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8238B1 -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 Google Patents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8238B1
KR102548238B1 KR1020220064626A KR20220064626A KR102548238B1 KR 102548238 B1 KR102548238 B1 KR 102548238B1 KR 1020220064626 A KR1020220064626 A KR 1020220064626A KR 20220064626 A KR20220064626 A KR 20220064626A KR 102548238 B1 KR102548238 B1 KR 102548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camera
temperature
camer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37429A (ko
Inventor
송민호
김현덕
양성례
송혜선
유명종
박상석
최형욱
김보형
김상규
이창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일테크
Publication of KR20230037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37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8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8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5Interfacing a pyrometer to an external device or network; User inte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4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8Optical arrangements
    • G01J5/0893Arrangements to attach devices to a pyrometer, i.e. attaching an optical interface; Spatial relative arrangement of optical elements, e.g. folded beam pa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로서, 물체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며 처리하고, 분석 및 처리된 영상을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Polygon Area Measurement Industrial Thermal Imaging Camera with Context Recognition}
본 발명은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기존 열화상 카메라들의 경우 온도 데이터만 출력하는 데에 주력하여 대부분 카메라가 감시를 위한 부가적인 연산을 카메라 외부의 PC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감시를 하고자 하는 대상의 형태나 배치가 다양하고 복잡 해져, 복잡한 형태의 대상을 감시하는 기능을 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다.
한편, 열화상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발생되는 고유한 복사에너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파장을 수집하여 출력되는 전기 적신호를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감시용, 산업용, 연구용, 의료용, 군사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열화상카메라는 피사체에 대한 이차원 온도분포가 표현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화재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시, 화재예측, 화재경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획득된 열화상데이터, 일반촬영데이터 또는 최종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해야만하고, 커넥터에 통신케이블을 연결시켜 외부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 제품, 기기들의 유동이 많은 설비현장의 특성상, 외부 충격, 진동 및 흔 들림 등에 의해 통신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접속해제 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4486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획득뿐만 아니라 정확한 온도 측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와 데이터를 조합한 상황인식이 가능한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를 제공한다.
또한, 카메라부와 영상처리서버를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수납부를 제공함으로써 오랜 시간 운영되는 공장, 비어 있는 사무실, 스마트 팜 시스템, 스마트 팜이 적용된 하우스 등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실시간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는, 물체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며 처리하고, 분석 및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또는 촬영되고 있는 장소(또는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주위의 배경화면을 삭제하거나 촬영중인 장소 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장소(또는 위치)를 강조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검출된 피사체의 온도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배경이 삭제된 영상을 조합하거나 상기 온도측정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의 온도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해당 위치를 선명하게 출력한 영상을 조합하는 영상조합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배율, 시야각도 및 해상도를 제어하는 카메라설정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분석 및 처리된 영상을 저장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색 정보에 따른 온도, 상기 카메라부의 설정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서버;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피사체의 온도를 검출한 영상,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주위의 배경화면을 삭제한 영상 및 조합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부는, 일측면에 관리서버가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 수납부의 하우징에 수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체형 수납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카메라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상송출 단자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송출되는 영상을 보조하여 연결하되 별도의 케이블선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메라부는, 슬라이딩하여 수납 가능한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 수납부에 슬라이딩하여 수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가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슬라이딩부는, 중심축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결합홈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결합턱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 판상부; 상기 제1 판상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 판상부; 상기 결합턱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가 상기 중심축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 상기 제2 