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708B1 -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 Google Patents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708B1
KR102183708B1 KR1020190060296A KR20190060296A KR102183708B1 KR 102183708 B1 KR102183708 B1 KR 102183708B1 KR 1020190060296 A KR1020190060296 A KR 1020190060296A KR 20190060296 A KR20190060296 A KR 20190060296A KR 102183708 B1 KR102183708 B1 KR 102183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it
plunger
outlet
contai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준한
Original Assignee
박준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한 filed Critical 박준한
Priority to KR1020190060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7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5/00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 C12M45/05Means for pre-treatment of biological substances by centrifu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93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using separation based on different densities of components, e.g. centrifug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2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located outside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5/00Means for application of stress for stimula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or the generation of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Means for electroporation or cell fusion
    • C12M35/04Mechanical means, e.g. sonic waves, stretching forces, pressure or shear stimul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7/00Means for after-treatment of the produced biomass or of the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e.g. storage of biomass
    • C12M47/04Cell isolation or sor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ell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ard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소스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일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한 제1 유출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 타측을 밀폐 가능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플런저부; 및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제1 캡 및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유출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한 덮개부 및 상기 제1 유출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된 제2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2 유출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며, 상기 제2 유출부의 내경은,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용기부의 타측을 밀폐한 경우 상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소스물질을 가압하며 상기 제2 유출부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크기로 형성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Kit For Extracting Stem Cells And Centrifugal Sepa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는 자가증식과 분화가 가능한 세포를 의미하며, 배아 줄기세포와 성체 줄기세포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성체 줄기세포는 우리 몸의 지방조직과 골수 조직 등에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병원에서 쉽게 사용 가능한 세포는 지방조직을 채취한 후, 이를 효소 처리한 후 얻어지는 간질혈관분획세포, 간질혈관분획세포를 한번 더 정제한 후 얻을 수 있는 지방유래줄기세포, 골수에서 골수액을 추출한 후 배양과정을 거쳐서 얻을 수 있는 골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치료법이 개발되면서 줄기세포에 대한 관심이 증가 되고 있다. 이에, 현재 줄기세포의 추출을 용이하게 하는 장비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현재의 줄기세포 추출용 장비들은 줄기세포를 용이하게 추출하는 데에 그칠 뿐, 추출된 줄기세포를 쉽고 빠르게 이용하기 위한 수단 등에 대해서는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2440호(2015.11.02)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심분리를 통해 소스물질에서부터 줄기세포를 용이하게 추출 가능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스물질의 수용 체적을 극대화 하여 한번의 원심분리 작동으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심분리된 소스물질에서 줄기세포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원심분리를 통한 줄기세포 추출과 동시에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곧바로 이용할 수 있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소스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일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한 제1 유출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 타측을 밀폐 가능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플런저부; 및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제1 캡 및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유출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한 덮개부 및 상기 제1 유출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된 제2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2 유출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며, 상기 제2 유출부의 내경은,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용기부의 타측을 밀폐한 경우 상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소스물질을 가압하며 상기 제2 유출부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크기로 형성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용기부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출부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소스물질 중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외를 연통하는 상부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상부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다.