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073B1 -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8073B1
KR101908073B1 KR1020170012872A KR20170012872A KR101908073B1 KR 101908073 B1 KR101908073 B1 KR 101908073B1 KR 1020170012872 A KR1020170012872 A KR 1020170012872A KR 20170012872 A KR20170012872 A KR 20170012872A KR 101908073 B1 KR101908073 B1 KR 101908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words
word
quer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8153A (ko
Inventor
도준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Priority to KR102017001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0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88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648
    • G06F17/3064
    • G06F17/3086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표시하고, 상기 취향필터로서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상기 질의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색어 목록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개체를 검색결과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Sentence completion type search system and method that recommends words of high interest as search words}
본 발명은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전과 정보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정보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검색 서비스가 탄생하였다. 이러한 검색 서비스는 대상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 때 사용자가 직접 검색어를 선택하고 조합하여 입력하면 검색어가 포함되는 웹페이지를 검색결과로 제공한다. 종래의 검색 서비스는 객관적 의미를 갖는 단어를 조합하여 검색하게 되고, 사람이 갖는 주관적 취향을 기준으로 검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페이스북(Facebook), 텀블러(Tumblr), 트위터(Twitter)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라고 칭해지는 다양한 서비스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는 사용자가 자신의 일상을 공유하고 자신의 주관적 취향을 인터넷 상에 직접 업로드할 수 있어, 대상에 대해 사람들이 갖는 주관적 느낌이나 평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전체 인터넷에서 생성되는 정보량 중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 관계된 정보량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KR 10-2004-0072487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색어 목록으로 제공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은,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표시하고, 상기 취향필터로서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상기 질의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색어 목록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개체를 검색결과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하여 인터넷 상에 공개된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상기 단어가 수집된 횟수 및 시점을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저장하는 취향정보 DB,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분야의 개체가 갖는 다양한 속성에 관하여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수집하고, 상기 단어들의 수집 시점 및 횟수를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취향정보 DB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취향정보 관리부,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질의문장의 취향필터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생성된 검색어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어 목록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포함된 개체들을 검색결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 수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어 목록 생성부는 상기 취향정보 DB에 저장된,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상기 검색어 목록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특정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에 따라 상기 질의문장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취향필터에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 중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하면 상기 취향필터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표시되고, 검색요청 영역이 활성화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는 다양한 질의문장이 저장된 질의문장 DB,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분야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분야에 관련한 질의문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질의문장 제공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표시하는 질의문장 표시단계, 메인서버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가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질의문장의 취향필터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어 목록 제공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 및 질의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메인서버의 검색 수행부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포함된 개체들을 검색결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색어 목록 제공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취향필터를 선택하면 메인서버에 검색어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서버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가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상기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생성된 검색어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분야의 개체가 갖는 다양한 속성에 관하여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수집하고, 상기 단어들의 수집 시점 및 횟수를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취향정보 DB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정보수집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질의문장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의 질의문장 제공부가 상기 질의문장 DB에서 상기 선택된 분야에 관련한 질의문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의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색어 목록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최근 사람들이 주목하는 트렌드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메인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취향정보 DB에 저장되는 