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433B1 -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433B1
KR102183433B1 KR1020200079285A KR20200079285A KR102183433B1 KR 102183433 B1 KR102183433 B1 KR 102183433B1 KR 1020200079285 A KR1020200079285 A KR 1020200079285A KR 20200079285 A KR20200079285 A KR 20200079285A KR 102183433 B1 KR102183433 B1 KR 102183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thermal image
code
patient
vis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9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79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개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기업, 기관, 연구소 등의 출입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권한 없는 일반인들의 무분별한 출입을 제한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에 ID 카드를 인증하는 인증수단 및 출입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수단을 탑재하고, 이를 통해 출입자 인증 및 의심환자 여부를 동시에 판단하고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전염병 등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SPEED GATE SYSTEM USING THERMAL IMAGING CAMERA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업, 기관, 연구소 등의 출입보안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어 권한 없는 일반인들의 무분별한 출입을 제한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건물내 중요 지역의 불필요한 출입을 제한함으로써 인원통제 및 인명, 재산 및 정보 등을 보호함과 아울러, 권한 있는 출입자들만의 활동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된다.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구성은 기본적으로 입구 및 출구에 설치되어 게이트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단독형, 여러 단위의 출입문을 하나의 관리자 단말을 중심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소규모형 및 건물 단위 별로 원격지에서 각 게이트를 관리하는 대규모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출원 통제 시스템은 지하철 플랫폼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일명 스피드 게이트(speed gate)가 설치되고, 이를 통해 결제가 가능하거나 개인인증이 가능한 카드, 비밀번호 입력, 지문 또는 홍채 등의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출입자의 권한 또는 신원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출입을 제한하게 된다.
한편, 다수의 보행자가 이동하고 여러 사람이 모이거나 일정시간 머물러 있는 공원, 공항 등에서는 과거 사스(SARS), 메르스(MERS) 등 전염병이 발생하면 출입을 통제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기존의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개시하거나 게이트 장치를 설치하고 별도의 열화상 카메라를 준비하여 출입하는 사람들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거나 건강 상태에 따라 출입을 제한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의심환자를 즉시 판별하고 출입을 통제할 수는 있으나,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거나 해열제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체온을 낮춘 환자를 선별할 수는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의심환자를 성공적으로 판별하고 그에 대한 출입 통제에 성공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일시적인 출입만을 제한하였을 뿐 추후 의심환자에 대한 관리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즉, 전염병이 유행하는 시점에서 초기 의심환자에 대한 중앙정부에 의한 관리뿐만 아니라,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운영하는 회사, 기관 등에서도 자체적으로 해당 환자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36311호(공고일자: 2017.05.16.)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권한을 갖는 특정 출입자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서 출입자의 신체 상태에 따라 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업, 기관 등에서 등록된 출입자의 질병 의심환자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하고, 사후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다른 과제가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출입구에 설치되고,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 및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방 요청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지며 의심환자가 아닌 경우 상기 게이트 장치에 게이트 개방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통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장치는, 출입자의 전신 또는 일부 신체를 촬영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출입자의 ID 카드에 기록된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식별정보 또는 생체정보를 판독하여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는 판독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여 게이트 개방을 문의하는 장치 통신부 및 상기 장치 통신부가 게이트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출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요청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하고, 출입자가 통과하면 게이트를 폐쇄하는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제 서버는,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의 외곽선 및 채도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환자 판별부,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거나, 서버 통신부를 통해 인사관리 서버에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문의하는 출입자 식별부 및 상기 출입자 식별부에 의해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상기 환자 판별부에 의해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개폐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토큰으로 분할되고, 토큰별 순서를 갖는 하나의 시퀀스 코드로 재결합되어 상기 감지정보로서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게이트 장치와 약속된 상기 시퀀스 코드의 복원을 위한 복원함수가 정의되고, 상기 하나의 시퀀스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복원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퀀스 코드를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로 복원할 수 있다.
