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250B1 -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250B1
KR102185250B1 KR1020140070250A KR20140070250A KR102185250B1 KR 102185250 B1 KR102185250 B1 KR 102185250B1 KR 1020140070250 A KR1020140070250 A KR 1020140070250A KR 20140070250 A KR20140070250 A KR 20140070250A KR 102185250 B1 KR102185250 B1 KR 102185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light source
light
source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132A (ko
Inventor
임동성
이규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525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제1 광원 플레이트 및 제2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부, 및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는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전류와 다른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부의 휘도의 균일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전류량이 조절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DISPLAY DEVICE AND LIGHT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는 스스로 발광하지 못하는 수광형 소자로서,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패널과 여기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 장치로 크게 나누어진다. 백라이트 장치는 빛을 방출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으로는 냉음극 형광 램프(cold cathode flourescent lamp, CCFL) 또는 외부 전극 형광 램프(external electrode flourescent lamp, EEFL) 등이 사용되며, 최근에는 램프 대신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사용한다.
발광 다이오드는 냉음극 형광 램프와 달리 수은이 없어 친환경적이고 색 재현성도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대비 104%로 좀더 자연에 가까운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최근에는 저소비 전력의 제품에 대해 국가에서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의 정책이 제안되고 있다. 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점을 감안할 때,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제1 광원 플레이트 및 제2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라이트 부, 및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는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전류와 다른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부의 휘도의 균일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전류량이 조절된다.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는 상기 라이트 부의 중앙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류는 상기 제2 전류보다 전류량이 클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제2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2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부는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제3 광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좌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3 광원 플레이트에 제3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류는 상기 제2 전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부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라이트 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대인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소인 영역의 휘도값의 비율이 상기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전류와 상기 제2 전류의 전류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타일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표시부, 상기 복수의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라이트 부, 및 상기 복수의 라이트 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에서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는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좌우측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부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이트 부의 휘도의 균일성이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전류 및 상기 제2 전류의 전류량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 장치는 제1 광원 플레이트,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 플레이트,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광원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2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3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3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전류와 상기 제3 전류의 전류량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채널,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채널, 및 상기 제3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3 전류를 공급하는 제3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저항, 상기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저항, 및 상기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3 전류를 생성하는 제3 저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을 광원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영역을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대인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소인 영역의 휘도값의 비율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상기 제1 내지 제3 전류의 전류량이 조절될 수 있다.
휘도의 균일성에 대한 기준치를 만족하면서 표시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에서 서로 다른 전류량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신호 제어부(100), 스캔 구동부(200), 데이터 구동부(300), 표시부(400), 백라이트 부(500) 및 전원 공급부(600)를 포함한다.
표시부(400)는 복수의 스캔선(S1~Sn), 복수의 데이터선(D1~Dm) 및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화소(PX)는 복수의 신호선들(S1~Sn, D1~Dm)에 연결되어 대략 행렬의 형태로 배열된다. 복수의 스캔선(S1~Sn)은 대략 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복수의 데이터선(D1~Dm)은 대략 열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가 거의 평행하다.
표시부(400)는 액정 표시판 조립체일 수 있으며, 액정 표시판 조립체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도 2의 10 참조)과 이에 대향하는 공통 전극 표시판(도 2의 20 참조), 두 표시판(10, 20) 사이에 충진되는 액정층(도 2의 15 참조)을 포함한다. 표시부(400)의 바깥 면에는 빛을 편광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편광자(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신호(ImS) 및 이의 표시를 제어하는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 신호(ImS)는 복수의 화소의 휘도(luminance) 정보를 담고 있다. 휘도는 정해진 수효, 예를 들어, 1024(=210), 256(=28) 또는 64(=26)개의 계조(gray)를 가지고 있다. 입력 제어 신호는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 수평 동기 신호(Hsync), 수직 동기 신호(Vsync) 및 메인 클록 신호(MCLK)를 포함한다.
