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904B1 - Wheel cover - Google Patents

Wheel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904B1
KR102186904B1 KR1020190055423A KR20190055423A KR102186904B1 KR 102186904 B1 KR102186904 B1 KR 102186904B1 KR 1020190055423 A KR1020190055423 A KR 1020190055423A KR 20190055423 A KR20190055423 A KR 20190055423A KR 102186904 B1 KR102186904 B1 KR 102186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over
width
length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30912A (en
Inventor
이원석
Original Assignee
이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석 filed Critical 이원석
Priority to KR102019005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904B1/en
Priority to PCT/KR2020/006058 priority patent/WO2020231090A1/en
Publication of KR2020013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09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9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0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9/0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 B60B39/12Vehicle fittings for scattering or dispensing material in front of its wheels the material being sheet-like or web-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40Articles of daily use
    • B60B2200/43C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60/00Materials; Physical forms thereof
    • B60B2360/30Synthetic materials
    • B60B2360/36Composite materials
    • B60B2360/362Compound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20Avoidance of
    • B60B2900/211So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50Improvement of
    • B60B2900/511Sealing
    • B60B2900/5112Sealing against dust or dirt

Abstract

본 발명은 바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의 바퀴에 탈부착하는 바퀴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는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의 바퀴에 탈부착하는 바퀴 커버로서, 상기 바퀴의 둘레면를 감싸는 주 커버부와, 상기 주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바퀴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덮개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커버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덮개부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 쌍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 cover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heel of a vehicle reciprocating in and out of a clean room.
A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 cover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heel of a vehicle that reciprocates in and out of a clean room,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cov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cover part surrounding the wheel A cover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having a ring shape; And a pair of elastic bands each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may be made of a dustproof fabric.

Description

바퀴 커버{Wheel cover}Wheel cover

본 발명은 바퀴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의 바퀴에 탈부착하는 바퀴 커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co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 cover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heel of a vehicle reciprocating in and out of a clean room.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 등의 차량은 청정지역뿐만 아니라 먼지가 많이 발생되는 기계실, 옥외 등에서도 함께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차량의 바퀴는 흙, 먼지 등에 항상 오염되어 있어 청정지역에서 사용할 때는 청정한 보양재로 보양을 하고 사용해야 한다. 특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을 제조하는 청정실(Clean Room)에서는 작은 먼지에 의해 제품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먼지 제거가 매우 중요하다.In general, vehicles such as high place work vehicles are used not only in clean areas, but also in machinery rooms and outdoors where dust is generated.Therefore, the wheels of these vehicles are always contaminated with dirt and dust, so when used in clean areas, they are maintained as clean rehabilitation materials. And use it. Particularly, in a clean room that manufactures semiconductors and displays, it is very important to remove dust because product defects are caused by small dust.

이를 위한 종래의 보양 방식은 깨끗한 테이프 등으로 바퀴를 감싸서 이미 바퀴에 부착되어 있는 오염물을 청정실 바닥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보양 방식은 2인 1조로 하여 한 명은 고소작업차를 운전하고 또 다른 한 명은 테이프를 보양하고자 하는 바퀴에 테이프 한 쪽 끝을 붙이고 길게 늘어뜨린 채로 차량의 주행에 맞춰 후진하면서 바퀴에 보양 작업을 한다.The conventional maintenance method for this is a method of wrapping the wheel with a clean tape or the like so that contaminants already attached to the wheel do not contact the floor of the clean room. This rehabilitation method is a group of two people, one driving the aerial work vehicle, and the other one attaching one end of the tape to the wheel to retain the tape, and holding the tape backward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while reinforcing the wheel. do.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바퀴 보양 방법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The conventional wheel maintenance method as described above has several problems.

첫째, 바퀴 보양 작업을 할 때,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내재하고 있다. 차량을 주행하면서 동시에 작업자가 차량의 가까이에서 보양 작업을 하게 되는데, 차량의 주행 속도와 바퀴 보양작업자 보양작업 이동속도가 맞지 않을 시에 사고로 연결될 수 있다.First, when performing wheel maintenance work, there is an inherent risk of safety accidents. While driving the vehicle, the worker performs maintenance work in the vicinity of the vehicle. If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movement speed of the wheel maintenance worker maintenance work do not match, it may lead to an accident.

둘째, 종래의 방법으로 보양한 바퀴는 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보양한 테이프가 훼손되고 벗겨지면서 테이프의 접착제 등이 청정실의 바닥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청정실 작업 중 수시로 보양 작업을 해주어야 하고 특히 차량이 이동을 할 때는 바닥에 별도의 아크릴 판과 같은 보양재를 설치하여 청정실 바닥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량이 이동할 때는 주행 운전자 외에 별도의 작업자가 바닥 보양판의 설치와 철거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주 작업 외의 인력 손실이 발생하여 공사비 증가의 요인이 된다.Second, as the work progresses, the tape of the tape is damaged and peeled off, and the adhesive of the tape contaminates the floor of the clean room. Accordingly, maintenance work must be performed frequently during clean room work. In particular, when a vehicle moves, a separate storage material such as an acrylic plate is installed on the floor to protect the clean room floo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is moving, a separate worker other than the driving driver has to install and remove the floor reinforcement plate, resulting in a loss of manpower other than the main operation, which increases construction cos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76599호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876599

본 발명은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의 바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으면서 차량의 운행 중에도 벗겨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있을 수 있는 바퀴 커버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 cover that can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heels of a vehicle moving reciprocating in and out of a clean room, and can be stably mounted without being peeled off even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는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의 바퀴에 탈부착하는 바퀴 커버로서, 상기 바퀴의 둘레면를 감싸는 주 커버부와, 상기 주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바퀴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덮개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커버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덮개부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 쌍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 cover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heel of a vehicle that reciprocates in and out of a clean room, and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cover 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cover part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 cover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and having a ring shape; And a pair of elastic bands each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may be made of a dustproof fabric.

상기 방진원단은 0 내지 3 %의 신축률을 가질 수 있다.The dustproof fabric may have a stretch ratio of 0 to 3%.

상기 방진원단은 96 이상 100 % 미만의 폴리에스테르와 0 초과 4 % 이하의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The dustproof fabric may include 96 or more and less than 100% polyester and more than 0 and 4% or less carbon.

상기 바퀴는 편평한 둘레면을 가질 수 있다.The wheel may have a flat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덮개부의 둘레길이(L)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art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s 1 and 2.

[수학식 1][Equation 1]

덮개부의 둘레길이(L) = 바퀴의 둘레길이(l) + 여유 길이(m)Cover circumference length (L) = wheel circumference length (l) + clearance length (m)

[수학식 2][Equation 2]

여유 길이(m) = 2 × 바퀴의 폭(w) × 여유 계수(k)Clearance length (m) = 2 × Wheel width (w) × Clearance factor (k)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바퀴의 폭(w) 및 상기 바퀴의 직경(d)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The margin factor (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heel and the diameter (d) of the wheel.

