동작에 의해 로프 송급롤러(630)가 로프(620)를 권출함으로써 상기 이송판(610)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제1제어부(400) 및 제2제어부(500)에 각각 컨트롤칩을 마련하고, 이 컨트롤칩과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하거나 리모트컨트롤을 통한 제어 또한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에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상부커버의 개폐버튼을 가압하여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개방시킴에 따라 실내등이 켜지면서 신발이 안착되는 영역(신발 안착홈)을 인식할 수 있으며, 살균 건조하고자 하는 신발을 하부프레임의 신발안착홈에 안착시킨 후, 모듈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인서트모듈을 탈거하여 신발의 내측으로 인입하고 상부커버의 개폐버튼을 다시 한번 가압하여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폐쇄시킨다.
이때, 하부프레임의 상부가 폐쇄됨에 따라 실내등의 꺼지게 되며, 신발안착홈에 신발이 안착됨과 동시에 하부프레임의 상부가 상부커버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메인전원이 가동된다.
메인전원이 가동됨에 따라 제1제어부에서는 제1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팬, 히터, 제1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킨며, 제2제어부에서는 제2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공기유입 밸브를 개폐 동작 및 공기배출팬 및 제2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킨다.
한편, 제1제어부에서는 제1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값이 기설정된 기준온도값(60℃ 미만) 보다 높은 온도일 경우에는 히터의 가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의 동작이 모두 종료되면 신발의 살균건조가 모두 완료된 것이며, 신발의 살균건조가 완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살균 건조 완료 알림음을 송출하거나 상부커버 상에 디스플레이를 마련 살균 건조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문구가 나타나도록 할 수도 있다.
신발의 살균건조가 완료된 이후, 사용자가 신발을 꺼내기 위해 개폐버튼을 가압하여 하부프레임의 상부를 개방시키면 신발 상하이송수단의 동작에 의해 안착되어 있던 신발을 상부로 이송시켜줌으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신발을 빼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 살균건조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인서트모듈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 신발 100: 인서트모듈
110: 하부 플레이트 120: 팬
130: 히터 140: 방열판
150: 제1자외선 램프 160: 제1온습도센서
200: 하부프레임 200a: 모듈안착홈
200b: 신발안착홈 200c: 공기유입공
200d: 공기배출공 210: 공기유입 밸브
220: 공개배출팬 230: 배터리
240: 릴 케이블 250: 손잡이
260: 메인전원 270: 전기단자
300: 상부커버 300a: 공기유입구
310: 제2온습도센서 320: 스테핑 모터
330: 신발감지센서 340: 배터리 잔량표시용 LED조명
350: 개폐버튼 400: 제1제어부
500: 제2제어부 600: 신발 상하이송수단
610: 이송판 620: 로프
630: 로프 송급롤러 640: 구동모터

Claims (7)

  1. 원판 형상의 하부 플레이트와, 날개차의 회전을 통해 공기를 압송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압송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와, 내부의 열을 낮추기 위한 방열판과, 살균을 위한 자외선를 조사하는 제1자외선 램프,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하는 제1온습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상기 팬의 날개차 회전에 의해 외부로 송풍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반구 형상의 인서트모듈;
    상기 인서트모듈이 안착되는 모듈안착홈과, 신발이 수용되는 신발안착홈이 형성되고, 공기 순환을 위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공과,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배출공이 상호 대향하는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입공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경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공기유입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배출공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팬이 설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그 내부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제2온습도센서가 구비되는 상부커버;
    상기 인서트모듈의 제1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팬과, 상기 히터와 상기 제1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키되, 상기 인서트모듈의 제1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온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온도보다 높은 온도일 경우 상기 히터 가동을 정지시키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상부커버의 제2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공기유입 밸브의 개폐 및 상기 공기배출팬을 동작시키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인서트모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인서트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인서트모듈을 상기 모듈안착홈에 탈거된 상태에서도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릴 케이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모듈의 하부 플레이트의 바닥면과, 상기 모듈안착홈에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져 인력이 작용하는 영구자석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를 힌지 회동시켜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스테핑 모터;
    상기 신발안착홈 내에 신발이 존재여부를 감지하는 신발감지센서; 및
    상기 스테핑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가 개폐시키되, 상기 하부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상기 상부커버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신발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신발안착홈 내에 신발이 존재한다는 신호를 전달받은 경우에만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제2제어부의 동작이 가능함을 표시하는 메인전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안착홈의 둘레면에는 사용자가 신발이 안착되는 공간임을 인식할 수 있도록 조명등과, 살균을 위한 자외선를 조사하는 제2자외선 램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제2자외선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기 상부커버의 제2온습도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습도값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습도별 작동시간에 맞춰 상기 제2자외선 램프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신발안착홈의 안착된 신발을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신발안착홈에 안착된 신발의 하부에 배치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을 하부를 가로질러 배치되는 로프와, 상기 로프의 양단부를 감거나 풀어주기 위한 로프 송급롤러 및 상기 송급롤러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신발 상하이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살균건조 장치.