취향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질의문장이 표시된 상기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검색어 목록이 표시된 상기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가 검색어 목록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한 상태가 표시된 상기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검색결과가 표시된 상기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의 개념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메인서버(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취향정보 DB(210)에 저장되는 취향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4는 질의문장(St)이 표시된 상기 도 1의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은, 특정 분야(Fd)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Nm)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Qch1)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f1)를 포함하는 질의문장(St)을 표시하고, 취향필터(f1)로서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Lt)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와 질의문장(St)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100) 및 특정 분야(Fd)에 속하는 개체(Nm)의 속성에 관한 단어(Wd)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질의속성(Qch1)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들을 사용자 단말(100)에 검색어 목록(Lt)으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검색요청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개체(Nm)를 검색결과로 선정하여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메인서버(200)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의문장(St)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의속성(Qch1, Qch2)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f1, f2)를 포함한다. 질의속성(Qch1, Qch2)은 특정 분야(Fd)에 대한 개체(Nm)가 갖는 속성 중에서 검색하고자 하는 속성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영화'라는 분야(Fd)에 '스토리'라는 속성이 존재한다. 취향필터(f1, f2)는 특정 속성에 대한 사람들의 주관적인 취향을 나타낼 수 있는 단어(Wd)들이 포함된 검색어 목록(Lt)을 제공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스토리'라는 속성에 대해 스토리가 '철학적인' 또는 스토리가 '슬픈' 등의 사람들의 주관적 취향에 대한 단어(Wd)를 검색어 목록(Lt)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1, Qch2)에 관한 취향필터(f1, f2)로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Lt)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단어(Wd)를 선택함으로써 질의문장(St)이 완성된다. 이때, 검색어 목록(Lt)은 메인서버(200)에서 제공되며, 인터넷 상에 공개된 정보를 수집 및 분류하여 생성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들이 선정되어 검색어 목록(Lt)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인터넷 상에서 주목되는 단어(Wd)를 검색어로 제공받을 수 있어, 현재 트렌드를 인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취향과 현재 트렌드를 함께 만족할 수 있는 단어(Wd)를 검색어로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메인서버(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의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터치패널,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을 수 있고, LCD 패널, OLED 패널, 프로젝터 등의 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11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질의문장(St),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색어 목록(Lt),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활성화된 취향필터(f1) 및 검색요청 영역(Q),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110)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특정 분야(Fd)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110)을 제공하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Fd)에 따라 질의문장(St)을 화면(110)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취향필터(f1)에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Lt) 중에서 특정 단어(Wd)를 선택하면 취향필터(f1)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가 표시되고, 검색요청 영역(Q)이 활성화된 화면(11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서버(200)는 취향정보 DB(210), 취향정보 관리부(220),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 통신부(250) 및 검색 수행부(260)를 포함한다. 또한, 메인서버(200)는 질의문장 DB(230), 질의문장 제공부(270), 이벤트정보 DB(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네트워크(300)와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100)과 메인서버(200)의 각 구성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도 2의 취향정보 DB(210)에 저장되는 취향정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취향정보 DB(210)는 특정 분야(Fd)에 속하는 개체(Nm)의 속성에 관하여 인터넷 상에 공개된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Wd)들과 그 단어(Wd)가 수집된 횟수 및 시점을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저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향정보는 각 분야(Fd1 내지 Fd6)들이 존재하고, 각 분야(Fd)에 포함되는 개체(Nm)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영화'라는 분야(Fd2)에 포함되는 개체(Nm1 내지 Nm3)는 작품명 '스타워즈(A)', 작품명 '쇼생크 탈출(B)', 작품명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C)' 등 많은 작품들이 존재한다. 또는, '스타'라는 분야(Fd1)에 포함되는 개체(Nm)는 '아이유', '원빈', '강동원' 등 많은 연예인들이 존재한다. 분야(Fd)는 스타(Fd1), 영화(Fd2), 아트(Fd3), 웹툰(Fd4), 와인(Fd5), 맥주(Fd6) 등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분야(Fd)가 존재할 수 있으며, 각 분야(Fd)에는 다양한 개체(Nm)들이 존재한다.
각 개체(Nm)는 다양한 속성을 갖는다. 속성은 각 개체(Nm)가 포함되는 분야(Fd)에 따라 다르고, 같은 분야(Fd)에 속하는 개체(Nm)들은 동일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라는 분야(Fd)에 포함되는 개체(Nm)들은 '스토리', '캐릭터', '분위기' 등의 다양한 속성(ch1 내지 ch3)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스타'라는 분야(Fd)에 포함되는 개체(Nm)는 '매력', '외모', '캐릭터' 등의 다양한 속성을 가질 수 있다.
각 개체(Nm)의 속성(ch)에는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Wd)들이 포함된다. 속성(ch)에 포함되는 단어(Wd)들은 인터넷 상에 사람들이 해당 개체(Nm)를 해당 속성(ch)에 관하여 주관적으로 평가한 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되므로, 동일한 속성(ch)이라도 각 개체(Nm)마다 다른 단어(Wd)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화'라는 분야(Fd)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A)' 개체(Nm1)의 '스토리'라는 속성(ch1)에는 '철학적인', '슬픈', '탄탄한' 등의 단어(Wd)가 포함될 수 있고, '스타워즈(C)' 개체(Nm3)의 '스토리'라는 속성에는 '반전있는', '영웅적인', '재미있는' 등의 단어(Wd)가 포함될 수 있다.
