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956B1 -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956B1
KR102184956B1 KR1020190173991A KR20190173991A KR102184956B1 KR 102184956 B1 KR102184956 B1 KR 102184956B1 KR 1020190173991 A KR1020190173991 A KR 1020190173991A KR 20190173991 A KR20190173991 A KR 20190173991A KR 102184956 B1 KR102184956 B1 KR 102184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angle
posture
billiard
billiard po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섭
조형준
김정환
김진형
정윤호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3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63B24/0006Computerised comparison for qualitative assessment of motion sequences or the course of a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08Cu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15/20Scoring or register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2Billi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63D2015/001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with inclination indicating means

Abstract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측정한 후, 상기 수직 각도와 상기 수평 각도를 기초로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BILLIARD POSTURE EVALUATION APPARATUS CAPABLE OF EVALUATING BILLIARD POSTURE THROUGH ANGLE MEASUREM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 당구장의 환경이 쾌적하게 바뀌면서, 당구장을 찾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가고 있으며, 당구 입문자 또한 자연스레 많아지게 되었다.
한편, 당구 입문자가 당구를 능숙하게 치기 위해서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왜냐하면, 자세가 안정적으로 확보되어야만 당구공에 대한 의도한 타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관련해서, 당구 분야는 아니지만 골프 또는 테니스의 스윙 자세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중에 나와 있는 상태이다.
이에 맞춰, 당구 분야에 있어서도 당구 자세를 분석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잘못된 당구 자세를 수정 보완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고려해볼 만하다.
따라서, 당구장 이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유효한 정보 제공이 가능한 당구 자세 정보 제공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측정한 후, 상기 수직 각도와 상기 수평 각도를 기초로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Cue Stick)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predetermined) 주기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수직 각도 - 상기 수직 각도는 상기 큐대가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와 n개의 수평 각도 - 상기 수평 각도는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큐대가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부,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하는 각도벡터 생성부,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는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수직 각도 - 상기 수직 각도는 상기 큐대가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와 n개의 수평 각도 - 상기 수평 각도는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큐대가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측정한 후, 상기 수직 각도와 상기 수평 각도를 기초로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로 하여금 간편하게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으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고, 각 구성요소들이 수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블록도의 블록들이나 흐름도의 단계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등 데이터 프로세싱이 가능한 장비의 프로세서나 메모리에 탑재되어 지정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instructions)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은 컴퓨터 장치에 구비된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블록도의 블록들 또는 흐름도의 단계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이를 수행하는 명령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로 생산될 수도 있다. 아울러,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가능한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정해진 순서와 달리 실행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거나, 역순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일부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생략된 채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110)는 각도 측정부(111), 각도벡터 생성부(112),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113) 및 표시부(11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110)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할 수 있다.
각도 측정부(111)는 사용자(120)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Cue Stick)(130)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predetermined) 주기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수직 각도와 n개의 수평 각도를 측정한다.
여기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그림을 추가로 참조하면, 상기 수직 각도는 큐대(130)가 지면에 평행한 가상의 기준 축(140)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움직일 때, 큐대(130)와 가상의 기준 축(140)이 이루는 0(도)에서 +90(도)까지의 각도를 의미하고, 상기 수평 각도는 가상의 기준 축(140)을 기준으로 큐대(130)가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큐대(130)와 가상의 기준 축(140)이 이루는 0(도)에서 -90(도)까지, 0(도)에서 +90(도)까지의 각도를 의미한다.
각도벡터 생성부(112)는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한다.
예컨대, 'n=5'라고 하고, 기설정된 주기를 '1초'라고 가정하자. 이때, 사용자(120)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각도 측정부(111)는 큐대(130)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인 '1초' 간격으로 5개의 수직 각도인 '20, 19, 20, 21, 21'과 5개의 수평 각도인 '10, 11, 11, 12, 11'을 측정할 수 있다.(본 예시에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의 단위는 생략함)
그러고 나서, 각도벡터 생성부(112)는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5개의 수직 각도인 '20, 19, 20, 21, 21'과 수평 각도인 '10, 11, 11, 12, 11'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5개의 수직 각도인 '20, 19, 20, 21, 21'과 수평 각도인 '10, 11, 11, 12, 11'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20 10]', '[19 11]', '[20 11]', '[21 12]', '[21 11]'과 같은 5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할 수 있다.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113)는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큐대(130)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한다.
여기서,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상기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벡터 유사도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연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9133514944-pat00001
여기서, S는 벡터 A와 B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로 -1에서 1사이의 값을 가지며, 그 값이 클수록 유사한 벡터임을 의미하고, Ai는 벡터 A의 i번째 성분, Bi는 벡터 B의 i번째 성분을 의미한다.