상기 여유 계수(k)는 0.15 내지 1.1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The margin coefficient k may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0.15 to 1.1.

상기 주 커버부의 폭(Wc)은 상기 바퀴의 폭(w)과 동일하고, 상기 측면 커버부의 폭(Ws)은 상기 주 커버부의 폭(Wc)의 0.3 내지 0.5 배일 수 있다.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w) of the wheel, and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art may be 0.3 to 0.5 times 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상기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는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3.

[수학식 3][Equation 3]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 = 덮개부의 둘레길이(L) × 조임 계수(s)Circumference length of elastic band (b) = circumference length of cover part (L) × tightening factor (s)

상기 조임 계수(s)는 상기 탄성밴드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을수록 커질 수 있다.The tightening coefficient (s) may increase as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decreases.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바퀴 커버는 바퀴의 둘레면를 감싸 바퀴에 부착된 흙, 먼지 등의 오염물이 청정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져 바퀴 보양재(즉, 바퀴 커버) 자체에서 먼지 등의 오염물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가 발생되는 청정실의 외부에서 사용하던 차량을 먼지 발생을 원천 차단해야 하는 청정실의 내부에서도 먼지 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다.The wheel co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ntaminants such as dirt and dust attached to the wheel from falling to the floor of the clean room by wrapp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s well as made of a dustproof fabric and a wheel auxiliaries (ie, wheel cover). It can block the generation of pollutants such as dust at the source. Accordingly, a vehicle used outside a clean room where dust is generated can be used without dust generation even inside a clean room where dust generation is to be blocked from the source.

또한, 바닥에 접촉 지지된 바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방진원단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바퀴 커버의 둘레길이를 바퀴의 둘레길이보다 여유 길이만큼 크게 함으로써, 바퀴 커버를 바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바퀴의 보양 작업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실험적으로 정의된 여유 계수(factor)를 바퀴의 폭에 곱하는 것만으로 바퀴 커버를 바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유 길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by mak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cover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by an extra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dustproof fabric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wheel supported on the floor, the wheel cover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heel wh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 cover from being pulled or peeled off one sid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not only can secure safety during wheel maintenance work, but also ensure the convenience of work. And simply by multiplying the width of the wheel by an experimentally defined margin factor,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he wheel cover to the wheel, and to prevent the wheel cover from being pulled or peeled off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t can be obtained easily.

한편, 측면 커버부에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바퀴와 덮개부 사이의 미끄러짐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부의 둘레길이와 탄성밴드 소재의 탄성 정도를 고려하여 탄성밴드의 둘레길이를 결정함으로써, 바퀴와 덮개부 사이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바퀴와 덮개부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wheel and the cover by using a pair of elastic bands each provided on the side cover,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material. By determining the length,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lid, and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wheel and the li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를 나타내는 그림.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여유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1 is a diagram showing a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learance length of th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nting of the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고,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정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크기가 부분적으로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mponents, and the drawings may be partially exaggerated in size to accurately describ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numerals refer to the same elements in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를 나타내는 그림으로, 도 1(a)는 바퀴 커버의 장착 전 모습이며, 도 1(b)는 바퀴 커버의 장착 후 모습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a) is a view before installation of the wheel cover, FIG. 1(b) is a view after installation of the wheel cover, and FIG.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100)는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200)의 바퀴(210)에 탈부착하는 바퀴 커버(100)로서, 상기 바퀴(210)의 둘레면를 감싸는 주 커버부(111)와, 상기 주 커버부(111)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바퀴(210)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측면 커버부(112)를 포함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덮개부(110); 및 상기 복수의 측면 커버부(112)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덮개부(110)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 쌍의 탄성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1 and 2, a wheel cov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heel cover 100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a wheel 210 of a vehicle 200 that reciprocates in and out of a clean room. It includes a main cover part 111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210, and a plurality of side cover parts 112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cover part 111 in the width direction to surrou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 A cover portion 110 having a ring shape; And a pair of elastic bands 120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cover parts 112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cover part 110.

본 발명에 따른 바퀴 커버(100)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을 제조하는 청정실(Clean Room)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200)의 바퀴(210)에 탈부착할 수 있으며, 청정실 내외에서 모두 사용 가능한 차량(200)을 청정실의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해 차량(200)의 바퀴(210)에 장착할 수 있다.The wheel cov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heel 210 of the vehicle 200 that reciprocates in and out of a clean room that manufactures semiconductors and displays, and can be us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lean room ( 200) may be mounted on the wheel 210 of the vehicle 200 for use inside the clean room.

덮개부(110)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퀴(210)의 둘레면 및 측면 일부를 감쌀 수 있으며, 바퀴(210)의 둘레면를 감싸는 주 커버부(111)와 주 커버부(111)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바퀴(210)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측면 커버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주 커버부(111)는 바퀴(210)의 둘레면를 감쌀 수 있으며, 바퀴(210)의 둘레면에 부착된 흙, 먼지 등의 오염물이 청정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ver part 110 may have a ring shape, and may wrap part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side surfaces of the wheel 210, and the main cover part 111 and the main cover part 111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112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to surrou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wheel 210. The main cover part 111 may wrap a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may prevent contaminants such as soil and dust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from falling to the floor of the clean room.

복수의 측면 커버부(112)는 주 커버부(111)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될 수 있고, 바퀴(210)의 측면 일부를 감싸 바퀴(210)의 둘레면과 주 커버부(111)의 내측면의 사이 틈으로 바퀴(210)의 둘레면에 부착된 오염물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200)의 주행 중에 덮개부(110)가 바퀴(210)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side cover parts 112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cover part 111 in the width direction, and surround a part of the side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inside of the main cover part 111 The role of preventing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from escap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sides, as well as preventing the cover part 110 from being easily peeled off from the wheel 210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You can also do it.

한 쌍의 탄성밴드(120)는 복수의 측면 커버부(112)에 각각 제공될 수 있고, 덮개부(110)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가질 수 있다. 탄성밴드(120)는 덮개부(11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탄성밴드(120)의 탄성에 의해 바퀴(210)와 덮개부(110)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210)와 덮개부(110)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바퀴(210)와 덮개부(110)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 pair of elastic bands 120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112 and may have a circumferential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cover portion 110. The elastic band 12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cover portion 110 to improve adhesion between the wheel 210 and the cover portion 110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120. Accordingly, by increasing the friction between the wheel 210 and the cover portion 110, it is possible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wheel 210 and the cover portion 110.

