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974B1 -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 Google Patents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974B1
KR102184974B1 KR1020200029222A KR20200029222A KR102184974B1 KR 102184974 B1 KR102184974 B1 KR 102184974B1 KR 1020200029222 A KR1020200029222 A KR 1020200029222A KR 20200029222 A KR20200029222 A KR 20200029222A KR 102184974 B1 KR102184974 B1 KR 10218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frame
contact surface
pillow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젠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젠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젠바이오
Priority to KR102020002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8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using a liquid as fill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6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취침 중에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착탈가능한 구조의 프레임에 발습충전재 또는 내부가습부를 탑재함으로써, 세척과 관리가 용이한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베개의 내부에 충전되며 물을 흡수한 다음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공급하는 발습충전재와; 외피로 덮히며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발습충전재를 수용하는 내부가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Pillow with humidification function}
본 발명은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취침 중에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착탈가능한 구조의 프레임에 발습충전재 또는 내부가습부를 탑재함으로써, 세척과 관리가 용이한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수면이나 누워 쉴 때 머리를 받치는 침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베개는 외피의 내부에 완충되는 완충재를 넣어 만들어지며, 안락한 수면을 위해 내부에 저장되는 완충재로 콩이나 밭 메밀껍질 등 다양한 재료 중 하나를 넣어 기능성을 갖게 한 것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이러한 속재료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베개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베개로는 특허 제0972060호(경혈 지압용 베개), 특허 제0856571호(기능성 양면베개), 특허 제1036161호(알람베개)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베개가 있다. 이러한 베개들은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압을 할 수 있는 기능,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시간을 알리는 기능 등의 기능을 갖는 베개이다.
한편, 동절기의 경우 대기가 건조하여 수면 중 코가 막혀 숙면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가습기를 켜놓은 상태에서 수면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가족 중 천식 등의 질환을 앓거나 호흡기가 약한 사람의 경우 습도에 민감하므로 실내 전체를 가습할 수 없어 가습이 필요한 방에만 따로 가습기를 설치하게 되며, 이렇게 각 방에 따로 가습기를 설치할 경우 가습기 구입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75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751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취침 중에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착탈가능한 구조의 프레임에 발습충전재 또는 내부가습부를 탑재함으로써, 세척과 관리가 용이한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는 베개의 내부에 충전되며 물을 흡수한 다음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공급하는 발습충전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있어서,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한 쌍의 좌우 프레임과, 한 쌍의 좌우 프레임에 결합하는 외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가습부는 상기 프레임 내부공간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있어서, 베개의 외피에 발습충전재 및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밀폐하는 마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내부 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구가 마련된 통 형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수증기를 외부로 통과시키는 덮개부와; 상기 프레임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발습충전재를 수용하는 내부가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있어서, 외피로 덮히며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발습충전재를 수용하는 내부가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좌우 양쪽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한 쌍의 좌우 프레임과, 상기 좌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바 형상의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좌우 양쪽에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면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가습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통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탑재되며 사이 발습충전재를 수용하는 내부케이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있어서, 케이싱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측면덮개부와, 상기 측면덮개부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양쪽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케이싱의 제1접촉면과 제2케이싱의 제2접촉면은 서로 맞닿아 고정되되, 상기 제1접촉면의 중앙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면의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접촉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우에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부케이싱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며 제1케이싱의 측면덮개부와 제1접촉면 또는 제2케이싱의 측면덮개부와 제2접촉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이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덮개부 및 제1접촉면 또는 제2접촉면에는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마주보는 양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의하면 친환경적인 소재를 활용하여 취침 중에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착탈가능한 구조의 프레임에 발습충전재 또는 내부가습부를 탑재함으로써, 세척과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천연 수세미가 충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c는 도 4a와 다른 구조의 베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덮개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100)는 내부에 충전되며 물을 흡수한 다음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공급하는 발습충전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습충전재(130)는 숯, 활성탄, 수세미, 솔방울, 목재(편백나무) 등의 천연 소재는 물론, 스펀지, 펄프 등의 합성 소재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3 및 도 4c와 같이 외피(160a)로 감싸진 프레임(160) 내부에 내부가습부(170)를 배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프레임 없이 외피 내부에 직접 발습충전재를 충진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먼저, 도 4b의 베개의 경우 외피의 일측에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밀폐하는 마개가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외피(160a)는 적어도 방수투습포장재를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덮개부(140)와 같이 망부재(141)와, 상기 망부재(141) 위에 적층되며 다수의 통공(143)이 형성되는 쿠션시트(142)와, 상기 쿠션시트(142) 상에 적층되며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방수투습포장재(144)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의 베개의 경우 프레임(160)은 한 쌍의 좌우 프레임(161)과, 한 쌍의 좌우 프레임(161) 테두리에 접합되는 외피(160a)로 이루어지고, 내부가습부(170)는 상기 프레임(160) 내부공간에 충전된다. 그리고 상기 좌우 프레임(161)은 개구부(162)가 형성된 링 형상의 링프레임부(161a)와 상기 링프레임부(161a)의 개구부(162)를 밀폐하는 밀폐프레임부(161b)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베개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가습부(170)는 프레임(160) 내부공간에 탑재된다.