판상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축; 및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고정나사로 고정되고, 상기 중심축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축하단의 상부와 상기 이탈방지부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나사는, 상면에 결합홈이 형성된 나사헤드, 및 외주에 제1 나사산형성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나사헤드 하부에 수직 결합되고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체결부가 구비된 나사본체; 중앙에는 관통 홈이 형성되고 만곡 형성부는 볼록 형상으로 외부를 향해 만곡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홈에 적층되고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적층 링; 상기 적층 링의 각 관통 홈과 상기 나사본체의 관통홀에 내삽된 상태로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된 하부에는 제2나사산형성부가 형성된 연장기둥, 및 상기 연장기둥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적층 링을 감싸면서 상기 나사헤드 상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결합홈에 내삽되는 돌출부가 구비된 완충부재; 및 상기 연장기둥의 상기 제2나사산형성부에 체결되어 상기 완충부재를 상기 나사본체에 고정시키는 본체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층 링은, 상기 만곡 형성부의 볼록한 부분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적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적층 링은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일체형 수납부는, 상단 일측면에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회전개폐부; 및 상기 회전개폐부에 의해 전면이 노출되는 스크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개폐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되, 양끝단이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위치하며, 내측면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돌기에 의해 끼움 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링은, 외주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고무볼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개폐부는, 비어 있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회전부재가 삽입하여 상기 고정링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고무볼에 의하여 끼움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링의 상기 고무볼에 의하여 끼움 고정된 후, 상기 스크린부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회전개폐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무볼에 억지 끼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비어 있는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비어 있는 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는 영상 획득뿐만 아니라 정확한 온도 측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와 데이터를 조합한 상황인식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와 관리서버를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수납부를 제공함으로써 오랜 시간 운영되는 공장, 비어 있는 사무실, 스마트 팜 시스템, 스마트 팜이 적용된 하우스 등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설치 및 적용되어 실시간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일체형 수납부에 수납하여 이용하는 경우 슬라이딩 방법으로 수납하되 탄성력 및 지지력을 구비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여 일체형 수납부로부터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위치한 카메라부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스크린부를 통해 사용자가 일체형 수납부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체결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부재를 통해 회전개폐부에 삽입 고정된 후 회전개폐부의 회전 구동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에는 양단에 완충부가 구비되어 있어 회전개폐부의 비어 있는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있을 때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으로부터 회전개폐부가 강제적으로 회전되어 전면이 개방되어 있던 스크린부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종래의 열화상 카메라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산악 지역이나, 건물, 공장, 고속도로, 문화재 등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하여 CCTV 카메 라 또는 화재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의 감시 및 초동 진화를 수행하고 있다. 즉, 화재 감지(또는 "감시")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CCTV 카메라 또는 화재 감지 센서를 통하여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발화지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화재 경보를 발하는 방식으로 화재에 대한 초기 대응을 수행한다.
특히, 산악 지역이나, 공공장소와 같이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는 화재 감지 센서를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카메라를 통한 영상 기반으로 해당 지역 및 장소를 감시하는 영상기반의 감시 시스템이 상용화되어 적용되고 있다.
전술한 영상기반의 감시 시스템은 촬영되는 영상에서 변화를 인식하여 화재를 판단하는 것으로, 정확성 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이 도 1에 개시된 종래의 발명 '등록특허 제10-1906900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으로서 사화재의 징후가 나타나는 감시대상영역을 선정한 후에 해당영역에 대한 명도, 온도 및 동적움직임을 관찰하여 화재를 판단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 시스템의 특징은 감시대상영역을 촬영하여 열화상영상을 획득하는 열화상촬영수단(100)과, 열화상촬영수단 (100)에서 촬영되는 열화상영상을 근거로 화재를 검출하는 화재검출수단(200)을 포함하며, 화재검출수단(200)은 열화상촬영수단(100)의 열화상영상에서 화재후보영역을 검출하는 화재후보영역검출부(210)와, 화재후보영역에서 화재의 온도를 분석하는 화재온도분석부(220)와, 화재후보영역에서 화재의 동적특성을 분석하는 동적특성분석부(230)와, 화재온도분석부(220)에서 분석되는 화재온도 및 동적특성분석부(230)에서 분석되는 화재의 동적특성을 근거로 화재를 판단하는 화재판단부(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가시광선이 낮은 상황에서도 물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어두운 환경, 안개 낀 환경 등에서, 혹은 온도를 검출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적외선 센서들을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가지며, 적외선 센서들을 통해 얻어지는 전기적 신호들로부터 열화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러한 적외선 감지기의 게인값은 열화상 카메라 및/또는 적외선 감지기의 온도와 같은 다양한 환경들의 변화에 의해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게인값의 변화는 적외선 감지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들의 변화를 야기한다.
