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748B1 -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 Google Patents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748B1
KR102183748B1 KR1020200070659A KR20200070659A KR102183748B1 KR 102183748 B1 KR102183748 B1 KR 102183748B1 KR 1020200070659 A KR1020200070659 A KR 1020200070659A KR 20200070659 A KR20200070659 A KR 20200070659A KR 102183748 B1 KR102183748 B1 KR 102183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arm
management module
impedance
module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김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영 filed Critical 김준영
Priority to KR1020200070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33/00Means for wearing or carrying smal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 관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총기의 도난이나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여 총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 관리 모듈은, 총기 관리 모듈은 전자장치가 수납되는 총기 관리 모듈 본체; 및 총기 관리 모듈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총기 본체의 조준경 마운트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총기 관리 모듈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한 GPS(GlobalPositioning System) 모듈; 총기에 장착시 및 장착후 총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측정 모듈; 측정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을 분석하기 위한 임피던스 분석 모듈; 임피던스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에 기반하여 총기 관리 모듈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 장치 모듈; 및 측정된 GPS 값과 총기 관리 모듈의 부착 상태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FIREARM MANAGEMENT MODULE WITH LOCATION TRACKING}
본 발명은 총기 관리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총기의 도난이나 불법적인 사용을 방지하여 총기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총기 규제를 위한 기본법은 「총포ㆍ도검ㆍ화약류 등의 안전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총포화약법)」이다. 상기 법률은은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석궁의 제조·판매·임대·운반·소지·사용과 그 밖에 안전관리에 관한 사항을 정하여 총포·도검·화약류·분사기·전자충격기·석궁으로인한 위험과 재해를 미리 방지함으로써 공공의 안전을 유지하고 있다.
총기라 하면, 권총, 소총, 기관총, 산탄총, 공기총, 어획총, 마취총, 도살총, 산업용총, 구난 구명총, 가스 발사총, 기타 뇌관의 원리를 이용한 장약총과 같은 모든 종류의 총기류를 지칭한다.
총기의 보관은 경찰관서에 같은 지정 관청에 보관되는 것이 원칙적이지만, 재해의 예방 또는 공공의 안전유지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때, 예를 들면 유해 야생 동물로 인한 포획이 필요할 경우, 총기 소지 허가자가 관할 경찰서에 총기 해제를 신청하고 허가된 경우 총기를 총기 소지 허가자가 보관하게 된다.
총기 소지허가 받은 사람은 총기 운반시 출발/도착예정시간, 운반로를 출발지 경찰서에 신고하고, 출발지 경찰서는 도착지 경찰서에 통보하고, 도착지 경찰서는 도착사실을 출발지 경찰서에 통보하도록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현행의 방식에서는 총기가 총기 소지 허가자에게 인도되고 나면 실제 총기의 위치는 총기를 소지한 사람의 신고한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하기 때문에 총기가 신고된 장소에서 사용되는지 아니면 불법적인 곳에서 이용되지는지 알 수 없다.
이로 인해 총기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더욱 요구되고 있고 총기류의 안전관리를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종래 총기류의 안전관리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들을 살펴보면, 국내공개특허 제10-2007-0081465호에서는 사제 병기류나 경찰시설 또는 군부대의 병기에 의무적으로 RFID용 Tag를 장착하여 인증되지 않은 병기류 판별 및 병기의 위치 이탈에 대한 방지와 이탈된 병기의 추적을 통해 사제병기 관리 미흡으로 인한 사고 및 기존 군부대에서 밀반출된 병기류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기 위한 병기 관리 통합 안전시스템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5339호에서는 기 설정된 시건장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총기 또는 탄약을 보관하는 보관수단; 상기 총기 또는 탄약의 일면에 부착되는 RFID태그; 상기 보관수단에 보관되어 있는 상기 총기 또는 탄약에 부착되어 있는 RFID태그를 인식하여 그 인식한 결과로 식별번호를 판독하고 판단한 상기 식별번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휴대용 리더기; 및 상기 휴대용 리더기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식별번호를 기반으로 재고현황을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RFID 기술을 이용하여 총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안 및 개시하고 있다.