그리고 덮개부(110)는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방진(防塵)원단은 먼지를 방지하는 원단으로 먼지가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청정실용 방진원단일 수 있고, 방진 및 제전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바퀴(210)에 부착된 오염물이 덮개부(110)의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오염물이 청정실의 바닥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portion 110 may be made of a dustproof fabric. Here, the anti-vibration fabric is a fabric that prevents dust from passing through, may be a dust-proof fabric for a clean room, and may have anti-vibration and anti-static functions. Accordingly,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wheel 210 may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cover unit 110, and contaminants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to the floor of the clean room.

상기 방진원단은 청정실용으로서, 0.3 ㎛ 입자에 대해 80 내지 100 %의 차폐도(filtration)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방진원단은 반도체 공정의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을 정도(예를 들어, 0.001 ㎛ 이상)의 입자(particle)을 일정 수준(약 90 %) 이상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방진원단은 0.1 내지 0.001 ㎛의 미세한 입자까지 차폐할 수 있어야 하므로, 경사(세로방향 실)와 위사(가로방향 실)를 직조하여 230 내지 300 T의 고밀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사 밀도는 140 내지 170/in이고, 위사 밀도는 90 내지 130/in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방진원단의 신축성은 거의 없을 수 있다.The dustproof fabric is for a clean room and may have a filtration of 80 to 100% for 0.3 μm particles. In this case, the dustproof fabric may shield particles of a degree (eg, 0.001 µm or more) capable of acting as a contaminant in a semiconductor process at a certain level (about 90%) or more. Since the anti-vibration fabric should be able to shield fine particles of 0.1 to 0.001 µm, it can be made with a high density of 230 to 300 T by weaving warp (vertical thread) and weft (horizontal thread). For example, the warp density may be 140 to 170/in, and the weft density may be 90 to 130/in. In this case, there may be little elasticity of the dustproof fabric.

또한, 상기 방진원단의 신축으로 경사 간, 위사 간 및/또는 경사와 위사 간이 벌어지게 되면, 0.1 내지 0.001 ㎛의 미세한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으므로, 상기 방진원단은 신축성을 거의 갖지 않도록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arp yarns, weft yarns, and/or warp and weft yarns are wider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vibration-proof fabric, a space through which fine particles of 0.1 to 0.001 µm can pass may be created, so that the vibration-proof fabric has almost elasticity. It can be manufactured not to have.

이처럼, 상기 방진원단은 비신축성일 수 있으며, 0 내지 3 %의 신축률(ratio of expansion and contraction)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비신축성은 신축성이 없는(또는 신축률이 0 %인) 것뿐만 아니라 3 % 이하로 신축률이 매우 낮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신축률은 (le - l0) / l0 × 100 (%)으로 계산될 수 있고, 방향에 관계없이 신축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le는 상기 방진원단의 신장된 길이이고, l0는 상기 방진원단의 초기 길이이다. 신축률이 0 %인 것은 신축률이 없는 것을 의미하고, 신축률이 0 %가 아니라는 것은 신축률이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방진원단은 신축률을 거의 갖지 않는 비신축성이기 위해 3 % 이하의 신축률을 가질 수 있다. 신축률이 3 %보다 크게 되면, 경사 간, 위사 간 및/또는 경사와 위사 간이 벌어지게 되면, 0.1 내지 0.001 ㎛의 미세한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져 0.3 ㎛ 입자에 대해 80 내지 100 %의 차폐도를 가질 수 없게 될 수 있다.As such, the anti-vibration fabric may be non-elastic, and may have a ratio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0 to 3%. Here, non-elasticity may mean that there is no elasticity (or that the elasticity is 0%), as well as that the elasticity is very low as 3% or less. At this time, the elasticity rate can be calculated as (l e -l 0 ) / l 0 × 100 (%), and indicates the degree of expansion and contraction regardless of the direction, l e is the elongated length of the dustproof fabric, l 0 is the initial length of the dustproof fabric. If the elasticity is 0%, it means there is no elasticity, and when the elasticity is not 0%, it means that there is an elasticity. You can have a rate. When the stretch ratio is greater than 3%, when the warp yarn, the weft yarn and/or the warp yarn and the weft yarn become wider, a space through which fine particles of 0.1 to 0.001 µm can pass is created. It may become impossible to have a degree of shielding.

그리고 상기 방진원단은 청정실용이므로, 비신축성인 것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신축성으로 갖는 원단과는 차이가 있고, 바퀴(210)에 용이하게 씌우기 위해서는 여유 길이(m)를 갖도록 덮개부(110)를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즉, 비신축성의 상기 방진원단으로 제조된 덮개부(110)는 바퀴(210)에 용이하게 씌우기 위해서 여유 길이(m)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여유 길이(m)를 알맞게 계산하지 않게 되면,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가 너무 커져 덮개부(110)가 바퀴(210)의 표면에서 들뜨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질 수 있다.And since the dustproof fabric is for a clean room, it is important that it is non-stretchable, and it is different from the fabric that is generally stretchable, and in order to easily cover the wheel 210, the cover part 110 is provided to have an extra length (m). It is essential to make it. That is, the cover portion 110 made of the non-stretchable dustproof fabric needs a clearance length (m) in order to easily cover the wheel 210, and if the clearance length (m) is not properly calculated, the cover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part 110 may be too large so that the cover part 110 may be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accordingly, the wheel cover 100 may be shifted to one side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It can come off.

상기 방진원단은 96 이상 100 % 미만의 폴리에스테르와 0 초과 4 % 이하의 카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진원단은 고밀도 천으로 수 많은 작은 분자들을 에스테르 결합시켜 만든 선형(사슬모양) 또는 교차 결합된(그물 모양) 분자로 이루어진 유기물질인 폴리에스테르와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집적회로에 영향을 주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카본으로 된 도전사(導電絲)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폴리에스테르는 방진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경사와 위사를 직조하여 고밀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카본은 제전 기능을 위해 정전기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도전사로 들어갈 수 있고, 상기 방진원단에서 체크(check) 또는 스트라이프(stripe) 등의 무늬로 제공될 수 있다.The dustproof fabric may include 96 or more and less than 100% polyester and more than 0 and 4% or less carbon. The anti-vibration fabric is an organic material composed of linear (chain-shaped) or cross-linked (net-shaped) molecules made by ester-bonding numerous small molecules with a high-density cloth, and static electricity that affects integrated circuits of semiconductors and displays. To prevent, conductive yarn made of carbon may b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Here, polyester can be used for a vibration-proof function, and can be provided in high density by weaving warp and weft, and carbon can enter the conductive yarn to minimize static electricity for an anti-static function, and check in the dust-proof fabric. It may be provided in a pattern such as (check) or strip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여유 길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도 3(a)는 바퀴의 직경을 나타내며, 도 3(b)는 바퀴의 폭을 나타내고, 도 3(c)는 바퀴의 둘레길이를 나타내며, 도 3(d)는 바퀴의 직경별 바퀴의 폭에 따른 여유 계수(k)의 변화 그래프를 나타낸다.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clearance length of the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shows the diameter of the wheel, Figure 3 (b) shows the width of the wheel, Figure 3 (c) ) Represents the circumference length of the wheel, and FIG. 3(d) shows a graph of the change in the margin coefficient k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 for each diameter of the wheel.

