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449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449B1
KR102185449B1 KR1020200067415A KR20200067415A KR102185449B1 KR 102185449 B1 KR102185449 B1 KR 102185449B1 KR 1020200067415 A KR1020200067415 A KR 1020200067415A KR 20200067415 A KR20200067415 A KR 20200067415A KR 102185449 B1 KR102185449 B1 KR 102185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wing unit
unit
rear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수
Original Assignee
전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윤수 filed Critical 전윤수
Priority to KR102020006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1F15/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40Parts or components, e.g. receptacles, 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01F29/401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 B01F29/402Receptacles, e.g. provided with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disposition or configuration of the interior of the receptacles
    • B01F29/4023Nature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9/0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 B01F29/60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 B01F29/64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e.g. drum mixers with stirring devices moving in relation to the receptacle, e.g. rot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9/08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B01F2009/009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Abstract

본 발명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내부에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교반 분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 분해부를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FOOD WASTE DI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식물 쓰레기는 전체 쓰레기양의 삼분의 일을 차지할 정도로 그 양이 많으며, 부패속도가 빨라 악취가 심하고, 처리비용이 높으며, 수분함량이 높은 단점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방법으로는, 음식물 쓰레기의 매립 방법과, 종량제 봉투를 활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쓰레기 매립 방법은 환경오염 및 오수발생률이 심하고, 부지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종량제 봉투를 활용하는 방법은 음식물 쓰레기의 높은 부패속도로 인한 악취가 심하고, 처리 및 수거 과정이 번거로우며, 작업에 따른 인력소모 및 작업시간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가정 및 음식점 등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자체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건조식, 분쇄식, 미생물 활용방식 등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건조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함수율을 낮추기 위하여 가열수단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방식으로, 전력소모가 높아 유지비용이 많이 들고, 악취가 심하며, 사고위험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또한, 분쇄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회전날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소정의 크기로 분쇄 및 파쇄 시켜 하수도를 통해 배출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공간소모 및 설치비용이 높으며, 분쇄 후 음식물 쓰레기의 80%를 다시 회수하여 별도로 버려야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0764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31865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원통형의 드럼이 모터 구동으로 회전되면서 드럼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되고, 발효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드럼의 타공망을 통해 액상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내부에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교반 분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 분해부를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 분해부는, 원통 드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 회전부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타공홀들이 형성되는 타공 드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타공 드럼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타공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공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서 교반시켜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타공 드럼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공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타공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기 위한 스크럽 브러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유입관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타공 드럼의 내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공 드럼을 지지하여 상기 타공 드럼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타공 드럼의 내부 공간의 상측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관; 및 상기 경사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관 및 상기 경사관을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타공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교반 분해부로부터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일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 날개는, 하측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좁아지고,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날개 유닛;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간 날개 유닛; 및 상기 중간 날개 유닛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날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날개 유닛은,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교반 플레이트; "T"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교반 중인 음식물 쓰레기와의 마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상부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은,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부 슬라이딩 레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은, 상기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을 따라 하부 슬라이딩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후단을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날개 지지부는,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후단으로부터 후단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후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후단을 지지하는 곡선형 지지 바아; 상기 배출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 하부가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의 전단 상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이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의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함께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와 함께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는 바아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아 지지부는, "T"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프레임;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슬라이딩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부 지지 블록; 상기 상부 지지 블록의 하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상부 지지 블록과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 사이의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 스프링에 의하여 거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 블록의 하측에서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의 상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가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의 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에 맞물린 상태로 상기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원통형의 드럼이 모터 구동으로 회전되면서 드럼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되고, 발효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드럼의 타공망을 통해 액상을 배출시켜 분해 처리되지 못한 음식 물쓰레기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공기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교반 분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교반 날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교반 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바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는, 케이스(100), 교반 분해부(200) 및 드럼 회전부(300)를 포함한다.
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 공간에 교반 분해부(200)가 안착되고, 일측에 교반 분해부(200)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드럼 회전부(3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케이스(100)는, 교반 분해부(200)로부터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0)가 일측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교반 분해부(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10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내부에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배출시킨다.