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제1 플런저 및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 평판형의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는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는 상기 용기부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클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결합 간 상기 제1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복수 개;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각각을 수용 가능한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가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 각각은 상기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에 수용된 소스물질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 각각은 상기 소스물질로 LED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된 회전 축; 및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축의 상단에서 상기 회전 축과 직교하도록 위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 각각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에서 하방 연장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위치된 제1 벽체부; 상기 제1 벽체부로부터 상기 회전 축에 대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가 위치된 한 쌍의 제2 벽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벽체부의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하는 제3 벽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는 상기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벽체부는 상기 회전 축 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제1 벽체부에서 상기 회전 축에 평행한 방향 높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벽체부에서 상기 회전 축에 평행한 방향 높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원심분리를 통해 소스물질에서부터 줄기세포를 용이하게 추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소스물질의 수용 체적을 극대화 하여 한번의 원심분리 작동으로 다량의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원심분리된 소스물질에서 줄기세포 부분만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원심분리를 통한 줄기세포 추출과 동시에 줄기세포를 활성화시켜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는 내부에 소스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길이 방향(d1) 일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한 제1 유출부(111)가 형성된 용기부(110), 용기부(110) 내측에 위치되어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 타측을 밀폐 가능한 피스톤부(120), 피스톤부(120)와 연결되어 피스톤부(120)를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진퇴시킬 수 있는 플런저부(130) 및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 일측에 위치되어 제1 유출부(111)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한 캡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소스물질이란 사용자의 혈액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캡부(140)는 제1 캡(141) 및 제2 캡(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캡(141)은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1 유출부(111)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한 덮개부(1411) 및 제1 유출부(111)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된 제2 유출부(14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캡(142)은 제2 유출부(1412)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하여 제2 유출부(1412)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다. 즉, 용기부(110)에 수용된 소스물질은 제1 유출부(111) 또는 제2 유출부(14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2 유출부(1412)의 내경은 피스톤부(120)가 용기부(110)의 타측을 밀폐한 경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피스톤부(120)가 소스물질을 가압하며 제2 유출부(1412)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용기부(110)의 내부 압력 증가로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유출부(1412)의 내경은 피스톤부(120)에 의해 용기부(110) 타측이 밀폐된 경우 소스물질이 제2 유출부(1412)를 통해 유출되기 시작하는 직경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고, 피스톤부(120)의 이동으로 용기부(110) 내부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소스물질이 제2 유출부(14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시작하는 직경 크기보다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부(140)는 제1 캡(141) 및 용기부(110)의 일측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재(143) 및 제1 캡(141) 및 제2 캡(142)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재(144)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캡(141)은 제1 유출부(111) 상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제2 캡(142)은 제2 유출부(1412) 상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 캡(141) 및 제2 캡(142)은 실리콘 등의 소정 탄성을 구비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단순 가압 또는 물리력을 작용함으로써 수동으로 손쉽게 제1 캡(141)을 제1 유출부(111)에서 분리하여 제1 유출부(111)를 개방시킬 수 있고, 제2 캡(142)을 제2 유출부(1412)로부터 분리하여 제2 유출부(14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 캡(141)은 제1 연결부재(143)를 통해 용기부(110)와 연결되고 제2 캡(142)은 제2 연결부재(144)를 통해 제1 캡(141)과 연결되는 바, 사용자는 제1 캡(141) 및 제2 캡(142)을 잃어버릴 염려 없이 제1 유출부(111) 또는 제2 유출부(14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덮개부(1411)는 제1 유출부(111)의 외주면 및 소스물질이 유동되는 유로의 일부(제2 유출부(1412)의 내측 단면적에 대응되는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 유출부(1412)는 덮개부(1411) 상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소스물질이 원심분리되는 경우, 분리된 소스물질은 용기부(110)의 최하측에 위치된 제1 분리층(b1)(주로 적혈구 등을 포함하는 혈구로 구성됨). 최상측에 위치된 제3 분리층(b3)(주로 혈장으로 구성됨) 및 제1 분리층(b1)과 제3 분리층(b3) 사이에 위치된 제2 분리층(b2)(주로 추출된 줄기세포로 구성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호 직경 크기가 다른 제1 유출부(111) 및 제2 유출부(1412) 중 어느 하나의 개방을 선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2 유출부(1412)만을 개방한 채 플런저부(130)를 조작하여 피스톤부(120)를 하강시킬 수 있고, 원심분리 후 용기부(110)의 최하측에 위치된 제1 분리층(b1)은 제2 유출부(14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제1 분리층(b1)의 배출이 완료된 경우 사용자는 제1 유출부(111)를 개방할 수 있고, 용기부(110)에 잔존하는 제2 분리층(b2)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제2 분리층(b2) 배출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제1 유출부(111) 및 제2 유출부(1412)를 선택 개방할 수 있고, 원심 분리된 소스물질에서 혈구 또는 혈장의 혼합 또는 유입 없이 줄기세포만을 별도 배출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추출된 줄기세포의 단위체적중량(weight of unit volume)이 증가될 수 있고, 줄기세포 이용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용기부(110)는 길이 방향(d1)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 방향(d2) 크기가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구체적으로, 용기부(110)는 길이 방향(d1)에 직교하는 단면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폭이 좁아지는 방향 말단이 하나의 점으로 수렴하는 것이 아닌 소정 폭의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엣지면(112)을 포함하는 부채꼴 형상일 수 있다. 즉, 엣지면(112)은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좌우 대칭을 형성하는 중심 축에 직교하는 직선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복수 개를 원통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에 배치하는 경우, 용기부(110)에 수용되는 소스물질의 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의 1회 작동 간 줄기세포의 추출량 역시 극대화될 수 있다. 한편,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에 직교하는 단면적은 길이 방향(d1)을 따라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는 제1 유출부(111) 내측에 위치되고 소스물질 중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원심분리된 소스물질 중 일부(특히, 제2 분리층(b2))가 제1 유출부(111) 또는 제2 유출부(141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조직들이 여과될 수 있다.