신호 제어부(100)는 영상 데이터 신호(DAT) 및 데이터 제어신호(CONT2)를 데이터 구동부(300)에 전달한다. 데이터 제어신호(CONT2)는 데이터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영상 데이터 신호(DAT)의 전송 시작을 알리는 수평 동기 시작 신호(STH),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데이터 신호(data)의 출력을 지시하는 출력 신호(TP), 데이터 클록 신호(HCLK)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제어신호(CONT2)는 공통 전압(Vcom)에 대한 영상 데이터 신호(DAT)의 전압 극성을 반전시키는 반전 신호(RV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스캔 제어신호(CONT1)를 스캔 구동부(200)에 전달한다. 스캔 제어신호(CONT1)는 스캔 구동부(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써, 스캔 구동부(200)에서의 스캔 시작 신호(STV) 및 게이트 온 전압의 출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클록 신호(CKV)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캔 제어신호(CONT1)는 게이트 온 전압의 지속 시간을 한정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제어부(100)는 전원 제어신호(CONT3)를 전원 공급부(600)에 전달한다. 전원 제어신호(CONT3)는 전원 공급부(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이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표시부(400)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며, 영상 데이터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선택한 계조 전압을 데이터 신호(data)로서 데이터선(D1~Dm)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300)는 정해진 수의 기준 계조 전압을 분압하여 전체 계조에 대한 계조 전압을 생성할 수 있고, 이 중에서 영상 데이터 신호(DAT)에 대응하는 계조 전압을 선택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200)는 표시부(400)에 배치된 복수의 스캔선(S1~Sn)에 연결되고, 스위칭 소자(도 2의 Q 참조)를 턴 온(turn on)시키는 게이트 온 전압과 턴 오프(turn off)시키는 게이트 오프 전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스캔 신호를 복수의 스캔선(S1~Sn)에 인가한다. 스캔 구동부(200)는 게이트 온 전압의 스캔 신호를 복수의 스캔선(S1~Sn)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백라이트 부(500)는 표시부(400)의 후면에 배치되고, 표시부(400)로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 부(500)는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각각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로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가 채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발광 소자는 광원 플레이트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광원 플레이트는 표시부(400)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을 포함하고, 복수의 발광 소자는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표시부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는 표시부(400)에 광을 공급하는 라이트 유닛으로 표시부(400)의 후면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부(500)를 예시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구성에 따라 라이트 유닛으로 표시부(400)의 전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라이트 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600)는 전원 제어신호(CONT3)에 따라 백라이트 부(5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600)는 백라이트 부(500)에 포함된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에 대해 서로 다른 전류량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0)는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제1 전류보다 전류량이 작은 제2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전류와 제2 전류의 전류량은 백라이트 부(500)의 휘도의 균일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조절된다.
상술한 백라이트 부(500)와 전원 공급부(600)가 하나의 백라이트 장치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신호 제어부(100), 스캔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 칩의 형태로 표시부(400) 위에 직접 장착되거나, 가요성 인쇄 회로막(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위에 장착되거나 TCP(tape carrier package)의 형태로 표시부(400)에 부착되거나, 별도의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위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신호 제어부(100), 스캔 구동부(200) 및 데이터 구동부(300)는 복수의 스캔선(S1~Sn) 및 복수의 데이터선(D1~Dm)과 함께 표시부(400)에 집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 게이트(Amorphous Silicon Gate, ASG)에 의해 스캔 구동부(200)의 기능이 표시부(400)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구동부(300)는 신호 제어부(100)의 기능이 내장된 구동 IC(integrated circuit) 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한 화소에 대한 등가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400)의 하나의 화소(PX)에 대하여 설명한다. i번째 스캔선(Si), 및 j번째 데이터선(Dj)에 연결된 화소(PX)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1<i≤n, 1≤j≤m). 화소(PX)는 스위칭 소자(Q)와 이에 연결된 액정 커패시터(Clc) 및 유지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스위칭 소자(Q)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에 구비되어 있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의 삼단자 소자이다. 스위칭 소자(Q)는 스캔선(S1~Sn)에 연결되어 있는 게이터 단자, 데이터선(D1~Dm)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 단자, 액정 축전기(Clc) 및 유지 축전기(Cst)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비정질 규소(amorphous silicon) 또는 다결정 규소(poly crystalline silicon)를 포함한다.
