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552B1 -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 Google Patents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552B1
KR102184552B1 KR1020190155389A KR20190155389A KR102184552B1 KR 102184552 B1 KR102184552 B1 KR 102184552B1 KR 1020190155389 A KR1020190155389 A KR 1020190155389A KR 20190155389 A KR20190155389 A KR 20190155389A KR 102184552 B1 KR102184552 B1 KR 102184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arget product
plane
product image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히얼아이엠
Priority to KR10201901553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3Edg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비자의 니즈(Needs)를 반영한 디자인 상품의 제공을 통하여 소비자의 만족감을 향상 시키는 서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메모리;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이미지 중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도출된 결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를 대응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A sever providing design platform service}
본 발명은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련된 기술이다.
플랫폼 서비스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중 하나이다.
플랫폼 서비스는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구현 시, 관련 인프라를 만들고 유지 보수하는 복잡함 없이 애플리케이션실행,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플랫폼 서비스의 근간이 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서비스의 개발 및 실행, 기기의 동작에 공통적으로 활용되는 소프트웨어의 집합으로서 운영체제, 미들웨어, 기본 응용 개발 지원 도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 개발 및 타 산업과의 융합을 위한 기반 제공 등으로 그 역할 및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플랫폼 서비스에 있어서 디자인에 대한 플랫폼 서비스의 제공은 미흡한 실정이며 특히 소비자, 생산자 및 디자이너 상호간을 연결하여 소비자의 니즈(Needs)에 맞는 상품을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의 니즈(Needs)를 반영한 디자인 상품의 제공을 통하여 소비자의 만족감을 향상 시키는 서버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메모리;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이미지 중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도출된 결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를 대응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높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높이 정보의 평균 값 및 상기 평균 값과 미리 결정된 차이 미만의 상기 높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자인 이미지와 대응되는 평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을 제1마스크로 결정하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경계를 제2마스크로 결정하고, 상기 제2마스크가 상기 제1마스크에 포함되도록 상기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결정하고, 상기 변화율의 부호가 변경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된 평면 중,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이 가장 큰 제1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가
상기 제1평면의 크기를 초과하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제1평면 및 상기 제2평면에 포함되면, 상기 제1평면 및 상기 제2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사각 경계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사각 경계 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중심을 일치시켜 상기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자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여,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는 상기 결과 이미지를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결정하고, 상기 변화율의 부호가 변경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평면 중,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이 가장 큰 평면을 상기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크기 및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에 대응되는 대상 상품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도출된 추천 결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소비자의 니즈(Needs)를 반영한 디자인 상품의 제공을 통하여 소비자의 만족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디자이너와 소비자의 소통을 통한 효율적인 디자인 상품의 공급을 유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생산자, 디자이너 및 소비자의 소통을 통하여 합리적인 가격의 디자인 상품 공급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디자인 상품 제작에 있어서 생산자와 디자이너의 업무 분배를 통하여 효율적인 업무 진행이 가능하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와 사용자 단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럭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 디자인 이미지 및 결과 이미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사용자 단말에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에 기초한 추천 디자인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정보에 기초한 평면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이미지의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 및 미리 결정된 크기의 개수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기초로 대상 상품 이미지의 평면을 분할하고, 디자인 이미지가 대응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이미지의 사각 경계 이미지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일치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 및 디자인 이미지 각각에 마스크를 결정하는 동작 및 이를 기초로 결과 이미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3,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와 사용자 단말(5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10)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럭도이다.
도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 전반적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10)는 사용자 단말(50)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50)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는 유저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유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터치 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패널(TSP)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입력부로도 사용될 수 있다.
