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915B1 -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915B1
KR102016915B1 KR1020190007858A KR20190007858A KR102016915B1 KR 102016915 B1 KR102016915 B1 KR 102016915B1 KR 1020190007858 A KR1020190007858 A KR 1020190007858A KR 20190007858 A KR20190007858 A KR 20190007858A KR 102016915 B1 KR102016915 B1 KR 102016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arm
black box
box device
stra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7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루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루인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루인테크
Priority to KR1020190007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9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06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safe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30Multiple safeties, i.e. one safety element acting on at least one element of the firing mechanism and at least one other element of the gun, e.g. the moving barr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총기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총기에 부착하고,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 확인을 통한 총기의 사용 여부, GNSS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이용한 총기의 위치,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확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되는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총기사용 실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격발, 불법적인 총기 이동이나 사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BLACK BOX APPARATUS FOR FIREAR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총기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블랙박스 장치를 총기에 부착하고,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 확인을 통한 총기의 사용 여부, GNSS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이용한 총기의 위치,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확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실시간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되는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총기사용 실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격발, 불법적인 총기 이동이나 사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총기는 강력 범죄의 증가를 억제하고 경찰관이 범죄를 저지른 범인과 위험한 상황에 대처하였을 경우 경찰관의 안전을 위해 경찰관이 휴대하여 사용하거나, 국방의무를 수행하는 군인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공항에서의 조류 퇴치, 유해 야생동물의 수렵, 스포츠 등의 다양한 목적이나 용도로 각종 총기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에서 각종 총기 사고가 발생되면서, 총기 사용을 추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의 도입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총기 사용에 대한 추적이나 관리를 위한 시스템의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총기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책임소재를 가리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경찰관의 총기사용의 남발은 도주하는 범인에게 국한되지 않고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일반 시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문제가 있었고, 총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범인을 체포할 수 있는 위험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남발하여 사용되는 경우 오히려 시민들에게 불안요소를 주게 되며, 경찰관의 총기 사용으로 인한 법적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출할 수 있는 증거자료가 없을 뿐만 아니라 목격자에 의한 증인진술에 의존하기 때문에 객관적인 진술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블랙박스 장치를 총기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부착하고,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 GNSS 모듈 또는 통신 모듈을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 등을 통해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수집하여 기록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되는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총기사용 실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도록 함으로써, 기록된 정보의 분석이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비정상적인 격발은 물론, 불법적인 총기 이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등록특허 제1865273호(2018.06.07.)는 캅스 블랙박스를 이용한 총기 관리 시스템과, 캅스 블랙박스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캅스 블랙박스로부터 사용자의 대상체에 대한 총기 사용의 조준 동작을 감지하여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준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제2 캅스 블랙박스들로부터 외부 환경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대상체와 정면 대치하는 사용자의 조준 동작에 기초하여 사용자를 중심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동료 사용자들의 캅스 블랙박스로부터 사용자의 바운더리 내에 외부 환경 정보를 더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되는 환경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총기 사용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추후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수의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비정상적인 격발을 확인하거나 불법적인 총기 이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것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US 6823621호(2004.11.30.)는 INTELLIGENT WEAPON에 관한 것으로, 경찰관의 총기 격발에 의해 작동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총기 격발에 따른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거나 경찰관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경찰서 등의 외부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경찰관의 총기 사용 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총기 사용의 적법여부를 판단하는 기술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총기 사용에 대한 전체 상황을 판단하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어렵고, 복수의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비정상적인 격발을 확인하거나 불법적인 총기 이동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기술 구성에 대해서는 기재하고 있지 않다.