도 3을 참조하면, 바퀴(210)는 편평한 둘레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방진원단 중 도전사가 청정실의 바닥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도전사가 청정실의 바닥에 접촉되지 않는 일없이 제전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바퀴(210)는 편평한 둘레면을 가지는 경우에는 상기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져 비신축성의 덮개부(110)를 바퀴(210)에 씌우기 어려울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wheel 210 may have a flat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is case, an area in which the conductive yarn of the dustproof fabric contacts the floor of the clean room may be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antistatic function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without the conductive yarn not contacting the floor of the clean room. When the wheel 210 has a flat circumferential surface, it may be difficult to cover the non-stretchable cover portion 110 on the wheel 210 made of the dustproof fabric.

한편, 차량(200)은 고소작업차(예를 들어, 테이블 리프터 등)일 수 있으며, 바퀴(210)가 편평한 둘레면을 갖는 경우에는 승강이 이루어지는 고소작업차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le 200 may be an aerial vehicle (for example, a table lifter), and when the wheel 210 has a flat circumferential surface, the aerial vehicle on which the vehicle is elevating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floor surface.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는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art 110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s 1 and 2.

[수학식 1][Equation 1]

덮개부의 둘레길이(L) = 바퀴의 둘레길이(l) + 여유 길이(m)Cover circumference length (L) = wheel circumference length (l) + clearance length (m)

[수학식 2][Equation 2]

여유 길이(m) = 2 × 바퀴의 폭(w) × 여유 계수(k)Clearance length (m) = 2 × Wheel width (w) × Clearance factor (k)

덮개부(110)는 상기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져 비신축성이므로, 덮개부(110)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바퀴(210)의 둘레길이(l)에 여유 길이(m)을 둠으로써,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용이하게 씌울(또는 장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여유 길이(m)가 너무 크게 되면, 덮개부(110)가 바퀴(210)의 표면에서 들뜨게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질 수 있다.Since the cover part 110 is made of the dustproof fabric and is non-stretchable, the cover part 100 is provided with an extra length (m) in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wheel 210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cover part 110. Can be easily covered (or mounted) on the wheel 210. At this time, if the clearance length (m) is too large, the cover portion 110 may be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accordingly, the wheel cover 100 is pulled to one side or peeled off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I can lose.

따라서, 여유 계수(k)를 통해 알맞은 여유 길이(m)를 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an appropriate margin length (m) through the margin factor (k).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바퀴(210)의 폭(w) 및 상기 바퀴(210)의 직경(d)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바퀴(210)의 직경(d)이 커질수록 소정 각도의 둘레 길이도 같이 커지게 되므로, 바퀴(210)의 직경(d)에 따라 필요한 여유 공간이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바퀴(210)의 직경(d)에 따라 여유 계수(k)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퀴(210)의 폭(w)에 따라 바퀴(210)의 둘레면 전체가 주 커버부(111)에 덮여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여유 공간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퀴(210)의 폭(w)을 더 고려하여 여유 계수(k)를 결정할 수 있다.The margin coefficient k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and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As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increases,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a predetermined angle also increases, so the required free space varies according to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and thus the diameter of the wheel 210 According to (d), the margin coefficient k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the free space required to cover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to the main cover 111 may vary, and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wheel 210 ( The margin coefficient k may be determined by further considering w).

도 3(d)와 같이, 상기 여유 계수(k)는 0.15 내지 1.1의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도 3(d)의 바퀴(210)의 직경(d)별 바퀴(210)의 폭(w)에 따른 여유 계수(k)의 변화 그래프는 다양한 둘레길이(L)를 갖는 바퀴 커버(100)를 제작하여 바퀴(210)의 직경(d)별로 바퀴(210)의 폭(w)을 변화시키면서 장착하여 보고 실험적으로 구한 데이터이며, 바퀴(210)의 직경(d)별 바퀴(210)의 폭(w)에 따른 최적의 여유 계수(k)를 바퀴(210)의 폭(w)마다 연속적으로 연결한 그래프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적의 여유 계수(k)는 바퀴(210)의 직경(d)별로 바퀴(210)의 폭(w)에 따라 최적의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를 얻어 바퀴(210)의 둘레길이(l)와 바퀴(210)의 폭(w)을 가지고 계산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으며, 바퀴 커버(100)를 씌우고 차량(200)을 운행하였을 때에 바퀴 커버(100)의 쏠림 정도 및/또는 벗겨짐 정도가 가장 작은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가 최적의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일 수 있고, 최적의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일 때에 얻어지는 여유 계수(k)가 최적의 여유 계수(k)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험은 바퀴(210)에 바퀴 커버(100)를 씌우고 차량(200)을 소정 속도로 소정 시간동안 운행하였을 때에 바퀴 커버(100)의 쏠림 정도 및/또는 벗겨짐 정도를 측정할 수 있고, 바퀴 커버(100)의 쏠림 정도 및/또는 벗겨짐 정도가 가장 작은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를 최적의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로 결정하여 이를 통해 얻어진 여유 계수(k)를 바퀴(210)의 직경(d)별로 바퀴(210)의 폭(w)에 따라 연결함으로써, 상기 여유 계수(k)의 변화 그래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래프는 소정 간격(예를 들어, 1 ㎝)으로 특정 바퀴(210)의 폭(w)에 대해서만 최적의 여유 계수(k)를 구한 후에 각 지점을 연결하여 얻어진 것일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3(d), the margin coefficient k may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0.15 to 1.1. The graph of the change in the margin coefficient k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for each diameter d of the wheel 210 of FIG. 3(d) shows the wheel cover 100 having various circumferential lengths L. It is the data obtained experimentally by manufacturing and mounting while changing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for each diameter (d) of the wheel 210, and the width of the wheel 210 for each diameter (d) of the wheel 210 ( It may be a graph in which the optimal margin coefficient k according to w) is continuously connected for each width w of the wheel 210. Here, the optimum margin coefficient (k) is obtained by obtaining the optimum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ortion 110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for each diameter (d) of the wheel 210 ) Can be determined by calculating with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and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and the degree of tilt of the wheel cover 100 when the vehicle 200 is operated with the wheel cover 100 covered. And/or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ortion 110 having the smallest peeling degree may be the optimum peripheral length (L) of the cover portion 110, and the optimum circumference length (L) of the cover portion 110 The margin coefficient (k) obtained when is may be an optimum margin coefficient (k). For example, in the experiment, when the wheel cover 100 is covered on the wheel 210 and the vehicle 200 is operated at a predetermined spe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degree of pulling and/or the degree of peeling of the wheel cover 100 can be measured. And, the margin obtained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ortion 110 with the smallest degree of tilting and/or peeling of the wheel cover 100 as the optimum circumference length (L) of the cover portion 110 By connecting the coefficient k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for each diameter d of the wheel 210, a graph of the change of the margin coefficient k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the graph may be obtained by connecting each point after obtaining the optimum margin coefficient (k) only for the width (w) of the specific wheel 2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g, 1 cm).

