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5415B1 -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5415B1
KR102335415B1 KR1020210129978A KR20210129978A KR102335415B1 KR 102335415 B1 KR102335415 B1 KR 102335415B1 KR 1020210129978 A KR1020210129978 A KR 1020210129978A KR 20210129978 A KR20210129978 A KR 20210129978A KR 102335415 B1 KR102335415 B1 KR 102335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lor
clothing
information providing
provi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5454A (ko
Inventor
도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to KR102021012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54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254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54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5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5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후 유행할 색상 정보를 표시하고, 유행할 색상을 포함하는 의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LOTHING INFORMATION USING TRENDY COLOR INFORMATION}
본 발명은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향후 유행할 색상 정보를 표시하고, 유행할 색상을 포함하는 의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위 패션리더라 불리는 사람들은 시즌마다 유행하는 색상에 의류를 맞추어 입지만 시즌마다 유행하는 색상은 항상 변화하며 노력을 기울이지 않으면 그 색상을 알아내는 것도 용이하지 않으므로, 보통 사람에게 있어서는 시즌마다 유행하는 색상에 맞추어 의류를 구매하는 것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모되는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향후 유행할 색상 정보를 표시하고, 유행할 색상을 포함하는 의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단말과 연결되는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전송되어 설치되는 상기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인터넷의 포털사이트, 카페, 블로그, SNS, 다수의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사진에서 의류 영역만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서 특정 기간, 특정 국가 또는 특정 지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사진에서 상기 의류 영역에 표시된 색을 유사색 범위 내의 색끼리 합쳐서 색상 그룹을 만들어 저장하되, 상기 유사색 범위의 판단은 각각의 색을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값을 기초로 벡터로 나타내고, 상기 나타내어진 벡터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 유사 색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주요 색상 갱신하기가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주요 색상이 새로운 주요 색상으로 바뀌어 제공되며, 상기 새로운 주요 색상은 이전 선택된 추천 순위의 차순위 색상이며, 상기 주요 색상의 추천 순위는 일정한 의외성을 제공하기 위해 순위를 설정된 추천 순위 내에서 랜덤으로 섞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단말과 연결되는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한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전송되어 설치되는 상기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인터넷의 포털사이트, 카페, 블로그, SNS, 다수의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수집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사진에서 의류 영역만을 분리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서 특정 기간, 특정 국가 또는 특정 지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사진에서 상기 의류 영역에 표시된 색을 유사색 범위 내의 색끼리 합쳐서 색상 그룹을 만들어 저장하되, 상기 유사색 범위의 판단은 각각의 색을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값을 기초로 벡터로 나타내고, 상기 나타내어진 벡터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 유사 색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주요 색상 갱신하기가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주요 색상이 새로운 주요 색상으로 바뀌어 제공되며, 상기 새로운 주요 색상은 이전 선택된 추천 순위의 차순위 색상이며, 상기 주요 색상의 추천 순위는 일정한 의외성을 제공하기 위해 순위를 설정된 추천 순위 내에서 랜덤으로 섞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는, 향후 유행할 색상 정보를 표시하고, 유행할 색상을 포함하는 의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한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 설치 과정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유행 색상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가 도 7의 의류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의류 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의류 종합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전체보기버튼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전체 의류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단계 1003에서 주요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단계 1004에서 주요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시스템은 단말(200), 정보 제공 장치(300) 및 통신망(1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20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개인용 컴퓨터 기타 통신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화면을 출력할 수 있는 전자적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300)는 예를 들어 워크스테이션, 서버, 일반용 컴퓨터, 기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적 기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기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는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되며 통신망(150)을 통해 서로 통신한다.
통신망(150)은 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WI-FI,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타 과거, 현재에 개발되었거나 향후 사용 가능하게 되는 통신 방식 중 적어도 일부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통신망(150)을 언급하지 않고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가 직접 통신하는 것처럼 설명한다.