이상에서 선행기술들을 검토한 결과, 상기 선행기술들은 복수의 센서 모듈로부터 수신한 센싱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대상체에 대한 조준동작을 감지하고 사용자와 연관된 환경 정보 및 외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총기의 사용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기술 구성, 경찰관의 총기 사용 후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총기 사용의 적법여부를 판단하는 기술 구성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을 뿐이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은 총기에 고정하여 부착된 블랙박스 장치를 통해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 위치,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확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기록하고,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되는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총기사용 실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격발은 물론, 불법적인 총기 이동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들은 본 발명의 이러한 기술적 특징을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블랙박스 장치를 스트랩(strap)을 이용하여 총기에 감거나 총기에 직접 부착함으로써,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되는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관제서버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거나 또는 이벤트(배터리 저전압, 스트랩 절단이나 분리,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삽입한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격발 등)가 발생할 때마다 전송함으로써, 상기 관제서버에서 총기사용 실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확인을 토대로 비정상적인 격발이나 불법적인 총기사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며, 이를 통해 총기를 이용한 범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을 통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위성항법측위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통신 모듈을 통한 무선통신 측위 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총기의 이동 궤적 확인을 통한 총기의 분실이나 불법적 이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 격발자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총기사용 확인부,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총기위치 확인부, 및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하거나 혹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미만의 배터리 저전압 상태, 상기 총기에 감겨 부착된 스트랩(strap)의 절단이나 분리,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삽입한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격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는,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총기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성항법 측위모드를 상기 무선통신 측위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외측 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일 측면이 스트랩 홀더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총기를 중심으로 스트랩을 감아 상기 총기에 결착하되, 상기 스트랩의 일 측을 상기 스트랩 홀더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은, 내부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전도성 금속판, 및 상기 전도성 금속판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전도성 금속판이 외력에 의해 절단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와 상기 접점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어 상기 스트랩이 절단되거나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일 측면에 빛을 내부 공간으로 투과시켜 내부에 구비된 광 센서로 감지하도록 하는 광 투과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스트랩 홀더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빛이 상기 광 투과창으로 조사되어 상기 광 센서에서 감지되면, 상기 스트랩이 상기 스트랩 홀더에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가 총기에서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랩 홀더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온 또는 오프 여부로 상기 스트랩 홀더 내에 결합되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또는 분리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를 확인하는 접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의 개머리판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머리판 내벽에 광 투과창(101)이 가려지도록 부착되고,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가 개머리판에서 분리되면, 상기 광 투과창으로 빛이 유입되어 상기 광 센서에서 감지되며, 따라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상기 개머리판 내벽으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은,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 격발자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총기사용 확인 단계,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총기위치 확인 단계, 및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하거나 혹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미만의 배터리 저전압 상태, 상기 총기에 감겨 부착된 스트랩의 절단이나 분리,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삽입한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격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위치 확인 단계는,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총기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성항법 측위모드를 상기 무선통신 측위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따르면, 블랙박스 장치를 스트랩을 이용하여 총기에 감아 고정하거나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개머리판 내부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기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총기 규제를 시행하고 있는 국가를 대상으로 블랙박스 장치 및 운영 시스템의 수출을 기대할 수 있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응용 제품 출시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되는 정보를 주기적으로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확인을 토대로 비정상적인 격발이나 불법적인 총기사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총기를 이용한 범죄 발생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GNSS 모듈을 통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위성항법측위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통신 모듈을 통한 무선통신 측위 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총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더라도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총기의 분실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불법적 이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운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제서버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를 