한편 총기의 위치 확인과 관련해서는 등록특허 10-1744525에서는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 종래 기술에서는 총기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되, 복합측위모듈을 기반으로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함과 더불어 복합센서모듈을 기반으로 총기의 격발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판정 및 격발수를 계산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총기의 위치추적 및 격발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총기 부착용 단말; 상기 총기 부착용 단말과 연동하여 총기 부착용 단말로부터 총기의 위치추적 및 격발 상태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사용자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총기 부착용 단말과의 통신을 통해 총기의 위치추적 및 격발 상태정보를 수신 및 저장함과 더불어 이를 관제서버 측으로 송신하기 위한 사용자용 단말; 상기 총기 부착용 단말 측에 총기 ID 입력과 수정 및 통신 설정을 비롯한 동작 환경설정을 수행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상기 총기 부착용 단말과 사용자용 단말 간의 통신 연결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관리자용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되며, 상기 사용자용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총기(1)의 위치추적 및 격발 상태정보를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화하기 위한 관제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종래 특허문헌에서는 비록 GPS 모듈을 이용하여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있지만, 총기 부착용 단말이 스트립의 구조로 총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주로 총기의 개머리판 연결부에 체워지지만, 총기 부착용 단말이 부착되는 위치가 실제 사격시 사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위치이다.
또한 이 종래 특허문헌에서 총기 부착용 단말은 스트립을 이용하여 총기에 부착되지만 예를 들면 사격자가 총기 부착용 단말을 총기로부터 분리하고 총기를 이동하는 경우 실제 총기의 위치를 알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에 기반하여 안출된 발명으로 종래의 총기 부착 모듈에 비해 소형이면서 사격자의 사격시 사격 자세를 방해하지 않는 총기 부착 모듈을 제공하는 동시에, 총기 소지자가 총기 부착 모듈을 총기로부터 분리할 시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총기 부착 모듈을 구비한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르면 총기에 장착되는 총기 관리 모듈이 제공되고, 이 총기 관리 모듈은,
총기 관리 모듈은 전자장치가 수납되는 총기 관리 모듈 본체; 및 총기 관리 모듈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총기 본체의 조준경 마운트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총기 관리 모듈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한 GPS(GlobalPositioning System) 모듈;
총기에 장착시 및 장착후 총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측정 모듈;
측정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을 분석하기 위한 임피던스 분석 모듈;
임피던스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에 기반하여 총기 관리 모듈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 장치 모듈;
측정된 GPS 값과 총기 관리 모듈의 부착 상태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양태에서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세트 버튼부, 및 총기 관리 모듈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부를 더 포함하고,
총기 관리 모듈이 총기에 부착된 후 세트 버튼을 누르면 총기의 최초 임피던스가 측정되고,
상기 처리 장치 모듈은 최초 측정된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로 결정하고, 또한 측정된 기준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기준 임피던스로부터 미리정해진 오차범위 내의 있는 정상 임피던스 범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총기 관리 모듈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가 설정된 후 임피던스 분석 모듈은 임피던스 측정 모듈로부터 측정된 임피던스를 분석하여 측정된 임피던스가 정상 임피던스 범위를 벗어난 경우 처리 장치 모듈에 이상을 통보하고,
처리 장치 모듈은 이상을 통보받으면 GPS 모듈로부터의 현재 위치와 측정된 임피던스값에 기반한 결과를 미리정해진 곳으로 통신 수단을 통해 통보하도로 구성된다.
또한 전술한 양태에서 총기 관리 모듈이 총기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총기 부착 모듈이 총기에 제공되는 스코프 마운트베이스에 제공됨에 따라 사격시 사격자의 자세를 방해하지 않고, 또한 사용자가 총기에 부착된 총가 부착 모듈을 총기로부터 분리할 때 이를 감지하고 미리정해진 위치에 이를 통보함으로써 사용자의 불법적인 총기의 이동,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총기 관리 모듈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총기 관리 모듈, 총기 및 조준경 사이의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안전 관리 시스템에서 총기 관리 모듈의 내부 전자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총기 장착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총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1)는 총기 본체(10), 총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조준경(20) 및 총기 본체(10)와 조준경(20)의 사이에 장착되는 총기 관리 모듈(3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조준경(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 베이스(210)가 총기의 본체(10)에 제공된 조준경 마운트(110)의 상부에 장착되고 나사와 같은 결합 수단이나 별도로 제공되는 체결수단을 통해 총기의 본체(10) 상부에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총기 관리 모듈(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이 장착되는 조준경 마운트(110)의 측면에 장착되도록 설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총기 관리 모듈(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장치들이 내장된 모듈 본체(310)과 모듈 본체(310)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모듈 장착 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진다.
총기 관리 모듈 본체(310)의 내부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각종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장치들이 제공되고, 모듈 장착 프레임(320)은 총기 관리 모듈 본체(310)를 총기의 조준경 마운트(110)의 측면에 제공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된다.