이 때, 필터부(150)에 의해 여과되는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물질은 줄기세포의 직경 크기보다 큰 크기로 형성된 세포, 파손된 세포 조각 등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필터부(150)는 분리막(membrane) 또는 여과제(media filt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피스톤부(120)는 용기부(110)의 내외를 연통하는 상부 유로(12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부(120)의 중앙부에는 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형성된 제1 유로(121a)가 형성될 수 있고, 피스톤부(120)의 타측(용기부(110) 외측)에는 외부와 제1 유로(121a)를 연통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유로(121b)가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피스톤부(120)의 타측 적어도 일부에는 내측으로 함입된 형성된 플런저 삽입 홈(122)이 형성될 수 있고, 플런저부(130)의 일부는 플런저 삽입 홈(122)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플런저부(130)의 일부 외주면 및 플런저 삽입 홈(122)은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고, 플런저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피스톤부(120)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승하강 될 수 있다. 이 때, 제1 유로(121a) 및 제2 유로(121b)는 플런저 삽입 홈(122)을 통해 상호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부(130)가 피스톤부(120)에 대해 외측으로 승강되는 경우, 제1 유로(121a) 및 제2 유로(121b)는 연통될 수 있고, 용기부(110) 내의 소스물질 일부는 상부 유로(1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반면, 플런저부(130)가 피스톤부(120)에 대해 내측으로 하강되는 경우, 플런저 삽입 홈(122)은 밀폐되고 상부 유로(121)(특히, 제1 유로(121a)) 역시 밀폐되어 피스톤부(120)는 용기부(110)의 타측을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런저부(130)가 하강되어 용기부(110) 타측이 밀폐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플런저부(130) 가압을 통해 제1 분리층(b1)을 배출할 수 있고, 제1 분리층(b1) 배출 후 다시 플런저부(130)를 승강시켜 용기부(110) 타측 상부 유로(121)를 개방한 상태에서 플런저부(130) 가압을 통해 제3 분리층(b3)을 용기부(110)의 타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즉, 용기부(110) 내에는 추출 대상인 줄기세포가 주로 포함된 제2 분리층(b2)만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제1 유출부(111) 등을 통해 제2 분리층(b2) 물질을 용이하게 수득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플런저부(130)는 피스톤부(120)의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부 유로(121)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제1 플런저(131) 및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 평판형의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플런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플런저(131) 및 제2 플런저(132)는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호 나사결합 됨으로써 제2 플런저(132)가 회전됨에 따라 제1 플런저(131) 및 제2 플런저(132)는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의 원심분리 시 제2 플런저(132)를 제1 플런저(13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용기부(110) 상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1 플런저(131)의 외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술한 플런저 삽입 홈(122)과 나사결합 될 수 있다. 