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667B1 -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667B1
KR102185667B1 KR1020200068979A KR20200068979A KR102185667B1 KR 102185667 B1 KR102185667 B1 KR 102185667B1 KR 1020200068979 A KR1020200068979 A KR 1020200068979A KR 20200068979 A KR20200068979 A KR 20200068979A KR 102185667 B1 KR102185667 B1 KR 102185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artificial turf
line
uni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원
Original Assignee
비아이랜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이랜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아이랜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06Apparatus for setting-out or dividing courts
    • A63C19/065Line markings, e.g. tapes; Metho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03Bistatic lidar systems; Multistatic lida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은 인조잔디에 설치되는 라인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에 접착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몸체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에서 연장되며 끝단이 꺾여진 만곡부를 가지는 제1 차양부로 형성된 발광체;와 상기 인조잔디에 접착고정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발광부의 레이저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광몸체부와, 상기 수광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꺾여진 만곡부를 가지는 제2 차양부로 형성된 수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와 수광체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하여 배치되어 발광체의 레이저 빛이 인조잔디 위를 지나도록 하여 라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APPARATUS FOR ARTIFICIAL TURF LINE AND METHOD OF LINE SETT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중에서 축구, 농구, 풋살장, 테니스장에는 경기에 필요한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필요한 규격의 라인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라인표시로는 백회가루를 이용하여 라인을 긋는 방법이 있으나 이 라인이 쉽게 지워지므로 일반 경기장에는 접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다.
경기장 라인이 그려져 있거나, 표시가 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축구, 농구 등 특정 종목의 경기장 만이 그려져 있어 다른 종목의 경기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려진 경기장 라인 역시 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희미해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도 많다.
특허 제10-0380624호에는 운동장라인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립하여 반 영구적으로 라인표시를 할 수 있는 운동장라인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운동장라인 표시장치는 인조잔디라인을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시공 후 변경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허 제10-1943186호에는 규칙 라인 표시용 마킹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실내/외 운동장에서 종목별 규칙라인을 쉽고 간편하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마킹테이프는 고정구멍에 고정핀을 꼽아 고정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규칙 라인 표시용 마킹테이프는 섬유재질로 구성되어 경기 중 찢어지거나 종목별로 규격의 라인을 표시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 있다.
인조잔디 경기장에는 흰색 또는 노란색으로 인조잔디로 특정 종목의 라인을 그려져 있으나, 다른 종목의 경기를 할 경우 경기장이 복잡하게 그려져 있는 라인들로 인해 종종 혼란이 일어나고 경기 진행자의 판단에도 영향을 미쳐 건전한 스포츠 경기를 진행함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KR 10-0380624 B KR 10-1943186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는 레이저 빛이 조사되는 발광체와 수광체가 각각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 형성되어 터프팅된 인조잔디 사이에 접착부재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종목별로 규격의 라인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서버에 접속하여 종목별 규격의 라인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전자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는 인조잔디에 설치되는 라인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에 접착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몸체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에서 연장되며 끝단이 꺾여진 만곡부를 가지는 제1 차양부로 형성된 발광체;와 상기 인조잔디에 접착고정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발광부의 레이저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광몸체부와, 상기 수광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꺾여진 만곡부를 가지는 제2 차양부로 형성된 수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와 수광체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하여 배치되어 발광체의 레이저 빛이 인조잔디 