적외선 신호들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열화상 이미지는 적외선 신호들의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을 개선한 발명이 도 4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20-0051992'이다.
도 4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20-0051992는 향상된 신뢰성으로 열화상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 예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는, 서로 다른 방사율들을 갖되 광로 상 혹은 광로 밖에 위치하도록 구 성되는 제 1 및 제 2 셔터들, 광로를 통해 수신되는 광을 감지하는 감지기, 그리고 감지기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신호들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광로 상에 위치하는 제 1 셔터를 감지기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제 1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광로 상에 위치하는 제 2 셔터를 감지기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제 2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 1 및 제 2 이미지 신호들의 레벨들 사이의 차이에 기반 하여 감지기의 게인값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4가 도시하고 있는 종래의 발명은 서로 다른 방사율들을 갖되, 광로(optical path) 상 혹은 상기 광로 밖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셔터들; 상기 광로를 통해 수신되는 광을 감지하는 감지기; 및 상기 감지기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신호들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광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셔터를 상기 감지기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제 1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광로 상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셔터를 상기 감지기를 통해 촬영함으로써 제 2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이미지 신호들의 레벨들 사이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감지기의 게인값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센서; 및 복수의 온도들에서의 상기 제 1 셔터와 연관된 제 1 기준값들 및 상기 제 2 셔터와 연관된 제 2 기준값들을 저 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기준값들 중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제 3 기준값, 그리고 상기 제 2 기준값들 중 상기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제 4 기준값을 참조하여 상기 게인값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미지 신호들의 상기 레벨들 사이의 차이가 상기 제 3 및 제 4 기준값들 사이의 차이보다 클 때 상기 게인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이미지 신호들의 상기 레벨들 사이의 차이가 상기 제 3 및 제 4 기준값들 사이의 차이보다 작을 때 상기 게인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셔터들을 상기 광로 상 혹은 상기 광로 밖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열화상카메라는 피사체에서 발생되는 고유한 복사에너지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 파장을 수집하여 출력되는 전기 적신호를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영상으로 변환하는 장치이며, 감시용, 산업용, 연구용, 의료용, 군사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열화상카메라는 피사체에 대한 이차원 온도분포가 표현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화재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에 따라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시, 화재예측, 화재경보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획득된 열화상데이터, 일반촬영데이터 또는 최종데이터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커넥터를 구비해야만하고, 커넥터에 통신케이블을 연결시켜 외부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나, 이러한 방식은 작업자, 제품, 기기들의 유동이 많은 설비현장의 특성상, 외부 충격, 진동 및 흔 들림 등에 의해 통신케이블이 커넥터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접속해제 되는 현상이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는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시된 발명이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발명 '등록특허 제10-2244861호 '이다.
도 2가 개시하는 종래 발명의 해결과제는 소형 및 정밀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열화상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하우징의 후면에 커넥터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는 가압 고정부가 하우징의 커넥터들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가압고정부의 플러그몸체 접속구들이 특정 형상의 공구를 통해서만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종래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가압고정부의 가압바가 플러그몸체 삽입구로 삽입된 통신케이블(C)의 플러 그몸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플러그 및 커넥터의 접속이 외부 진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해 해 제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발명은 소형 및 정밀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성 및 이동성을 높임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하고, 하우징의 후면에 커넥터들이 형성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후방에 설치되는 가압고정부가 하우징의 커넥터들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며, 가압고정부의 플러그몸체 접속구들이 특정 형상의 공구를 통해서만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 이물질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가압고정부의 가압바가 플러그몸체 삽입구로 삽입된 통신케이블(C)의 플러그몸체를 가압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통신케이블의 플러그 및 커넥터의 접속이 외부 진동 및 흔들림 등에 의해 해제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발명은, 함체로 형성되며, 하면에 외부 통신케이블의 플러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터들이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LED모듈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어버튼들;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되는 열화상렌즈; 가압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가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는 내측으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의 바닥면 에는 상기 커넥터들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고정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압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사각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 상기 가압조립체가 설치되는 설치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조립 시, 전면이 상기 하우징의 안착홈으로 삽입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의 