상기 서버 통신부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해당 게이트 장치의 관리자 단말에 더 연결되고, 상기 환자 판별부는,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의 분석결과 의심환자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개폐 요청부에 의심환자 판별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게이트 장치 및 중앙 통제 서버를 포함하는 자 출입 통제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장치가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고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상기 감지정보를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여 게이트 개방을 문의하는 단계, 상기 중앙 통제 서버가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지며 의심환자가 아닌 경우, 상기 중앙 통제 서버가 상기 게이트 장치에 게이트 개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장치가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고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의 ID 카드에 기록된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출입자의 전신 또는 일부 신체를 촬영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통제 서버가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화상 이미지의 외곽선 및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인사관리 서버에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토큰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토큰별 순서를 갖는 하나의 시퀀스 코드로 재결합하여 상기 감지정보로서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장치와 약속된 상기 시퀀스 코드의 복원을 위한 복원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퀀스 코드를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의 분석결과 의심환자인 것으로 판별되면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의심환자 판별결과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에 ID 카드를 인증하는 인증수단 및 출입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수단을 탑재하고, 이를 통해 출입자 인증 및 의심환자 여부를 동시에 판단하고 출입을 통제함으로써 전염병 등의 확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업, 기관 등 다수의 인원관리가 요구되는 장소에서 출입자들의 현재 신체 상태를 출입시부터 관리함으로써 질병 등에 대하여 보다 효율적인 사후 관리가 가능하여 능동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중앙 통제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의심환자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실시예"라는 용어는 예시, 사례 또는 도해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나, 발명의 대상은 그러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및 다른 유사한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경우 임의의 추가적인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적인 전환어(Transition word)로서 "포함하는(Comprising)"이라는 용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포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양한 기법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구현되거나, 적합한 경우에 이들 모두의 조합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부(Unit)", "...단말(Terminal)" 및 "...시스템(System)" 등의 용어는 마찬가지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 즉 하드웨어,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 시의 소프트웨어와 등가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서 실행되는 각 기능은 모듈단위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의 물리적 메모리에 기록되거나, 둘 이상의 메모리 및 기록매체 사이에 분산되어 기록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설명의 편의상,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또는 "시스템"으로 약식 표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출입구에 설치되고,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 및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감지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방 요청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장치(100),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지며 의심환자가 아닌 경우 게이트 장치에 게이트 개방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통제 서버(200), 게이트 장치(100)가 설치된 기업, 기관 등의 사업장에서 운영하며, 출입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인사관리 서버(300) 및 각 장소에 설치된 게이트 장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관리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장치(100)는 기업, 기관 등의 사업장 또는 공원, 공항 등의 다수가 이동하는 장소의 출입구에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출입자의 출입권한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 장치(100)는 공지의 스피드 게이트(speed gate)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일측에 출입자의 ID 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인식수단이 탑재되어 신원조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장치(100)는 일측에 출입자의 전신 또는 얼굴을 중심으로 하는 신체 일부를 촬영하는 촬영수단이 더 탑재되어 있고, 이러한 촬영 수단을 열화상 카메라가 이용되어 사용자의 현재 체온에 대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이에 기반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인증수단 및 촬영수단을 통해 획득된 출입자 코드 및 열화상 이미지는 감지정보로서 원격지의 중앙 통제 서버(200)에 전송되어 권한인증과 의심환자 판별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게이트 장치(100) 및 이에 탑재되는 촬영수단의 외관은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기구물의 외관 및 형태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가변형일 수 있다. 