여유 계수(k)가 0.15보다 작게 되면,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씌우기 위한 여유 공간이 부족해져 바퀴(210)의 둘레면 전체가 주 커버부(111)에 덮여지도록 완전하게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씌울 수 없게 된다.When the margin factor (k) is less than 0.15, there is insufficient space for covering the wheel cover 100 on the wheel 210, so that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wheel 210 is completely covered with the main cover part 111 (100) cannot be covered on the wheel 210.

반면, 여유 계수(k)가 1.1보다 크게 되면, 여유 공간이 너무 많이 생겨 덮개부(110)가 바퀴(210)의 표면에서 들뜨게 되고, 이에 따라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argin factor k is greater than 1.1, the cover part 110 is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heel 210 due to too much free space, and accordingly, the wheel cover 100 is removed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It will be pulled to one side or peeled off.

따라서,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용이하게 씌울 수 있으면서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여유 계수(k)를 0.15 내지 1.1의 범위에서 결정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wheel cover 100 from being pulled or peeled off while the wheel cover 100 can be easily covered on the wheel 210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the margin factor k is 0.15 to 1.1. Can be determined in the range of.

한편, 0.15 내지 1.1의 범위에서는 상기 여유 계수(k)의 변화 그래프에서 바퀴(210)의 직경(d)에 대한 바퀴(210)의 폭(w)별로 ± 10 %의 오차가 발생하여도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씌우는 부분이나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의 벗겨짐을 방지하는 부분에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in the range of 0.15 to 1.1, even if an error of ± 10% occurs for each width (w) of the wheel 210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in the change graph of the margin factor (k) There may not be a problem with a part that covers 100 on the wheel 210 or a part that prevents the wheel cover 100 from being peeled off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200.

이처럼, 실험적으로 여유 계수(k)를 정의(또는 데이터베이스화)해 놓으면, 바퀴(210)의 폭에 따라 여유 계수(k)를 바퀴(210)의 폭에 곱하는 것만으로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유 길이(m)를 손쉽게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여유 길이(m)를 반영한 바퀴 커버(100)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In this way, if the margin factor (k) is experimentally defined (or converted into a database), the wheel cover 100 is rotated by simply multiplying the margin factor (k) by the width of the wheel 210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heel 210. While it can be easily mounted on 210, it is possible to easily obtain a margin length (m) capable of preventing the wheel cover 100 from being pulled or peeled off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200, and such a margin length (m The wheel cover 100 reflecting) can be easily manufactured.

상기 여유 계수(k)의 변화 그래프를 살펴보면, 상기 여유 계수(k)는 소정의 바퀴(210)의 폭까지 바퀴의 폭(w)이 증가할수록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바퀴(210)의 폭 이상에서 바퀴의 폭(w)이 증가할수록 특정 여유 계수(예를 들어, 약 0.15)에 수렴(saturation)하거나, 다소 작은 폭으로 커질 수 있다. 바퀴의 폭(w)에 따라 여유 계수(k)에 비례하여 여유 길이(m)가 구해지게 되므로, 바퀴의 폭(w)이 커질수록 여유 계수(k)도 같이 커지게 되면, 여유 길이(m)가 필요 이상으로 길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여유 공간이 너무 많이 생겨 덮개부(110)가 바퀴(210)의 표면에서 들뜨게 됨으로써,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질 수 있다. 그렇다고 바퀴의 폭(w)이 커질수록 여유 계수(k)를 줄이기만 하면, 여유 계수(k)가 없어지게 되고 여유 길이(m)가 너무 짧아지게 되거나, 없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씌우기 위한 여유 공간이 부족해져 바퀴(210)의 둘레면 전체가 주 커버부(111)에 덮여지도록 완전하게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씌울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여유 계수(k)는 소정의 바퀴(210)의 폭까지 바퀴의 폭(w)이 증가할수록 작아질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바퀴(210)의 폭 이상에서 바퀴의 폭(w)이 증가할수록 특정 여유 계수(예를 들어, 약 0.15)에 수렴(saturation)하거나, 다소 작은 폭으로 커질 수 있다.Looking at the graph of the change of the margin coefficient k, the margin coefficient k may decrease as the width w of the wheel increases to the width of the predetermined wheel 210. Above the width, as the width w of the wheel increases, it may saturate to a specific margin factor (eg, about 0.15), or may increase to a somewhat smaller width. Since the margin length (m) is calculated in proportion to the margin factor (k) according to the wheel width (w), if the margin factor (k) increases as the wheel width (w) increases, the margin length (m ) Is longer than necessary, and in this case, too much free space causes the cover part 110 to be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heel 210, so that the wheel cover 100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200 May be pulled to one side or peeled off. However, as the width of the wheel (w) increases, the margin factor (k) disappears, and the margin length (m) may become too short or disappear if the margin factor (k) is reduced. In this case, the wheel cover (100) The free space for covering the wheel 210 becomes insufficient, so that the entir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is covered with the main cover part 111 so that the wheel cover 100 cannot be completely covered on the wheel 210. I can. Accordingly, the margin coefficient k may decrease as the width w of the wheel increases up to the width of the wheel 210, and the width w of the whee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wheel 210. As it increases, it may saturate to a specific margin factor (eg, about 0.15), or it may grow to a rather small width.