표시부(114)는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n=5'라고 하고, 5개의 2차원 기준벡터를 '[19 7]', '[19 8]', '[20 9]', '[20 8]', '[20 7]'이라고 하며, 상기 5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20 10]', '[19 11]', '[20 11]', '[21 12]', '[21 11]'으로 생성되었다고 가정하는 경우,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113)는 상기 5개의 2차원 각도벡터인 '[20 10]', '[19 11]', '[20 11]', '[21 12]', '[21 11]'과 5개의 2차원 기준벡터인 '[19 7]', '[19 8]', '[20 9]', '[20 8]', '[20 7]'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상기의 수학식 1에 따라 '0.994', '0.992', '0.997', '0.99', '0.99'로 연산할 수 있다.
그 이후, 표시부(114)는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인 '0.994', '0.992', '0.997', '0.99', '0.99'를 기초로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당구 자세 평가 장치(110)는 사용자(120)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130)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n개의 수직 각도와 n개의 수평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하며,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큐대(130)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한 후,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120)로 하여금 간편하게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14)는 평가 점수 테이블 유지부(115), 평가 값 산출부(116), 평가 점수 추출부(117) 및 화면 표시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점수 테이블 유지부(115)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평가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평가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평가 점수 테이블 유지부(115)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평가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 평가 점수
0.268 이상 0.690 미만 0점
0.690 이상 0.695 미만 20점
0.695 이상 0.700 미만 40점
0.700 이상 0.718 미만 60점
0.718 이상 0.725 미만 80점
0.725 이상 0.730 미만 90점
0.730 이상 0.731 미만 100점
평가 값 산출부(116)는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하기의 수학식 2의 연산에 따라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을 산출한다.
Figure 112019133514944-pat00002
여기서, P는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으로, Sk는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113)에서 연산된 k번째 코사인 유사도를 의미한다.
평가 점수 추출부(117)는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산출되면, 상기 평가 점수 테이블로부터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속하는 평가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평가 점수를 추출한다.
화면 표시부(118)는 상기 제1 평가 점수를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0.994', '0.992', '0.997', '0.99', '0.99'라고 가정하는 경우, 평가 값 산출부(116)는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인 '0.994', '0.992', '0.997', '0.99', '0.99'를 기초로 상기의 수학식 2의 연산에 따라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을 '0.7296'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0.7296'으로 산출되면, 평가 점수 추출부(117)는 상기 표 1과 같은 상기 평가 점수 테이블로부터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인 '0.7296'이 속하는 평가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평가 점수인 '90점'을 추출할 수 있다.
그러고 나서, 화면 표시부(118)는 상기 제1 평가 점수인 '90점'을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당구 자세 평가 장치(110)는 기준벡터 재설정부(1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준벡터 재설정부(119)는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평가 점수와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큐대(130)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개의 2차원 기준벡터로 재설정한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예시와 같이, 'n=5'라고 하고, 기설정된 임계치를 '80'이라고 하며, 상기 제1 평가 점수를 '90점'이라고 하고, 상기 제1 평가 점수인 '90점'이 사용자(120)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때, 기준벡터 재설정부(119)는 상기 제1 평가 점수인 '90(점)'과 기설정된 임계치인 '80'을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가 점수인 '90(점)'이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인 '80'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상기 5개의 2차원 각도벡터인 '[20 10]', '[19 11]', '[20 11]', '[21 12]', '[21 11]'을 큐대(130)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5개의 2차원 기준벡터로 재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단계(S4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 주기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수직 각도(상기 수직 각도는 상기 큐대가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와 n개의 수평 각도(상기 수평 각도는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큐대가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를 측정한다.
단계(S420)에서는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한다.
단계(S430)에서는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한다.
단계(S440)에서는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단계(S440)에서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평가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평가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의 수학식 2의 연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산출되면, 상기 평가 점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속하는 평가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평가 점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평가 점수를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평가 점수와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개의 2차원 기준벡터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110)의 동작에 대한 구성과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당구 자세 평가 장치
111: 각도 측정부 112: 각도벡터 생성부
113: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 114: 표시부
115: 평가 점수 테이블 유지부 116: 평가 값 산출부
117: 평가 점수 추출부 118: 화면 표시부
119: 기준벡터 재설정부 120: 사용자
130: 큐대

Claims (8)

  1.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Cue Stick)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predetermined) 주기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수직 각도 - 상기 수직 각도는 상기 큐대가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와 n개의 수평 각도 - 상기 수평 각도는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큐대가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부;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하는 각도벡터 생성부;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는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 및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평가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평가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평가 점수 테이블 유지부;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연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을 산출하는 평가 값 산출부;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산출되면, 상기 평가 점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속하는 평가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평가 점수를 추출하는 평가 점수 추출부; 및
    상기 제1 평가 점수를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
    를 포함하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수학식 1]
    Figure 112019133514944-pat00003