단말(200)과 정보 제공 장치(3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단말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르는 단말(200)은 입력부(210), 표시부(220), 통신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 동작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50)에게 송신한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센서, 터치패드, 키패드, 음성 입력,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입력 처리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어 사용자의 정보 제공 요청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게 전달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화면을 출력한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LCD(액정표시장치), LED(발광 다이오드),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프로젝터, 기타 현재, 과거에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표시 장치들로써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220)는 예를 들어 정보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 페이지나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화면 출력 대신 음성 출력이나 진동 등 기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을 사용하는 구성부가 표시부(220) 대신 사용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정보 제공 장치(300)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부(230)는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23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은 통신망(150)의 유형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25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250)는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250)는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 정보 제공 요청, 기타 데이터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송신하고,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페이지 정보에 따라 결과 페이지 및/또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부(220)를 통해 표시한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동작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연산 장치에 의하여 분산 처리될 수 있다. 제어부(250)가 수행하는 동작 중 일부는 제1 서버가 수행하고 다른 동작은 제2 서버가 수행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연산 장치의 총합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저장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250)나 저장부(240)가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는 여러 장치의 총합으로 구현되는 경우 여러 장치들 사이의 통신이 필요할 수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하여 저장부(240)나 제어부(250)가 하나의 객체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할 것이다.
단말(200)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관점에 따라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230)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250)가 통신부(23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300)는 통신부(310), 제어부(320) 및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단말(200) 및/또는 기타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통신부(31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어부(320)에게 전달한다. 또한 통신부(31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통신부(310)가 사용하는 통신 기술은 통신망(150)의 유형이나 기타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330)는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어부(320)로부터 요청된 데이터를 제어부(320)에게 전달한다.
제어부(320)는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과 각 구성부를 제어한다. 제어부(320)는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페이지 요청, 정보 제공 결과 페이지 요청, 기타 데이터를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하면 저장부(33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불러오고(load) 페이지 정보를 생성하여 페이지 정보를 통신부(310)를 통해 단말기(200)에게 전달한다.
정보 제공 장치(300)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관점에 따라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통신부(310)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고, 제어부(320)가 통신부(310)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고 표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330)는 통신부(310)가 송수신하거나 제어부(320)가 제어하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이하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 및/또는 그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 패키지(설치 프로그램 코드)를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이라 칭한다.
정보 제공 장치(300)를 개발하는 개발자 또는 관리자는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패키지 배포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패키지 배포 서버가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패키지 배포 서버는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단말(200)에 전달한다.
패키지 배포 서버의 동작 및 정보 제공 장치(300)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적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페이지 대신 음성이나 다른 방식으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정보 제공 장치를 통한 정보 제공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생성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로서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사용자의 입력을 유도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하기 위한 페이지이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는 HTML 문서 또는 기타 마크업 언어 문서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단말(200)이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서식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으며, 컨텐츠에 해당하는 사항만이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단말(2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를 위해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 또는 기타의 페이지 정보는 HTML 문서 형식으로 전달된다고 가정하고 설명한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권리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계 42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3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웹 브라우저를 구동하여 HTML 문서를 해석하여 웹 페이지의 형태로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대신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도 있다.
단계 440에서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사용자(400)에게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400)가 정보 제공을 요청하고, 정보 제공을 위한 키워드를 입력 및/또는 선택하고 기타 정보 제공을 위한 설정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단말(200)의 입력부(2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400)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250)에 전달한다.
단계 460에서 단말(200)의 통신부(23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 입력을 식별할 수 있는 입력 정보를 정보 제공 장치(3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7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입력(예를 들어, 키워드 및/또는 기타 정보 제공 설정)을 이용하여 결과 페이지 정보를 생성한다. 결과 페이지 정보는 예를 들어 HTML 문서 형식 및/또는 이미지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계 48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의 통신부(310)는 결과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달한다.
단계 490에서 단말(200)의 제어부(250)는 통신부(230)가 수신한 결과 페이지 정보를 이용하여 결과 페이지를 구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HTML형식의 결과 페이지 정보를 해석하여 결과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단계 495에서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결과 페이지를 사용자(400)에게 제공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 사용자에게 시각적 형태의 페이지를 제공하는 것을 가정하였으나, 음성을 통해 인터페이스나 결과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표시부(220) 대신 음성 출력부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시각적/청각적 방식 대신 현재 가능하거나 미래에 가능해질 다른 방식의 인터페이스 방식이 사용자(400)와의 관계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보 제공 장치(300)는 인터페이스 방식에 맞도록 페이지 정보 대신 다른 방식으로 변환된 정보를 단말(2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 설치 과정의 순서도이다.
단계 510에서 단말(200)은 패키지 배포 서버(500)에게 패키지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패키지 요청 메시지는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메시지이다. 단계 520에서 정보 제공 장치(300)는 단말(200)에게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를 전달한다.