상하단부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조립 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대접판들을 포함 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설치홈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잠금부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 삽입공의 양측부의 바닥면에는 내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까지 연장되는 플러그몸체 삽입구들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몸체 삽입구들 각각의 상하부의 바닥면에는 삽입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플러그몸체 삽입구들은 상기 가압조립체들의 조작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고, 상기 가압조립체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설치홈을 밀폐시키며,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설치홈의 바닥면을 향하는 일면에, 상기 고정 플레이트의 설치홈의 바닥면의 잠금부 삽입공, 플러그몸체 삽입구들 및 삽입홈들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되는 잠금부 삽입공, 플러그몸체 삽입구들 및 삽입홈들이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부들이 대향되게 형성되는 잠금부 몸체와, 원판 형 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키홈이 형성되는 제1 삽입부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잠금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조립 시, 상기 제1 삽입부가 상기 바닥면 의 잠금부 삽입공으로 삽입되되, 상기 제2 삽입부가 상기 덮개의 잠금부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바닥면 및 상기 덮개 사이의 공간을 설치공간이라고 할 때, 설치공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공간 내 폭 방향으로 대향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대향되는 위치의 대향되는 측면들 각각에 가이드 돌부들이 돌출 형성되고, 조립 시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바닥면의 삽입홈 및 상기 덮개의 삽입홈으로 각각 삽입되며, 길이 방향의 중간지점의 서로를 향하는 측면에 곡면 형 상의 걸림돌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상기 바닥면의 삽입홈들 및 상기 덮개의 삽입홈들에 삽입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동바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상기 가동바들의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설치된 동일한 길이의 상기 가이드 돌부들이 설치되지 않은 측면들에 각각 일단부가 결합되고, 외측에 배치될 때, 타단부가 상기 바닥면의 설치홈의 내측벽에 결합되는 스프링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들 중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들의 타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이 상기 가동바들의 걸림돌부 삽입홈으로 이탈된 상태일 때, 상기 스프링들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폭 방향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닥면의 해당 플러그몸체 삽입구로 삽입된 플러그의 몸체를 대향되는 방향에서 가압시키되, 상기 잠금부의 상기 걸림돌부들이 상기 가동바들의 걸림돌부 삽입으로 삽입될 때, 폭 방향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바닥면의 해당 플러그몸체 삽입구를 개방시키는 가압바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등록특허 10-2244861'는 상기 잠금부의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설치홈의 바닥면의 잠금부 삽입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키 홈이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후면의 잠금부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 특히 온실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발명들도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32151호의 유비쿼터스 기반 온실 관리방법에 의하면, 최근 온실시설 재배 농가에서는 자동화된 온실 시설을 갖추고 있는데 개별적인 자동화이거나 반자동 방식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온실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에서는 자동화 시설 자체를 갖추지 못하고 온실 생작물을 원시적으 로 재배하고 있는 농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32151호의 유비쿼터스 기반 온실 관리방법에 의하면, 유비쿼터스 기반 온실 관리방법에 있어서, 온실에 설치되어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를 구성하는 센서부로부터 온실환경 및 생작물 생장상태에 대한 계측정보를 무선으로 획득하는 단계; 온실에 설치 된 영상감시기로부터 생작물의 생장상태 및 병충해에 대한 영상정보를 무선으로 획득하는 단계; 상기 계측 정보 와 영상 정보를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계측 정보와 영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및, 관리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설정값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설정값이 존재하는 경우, 계측정보가 설정값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자동으로 온실시설물 및 인공조명을 제어하고,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부 및 이동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설정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동으로 온실시설물 및 인공조명을 제어하고, 수동제어에 따른 입력값을 설정값으로 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다음, 제어상태를 디스플레이부 및 이동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기반 온실 관리방법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828103호에는 온실의 토양 및 환경을 감시하고 조명기, 환풍기, 양액기, 관수기, 스프링클러, 천창/측창 개폐기, 이중커텐, 차광막, 포그기 및 난방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설 비장치를 제어하는 온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장치의 상태 데이터를 검출하고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 기 온실의 토양 및 작물의 온도, 그리고 온실 내외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 상기 제어부와 센서부의 데이터를 추출, 변환 및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를 통신네트워크에 연결이 가능한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제어 부에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온실서버; 및 상기 온실의 내부를 촬영하는 촬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온실서버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상기 단말기에 출력하는 영상관리부; 상기 센서부의 센싱 데이터를 단위에 맞게 변환하는 센서관리부; 상기 설비장치 상태 데이터, 상기 센싱 데이터 및 작물 성장 표준 데이터를 저장 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센싱 데이터와 상기 작물 성장 표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오차가 발생할 경우 상기 제어부에 제어신호를 보내는 서버관리부를 포함하는 토양 및 환경센서를 이용한 온실 자동제어 시스템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전기기기가 과열되어도 즉시 발견이 어려워 화재원인이 되며, 각 식물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지관에 물이 중단된 것을 쉽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온실 내 식물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어려 운 단점이 있었다.
