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745B1 -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 Google Patents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745B1
KR102184745B1 KR1020200083951A KR20200083951A KR102184745B1 KR 102184745 B1 KR102184745 B1 KR 102184745B1 KR 1020200083951 A KR1020200083951 A KR 1020200083951A KR 20200083951 A KR20200083951 A KR 20200083951A KR 102184745 B1 KR102184745 B1 KR 102184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exhaust duct
generated
lamp
air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선
Original Assignee
(주)유성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엔비텍 filed Critical (주)유성엔비텍
Priority to KR102020008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2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식당 주방(또는 백화점, 아울렛, 병원, 리조트, 학교 등의 다중 공용시설과 분뇨처리를 요하는 정화시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나 오폐수 처리 및 재활용 선별장 등에도 적용 가능)에서 발생된 악취나 유해가스(유독가스)가 레인지 후드를 통해 배기시 이를 제거(탈취)하면서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악취(냄새) 발원지로부터 발생된 기류가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 경로 상 일측에는 오존발생기가 부가되도록 하되, 상기 오존발생기는 오존램프가 송풍기, 기류감지센서 및 구동팬과 함께 마이콤에 의해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악취 발생(기류 감지)시 즉각적인 탈취와 살균 기능이 가동되도록 함은 물론 기류 감지(악취 발생)시에만 오존이 발생되도록 형성되어 오존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형성되고, 특히 기류 감지시에만 시스템이 가동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확보됨은 물론 소모품의 교환,교체 주기 및 유지관리(Maintenance) 주기가 길게 확보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존램프와 배기덕트 사이에 연결관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관에는 기류분배기와 역류방지댐퍼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배기덕트를 통해 이송 중인 기류(취사에 따른 음식 연기, 분뇨가스, 유해가스, 유독가스 등)에 대하여 오존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탈취와 살균 성능이 더욱 강화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역류방지댐퍼는 오존램프의 비가동시 배기덕트 측으로부터 발생된 기류가 장착함(오존램프 측) 내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부식성 가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바, 이는 오존 발생기 내의 오염을 방지하고 전자제품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Ozonizer and deodorization system for kitchen}
본 발명은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식당 주방(또는 백화점, 아울렛, 병원, 리조트, 학교 등의 다중 공용시설의 주방과 분뇨처리를 요하는 정화시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나 오폐수 처리 및 재활용 선별장 등에도 적용 가능)에서 발생된 악취나 유해가스(유독가스)가 레인지 후드를 통해 배기시 이를 제거(탈취)하면서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악취제거장치는 발생된 오염원(냄새, 유해가스, 유독가스 등)에 대하여 악취를 제거한 후 외부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악취유발 물질은 다양한 발생원에서 생성되는데 음식점 주방에서 음식의 조리시 발생될 수도 있고,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설, 재활용 쓰레기 처리시설, 하수처리장, 분뇨 또는 축산폐수처리장, 쓰레기 매립장, 퇴비공장, 화학공장, 식품 생산공장을 포함한 각종 제조업 등에서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악취는 불쾌감을 유발하는 냄새로서 신경계통에 자극을 주는 기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암모니아(NH3), 메틸메르캅탄(CH3SH), 황화수소(H2S), 황화메틸((CH3)2S), 이황화메틸((CH3)2S2), 트리메틸아민((CH3)3N), 아세트알데히드(CH3CHO), 스티렌(C6H5CH=CH2),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등이 악취 유발물질로 지정되고 있다.