한편, 박막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이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Oxide TFT)일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티타늄(Ti), 하프늄(Hf), 지르코늄(Zr), 알루미늄(Al), 탄탈륨(Ta), 게르마늄(Ge), 아연(Zn), 갈륨(Ga), 주석(Sn) 또는 인듐(In)을 기본으로 하는 산화물, 이들의 복합 산화물인 산화아연(ZnO), 인듐-갈륨-아연 산화물(InGaZnO4), 인듐-아연 산화물(Zn-In-O), 아연-주석 산화물(Zn-Sn-O) 인듐-갈륨 산화물 (In-Ga-O), 인듐-주석 산화물(In-Sn-O), 인듐-지르코늄 산화물(In-Zr-O), 인듐-지르코늄-아연 산화물(In-Zr-Zn-O), 인듐-지르코늄-주석 산화물(In-Zr-Sn-O), 인듐-지르코늄-갈륨 산화물(In-Zr-Ga-O), 인듐-알루미늄 산화물(In-Al-O), 인듐-아연-알루미늄 산화물(In-Zn-Al-O), 인듐-주석-알루미늄 산화물(In-Sn-Al-O), 인듐-알루미늄-갈륨 산화물(In-Al-Ga-O), 인듐-탄탈륨 산화물(In-Ta-O), 인듐-탄탈륨-아연 산화물(In-Ta-Zn-O), 인듐-탄탈륨-주석 산화물(In-Ta-Sn-O), 인듐-탄탈륨-갈륨 산화물(In-Ta-Ga-O), 인듐-게르마늄 산화물(In-Ge-O), 인듐-게르마늄-아연 산화물(In-Ge-Zn-O), 인듐-게르마늄-주석 산화물(In-Ge-Sn-O), 인듐-게르마늄-갈륨 산화물(In-Ge-Ga-O), 티타늄-인듐-아연 산화물(Ti-In-Zn-O), 하프늄-인듐-아연 산화물(Hf-In-Zn-O)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채널 영역과, 채널 영역의 양 옆으로 불순물이 도핑되어 형성된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여기서, 이러한 불순물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N형 불순물 또는 P형 불순물이 가능하다.
반도체층이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고온에 노출되는 등의 외부 환경에 취약한 산화물 반도체를 보호하기 위해 별도의 보호층이 추가될 수 있다.
액정 커패시터(Clc)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의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 표시판(20)의 공통 전극(CE)을 두 단자로 하며,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의 액정층(15)은 유전체로서 기능한다. 액정층(15)은 유전율 이방성(dielectric anisotropy)을 갖는다.
화소 전극(PE)은 스위칭 소자(Q)에 연결되며 공통 전극(CE)은 공통 전극 표시판(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고 공통 전압(Vcom)을 인가 받는다. 도 2에서와는 달리 공통 전극(CE)이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에 구비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때에는 두 전극(PE, CE) 중 적어도 하나가 선형 또는 막대형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액정 커패시터(Clc)의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유지 커패시터(Cst)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에 구비된 별개의 신호선(미도시)과 화소 전극(PE)이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중첩되어 이루어지며, 이 별개의 신호선에는 공통 전압(Vcom) 따위의 정해진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공통 전극 표시판(20)의 공통 전극(CE)의 일부 영역에 색 필터(CF)가 형성될 수 있다. 각 화소(PX)가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고유하게 표시하고 기본색의 공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각 화소(PX)가 시간에 따라 번갈아 기본색을 표시하고 기본색의 시간적 합으로 원하는 색상이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색의 예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의 삼원색을 들 수 있다.