총기에 결합하기 위한 스트랩 및 스트랩 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트랩 내부의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트랩이 총기에서 분리된 것을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의 가속도 센서의 변화를 이용한 격발순간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의 중력 센서의 값을 이용한 격발자세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 관제서버(200), 데이터베이스(3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 총기별 사용 여부나 이동 궤적 등에 관련된 분석정보, 통계정보 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받는 경찰 등의 국가기관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자 단말, 총기소지자가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스트랩을 사용하여 총기에 감아 고정시키거나, 또는 총기에 형성된 결합부재에 끼워 넣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에 결합한 이후 소지자가 임의로 탈부착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소총을 예로 들면 사격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격발에 불편함이 없는 총목 부위에 결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총기의 개머리판 내부 공간에 넣어 결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총기에 고정하여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각종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총기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를 이용하여 총기의 격발을 감지할 수 있는데, 총기의 격발 순간에는 반동에 의해 총기의 후방향 순간 가속도의 변화가 크다는 점을 이용하여 격발 순간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격발 순간에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는 총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나 총기의 운반에 의해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와 명확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총기의 격발 순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총기의 격발 여부는 가속도 센서 이외에 음향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즉 총기가 격발되는 순간 발생하는 소음의 강도 또는 주파수는 격발 이외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강도 또는 주파수와 명확하게 구분되고, 총기가 격발되는 순간의 소음은 일정 시간이상 지속되지 않는 특징을 감안하여 총기의 격발 순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가속도 센서, 음향 센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총기의 격발 순간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의 격발 순간이 감지되었을 때의 격발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력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를 확인하여, 총기가 수평 방향, 하부 방향 또는 상부 방향으로 격발되었는지, 아니면 옆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격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비정상적인 총기사용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설명한 격발순간,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와 함께 총기소지자의 이동에 따른 총기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총기가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모듈을 통해 복수의 위성에서 발신된 전파를 수신하여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구하여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위성항법측위가 불가능한 지역인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LTE(Long Term Evolution) 혹은 5G(generation),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에서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 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의 현재 위치 확인을 위해서,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도록 구성되는데, 평상시에는 기본적으로 위성항법 측위모드로 구동하여 GNSS 모듈을 통해 확인한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이용하여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지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면 무선통신 측위모드로 전환된 후 통신 모듈을 통해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이용하여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기록할 때, 저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총기 소지자의 이동에 따른 총기의 현재 위치가 변화하는 경우에만 현재 위치 정보를 갱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특정 시점에서 확인한 총기의 현재 위치가 바로 이전 시점에서 확인한 총기의 현재 위치와 동일한 경우에는 현재 위치 정보를 기록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의 변화가 없다면 좌표 정보는 기록하지 않고 시간 정보만 기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 관제서버(200)에서의 분석 및 모니터링을 통해서 총기의 이동 궤적 확인을 통한 총기의 분실이나 불법적 이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 위성항법 측위 또는 무선통신 측위를 통해 확인한 총기의 현재 위치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상기 관제서버(200)로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하거나, 또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벤트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미만의 배터리 저전압 상태, 상기 총기에 감겨 부착된 스트랩의 절단이나 분리,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삽입한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격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것을 말하며,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에 대한 코드정보 및 좌표정보와 함께 이벤트 발생에 관련된 코드정보를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관제서버(200)는 경찰서, 군기관 등의 총기와 관련된 관리 및 통제를 수행하는 국가기관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또는 국가로부터 위임받은 민간기관에서 운영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총기의 사용 실태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총기의 사용 기록을 분석함으로써, 허가되지 않은 목적으로 총기가 사용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관제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통해, 각각의 총기별 사용실태나 이동 궤적을 분석하거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분석 및 실시간 모니터링에 따른 결과 정보를 각각의 총기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 관리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수행한 각각의 총기별 총기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에 대한 분석결과 및 실시간 모니터링 수행결과를 각 총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300)는 상기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 및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한다.
한편 이와 같이 구성된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운영과 관련된 과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운영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를 관리하는 관리자 측에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총기에 부착한다(①).