중앙 통제 서버(200)는 각 사업장에 설치된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고,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각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감지정보와, 이에 따른 게이트 개방 문의를 수신할 수 있고, 그 감지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출입자에 대한 게이트 개방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100)의 게이트 개방 또는 폐쇄를 지시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통제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출입자에 대한 출입자 권한이 기록된 데이터 베이스를 운영할 수 있고, 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이 도입된 사업장에서 별도로 운영하는 인사관리 서버(300)에 출입자 코드를 문의하여 해당 출입자의 출입권한 보유여부를 문의하는 방식으로 출입권한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통제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이미지 분석 수단을 탑재하고 있고,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감지정보로부터 출입자를 촬영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이미지 분석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현재 상태에 따른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고, 출입여부 판단시 그 결과를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게이트 장치(100)와 중앙 통제 서버(200)간 통신을 위한 정보통신망으로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게이트 장치(100)가 중앙 통제 서버(200)에 제공하는 출입자 코드 및 이미지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두 장치간 통신에 있어서, 개인정보 유출방지를 위한 보안수단이 더 적용될 수 있고 그 보안수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인사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연동하여 출입자의 신원 확인시 필요에 따라 중앙 통제 서버(200)의 요청에 의한 출입자 코드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사관리 서버(300)는 해당 사업장에 등록된 다수의 출입권한을 갖는 출입자의 출입자 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중앙 통제 서버(200)가 현재 판별중인 출입자의 출입자 코드를 제시하면, 그 출입자 코드의 권한을 판단하고 결과를 중앙 통제 서버(200)에 회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각 게이트 장치(1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관리자 단말(400)과 더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400)은 현장에서 게이트 통과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관리자가 이용하는 단말 장치로서, 중앙 통제 서버(200)가 자체적으로 수행한 출입자의 신체 상태 분석 결과가 의심환자로 판별될 경우, 출입 통제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관리자의 판단을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 통제 서버(200)가 출입자의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400)에 전송하면, 관리자는 그 이미지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출입자의 출입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단말(400)이 의심환자가 아니라는 결과를 중앙 통제 서버(200)에 회신하면, 중앙 통제 서버(200)는 신원이 확인된 출입자에 대하여 최종적으로 게이트 개방을 결정하고, 게이트 개방 신호를 게이트 장치(100)에 회신할 수 있다.
전술한 기능은, 출입자가 정당한 출입권한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중앙 통제 서버(200)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의심환자로 판단하여 분쟁이 발생할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다.
전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장치를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출입자의 출입 시도시 출입자의 신원확인과 동시에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출입자의 현재 신체 상태를 즉시 확인하여 의심환자로 판별되면 출입을 제한함으로써, 해당 사업장에 대하여 전염병 확산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게이트 장치(100)는, 출입자의 전신 또는 일부 신체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열화상 카메라부(110),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부(120), 출입자의 ID 카드에 기록된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130),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는 판독부(140),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여 게이트 개방을 문의하는 장치 통신부(150), 장치 통신부(150)가 게이트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출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인증부(160) 및 인증부(160)의 요청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하고, 출입자가 통과하면 게이트를 폐쇄하는 게이트 구동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부(110)는 게이트 장치(100)에 인접하고, ID카드 등을 통해 인증을 시도하는 출입자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부(110)는 출입자의 신체 전부 또는 얼굴을 중심으로 하는 신체의 일부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0)는 열화상 카메라부(110)에 의해 획득된 출입자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절차를 통해 해당 출입자가 현재 특정 온도 이상으로 의심환자에 속하는지 장치단에서 일차적인 판단을 수행할 수 있고, 의심환자가 아닐 경우 자체적으로 의심환자 여부 판별절차를 종료하고, 의심환자가 아님을 인증부(160)에 보고할 수 있다. 