단계 530에서 단말(200)은 수신한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을 설치한다. 설치가 불필요하고 수신한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그대로 실행할 수 있는 경우 단계 530은 생략될 수 있다. 단말(20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패키지 배포 서버(500)가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을 송신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정보 제공 장치(300)가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패키지)을 단말(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도 5의 단말에서의 패키지 설치(530)에 따라 단말에 설치된 패키지의 인터페이스 페이지 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정보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600)는 제목표시부(610), 분야 표시부(620), 취향필터 표시부(630) 및 이번 시즌 유행 컬러 표시부(640)를 포함한다.
취향필터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선호사항, 기호를 나타내는 필터라는 의미로서 단어, 구문 또는 문장일 수 있다.
단말(200)의 표시부(22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600)를 표시한다.
제목표시부(610)는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제목을 표시한다.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제목은 회사이름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이름을 포함한다.
분야 표시부는(620)는 검색 분야를 표시한다. 검색 분야는 방송, 옷, 웹툰, 아트, 와인, 비어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검색 분야 중 하나의 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분야에 대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취향필터 표시부(630)는 취향 필터와 해당 취향 필터가 적용된 분야를 표시하고, 해당 취향 필터와 해당 취향 필터가 적용된 분야에 해당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분야 표시부(620)에서 옷을 선택한 경우, 취향필터 표시부(630)에는 "생기넘치는 옷", "주목받기좋은 티셔츠"등의 취향필터와 해당 취향 필터가 적용된 분야가 표시되고, "생기넘치는 옷"에는 "아이보리 스커트"에 대한 상품 링크가, "주목받기좋은 티셔츠"에는 "화이트 스웨트 셔츠"에 대한 상품 링크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품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사이즈, 기장, 소재 및 가격종합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유행 색상 표시부(640)는 현재 시즌에 유행하고 있거나 유행할 색상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색상 중의 어느 한 색상을 선택하면 선택한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의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유행 색상 표시부(640)는 아래에 후술한다.
도 7은 도 6의 유행 색상 표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유행 색상 표시부(640)는 제목표시부(641), 색상 표시부(642), 의류 정보 표시부(643) 및 전체보기버튼(644)을 포함한다.
제목 표시부(641)는 유행 색상 표시부(640)를 대표하는 제목을 표시한다. 일례로서 제목 표시부(641)는 '이번 시즌 유행컬러'라고 표시할 수 있다.
색상 표시부(642)는 이번 시즌에 유행하고 있거나 유행할 복수의 색상을 표시한다. 색상 표시부(642)는 색상과 색상에 대한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정보 표시부(643)는 사용자가 색상 표시부(642)에 표시된 색상 중의 어느 한 색상을 선택하면 선택한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의류에 대한 일부 정보를 표시한다. 의류 정보는 의류의 사진 및 의류의 명칭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체보기버튼(644)을 선택하면 단말(200)은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포함하는 복수의 의류에 대한 전체 정보를 정보제공장치(300)에 요청하고 수신한 전체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200)에 표시한다.
도 8은 사용자가 도 7의 의류 정보 표시부에 표시된 의류 정보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의류 종합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의류 종합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800)는 제목표시부(810), 의류 명칭 표시부(820), 의류 사진 표시부(830), 의류 색상 및 가격표시부(840), 쇼핑몰 링크(850) 및 의류 기본정보 표시부(860)를 포함한다.
제목표시부(810)는 의류의 명칭을 포함하여 종합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제목을 표시한다.
의류 명칭 표시부(820)는 의류의 명칭을 표시한다. 의류 명칭 표시부(820)에는 판매 쇼핑몰이나 의류 회사의 명칭이 포함될 수 있다.
의류 사진 표시부(830)는 모델이 착용하고 있는 의류의 사진 또는 의류의 사진 만을 표시한다. 의류 사진 표시부(830)는 복수의 사진을 표시할 수 있다.
의류 색상 및 가격표시부(840)는 의류의 색상, 제품코드 및 판매 가격 등을 표시한다.
쇼핑몰 링크(850)는 표시된 의류를 구매할 수 있는 링크를 표시한다.
의류 기본 정보 표시부(860)는 의류의 구매 가능 사이즈, 소재 및 인스타, 트위터 또는 페이스북에서 사용될 수 있는 추천태그 등을 표시한다.