KR1020200001033A 2020-01-03 2020-01-03 신발 살균건조 장치 KR10218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33A KR102187060B1 (ko) 2020-01-03 2020-01-03 신발 살균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033A KR102187060B1 (ko) 2020-01-03 2020-01-03 신발 살균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060B1 true KR102187060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033A KR102187060B1 (ko) 2020-01-03 2020-01-03 신발 살균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0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128B1 (ko) 2021-05-31 2022-04-15 주식회사 반디 차량용 신발 살균 및 탈취장치
KR20230039922A (ko) 2021-09-15 2023-03-22 강건우 소형 신발살균 및 탈취장치
KR102588388B1 (ko) * 2022-09-07 2023-10-11 강표길 이동식 스마트 신발관리기
KR20240042780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서랍형 신발 트레이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78Y1 (ko) * 2002-04-30 2002-07-26 김승근 신발 관리기
KR100994864B1 (ko) 2008-06-09 2010-1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소독기
KR101193139B1 (ko) * 2012-02-10 2012-10-22 주식회사 신크리어 신발 살균 건조기
KR101260063B1 (ko) 2012-08-31 2013-04-30 (주) 인슈텍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
US20140105783A1 (en) * 2012-10-17 2014-04-17 Hantover, Inc. Deodorizing and sanitizing contain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78Y1 (ko) * 2002-04-30 2002-07-26 김승근 신발 관리기
KR100994864B1 (ko) 2008-06-09 2010-1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발소독기
KR101193139B1 (ko) * 2012-02-10 2012-10-22 주식회사 신크리어 신발 살균 건조기
KR101260063B1 (ko) 2012-08-31 2013-04-30 (주) 인슈텍 휴대용 신발 살균 탈취 건조장치
US20140105783A1 (en) * 2012-10-17 2014-04-17 Hantover, Inc. Deodorizing and sanitizing contain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7128B1 (ko) 2021-05-31 2022-04-15 주식회사 반디 차량용 신발 살균 및 탈취장치
KR20230039922A (ko) 2021-09-15 2023-03-22 강건우 소형 신발살균 및 탈취장치
KR102588388B1 (ko) * 2022-09-07 2023-10-11 강표길 이동식 스마트 신발관리기
KR20240042780A (ko) 2022-09-26 2024-04-02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서랍형 신발 트레이를 가지는 신발 관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060B1 (ko) 신발 살균건조 장치
KR100511691B1 (ko) 원적외선 신발소독기 및 이를 이용한 신발장
KR20080055288A (ko) 광촉매를 이용한 신발 살균 자판기
JP2004097289A (ja) 除菌機能付き歯ブラシ収納装置
JP2006057898A (ja) 履物用殺菌・乾燥キャビネット
KR200291502Y1 (ko) 위생 신발장
CN105725900A (zh) 带翻转消毒功能的毛巾架
CN103446612A (zh) 一种可旋转的紫外线灭菌灯
KR200434403Y1 (ko) 전기 식기 소독고
CN203736149U (zh) 新型杀菌烘鞋器
JP2006075311A (ja) 紫外線殺菌キャビネット
CN110192722A (zh) 一种智能杀菌消毒除湿的家居置物柜
CN112998421A (zh) 一种智能化鞋子护理鞋柜
US11092379B2 (en) Dryer and sanitizer for rechargeable electronic devices
CN208577877U (zh) 上出式自动毛巾机
KR20070083401A (ko) 향발생부재를 포함하는 원형벨트 회전식 수건걸이
CN215133960U (zh) 一种消毒阳台柜
CN213373980U (zh) 一种便携式餐具消毒柜
KR102202663B1 (ko) 반구형 인서트 모듈을 구비한 신발 살균 건조 장치
CN213370718U (zh) 一种大容量智能衣柜
CN212699745U (zh) 一种紫外线消毒器
KR200286953Y1 (ko) 신발 살균 건조장치
CN112656130A (zh) 一种家用杀菌消毒鞋柜
KR200438002Y1 (ko) 식기 소독기
CN215347652U (zh) 一种智能鞋柜用精细化鞋子护理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