또한,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소정의 바퀴(210)의 폭 미만에서 바퀴(210)의 직경(d)이 클수록 크고, 상기 소정의 바퀴(210)의 폭 이상에서 바퀴(210)의 직경(d)이 작을수록 클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바퀴(210)의 폭 미만에서는 바퀴(210)의 직경(d) 대비 바퀴(210)의 폭(w)의 비율이 작아 바퀴(210)의 폭(w) 방향으로의 여유 길이의 비율이 많이 필요하기 않기 때문에 바퀴(210)의 직경(d)에 비례하여 여유 계수(k)가 클 수 있고, 상기 소정의 바퀴(210)의 폭 이상에서는 바퀴(210)의 직경(d) 대비 바퀴(210)의 폭(w)의 비율이 커져 바퀴(210)의 폭(w) 방향으로의 여유 길이의 비율이 많이 필요하게 되어 바퀴(210)의 직경(d) 대비 바퀴(210)의 폭(w)의 비율의 상승폭이 더 큰 바퀴(210)의 직경(d)이 작을수록 여유 계수(k)가 클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gin factor (k) is larger as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is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redetermined wheel 210, and the diameter of the wheel 2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width of the predetermined wheel 210 The smaller (d) can be. When the width of the wheel 210 is less than the width of the wheel 210, the ratio of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to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is small, and the ratio of the margin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Since this is not required, the margin factor (k) may be large in proportion to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and when the width of the predetermined wheel 210 is great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As the ratio of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increases, the ratio of the free length in the direction of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is required, so that the width of the wheel 210 compared to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 The smaller the diameter (d) of the wheel 210 having a larger rise in the ratio of w), the larger the margin coefficient k may be.

주 커버부(111)의 폭(Wc)은 바퀴(210)의 폭(w)과 동일할 수 있고, 측면 커버부(112)의 폭(Ws)은 주 커버부(111)의 폭(Wc)의 0.3 내지 0.5 배일 수 있다. 주 커버부(111)는 바퀴(210)의 둘레면을 감싸면 되므로, 바퀴(210)의 폭(w)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측면 커버부(112)의 폭(Ws)을 주 커버부(111)의 폭(Wc)의 0.3 내지 0.5 배로 할 수 있다.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111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and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art 112 is the width of the main cover part 111 ( W c ) may be 0.3 to 0.5 times. Since the main cover part 111 only needs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it may be the same as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In this case, the width W s of the side cover part 112 may be 0.3 to 0.5 times the width W c of the main cover part 111.

측면 커버부(112)의 폭(Ws)이 주 커버부(111)의 폭(Wc)의 0.3 배보다 작게 되면, 측면 커버부(112) 및/또는 탄성밴드(210)가 바퀴(21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려 벗겨질 수 있다.When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art 112 is less than 0.3 times 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111, the side cover part 112 and/or the elastic band 210 ) May not be stably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vehicle, and the wheel cover 100 may be pulled off to one side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반면, 측면 커버부(112)의 폭(Ws)을 주 커버부(111)의 폭(Wc)의 0.5 배보다 크게 되면, 탄성밴드(210)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는 부분이 바퀴(210)의 둘레면으로부터 너무 멀어지게 되어 바퀴(210)의 둘레면과 주 커버부(111)의 밀착력을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고, 이에 따라 바퀴(210)의 둘레면과 주 커버부(111) 사이의 마찰력이 약화되어 바퀴(210)의 둘레면과 주 커버부(111) 사이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바퀴(210)의 둘레면과 주 커버부(111)의 밀착력이 너무 약한 경우에는 덮개부(110)가 바퀴(210)의 표면에서 들떠 차량(200)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100)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art 112 is greater than 0.5 times 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111, the part where the elastic force is provided by the elastic band 210 is the wheel 210 ) Is too far away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to provide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main cover part 111, and accordingl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main cover part 111 This is weakened, so that slipping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main cover part 111 may occur, and 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main cover part 111 is too weak, the cover part 110 ) Is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wheel cover 100 is pulled to one side or peeled off while the vehicle 200 is running.

이에, 측면 커버부(112) 및/또는 탄성밴드(210)가 바퀴(21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면서 탄성밴드(210)에 의한 탄성으로 바퀴(210)와 덮개부(110)의 밀착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측면 커버부(112)의 폭(Ws)을 주 커버부(111)의 폭(Wc)의 0.3 내지 0.5 배로 할 수 있다.Thus, while the side cover part 112 and/or the elastic band 21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side of the wheel 210, elasticity of the wheel 210 and the cover part 110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art 112 may be 0.3 to 0.5 times 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111 so as to provide sufficient adhesion.

탄성밴드(120)의 둘레길이(b)는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120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3.

[수학식 3][Equation 3]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 = 덮개부의 둘레길이(L) × 조임 계수(s)Circumference length of elastic band (b) = circumference length of cover part (L) × tightening factor (s)

탄성밴드(120)의 둘레길이(b)에 따라 탄성밴드(12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렇게 결정된 탄성력에 따라 바퀴(210)와 덮개부(110)의 밀착력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를 얼마나 줄일지에 따라 탄성밴드(120)의 둘레길이(b)가 결정되므로,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에 조임 계수(s)를 곱하여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밴드(120)의 탄성에 의해 측면 커버부(112)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측면 커버부(112) 중 접히는 부분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탄성밴드(120)의 둘레길이(b)를 구하면서 덮개부(110)의 둘레길이(L)와 상기 조임 계수(s)를 곱한 값에 중첩 길이(r)를 더 더하여 구할 수도 있다.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elastic band 12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120, and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wheel 210 and the cover portion 110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termined elastic force. That is, since 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120 is determined depending on how much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art 110 is reduced, the tightening factor (s) is applied to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art 110 By multiplying by ), 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can be determined. Here, as the diameter of the side cover part 112 decreases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120, a folded portion of the side cover part 112 may occur, so while obtaining 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120 It may be obtained by adding the overlap length (r) to the product of the circumferential length (L) of the cover part 110 and the tightening factor (s).

상기 조임 계수(s)는 탄성밴드(120)의 최대팽창계수(e)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탄성밴드(120)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을수록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최대팽창계수(e)는 최대 늘어난 길이를 늘리기 전 길이로 나눈 값일 수 있다. 탄성밴드(120)의 최대팽창계수(e)가 클수록 탄성밴드(120)의 복원력이 작게 되므로, 바퀴 커버(100)를 바퀴(210)에 씌운 후에 측면 커버부(112)의 직경이 충분히 작아질 수 있도록 조임 계수(s)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탄성밴드(120)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을수록 탄성밴드(120)의 복원력이 크게 되므로, 조임 계수(s)가 커질 수 있다.The tightening factor (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120, and may increase as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120 is smaller. Here,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may be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maximum lengthened length by the length before extension. As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120 increases,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and 120 decreases, so the diameter of the side cover part 112 becomes sufficiently small after the wheel cover 100 is covered with the wheel 210. The tightening factor (s) can be made small so that it is possible. That is, as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120 is smaller,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and 120 is increased, so that the tightening coefficient (s) may increase.