예를 들어, 총기소지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격발에 불편함이 없는 총목 부위나 개머리판 내부에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에 결합된 이후에는 소지자가 강제로 탈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며, 총기 격발이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지 않도록 단단한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총기에 고정하여 결합한 이후,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에서 측정하는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격발순간을 감지하는 것은 물론,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 소지자의 이동에 따라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참조하여,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동작되는 위성항법 측위정보로는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LTE 혹은 5G, 와이파이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참조하여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의 감지에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위치가 확인되면, 이를 내부 메모리에 지속적으로 기록한다(②).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내부 메모리에 기록해 놓은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의 관제서버(200)로 전송한다(③). 즉 기 설정된 주기마다 또는 배터리 저전압, 스트랩 절단이나 분리,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삽입한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격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시점에 내부 메모리에 저장해 놓은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는 물론, 이벤트 발생에 관련된 코드정보 등을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이벤트 발생 정보 등을 참조하여, 각각의 총기별 사용실태나 이동 궤적을 분석하거나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이에 따른 결과정보를 각각의 총기별로 구분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한다(④).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전원부(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 센싱정보 확인부(130), 총기사용 확인부(140), 총기위치 확인부(150), GNSS 모듈(160), 통신 모듈(170), 분리 확인부(180), 저장부(1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동작 상태나 배터리 용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배터리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부, 각종 기능에 대한 데이터 입력을 위한 입력부,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업데이트 관리부, 각 구성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10)는 공지된 충전용 배터리를 사용하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각 구성 부분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센서(120)는 총기가 격발되는 순간의 총기의 x축, y축 및 z축의 가속도 변화량을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121), 총기가 격발되는 순간의 소음이나 총기 주변의 소음을 측정하는 음향 센서(122), 총기가 격발되었을 때의 x축, y축 및 z축의 총기의 방향이나 기울기 변화량을 측정하는 중력 센서(123), 총기에 부착되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총기에서 분리되는지의 여부를 측정하는 광 센서(124)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복수의 센서(120)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한 센싱정보를 상기 총기사용 확인부(140)로 전달하여 총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는 상기 전원부(110)의 충전전압을 확인하여, 제어부(미도시)에서 상기 전원부(110)의 전원이 기 설정된 기준 미만의 저전력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저전력 상태인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미도시)에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통신 모듈(170)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하여, 총기소지자나 관리자가 총기의 전원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총기사용 확인부(140)는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에서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격발 순간을 확인하는 격발 확인부(141)와,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에서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격발 순간의 자세를 확인하는 격발자세 확인부(142)로 구성된다.
상기 격발 확인부(141)는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에서 수집한 총기의 x축, y축 및 z축의 가속도 변화량 정보, 격발 순간의 소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을 확인하고, 격발 여부, 시간 등을 포함한 격발순간 정보를 상기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상기 격발자세 확인부(142)는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에서 수집한 총기의 x축, y축 및 z축의 총기의 방향이나 기울기 변화량을 토대로 총기가 격발되었을 때의 자세 정보를 확인하고, 격발자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즉 총기가 수평,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방향으로 격발되었는지, 어떠한 자세로 격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는 총기 소지자의 이동에 따라 상기 GNSS 모듈(160)을 통해 확인한 복수의 위성을 이용한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총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는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만일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170)을 통해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총기의 현재 위치를 상기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이는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중 하나로서,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는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구동중인 상태에서는 항상 위성항법 측위모드로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총기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면, 현재 구동중인 위성항법 측위모드를 무선통신 측위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통신 모듈(170)을 통해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
즉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상기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있는 지역 또는 상기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것에 따라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GNSS 모듈(160)은 복수의 위성으로부터 항법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위치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현재의 위치정보를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통신 모듈(170)은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때,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의 요청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170)은 상기 총기사용 확인부(140)를 통해 확인한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에 대한 총기의 사용 여부,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를 통해 확인한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통신 모듈(170)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되는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를 토대로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하거나 혹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된다. 상기 이벤트는 배터리가 저전압 상태이거나, 상기 총기에 감겨 부착된 스트랩이 절단 혹은 분리되었거나, 총기가 격발되었는지 등에 대한 상태변화를 의미하며,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에 대한 코드정보 및 좌표정보와 함께, 어느 이벤트인지를 알리는 코드정보가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된다.