여기서는 공간 분할의 한 예로서 각 화소(PX)가 화소 전극(PE)에 대응하는 공통 전극 표시판(20)의 영역에 기본색 중 하나를 나타내는 색 필터(CF)를 구비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달리 색 필터(CF)는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10)의 화소 전극(PE)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백라이트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장치는 백라이트 부(500) 및 전원 공급부(60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부(500)는 제1 광원 플레이트(511), 제1 광원 플레이트(511)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1 광원 플레이트(511)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광원 플레이트(513)를 포함한다.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 각각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521)를 포함한다.
전원 공급부(500)는 제1 광원 플레이트(511)와 제1 채널로 연결되고, 제1 채널을 통해 제1 광원 플레이트(511)에 제1 전류(I1)를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500)는 제2 광원 플레이트(512)와 제2 채널로 연결되고, 제2 채널을 통해 제2 광원 플레이트(512)에 제2 전류(I2)를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500)는 제3 광원 플레이트(513)와 제3 채널로 연결되고, 제3 채널을 통해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제3 전류(I3)를 공급한다. 제2 전류(I2)의 전류량은 제1 전류(I1)의 전류량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3 전류(I3)의 전류량은 제1 전류(I1)의 전류량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전류(I2)와 제3 전류(I3)의 전류량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류(I1)는 160mA이고,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는 150mA일 수 있다. 또는 제1 전류(I1)는 160mA이고,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는 155mA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백라이트 부(50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 광원 플레이트(511)에 공급되는 제1 전류(I1)에 비해, 백라이트 부(500)의 좌우측에 위치하는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공급되는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의 전류량을 작게 조절함으로써,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하나의 광원 소자(521)의 구동 전압을 Vf, 발광 소자(521)의 개수를 k, 발광 소자(521)에 흐르는 구동 전류를 I라 할 때,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은 W = I×Vf×k 이다.
표 1은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포함되는 발광 소자(521)가 342개일 때,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공급되는 전류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을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다. 광원 소자(521)의 구동 전압(Vf)은 구동 전류(I)가 160mA 일 때 대략 3.32V가 되고, 구동 전류(I)가 150mA, 155mA 일 때 대략 3.3V가 된다.
Figure 112014054215994-pat00001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를 기준 전류인 160mA로 공급한 제1 실시예(Case1)에는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W)이 대략 182W가 되었다.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를 기준 전류보다 작은 150mA로 공급한 제2 실시예(Case2)에는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W)이 대략 169W가 되었다. 제1 실시예(Case1)에 비하여, 소비 전력(W)이 대략 13W 정도 줄어들었다. 하지만, 백라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휘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제1 전류(I1)를 기준 전류인 160mA로 공급하고,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를 155mA로 공급한 제3 실시예(Case3)에는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W)이 대략 178W가 되었다. 제1 실시예(Case1)에 비하여, 소비 전력(W)이 대략 4W 정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제1 실시예(Case1)에 비하여 백라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휘도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의 균일도가 기준치 이상을 만족하였다.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의 균일도에 대해서는 도 6에서 후술한다.
제1 전류(I1)를 기준 전류인 160mA로 공급하고,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를 150mA로 공급한 제4 실시예(Case4)에는 백라이트 장치의 소비 전력(W)이 대략 173W가 되었다. 제1 실시예(Case1)에 비하여, 소비 전력(W)이 대략 9W 정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제1 실시예(Case1)에 비하여 백라이트 장치의 전체적인 휘도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의 균일성이 기준치 이상을 만족하였다.
따라서, 제안하는 백라이트 장치는 제3 실시예(Case3) 또는 제4 실시예(Case4)와 같이,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이면서 휘도의 균일도를 기준치 이상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과의 차이점으로, 백라이트 부(500)는 제1 광원 플레이트(511), 제1 광원 플레이트(511)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1 광원 플레이트(511)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광원 플레이트(513)를 포함한다.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 각각은 표시부(400)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540) 및 도광판(540)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541)를 포함한다. 즉, 도 3은 복수의 발광 소자(521)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직하형의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고, 도 4는 복수의 발광 소자(541)가 도광판(540)의 일측에 배치되는 에지형의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낸다.