이때, 상기 조임 계수(s)는 0.27 내지 0.81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조임 계수(s)가 0.27보다 작게 되면, 탄성밴드(120)의 최대팽창계수(e)가 큰 경우에 측면 커버부(112) 및/또는 탄성밴드(210)가 바퀴(210)의 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tightening coefficient s may be selected in the range of 0.27 to 0.81. When the tightening factor (s) is less than 0.27, the side cover part 112 and/or the elastic band 210 are stable on the side of the wheel 210 when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120 is large. May not be supported.

반면, 조임 계수(s)가 0.81보다 크게 되면, 탄성밴드(120)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은 경우에 측면 커버부(112)의 직경이 너무 작아지고 탄성밴드(210)에 의해 탄성력이 제공되는 부분이 바퀴(210)의 둘레면으로부터 너무 멀어지게 되어 바퀴(210)의 둘레면과 주 커버부(111)의 밀착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ightening coefficient (s) is greater than 0.81, when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120 is small, the diameter of the side cover part 112 is too small, and the elastic force is reduced by the elastic band 210. The provided portion may be too far from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to provide sufficient adhesion betwee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210 and the main cover 111.

한편, 덮개부(110)의 폭(W)은 바퀴(210)의 폭(w)에 측면 커버부(112)의 폭(Ws)의 2배를 더한 값일 수 있다.Meanwhile, the width (W) of the cover portion 110 may be a value obtained by adding twice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ortion 112 to the width (w) of the wheel 210.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퀴 커버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로, 도 4(a)는 바퀴 커버를 바퀴의 윗부분에만 먼저 장착한 그림이며, 도 4(b)는 그 상태에서 바퀴를 반바퀴 회전시킨 그림이고, 도 4(c)는 바퀴에 바퀴 커버를 장착한 그림이다.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mounting of the wheel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picture in which the wheel cover is first mounted only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 and Figure 4 (b) is in its state It is a picture in which the wheel is rotated half a turn, and Fig. 4(c) is a picture in which the wheel cover is mounted on the wheel.

도 4를 참조하면, 바퀴 커버(100)는 바퀴(210)가 바닥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차량(200)은 300 ㎏ 이상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고소작업차 등의 청정실 내외를 왕복하는 차량을 300 ㎏ 이상으로 무거울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바퀴(210)를 들고 장착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으며, 바퀴(210)를 바닥에 접촉 지지한 상태에서 바퀴 커버(100)를 장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신축성의 방진원단으로 제조되는 덮개부(110)는 반드시 여유 길이(m)를 가질 필요가 있으며, 여유 길이(m)를 갖는 경우에 바퀴(210)와 덮개부(110)의 우수한 밀착력을 위해서 여유 길이(m)를 상술한 수학식 2에 의해 알맞게 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wheel cover 100 may be mounted while the wheel 210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In this case, the vehicle 200 may have a weight of 300 kg or more. Vehicles that reciprocate in and out of the clean room such as high place work vehicles may be heavy over 300 k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lift and mount the wheels 210, and cover the wheels with the wheels 210 in contact with the floor. (100) can be equipped. Accordingly, the cover portion 110 made of non-stretchable dustproof fabric must have an extra length (m), and when it has an extra length (m), excellent adhesion between the wheel 210 and the cover portion 110 For this, the allowance length (m) can be appropriately obtained by Equation 2 described above.

또한, 도 4에 제시된 방법과 같이 바퀴 커버(100)를 장착하게 되면, 바퀴(210)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바퀴(210)가 바닥에 접촉 지지된 상태에서 간단하게 바퀴 커버(100)를 장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wheel cover 100 is mounted as in the method shown in FIG. 4, the wheel cover 100 can be simply mounted while the wheel 210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without lifting the wheel 210. have.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바퀴의 둘레면를 감싸 바퀴에 부착된 흙, 먼지 등의 오염물이 청정실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져 바퀴 보양재(즉, 바퀴 커버) 자체에서 먼지 등의 오염물 발생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먼지가 발생되는 청정실의 외부에서 사용하던 차량을 먼지 발생을 원천 차단해야 하는 청정실의 내부에서도 먼지 발생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닥에 접촉 지지된 바퀴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방진원단의 신축성을 고려하여 바퀴 커버의 둘레길이를 바퀴의 둘레길이보다 여유 길이만큼 크게 함으로써, 바퀴 커버를 바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바퀴의 보양 작업 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의 편이성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실험적으로 정의된 여유 계수(factor)를 바퀴의 폭에 곱하는 것만으로 바퀴 커버를 바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으면서도 차량의 운행 중에 바퀴 커버가 한 쪽으로 쏠리거나 벗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여유 길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다. 한편, 측면 커버부에 각각 제공되는 한 쌍의 탄성밴드를 이용하여 바퀴와 덮개부 사이의 미끄러짐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으며, 덮개부의 둘레길이와 탄성밴드 소재의 탄성 정도를 고려하여 탄성밴드의 둘레길이를 결정함으로써, 바퀴와 덮개부 사이의 밀착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바퀴와 덮개부 사이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minants such as dirt and dust attached to the wheel from falling to the floor of the clean room by wrapp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s well as dust from the wheel auxiliaries (i.e., wheel cover) itself. The source of pollutants can be blocked. Accordingly, a vehicle used outside a clean room where dust is generated can be used without dust generation even inside a clean room where dust generation is to be blocked from the source. In addition, by making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cover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of the wheel by an extra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elasticity of the dustproof fabric so that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to the wheel supported on the floor, the wheel cover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wheel whil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heel cover from being pulled or peeled off one side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nd not only can secure safety during wheel maintenance work, but also ensure the convenience of work. And simply by multiplying the width of the wheel by an experimentally defined margin factor,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the wheel cover to the wheel, and to prevent the wheel cover from being pulled or peeled off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It can be obtained easily. 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wheel and the cover by using a pair of elastic bands each provided on the side cover,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elastic band in considera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cover and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and material. By determining the length,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wheel and the lid, and to prevent slipping between the wheel and the li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Those who have a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바퀴 커버 110 : 덮개부
111 : 주 커버부 112 : 측면 커버부
120 : 탄성밴드 200 : 차량
210 : 바퀴
100: wheel cover 110: cover
111: main cover part 112: side cover part
120: elastic band 200: vehicle
210: wheel

Claims (10)