드럼 회전부(3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구비된 스텝 모터 등의 구동 장치를 이용하여 교반 분해부(200)를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10)는, 원통형의 드럼이 모터 구동으로 회전되면서 드럼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이 교반되고, 발효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가 드럼의 타공망을 통해 액상을 배출시켜 분해 처리되지 못한 음식 물쓰레기의 교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쓰레기의 공기분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교반 분해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교반 분해부(200)는, 타공 드럼(210), 유입관(2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230) 및 스크럽 브러쉬(240)를 포함한다.
타공 드럼(210)은, 외주면을 따라 타공홀이 열을 지어 형성되는 원통 드럼 형태로 형성되며, 드럼 회전부(300)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타공홀들이 형성된다.
유입관(220)은,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타공 드럼(210)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타공 드럼(21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유입관(220)은, 수평관(221), 경사관(222) 및 배출관(223)을 포함한다.
수평관(221)은, 케이스(100)의 외부로부터 타공 드럼(210)의 내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공 드럼(210)을 지지하여 타공 드럼(210)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한다.
경사관(222)은, 수평관(221)의 단부로부터 타공 드럼(210)의 내부 공간의 상측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배출관(223)은, 경사관(222)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수평관(221) 및 경사관(222)을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타공 드럼(210)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킨다.
이때, 유입관(220)은,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위한 별도의 스크류 컨베이어 장치 등의 이송 장치 없이 별도로 구비된 음식물 분쇄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공급 압력에 의해 밀려 수평관(221), 경사관(222) 및 배출관(223)을 거쳐 타공 드럼(210)의 내부 공간으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시킬 수 있다.
교반 날개(230)는, 유입관(220)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공 드럼(210)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서 교반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교반 날개(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좁아지고,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스크럽 브러쉬(240)는, 케이스(100)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타공 드럼(210)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가 상측에 형성되어 타공 드럼(210)이 회전함에 따라 타공 드럼(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교반 분해부(200)는, 기존의 음식물 처리 장치의 교반 장치에 비하여 적은 전력만으로도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교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내부에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교반 날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교반 날개(230)는, 상부 날개 유닛(400), 중간 날개 유닛(500) 및 하부 날개 유닛(600)을 포함한다.
상부 날개 유닛(400)은, 배출관(223)의 하측에 설치되고, 하부에 중간 날개 유닛(5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중간 날개 유닛(500)은, 상부 날개 유닛(40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에 하부 날개 유닛(600)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날개 유닛(500)은, 교반 플레이트(510),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520), 및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530)을 포함할 수 있다.
교반 플레이트(510)는, 상부 날개 유닛(40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520)은, "T" 형태로 형성되어 교반 플레이트(510)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교반 중인 음식물 쓰레기와의 마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부 날개 유닛(400)의 하부, 즉 상부 슬라이딩 레일홈(410)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530)은, 하부 날개 유닛(600)의 상부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5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교반 플레이트(510)의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며, 하부 슬라이딩 프레임(610)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하부 날개 유닛(600)은, 중간 날개 유닛(50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날개 유닛(400)은,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520)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5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부 슬라이딩 레일홈(410)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날개 유닛(600)은,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530)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52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을 따라 하부 슬라이딩 프레임(610)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교반 날개(230)는, 별도의 구동 장치에 연결되지 아니하고 배출관(223)의 하측에 고정 설치되어 타공 드럼(2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 교반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전기의 소비량은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교반 날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230a)는, 상부 날개 유닛(400), 중간 날개 유닛(500), 하부 날개 유닛(600) 및 날개 지지부(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날개 유닛(400), 중간 날개 유닛(500) 및 하부 날개 유닛(600)은, 도 4 또는 5와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날개 지지부(700)는, 음식물과의 마찰에 따라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하부 날개 유닛(600)의 후단을 지지함으로써,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230a)가 부러져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탄성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 교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날개 지지부(700)는, 곡선형 지지 바아(710), 지지 프레임(720) 및 바아 지지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곡선형 지지 바아(710)는, 하부 날개 유닛(600)의 후단으로부터 후단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상부 날개 유닛(400)의 후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부 날개 유닛(600)의 후단을 지지하며, 상측에 안착되는 바아 지지부(730)에 의해 지지된다.