각 개체(Nm)의 속성에 포함되는 단어(Wd)들은 그 단어(Wd)가 수집된 시점과 횟수, 그 단어(Wd)를 수집한 출처, 작성자에 대한 공개된 정보 등을 함께 연관하여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제반정보들은 각 단어(Wd)들의 관심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취향정보 관리부(220)는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 중에서, 특정 분야(Fd)의 개체(Nm)가 갖는 다양한 속성에 관하여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Wd)들을 수집하고, 단어(Wd)들의 수집 시점 및 횟수를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생성하여 취향정보 DB(210)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한다.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는 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인터넷 상으로 공개되는 신문, 잡지 등의 매스미디어, 포털사이트 등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을 포함한다. 취향정보 관리부(220)는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을 수집 및 분류하고 그 중에서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Wd)들을 추출하여 상술한 제반정보와 함께 취향정보 DB(210)에 저장한다. 취향정보 관리부(220)는 인터넷에 공개되는 정보들을 항시 수집하여 취향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한다.
이벤트정보 DB는 사건, 사건의 유효기간, 사건에 관련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단어그룹을 저장한다.
특정 사건은 사람들의 취향, 선호도 및 이들에 따른 선택에 영향을 미치며,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사건이 미치는 영향이 감소하므로, 특정 사건마다 각각 유효기간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명절 또는 크리스마스와 같이 해마다 되풀이되는 사건에 관하여, 명절 또는 크리스마스 전후로 일정한 유효기간이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단발적인 사건들(사고, 폭풍, 행사 등)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되고, 그 사건이 인구에 회자되는 정도를 고려해 유효기간이 정해질 수 있다.
단어그룹은 특정 사건에 관련된 다양한 단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크리스마스'라는 사건에 관련된 단어그룹은 '눈', '축하', '가족적인', '기쁜' 등의 크리스마스에 언급되는 단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각 사건들은 긍정적 사건, 부정적 사건, 중립적 사건으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긍정적 사건은 '명절', '크리스마스', '방학' 등의 사건이 포함될 수 있고, 부정적 사건은 '대형사고 발생일', '유명인사의 기일'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중립적 사건은 '한글날', '제헌절' 등의 사건이 포함될 수 있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취향정보 DB(210)에서,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ch)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하고, 질의문장(St)의 취향필터(f1)로서 제공되도록 생성된 검색어 목록(Lt)을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질의문장(St)의 취향필터(f1)에 연관된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ch)에 포함된 단어(Wd)들을 대상으로 관심도를 평가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취향필터(f1)에 연관된 질의속성(Qch1)은 '스토리' 이고, 제2 취향필터(f2)에 연관된 질의속성(Qch2)은 '캐릭터'이다. 이때,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취향정보 DB(210)에서, 제1 취향필터(f1)에 연관된 질의속성(Qch1)인 '스토리'와 일치하는 속성(도 3의 ch1) '스토리'에 포함되는 단어(Wd)들을 대상으로 관심도를 평가한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관심도를 평가함에 있어서, 취향정보 DB(210)에 저장된,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ch)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Wd)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단어(Wd)들을 순서대로 나열하여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기간(예를 들어, 현재부터 과거로 일정 시점까지의 기간)에 많이 수집된 단어(Wd)일수록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다고 평가하는 것이다. 또한, 해당 단어(Wd)가 수집된 시점이 오래된 경우는 해당 단어(Wd)에 대해 사람들의 주목도가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가중치는 수집시점으로부터 현재까지 경과한 날짜의 역수를 해당 단어(Wd)의 수집 횟수에 곱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검색어 목록(Lt)를 생성하기 전에,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들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이벤트정보 DB에 저장된 사건들 중에서 사건의 유효기간에 사용자 단말(100)이 검색을 요청한 시점이 포함되는 사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건들의 성질 또는 단어그룹에 포함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들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단어를 제외하거나 유의미한 단어를 삽입하여 단어들의 유효성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날'이라는 사건의 유효기간 내에 사용자 단말(100)이 검색을 요청한 경우, 사건의 성질이 긍정적 사건이므로 단어그룹에 속한 '희망적인', '기쁜' 등의 유의미한 단어를 검색어 목록(Lt)에 삽입할 수 있다. 또는, '설날'이라는 긍정적 사건의 유효기간과 '대형사고'라는 부정적 사건의 유효기간이 겹치는 경우, '대형사고'라는 부정적 사건에 관한 단어그룹에 포함되는 '우울한', '슬픈' 등의 단어를 검색어 목록(Lt)에 포함되지 않도록 제외할 수 있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질의문장(St)이 포함하는 질의속성(Qch)에 따라, '영화'라는 분야에서 '가족과 보기 좋은'이라는 속성에 대하여, '잔인한', '우울한' 등의 부정적인 검색어를 제외할 수도 있다.