상기 프레임(160)은 좌우 양쪽에 배치되며 개구부(162)가 형성된 링 형상의 한 쌍의 좌우 프레임(161)과, 상기 좌우 프레임(161)을 연결하는 바 형상의 지지 프레임(16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내부가습부(170)는 상기 프레임(160)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통 형상의 케이싱(172,175)과, 상기 케이싱(172,175) 내부에 탑재되며 상기 발습충전재(130)를 수용하는 내부케이싱(18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72,175)은 상기 프레임(160)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측면덮개부(171a)와, 상기 측면덮개부(171a)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171b)로 이루어져 프레임(160)의 양쪽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케이싱(172) 및 제2케이싱(17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케이싱(172)과 제2케이싱(175)은 프레임(160)의 좌우에서 끼워진 다음 서로 결합하게 되는데, 결합 구조는 아래와 같다.
상기 제1케이싱(172)의 제1접촉면(173)과 제2케이싱(175)의 제2접촉면(176)은 서로 맞닿아 고정되되, 상기 제1접촉면(173)의 중앙에는 결합홀(174)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면(173)의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돌기(173a)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결합홈(173b)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접촉면(176)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홀(174)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177)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176)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73a)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홈(176b)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173b)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돌기(176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싱(172)과 제2케이싱(175)은 회동축(177)을 중심으로 좌우에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케이싱(172)과 제2케이싱(175)을 연결할 때, 각 케이싱을 프레임의 양쪽 개구부(162)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축(177)을 결합홀(174)에 일부만 삽입한 상태에서 제2케이싱(175)을 반시계 방향으로 기울인 다음, 제1케이싱(172)과 제2케이싱(175)의 제1접촉면(173)과 제2접촉면(176)이 맞닿도록 밀착시키고, 제2케이싱(17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결합돌기(173a)는 제2결합홈(176b)에, 제2결합돌기(176a)는 제1결합홈(173b)에 각각 끼워지면서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2결합돌기(173a,176a)의 외측 단부는 제1, 2결합홈(173b,176b)의 지름보다 크게 구성되기 때문에 제1, 2케이싱(172,175)을 좌우로 잡아당기더라도 분리되지 않고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 내부케이싱(180)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며 제1케이싱(172)의 측면덮개부(171a)와 제1접촉면(173) 또는 제2케이싱(175)의 측면덮개부(171a)와 제2접촉면(176)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이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덮개부(171a) 및 제1접촉면(173) 또는 제2접촉면(176)에는 각각 안착홈(178)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180)의 마주보는 양면에는 상기 안착홈(178)에 끼워지는 한 쌍의 안착돌기(18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내부케이싱(180)의 안착돌기(181)를 케이싱의 양면에 마련된 안착홈(178)에 끼우게 되면, 베개가 외력에 의해 어느 정도 움직이더라도 그 내부에 탑재된 내부케이싱(180)이 안착돌기(181)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기 때문에 내부에 수용된 물 내지 수분이 넘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케이싱이 회동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그 하면이 반원형 단면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조의 베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에 천연 수세미가 충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a에서 덮개부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100)는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되고 내부공간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구(114a)가 마련된 통 형상의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 충전되며 상기 프레임(110)에 마련된 물 공급구(114a)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물을 흡수한 다음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공급하는 발습충전재(130)와, 상기 프레임(110)의 개구부를 덮으며 상기 수증기를 외부로 통과시키는 덮개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10)은 바닥부(112)와, 상기 바닥부(112)의 좌우 양단에 결합되며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과, 일단은 상기 제1측면프레임(113a)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제2측면프레임(113b)에 결합하며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프레임(115:115a,115b)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112)는 프레임(110) 내부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이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밀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이 플라스틱 소재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바닥부(112)도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과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고,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에 부착되는 방수시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은 베개의 전체 형상을 결정하는 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어느 하나의 측면프레임(113a)에는 프레임의 내부공간으로 물을 주입할 수 있도록 물 공급구(114a)가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구(114a)에는 마개(114b)가 체결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15a,115b)은 상기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5a,115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이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수 또는 복수 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2측면프레임(113a, 113b)에 나사로 고정될 수도 있고, 접착제로 고정될 수도 있다.