특히 식물 지상부에 있어 생육적온보다 높게 되면 서서히 스트레스가 나타나 생육에 이상이 생기면서 한계이상의 온도가 유지되면 작물은 고사하게 되고 생육 적온보다 낮게 되면 광합성 등의 반응이 느려지면서 또한 생육에 이상을 나타내게 된다.
지하부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생육적온보다 높거나 낮은 온도에서는 뿌리의 수분흡수 저하로 인한 생육저하가 야기되고 이는 작물체에 스트레스로 나타난다. 이러한 작물의 스트레스는 생육의 비정상적 반응을 일으키고 이에 따라 생산량의 저하를 야기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복합온실 내의 전기기기, 물 공급고장감지, 또는 식물의 스트레스를 감지하여 복합온실의 관리를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복합온실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이 도 3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18-0056010'에 개시되어 있다.
도 3의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복합온실 관리방법이 제안하는 발명은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온실 내 전기기기 고장감지, 물공급 고장감지, 또는 식물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복합온실 내의 전기기기, 물 공급고장감지, 또는 식물의 스트레스를 감지하여 복합온실의 관리를 안정적이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하여 온실 내 전기기기 고장감지, 물공급 고장감지, 또는 식물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기기는 릴레이, 변압기 또는 모터로서 과부하 또는 누전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의한 고온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 고장감지는 물공급관에서 분기되는 지관에 설치되는 체크밸브의 고장을 감지하는 것으로, 지관에 물공급이 중단되었을 시 고온이 되는 것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의 스트레스를 감지하는 방법은 온실을 여러 구역으로 나누고 천정위치에서 열화상카메라를 특정구역에 이동시켜 얻어진 영상에 나타나는 온도를 기준온도와 대비하여 식물의 스트레스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최근에는, 예를 들어, 지하 주차장 등과 같은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제3자의 침입 등을 감시 및 촬영하는 감시용 카메라(Monitoring Camera)에, 상기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TSA Module)을 적용하여, 빛이 없는 어두운 상황에서도, 피사체의 열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는 데, 이에 대한 효율적 인 해결 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으로 이를 개선한 발명이 도 5에 도시된 '등록특허 10-1128946'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등록특허 10-1128946'는 감시용 카메라 내에,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을 구비시킴과 아울러, 빛이 없는 어두운 상황에서, 정상적인 카메라 촬영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열화상 촬영 동작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감시용 카메라의 열화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발명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의 열화상 촬영 장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열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피사체 영상과 상기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열화상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 및 상기 피사체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면, 상기 외부 기기로 피사체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피사 체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지 않으면, 상기 외부 기기로 열화상을 전송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등록특허 10-1128946'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전송수단은, 유에스비 통신 모듈, 유선 랜 모듈, 무선 랜 모듈, 이동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사체 영상의 윤곽 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어레이 센서 모듈을 동작 제어하여, 열화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열화상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 하면, 상기 외부 기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경보 램프를 발광시키는 경보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면, 그 시점의 현재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열화상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등록특허 10-1128946'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의 열화상 촬영 방법은,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열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이 구비되되, 상기 카메라 모듈에 의해 피사체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는지를 검출하는 1단계; 및 상기 피사체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면, 상기 피사체 영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되, 상기 피사체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지 않으면, 상기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에 의해 촬영되는 열화상을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 10-1128946'에 따른 감시용 카메라의 열화상 촬영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아래와 같다.