검색 수행부(2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를 취향정보 DB(21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가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ch)에 포함된 개체(Nm)들을 검색결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한다.
검색 수행부(26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와 질의문장(St)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실질적으로 검색을 수행하여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검색 수행부(260)는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를 취향정보 DB(210)에서 검색하고, 질의문장(St)의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를 포함하는 개체(Nm)들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화' 분야(Fd2)에서 질의문장(St)의 질의속성(Qch1)인 '스토리'의 취향필터(f1)로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Lt) 중에서 '작품성이 좋은'을 선택한 경우, 검색 수행부(260)는 취향정보 DB(210)에서 질의속성(Qch1)과 일치하는 속성(ch1)인 '스토리'에 단어(Wd) '작품성이 좋은'을 포함하는 개체(Nm)들을 선정한다.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취향필터(f)가 두개 이상인 경우, 각 취향필터(f)에 대해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들을 각각 검색하여 각 취향필터(f)를 모두 만족하는 개체(Nm)를 선정할 수 있다.
검색 수행부(260)는 선정한 개체(Nm)들을 일정한 순서대로 정렬하여 검색결과를 생성한다. 선정된 개체(Nm)들을 정렬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의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도 있고, 상술한 관심도를 평가하는 방법과 같이,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메인서버(200)는 다양한 질의문장(St)이 저장된 질의문장 DB(23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분야(Fd)를 수신하면, 선택된 분야(Fd)에 관련한 질의문장(St)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하는 질의문장 제공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질의문장 DB(230)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기 위한 각 분야(Fd)별로 다양한 질의문장(St)이 저장된다. 질의문장 DB(230)에 저장된 각 질의문장(St)은 미리 작성되어 입력될 수 있고, 질의문장 제공부(270)에 의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될 수 있다.
질의문장 제공부(270)는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는 분야(Fd)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Fd)에 관련된 질의문장(St)을 질의문장 DB(23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 이때, 질의문장(St)을 검색함에 있어서,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라면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기존에 검색한 취향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질의문장(St)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를 식별할 수 없는 경우라도, 해당 분야(Fd)에 포함되는 모든 개체(Nm)가 갖는 모든 속성에 대하여 가장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를 검색어 목록(Lt)에 제공할 수 있도록, 가장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포함하는 속성과 일치하는 질의속성(Qch)을 갖는 질의문장(St)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은 사용자 단말(100)이 특정 분야(Fd)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Nm)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Qch)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f)를 포함하는 질의문장(St)을 표시하는 질의문장(St) 표시단계(S100), 메인서버(200)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가 취향정보 DB(210)에서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하고, 질의문장(St)의 취향필터(f)로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검색어 목록(Lt) 제공단계(S200) 및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 및 질의문장(St)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메인서버(200)의 검색 수행부(260)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를 취향정보 DB(21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가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ch)에 포함된 개체(Nm)들을 검색결과로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하는 검색 수행단계(S300)를 포함한다.
질의문장(St) 표시단계(S100)에서,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되는 다양한 분야(Fd)들 중에서 자신이 검색하고자 하는 분야(Fd)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Fd)를 메인서버(200)로 전송하면서 질의문장(St)을 요청한다(S101).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질의문장(St) 요청을 수신한 메인서버(200)의 질의문장 제공부(270)는 질의문장 DB(230)에서 선택된 분야(Fd)에 관련한 질의문장(St)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102).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개인정보 또는 기존에 검색한 취향 데이터 등에 기초하거나 해당 분야(Fd)에서 가장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를 검색어 목록(Lt)에 제공할 수 있도록 특정 질의속성(Qch)을 갖는 질의문장(St)을 질의문장 DB(230)에서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질의문장(St)을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10)에 표시한다(S103). 이때, 질의문장(St)의 하단부에 검색을 요청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하는 검색요청 영역(Q)을 더 표시할 수 있다. 질의문장(St)의 질의속성(Qch)을 굵은 글씨로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취향필터(f)가 해당 속성에 연관되는 점을 암시할 수 있다.