    여기서, P는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으로, Sk는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k번째 코사인 유사도를 의미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평가 점수와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개의 2차원 기준벡터로 재설정하는 기준벡터 재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4.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당구 자세 평가에 대한 시작 명령이 인가되면, 큐대(Cue Stick)에 부착된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기설정된(predetermined) 주기 간격으로 n(n은 2이상의 자연수)개의 수직 각도 - 상기 수직 각도는 상기 큐대가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하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와 n개의 수평 각도 - 상기 수평 각도는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큐대가 좌우측으로 움직일 때, 상기 큐대와 상기 가상의 기준 축이 이루는 각도임 - 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각도 측정 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중 동일 주기에서 측정된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를 성분으로 포함하는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n개의 수직 각도와 수평 각도 각 쌍에 대해 생성함으로써,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가 생성되면,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와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미리 설정된 n개의 2차원 기준벡터 사이의 코사인 유사도를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여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한 값과 하한 값으로 구성된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과 상기 복수의 평가 범위 값들 각각에 대응되는 미리 정해진 평가 점수가 기록되어 있는 평가 점수 테이블을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상기 연산된 코사인 유사도를 기초로 하기의 수학식 1의 연산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산출되면, 상기 평가 점수 테이블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이 속하는 평가 범위 값에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는 제1 평가 점수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평가 점수를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하여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19133514944-pat00004

    여기서, P는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값으로, Sk는 코사인 유사도 연산부에서 연산된 k번째 코사인 유사도를 의미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사용자의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 점수로 결정되면, 상기 제1 평가 점수와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제1 평가 점수가 상기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n개의 2차원 각도벡터를 상기 큐대를 잡을 때 당구의 표준 자세임을 지시하기 위한 상기 n개의 2차원 기준벡터로 재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와의 결합을 통해 실행시키기 위한 저장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173991A 2019-12-24 2019-12-24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84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91A KR102184956B1 (ko) 2019-12-24 2019-12-24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991A KR102184956B1 (ko) 2019-12-24 2019-12-24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956B1 true KR102184956B1 (ko) 2020-12-02

Family

ID=7379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991A KR102184956B1 (ko) 2019-12-24 2019-12-24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9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08B1 (ko) * 2012-04-11 2013-05-27 신재청 자세 교정용 당구 큐
KR101852076B1 (ko) * 2016-09-02 2018-04-25 노길호 당구 큐 및 이를 포함한 당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0028B1 (ko) * 2018-12-24 2019-07-15 박정기 센서 모듈을 이용한 스트로크 자세 정보 수집 및 코칭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908B1 (ko) * 2012-04-11 2013-05-27 신재청 자세 교정용 당구 큐
KR101852076B1 (ko) * 2016-09-02 2018-04-25 노길호 당구 큐 및 이를 포함한 당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00028B1 (ko) * 2018-12-24 2019-07-15 박정기 센서 모듈을 이용한 스트로크 자세 정보 수집 및 코칭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Computer-assisted yoga training system
US10803762B2 (en) Body-motion assessment device, dance assessment device, karaoke device, and game device
US20200320304A1 (en)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extrac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5073210B (zh) 使用深度图像的用户身体角度、曲率和平均末端位置提取
CN103888643B (zh) 信息报知装置、信息报知方法以及记录介质
TWI537767B (zh) 可調體感範圍之多人指引系統與其方法
CN105229666A (zh) 3d图像中的运动分析
KR102078473B1 (ko) 동체 추적 장치, 동체 추적 방법, 동체 추적 프로그램
Chen et al. Using real-time acceleration data for exercise movement training with a decision tree approach
WO2019116495A1 (ja) 技認識プログラム、技認識方法および技認識システム
KR20160046082A (ko) 체력측정/운동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체력측정/운동처방 서비스 제공방법
JP6447515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20220028654A (ko) 미러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태권도 동작 코칭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3409651B (zh) 直播健身方法、系统、电子设备、存储介质
CN115569344A (zh) 立定跳远成绩评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210209770A1 (en) Motion matching analysis
KR102184956B1 (ko) 각도 측정을 통해 당구 자세에 대한 평가가 가능한 당구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327494B2 (ja) 補正方法、補正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hen et al. An autonomous dance scoring system using marker-based motion capture
CN116271757A (zh) 一种基于ai技术的篮球练习的辅助系统和方法
CN110866417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Pai et al. Home Fitness and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Implemented by Combining Deep Images and Machine Learning Using Unity Game Engine.
KR102244696B1 (ko) 운동 자세 평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Butkus et al. Accuracy of throwing distance perception in virtual reality
KR102234548B1 (ko) 줄넘기 운동 자세를 통한 신체 밸런스 확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