상기 피사체 영상 또는 열화상은, 유에스비 통신 모듈, 유선 랜 모듈, 무선 랜 모듈, 이동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상의 윤곽 성분을 검출하여, 상기 피사체 영상이 정상적으로 촬영되는 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단계는, 상기 피사체 영상의 윤곽 성분이 정상적으로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써모파일 어레이 센서 모듈을 동작 제어하여, 열화상을 촬영한 후,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면, 상기 외부 기기로 경보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면, 경보음을 발 생시키거나 경보 램프를 발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 변화량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온도 변화량을 초과하면, 그 시점의 현재 시간 정보와 함께, 상기 열화상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다른 발명들을 도 6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13-0032578'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현재 체감형 게임 등에서 사용하는 사용자 인식을 위한 모션인식 / 영상 획득 방법은 블루 스크린을 활용하여 특정 대상과 배경을 구분하는 방법 등이 있다.
블루스크린을 이용하는 경우는 피사체의 후방에 단색의 막을 펼치고 촬영을 한 후 이를 픽셀단위로 분석하여 특정 색상이 아닌 부분을 피사체로 인식하고 이를 잘라내어 배경화면에 합성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 기술은 블루스크린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촬영 및 합성에 많은 장소적 물리적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블루스크린 등의 장비가 구비됨이 없이 일반 촬영 및 소프트웨어적인 수정만으로도 피사체를 완벽히 분 리해낼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6에 도시된 '공개특허 10-2013-0032578'는 기존의 발명들보다 간단한 방법을 통해, 체온을 갖는 대상물을 인식하고 그 영상을 획득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공개특허 10-2013-0032578'는 블루스크린 등의 장비가 구비됨이 없이 촬영 및 소프트웨어적인 수정만으로도 피사체를 완벽히 분리해낼 수 있는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획득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획득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획득 시스템은, 특정 색상의 필터로 필터링된 열화상데이터에서 열화된 색상의 영역과 필터 색상의 영역의 구분을 통해 픽셀보 정데이터를 얻고, 이를 일반촬영데이터에 반영하여 보정함으로써 피사체로만 이루어진 최종데이터를 얻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특정 색상의 필터가 장착된 열화상카메라 및 열화상카메라와 동일 배경을 동시에 촬영하는 일반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부는 열화상데이터로부터 열화된 색상의 영역의 픽셀 값을 0으로 하여 픽셀보정데이터를 얻고 이를 일반촬영데이터에 반영하여 보정하도록 할 수 있고, 연산부는 열화상데이터로부터 필터 색상의 영역의 픽셀 값을 0으로 하여 픽셀보정데이터를 얻고 일반촬영 데이터로부터 픽셀보정데이터에서 0이 아닌 픽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피사체로만 이루어진 최종데이터를 얻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카메라를 이용한 영상획득 방법은, 특정 색상의 필터가 장착된 열화상카메라로부터 열화상데이터를 얻고, 일반카메라로부터 일반촬영데이터를 얻는 촬영단계; 상기 열화 상데이터로부터 열화된 색상의 영역과 필터 색상의 영역의 구분을 통해 픽셀보정데이터를 얻는 연산단계; 및 상기 픽셀보정데이터를 일반촬영데이터에 반영하여 보정함으로써 피사체로만 이루어진 최종데이터를 얻는 보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촬영단계는 열화상카메라와 일반카메라를 통해 동일한 배경을 동시에 촬영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연산단계에서는 열화상데이터로부터 열화된 색상의 영역의 픽셀 값을 0으로 하여 픽셀보정데이터를 얻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산단계에서는 열화상데이터로부터 필터 색상의 영역의 픽셀 값을 0으로 하여 픽셀보정데이터를 얻고, 상기 보정단계에서는 일반촬영데이터로부터 픽셀보정데이터에서 0이 아닌 픽셀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추출하여 피 사체로만 이루어진 최종데이터를 얻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화상 시장은 COVID19등의 여파로 2019년 대비 2020년에는 2배 가까이 성장하였으며, 실화상 시장보다 블루 오션임을 파악하고 여러 기업에서 공격적으로 참여로 빠른 속도로 시장이 확대 될 것으로 예상 되고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제품은 산업용 열화상 시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을 준비하며 조사한 바에 의하면, 현재 기존 열화상 카메라들의 경우 온도 데이터만 출력하는 데에 주력하여 