즉, 제1 플런저(131)가 회전됨에 따라 제1 플런저(131)는 피스톤부(120)의 내측으로 하강되거나 외측으로 승강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제1 플런저(131)와 제2 플런저(132) 간의 나사선 방향 및 제1 플런저(131)와 플런저 삽입 홈(122) 간의 나사선 방향은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플런저(1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플런저(131)와 결합되는 반면, 제1 플런저(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플런저(131)는 피스톤부(120)에서 승강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런저(13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플런저(131)와 분리되는 반면, 제1 플런저(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1 플런저(131)는 피스톤부(120)에서 하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는 용기부(110)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클립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160)는 제1 플런저(131)와 제2 플런저(132)의 결합 간 제1 플런저(131)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클립부(160)는 용기부(110)의 엣지면(112) 상단이 삽입 가능한 끼움 홈(1611)이 형성된 클립 몸체(161) 및 클립 몸체(161)의 용기부(110) 내측 말단에서 연장 형성된 삽입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재(162)는 클립 몸체(161) 중 용기부(110) 내측에 위치된 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용기부(110)의 중심 측으로 엣지면(11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162)의 용기부(110) 중심 측 말단은 일부가 하방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부재(162)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플런저(131)의 상면에는 상술한 삽입부재(162)의 절곡된 말단이 삽입될 수 있는 클립 홈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클립 홈은 엣지면(112)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고, 상측(용기부(110)의 길이 방향(d1) 일측)에서 보았을 때 소정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부재(162)의 일부가 클립 홈에 삽입되는 경우, 제1 플런저(131)의 승강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플런저 삽입 홈(122)에 대한 회전 역시 제한될 수 있다. 즉, 제2 플런저(132)와 제1 플런저(131)의 결합 간 클립부(160)가 용기부(110)에 결합되어 삽입부재(162)가 클립 홈에 삽입되는 경우 제1 플런저(131)는 회전 및 승하강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의 원심분리 완료 후 제1 분리층(b1) 및 제3 분리층(b3) 배출 작업을 위한 제2 플런저(132)와 제1 플런저(131)의 결합 과정에서 사용자는 클립부(160)를 용기부(110)에 장착시킴으로써 제1 플런저(131)의 승강을 제한할 수 있고, 제1 플런저(131)와 제2 플런저(132)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의 종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복수 개, 회전 구동부(210) 및 회전 플레이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플레이트(220)는 회전 구동부(2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이 복수 개의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각각을 수용 가능한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223) 각각은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에 수용된 소스물질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초음파 발생부(22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223) 각각은 소스물질로 LED광을 조사하는 발광부(2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초음파 발생부(2231) 및 발광부(223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내에 원심분리 된 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줄기세포의 활성화란, 미분화 세포 상태에서 사람을 포함하는 동물의 특정 세포(예를 들어, 특정 조직 또는 기관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부(2231) 및 발광부(22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의 작동 간 지속적으로 초음파 및 LED광을 발산할 수 있고, 소스물질의 원심분리와 동시에 줄기세포는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줄기세포가 함유된 혼합액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발광부(2232) 및 초음파 발생부(2231)를 통해 이중으로 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그 활성화 상태를 유지시키는 바, 원심분리 완료 후 사용자는 줄기세포를 곧바로 이용 가능하여 줄기세포의 생존률 및 이를 이용한 치료 효과가 크게 증대될 수 있다.