상기 발습충전재(130)는 건조한 천연 수세미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며 천연 소재 또는 합성 소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수세미는 수세미오이(Luffa cylindrica Roem.)의 열매에서 마른 해면조직 부분을 지칭한다. 상기 수세미오이는 영어로는 sponge-gourd 이며, 영어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천연 수세미는 스펀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천연 수세미의 그물 형태 섬유에 기인한 것이다. 수세미오이의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로 알려져 있으며 1년생 식물이다.
상기 천연 수세미는 물 흡수력이 뛰어난 동시에, 촘촘한 네트로 구성되어 송풍작용이 뛰어나 건조가 빠르기 때문에 발습 작용이 우수하고, 쉽게 부패하지 않는 특징이 있으며, 항균, 항염, 항산화 등에 매우 좋은 구마르산이 홍삼의 30배, 도라지 40배 이상 다량 함유되어 있고, 해치마 사포닌, 질산, 팩틴, 플라보이드 등의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 물에 접촉하고 있어도 세균 번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덮개부(140)는 상기 개구부에 씌워지는 망부재(141)와, 상기 망부재(141) 위에 적층되며 다수의 통공(143)이 형성되는 쿠션시트(142)와, 상기 쿠션시트(142) 상에 적층되며 외부로 수증기를 배출하는 방수투습포장재(144)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망부재(141)는 베개(100)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고탄력의 망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시트(142)는 편안함과 안락한 쿠션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수투습포장재(144)는 방수성능을 가지지만, 프레임의 내부공간의 수증기는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고어텍스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고어텍스의 방수 및 투습 구조는 이미 공지된 사항에 해당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베개 사용시 사용자는 마개(114b)를 열고 물 공급구(114a)를 통해 프레임(110)의 내부공간(110b)에 적당량의 물을 채운 상태로 사용하게 되는데, 내부공간(110b)에 채워진 물은 천연 수세미에서 흡수한 다음 증발되어 수증기를 생성하고, 수증기는 덮개부(140)를 통해 외부로 방출되면서 가습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5의 AA 방향의 종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로서 도 5의 BB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100)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지지프레임(115a,115b) 구조가 다르다.
본 실시예의 지지프레임(115a,115b)은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5a)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 공급구(114a)와 연통되는 물 이송통로(11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다수의 물 배출공(117)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5a)에 다수의 물 배출공(117)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급되는 물이 프레임(110) 내부공간(110b) 전체에 골고루 분산 공급될 수 있다. 베개 내부공간에 물을 가득 채우는 것이 아니고, 바닥부의 높이를 넘지 않도록 적절한 양의 물만 채우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과다한 물을 한번에 충전하게 되면 천연 수세미가 항상 물에 젖어있기 때문에 세균이나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할 때마다 물을 주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제한적이라서 물을 프레임 내부공간에 골고루 공급하는 것이 중요한데, 어느 측면프레임쪽에서만 물을 주입하게 되면 불균형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다수의 물 배출공을 통해 물을 분산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115b)의 내부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물질(118)이 충전되며 상단에는 아로마향을 외부로 발산하는 다수의 향 배출공(119)이 형성된다.
상기 아로마향을 발산하는 물질은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카모마일 오일, 만다린 오일, 자스민 꽃 오일(Jasmin Flower Oil), 장미 오일(Rose Oil), 백단유(Sandalwood oil)의 식물추출오일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폰지 등에 오일을 젖혀서 사용할 수도 있다. 아로마향은 상기 향 배출공을 통해 베게 위로 발산되어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주는데, 특히 라벤더 오일(Lavender Oil), 카모마일 오일, 만다린 오일 등은 숙면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물을 프레임 내부공간으로 주입한 경우 수세미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잔량의 물은 바닥부에 수용되는데, 자주 세척하지 않게 되면 물때가 발생하고 곰팡이나 세균 등이 번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의 바닥부에 제올라이트 또는 활성탄이 충전된 항균팩(150)이 배치한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다공질 암석으로 모세관 현상에 의하여 냄새제거 및 오염물질 제거, 잡균 등을 흡착분해 처리할 수 있다.
상기 활성탄도 다수의 기공이 있어 흡착 작용을 통해 유해 성분이나 냄새 성분을 흡착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와 활성탄은 은나노 입자로 코팅하여 항균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 있다.