상기 분리 확인부(180)는 상기 센싱정보 확인부(130)에서 확인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상기 총기에서 분리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저장부(19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상기 총기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외부의 빛이 상기 총기 내부로 조사되지 않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기 광 센서(124)를 통해 빛이 감지되면, 상기 분리 확인부(18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상기 총기에서 분리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도 7 참조)
상기 저장부(190)는 상기 총기사용 확인부(140)를 통해 확인한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에 대한 총기의 사용 여부,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150)를 통해 확인한 총기의 현재 위치를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190)는 배터리 방전 등의 이유한 일정 기간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내부에 저장한 정보가 훼손되지 않도록 비휘발성 메모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관제서버(2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제서버(200)는 통신부(210), 모니터링부(220), 표시부(230), 통계 처리부(240), 업데이트 관리부(2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통신부(2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부터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에 대한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부(22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210)는 상기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 블랙박스 구동에 대한 제어명령(예를 들어 저장한 총기 사용 여부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의 전송주기 변경정보, 저장주기 변경정보 등)이나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모니터링부(220)는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에 대한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참조하여, 총기가 정상적으로 격발되었는지, 격발 자세가 어떠하였는지, 총기의 이동이 적합하였는지 등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부(220)에서 수행되는 실시간 모니터링의 결과정보는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각 총기별로 구분하여 저장하여 관리되며, 향후 총기 사용이나 위치에 대한 분석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30)는 통상적인 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상기 통계 처리부(240)는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별 사용 정보를 통계 처리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이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통계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업데이트 관리부(25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에서 사용하는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그레이드가 이루어지면 해당 동작프로그램을 상기 데이터베이스(300)에 저장하여 관리하며, 각각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로 변경된 각종 동작프로그램의 업데이트를 처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를 총기에 결합하기 위한 스트랩 및 스트랩 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외측 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일 측면이 스트랩 홀더(50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를 중심으로 스트랩(400)을 감아 총기의 총목 부분에 결착시키는데, 상기 스트랩(400)의 일 측을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하여 결합한다. 즉 도 5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스트랩(400)의 일 측을 상기 스트랩 홀더(500)의 내부 공간에 삽입한 다음, 조여서 체결하는 것이다.
그러면 도 5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스트랩(400)의 일 측 외부에 형성된 체결부(410)가 상기 스트랩 홀더(50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된 걸쇠(미도시)에 걸려 체결된다. 즉 상기 스트랩(400)은 쉽게 밀어 넣을 수는 있지만, 반대로 빼내려고 하면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방식으로 체결되면 총기 소지자가 임의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상기 총기로부터 분리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총기의 사용이 마무리되면 관리자는 열쇠나 무선 리모콘을 이용하여 상기 걸쇠를 릴리스(release)하면,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서 상기 스트랩(400)이 분리된다.
또한 상기 스트랩(400) 및 상기 스트랩 홀더(50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상기 총기에 결합할 때, 총기가 훼손되지 않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한 충격을 흡수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트랩(400)의 내부 구조를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400)은 내부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전도성 금속판(420)과, 상기 전도성 금속판(420)의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43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상기 전도성 금속판(420)이 외력에 의해 절단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분리 확인부(180)에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와 상기 접점(430)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어 상기 스트랩(400)이 절단되거나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하여, 특정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총기에서 분리되었음을 즉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스트랩이 총기에서 분리된 것을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감지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 결합되는 부분에 빛을 내부 공간으로 투과시켜 내부에 구비된 광 센서(124)로 감지하도록 하는 광 투과창(101)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광 투과창(101)을 구비한 경우, 도 7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스트랩(400) 및 스트랩 홀더(500)를 통해 총기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빛이 상기 광 투과창(101)을 통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 내부로 조사되지 않는다. 즉 상기 스트랩(400)이 상기 스트랩 홀더(500)의 관통공과 상기 광 투과창(10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기 때문에 빛이 상기 광 투과창(101)을 통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 내부로 투과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도 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400)이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서 풀린 상태에서는,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빛이 상기 광 투과창(101)을 통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내부로 조사되고, 이에 따라 상기 광 센서(124)에서 빛이 감지되고, 빛의 감지에 따라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분리 확인부(180)에서 상기 스트랩(400)이 상기 스트랩 홀더(500)에서 풀린 것을 확인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도 7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 홀더(500)의 일 측면에 형성된 관통공의 대응 위치에 빛을 내부 공간으로 투과시켜 내부에 구비된 상기 광 센서(124)로 감지하도록 하는 광 투과창(102)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광 투과창(102)을 추가로 구비한 경우, 도 7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총기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광 투과창(102)이 총기에 가려지기 때문에 빛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 내부로 조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스트랩(400)이 감긴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총기에서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광 투과창(102)을 통과한 빛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 내부로 조사되고, 내부에 구비된 상기 광 센서(124)가 빛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총기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확인한다.