이와 같이 발생된 악취는 주변 환경오염을 야기하여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악취문제의 효과적인 해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1349호(2010.09.03.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식당 주방(또는 백화점, 아울렛, 병원, 리조트, 학교 등의 다중 공용시설과 분뇨처리를 요하는 정화시설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나 오폐수 처리 및 재활용 선별장 등에도 적용 가능)에서 발생된 악취나 유해가스(유독가스)가 레인지 후드를 통해 배기시 이를 제거(탈취)하면서 살균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악취(냄새) 발원지로부터 발생된 기류가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 경로 상 일측에는 오존발생기가 부가되도록 하되, 상기 오존발생기는 오존램프(또는 플라즈마 램프)가 송풍기, 기류감지센서 및 구동팬과 함께 마이콤에 의해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악취 발생(기류 감지)시 즉각적인 탈취와 살균 기능이 가동되도록 함은 물론 기류 감지(악취 발생)시에만 오존이 발생되도록 형성되어 오존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형성되고, 특히 기류 감지시에만 시스템이 가동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확보됨은 물론 소모품의 교환,교체 주기 및 유지관리(Maintenance) 주기가 길게 확보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존램프와 배기덕트 사이에 연결관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관에는 기류분배기와 역류방지댐퍼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배기덕트를 통해 이송 중인 기류(취사에 따른 음식 연기, 분뇨가스, 유해가스, 유독가스 등)에 대하여 오존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이는 탈취와 살균 성능이 더욱 강화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역류방지댐퍼는 오존램프의 비가동시 배기덕트 측으로부터 발생된 기류가 장착함(오존램프 측) 내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부식성 가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바, 이는 오존 발생기 내의 오염을 방지하고 전자제품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식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나 유해가스(연기) 또는 분뇨나 오폐수로부터 발생된 유독가스나 악취가 배기덕트(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덕트(10)의 경로 일측에는 연결관(20)에 의해 연통된 오존램프(30)가 구비되어 송풍기(40)의 가동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면서 배기되는 기류(유해가스 등)에 살균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오존램프(30)는 박스형태의 장착함(50) 내에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함(50) 내에는 구동팬(60)이 설치되어 연결관(20) 측 관통구 방향으로 발생된 오존이 강제로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존램프(30)는 배기덕트(10) 측에 설치된 기류감지센서(70)와 연동하도록 하되, 상기 기류감지센서(70)는 송풍기(40)의 가동시 이송 기류가 체크되면 오존램프(30)의 동작을 구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20)은 내부 일측에 기류분배기(80)가 형성되어 오존램프(30)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와류를 일으키면서 배기덕트(10) 측 배기가스(악취, 냄새)와 고르게 혼합되면서 악취제거 성능이 향상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관(20) 일측에는 역류방지댐퍼(90)가 장착되어 오존램프(30) 가동 전에는 회전단판(91)을 닫아 배기덕트(10)로부터 발생된 냄새나 유해가스가 장착함(5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존발생기를 이용하여 발생된 악취나 유해가스(유독가스)를 제거(탈취)하면서 살균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악취(냄새) 발원지로부터 발생된 기류가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기됨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 경로 상 일측에는 오존발생기가 부가되도록 하되, 상기 오존발생기는 오존램프가 송풍기, 기류감지센서 및 구동팬과 함께 마이콤에 의해 연동하도록 형성되어 악취 발생(기류 감지)시 즉각적인 탈취와 살균 기능이 가동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은 기류 감지(악취 발생)시에만 오존이 발생되도록 형성되어 오존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류 감지시에만 시스템이 가동되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확보됨은 물론 소모품의 교환,교체 주기 및 유지관리(Maintenance) 주기가 길게 확보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크게 개선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오존램프와 배기덕트 사이에 연결관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관에는 기류분배기와 역류방지댐퍼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배기덕트를 통해 이송 중인 기류(취사에 따른 음식 연기, 분뇨가스, 유해가스, 유독가스 등)에 대하여 오존의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탈취와 살균 성능이 더욱 강화되도록 형성되고, 특히 역류방지댐퍼는 오존램프의 비가동시 배기덕트 측으로부터 발생된 기류가 장착함(오존램프 측) 내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어 부식성 가스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바, 이는 오존 발생기 내의 오염을 방지하고 전자제품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및 살균시스템을 나타낸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댐퍼를 나타낸 일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당 주방에서 음식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나 유해가스(연기) 또는 분뇨나 오폐수로부터 발생된 유독가스나 악취가 배기덕트(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도 1은 일반 대중식당에서 음식이 조리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레인지 후드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이에, 상기 배기덕트(10)의 경로 일측에는 연결관(20)에 의해 연통된 오존램프(30)가 구비되어 송풍기(40)의 가동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면서 배기되는 기류(유해가스 등)에 살균을 도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은 플렉시블 덕트로 사용가능한 것으로, 원형의 스파이럴 덕트와 같은 직관일 수도 있고 사각 또는 오발 덕트 형태일 수도 있다.