위를 지나도록 하여 라인 표시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색상이 조사되는 다색의 레이저 광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광체는 수신된 레이저 빛으로 발광체의 오작동 및/또는 종목별 경고 표시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체와 수광체는 10 내지 15 c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광체는 이격된 위치에 서로 다른 발광체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라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라인 표시 방법은 종목별 라인 위치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위치에 발광체와 수광체를 설치한 후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된 종목에서 요구하는 라인 중 터치 혹은 클릭으로 발광체의 온(ON)/오프(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종목에서 요구하는 라인에서 발광체가 오프(OFF)상태에는 점선으로 표시되고, 터치 혹은 클릭으로 발광체가 온(ON)상태에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라인 표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는 레이저 빛이 조사되는 발광체와 수광체가 각각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 형성되어 터프팅된 인조잔디 사이에 접착부재로 고정하여 종목별로 규격의 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는 빛으로 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 야간에도 경기장 라인이 명확히 인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는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서버에 접속하여 종목별 규격의 라인을 제어할 수 있어서 해당 경기와 무관하게 형성된 라인으로 인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운동장에 라인기를 이용하여 라인을 표시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필드에 인조잔디 라인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발광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광체 두 개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수광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라인 설정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필드에 인조잔디 라인 표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의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표시 장치(100)는 각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 형성된 발광체(200) 및 수광체(300)로 종목별 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표시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인조잔디의 터프팅된 원사 사이에 발광체(200)와 수광체(300) 각각을 접착제로 고정시켜 설치한다. 상기 인조잔디 라인 표시 장치(100)는 종목별 규격의 라인 너비에 맞게 발광체(200)와 수광체(300)의 간격을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발광체(200)와 수광체(300)의 설치 간격은 10 내지 15 cm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축구장의 경우 라인의 두께가 12cm인데, 상기 발광체(200)와 수광체(300)의 간격을 12cm 떨어지게 하여 설치하여 레이저 빛을 조사하면 운동 경기 중에 식별 가능한 라인이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체(200) 및 수광체(300)는 인조잔디의 원사(10)와 동일한 색으로 형성된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서 레이저 빛이 조사되지 않는 때에는 라인 표시가 없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체(200) 및 수광체(300)는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서 잔디에 걷거나 뛰는 행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고, 밟히더라도 지지체의 탄성력과 지지체 양옆에 터프팅된 원사에 의해 다시 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는 도 3의 발광체(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발광체 두 개가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발광체(200)는 제1 지지부(210), 발광몸체부(220) 및 제1 차양부(230)을 포함한다. 상기 발광체(200)는 레이저 빛으로 라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빛을 발광시킨다. 상기 발광체(200)는 인접한 위치의 인조잔디 원사(10)의 끝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체(200)는 레이저 빛이 인조잔디 위를 지나도록 하여 라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지지부(210)는 인조잔디(10)가 터프팅된 원단(2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인조잔디 라인 표시 장치(100)는 시공 영역에 원단(20)을 배치한 후 상기 원단(20)에서 라인표시가 필요한 위치에 접착제로 제1 지지부(210)를 고정한 후 규사와 고무칩을 충진하여 시공을 마무리한다.