다른 구성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3 및 4에서는 전원 공급부(600)에서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가 생성되고,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가 공급되는 방식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이와 달리, 복수의 저항을 이용하여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가 생성되어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부에서 서로 다른 전류량의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공급부(600)에서는 하나의 출력 채널을 통해 기준 전류(I0)를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0)의 출력 채널에 제1 저항(R1),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이 병렬로 연결된다. 제1 저항(R1)의 저항값은 제2 저항(R2) 및 제3 저항(R3)의 저항값과 서로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저항값의 차이로 인하여 제1 저항(R1)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1 전류(I1)가 되고, 제2 저항(R2)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2 전류(I2)가 되고, 제3 저항(R3)을 통해 흐르는 전류는 제3 전류(I3)가 된다. 즉, 제1 저항(R1)은 전원 공급부(600)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류(I0)로부터 제1 전류(I1)를 생성하고, 제2 저항(R2)은 기준 전류(I0)로부터 제2 전류(I2)를 생성하고, 제3 저항(R3)은 기준 전류(I0)로부터 제3 전류(I3)를 생성한다.
이제,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이 기준치 이상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백라이트 부(500)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눈다. 여기서는 백라이트 부(500)를 9개의 영역(A 내지 I)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휘도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영역(A 내지 I) 각각의 휘도를 측정한다.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대인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소인 영역의 휘도값을 비율을 산출한다. 산출된 비율이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나타낸다.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이 되는 범위 내에서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가 조절될 수 있다.
표 2는 도 3의 백라이트 장치에서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160mA의 제1 전류(I1) 내지 제3 전류(I3)를 공급하였을 때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54215994-pat00002
표 3은 도 3의 백라이트 장치에서 제1 광원 플레이트(511)에는 160mA의 제1 전류(I1)를 공급하고,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는 140mA의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를 공급하였을 때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54215994-pat00003
표 4는 도 3의 백라이트 장치에서 제1 광원 플레이트(511)에는 160mA의 제1 전류(I1)를 공급하고,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는 130mA의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를 공급하였을 때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54215994-pat00004
표 5는 도 3의 백라이트 장치에서 제1 광원 플레이트(511)에는 160mA의 제1 전류(I1)를 공급하고,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는 120mA의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를 공급하였을 때의 휘도 균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54215994-pat00005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의 기준치는 제품에 요구되는 성능의 기준치이다. 예를 들어,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은 85%, 80% 등으로 미리 정해질 수 있다.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의 기준치가 80%인 경우, 표 2에서와 같이 백라이트 장치에서 제1 광원 플레이트(51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160mA의 동일한 전류를 인가한 경우뿐만 아니라, 표 3 및 4와 같이 제1 광원 플레이트(511)에 공급되는 전류보다 30mA 작은 전류를 제2 광원 플레이트(512) 및 제3 광원 플레이트(513)에 공급하는 경우에도 휘도 균일성을 만족하게 된다. 즉,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만족시키면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복수의 표시 장치를 타일 형태로 배치하여 복수의 표시 장치가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 균일성을 만족시키면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 및 8에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복수의 표시부가 타일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는 4개의 표시부(미도시)가 타일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복수의 표시부 각각의 후면에는 복수의 백라이트 부(501, 502, 503, 504)가 배치된다. 복수의 백라이트 부(501, 502, 503, 504) 각각은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복수의 백라이트 부(501, 502, 503, 504) 각각에 제1 내지 제4 전원 공급부(601, 602, 603, 604)가 각각 연결된다. 제1 내지 제4 전원 공급부(601, 602, 603, 604) 각각은 복수의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에서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 제1 전류(I1)를 공급하고, 표시 영역의 좌우측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는 제1 전류(I1)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2 전류(I2) 및 제3 전류(I3)를 공급한다. 제2 전류(I2)와 제3 전류(I3)의 전류량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각각은 복수의 표시부 각각으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소자를 포함한다. 이외의 구성은 도 7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7 및 8에서와 같이, 복수의 표시부가 타일 형태로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서도 표시 영역의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류보다 표시 영역의 좌우측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 공급되는 전류의 전류량을 작게 조절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복수의 백라이트 부(501, 502, 503, 504)의 휘도의 균일성이 기준치 이상이 되도록 제1 전류, 제2 전류 및 제3 전류의 전류량이 조절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백라이트 장치의 휘도의 균일성이 만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신호 제어부
200 : 스캔 구동부
300 : 데이터 구동부
400 : 표시부
500 : 백라이트 부
600 : 전원 공급부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제1 광원 플레이트 및 제2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라이트 부; 및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는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 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대인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소인 영역의 휘도값의 비율이 80% 내지 85%가 되도록 상기 제2 전류의 전류량이 정해지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는 상기 라이트 부의 중앙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제1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제2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2 전류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저항; 및
