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94B1 -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 Google Patents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94B1
KR102184794B1 KR1020200057762A KR20200057762A KR102184794B1 KR 102184794 B1 KR102184794 B1 KR 102184794B1 KR 1020200057762 A KR1020200057762 A KR 1020200057762A KR 20200057762 A KR20200057762 A KR 20200057762A KR 102184794 B1 KR102184794 B1 KR 102184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support
composite
elastic device
view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장권
Original Assignee
유장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장권 filed Critical 유장권
Priority to KR102020005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28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 A47C7/30Seat parts with tensioned springs, e.g. of flat type with springs meandering in a flat pla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35Combinations of different types of springs; Adjustable springs; Attachment of springs to other springs or to the base frame ; Springs for seat part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25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탄성이 발생되도록 구조를 설계하며,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설치대상 및 접촉대상에 따른 다양한 패턴의 설계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주차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Three dimensional integrated elastic device using metal wire}
본 발명은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탄성이 발생되도록 구조를 설계하며,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설치대상 및 접촉대상에 따른 다양한 패턴의 설계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업이 발달하고 고도화됨에 따라 가구 및 생활용품이 다양해졌고, 특히 사람의 신체의 일부분을 지지하는 침대, 의자, 소파, 베개, 쿠션, 차량용시트 등의 신체접촉용 가구용품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신체접촉용 가구용품은 이전에는 단순히 사람의 신체 일부분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만을 제공하였으나, 최근 들어서는 완충부재를 구비하여 접촉감 및 근육이완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기능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종래의 완충부재로는 주로 스펀지, 스프링, 카미시미론, 라텍스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스펀지, 라텍스 및 카미시미론의 경우 탄성력이 약하여 접촉되는 신체부위가 파묻힘에 따라 오히려 혈관 및 근육을 눌리거나 수축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스프링은 수직 방향의 제한된 탄성력만을 공급하여 하중 분산력이 떨어져 접촉감,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완충부재는 신체에 접촉되는 표면의 형상이 접촉대상인 신체부위 및 형상을 전혀 감안하지 않고 제작됨에 따라 접촉감,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의 효과가 더욱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87165호(고안의 명칭 :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에 개시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의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100)는 좌우 지지대(111)(111')를 전후에서 전후 연결대(112)로 일체 연결 형성하는 설치 프레임(110)과, 설치 프레임의 좌우 지지대(111)(111')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부가 연결되고 지그 재그 절곡 형성되어 시트를 상하로 완충 지지하는 수평 스프링(120)과, 수평 스프링(120)의 하부에 수직 설치되어 수평 스프링(120)과 함께 시트를 상하로 완충 지지하는 수직 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수직스프링(130)은 상부스프링과, 상부스프링의 와이어 직경 보다 더 굵은 와이어 직경을 갖는 하부스프링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하부 스프링의 탄발력 차이에 의해 2단계로 완충 작동하여 쿠션감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100)은 설치프레임(110), 복수개의 수평스프링(120)들 및 수직스프링(130)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구조 및 설계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쇼파에만 제한되어 사용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
또한 종래기술(100)은 수평스프링(120)들 및 수직스프링(130)에 의해 2중 완충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직방향으로의 쿠션감은 우수하나, 수평방향으로의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수간이 전혀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에 하중 분산력이 떨어져 접촉감,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극대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인체는 뼈, 관절, 근육 및 혈관 등으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머리부터 발끝까지 방대한 신경세포들을 내포함과 동시에 신체 부위바다 3차원적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되는 특성을 가지나, 종래기술(100)은 이러한 신체 부위의 특성을 전혀 감안하지 않은 것으로서, 접촉대상인 신체의 형상을 전혀 감안하지 않고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안락감, 신체보호기능 및 피로감 해소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금속와이어의 두께나 금속와이어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겹치기 등)의 방식 변경을 통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조절할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금속와이어를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등) 하여 탄성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금속와이어의 겹치기를 통해 다층구조로 설계됨으로써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용도 및 접촉대상에 따라 층수를 가감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신체에 접촉되는 영역이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형에 따라 굴곡진 모든 신체 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여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필요에 따라 한 쌍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들이 뒤집한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 부위, 근육피로도 등의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적합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지지부, 연결부 및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체가 전후방으로 대칭되게 조립되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의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 가압될 때의 탄성복원력이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단일 장치로 다른 효과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어 신체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금속와이어를 절곡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가 내측을 향하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들은 조립 시, 