또한, 의심환자로 판별되는 경우 장치 통신부(150)를 통해 중앙 통제 서버에 열화상 이미지를 전송함으로써 판별을 요청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출입자의 출입권한 확인 즉, 신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 지원하는 인증수단으로는 마그네틱 또는 RFID 방식의 ID카드가 이용될 수 있고, 감지부(130)는 리더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인증방법 중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판독부(140)는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정보를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로부터 출입자 코드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자 코드는 ID카드의 경우는 주민등록번호, 사원번호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출입자 코드는 해당 사업장에서 운영하는 데이터 베이스에 기 저장된 데이터와의 매칭시 이용되며,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장치 통신부(15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원격지의 출입 통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 통신부(150)는 유무선 방식으로 정보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고, 감지정보를 연결된 출입 통제 서버에 전송하여 신원을 확인하고 의심환자 여부를 문의할 수 있으며, 신원확인이 완료된 출입자에 대한 게이트 개방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인증부(160)는 해당 출입자가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최종 판단되고, 신원이 확인된 출입자에 대하여 게이트 개방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따라 게이트 구동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70)는 하나 이상의 미닫이 자동문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와 이를 구동하는 엑추에이터 및 전원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인증부(160)의 제어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구동부(170)는 별도로 구비된 센서로부터 하나의 출입자가 인입하면, 즉시 게이트를 폐쇄 구동하고, 이후의 제어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중앙 통제 서버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중앙 통제 서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서버의 구성부들은 공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고, 읽고 쓰기가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되어 서버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중앙 통제 서버(200)는,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210), 열화상 이미지의 외곽선 및 채도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220),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환자 판별부(230), 인사관리 서버(300) 또는 관리자 단말(400)과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240), 데이터 베이스(260)를 참조하여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거나, 서버 통신부(240)를 통해 인사관리 서버(300)에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문의하는 출입자 식별부(250), 사업장에 대한 출입권한을 갖는 출입자의 출입자 코드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60), 출입자 식별부에 의해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환자 판별부(230)에 의해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개폐 요청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수신부(21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각 사업장에 설치되는 게이트 장치(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각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게이트 개방 여부에 대한 문의 및 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 게이트 장치(100)는 출입자 발생시, 그 출입자에 대한 신원인증 문의 및 획득한 열화상 이미지를 제공함과 아울러 게이트 개방 여부를 중앙 통제 서버(200)에 문의할 수 있고, 이에 정보 수신부(210)는 수시로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감지정보를 수집하여 개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220)는 정보 수신부(210)가 수신한 감지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 중, 열화상 이미지를 추출하고 이에 대한 영상 보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열화상 이미지는 각 게이트 장치(100)의 설정에 따라 그 크기, 계조, 해상도 등의 이미지 포맷이 상이할 수 있고, 이에 이미지 보정부(220)에서는 정규화 작업을 통해 일정한 크기로 이미지 사이즈를 조절하고, 노이즈 제거 및 색상 보정 등을 통해 열화상 이미지에 포함되는 색상간 편차를 확장하여 식별이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환자 판별부(230)는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해 출입자의 병변 발생 즉, 의심환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러한 환자 판별 방법으로는, 다수의 정상인에 대한 샘플 열화상 이미지와의 대조,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에 포함된 체온에 대응하는 색상별 비율을 산출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이미지 대조 및 비율 산출을 통해 현재 분석 대상인 열화상 이미지가 정상 상태 대비 임계치값을 넘은 체온으로 판단되는 경우 의심환자로 판별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40)는 정보통신망을 통해 인사관리 서버(300) 및 관리자 단말(400)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서버 통신부(240)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은, 출입자의 신원인증과 관련하여 중앙 통제 서버(200)가 자체적인 출입자 코드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260)를 운영하지 않아, 출입자 코드를 인사관리 서버(300)에 제공하여 해당 출입자 코드의 등록 및 권한 보유여부를 문의하는 경우 또는, 출입자의 의심환자 판별과 관련하여 환자 판별부(230)가 의심환자로 판별했을 경우 판별오차에 따라 의심환자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출원권한을 갖는 출입자가 출입하지 못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열화상 이미지를 해당 게이트 장치(100)의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하는 경우일 수 있다.