한편 상기 스트랩 홀더(50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온 또는 오프 여부로 상기 스트랩 홀더(500) 내에 결합되는 상기 스트랩(400)의 체결 또는 분리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는 접점 스위치(미도시)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의 개머리판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개머리판 내벽에 광 투과창(101)이 가려지도록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가 개머리판에서 분리되면, 상기 광 투과창으로 빛이 조사되어 상기 광 센서에서 감지되며, 결국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개머리판 내벽에서 분리된 것으로 확인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각 단계는 사용 환경이나 당업자에 의해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의 가속도 센서의 변화를 이용한 격발순간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의 중력 센서의 값을 이용한 격발자세 감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관제서버(200)측 운영자 혹은 관리자가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각각의 총기마다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부착한다(S100).
상기 S100 단계를 통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총기에 결합한 이후,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20)로부터 센싱정보를 수집한다(S200).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센서(120)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참조하여, 총기의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 등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총기의 사용 여부에 대한 정보를 기록한다(S300).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가 총기로부터 분리되는지의 여부도 함께 확인하여 기록할 수 있다.
상기 S300 단계에서 확인하는 총기의 격발순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의 변화, 음향 센서에서의 소음 감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총기의 격발순간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기의 격발 순간에는 반동에 의해 총기의 후방향(x축의 +방향)의 순간 가속도 변화가 크고, 총기의 상방향(y축의 -방향)의 순간 가속도 변화가 약간 발생하며, 총기의 측방향(z축 방향)의 순간 가속도 변화는 거의 없다는 특성과, 총기의 격발 순간 발생하는 가속도의 변화는 짧은 시간 동안만 발생하는 특성을 참조하여 총기의 격발 순간을 감지하는 것이다. 이때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격발 순간에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와 격발이 아닌 상황(예를 들어 총기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 혹은 총기의 운반 중 총기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서 발생하는 가속도 변화는 명확히 구분되기 때문에 총기의 격발 순간 감지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총기가 격발되는 순간 발생하는 소음의 강도 혹은 주파수는 그 이외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강도 혹은 주파수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특성과, 총기가 격발되는 순간의 소음은 일정 시간이상 지속되지 않는 특성을 참조하여, 총기의 격발 순간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300 단계에서 확인하는 총기의 격발자세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중력 센서에서 측정한 센싱정보를 통해 총기가 수평, 하부, 상부 중 어느 방향으로 격발되었는지, 기울어진 상태에서 격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총기의 격발 순간이 감지되었을 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중력 센서에서 측정한 값으로 총기의 격발 자세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중력 센서에서 측정한 값을 참조하여 확인한 결과, 도 10의 (a)에 나타낸 것처럼 총기가 수평으로 격발되면 비교적 원거리의 표적을 향해 격발한 것으로 판단하고, 도 10의 (b)에 나타낸 것처럼 총기가 아래 방향으로 격발되면 총기의 위치 보다 낮은 곳에 있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표적을 향해 격발한 것으로 판단하며, 도 10의 (c)에 나타낸 것처럼 상부 방향을 격발되면 총기의 위치 보다 높은 곳에 있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의 표적을 향해 격발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중력 센서에서 측정한 값을 통해 도 10의 (d)에 나타낸 것처럼 총기가 옆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격발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S200 및 S300 단계에서 설명한 격발순간이나 격발자세와 관련된 총기의 사용 여부,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와 상기 총기의 분리 여부를 확인하는 것과 함께, 총기소지자의 이동에 따른 총기의 현재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S400), 판단결과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면 GNSS 모듈(160)을 통해 복수의 위성에서 발신된 전파를 수신한 다음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구하여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500).