이에, 상기 오존램프(30)는 박스형태의 장착함(50) 내에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함(50) 내에는 구동팬(60)이 설치되어 연결관(20) 측 관통구 방향으로 발생된 오존이 강제로 배기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오존램프는 오존을 발생시키는 일 예시로서 플라즈마 램프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장착함은 박스형 함체로서 천정에 기 고정된 앙카볼트에 상측 고정플렌지 또는 고정브라켓의 관통공이 관통하면서 별도의 너트에 의해 체결되면서 부착되는 형태로 조립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장착함은 내부 공간부에 하나 이상 복수의 오존램프가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발생된 오존이 구동팬의 가동에 의해 관통구 측으로 방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팬은 관통구와 대향되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관통구와 구동팬 사이에 놓인 오존램프를 향해 구동팬의 송풍이 불어져 오존이 관통구를 통해 연결구와 배기덕트 측으로 순차적인 분사가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존램프(30)는 배기덕트(10) 측에 설치된 기류감지센서(70)와 연동하도록 하되, 상기 기류감지센서(70)는 송풍기(40)의 가동시 이송 기류가 체크되면 오존램프(30)의 동작을 구동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관(20)은 내부 일측에 기류분배기(80)가 형성되어 오존램프(30)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와류를 일으키면서 배기덕트(10) 측 배기가스(악취, 냄새)와 고르게 혼합되면서 악취제거 성능이 향상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기류분배기는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태로 배치된 다수개의 블레이드 날개가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블레이드 날개는 곡면형태의 선회하는 라운드 곡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 날개 자체는 곡면형태가 중심점을 기준으로 일부 기울어진 각도(블레이드 날개의 세워진 각도가 평면 기준 직각이 아닌 휘어진 곡면)을 이루도록 하는 바, 이는 오존 분사(배기덕트를 향해 흘러나감)시 와류 성능이 배가되어 깔대기 형태와 같이 넓은 분포로 회오리를 일으키는 바, 배기덕트를 통해 상향 배기되고 있는 유해가스나 악취에 대하여 혼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연결관(20)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방지댐퍼(90)가 장착되어 오존램프(30) 가동 전에는 회전단판(91)을 닫아 배기덕트(10)로부터 발생된 냄새나 유해가스가 장착함(5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역류방지댐퍼의 회전단판은 배기덕트를 통해 배기되는 유해가스나 악취가 장착함 측으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역류방지댐퍼(90)는 다른 실시예로서, 일측에 온도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93)가 구비되어 주방으로부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온도나 연기를 감지하면 기류감지센서와 별개로 회전단판(91)을 닫아 오존발생기 측으로 화염, 열기, 연기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오존램프를 포함한 오존발생기를 보호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장착함의 2차 화재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이에, 상기 회전단판(91)의 원주면 테두리에는 발포 팽창 재질의 내화충전재(92)가 도포되어 화재로 인한 열화 접촉시 테두리의 내화충전재(92)가 발포 팽창하면서 열기나 화염이 오존발생기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회전단판과 장착함의 관통구 사이에는 별도의 메쉬망(94)이 더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메쉬망의 선재 표면에는 발포 팽창 재질의 내화충전재가 코팅되어 평상시 오존의 분사는 원활하도록 하되, 화재로 인한 열화 발생시에는 상기 회전단판과 함께 내화충전재가 발포 팽창하면서 열기나 화염에 대한 2차 화재 차단 및 방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오존발생기 측으로 2차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원천 차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배기덕트 20 ... 연결관
30 ... 오존램프 40 ... 송풍기
50 ... 장착함 60 ... 구동팬
70 ... 기류감지센서 80 ... 기류분배기
90 ... 역류방지댐퍼 91 ... 회전단판

Claims (5)

  1. 음식 조리시 발생되는 냄새나 유해가스 또는 유독가스나 악취가 배기덕트(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배기덕트(10)의 경로 일측에는 연결관(20)에 의해 연통된 오존램프(30)가 구비되어 송풍기(40)의 가동시 발생된 악취를 제거하면서 배기되는 기류에 살균을 도모하도록 하는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에 있어서,