이와 같이 제올라이트나 활성탄을 바닥부에 배치하면 일정량의 수분을 기공에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도 있고, 항균 작용을 통해 안심하고 가습 베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올라이트나 활성탄은 부직포 등으로 된 포장부재에 충전한 항균팩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세척, 교체 등 관리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베개 110 : 프레임
112 : 바닥부 113a, 113b : 측면프레임
114a : 물 공급구 114b : 마개
115a : 제1지지프레임 115b : 제2지지프레임
116 : 물 이송통로 117 : 물 배출공
118 : 아로마 물질 119 : 향 배출공
130 : 발습충전재 140 : 덮개부
141 : 망부재 142 : 쿠션시트
143 : 통공 144 : 방수투습포장재
150 : 항균팩 160 : 프레임
161 : 좌우 프레임 162 : 개구부
163 : 지지 프레임 170 : 내부가습부
171a : 측면덮개부 171b : 수용부
172 : 제1케이싱 173 : 제1접촉면
173a : 제1결합돌기 173b : 제1결합홈
174 : 결합홀 175 : 제2케이싱
176 : 제2접촉면 176a : 제2결합돌기
176b : 제2결합홈 177 : 회동축
178 : 안착홈 180 : 내부케이싱
181 : 안착돌기

Claims (5)

  1. 외피로 덮히며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부에 탑재되는 내부가습부와;
    상기 내부가습부에 수용되며 물을 흡수한 다음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공급하는 발습충전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좌우 양쪽에 배치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한 쌍의 좌우 프레임과, 상기 좌우 프레임을 연결하는 바 형상의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좌우 양쪽에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면에는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가습부는, 상기 프레임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통 형상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탑재되며 사이 발습충전재를 수용하는 내부케이싱;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은, 상기 프레임의 개구부를 밀폐하는 측면덮개부와, 상기 측면덮개부의 내측면에서 연장되며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의 수용부로 이루어져 프레임의 양쪽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케이싱의 제1접촉면과 제2케이싱의 제2접촉면은 서로 맞닿아 고정되되, 상기 제1접촉면의 중앙에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면의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접촉면의 중앙에는 상기 결합홀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회동축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면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타측 단부에는 상기 제1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제2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은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우에서 고정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내부케이싱은,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이며 제1케이싱의 측면덮개부와 제1접촉면 또는 제2케이싱의 측면덮개부와 제2접촉면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되, 좌우로 회동할 수 있도록 하면이 아래로 볼록한 반원형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면덮개부 및 제1접촉면 또는 제2접촉면에는 각각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싱의 마주보는 양면에는 상기 안착홈에 끼워지는 안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29222A 2020-03-09 2020-03-09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KR102184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222A KR102184974B1 (ko) 2020-03-09 2020-03-09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222A KR102184974B1 (ko) 2020-03-09 2020-03-09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974B1 true KR102184974B1 (ko) 2020-12-01

Family

ID=73790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222A KR102184974B1 (ko) 2020-03-09 2020-03-09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9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53Y1 (ko) * 2010-06-03 2011-03-09 김종수 공기 정화용 건강 베개
KR200467512Y1 (ko) 2011-06-23 2013-06-14 편창현 가습 및 안마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363470B1 (ko) * 2011-08-26 2014-02-14 청우산업 주식회사 신체에 따뜻함을 제공해 주기 위한 온열용 성형품
KR101667518B1 (ko) 2014-11-28 2016-10-19 손승호 가습기용 천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53Y1 (ko) * 2010-06-03 2011-03-09 김종수 공기 정화용 건강 베개
KR200467512Y1 (ko) 2011-06-23 2013-06-14 편창현 가습 및 안마 기능을 갖는 베개
KR101363470B1 (ko) * 2011-08-26 2014-02-14 청우산업 주식회사 신체에 따뜻함을 제공해 주기 위한 온열용 성형품
KR101667518B1 (ko) 2014-11-28 2016-10-19 손승호 가습기용 천연 방향제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6663C2 (ru) Двухкамерная увлажняющая трубка
KR102184974B1 (ko) 자연가습기가 결합된 베개
KR101414452B1 (ko) 항균 및 탈취 기능을 가진 침대용 매트리스
KR200474979Y1 (ko) 피톤치드 베개
JP2006095103A (ja) 乾燥樹葉入り枕及び乾燥樹葉入り防虫芳香剤
CN2536532Y (zh) 羽毛球加湿球筒
KR20090009745U (ko) 땀 흡수 방지용 위생 베개
KR200477015Y1 (ko) 화분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JP2000202011A (ja) 消臭除湿シ―ト
JPH0426830Y2 (ko)
KR200412943Y1 (ko) 방향제를 구비한 제습용기
WO2023115616A1 (zh) 吸湿透气枕
JP3239787U (ja) 多機能除湿ボックス
KR102272974B1 (ko) 가습장치가 내설된 기능성 온열침대
JPH0632171Y2 (ja) 湿気等を取除く装置
JP6407908B2 (ja)
CN211324001U (zh) 一种沙发用弹簧垫
JP2005007057A (ja) 竹材からなるベッド
KR200465144Y1 (ko) 욕조용 에어버블 공급구 및 이를 구비한 다기능 공기청정기
JPS6245709Y2 (ko)
JP3050230U (ja) 歯ブラシ用抗菌キャップ
JP3164445U (ja) 芳香消臭機能付電気あんか
KR20090012702U (ko) 제습가구
JP3010980U (ja)
KR200231312Y1 (ko) 스크린가습기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