서버(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50)은 수신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5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품이나 이미지를 결정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러한 명령은 서버(10)로 송신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50)과 통신하는 서버(10)는 메모리(200)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00)는 후술하는 복수의 상품 이미지, 디자인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00)는 후술하는 프로세서(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0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200)(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200)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200)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제어부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10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200)일 수 있고, 프로세서(100)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수신 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메모리(200)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이미지 중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대상 상품 이미지는 사용자가 최종 적으로 전달 받을 상품에 대응되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도출된 결과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다.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은 디자인 이미지가 구현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상품 이미지는 3차원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고,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적어도 하나의 2차원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해당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은 평면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대상 상품 이미지는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를 대응되는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높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결과 이미지는 디자인 이미지가 대상 상품에 적용된 형태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상품 이미지의 높이 정보는 대상 상품 이미지가 3차원으로 구현되는 경우의 높이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정보가 x, y, z축의 좌표 정보로 대응되는 경우 높이 정보는 z축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대상 상품 이미지는 높이 정보의 평균 값 및 평균 값과 미리 결정된 차이 미만의 높이 정보에 대응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자인 이미지와 대응되는 평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미리 결정된 차이는 2mm로 결정될 수 있으나, 대상 상품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결정된 차이는 변경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평면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기초로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해당 도면에서 설명한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을 제1마스크로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해당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완전히 포함되는 단위 영역을 제1마스크로 결정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의 경계를 제2마스크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제2마스크가 제1마스크에 포함되도록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마스크는 프로세서(100)가 미리 결정된 기준 결정한 이미지의 집합을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평면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즉 길이에 따라서 대상 상품 이미지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개수가 많은 것은 대상 상품 이미지에 평면의 넓이가 넓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변화율의 부호가 변경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을 분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에 마련된 평면의 존재로 해당 영역을 분할 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분할된 평면을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분할된 평면 중 하나를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고, 분할된 평면 중 복수개의 평면을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분할된 평면 중,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이 가장 큰 제1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는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정보에 대응하여 적분할 수 있다.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길이 정보에 대하여 적분 한 값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상대적 넓이를 의미할 수 있고, 프로세서(100)는 그 넓이가 가장 큰 평면을 제1평면으로 결정하여 해당 평면을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되는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가 제1평면의 크기를 초과하고,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제1평면 및 상기 제2평면에 포함되면, 제1평면 및 상기 제2평면을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디자인 이미지가 하나의 분할된 영역의 평면이 아닌 복수의 분할된 영역의 평면에 포함되면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를 복수의 분할된 평면을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사각 경계 이미지를 결정하고,
사각 경계 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중심을 일치시켜 상기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각 경계 이미지는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직사각형 형태의 경계를 의미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자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하고,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여,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는 상기 결과 이미지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기초로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결정된 디자인 이미지 자체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최적화 되도록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크기 및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에 대응되는 대상 상품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도출된 추천 결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다.
디자인의 추천에 있어서 서버(10)는 다양한 동작을 기초로 동작할 수 있다.
우선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상품에 기초하여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 상품의 종류, 대상 상품을 선호하는 사용자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대상 상품에 대응되는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해당 대상 상품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천하는데 있어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등 기계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크기를 기초로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 디자이너가 업로드 한 디자인 이미지의 최적화된 크기와 대상 상품에서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될 수 있는 크기를 비교하여 서버(10)는 대상 상품 선택에 기초한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서버(1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 대비 일정 비율 이상의 디자인 이미지 면적이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이미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영역에 표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영역에 표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00)는 하나의 영역에 표현되는 디자인 이미지의 비율이 복수의 영역에 표현된 디자인 이미지 비율보다 작으면 복수의 영역에 디자인 이미지가 표현되도록 추천할 수 있다. 이를 표현한 수학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9122882906-pat00001
수학식1을 참고하면, D1은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 R1 및 R2는 각 영역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고, P는 1보다 작고 0보다 큰 임의의 상수를 의미한다.
서버(10)에 포함된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이미지의 크기를 위와 같은 방법으로 비교하여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되는 영역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의 사용자 단말(50) 및 서버(1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및 도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 디자인 이미지 및 결과 이미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P3), 디자인 이미지(D3) 및 결과 이미지(R3)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디자인 이미지(D3)는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20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상품 이미지(P3)도 메모리(200)에 저장될 수 있다. 서버(10)는 디자인 이미지(D3)와 대상 상품 이미지(P3)를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결과 이미지(R3)를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다.
디자인 이미지는 메모리(200)에 저장된 이미지 중 사용자가 결정한 이미지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자인 이미지는 대상 상품이 결정되면 해당 대상 상품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100)가 추천할 수도 있다.