    상기 오존램프(30)는 박스형태의 장착함(50) 내에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장착함(50) 내에는 구동팬(60)이 설치되어 연결관(20) 측 관통구 방향으로 발생된 오존이 강제로 배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오존램프(30)는 배기덕트(10) 측에 설치된 기류감지센서(70)와 연동하도록 하되, 상기 기류감지센서(70)는 송풍기(40)의 가동시 이송 기류가 체크되면 오존램프(30)의 동작을 구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20)은 내부 일측에 기류분배기(80)가 형성되어 오존램프(30)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와류를 일으키면서 배기덕트(10) 측 배기가스와 고르게 혼합되면서 악취제거 성능이 향상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20) 일측에는 역류방지댐퍼(90)가 장착되어 오존램프(30) 가동 전에는 회전단판(91)을 닫아 배기덕트(10)로부터 발생된 냄새나 유해가스가 장착함(50)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역류방지댐퍼(90)는 일측에 온도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93)가 구비되어 주방으로부터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온도나 연기를 감지하면 기류감지센서와 별개로 회전단판(91)을 닫아 오존발생기 측으로 화염, 열기, 연기 등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단판(91)의 원주면 테두리에는 발포 팽창 재질의 내화충전재(92)가 도포되도록 형성되며, 회전단판과 장착함의 관통구 사이에는 별도의 메쉬망(94)이 더 구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3951A 2020-07-08 2020-07-08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KR102184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51A KR102184745B1 (ko) 2020-07-08 2020-07-08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51A KR102184745B1 (ko) 2020-07-08 2020-07-08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745B1 true KR102184745B1 (ko) 2020-12-01

Family

ID=73790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51A KR102184745B1 (ko) 2020-07-08 2020-07-08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7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3178B1 (ko) * 2022-12-12 2023-07-10 (주)유성엔비텍 기류 체류 유도용 오존반응기가 구비된 탈취 시스템
KR102614898B1 (ko) * 2023-07-24 2023-12-20 (주)유성엔비텍 오존 역류(실내유입) 방지용 배출팬을 이용하여 잔류오존을 배출하는 탈취 시스템
KR20240027341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칸필터 재생 기능을 갖는 탈취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36Y1 (ko) * 2001-10-22 2002-01-10 주식회사 하츠 주방용 후드
KR200417613Y1 (ko) * 2006-03-16 2006-06-02 심상민 악취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싱크대
KR100630422B1 (ko) * 2005-05-31 2006-10-09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주방배기탈취장치
KR100981349B1 (ko) 2008-07-03 2010-09-10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습, 건식을 이용한 2중 악취제거장치
JP2012037210A (ja) * 2010-08-11 2012-02-23 Fuji Industrial Co Ltd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0536Y1 (ko) * 2001-10-22 2002-01-10 주식회사 하츠 주방용 후드
KR100630422B1 (ko) * 2005-05-31 2006-10-09 주식회사 성림피에스 주방배기탈취장치
KR200417613Y1 (ko) * 2006-03-16 2006-06-02 심상민 악취 제거 및 살균이 가능한 싱크대
KR100981349B1 (ko) 2008-07-03 2010-09-10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습, 건식을 이용한 2중 악취제거장치
JP2012037210A (ja) * 2010-08-11 2012-02-23 Fuji Industrial Co Ltd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7341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칸필터 재생 기능을 갖는 탈취 시스템
KR102553178B1 (ko) * 2022-12-12 2023-07-10 (주)유성엔비텍 기류 체류 유도용 오존반응기가 구비된 탈취 시스템
KR102614898B1 (ko) * 2023-07-24 2023-12-20 (주)유성엔비텍 오존 역류(실내유입) 방지용 배출팬을 이용하여 잔류오존을 배출하는 탈취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4745B1 (ko) 식당 주방용 오존 탈취기
KR101815382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악취 제거 장치
US20080173178A1 (en) Modular Ductwork Decontamination Assembly
US20080063558A1 (en) Odour Reduction Apparatus
DK1986703T3 (da) System til fjernelse af luftbårne forureninger
KR20180012021A (ko) 방역형 공기정화 시스템
CN101837142B (zh) 一种光解除臭装置及方法
JPH0966096A (ja) 光作用による空気浄化装置
KR101657188B1 (ko) 친환경 오존 및 광촉매 살균장치
KR102614898B1 (ko) 오존 역류(실내유입) 방지용 배출팬을 이용하여 잔류오존을 배출하는 탈취 시스템
KR200457117Y1 (ko) 살균 탈취 장치
KR102553178B1 (ko) 기류 체류 유도용 오존반응기가 구비된 탈취 시스템
CN204006226U (zh) 烟道终端无动力油烟净化器
KR200208577Y1 (ko) 살균 및 탈취를 위한 오존발생장치
JP2005233586A (ja) 換気設備
KR102259587B1 (ko) 용도 및 환경에 따른 조합이 가능한 조립식 모듈 탈취기
CN211188384U (zh) 一种有机易腐垃圾处理带除臭功能设备
CN218915191U (zh) 一种应用于中央空调的光等离子消杀模块
CN219674429U (zh) 吊式空间除臭消杀设备
RU2259850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в помещениях
CN207755965U (zh) 一种光解除味装置
CN216716458U (zh) 一种负压新风离子除臭系统
CN218237762U (zh) 一种风道式空气消毒机
CN213159907U (zh) 一种便于拆装的净化用除臭装置
JPH0551349U (ja) 殺菌灯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