도 2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은 대략 "ㄱ" 형태의 폴딩된 구조로 형성되고 조준경 마운트(110)의 측면에 대항하는 프레임 일측에는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이 통과하는 관통홀(321)이 제공된다. 이 관통홀(321)을 통과한 결합 수단은 조준경 마운트(110)의 측면에 제공되는 나사홀에 삽입되고 따라서 결합 수단, 예를 들면 나사를 조임으로써 총기 관리 모듈 본체(310)과 연결된 모듈 장착 프레임(320)이 총기에 제공된 조준경 마운트(110)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총기 관리 모듈의 프레임은 대략 "ㄱ" 형태의 폴딩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사격시 사용자의 자세에 맞춰(예를 들면 왼손 잡이 자세 또는 오른손 잡이 자세) 조준경 마운트(1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임의적으로 설치가능하고 따라서 사용자에게 사격시 불편함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모듈 장착 프레임(32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조준경 마운트(110)의 측면에 연결되어 모듈 장착 프레임과 전도성과, 조준경 마운트(110)를 포함하는 총기의 전도성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전도성 재질들의 전기적 연결은 총기 고유의 전도성을 나타내게 되고,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전체 전도성 또는 전체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총기 관리 모듈(30)이 총기로부터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 관리 모듈 본체(310)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 LED(312)와 세트(Set) 버튼이 제공된다. 이는 총기 관리자(예를 들면 경찰관서의 담당자)가 총기 관리 모듈 본체(310)를 모듈 장착 프레임(320)을 통해 최초 장착한 후 세트 버튼을 한번 누르게 되면 LED가 붉은색으로 점멸하면서 총기 전체의 임피던스를 계산하고 총기 임피던스가 계산된 후 LED가 녹색으로 점멸하면 관리자가 다시 세트 버튼을 눌러 계산된 임피던스를 기준값으로 저장하게 되면, LED는 점멸하지 않은 상태의 녹색등을 유지하거나 LED가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총기 관리 모듈 본체(310)의 외부에 제공된 LED(312)와 세트 버튼을 통해 손쉽게 총기 관리 모듈(30)의 설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전술한 바와 같은 총기 관리 모듈(30)의 내부 전자부품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총기 관리 모듈(30)은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가능하게 하는 GPS(GlobalPositioning System) 모듈(331), 총기에 장착시 총기의 임피던스 또는 전도성을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측정 모듈(332), 측정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을 분석하기 위한 임피던스 분석 모듈(333), 측정된 임피던스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34), 총기 관리 모듈(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335), 측정된 GPS 값을 미리 정해진 장소로 통보하는 한편, 이상 발생시 경보 신호를 정해진 장소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 수단(337), 및 총기 관리 모듈(3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38)를 포함한다.
총기(1)의 위치추적을 위한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GPS모듈(331)을 이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WPS(Wi-fi based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GPS 모듈(331)과 WPS 모듈을 조합하여 복합측위를 수행하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복합 측위 동작은 도심의 GPS 음영지역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 취득에 어려움이 발생되므로 와이파이 기반 WPS모듈을 이용하여 GPS 음영지역에서도 위치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얻어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 위치추적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 수단(337)을 이용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 통신 수단(337)은 LTE 통신 수단 또는 5G 통신 수단일 수도 있다. 이는 GPS 신호의 경우, GPS 모듈(331)이 실내에 위치할 경우, GPS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총기가 실내에 위치될 때 총기(1)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Wi-Fi 기반 위치 시스템(WPS)을 더 포함하는 경우 실내에 위치된 총기를 추적하기 위해 WPS 모듈은 주변에 위치되는 Wi-Fi AP와 통신을 수행한다. Wi-Fi AP는 통상적으로 공공장소, 사무실, 가정집, 도심 등 인구밀집지역 주심으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전국적으로 분포된 Wi-Fi AP를 이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총기 관리 모듈을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측은 Wi-Fi AP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AP의 데이터베이스는 Wi-Fi AP의 MAC 어드레스와 건물의 위치를 매칭시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AP를 이용한 총기의 위치 추정을 더 정밀하게 수행하기 위해, MPU(335)는 총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주변의 복수의 Wi-Fi AP와 통신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서 MPU(335)는 복수의 Wi-Fi AP의 각각의 맥 어드레스를 수신된 Wi-Fi AP 각각의 맥 어드레스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복수의 Wi-Fi AP의 각각의 위치를 발견하고(find), 발견된 복수의 Wi-Fi AP의 각각의 위치로부터의 Wi-Fi 신호 강도 또는 Wi-Fi AP로부터의 응답속도(Ping)를 측정함으로써 MPU는 총기가 각각의 Wi-Fi AP로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계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내에 