출입자 식별부(250)는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로부터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사업장에 등록된 출입자의 출입자 코드는 데이터 베이스(260)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출입자 식별부(250)는 데이터 베이스(260)를 참조하여 그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의 확인을 통해 출입자의 신원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출입자 식별부(250)는 사업장별 상이한 정보관리 정책에 따라, 출입자 코드가 데이터 베이스(260)에 저장되지 않는 경우, 서버 통신부(240)를 통해 해당 사업장에서 운영하는 인사관리 서버(300)에 출입자 코드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등록여부를 문의하고, 그 회신에 따라 출입자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개폐 요청부(270)는 출입자 식별부(250)에 의해 출입자 코드가 확인되어 출입자의 신원 인증이 완료되고, 환자 판별부(230)에 의해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거나, 관리자 단말(400)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게이트 장치(100)에 대하여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 및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 통제 서버(200)는 게이트 장치(100)와의 데이터 통신시 전송되는 민감한 정보인 출입자 코드, 열화상 이미지 등에 대한 보안을 위한 보안 정책이 더 적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전송되는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토큰(to ken)단위로 분할될 수 있고, 토큰별 순서를 갖는 하나의 시퀀스 코드로 재결합되어 감지정보로서 중앙 통제 서버(200)에 전송될 수 있다.
즉, 데이터 통신에 의해 전송되는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는 별도의 복원작업 없이는 무의미한 비트의 나열로 표시될 뿐이며, 그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퀀스 코드의 분할 및 순서에 따른 토큰의 재결합 절차가 요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정보 수신부(210)에는 게이트 장치(100)와의 미리 약속된 시퀀스 코드의 복원을 위한 복원함수가 정의될 수 있고,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하나의 시퀀스 코드를 수신하면, 복원함수를 이용하여 시퀀스 코드를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로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통신부(240)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해당 게이트 장치(100)의 관리자 단말(400)에 더 연결될 수 있고, 전술한 환자 판별부(230)는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의 분석결과 의심환자인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 통신부(240)를 통해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현장의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400)이 수신한 열화상 이미지를 직접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그 확인 내용을 입력함으로써 관리자 단말(400)에 의해 최종 의심환자 확인절차가 수행되도록 하며, 이에 환자 판별부(230)는 개폐 요청부(270)에 의심환자 판별결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의한 출입 통제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 통제 방법에 의하면, 게이트 장치 및 중앙 통제 서버를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방법으로서, 게이트 장치(100)가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고(S100),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한다(S105).
다음으로, 게이트 장치(100)가 감지정보를 중앙 통제 서버(200)에 전송하여 게이트 개방을 문의함과 아울러 신원 인증을 요청한다(S110). 이때, 보안 정책이 적용된 경우, 게이트 장치(100)는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토큰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토큰별 순서를 갖는 하나의 시퀀스 코드로 재결합하여 감지정보로서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중앙 통제 서버(200)는 게이트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감지정보로부터 이에 포함된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추출한다(S115). 이때, 보안 정책이 적용된 경우에는 게이트 장치(100)와 약속된 시퀀스 코드의 복원을 위한 복원함수를 이용하여 시퀀스 코드를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로 복원하는 단계를 더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앙 통제 서버(200)는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하여 출입자의 의심환자 여부를 판별한다(S120). 여기서, S120 단계는 열화상 이미지의 외곽선 및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 세분화될 수 있다.
또한, S120 단계에서 분석결과 의심환자로 판단되는 경우, 중앙 통제 서버(20)는 관리자 단말(400)에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전송하여 관리자 단말(400)상에서 열화상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S140), 관리자가 해당 출입자에 대한 의심환자 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관리자 단말(400)은 최종 판단결과를 중앙 통제 서버(200)에 회신할 수 있다(S145).
이와 더불어, 중앙 통제 서버(200)는 감지정보로부터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고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신원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또는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를 운영하지 않는 경우 인사관리 서버(300)에 출입자 코드를 전송하여 출입자 신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S150).
이에 따라, 인사관리 서버(300)가 신원 인증을 중앙 통제 서버(200)에 회신하면(S155), 중앙 통제 서버(200)는 신원이 인증되고, 의심환자가 아닌 경우 해당 게이트 장치(100)에 게이트 개방 신호를 전송한다(S160).