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는 직선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형성되되, 양단부가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들은 상기 금속와이어를 절곡시켜 형성되며, 양단부가 인접한 지지체들의 서로를 향하는 단부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체들은 양단부가 교차되도록 절곡되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들은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금속와이어가 ‘S’자 형상이 반복되도록 절곡되어 양단부가 대향되는 지지체들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대향되는 연결체들의 교차되는 지점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의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수직 연결되는 제1, 2 연결체들;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 2 연결체들 각각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인 탄성체들이 길이방향 상에서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때, 만곡된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 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때, 만곡된 영역이 서로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측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체;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연결 시, 상기 제1 연결체와 교차되는 제2 연결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제1, 2 연결체들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들 사이 또는 상기 탄성부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와이어의 두께나 금속와이어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겹치기 등)의 방식 변경을 통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와이어를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등) 하여 탄성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금속와이어의 겹치기를 통해 다층구조로 설계됨으로써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용도 및 접촉대상에 따라 층수를 가감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신체에 접촉되는 영역이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형에 따라 굴곡진 모든 신체 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여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금속와이어를 절곡 형성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한 쌍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들이 뒤집한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 부위, 근육피로도 등의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적합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지지부, 연결부 및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체가 전후방으로 대칭되게 조립되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의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 가압될 때의 탄성복원력이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단일 장치로 다른 효과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87165호(고안의 명칭 :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에 개시된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한 쌍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베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쿠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베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2의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1), (200), (300), (400), (500), (600)들은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탄성이 발생되도록 구조를 설계하며,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설치대상 및 접촉대상에 따른 다양한 패턴의 설계가 가능하며, 제조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신체 접촉 시 체중의 압력과 압박으로 인해 발생되는 입체탄성(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동시 다발적 으로 일어나는 탄성)을 생성하는 장치이며, 이로 인해 체중 분산 탄성의 공급에 역점을 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이 소파 및 의자에 설치된다고 가정할 때, 본 발명은 접촉되는 신체부위인 등, 허리 및 목을 곧게 세워주는 기능뿐만 아니라 수직 및 수평(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더 자유롭게 저항없이 움직이게 하여 활성화된 신체를 만들어주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후 및 상하의 다층구조로 설계됨으로써 금속와이어의 두께나 금속와이어의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겹치기 등)의 방식 변경을 통해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의 목과 머리 사이, 등과 허리 사이, 허리와 엉덩이 사이 등은 마디마디 관절과 근육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굴곡진 입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접촉되는 부위에 적합한 탄성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금속와이어의 두께와 조밀도를 조정하여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세하게로는 금속와이어는 가공처리가 적게 이루어진 간결한 선(변화가 적은 선)일수록 탄성력이 부드러우면서 작아지게 되나,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겹치기 등)가 많이 이루어진 복잡한 선(변화가 많은 선)이거나 또는 전체 면적 대비 조밀할수록 탄성력이 강하고 커지는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스펀지, 카시미론솜, 고무벨트, 라텍스, pu 등의 공지된 쿠션부재와 혼합하여 사용 가능함으로써 더욱 개선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와이어로 열처리된 강철선을 사용하되, 강철선을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등) 하여 탄성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강철선의 겹치기를 통해 다층구조로 설계됨으로써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용도 및 접촉대상에 따라 층수를 가감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체형에 따라 굴곡진 모든 신체 부위에 더욱 밀착되어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4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포터블(Portable)한 쿠션, 소형베개 등에 설치되어 수직(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상하, 좌우)방향으로 강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과,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 제1, 2 보강체(18), (19)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의 각 구성요소(11), (12), (13), (14), (18), (19), (21), (22), (23), (24)들은 금속와이어 재질이고, 상세하게로는 열처리된 강철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은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은 사각형 상의 각 테두리의 위치에 배치되되, 설치대상인 쿠션 및 소형베개 등의 쿠션부재에 설치될 때,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1, 3 지지체(11), (13)들은 제2, 4 지지체(12), (14)들 보다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정면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정방형이 아닌 장방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은 길이방향 상에서 양단부로부터 중간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은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이 양단부보다 전방을 향하는 곡면부가 형성되도록 휨 가공처리가 됨으로써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받는 경우, 곡면부가 후방으로 압축되어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은 양단부와 인접한 지점부터 양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곡면지게 형성된다. 