도 9는 도 7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전체보기버튼을 선택한 경우 표시되는 전체 의류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체 의류 정보 검색 결과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900)는 취향필터 표시부(910), 정렬방법선택부(920) 및 의류정보표시부(930)를 포함한다.
취향필터 표시부(910)는 의류 정보의 검색에 사용된 취향필터를 표시한다. 취향필터는 도 7의 인터페이스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렬방법선택부(920)는 순위미반영탭(921) 및 순위반영탭(922)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순위미반영탭(921) 및 순위반영탭(9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검색된 의류 정보의 정렬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순위미반영탭(921)을 선택하면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순위가 미반영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등록일 또는 가격순으로 정렬된 의류 정보 결과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순위반영탭(922)을 선택하면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의 순위가 반영되어 사용자의 취향이나 등록일 또는 가격순으로 정렬된 의류 정보 결과가 표시된다. 즉, 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 내의 순위가 최우선적으로 반영되고 사용자의 취향이나 등록일 또는 가격이 그 다음으로 반영된다.
의류정보표시부(930)는 검색된 의류 정보를 표시한다. 의류 정보는 의류의 사진, 의류에 대한 판매점 정보 및 의류의 명칭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의류 정보는 의류에 대한 취향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단계 1003에서 주요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10의 단계 1004에서 주요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단계 1001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복수의 기간 또는 복수의 국가 또는 지역에서의 패션쇼 사진을 수집한다. 사진은 인터넷의 포털사이트, 카페, 블로그, SNS, 다수의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 사이트 등을 통하여 수집될 수 있다. 패션쇼 사진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인물이 의류를 입고 있는 다른 종류 사진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단계 1002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수집된 사진에서 의류 영역을 분리하고 특정 기간, 특정국가나 지역 기준으로 주요 색상을 수집한다.
특정 기간은 계절에 기반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제공장치(300)는 여름에 한국의 서울에서 수집된 사진에 기반하여 자주 사용되는 주요 색상을 결정하고 저장할 수 있다.
의류 영역을 분리하는 방법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진 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sk R-CNN(Regions with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Mask R-CNN의 기초가 되는 R-CNN 방식은 먼저 i) 이미지를 입력받고 ii) 영역 제안 또는 바운딩 박스를 만든다. 바운딩 박스를 만들기 위해 셀렉티브 서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색상이나 강도 패턴이 유사한 인접 픽셀을 합쳐서 바운딩 박스를 만드는 방식이다. iii) 만들어진 바운딩 박스의 사이즈를 일원화시키고 CNN(AlexNet의 변형 버전)에 입력하여 이미지를 분류한다. iv) 바운딩 박스 좌표를 정확히 조정하기 위해 선형 회귀 모델을 사용한다. R-CNN을 발전시킨 Fast R-CNN, Faster R-CNN, Mask R-CNN이 알려져 있고, 이 Mask R-CNN이 의류에 해당하는 영역을 구분하는 방법의 예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것은 예시에 불과하고, 의류에 해당하는 영역을 구분하는 다른 기술이 본 명세서의 기술들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관련 정보는 https://tensorflow.blog/2017/06/05/from-r-cnn-to-mask-r-cnn/ 또는 https://youtu.be/kcPAGIgBGRs에서 확인될 수 있다.
주요 색상은 수집된 패션쇼 사진의 전체 개수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 또는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을 갖는 색상을 포함한다.
의류 영역의 색은 비교적 비유사한 둘 이상의 색상(그룹)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그러므로 한 사진에서 의류 영역에 표시된 색을 유사색 범위 내의 색끼리 합쳐서 색상 그룹을 만들고 저장할 수 있다. 유사색 범위의 판단은 예를 들어 각 색을 Red/Green/Blue 값을 기초로 벡터로 나타내어 벡터 간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 유사 색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기타 색상 그루핑을 위해 사용되는 이미 알려진 기술 또는 미래에 알려질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003에서 주요 색상이 포함된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인터페이스 페이지는 예를 들어 사용자로부터 기간/지역/국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기간/지역/국가를 각각 선택가능하게 탭형식(1110)으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말(200)이 기간/지역/국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대한 선택을 수신하면, 이 선택 정보는 정보제공장치(300)에게 전달되고, 정보제공장치(300)는 선택된 사항에 대응되는 주요 색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별한 기간/지역/국가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정보제공장치(300)는 기간/지역/국가에 대한 제한 없이 전체 패션쇼 사진에 기반한 주요 색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한 지역/국가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 정보제공장치(300)는 단말(200)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응하는 지역/국가의 패션쇼 사진에 기반한 주요 색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별한 기간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기간의 가장 최근의 과거 시간 구간 동안(예를 들어 과거 1년간)의 패션쇼 사진에 기반한 주요 색상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여 단말(2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특별한 기간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최근의 시간 구간 동안의 패션쇼 사진의 색상이 더 큰 가중치를 가지도록 하여 주요 색상이 선정될 수도 있다.