지지 프레임(720)은, 배출관(223)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측에 바아 지지부(73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아 지지부(730)는, 지지 프레임(720)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720)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 하부가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전단 상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부 날개 유닛(400)의 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420)에 안착되며, 하부 날개 유닛(600)이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전단이 슬라이딩홈(420)으로 삽입됨에 따라 함께 곡선형 지지 바아(710)와 함께 슬라이딩홈(420)으로 삽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반 날개(230a)는, 도 7에 도시된 바아 같이 중간 날개 유닛(500) 또는 하부 날개 유닛(600)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도 7의 1, 2 화살표의 경우) 곡선형 지지 바아(710)가 승강되며(도 7의 3 화살표의 경우), 이에 따라 곡선형 지지 바아(710)에 체결된 바아 지지부(730)가 지지 프레임(720)의 하측을 따라 전진하면서(도 7의 4 화살표의 경우)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승강(도 7의 5 화살표의 경우)에 따른 압력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6의 바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바아 지지부(730)는, 슬라이딩 프레임(731), 상부 지지 블록(732), 다수 개의 지지 스프링(733) 및 하부 지지 블록(734)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프레임(731)은, "T"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프레임(720)의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레일(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하측에 상부 지지 블록(732)이 설치된다.
상부 지지 블록(732)은,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측에 슬라이딩 프레임(731)이 설치되고, 하측을 따라 다수 개의 다수 개의 지지 스프링(733)이 설치된다.
지지 스프링(733)은, 상부 지지 블록(732)의 하측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되며, 하측에 하부 지지 블록(734)이 설치된다.
하부 지지 블록(734)은, 상부 지지 블록(732)과 곡선형 지지 바아(710) 사이의 공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 스프링(733)에 의하여 거치되어 상부 지지 블록(732)의 하측에서 설치되어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상측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가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되는 기어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곡선형 지지 바아(710)에 맞물린 상태로 슬라이딩홈(420)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바아 지지부(730)는,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승강 및 전진에 따라 함께 전진하면서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승강을 지지 스프링(733)에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탱함으로써 곡선형 지지 바아(710)의 승강을 저지시켜 중간 날개 유닛(500) 및 하부 날개 유닛(60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100: 케이스
200: 교반 분해부
300: 드럼 회전부

Claims (2)

  1.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는 케이스;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와 내부에 구비되는 미생물 간의 교반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교반 분해부; 및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교반 분해부를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 분해부는,
    원통 드럼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드럼 회전부에 연결 설치되어 회전하며,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타공홀들이 형성되는 타공 드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타공 드럼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타공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유입관;
    상기 유입관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공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서 교반시켜 주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교반 날개; 및
    상기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타공 드럼의 하측에 밀착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브러쉬가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타공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타공 드럼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긁어서 제거하기 위한 스크럽 브러쉬;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관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타공 드럼의 내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타공 드럼을 지지하여 상기 타공 드럼의 회전축으로서 기능하는 수평관;
    상기 수평관의 단부로부터 상기 타공 드럼의 내부 공간의 상측의 경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사관; 및
    상기 경사관의 단부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평관 및 상기 경사관을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타공 드럼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교반 분해부로부터 배출되는 분해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가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교반 날개는,
    하측 단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전후 폭이 좁아지고,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배출관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부 날개 유닛;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중간 날개 유닛; 및
    상기 중간 날개 유닛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하부 날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날개 유닛은,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교반 플레이트;