이때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 각각의 양단부에는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의 양단부가 연결된다.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은 와이어가 장방형의 호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체(21)의 양단부(P)는 제1, 2 지지체(11), (12)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2 연결체(22)의 양단부(P)는 제2, 3 지지체(12), (13)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3 연결체(23)의 양단부(P)는 제3, 4 지지체(13), (14)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4 연결체(24)의 양단부(P)는 제4, 1 지지체(14), (11)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은 양단부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되는 지지체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은 지지체들과 연결 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단부(P)에 대향되는 지점인 호의 단부인 내접점(P’)이 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도록 연결되고,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접점(P)이 양단부(P) 보다 상향 배치되도록 지지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은 와이어들이 장방형 호 형상으로 교차되도록 절곡된 영역이 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면서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1)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2)수평방향의 외측으로 힘을 받아 압축될 때,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측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수평방향(상하, 좌우)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사용자의 신체에 압축될 때,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가 제1, 2, 3, 4 지지체(11), (12), (13), (14)들 및 제1, 2, 3, 4 연결체(21), (22), (23), (24)들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단일 금속와이어를 휨, 절곡 등의 가공처리를 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제1, 2 보강체(18), (19)들은 금속와이어가 ‘S’자 형상이 반복되도록 절곡된다.
또한 제1 보강체(18)의 양단부는 제1, 3 지지체(11), (13)들의 중간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제1 보강체(18)의 양단부의 탈부착 구조가 고리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탈부착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 보강체(19)의 양단부는 제2, 4 지지체(12), (14)들의 중간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제1, 2 보강체(12), (14)들은 ‘S’자 형상이 반복되게 형성됨에 따라 자체적으로 후방으로 가압될 때, 전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의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더욱 보강시킴과 동시에 과도한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제1, 3 지지체(11), (13)들 및 제2, 4 지지체(12), (14)들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본연의 기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탄성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중분산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지지체들 및 연결체들이 전후방으로 대칭되게 조립되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크기가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보다 강한 탄성력을 원하는 경우,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의 전면으로 신체를 기댈 수 있고, 보다 약한 탄성력을 원하는 경우,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의 후면으로 신체를 기대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단일 구조로 2가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2의 한 쌍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들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베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한 쌍으로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일측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및 타측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전후방이 뒤집혀진 상태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강력한 쿠션감 및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베개(50) 또는 쿠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는 베개(50) 자체의 쿠션부재(스펀지, 카시미론솜, 고무벨트, 라텍스, pu 등)와 혼합하여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측면도이다.
도 7과 8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는 전술하였던 도 2 내지 6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와 동일하게, 포터블(Portable)한 쿠션, 소형베개 등에 설치되어 수직(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상하, 좌우)방향으로 강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는 도 7과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 지지체(211), (212), (213), (214)들과, 제1, 2, 3, 4 연결체(221), (222), (223), (224)들, 제1, 2 보강체(218), (219)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의 각 구성요소(211), (212), (213), (214), (218), (219), (221), (222), (223), (224)들은 금속와이어 재질이고, 상세하게로는 열처리된 강철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 3, 4 지지체(211), (212), (213), (214)들은 반원 형상으로 만곡되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211), (212), (213), (214)들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만곡되는 영역이 사각형의 각 모서리를 향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설치대상인 쿠션 및 소형베개 등에 설치될 때,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되게 되며, 상세하게로는 제1, 3 지지체(211), (213)들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4 지지체(212), (214)들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장방형이 아닌 정방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211), (212), (213), (214)들은 조립 시, 곡면부의 외접점(P’)이 양단부(P) 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제1, 2, 3, 4 연결체(221), (222), (223), (224)들과 연결된다.
즉 제1, 2, 3, 4 지지체(211), (212), (213), (214)들은 외접점(P‘)이 양단부(P) 보다 후방에 배치된 상태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제1, 2, 3, 4 연결체(221), (222), (223), (224)들은 와이어가 삼각형 형상으로 절곡된 후 교차되게 형성된다.