상기 발광체(200) 및 수광체(300)는 각각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인조잔디 원단(20)에 길게 접착고정되어 라인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광체(200) 및 수광체(300)는 일정한 길이로 제작하여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연결하여 라인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210)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단자돌기(212)와 단자홈(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몸체부(220)는 제1 지지부(210)와 제1 차양부(230)를 연결하고, 상기 레이저 빛이 발광되도록 제어부(221), 발광부(223), 광집속부(225) 및 광확산부(227)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몸체부(220)는 길이가 인조잔디 원사(10)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발광부(223)를 통한 광확산부(227)의 레이저 빛이 인조잔디 원사(10)의 위를 지나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상기 발광몸체부(220)는 제어부(221)에서 발광부(223)의 신호를 제어하여 레이저 빛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광부(223)는 인조잔디 원사(10)의 색과 보색인 색을 선택하거나 노란색 혹은 붉은 색의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발광부(223)는 다색의 레이저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광부(223)는 RED, GREEN, BLUE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223)는 빛의 색이 제어부(22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양한 색상이 조사될 수 있도록 렌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1)는 발광부(223) 빛의 색을 제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온(ON)/오프(OFF)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종목별 라인 위치 정보 및 설치 정보가 입력된 서버로부터 결정된 위치의 라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부(223)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 광집속부(225)는 발광부(223)의 크기, 모양, 밝기 등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집속부(225)는 볼록렌즈 및 오목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부(227)는 광집속부(225)에서 조사된 빛이 다양한 모양으로 회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확산부(227)는 레이저 빛이 직선으로 뻗어나가는 것이 아닌 인조잔디 원사(10) 위에 방사형태로 뻗어나가 발광체(200)와 수광체(300) 사이 면적에 특정 색상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여 라인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차양부(230)는 광확산부(227)에서 방사형태로 뻗어나가는 빛이 외부로 반사되되는 것을 막기 위한 가림막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차양부(230)는 발광몸체부(220)에서 연장되되 끝단이 꺾여져 만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1 차양부(230)의 형상은 인조잔디 원단(10)과 함께 밟히거나 눌리는 경우에 만곡된 영역이 발광부(223), 광집속부(225) 및 광확산부(227)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수광체(3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수광체(300)는 제2 지지부(310), 수광몸체부(320) 및 제2 차양부(330)을 포함한다. 상기 수광체(300)는 발광체(200)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빛을 수신한다. 상기 수광체(300)는 발광체(200)의 광확산부(227)를 통해 조사된 빛을 전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으로, 종목 별 라인을 빛으로 표시할 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수광체(300)에는 하나 이상의 수광체(300)들을 수평방향으로 길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단자돌기(212) 및 단자홈(214)과 동일한 구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부(310)는 인조잔디(10)가 터프팅된 원단(2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광몸체부(320)는 제2 지지부(310)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광몸체부(320)는 레이저 빛을 수신할 수 있도록 제어부(321), 수광부(323)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321)는 수광부(323)에서 수신된 레이저 빛으로 발광체(200)의 오작동 및/또는 종목 별 라인에 공이나 선수의 신체 일부분이 닿을 경우 경고 표시가 가능하도록 수신된 신호를 서버로 전달한다. 이때 경고 표시는 경고등, 경고음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 차양부(330)는 발광체(200)의 레이저 빛이 외부로 반사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가림막 기능을 한다. 상기 제2 차양부(330)는 수광몸체부(320)에서 연장되되 끝단이 꺾여져 만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2 차양부(330)의 형상은 인조잔디 원단(10)과 함께 밟히거나 눌리는 경우에 만곡된 영역이 수광부(323)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쇄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잔디 라인 설정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설정방법은 인조잔디를 시공한 후 시공 면적에서 종목별 라인 표시가 필요한 영역에 발광체(200)와 수광체(300)를 이격하여 배치하여 고정한다.
상기 발광체(200)와 수광체(300)는 인조잔디의 원사(10)와 동일한 색으로 형성된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서 레이저 빛이 조사되지 않을 때는 라인 표시가 없도록 한다. 상기 발광체(200)와 수광체(300)는 설치 후에 인조잔디 상에 표시되지 않으므로 인조잔디 시공 후, 예를 들면 축구, 간이축구(풋살), 배구, 테니스, 농구 등, 종목 별 규정에 맞게 발광체(200)와 수광체(3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설정방법은 라인 표시가 필요한 곳에 두 개의 발광체(200)가 이격되어 마주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빛으로 라인표시가 더 명확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설정방법은 종목별 라인을 전용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서버에 접속하여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인조잔디 라인 설정을 할 수 있는 모니터 화면(500)을 도시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조잔디 시공 면적과 각 종목별 라인 위치를 미리 산정하여 서버와 동일한 위치에 시공한 후,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종목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는 페이지(512)를 도시한 것이다.