총기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전술한 Wi-Fi AP를 이용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서 통신 수단으로 이용된 LTE 또는 5G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이는 총기 관리 모듈에 제공되는 통신 수단과 주변의 기지국 사이의 신호 또는 데이터의 도착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도착 시간을 이용하는 방법은 통신 수단(337)에서 송신한 신호를 통신 수단(337) 주변의 복수의 기지국에서 수신하고, 각 기지국에 수신된 신호의 도달 시간을 측정하여 통신 수단과(337)와 기지국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그 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가상의 원을 기지국을 중심으로 그린 다음, 이러한 원들이 교차하는 지점을 통신 수단(337)을 포함하는 총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총기의 정확한 위치 검출을 위해 중앙처리장치(335)는 GPS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의 강도를 측정하고, GPS 신호의 강도가 미리정해진 기준값 이하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수단(337)과 복수의 기지국 사이의 신호 송수신 시간을 이용하여 총기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이어서, 임피던스 측정 모듈(332)는 최초 총기 관리 모듈(30)이 총기에 부착된 후 사용자가 세트 버튼(314)를 누름으로써 총기에 대한 고유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이를 MPU(335)에 전달한다. MPU(335)는 임피던스 측정 모듈(332)로부터 최초 측정된 임피던스를 메모리(334)에 기준 임피던스로서 저장하고 ±10%, 더 바람직하게는 ±5%의 오차율을 가진 범위를 정상 임피던스 범위로서 저장한다. 이와 같은 오차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후, 총기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는 사용자가 LED 등의 상태를 참조하여 세트 버튼(314)를 한번 더 누름으로써 설정되어진다.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가 메모리에 저장되고 난 후 임피던스 분석 모듈(333)은 임피던스 측정모듈(332)로부터 측정되는 임피던스 값을 계속하여 모니터링하고, 측정된 임피던스 값이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총기 관리 모듈(30)은 총기의 전도성 부분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도시되지 않았지만 총기 관리 모듈(30)의 접점부가 오픈이 된 상태에서 무한대에 가까운 임피던스(즉 전류가 흐르지 않음)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즉 총기 관리 모듈(30)이 총기에 부착된 후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를 갖은 후 총기로부터 탈착된 경우 임피던스가 무한대로 되고, 임피던스 분석 모듈(333)은 이와 같은 임피던스의 증가를 MPU(335)에 통보하고 MPU(335)는 총기 관리 모듈이 분리되었음을 통신 모듈을 통해 관할 경찰서에 현재의 GPS 좌표와 함께 통보하게 된다.
한편, 정상 임피던스 범위를 벗어나 비정상 임피던스가 임피던스 측정모듈(333)로부터 측정되고 임피던스 분석 모듈에서 이를 감지한 경우에는, 이는 총기의 불법적인 개조로 인해 발생된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 역시 동일하게 임피던스의 변화를 MPU(335)에 통보하고 MPU(335)는 총기의 불법 개조 가능성을 관할 경찰서에 현재의 GPS 좌표와 함께 통보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임피던스 측정 모듈(332)과 임피던스 분석모듈(333)을 통해 총기로부터 총기 관리 모듈(30)이 분리되었는지의 여부와, 총기의 불법 개조 가능성을 판단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피던스 변화에 따른 전류를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에서 임피던스 측정 모듈(332)은 전류측정 모듈로 대체될 수 있으며, 임피던스 분석모듈(333)은 전류분석 모듈로 대체될 수 있다라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설명을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기 보다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총기 10: 총기 본체
20: 조준경 30: 총기 관리 모듈
210: 조준경 베이스 110: 조준경 마운트
310: 총기 관리 모듈 본체 320: 총기관리모듈 장착 프레임
312: LED 314: 세트 버트
331: GPS 모듈 332: 임피던스 측정 모듈
333: 임피던스 분석 모듈 334: 메모리
335: 중앙처리장치 337: 통신 모듈
338: 배터리

Claims (7)

  1. 총기에 장착되는 총기 관리 모듈에 있어서,
    총기 관리 모듈은 전자장치가 수납되는 총기 관리 모듈 본체; 및 총기 관리 모듈 본체로부터 연장되어 총기 본체의 조준경 마운트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총기 관리 모듈 장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총기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기 위한 GPS(GlobalPositioning System) 모듈;
    총기에 장착시 및 장착후 총기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임피던스 측정 모듈;
    측정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을 분석하기 위한 임피던스 분석 모듈;
    임피던스 분석 모듈로부터 분석된 임피던스의 변동값에 기반하여 총기 관리 모듈의 부착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처리 장치 모듈;
    측정된 GPS 값과 총기 관리 모듈의 부착 상태를 미리 정해진 장소로 통보하기 위한 통신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의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세트 버튼부, 및 총기 관리 모듈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ED 부를 더 포함하고,
    총기 관리 모듈이 총기에 부착된 후 세트 버튼을 누르면 총기의 최초 임피던스가 측정되고,