청정실 내외를 왕복 이동하는 차량의 편평한 둘레면을 갖는 바퀴에 탈부착하는 바퀴 커버로서,
상기 바퀴의 둘레면를 감싸는 주 커버부와, 상기 주 커버부의 폭방향 양측에 제공되어 상기 바퀴의 측면 일부를 감싸는 복수의 측면 커버부를 포함하며, 고리 형상을 갖는 덮개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 커버부에 각각 제공되며, 상기 덮개부보다 짧은 둘레길이를 갖는 한 쌍의 탄성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방진원단으로 이루어지며, 수학식 1에 의해서 결정되는 둘레길이(L)를 갖고,
상기 방진원단은 0.3 ㎛ 입자에 대해 80 내지 100 %의 차폐도를 가지며, 0 내지 3 %의 신축률을 갖는 바퀴 커버.
[수학식 1]
덮개부의 둘레길이(L) = 바퀴의 둘레길이(l) + 여유 길이(m)
As a wheel cover that is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heel having a flat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vehicle that reciprocates in and out of a clean room,
A cover portion including a main cover portion surround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and a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cover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wheel, and having a ring shape; And
Includes; a pair of elastic bands each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side cover portions and having a circumferential length shorter than that of the cover portion,
The cover part is made of a dustproof fabric and has a circumferential length (L) determined by Equation 1,
The dustproof fabric has a shielding degree of 80 to 100% for 0.3 μm particles, and a wheel cover having an elasticity of 0 to 3%.
[Equation 1]
Cover circumference length (L) = wheel circumference length (l) + clearance length (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진원단은 96 이상 100 % 미만의 폴리에스테르와 0 초과 4 % 이하의 카본을 포함하는 바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proof fabric is a wheel cover comprising 96 or more and less than 100% polyester and more than 0 and 4% or less carb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유 길이(m)는 수학식 2에 의해서 결정되는 바퀴 커버.
[수학식 2]
여유 길이(m) = 2 × 바퀴의 폭(w) × 여유 계수(k)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rance length (m) is a wheel cover determined by Equation 2.
[Equation 2]
Clearance length (m) = 2 × Wheel width (w) × Clearance factor (k)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여유 계수(k)는 상기 바퀴의 폭(w) 및 상기 바퀴의 직경(d)에 따라 결정되는 바퀴 커버.
The method of claim 5,
The margin factor (k)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width (w) of the wheel and the diameter (d) of the whee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여유 계수(k)는 0.15 내지 1.1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바퀴 커버.
The method of claim 5,
The margin factor (k) is determined in the range of 0.15 to 1.1 wheel cov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 커버부의 폭(Wc)은 상기 바퀴의 폭(w)과 동일하고,
상기 측면 커버부의 폭(Ws)은 상기 주 커버부의 폭(Wc)의 0.3 내지 0.5 배인 바퀴 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is the same as the width (w) of the wheel,
The width (W s ) of the side cover part is 0.3 to 0.5 times the width (W c ) of the main cover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는 수학식 3에 의해서 결정되는 바퀴 커버.
[수학식 3]
탄성밴드의 둘레길이(b) = 덮개부의 둘레길이(L) × 조임 계수(s)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mferential length (b) of the elastic band is determined by equation (3).
[Equation 3]
Circumference length of elastic band (b) = circumference length of cover part (L) × tightening factor (s)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조임 계수(s)는 상기 탄성밴드의 최대팽창계수(e)가 작을수록 커지는 바퀴 커버.
The method of claim 9,
The tightening coefficient (s) is a wheel cover that increases as the maximum expansion coefficient (e) of the elastic band is smaller.
KR1020190055423A 2019-05-13 2019-05-13 Wheel cover KR1021869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23A KR102186904B1 (en) 2019-05-13 2019-05-13 Wheel cover
PCT/KR2020/006058 WO2020231090A1 (en) 2019-05-13 2020-05-08 Wheel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423A KR102186904B1 (en) 2019-05-13 2019-05-13 Wheel c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12A KR20200130912A (en) 2020-11-23
KR102186904B1 true KR102186904B1 (en) 2020-12-04

Family

ID=7328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423A KR102186904B1 (en) 2019-05-13 2019-05-13 Wheel cov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904B1 (en)
WO (1) WO202023109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4793B (en) * 2022-08-24 2023-07-14 苏州九诚玖智能科技有限公司 Miniature skateboard chassis
CN115302988B (en) * 2022-08-26 2023-09-05 河北万达轮胎有限公司 Puncture-resistant vacuum tire structure of road bicy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953Y1 (en) * 2003-08-08 2003-12-06 정형희 Dust-resistant and antistatic fabric
JP2005239143A (en) * 2004-02-27 2005-09-08 Armando Romano Wheel cover of handcart
KR200455959Y1 (en) 2011-03-09 2011-10-05 신영우 wheel cover
JP2017093907A (en) 2015-11-26 2017-06-01 株式会社レップ Rucksack with wheel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8803Y1 (en) * 2001-11-08 2002-03-18 최명윤 Ankle band
US20070074796A1 (en) * 2004-05-27 2007-04-05 William Martin Disposable tire wheel cover
KR100876599B1 (en) 2007-02-12 2008-12-31 김석주 Disposable wheel co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953Y1 (en) * 2003-08-08 2003-12-06 정형희 Dust-resistant and antistatic fabric
JP2005239143A (en) * 2004-02-27 2005-09-08 Armando Romano Wheel cover of handcart
KR200455959Y1 (en) 2011-03-09 2011-10-05 신영우 wheel cover
JP2017093907A (en) 2015-11-26 2017-06-01 株式会社レップ Rucksack with whe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12A (en) 2020-11-23
WO2020231090A1 (en) 202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904B1 (en) Wheel cover
CN101602321A (en) Non-skid tyre cover
PT1777189E (en) Carrying means device comprising a traction sheave and carrying means as well as an elevator comprising said carrying means device
ES296758U (en) Multifunctional tyre-securing device for mounting a tyre on a rim.
CN105051384B (en) For the hinge means of motor vehicle
JP2003074370A (en) Belt protector for engine
KR102621691B1 (en) Vibration absorbing piping structure
JP2017030416A (en) Pneumatic tire
KR20220145406A (en) conveying system
CN209227152U (en) A kind of door coil assembly of circular weaving machine
CN113696681B (en) Skid-proof protection device for loader tyre
RU2071573C1 (en) Vehicle suspension flexible resilient member
US20210370206A1 (en) An air filter
CN213232643U (en) Door ring assembly of circular weaving machine
JP5658299B2 (en) Anti-slip device for vehicle tire
KR820000130B1 (en) Radial ply pneumatic tire
CN212735671U (en) Indexing device for cross hole clamp
KR102641517B1 (en) Hoist device for raising and lowering items
CN213445975U (en) Tensioning jack for limited space
CN107380237A (en) Dust-proof protection device for installing in Job-Shop transport process
KR100568706B1 (en) Keeping structure for changing operation of vehicles
WO2013141378A1 (en) Anti-slip device for vehicle tire
SE413758B (en) VEHICLE WHEELS
DE3307960A1 (en) Vehicle wheel
JP2016203288A (en) Water-repellent protective cover for working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