그러나 상기 S400 단계의 판단결과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위성항법측위가 불가능한 지역인 음영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LTE 혹은 5G, 와이파이 등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170)에서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 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한다(S600).
이와 같이 상기 S200 및 S300 단계를 통해 총기의 사용 여부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와 상기 총기의 분리 여부 확인과 함께, 상기 S400 내지 S600 단계를 통해 총기의 현재 위치가 확인되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분리 여부,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저장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하여 각각의 총기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한다(S700).
이때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의 분리 여부,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사전에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하거나, 또는 배터리 저전압 상태, 상기 총기에 감겨 부착된 스트랩의 절단이나 분리,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삽입한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격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는 총기의 사용이 종료되는 것을 판단하여(S800),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100)를 상기 총기에서 분리하여 사용을 종료할 때까지 상기 S200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블랙박스 장치를 스트랩을 이용하여 총기에 감아 고정하거 총기에 직접 부착하거나 개머리판 내부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하여 기록할 수 있으며, 원격의 관제서버에서 상기 블랙박스 장치에 기록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총기의 사용 여부나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 확인을 토대로 비정상적인 격발이나 불법적인 총기사용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성항법측위가 가능한 지역에서는 GNSS 모듈을 통한 위치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고, 위성항법측위가 불가능한 지역에서는 통신 모듈을 통한 무선통신 측위 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총기가 음영지역에 위치하더라도 현재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총기의 분실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불법적 이동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110 : 전원부
120 : 센서 130 : 센싱정보 확인부
140 : 총기사용 확인부 141 : 격발 확인부
142 : 격발자세 확인부 150 : 총기위치 확인부
160 : GNSS 모듈 170 : 통신 모듈
180 : 분리 확인부 190 : 저장부
200 : 관제서버 210 : 통신부
220 : 모니터링부 230 : 표시부
240 : 통계 처리부 250 : 업데이트 관리부
300 : 데이터베이스 400 : 스트랩
500 : 스트랩 홀더

Claims (11)

  1. 총기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 격발자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총기사용 확인부;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총기위치 확인부;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통신 모듈; 및
    외부의 빛이 내부 공간으로 투과되면 내부에 구비된 광 센서로 감지하도록 하는 광 투과창;을 포함하며,
    일 측면이 스트랩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 홀더에 형성된 공간에 스트랩을 삽입하여 상기 총기에 결착하며,
    상기 스트랩 홀더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빛이 상기 광 투과창으로 조사되어 상기 광 센서에서 감지되면, 상기 스트랩이 상기 스트랩 홀더에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가 상기 총기에서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하거나 혹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미만의 배터리 저전압 상태, 상기 총기에 부착된 스트랩의 절단이나 분리,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상기 총기의 격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기위치 확인부는,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위성항법 측위모드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총기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성항법 측위모드를 상기 무선통신 측위모드로 전환한 다음,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총기를 중심으로 스트랩을 감아 상기 총기에 결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내부에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전도성 금속판; 및
    상기 전도성 금속판의 양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전도성 금속판이 외력에 의해 절단되거나 분리되는 경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와 상기 접점의 전기적 접속이 해제되어 상기 스트랩이 절단되거나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홀더는,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가 결합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온 또는 오프 여부로 상기 스트랩 홀더 내에 결합되는 상기 스트랩의 체결 또는 분리 여부를 확인하거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여부를 확인하는 접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는,
    상기 총기의 개머리판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9.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싱정보를 토대로 총기의 격발순간, 격발자세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상기 총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총기사용 확인 단계;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위성항법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총기위치 확인 단계; 및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원격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니터링 데이터 전송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외부의 빛이 내부 공간으로 투과되면 내부에 구비된 광 센서로 감지하도록 하는 광 투과창을 구비하여,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의 일 측면이 스트랩 홀더에 결합되며, 상기 스트랩 홀더에 형성된 공간에 스트랩을 삽입하여 상기 총기에 결착함으로써, 상기 스트랩 홀더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한 빛이 상기 광 투과창으로 조사되어 상기 광 센서에서 감지되면, 상기 스트랩이 상기 스트랩 홀더에 결합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거나,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가 상기 총기에서 분리된 것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운영방법은,
    상기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에서, 상기 확인한 총기의 사용 여부, 현재 위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정보를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전송하거나 혹은 이벤트가 발생하는 즉시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관제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이벤트는, 기 설정된 기준 데이터 미만의 배터리 저전압 상태, 상기 총기에 부착된 스트랩의 절단이나 분리, 상기 블랙박스 장치의 분리, 상기 총기의 격발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총기위치 확인 단계는,
    위성항법 측위모드 또는 무선통신 측위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고,
    상기 위성항법 측위모드로 구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총기가 위성항법 측위를 수행할 수 없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면, 상기 위성항법 측위모드를 상기 무선통신 측위모드로 전환한 다음, 통신 모듈을 통해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확인하며,
    상기 확인한 무선통신 측위정보를 토대로 상기 총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운영방법.