이어서, 게이트 개방 신호를 수신한 게이트 장치(100)는 게이트를 개방함으로써 출입자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S165).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열화상 이미지의 예시를 통해 본 발명의 의심환자 판별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의심환자 판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게이트 장치에 탑재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해 출입자의 전신 또는 신체 일부를 촬영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열화상 이미지는 신체 부위별 현재 체온에 따라 색상으로 구분될 수 있고, 신체 부위별로 상대적인 온도차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가장 온도가 높은 부위는 적색 가장 온도고 낮은 부위는 청색으로 표시될 수 있고, 온도가 높은 순서로 적색(L1) ~ 청색(L6)으로 구분되어 그 비율에 따라 의심환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적색(L1), 주황색(L2) 및 황색(L3)의 고온 비율이 임계치 이상을 경우, 얼굴부분의 적색(L1)의 비율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등 다양한 기준을 통해 의심환자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은 정확한 열화상 판별 결과를 획득하기 위해, 열화상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열화상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분류하고, 각 프레임별 흑색에 해당하는 영역은 배경임에 따라 제외하고, 각 색상별 계조값을 일정하게 높이고, 두 색상이 접하는 접선에 보조선을 삽입하여 색상간 영역구분이 보다 명확하게 드러나도록 보정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 많은 사항이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이것은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라기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에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한다.
100 : 게이트 장치 110 : 열화상 카메라부
120 : 영상 처리부 130 : 감지부
140 : 판독부 150 : 통신부
160 : 인증부 170 : 게이트 구동부
200 : 중앙 통제 서버 210 : 정보 수신부
220 : 이미지 보정부 230 : 환자 판별부
240 : 통신부 250 : 출입자 식별부
260 : 데이터 베이스 300 : 인사관리 서버
400 : 관리자 단말

Claims (12)

  1. 출입구에 설치되고,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 및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감지정보의 분석결과에 따른 개방 요청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하는 하나 이상의 게이트 장치; 및
    정보통신망을 통해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지며 의심환자가 아닌 경우 상기 게이트 장치에 게이트 개방 신호를 전송하는 중앙 통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통제 서버는,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의 외곽선 및 채도를 보정하는 이미지 보정부;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환자 판별부;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거나, 서버 통신부를 통해 인사관리 서버에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문의하는 출입자 식별부; 및
    상기 출입자 식별부에 의해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상기 환자 판별부에 의해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개폐 요청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통신부는 정보 통신망을 통해 해당 게이트 장치의 관리자 단말에 더 연결되고,
    상기 환자 판별부는,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의 분석결과 의심환자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개폐 요청부에 의심환자 판별결과를 제공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는,
    출입자의 전신 또는 일부 신체를 촬영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열화상 카메라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출입자의 ID 카드에 기록된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는 판독부;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여 게이트 개방을 문의하는 장치 통신부; 및
    상기 장치 통신부가 게이트 개방신호를 수신하면, 현재 출입자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부의 요청에 따라 게이트를 개방하고, 출입자가 통과하면 게이트를 폐쇄하는 게이트 구동부
    를 포함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는,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토큰으로 분할되고, 토큰별 순서를 갖는 하나의 시퀀스 코드로 재결합되어 상기 감지정보로서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신부는,
    상기 게이트 장치와 약속된 상기 시퀀스 코드의 복원을 위한 복원함수가 정의되고, 상기 하나의 시퀀스 코드를 수신하면, 상기 복원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퀀스 코드를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로 복원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6. 삭제
  7. 게이트 장치 및 중앙 통제 서버를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게이트 장치가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고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장치가 상기 감지정보를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여 게이트 개방을 문의하는 단계;
    상기 중앙 통제 서버가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해당 출입자가 출입 권한을 가지며 의심환자가 아닌 경우, 상기 중앙 통제 서버가 상기 게이트 장치에 게이트 개방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통제 서버가 상기 감지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정보로부터 추출되는 인증정보 및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출입 권한 보유 여부 및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열화상 이미지의 외곽선 및 채도를 보정하는 단계;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확인하거나, 통신부를 통해 인사관리 서버에 상기 출입자 코드의 등록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자 코드가 등록된 것으로 확인되고,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게이트 개방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게이트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의 분석결과 의심환자인 것으로 판별되면 보정된 열화상 이미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심환자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의심환자 판별결과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가 출입자에 의한 ID 카드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고 출입자를 촬영하여 감지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출입자의 ID 카드에 기록된 식별정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출입자 코드를 추출하는 단계;
    출입자의 전신 또는 일부 신체를 촬영하여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의심환자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포함하는 감지정보를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방법.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서로 다른 크기의 복수개의 토큰으로 분할하는 단계; 및
    토큰별 순서를 갖는 하나의 시퀀스 코드로 재결합하여 상기 감지정보로서 상기 중앙 통제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장치로부터 게이트 개방 문의와 동시에 상기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게이트 장치와 약속된 상기 시퀀스 코드의 복원을 위한 복원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시퀀스 코드를 열화상 이미지 및 출입자 코드로 복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에 대한 동작 방법.