이때 제1 연결체(221)의 양단부는 제1, 2 지지체(211), (212)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2 연결체(222)의 양단부는 제2, 3 지지체(212), (213)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3 연결체(223)의 양단부는 제3, 4 지지체(213), (214)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되고, 제4 연결체(224)의 양단부는 제4, 1 지지체(214), (211)들의 인접한 단부들과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1, 2, 3, 4 연결체(221), (222), (223), (224)들은 양단부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되는 지지체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 2, 3, 4 연결체(221), (222), (223), (224)들은 지지체들과 연결 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삼각형을 형성하는 영역이 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도록 연결되고,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체와 연결되는 양단부로부터 내측을 향할수록 상향(전방)하도록 지지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제1, 2, 3, 4 연결체(221), (222), (223), (224)들은 와이어들이 삼각형을 형성하는 영역이 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면서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1)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2)수평방향의 외측으로 힘을 받아 압축될 때,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측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수평방향(상하, 좌우)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압축될 때,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2 보강체(218), (219)들은 금속와이어가 ‘S’자 형상이 반복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단부가 대향되는 연결체들 각각의 교차지점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의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더욱 보강시킴과 동시에 과도한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지지체들 또는 연결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본연의 기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는 전술하였던 도 2 내지 6의 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와 마찬가지로 전후방이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크기가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후방의 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9의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쿠션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 내지 12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는 전술하였던 도 7과 8의 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200)와 동일하게, 포터블(Portable)한 정방형의 쿠션, 소형베개 등에 설치되어 수직(전후)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상하, 좌우)방향으로 강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는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 3, 4 지지체(311), (312), (313), (314)들과, 제1, 2, 3, 4 연결체(321), (322), (323), (324)들, 제1, 2 보강체(318), (319)들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의 각 구성요소(311), (312), (313), (314), (318), (319), (321), (322), (323), (324)들은 금속와이어 재질이고, 상세하게로는 열처리된 강철선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2, 3, 4 지지체(311), (312), (313), (314)들은 길이를 직선 형상의 와이어로 형성되는 수평부(3111)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의 중앙인 내측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연결부(3113), (3114)들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311), (312), (313), (314)들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의 각 테두리를 향하도록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설치대상인 쿠션 및 소형베개 등에 설치될 때,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상세하게로는 제1, 3 지지체(311), (313)들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2, 4 지지체(312), (314)들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장방형이 아닌 정방형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 2, 3, 4 지지체(311), (312), (313), (314)들은 조립 시, 수평부(3111)가 양단부의 연결부(3113), (3114)들 보다 후방에 배치되면서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연결부(3113), (3114)들이 수평부(3111) 보다 내측을 향하도록 연결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제1, 2, 3, 4 지지체(311), (312), (313), (314)들은 연결체들과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됨에 따라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제1, 2, 3, 4 연결체(321), (322), (323), (324)들은 와이어가 장방형의 반원 형상을 형성하도록 절곡되며, 양단부는 인접한 지지체의 연결부의 연결체(3111 또는 3113)와 연결된다.
또한 제1, 2, 3, 4 연결체(321), (322), (323), (324)들은 양단부가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연결되는 지지체의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곡면지게 형성된다.
또한 제1, 2, 3, 4 연결체(321), (322), (323), (324)들은 지지체들과 연결 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절곡된 영역이 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도록 연결되고,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체로부터 절곡된 영역을 향하는 방향인 내측을 향할수록 상향(전방)되도록 지지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된다.
즉 제1, 2, 3, 4 연결체(321), (322), (323), (324)들은 와이어들이 절곡되는 영역이 사각형의 중앙을 향하면서 전방을 향하도록 지지체들과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제1, 2 보강체(318), (319)들은 금속와이어가 ‘S’자 형상이 반복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단부가 대향되는 지지체들의 수평부(3111)들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됨으로써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의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더욱 보강시킴과 동시에 과도한 압력에 의해 대향되는 지지체들 또는 연결체들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본연의 기능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는 전술하였던 제1, 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들과 마찬가지로 전후방이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크기가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고,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후방의 방향이 뒤집힌 상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30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형의 장방형의 쿠션(60) 또는 베개에 설치될 수 있으며, 쿠션(60) 자체의 쿠션부재(스펀지, 카시미론솜, 고무벨트, 라텍스, pu 등)와 혼합하여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정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도 13의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7은 도 13의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베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17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하중 분산성이 가장 뛰어나 베개 또는 의자, 소파 등의 상부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이다.