검색어 목록(Lt) 제공단계(S200)에서,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된 취향필터(f1 또는 f2)를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이 메인서버(200)로 검색어 목록(Lt)을 요청한다.
메인서버(200)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검색어 목록(Lt)이 요청되는 경우, 취향정보 DB(210)에서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한다(S200). 검색어 목록(Lt)은 다음 세부 단계를 통해 생성된다.
먼저, 메인서버(200)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가 취향정보 DB(210)에서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과 일치하는 속성(ch)에 대한 단어(Wd)들을 추출하는 검색어 추출단계(S201)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추출된 단어(Wd)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상기 추출된 단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검색어 나열단계(S202)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이벤트정보 DB에 저장된 사건들 중에서 사건의 유효기간에 사용자 단말이 검색을 요청한 시점이 포함되는 사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건들의 성질 또는 단어그룹에 포함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들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단어를 제외하거나 유의미한 단어를 삽입하는 유효성 판단단계(S203)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Wd)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단어(Wd)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하는 검색어 목록 생성단계(S204)를 수행한다.
이러한 세부 단계를 통하여, 메인서버(200)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가 취향정보 DB(210)에서 상기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1, Qch2)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Wd)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상기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검색어 목록(Lt)을 생성하기 전에 유효성 판단단계(S203)를 수행함에 따라, 검색어 목록(Lt)에 사용자의 의도 또는 취향 무관하거나 상반되는 단어들이 제외되고, 사용자 단말이 검색을 요청하는 시점에 따라 유의미한 단어를 검색어 목록(Lt)에 포함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검색어 목록 생성부(240)는 생성한 검색어 목록(Lt)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한다(S202). 사용자 단말(100)은 메인서버(200)로부터 수신한 검색어 목록(Lt)을 도 5의 (a)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10)에 표시한다. 이때, 검색어 목록(Lt)은 질의문장(St)이 표시된 화면(110)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도 5의 (a)), 취향필터(f1, f2)에서 아래 방향으로 스크롤 가능하도록 목록이 표시될 수도 있다(도 5의 (b)). 검색어 목록(Lt)은 관심도 높은 순서에 따라 배열되며, 예를 들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심도가 높은 단어(Wd)가 왼쪽 위부터 오른쪽 아래로 차례대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품성이 좋은(Wd1)'이 가장 관심도가 높고, 차례대로 '철학적인(Wd2)', '슬픈(Wd3)' 등의 순서로 관심도가 높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10)에 표시된 검색어 목록(Lt)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단어(Wd)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은 선택된 단어(Wd)를 질의문장(St)의 취향필터(f1) 부분에 표시하고, 검색요청 영역(Q)을 활성화한다(S203). 취향필터(f1, f2) 부분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선택한 단어(Wd)를 질의문장(St)에 대입하여 읽을 수 있도록 완성된 질의문장(St)을 표시하는 것이다.
질의문장(St)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의속성(Qch1)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f1)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취향필터(f1)를 선택하여 검색어 목록(Lt)에서 특정 단어(Wd)를 선택하면, 나머지 취향필터(f2)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곧바로 검색요청 영역(Q)이 활성화될 수 있다. 사용자가 활성화된 검색요청 영역(Q)을 선택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나머지 취향필터(f2)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곧바로 메인서버(200)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와 질의문장(St)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검색 수행단계(S300)에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 및 질의문장(St)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메인서버(200)의 검색 수행부(260)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를 취향정보 DB(210)에서 검색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가 질의속성(Qch1, Qch2)과 일치하는 속성(ch)에 포함된 개체(Nm)들을 선정한다(S301).
다음으로, 검색 수행부(260)는 선정한 개체(Nm)들을 일정한 순서대로 정렬하여 검색결과를 생성한다(S302). 선정된 개체(Nm)들을 정렬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Wd)의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정렬할 수도 있고, 상술한 관심도를 평가하는 방법과 같이,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는 가중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검색 수행부(260)가 생성한 검색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면(S303), 사용자 단말(100)은 화면(110)에 검색결과를 표시한다(S304). 이때, 검색결과에는 선정된 개체(Nm)의 각종 정보(사진, 정렬순서(RE), 개체명(Nm), 등)이 함께 포함되어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110)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110)에 작품명 표시영역(NmE), 정렬순서 표시영역(RE)에 작품명 '어바웃 타임' 과 정렬순서 '1' 이 표시될 수 있다.