한편 대상 상품 이미지는 서버(10)에 저장된 이미지로 마련될 수 있다. 해당 이미지는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에 의하여 메모리(20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결과 이미지는 디자인 이미지가 대상 상품 이미지에 적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명령을 사용자 단말(50)에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에 기초한 추천 디자인 이미지를 출력하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사용자 단말(50)에 출력된 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50)을 통하여 서버(10)로부터 제공된 디자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된 디자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D4)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명령을 기초로 대상 상품 이미지(P4)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는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결정된 디자인 이미지와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합하여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5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통하여 대상 상품 이미지(P5)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결정한 대상 상품 이미지를 기초로 이에 최적화된 이미지(RD5)를 추천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해당 대상 상품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천하는데 있어서,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가 해당 대상 상품 이미지에 대응시켜 놓은 디자인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랫폼 서비스 제공자가 "냄비 받침"의 대상 상품 이미지에 "원형"의 디자인 이미지를 매칭 시켜 메모리(200)에 저장해 놓은 경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50)을 통하여 "냄비 받침"을 대상 상품으로 결정하고 서버(10)는 해당 대상 상품에 "원형"의 디자인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 경우 냄비 받침의 대상 상품 이미지와 원형의 디자인 이미지를 결합하여 결과 이미지를 도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가 해당 대상 상품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추천하는데 있어서,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등 기계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즉, 서버(10)는 해당 플랫폼 사용자가 결정한 대상 상품 이미지와 디자인 이미지의 매칭 관계를 학습할 수 있다. 서버(10)는 학습된 데이터 및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대상 상품 이미지를 기초로 해당 대상 상품에 부합한 디자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자인 이미지, 대상 상품 이미지 및 결과 이미지의 실시 형태의 제한은 없다.
도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정보에 기초한 평면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이미지의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는 동작 및 미리 결정된 크기의 개수 정보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대상 상품 이미지(P6)가 도6의 이미지로 결정된 것을 전제로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7을 참고하면 서버(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P7)의 높이 정보(H7)를 결정하고 높이 정보(H7)의 평균 값 및 상기 평균 값과 미리 결정된 차이 미만의 상기 높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자인 이미지와 대응되는 평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7에 제시된 서버(10)에 포함된 프로세서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높이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평균 높이 정보가 10mm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서버(10)는 미리 결정된 차이를 2mm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대상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높이 정보 중 8mm 부터 12mm까지의 이미지의 집합을 대상 상품 이미지에 포함된 평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8을 참고하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평면을 단위 영역(Q8)으로 분할하고,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평면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할 수 있다.
도8에서는 대상 상품 이미지를 단위 영역(Q8)으로 분할 할 수 있다. 도8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의 격자와 대상 상품 이미지를 매칭시킬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각 단위 영역과 대상 상품 이미지와 겹치는 정도에 따라 해당 영역에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영역이 대상 상품 이미지와 완전히 포함되면 프로세서는 100점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는 100점이 부여된 영역의 개수 정보와 대상 상품 이미지와의 관계를 도출할 수 있다.
서버(10)는 이러한 관계를 통하여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가 이러한 관계를 통하여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하는 것은 아래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도9,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기초로 대상 상품 이미지의 평면을 분할하고, 디자인 이미지가 대응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서버(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평면에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결정할 수 있다.
도9에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대상 상품 이미지에 완전히 포함되는 단위 영역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9에 나타난 그래프의 축은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정보를 나타내고 있고, Y축은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세서(100)는 길이 정보에 대한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기초로 대상 상품 이미지를 분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길이 정보에 대한 단위 영역의 개수정보의 변화율이 변화하는 지점을 경계로 대상 상품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다. 도9에서는 L1에서 변화량이 음에서 양으로 변하고 L2에서 변화량이 음에서 양으로 변하므로 프로세서(100)는 L1 및 L2을 경계로 대상 상품 이미지를 분할 할 수 있다.