또한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도 13 내지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1)와, 제1, 2 연결체(421), (422)들, 탄성부(403), 탄성밴드(409)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부(401)는 일측변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40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단부는 서로를 향할수록 상향(전방)을 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401)의 개구부가 형성된 일측변을 제1 지지체(411)라고 하고, 그 대향되는 측변을 제3 지지체(403)라고 하고, 제1, 3 지지체(411), (413)들을 연결하는 측변들을 제2, 4 지지체(412), (414)라고 할 때, 지지부(401)의 제1, 3 지지체(411), (413)들은 장길이로 형성되되, 제2, 4 지지체(412), (414)들은 단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지지부(401)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정방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지지부(401)의 제1 지지체(411)의 일단부에는 제1 연결체(42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제2 연결체(422)의 일단부가 연결된다.
또한 지지부(401)의 제1 지지체(411)의 양단부는 측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연결체(421)는 반원 형상으로 곡면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1 연결체(421)는 일단부가 지지부(401)의 제1 지지체(411)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탄성부(403)의 제1 탄성체(431)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제1 연결체(421)는 조립 시, 제1 지지체(411)와 연결되는 단부 보다 제1 탄성체(431)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방(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제1 연결체(421) 및 제1 탄성체(431)와 연결된다.
제2 연결체(422)는 제1 연결체(421)와 동일하게 반원 형상으로 곡면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연결체(422)는 일단부가 지지부(401)의 제1 지지체(411)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탄성부(403)의 제2 탄성체(432)의 일단부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체(422)는 조립 시, 제1 지지체(411)와 연결되는 단부 보다 제2 탄성체(432)와 연결되는 단부가 상방(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제1 지지체(411) 및 제2 탄성체(432)와 연결된다.
또한 제2 연결체(422)는 조립 시, 제1 연결체(421)와 교차되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호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탄성부(403)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탄성부(403)는 지지부(401) 보다 폭 및 길이가 증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403)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변의 분리되는 일측변이면서 단부가 제1 연결체(421)에 연결되는 제1 탄성체(431)와, 개구부를 형성하는 측변의 분리되는 타측변이면서 단부가 제2 연결체(422)에 연결되는 제2 탄성체(432)와, 제1, 2 탄성체(431), (432)들 각각의 단부에 수직 연결되는 제3, 4 탄성체(433), (434)들과, 제3, 4 탄성체(433), (434)들 사이를 연결하는 제5 탄성체(435)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 2 탄성체(431), (432)들은 길이방향 상에서 내측에서 외측을 향할수록 하향(후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5 탄성체(435)는 길이방향 상에서 중간지점을 하향(후방)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탄성밴드(409)들은 탄발력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탄성부(403)의 제3, 4 탄성체(433), (434)들에 결합됨으로써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더욱 보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반호 형상으로 교차되는 제1, 2 연결체(421), (422)들에 의해 지지부(401) 및 탄성부(403)가 다층 구조로 설계됨과 동시에 제1, 2 연결체(421), (422)들이 경사지게 연결됨으로써 1)후방으로 압축될 때, 전방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2)수평방향의 외측으로 힘을 받아 압축될 때, 내측을 향하여 탄성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수평방향(상하, 좌우)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압축될 때, 수직방향으로의 탄성력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발생되어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갖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도 탄성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하중분산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과 더불어, 지지부(401), 제1, 2 연결체(421), (422)들 및 탄성부(403)가 전후방으로 대칭되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 후방을 향하는 탄성복원력의 수직 및 수평방향의 크기가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보다 강한 탄성력을 원하는 경우,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의 전면으로 신체를 기댈 수 있고, 보다 약한 탄성력을 원하는 경우,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의 후면으로 신체를 기대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단일 구조로 2가지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전후방으로 뒤집한 상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수평방향의 탄성력, 즉 하중 분산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도 16과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7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목이나 어깨를 지지하거나 또는 베개(8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400)는 수평 방향의 회전에 역점을 둔 것으로, 디테일한 감촉과 부드러운 탄력을 제공하여 근육 및 혈관을 분산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18의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 내지 21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500)는 절곡 및 휨 등의 가공 처리를 통해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킨 장치로서, 허리와 같이 높은 탄성력이 요구되는 장치에 적합하며, 허리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복원력을 통해 허리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실시예이다.