    상기 처리 장치 모듈은 최초 측정된 임피던스를 기준 임피던스로 결정하고, 또한 측정된 기준 임피던스에 기반하여 기준 임피던스로부터 미리정해진 오차범위 내에 있는 정상 임피던스 범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관리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총기 관리 모듈은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관리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임피던스 및 정상 임피던스 범위가 설정된 후 임피던스 분석 모듈은 임피던스 측정 모듈로부터 측정된 임피던스를 분석하여 측정된 임피던스가 정상 임피던스 범위를 벗어난 경우 처리 장치 모듈에 이상을 통보하고,
    처리 장치 모듈은 이상을 통보받으면 GPS 모듈로부터의 현재 위치와 측정된 임피던스값에 기반한 결과를 미리정해진 곳으로 통신 수단을 통해 통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관리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이 총기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무한대의 임피던스를 가지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관리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관리 모듈은 WPS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 모듈은 WPS 모듈을 통해 총기 관리 모듈의 주변에 제공된 복수의 Wi-Fi AP로부터 맥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복수의 Wi-Fi AP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반하여 Wi-Fi AP의 각각에 대한 위치를 결정하고, Wi-Fi AP의 위치에 기반하여 총기 관리 모듈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관리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수단은 4G 통신 수단 또는 5G 통신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장치 모듈은 GPS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신호의 강도가 미리결정된 신호 강도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총기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동작하고, 이 경우 처리 장치 모듈은 상기 통신 수단; 및 통신 수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4G 또는 5G 기지국과의 신호 송수신을 통해 총기의 위치를 추정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 관리 모듈.
KR1020200070659A 2020-06-11 2020-06-11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KR102183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59A KR102183748B1 (ko) 2020-06-11 2020-06-11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659A KR102183748B1 (ko) 2020-06-11 2020-06-11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748B1 true KR102183748B1 (ko) 2020-11-27

Family

ID=73641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659A KR102183748B1 (ko) 2020-06-11 2020-06-11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7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34B1 (ko) * 2012-03-27 2012-09-11 (주)스마트정보통신 접지선 도난 방지장치
KR102016915B1 (ko) * 2019-01-22 2019-09-02 주식회사 트루인테크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1934B1 (ko) * 2012-03-27 2012-09-11 (주)스마트정보통신 접지선 도난 방지장치
KR102016915B1 (ko) * 2019-01-22 2019-09-02 주식회사 트루인테크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6955B2 (en) Firearm telematics devices for monitoring status and location
US10514237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US10359250B2 (en) Firearm safety system
US8720092B2 (en) Electronic device for a firearm
US9752840B1 (en) Internet of things (IoT) automated intelligence module (AIM) and management system
US8850944B2 (en) Automatic gun safety devices based on positioning systems
US11029127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US20060208857A1 (en) Use of rfid tags and readers to automate real time alert signals in a security system
US11740044B2 (en) Geolocation-reporting weapon-tracking device
US20180093637A1 (en) Public Safety Smart Belt
US9810498B1 (en) Method of preventing accidental shootings with a firearm safety beacon
US10757379B2 (en) Public safety smart belt
KR20080013088A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US20140218518A1 (en) Firearm Discharge Detection and Response System
KR102183748B1 (ko)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US20210272437A1 (en) Public Safety Smart Belt
KR101744525B1 (ko)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US984700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licy-based access using an accelerometer
US20180364000A1 (en) Firearm Tracking System
US20180114425A1 (en) Methods, Software, and Systems for Providing Policy-Based Access
KR101708017B1 (ko) 스마트 침입인식 및 대응 시스템
US20220390200A1 (en)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mass shootings by Smart guns
KR102016915B1 (ko)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220161679A (ko) 하이브리드 소방용 시설물 관리시스템
CN214504454U (zh) 枪支定位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