도9에서는 대상 상품 이미지를 A영역, B영역 및 C영역으로 분할 하였다. 한편 서버(10)는 대상 상품 이미지를 A영역, B영역 및 C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여 디자인 이미지를 대상 상품 이미지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분할된 평면 중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이 가장 큰 제1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은 길이 정보를 단위 영역 크기를 길이 정보로 적분한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은 해당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의미할 수 있고 아래의 수학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9의 나타낸 그래프에서 아래 면적은 상대적 평면의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즉 그래프의 아래 면적은 대상 상품 이미지에서 디자인 이미지가 구현될 수 있는 상대적인 평면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112019122882906-pat00002
수학식2을 참고하면 S는 대상 상품 이미지 일면의 면적을 의미하고, Count(n)은 단위 영역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함수를 의미하며, L은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해당 S값이 가장 큰 영역의 평면을 제1평면으로 결정하고 해당 대상 상품의 일면에 디자인 이미지를 적용하여 결과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9에서는 A영역의 면적이 가장 크고 프로세서(100)가 A영역을 제1평면으로 결정하고 A영역에 디자인 이미지가 결합된 결과 이미지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도10을 참고하면, 디자인 이미지(D10)가 복수의 영역에 적용된 결과 이미지를 나타내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가 제1평면(S1)의 크기를 초과하고, 디자인 이미지가 제1평면(S1) 및 제2평면(S2)에 포함되면,
제1평면(S1) 및 제2평면(S2)을 디자인 이미지(D10)가 포함된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P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10과 같이 디자인 이미지가 제1평면(S1), 즉 A영역의 크기를 초과하지만, A영역과 B영역을 합한 평면(S1+S2)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B영역은 제2평면(S2)에 대응될 수 있지만, 제2평면은 B영역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되는 평면은 상술한 방법으로 분할한 평면 중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영역, 복수의 평면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7내지 도10에서 설명한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예시를 설명하는 동작에 불과하고 디자인 이미지가 대상 상품 이미지에 적용되는 동작의 제한은 없다.
도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이미지(D11)의 사각 경계 이미지(B11)와 대상 상품 이미지(D11)의 일면을 일치시키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사각 경계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각 경계 이미지(B11)는 디자인 이미지(D11)를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사각 경계 이미지(B11) 중심(C11-D)과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중심(C11-P)을 일치시켜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11에서는 A영역이 디자인 이미지가 적용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되었고,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를 포함하는 사각 경계 이미지의 중심(C11-D)과 A영역의 중심(C11-P)을 일치시켜 디자인 이미지가 대상 상품 이미지에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디자인 이미지(D11)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보다 더 큰 크기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사용자 단말(5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자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여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S11)에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는 결과 이미지를 도출하여 사용자 단말(50)에 송신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보다 큰 경우 해당 디자인 이미지를 줄여서 대상 상품 이미지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100)는 디자인 이미지가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보다 작은 경우 해당 디자인 이미지를 증기시켜 대상 상품 이미지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다.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상품 이미지 및 디자인 이미지 각각에 마스크를 결정하는 동작 및 이를 기초로 결과 이미지를 결정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00)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을 제1마스크(MP12)로 결정하고, 디자인 이미지의 경계를 제2마스크(MD12)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제2마스크(MD12)가 제1마스크(MP12)에 포함되도록 상기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12에서는 대상 상품 이미지의 A영역이 제1마스크(MP12)로 결정되었고, 디자인 이미지의 경계가 제2마스크(MD12)로 결정되었다.
도12에서는 제2마스크(MD12)가 제1마스크(MP12)에 포함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프로세서(100)는 이러한 경우 제1마스크(MP12)로 결정된 A영역을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여 디자인 이미지를 적용하여 결과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13,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이다.
도13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001).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002).
서버는 대상 상품 이미지 중 디자인 이미지가 표현되는 대상 상품 이미지 일면 결정할 수 있다(1003).
서버는 선택된 디자인 이미지와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합하여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004).
서버는 도출된 결과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에 송신할 수 있다(1005).
도14는 도13과 달리 서버가 대상 상품 이미지에 대응되는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하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011).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대상 상품 이미지를 기초로 해당 대상 상품에 적합한 디자인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1012).
사용자가 서버가 추천한 디자인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한다면, 서버는 이에 기초하여 결과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다(1014).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 해당 결과 이미지를 송신할 수 있다(1015)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 서버
50 : 사용자 단말
100 : 프로세서
200 : 메모리

Claims (10)

  1. 메모리;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의 상품 이미지 중 대상 상품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도록 도출된 결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를 대응되는 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높이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높이 정보의 평균 값 및 상기 평균 값과 미리 결정된 차이 미만의 상기 높이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디자인 이미지와 대응되는 평면으로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를 기초로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을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을 제1마스크로 결정하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경계를 제2마스크로 결정하고,
    상기 제2마스크가 상기 제1마스크에 포함되도록 상기 결과 이미지를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결정하고,
    상기 변화율의 부호가 변경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분할된 평면 중,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이 가장 큰 제1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의 크기가
    상기 제1평면의 크기를 초과하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제1평면 및 제2평면에 포함되면,
    상기 제1평면 및 상기 제2평면을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는 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된 사각 경계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사각 경계 이미지의 중심과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중심을 일치시켜 상기 결과 이미지를 결정하는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미리 저장된 복수의 디자인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결정하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변경하여,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상기 디자인 이미지가 포함되는 상기 결과 이미지를 도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평면을 단위 영역으로 분할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변화율을 결정하고,
    상기 변화율의 부호가 변경하는 지점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평면을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평면 중,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길이에 대한 상기 평면에 포함되는 상기 단위 영역의 개수 정보의 누적 값이 가장 큰 평면을 상기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으로 결정하고,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의 크기 및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에 대응되는 대상 상품 카테고리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디자인 이미지가 상기 대상 상품 이미지의 일면에 포함되도록 도출된 추천 결과 이미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송신하는 서버.