    상기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저항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 부는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좌우측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제3 광원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는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좌우측 중 다른 하나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상기 제3 광원 플레이트에 제3 전류를 공급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류는 상기 제2 전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부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삭제
  11. 타일 형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표시부;
    상기 복수의 표시부에 광을 공급하는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라이트 부; 및
    상기 복수의 라이트 부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에서 중앙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는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좌우측 부분에 대응하는 광원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라이트 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대인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소인 영역의 휘도값의 비율이 80% 내지 85%가 되도록 상기 제2 전류의 전류량이 정해지는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표시부로 광을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삭제
  15. 제1 광원 플레이트;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광원 플레이트;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의 타측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광원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제1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2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제3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보다 작은 전류량의 제3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라이트 부를 복수의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대인 영역의 휘도값에 대한 상기 복수의 영역 중에서 휘도가 최소인 영역의 휘도값의 비율이 80% 내지 85%가 되도록 상기 제2 및 제3 전류의 전류량이 정해지는 라이트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류와 상기 제3 전류의 전류량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트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1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채널;
    상기 제2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2 전류를 공급하는 제2 채널; 및
    상기 제3 광원 플레이트에 상기 제3 전류를 공급하는 제3 채널을 더 포함하는 라이트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출력되는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1 전류를 생성하는 제1 저항;
    상기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2 전류를 생성하는 제2 저항; 및
    상기 기준 전류로부터 상기 제3 전류를 생성하는 제3 저항을 더 포함하는 라이트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라이트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광원 플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을 광원 플레이트의 전면으로 제공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라이트 장치.
KR1020140070250A 2014-06-10 2014-06-10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KR102185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50A KR102185250B1 (ko) 2014-06-10 2014-06-10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250A KR102185250B1 (ko) 2014-06-10 2014-06-10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32A KR20150142132A (ko) 2015-12-22
KR102185250B1 true KR102185250B1 (ko) 2020-12-02

Family

ID=5508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250A KR102185250B1 (ko) 2014-06-10 2014-06-10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5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8872B1 (ko) 2016-08-26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4772B1 (ko) * 2004-06-30 2011-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장치
KR20080050043A (ko) * 2006-12-01 2008-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511189B1 (ko) * 2008-11-18 2015-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689363B1 (ko) * 2010-05-12 2017-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20086526A (ko) * 2011-01-26 2012-08-0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32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967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102253529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7038997A (zh) 像素电路、像素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1202025A (zh) 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JP2006133724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装置
US20190066608A1 (en) Electronic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306138B1 (ko) 온도보상회로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059975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50057851A (ko) 액정표시장치, 이의 구동장치 및 방법
KR100627387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201351377A (zh) 畫素驅動電路、畫素驅動電路之驅動方法及顯示面板
KR100637437B1 (ko) 액정 표시 장치
JP7118794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19014781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04464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185250B1 (ko) 표시 장치 및 라이트 장치
KR20160072337A (ko) 표시 장치
CN102034451A (zh) 液晶显示装置
KR102193574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01108B1 (ko)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970547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2605058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1820839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20160086576A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acklight unit
KR102408806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