또한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500)는 도 18 내지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501)와, 제1, 2 연결체(521), (522)들, 탄성부(503), 탄성밴드(509)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부(501)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501)는 설치 시, 의자 등의 쿠션부재의 내부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지부(501)의 양단부에는 제1, 2 연결체(521), (522)들이 수직 연결된다.
제1, 2 연결체(521), (522)들은 길이를 갖는 곡면 형상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2 연결체(521), (522)들은 일단부가 지지부(501)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2 연결체(521), (522)들은 만곡된 영역이 외측을 향하도록 지지부(501)와 연결된다.
탄성부(503)는 길이를 갖는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2 연결체(521), (522)들에 각각 연결되는 제1, 2 탄성체(531), (532)들과, 제1, 2 탄성체(531), (532)들 사이에 연결되는 수평탄성체(53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탄성부(503)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부(501)와 동일한 폭을 갖되 길이가 짧은 사각형 형상을 형성한다.
제1, 2 탄성체(531), (532)들은 길이를 갖는 곡면 형상의 와이어로 형성되며, 제1, 2 연결체(521), (522)들 각각의 단부에 수직 연결된다.
이때 제1, 2, 탄성체(531), (532)들은 직후방에 배치된 지지부(501)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와이어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2 탄성체(531), (532)들은 만곡된 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제1, 2 연결체(521), (522)들과 각각 연결된다.
수평탄성체(533)는 제1, 2 탄성체(531), (532)들 사이에 연결된다.
또한 수평탄성체(533)는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이 양단부보다 후방을 향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탄성밴드(509)들은 탄력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2 탄성체(531), (532)들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자체 탄성력을 통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보완함과 동시에 제1, 2 탄성체(531), (532)들이 외부 가압에 의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500)는 탄성부(503) 및 지지부(501)가 곡면형상의 제1, 2 연결체(521), (522)들에 의해 다층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탄성부(503)가 신체(특히 허리)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될 때, 제1, 2 연결체(521), (522)들에 의해 전방으로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고, 이에 따라 허리를 강한 힘으로 탄발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허리를 더욱 깊숙이 밀착 지지할 수 있으며, 허리에 접촉되는 탄성부(503)의 제1, 2 탄성체(531), (532)들이 허리의 굴곡에 대응하여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허리와 긴밀하게 접촉되어 허리를 더욱 탄발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500)는 수직방향의 높은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허리가 접촉되는 의자(90), 차량용시트, 소파 등에 설치가 가능하고, 수직방향의 강력한 탄성력을 통해 접촉된 허리를 강한 힘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정면도이고, 도 24는 도 22의 측면도이고, 도 25는 도 22의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가 의자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2 내지 25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600)는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의 탄성력이 우수하여 하중분산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평면회전성이 우수하여 신체의 목과 등을 지지하기 위한 의자 등의 쿠션부재에 설치된다.
또한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600)는 도 22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1)와, 제1, 2 연결체(621), (622)들, 탄성부(603), 탄성밴드(609)들로 이루어진다.
지지부(601)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사각형상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601)는 설치 시, 의자 등의 쿠션부재의 내부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지지부(60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단부에는 제1, 2 연결체(621), (622)들이 수직 연결된다.
제1, 2 연결체(621), (622)들은 길이를 갖는 곡면 형상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2 연결체(621), (622)들은 일단부가 지지부(601)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때 제1, 2 연결체(621), (622)들은 만곡된 영역이 서로를 향하도록 지지부(601)와 연결된다.