KR1020190155389A 2019-11-28 2019-11-28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102184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9A KR102184552B1 (ko) 2019-11-28 2019-11-28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9A KR102184552B1 (ko) 2019-11-28 2019-11-28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552B1 true KR102184552B1 (ko) 2020-12-01

Family

ID=73790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89A KR102184552B1 (ko) 2019-11-28 2019-11-28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5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441A1 (ko) * 2022-06-28 2024-01-04 주식회사 이너부스 캐릭터 가이드북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277A (ja) * 2001-07-17 2003-01-31 Citizen Watch Co Ltd 商品デザイン作成プログラム、それ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商品デザイン作成方法
KR20160012285A (ko) * 2014-07-23 2016-02-03 이재홍 구매자의 맞춤 제작으로 디자인된 제품의 제작 판매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27974A (ko) * 2013-07-01 2016-03-10 페이스북, 인크. 유연한 이미지 레이아웃
KR20160050714A (ko) * 2014-10-30 2016-05-11 김동혁 맞춤생산식 물품용 라벨
KR20190037686A (ko) * 2017-09-29 2019-04-08 제갈성범 디자인 및 스타일을 맞춰주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30277A (ja) * 2001-07-17 2003-01-31 Citizen Watch Co Ltd 商品デザイン作成プログラム、それを格納した記録媒体、および商品デザイン作成方法
KR20160027974A (ko) * 2013-07-01 2016-03-10 페이스북, 인크. 유연한 이미지 레이아웃
KR20160012285A (ko) * 2014-07-23 2016-02-03 이재홍 구매자의 맞춤 제작으로 디자인된 제품의 제작 판매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50714A (ko) * 2014-10-30 2016-05-11 김동혁 맞춤생산식 물품용 라벨
KR20190037686A (ko) * 2017-09-29 2019-04-08 제갈성범 디자인 및 스타일을 맞춰주는 커스터마이징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05441A1 (ko) * 2022-06-28 2024-01-04 주식회사 이너부스 캐릭터 가이드북 자동 생성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7635B2 (en) Three dimensional conditional formatting
CN103365761B (zh) 进度条
US8972295B2 (en) Dynamic visual statistical data display and method for limited display device
CN105556449A (zh) 用于数字杂志的动态布局引擎
KR20190141162A (ko) 컨테이너 기반 가상 카메라 회전
CN104471564A (zh) 在将数据变换成可消费内容时创建变型
CN105283839A (zh) 用以将命令显现在生产力应用用户界面内的个性化社区模型
CN104350493A (zh) 将数据变换成可消费的内容
CN104471565A (zh) 用于将数据变换成可消费内容的抽象关系模型
US20100302236A1 (en) Extensible map with pluggable modes
WO2020131592A1 (en) Mode-changeable augmented reality interface
KR102087627B1 (ko) 거래 시스템 및 거래 방법
KR102184552B1 (ko) 디자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KR20220074896A (ko) 공유된 상호작용 환경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CN113536755A (zh) 用于生成海报的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CN114174969A (zh) 用于完成预测任务的自定义用户界面生成
EP3418971B1 (en) Display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2303504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extended reality simulations
CN112035210B (zh) 用于输出颜色信息的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335415B1 (ko)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5103249A2 (en) Associating network-hosted files with network-hosted applications
CN115965089A (zh) 用于跨时区或地理区域的界面特征展示的机器学习方法
KR20140077115A (ko) 3d 에서의 객체 그룹들의 정의
KR20220025359A (ko) 주얼리의 증강현실 제공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N112445983A (zh) 搜索结果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