  12. 삭제
KR1020200079285A 2020-06-29 2020-06-29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KR102183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85A KR102183433B1 (ko) 2020-06-29 2020-06-29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9285A KR102183433B1 (ko) 2020-06-29 2020-06-29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433B1 true KR102183433B1 (ko) 2020-11-26

Family

ID=73679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9285A KR102183433B1 (ko) 2020-06-29 2020-06-29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4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54B1 (ko) * 2020-11-30 2021-08-18 김대규 사용자 체온 감지 및 식별을 위한 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KR20220128821A (ko) * 2021-03-15 2022-09-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 연동 출입 정보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확인 방법
KR20230037429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신일테크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936A (ko) * 2015-11-02 2017-05-11 홍미선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KR101736311B1 (ko) 2015-12-01 2017-05-16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0936A (ko) * 2015-11-02 2017-05-11 홍미선 흑체를 이용한 듀얼 카메라 기반 체온 감시 시스템
KR101736311B1 (ko) 2015-12-01 2017-05-16 (주)그린아이티코리아 전원 제어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출입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108735A (ko) * 2016-03-17 2017-09-27 (주)솔루션즈온넷 출입통제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854B1 (ko) * 2020-11-30 2021-08-18 김대규 사용자 체온 감지 및 식별을 위한 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WO2022114594A1 (ko) * 2020-11-30 2022-06-02 (주)테라비즈 사용자 체온 감지 및 식별을 위한 카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관리 시스템
KR20220128821A (ko) * 2021-03-15 2022-09-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 연동 출입 정보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확인 방법
KR102575785B1 (ko) * 2021-03-15 2023-09-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 연동 출입 정보 확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정보 확인 방법
KR20230037429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신일테크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KR102548238B1 (ko) 2021-09-09 2023-06-27 주식회사 신일테크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433B1 (ko)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US10438053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8499164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utilizing unique biometric signatur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1295567B1 (en) Information-based, biometric, asynchronous access control system
KR101439348B1 (ko) 얼굴인식을 이용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 시스템
US7907753B2 (en) Access control system with symbol recognition
CN105701885A (zh) 一种人脸识别门禁系统及其实现方法
US20150172287A1 (en) Biometric security and authentication for a mobile device
JP2009543176A (ja) トレースレス生体認証識別システム及び方法
US11716330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KR101960799B1 (ko) 사물인터넷 기능이 구비된 생체인증 출입통제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5261105A (zh) 安全门禁方法
EP2148295A1 (en) Vein pattern management system, vein pattern registration device, vein pattern authentication device, vein pattern registration method, vein pattern authentication method, program, and vein data structure
US20100074476A1 (en) Image taking device, image taking method, and image taking program
JP2018124622A (ja) 入場受付端末、入場受付方法、入場受付プログラム、および入場受付システム
KR20170026534A (ko) 접근 승인을 위한 보안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보안 제어 방법
KR20170098778A (ko) 방문자 사전예약 시스템
US20050127172A1 (en) Access system
JP2005146709A (ja) 入退室管理装置
US202003273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al verification
KR20020032048A (ko) 얼굴 인식 보안방법
JP746877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2023011726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medium
US11997087B2 (en) Mobile enrollment using a known biometric
KR102601100B1 (ko) 사용자 인증 장치 및 사용자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