KR1020190007858A 2019-01-22 2019-01-22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102016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58A KR102016915B1 (ko) 2019-01-22 2019-01-22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7858A KR102016915B1 (ko) 2019-01-22 2019-01-22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915B1 true KR102016915B1 (ko) 2019-09-02

Family

ID=67951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7858A KR102016915B1 (ko) 2019-01-22 2019-01-22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9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48B1 (ko) * 2020-06-11 2020-11-27 김준영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802A (ko) * 1998-12-02 2000-07-05 김승영 권총용 블랙박스 시스템
JP2002300651A (ja) * 2001-03-30 2002-10-11 Seiko Epson Corp 腕時計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
KR101744525B1 (ko) * 2016-09-02 2017-06-12 주식회사비엠테크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802A (ko) * 1998-12-02 2000-07-05 김승영 권총용 블랙박스 시스템
JP2002300651A (ja) * 2001-03-30 2002-10-11 Seiko Epson Corp 腕時計を用いた携帯型情報端末不正使用防止システム
KR101744525B1 (ko) * 2016-09-02 2017-06-12 주식회사비엠테크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3748B1 (ko) * 2020-06-11 2020-11-27 김준영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2840B1 (en) Internet of things (IoT) automated intelligence module (AIM) and management system
US8720092B2 (en) Electronic device for a firearm
US98055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analyzing near range weapon fire
US9846007B2 (en) Firearm discharge recording and reporting system
CA2839381C (en) Safety device of a gun and method for using safety device
US202002327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apon event detection
US9829275B2 (en) Firearm monitoring and tracking system
KR100865129B1 (ko) 산불 감시 단말기 및 그 단말기를 이용한 산불 감시 시스템
US201700746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and tracking of holstering and unholstering
US8384542B1 (en) Autonomous and federated sensory subsystems and networks for security systems
US8706440B2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registering the time and location of weapon firings
US10852088B2 (en) Device for monitoring firearms use
US9769902B1 (en) Laser sensor stimulator
KR102016915B1 (ko) 총기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 운영방법
CN109883260A (zh) 枪载多维传感组件、枪械状态自动识别系统及其方法
KR101865273B1 (ko) 캅스 블랙박스를 이용한 총기 관리 시스템과, 캅스 블랙박스 및 그 방법
KR101744525B1 (ko) 총기류 안전관리를 위한 총기 위치추적 및 상태정보 제공시스템
US20230366649A1 (en) Combat training system
US20180213179A1 (en) Gun fire loc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210400172U (zh) 一种枪械监测设备及智能管理系统
KR102034168B1 (ko) 무기 체계 및 워리어 플랫폼 관리 장치 및 방법
WO2007043040A2 (en) A deployable remote sensing system
KR102183748B1 (ko) 위치 추적이 가능한 총기 관리 모듈
CN213735555U (zh) 一种微型仿生鸟无人侦察打击机器人
KR101977876B1 (ko) Gps 정보를 제공하는 총기용 블랙 박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