탄성부(603)는 일측이 개구된 사각형 형상으로 절곡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양단부가 제1, 2 연결체(621), (622)들의 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제1, 2 연결체(621), (622)들에 의해 지지부(601)와 다층구조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지부(601) 보다 전방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탄성부(603)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지지부(601) 보다 폭 및 길이가 증가하여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탄성부(603)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일측변을 제1 탄성체(631)라고 하고, 제1 탄성체(631)의 양단부로부터 수직 연결되는 측변들을 제2, 4 탄성체(632), (634)들이라고 하고, 제2, 4 탄성체(632), (634)들을 연결하는 측변을 제3 탄성체(633)라고 할 때, 신체의 등에 접촉되는 제2, 4 탄성체(632), (634)들은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제3 탄성체(633)는 길이방향의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 탄성체(631)는 중간지점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형성하는 각 단부에는 제1, 2 연결체(621), (622)들이 각각 연결된다.
탄성밴드(609)들은 탄력을 갖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부(601)의 대향되는 측변들의 사이와, 탄성부의 제2, 4 탄성체(632), (634)들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자체 탄성력을 통해 수직방향의 탄성력을 보완함과 동시에 탄성부(603) 및 지지부(601)가 외부 압력에 의해 폭 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600)는 탄성부(603) 및 지지부(601)가 곡면형상의 제1, 2 연결체(621), (622)들에 의해 다층구조로 결합됨으로써 탄성부(603)가 수직방향 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으로의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등에 접촉되는 탄성부의 제2, 4 탄성체(632), (634)들이 허리의 굴곡에 대응하여 전방을 향하여 만곡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등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사용자의 등을 더욱 탄발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60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의 높은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의 등이 접촉되는 의자(91), 차량용시트, 소파 등에 설치가 가능하고, 수직 및 수평방향의 우수한 탄성력을 통해 접촉된 등을 강한 힘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절곡, 휨, 비틀림 등의 가공처리를 통해 강철선 등의 금속와이어를 다층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하여 형상을 입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직 방향의 탄성력을 극대화시키면서 수평 방향의 하중 분산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안락감, 접촉감, 신체 보호성, 피로감 해소 및 근육 이완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금속와이어의 두께나 금속와이어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겹치기 등)의 방식 변경을 통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성 및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금속와이어를 가공처리(휨, 절곡, 비틀림 등) 하여 탄성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금속와이어의 겹치기를 통해 다층구조로 설계됨으로써 더욱 강력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용도 및 접촉대상에 따라 층수를 가감하여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맞춤형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신체에 접촉되는 영역이 접촉되는 신체의 굴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입체적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체형에 따라 굴곡진 모든 신체 부위와의 밀착성을 높여 뼈와 근육의 피로감을 효과적으로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금속와이어를 절곡 형성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필요에 따라 한 쌍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들이 뒤집한 상태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체 부위, 근육피로도 등의 다양한 조건에 대응하여 적합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1), (200), (300), (400), (500), (600)들은 지지부, 연결부 및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조립체가 전후방으로 대칭되게 조립되는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대칭적인 조립체로 구성되기 때문에 전방으로부터 가압될 때의 탄성복원력과 후방으로 가압될 때의 탄성복원력이 각기 다르게 형성됨에 따라 단일 장치로 다른 효과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전면과 후면을 택일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제1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11, 12, 13, 14:제1, 2, 3, 4 지지체
18, 19:제1, 2 보강체 21, 22, 23, 24:제1, 2, 3, 4 연결체
200:제2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211, 212, 213, 214:제1, 2, 3, 4 지지체
218, 219:제1, 2 보강체 221, 222, 223, 224:제1, 2, 3, 4 연결체
300:제3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311, 312, 313, 314:제1, 2, 3, 4 지지체
318, 319:제1, 2 보강체 321, 322, 323, 324:제1, 2, 3, 4 연결체
400:제4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401:지지부
403:탄성부 409:탄성밴드
411, 412, 413, 414:제1, 2, 3, 4 지지체
418, 419:제1, 2 보강체 431, 432, 433, 434:제1, 2, 3, 4 탄성체
500:제5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501:지지부
503:탄성부 509:탄성밴드
521, 522:제1, 2 연결체들 531, 532:제1, 2 탄성체
533:수평탄성체 600:제6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601:지지부 603:탄성부
609:탄성밴드 621, 622:제1, 2 연결체들
631, 632, 633, 634:제1, 2, 3, 4 탄성체

Claims (9)