선택된 종목에서 요구하는 라인 중 레이저 빛을 터치 혹은 클릭으로 켜면 실선(521)이 되고, 터치 혹은 클릭으로 선택되기 전이나 꺼진 상태에는 점선(522)으로 표시하여 구분한다. 선택된 종목 외 켜진 레이저 빛은 터치 혹은 클릭으로 전원은 차단하여 경기와 무관하게 형성된 라인은 제거하여 혼란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200: 발광체 210: 제1 지지부
220: 발광몸체부 230: 제1 차양부
300: 수광체 310: 제2 지지부
320: 수광몸체부 330: 제2 차양부

Claims (8)

  1. 인조잔디에 설치되는 라인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에 접착고정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몸체부와, 상기 발광몸체부에서 연장되며 끝단이 꺾여진 만곡부를 가지는 제1 차양부로 형성된 발광체;와
    상기 인조잔디에 접착고정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고 상기발광부의 레이저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광몸체부와, 상기 수광몸체부에서 연장되어 끝단이 꺾여진 만곡부를 가지는 제2 차양부로 형성된 수광체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체와 수광체는 연질의 플라스틱 지지체로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이격하여 배치되어 발광체의 레이저 빛이 인조잔디 위를 지나도록 하여 라인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색상이 조사되는 다색의 레이저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체는 수신된 레이저 빛으로 발광체의 오작동 또는 종목별 경고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와 수광체는 10 내지 15 cm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체는 이격된 위치에 서로 다른 발광체가 마주하도록 배치하여 레이저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버로부터 설정된 위치에 라인을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00068979A 2020-06-08 2020-06-08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KR102185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79A KR102185667B1 (ko) 2020-06-08 2020-06-08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979A KR102185667B1 (ko) 2020-06-08 2020-06-08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667B1 true KR102185667B1 (ko) 2020-12-02

Family

ID=73791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979A KR102185667B1 (ko) 2020-06-08 2020-06-08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6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624B1 (ko) 2002-12-10 2003-04-21 윤종수 운동장라인 표시장치
KR20090059093A (ko) * 2009-05-08 2009-06-10 임연준 레이저 네트
KR101943186B1 (ko) 2017-02-16 2019-01-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칙 라인 표시용 마킹테이프
KR101978325B1 (ko) * 2018-01-18 2019-05-1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경기장 라인 및 네트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624B1 (ko) 2002-12-10 2003-04-21 윤종수 운동장라인 표시장치
KR20090059093A (ko) * 2009-05-08 2009-06-10 임연준 레이저 네트
KR101943186B1 (ko) 2017-02-16 2019-01-29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규칙 라인 표시용 마킹테이프
KR101978325B1 (ko) * 2018-01-18 2019-05-14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이저를 이용한 경기장 라인 및 네트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0715B2 (en) Light source projecting lines defining activity area
RU2414947C2 (ru) Система разметки для спортивных площадок
AU636288B2 (en) Object touchdown and net contact detection systems and
ES2914719T3 (es) Sistema y procedimiento de entrenamiento deportivo y juego con emisión de luz
US919284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advertising and other information on athletic surfaces
JP2006513746A (ja) レースコース・データコンパイルシステム
KR102513743B1 (ko) 몰입형 및 반응형 게임 플레이 레인지, 시스템, 및 방법
AU2020201389A1 (en) Sporting or amusement apparatus
KR102185667B1 (ko) 인조잔디 라인 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인 설정방법
CN103791319B (zh) 具有晕光效果的发光装置
KR101656638B1 (ko) 가이드라인 시현 기능을 가지는 골프 티
KR10197832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경기장 라인 및 네트 표시장치
KR102144634B1 (ko) 실내 골프 연습장
JP4833067B2 (ja) 映像演出システム及び映像演出方法
US20040082375A1 (en) Gaming machine
US9962598B2 (en) Court marking switching system
KR102664954B1 (ko) 조도 감지 기능을 갖는 가상 스포츠 장치
CN219195539U (zh) 多功能预制型卷材以及铺装组件
KR102307436B1 (ko) 실내 운동 경기장 시스템
CN208694234U (zh) 一种投掷装置
JP7349225B2 (ja) 遊技機
GB2573159A (en) Luminous medium applied to a sports net, for a system for delivering advertising
KR20230035274A (ko) 종목에 따라 코트 라인의 모양이 바뀌는 경기코트
KR20110121529A (ko) 공위치 확인용 당구대 장치
CA2376295A1 (en) A bowling lane system with light-emitting ele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