단계 1004에서 정보제공장치(300)는 사용자가 주요 색상들 중에 어느 하나 이상의 색상을 선택하면 선택한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포함하는 전체 의류 정보 중에 일부 정보가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고 구성된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단말(200)로 송신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주요 색상을 한번에 모두 선택하는 인터페이스 버튼(1210)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주요 색상 각각을 선택가능한 버튼(1220)이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주요 색상 중 일부만 선택하고 나머지는 새로운 색상으로 바꾸어 추천을 받도록 하는 갱신 인터페이스 버튼(1230)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5개의 주요 색상 중 3개의 주요 색상을 선택하고 갱신 인터페이스 버튼(1230)을 선택하면 선택되지 않은 2개의 주요 색상이 새로운 주요 색상으로 바뀌어 제공될 수 있다. 새로운 주요 색상이란 이전 선택된 추천 순위의 차순위 색상일 수 있다. 주요 색상의 추천 순서는 주로 사용자가 선택한 제한사항(기간/지역 등)의 패션쇼 사진에서 많이 등장한 의류 색상을 먼저 추천하도록 하는 순서가 될 수 있다. 다만 일정한 의외성을 제공하기 위해 순서를 소폭 랜덤으로 섞어서 제공할 수도 있다.
주요 색상은 색상이 표시된 아이콘의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고, 해당 색상을 의미하는 텍스트를 포함한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2에서 도 6과 동일한 참조 번호에 대한 구성은 도 6의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의 설명을 참조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은 취향필터로서 작용하여, 정보제공장치(300)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취향필터를 갖는 전체 의류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선택한 색상이 "노란색"인 경우, "노란색"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취향필터를 갖는 모든 의류가 검색될 수 있다.
단계 1005에서 단말(200)은 사용자가 하나의 의류 정보를 선택하면 선택된 의류에 대한 종합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전체보기버튼(644)을 선택하면 도 9의 전체 의류 정보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표시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50: 통신망 200: 단말
210: 입력부 220: 표시부
230: 통신부 240: 저장부
250: 제어부 300: 정보 제공 장치
310: 통신부 320: 제어부
330: 저장부

Claims (11)

  1.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단말과 연결되는 정보 제공 장치를 포함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전송되어 설치되는 상기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인터넷의 포털사이트, 카페, 블로그, SNS, 다수의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사진에서 의류 영역만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서 특정 기간, 특정 국가 또는 특정 지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사진에서 상기 의류 영역에 표시된 색을 유사색 범위 내의 색끼리 합쳐서 색상 그룹을 만들어 저장하되, 상기 유사색 범위의 판단은 각각의 색을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값을 기초로 벡터로 나타내고, 상기 나타내어진 벡터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 유사 색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주요 색상 갱신하기가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주요 색상이 새로운 주요 색상으로 바뀌어 제공되며, 상기 새로운 주요 색상은 이전 선택된 추천 순위의 차순위 색상이며,
    상기 주요 색상의 추천 순위는 일정한 의외성을 제공하기 위해 순위를 설정된 추천 순위 내에서 랜덤으로 섞어서 제공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은 패션쇼 사진을 포함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주요 색상 중에서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선택된 색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색상을 포함하는 전체 의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전체 의류 정보 중에 적어도 하나의 의류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은 상기 수집된 패션쇼 사진의 전체 개수에서 미리 정해진 비율 또는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을 갖는 색상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정보는 의류의 사진 및 의류의 명칭을 포함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에 표시된 전체 보기를 선택하면 상기 전체 의류 정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의류 정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취향필터를 갖는 의류에 대한 정보인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8. 통신망을 통해 복수의 단말과 연결되는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한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복수의 단말이 상기 정보 제공 장치에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복수의 단말로 전송되어 설치되는 상기 의류 정보 제공 프로그램의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포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인터넷의 포털사이트, 카페, 블로그, SNS, 다수의 홈페이지 및 커뮤니티 사이트를 통해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 따라 의류가 포함된 복수의 사진을 수집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수집된 복수의 사진에서 의류 영역만을 분리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복수의 기간, 국가 또는 지역에서 특정 기간, 특정 국가 또는 특정 지역에 따라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하며,