한편, 회전 플레이트(220)는 회전 구동부(210)와 연결된 회전 축(221) 및 회전 축(221)의 상단에서 회전 축(221)과 직교하도록 위치된 지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2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223)는 지지부(222)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223) 각각은 지지부(222)의 외주연에서 하방 연장 형성된 제1 벽체부(223a), 제1 벽체부(223a)로부터 상기 회전 축(221)에 대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 및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의 길이 방향(d1) 말단을 연결하는 제3 벽체부(223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회전 축(221)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제3 벽체부(223c)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는 회전 축(221) 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벽체부(223a)는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의 대칭 축에 직교하는 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키트 수용부(223)는 상술한 용기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223)는 회전 축(221)에 대해 방사상으로 위치됨으로써 단일의 원심분리기(20) 내에서 가장 큰 체적 비율로 소스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벽체부(223a) 상에는 초음파 발생부(2231)가 위치될 수 있고, 제2 벽체부(223b) 상에는 발광부(2232)가 위치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2231)가 제1 벽체부(223a) 상에 배치됨에 따라 발산된 초음파는 폭이 넓어지는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넓은 범위에서 줄기세포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초음파 발생부(2231)는 제1 벽체부(223a)에서 회전 축(221)에 평행한 방향 높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발광부(2232)는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 각각에서 회전 축(221)에 평행한 방향 높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원심분리 후 줄기세포는 주로 용기부(110)의 중간 높이인 제2 분리층(b2)에 위치되는 바, 초음파 발생부(2231) 및 발광부(2232)에 의한 줄기세포 활성화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발광부(2232)는 LED광을 발산하는 복수 개의 LED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 개의 LED부재는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 각각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5개씩 정렬되어 회전 축(221) 방향 2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LED부재는 한 쌍의 제2 벽체부(223b) 각각에 10개씩 배치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는 제3 벽체부(223c) 상에 위치되어 발광부(2232)로부터 조사된 LED광을 키트 수용부(223) 내측으로 반사하는 반사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10) 내의 추출된 줄기세포에는 발광부(2232)로부터 직접 조사된 LED광에 더하여 반사부재(230)를 통해 반사된 LED광이 조사될 수 있고, 줄기세포 활성화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20)는 상술한 회전 구동부(210), 회전 플레이트(220)를 수용하는 하우징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2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110 : 용기부
111 : 제1 유출부
112 : 엣지면
d1 : 용기부의 길이 방향
d2 : 용기부의 폭 방향
120 : 피스톤부
121 : 상부 유로
121a : 제1 유로
121b : 제2 유로
122 : 플런저 삽입 홈
130 : 플런저부
131 : 제1 플런저
1311 : 클립 홈
132 : 제2 플런저
140 : 캡부
141 : 제1 캡
1411 : 덮개부
1412 : 제2 유출부
142 : 제2 캡
143 : 제1 연결부재
144 : 제2 연결부재
150 : 필터부
160 : 클립부
161 : 클립 몸체
1611 : 끼움 홈
162 : 삽입부재
20 : 원심분리기
210 : 회전 구동부
220 : 회전 플레이트
221 : 회전 축
222 : 지지부
223 : 키트 수용부
223a : 제1 벽체부
2231 : 초음파 발생부
223b : 제2 벽체부
2232 : 발광부
223c : 제3 벽체부
230 : 반사부재
240 : 하우징부
b1 : 제1 분리층
b2 : 제2 분리층
b3 : 제3 분리층

Claims (10)

  1. 내부에 소스물질을 수용 가능하고 길이 방향 일측에서 외부와 연통 가능한 제1 유출부가 형성된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 타측을 밀폐 가능한 피스톤부;
    상기 피스톤부와 연결되어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퇴 가능한 플런저부; 및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한 캡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부는 제1 캡 및 제2 캡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캡은 상기 용기부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상기 제1 유출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한 덮개부 및 상기 제1 유출부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내경으로 형성된 제2 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캡은 상기 제2 유출부의 외경과 대응되는 크기의 내경을 구비하여 상기 제2 유출부를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며,
    상기 제2 유출부의 내경은,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용기부의 타측을 밀폐한 경우 상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상기 피스톤부가 상기 소스물질을 가압하며 상기 제2 유출부 측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소스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용기부의 내외를 연통하는 상부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상부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출부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소스물질 중 기 결정된 크기 이상의 물질을 여과시키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부는 상기 피스톤부의 내측으로 진퇴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 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한 제1 플런저 및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 평판형의 가압부가 형성된 제2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런저 및 상기 제2 플런저는 상호 분리 또는 결합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는 상기 용기부의 타단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클립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클립부는 상기 제1 플런저와 상기 제2 플런저의 결합 간 상기 제1 플런저의 이동을 제한하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6. 청구항 1 내지 3 및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복수 개;