    "T"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교반 중인 음식물 쓰레기와의 마찰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 및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상부가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교반 플레이트의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은,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이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부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부 슬라이딩 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은,
    상기 중간 슬라이딩 레일홈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 슬라이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을 따라 하부 슬라이딩 프레임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교반 날개는,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후단을 지지하는 날개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날개 지지부는,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후단으로부터 후단 상측 방향으로 둥글게 절곡되면서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후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의 후단을 지지하는 곡선형 지지 바아;
    상기 배출관의 후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단 하부가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의 전단 상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날개 유닛의 후단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홈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날개 유닛이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의 전단이 상기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함께 상기 곡선형 지지 바아와 함께 슬라이딩홈으로 삽입되는 바아 지지부;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2. 삭제
KR1020200067415A 2020-06-04 2020-06-04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2185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15A KR102185449B1 (ko) 2020-06-04 2020-06-04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415A KR102185449B1 (ko) 2020-06-04 2020-06-04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5449B1 true KR102185449B1 (ko) 2020-12-01

Family

ID=7379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415A KR102185449B1 (ko) 2020-06-04 2020-06-04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8914A (zh) * 2023-12-01 2023-12-29 内蒙古蓝色火宴科技环保股份公司 一种用于生物质燃料生产的搅拌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332U (ja) * 1984-05-11 1985-11-28 三井造船株式会社 移動翼式撹拌機に於ける撹拌翼の支持構造
JP3780349B2 (ja) * 1996-07-11 2006-05-31 海上保安庁長官 微生物による生ごみ処理機
KR101631865B1 (ko) 2015-03-20 2016-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식물처리기 및 이에 연결되는 배수관 막힘방지 구조
KR20180055314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타 셋 수평형 탈수 드럼 스크린
KR20190111303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교반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KR102107648B1 (ko) 2019-07-25 2020-05-28 (주)더녹색성장 폐수가 발생되지 않는 음식물처리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9332U (ja) * 1984-05-11 1985-11-28 三井造船株式会社 移動翼式撹拌機に於ける撹拌翼の支持構造
JP3780349B2 (ja) * 1996-07-11 2006-05-31 海上保安庁長官 微生物による生ごみ処理機
KR101631865B1 (ko) 2015-03-20 2016-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음식물처리기 및 이에 연결되는 배수관 막힘방지 구조
KR20180055314A (ko) * 2016-11-16 2018-05-25 주식회사 타 셋 수평형 탈수 드럼 스크린
KR20190111303A (ko) * 2018-03-22 2019-10-02 주식회사 세원시스첸 교반날개 및 이를 포함하는 교반장치
KR102107648B1 (ko) 2019-07-25 2020-05-28 (주)더녹색성장 폐수가 발생되지 않는 음식물처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98914A (zh) * 2023-12-01 2023-12-29 内蒙古蓝色火宴科技环保股份公司 一种用于生物质燃料生产的搅拌设备
CN117298914B (zh) * 2023-12-01 2024-01-26 内蒙古蓝色火宴科技环保股份公司 一种用于生物质燃料生产的搅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82896A (ja) 生ごみ処理装置
CN109759417A (zh) 一种环保型微生物法垃圾处理装置及垃圾处理方法
KR10150122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18544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CN211586900U (zh) 一种厨余垃圾处理装置
KR2018009516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0560476A (zh) 一种土壤治理预处理装置
KR20160043283A (ko) 음식물 쓰레기용 분쇄기 및 이를 포함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5003300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2012010691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1203426B (zh) 一种节能环保的餐厨垃圾处理系统及其工作方法
KR20130016481A (ko) 미생물을 이용한 교반통 회전타입의 음식물처리장치
KR2017002922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24609B1 (ko) 유기성폐기물 반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성폐기물 소멸화 처리시스템
JP4580780B2 (ja) 生ごみ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2011167604A (ja) カルシウム含有夾雑物除去方法、カルシウム含有夾雑物除去部、メタン発酵前処理システム、並びにメタン発酵システム
KR101771118B1 (ko) 슬러지 분리기가 내장된 음식쓰레기 분해 처리장치
KR2004010735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CN210700338U (zh) 一种城市生活垃圾粉碎预处理设备
KR101607591B1 (ko) 칼날, 칼집 및 레일이 구비된 드럼식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장치
KR100827625B1 (ko) 폐수 처리용 전처리 장치
KR10074563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건조실
KR0147763B1 (ko) 음식물 찌꺼기 재활용 처리장치
CN113290026B (zh) 一种餐厨餐余垃圾一体化处理设备及使用方法
CN219356420U (zh) 一种牛粪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