    상기 분리된 의류 영역의 주요 색상을 수집하는 단계에서, 상기 수집된 사진에서 상기 의류 영역에 표시된 색을 유사색 범위 내의 색끼리 합쳐서 색상 그룹을 만들어 저장하되, 상기 유사색 범위의 판단은 각각의 색을 레드(Red), 그린(Green), 블루(Blue) 값을 기초로 벡터로 나타내고, 상기 나타내어진 벡터 간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값 이내인 경우 유사 색으로 판단하며,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며, 상기 수집된 주요 색상이 포함되어진 인터페이스 페이지 정보를 구성함에 있어서, 주요 색상 갱신하기가 선택되면, 선택되지 않은 주요 색상이 새로운 주요 색상으로 바뀌어 제공되며, 상기 새로운 주요 색상은 이전 선택된 추천 순위의 차순위 색상이며, 상기 주요 색상의 추천 순위는 일정한 의외성을 제공하기 위해 순위를 설정된 추천 순위 내에서 랜덤으로 섞어서 제공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정보는 의류의 사진 및 의류의 명칭을 포함하는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0. 제 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인터페이스 페이지에 표시된 전체 보기를 선택하면 전체 의류에 대한 정보를 정보제공장치로 요청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도록 구성된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의류 정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취향필터를 갖는 의류에 대한 정보인 유행 색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10129978A 2019-01-22 2021-09-30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35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978A KR102335415B1 (ko) 2019-01-22 2021-09-30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62A KR20200091515A (ko) 2019-01-22 2019-01-22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9978A KR102335415B1 (ko) 2019-01-22 2021-09-30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862A Division KR20200091515A (ko) 2019-01-22 2019-01-22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5454A KR20210125454A (ko) 2021-10-18
KR102335415B1 true KR102335415B1 (ko) 2021-12-08

Family

ID=718348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862A KR20200091515A (ko) 2019-01-22 2019-01-22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210129978A KR102335415B1 (ko) 2019-01-22 2021-09-30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862A KR20200091515A (ko) 2019-01-22 2019-01-22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000915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719B1 (ko) * 2021-11-30 2023-03-08 안혜령 협업형 다중 에이전트 강화학습 방법을 이용한 패션상품 추천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71B1 (ko) * 2001-06-21 2006-04-03 주식회사 삼테크아이앤씨 네트워크를 통한 패션정보서비스 제공장치
KR20100005960A (ko) * 2008-07-08 2010-01-18 (주)인덱스미디어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60120238A (ko) * 2015-04-07 2016-10-17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의류 추천 시스템
KR101908073B1 (ko) * 2017-01-26 2018-12-18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1515A (ko) 2020-07-31
KR20210125454A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83966A1 (en) Creating Real-Time Association Interaction Throughout Digital Media
US10416851B2 (en) Electronic publishing mechanisms
US9600259B2 (en) Programmatic installation and navigation to access deep states of uninstalled applications
US9990657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tribution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20160188742A1 (en) Bookmarking Search Results
US10984192B2 (en) Application list providing method and device therefor
US9875284B1 (en) Displaying search completion results
US11823244B2 (en) Expressions of users interest
CN104718541A (zh) 从搜索请求中生成数字杂志的用户定义的章节
CN106688215A (zh) 针对内容效能优化的自动点击类型选择
JP6324433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JP5901697B2 (ja) 配信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JP5714145B1 (ja)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および配信プログラム
US9959646B2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distribution device,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335415B1 (ko)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20081807A (ko) 상품 추천 쇼핑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8535B1 (ko) 사용자 이용 패턴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US1196695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odular personalization center
KR20200048508A (ko) 개인화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42242B1 (ko) 의류 색상 정보를 이용한 조합 의류 색상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098537B1 (ko)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링크 자동완성 광고소재 템플릿 제공이 가능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광고방법
US9973613B1 (en) Re-organize pins based on proximity of other people
US10162907B2 (en) Ordering items within a list component of an application card based on bias parameters
KR102192934B1 (ko) 사용자 단말기에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서버 및 방법
KR102639788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건강기능식품 통합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