  1. 신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에 설치되어 신체에 의해 가압될 때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금속와이어를 절곡하여 다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간격을 두고 연결되되,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가 내측을 향하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부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연결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들은 조립 시, 단부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직선 길이를 갖는 와이어로 형성되되, 양단부가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지지체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체들은
    상기 금속와이어를 절곡시켜 형성되며, 양단부가 인접한 지지체들의 서로를 향하는 단부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들은
    양단부가 교차되도록 절곡되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원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체들은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체는
    금속와이어가 ‘S’자 형상이 반복되도록 절곡되어 양단부가 대향되는 지지체들에 각각 연결되거나 또는 대향되는 연결체들의 교차되는 지점들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의 금속와이어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양단부에 전방을 향하여 수직 연결되는 제1, 2 연결체들;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거나 또는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제1, 2 연결체들 각각에 연결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인 탄성체들이 길이방향 상에서 양단부로부터 중간지점을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때, 만곡된 영역이 상측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 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때, 만곡된 영역이 서로를 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지지부 및 상기 탄성부가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측면상에서 바라보았을 때, 단부를 향할수록 전방을 향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신체가 접촉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할 때,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 시, 후방에 배치되는 지지부;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제1 연결체;
    곡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연결 시, 상기 제1 연결체와 교차되는 제2 연결체;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일측변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부를 형성하는 단부들이 제1, 2 연결체들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연결체들은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탄성부에 연결되는 단부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는 단부보다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탄성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밴드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지지부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들 사이 또는 상기 탄성부의 양측변을 형성하는 금속와이어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KR1020200057762A 2020-05-14 2020-05-14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KR102184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62A KR102184794B1 (ko) 2020-05-14 2020-05-14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62A KR102184794B1 (ko) 2020-05-14 2020-05-14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794B1 true KR102184794B1 (ko) 2020-11-30

Family

ID=73641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62A KR102184794B1 (ko) 2020-05-14 2020-05-14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7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862Y1 (ko) * 1998-09-07 2000-03-15 허정길 소파의 스프링 보강구
KR20150004485U (ko) * 2014-06-05 2015-12-15 박문석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0487165Y1 (ko) * 2018-02-23 2018-08-14 진성수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
KR20190000384U (ko) * 2017-08-02 2019-02-12 장병철 철망 방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2862Y1 (ko) * 1998-09-07 2000-03-15 허정길 소파의 스프링 보강구
KR20150004485U (ko) * 2014-06-05 2015-12-15 박문석 스프링 탄성유지수단이 구비된 쇼파용 쿠션좌판
KR20190000384U (ko) * 2017-08-02 2019-02-12 장병철 철망 방석
KR200487165Y1 (ko) * 2018-02-23 2018-08-14 진성수 이중 완충 구조를 갖는 쇼파용 쿠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3433B2 (ja) 椅子の背もたれ
US7931257B2 (en) Multilayer load bearing structure
JP2016073692A5 (ko)
US20170071348A1 (en) Support panel
JP2021023544A (ja) 着座用クッション体
KR102184795B1 (ko) 착석감 및 탄성을 높인 의자
KR102184794B1 (ko) 금속와이어를 이용한 복합형 입체 탄성장치
JP4861377B2 (ja) 椅子および椅子装着具
JP3120773U (ja) マットレス
KR101815183B1 (ko) 디스크 방지용 방석
CN212250925U (zh) 一种弹性结构件
KR102136560B1 (ko) 의자용 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CN217090091U (zh) 一种护腰复合立体弹性靠枕
JP3063421U (ja) 脊椎保護矯正式左右均衡座布団
JP4686678B2 (ja) 椅子用クッションおよび同クッションを備える車椅子
CN205144075U (zh) 一种符合人体工程学的靠背及其功能沙发
CN218605893U (zh) 一种凝胶坐垫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KR200351308Y1 (ko) 척추교정용 방석
CN204519969U (zh) 沙发结构
KR102614324B1 (ko) 의자 시트
JP7191426B1 (ja) 椅子
JP3097837U (ja) 座椅子用クッション材と座椅子
KR102187059B1 (ko) 틸팅 및 트위스트를 유도하는 등받이를 갖는 의자
CN216200054U (zh) 一种新型立体复合弹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