검색 수행부(260)는 선정된 개체(Nm)가 갖는 속성(ch)들에 포함된 단어(Wd)들 중에서 가장 많이 수집된 단어(Wd)를 검색결과에 포함시킬 수 있다. 선정된 개체(Nm)에 대하여 가장 많이 수집된 단어(Wd)를 사용자 단말의 화면(110)에 표시함에 따라, 사용자는 검색된 개체(Nm)에 대하여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화면(110)의 취향단어 표시영역(WdE)에 '로맨틱, 귀엽다, 러블리' 등의 사람들이 해당 개체(Nm) 즉, 작품명 '어바웃 타임'에 대하여 사람들의 평가를 알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분야(Fd)의 개체(Nm)가 갖는 다양한 속성에 관하여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Wd)들을 수집하고, 상기 단어(Wd)들의 수집 시점 및 횟수를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취향정보 DB(210)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정보수집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단계는 인터넷 상의 정보를 항상 수집 및 분류하고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Wd)를 수집하므로 질의문장(St) 표시단계(S100), 검색어 목록(Lt) 제공단계(S200) 및 검색 수행 단계(S300)들과 병렬적으로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관심도 높은 단어(Wd)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분야(Fd)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Nm)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Qch1, Qch2)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f1, f2)를 포함하는 질의문장(St)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Nm)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특정 분야(Fd)에 속하는 개체(Nm)의 속성에 관한 단어(Wd)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질의문장(St)에 포함된 질의속성(Qch1, Qch2)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Wd)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Wd)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상기 검색어 목록(Lt)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최근 사람들이 주목하는 트렌드 중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개체(Nm)를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
110: 사용자 단말의 화면
200: 메인서버
300: 네트워크
210: 취향정보 DB
220: 취향정보 관리부
230: 질의문장 DB
240: 검색어 목록 생성부
250: 통신부
260: 검색 수행부
270: 질의문장 제공부
280: 이벤트정보 DB

Claims (10)

  1.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표시하고, 상기 취향필터로서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와 상기 질의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을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취향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들을 선정하고, 상기 검색요청을 송신한 시점이 임의의 사건의 유효기간 내인 경우 상기 사건의 성질 또는 상기 사건에 관련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단어그룹에 기초하여, 상기 선정된 단어들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단어를 제외하거나 유의미한 단어를 삽입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검색어 목록으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검색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는 개체를 검색결과로 선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상기 특정 분야에 속하는 개체의 속성에 관하여 인터넷 상에 공개된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들과 상기 단어가 수집된 횟수 및 시점을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저장하는 취향정보 DB;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분야의 개체가 갖는 다양한 속성에 관하여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수집하고, 상기 단어들의 수집 시점 및 횟수를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취향정보 DB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취향정보 관리부;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질의문장의 취향필터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생성된 검색어 목록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어 목록 생성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포함된 개체들을 검색결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 수행부; 및
    상기 사건, 상기 사건의 유효기간 및 상기 사건에 관련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단어그룹이 저장된 이벤트정보 DB를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 목록 생성부는
    상기 취향정보 DB에 저장된,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상기 단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고, 상기 이벤트정보 DB에 저장된 사건들 중에서 상기 유효기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검색을 요청한 시점이 포함되는 사건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사건들의 성질 또는 상기 단어그룹에 포함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상기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들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단어를 제외하거나 유의미한 단어를 삽입하여 상기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특정 분야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에 따라 상기 질의문장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취향필터에 제공되는 검색어 목록 중에서 특정 단어를 선택하면 상기 취향필터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표시되고, 검색요청 영역이 활성화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다양한 질의문장이 저장된 질의문장 DB;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분야를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분야에 관련한 질의문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질의문장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7. 사용자 단말이 특정 분야에서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개체를 검색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특정 질의속성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취향필터를 포함하는 질의문장을 표시하는 질의문장 표시단계;