    회전 구동부; 및
    상기 회전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고,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각각을 수용 가능한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가 형성된 회전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 각각은 상기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에 수용된 소스물질로 초음파를 발산하는 초음파 발생부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 각각은 상기 소스물질로 LED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된 회전 축; 및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 축의 상단에서 상기 회전 축과 직교하도록 위치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 각각은,
    상기 지지부의 외주연에서 하방 연장 형성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가 위치된 제1 벽체부;
    상기 제1 벽체부로부터 상기 회전 축에 대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발광부가 위치된 한 쌍의 제2 벽체부; 및
    상기 한 쌍의 제2 벽체부의 길이 방향 말단을 연결하는 제3 벽체부;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키트 수용부는 상기 회전 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벽체부는 상기 회전 축 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호 간의 간격이 점차 증대되도록 형성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제1 벽체부에서 상기 회전 축에 평행한 방향 높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한 쌍의 제2 벽체부에서 상기 회전 축에 평행한 방향 높이를 3등분 하였을 때 중간 높이 위치에 배치된,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KR1020190060296A 2019-05-22 2019-05-22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KR102183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96A KR102183708B1 (ko) 2019-05-22 2019-05-22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296A KR102183708B1 (ko) 2019-05-22 2019-05-22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708B1 true KR102183708B1 (ko) 2020-11-26

Family

ID=73679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296A KR102183708B1 (ko) 2019-05-22 2019-05-22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7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583A (ja) * 1987-11-27 1989-06-02 Shimadzu Corp 細胞処理チャンバ
KR20150122440A (ko)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마이스템셀 혈액 단핵세포 원심분리튜브
KR20190008582A (ko) * 2017-07-17 2019-01-25 신현순 시료의 채취 및 성분별 분리가 용이한 원심분리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41583A (ja) * 1987-11-27 1989-06-02 Shimadzu Corp 細胞処理チャンバ
KR20150122440A (ko) 2014-04-23 2015-11-02 주식회사 마이스템셀 혈액 단핵세포 원심분리튜브
KR20190008582A (ko) * 2017-07-17 2019-01-25 신현순 시료의 채취 및 성분별 분리가 용이한 원심분리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8377B2 (en)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unit and regenerative cell extraction system
EP2413989B1 (en) All-in-one means of separating blood components
JP4399453B2 (ja) 液体成分を分離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10987672B2 (en) Dual piston centrifuge tube
CZ280694A3 (en) Method of separating liquid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9463270B2 (en) Ingredient separator
RU2629389C2 (ru) Набор для выделения лейкоцитарной пленки
KR20140093821A (ko) 재생성 세포 추출장치, 재생성 세포 추출 시스템,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방법
KR101930290B1 (ko) 체액 분리 장치
CN106195321B (zh) 一种液体存储和释放组件及液体存储和释放芯片
IL259095B (en) A device for isolating cell segments from human and animal tissues and a method for using it
KR102183708B1 (ko) 줄기세포 추출용 키트 및 이를 포함하는 원심분리기
US10774301B2 (en) Syringe system for fluid separation
CN108290086B (zh) 用于提取富含血小板的生长因子的血液分离机提取装置
KR101316574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US11896984B2 (en) Container for centrifugation
US20200360609A1 (en) Novel syringe system for fluid separation
KR102425128B1 (ko) 원심 분리 장치
JP2009183150A (ja) 生体組織処理装置
KR20120005238A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원심분리기용 시험관
EP4291523A1 (en) Portable centrifuge apparatus & methods
KR20150120149A (ko) 비중구분 및 추출용 주사기
KR20140085284A (ko) 버피코트추출키트
KR101263821B1 (ko) 멀티웨이 밸브 및 이를 이용한 재생성 세포 추출시스템
KR20180113401A (ko) 재생성세포 추출장치용 원심분리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