    메인서버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가 취향정보 DB에서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 중에서 사람들의 관심도가 높은 단어를 포함하는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고, 상기 질의문장의 취향필터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어 목록 제공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 및 질의문장을 포함하는 검색요청이 수신되면, 메인서버의 검색 수행부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를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상기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포함된 개체들을 검색결과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검색 수행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검색어 목록 제공단계는
    상기 메인서버의 검색어 목록 생성부가 상기 취향정보 DB에서 상기 질의문장에 포함된 질의속성과 일치하는 속성에 대한 단어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단어들 중에서, 기설정된 기간 내에 수집횟수가 많은 순서대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단어로 판단하되, 과거에 수집된 횟수는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도록 가중치를 두는 방법으로 상기 추출된 단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하는 단계;
    이벤트정보 DB에 저장된 사건들 중에서 유효기간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검색을 요청한 시점이 포함되는 사건들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사건들의 성질 또는 단어그룹에 포함된 단어들에 기초하여, 상기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들 중에서 적합하지 않은 단어를 제외하거나 유의미한 단어를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순서대로 나열된 단어들 중에서 기설정된 개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어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
  8. 삭제
  9. 청구항 7에 있어서,
    인터넷 상에 공개되는 정보들 중에서, 상기 특정 분야의 개체가 갖는 다양한 속성에 관하여 사람들의 취향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수집하고, 상기 단어들의 수집 시점 및 횟수를 포함하는 취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취향정보 DB에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는 정보수집단계를 더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질의문장 표시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사용자가 선택한 특정 분야를 상기 메인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메인서버의 질의문장 제공부가 질의문장 DB에서 상기 선택된 분야에 관련한 질의문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메인서버로부터 수신한 상기 질의문장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방법.
KR1020170012872A 2017-01-26 2017-01-26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KR101908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872A KR101908073B1 (ko) 2017-01-26 2017-01-26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872A KR101908073B1 (ko) 2017-01-26 2017-01-26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153A KR20180088153A (ko) 2018-08-03
KR101908073B1 true KR101908073B1 (ko) 2018-12-18

Family

ID=6325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872A KR101908073B1 (ko) 2017-01-26 2017-01-26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0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515A (ko) * 2019-01-22 2020-07-31 주식회사 마이셀럽스 유행 색상 정보를 이용한 의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1078998B (zh) * 2019-11-19 2024-03-12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信息检索方法、装置、存储介质及服务器
CN114090722B (zh) * 2022-01-19 2022-04-22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查询内容自动补全的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2487A (ko) 2004-05-19 2004-08-18 오용희 인터넷 검색기, 이를 구비한 인터넷정보검색시스템 및인터넷정보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153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0144B2 (en) Objective and subjective ranking of comments
JP5572596B2 (ja) 検索結果内におけるプレーストコンテンツの順序付けのパーソナライズ
US8793259B2 (en) Information retrieval device, information retrieval method, and program
US200600369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links associated with a requested website
JP5673336B2 (ja) 情報処理方法、表示方法、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表示プログラム
KR101100830B1 (ko) 인터넷을 활용한 개체 검색과 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반의 의견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49440A (zh) 一种相关文章的推荐处理方法和处理系统
CN102073699A (zh) 用于基于用户行为来改善搜索结果的方法、装置和设备
JP2002032401A (ja) 文書検索方法及び文書検索装置及び文書検索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現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
US20130290340A1 (en) Providing Control Over a Personalized Category of Information
KR101908073B1 (ko) 관심도 높은 단어를 검색어로 추천하는 문장완성형 검색시스템 및 방법
EP2945076A1 (en) Ranking system for search results on network
US20220067113A1 (en) Filtering and Scoring of Web Content
JP5341847B2 (ja) 検索クエリ推薦方法、検索クエリ推薦装置、検索クエリ推薦プログラム
JP2006318398A (ja) ベクトル生成方法及び装置及び情報分類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5964149B2 (ja) 共起語を特定する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20003834A (ko) 인터넷을 활용한 개체 검색과 이를 위한 하이브리드 기반의 의견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4462B1 (ko) 위치기반 정보 제공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단말 정보를 이용한 개인화 된 poi정보 제공 방법 및 그 클라이언트 단말
KR101850853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장치
CN103514237B (zh) 一种获取用户和文档个性化特征的方法和系统
JP202009153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1132431B1 (ko) 관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80320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filtering and searching data using word frequencies
KR101623523B1 (ko) 이미지 단어 해석에 기반한 사용자 니즈 파악 방법
KR101083669B1 (ko) 인터넷을 활용한 전문가 웹사이트 검색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