대부분 카메라가 감시를 위한 부가적인 연산을 카메라 외부의 PC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감시를 하고자 하는 대상의 형태나 배치가 다양하고 복잡 해져, 복잡한 형태의 대상을 감시하는 기능을 시장에서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의 요구를 만족하고자 감시할 대상을 설정해 놓으면 PC 없이 자체적으로 대상을 감시하여 문제 발견 시 네트워크나 알람을 통하여 통보할 수 있고, 복잡한 다각형 형태의 대상을 감시할 수 있어, 감시 영역에 불필요한 대상이 포함되거나 대상 영역 중 놓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바는, 대부분의 열화상 카메라에는 센서의 내용을 USB 나 이더넷으로 전송하는 부분만 하드웨어로 구성되어 있으나, 자체적으로 온도 감시를 하고 다각형 영역을 처리할 수 있는 CPU와 메모리를 장착하여 하드웨어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메라 내부에 넣을 수 있는 CPU의 경우 가격 및 공간의 제약으로 인하여 성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다각형 처리의 경우 저 성능 CPU에서 연산을 하기 유리한 형태로 데이터 변환을 하여 입력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의 주요 기능으로는 온도 측정 (산업용 정확도인 표준 온도범위에서 2℃오차) PC 없이 자체 감시 기능, 다각형 영역 지정 감시 기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화상 카메라의 예상되는 소비자 층으로는 전력 안전 진단 업체, 대 전력을 필요로 하는 대형 공장, 철도, 건물 화재 감시용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바로는 기존 열화상 카메라들의 경우 온도 데이터만 출력하는 데에 주력하여 대부분 카메라가 감시를 위한 부가적인 연산을 카메라 외부의 PC에 의존하고 있으나 본 제품은 PC없이 자체적으로 감시하고 다각형 감시가 가능하다.
본 제품을 통하여 전시회를 통한 고객 소개, 전력 진단 업체에 방문 제품 소개 및 영업, 해외 열화상 카메라 유통업체에 방문, 제품 소개 및 영업할 예정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10)는 카메라부(7000)와 일측면에 내장되어 있는 관리서버(900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7000)는 물체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적외선은 에너지 전달형태의 일종으로 가시광선(Visible wave)보다 파장이 길고 마이크로 광선(Micro wave) 보다 짧은 3~14㎛파장 대역의 전자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은 실화상과 유사한 형태의 특성을 가지고 빛의 속도로 공간을 이동하여 반사, 굴절, 흡수 및 방사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카메라부(7000)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적외선 분포에 따라 피사체 또는 촬영되고 있는 장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9000)는 영상처리서버(9100), 출력서버(9900) 및 데이터서버(950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서버(9100)는 카메라부(700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며 처리하고, 분석 및 처리된 영상을 출력(디스플레이)하는 것을 의미하며, 영상수신부(9110), 온도측정부(9130), 영상처리부(9150), 영상조합부(9170) 및 카메라설정부(919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수신부(9110)는 카메라부(7000)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온도측정부(9130)는 영상수신부(9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또는 촬영되고 있는 장소(위치)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온도측정부(9130)는 카메라부(700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적외선 분포에 따른 색을 통하여 피사체의 온도 또는 각 장소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9150)는 영상수신부(9110)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주위의 배경화면 등을 삭제하거나, 또는 촬영중인 장소 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위치를 강조할 수 있다.
카메라부(7000)로 촬영된 영상은 경우에 따라 배경화면을 제거하거나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위치를 강조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에 필요한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가 감지되는 위치가 감지되어 관리자에게 화재 발생 신호를 발송시키는 등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위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물품 등을 선명하게 출력할 필요성이 있다.
또 다른 예로,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가 감지됨과 동시에 움직임을 갖는 피사체가 감지되는 경우, 촬영된 영상에서 해당되는 위치를 제외한 화면을 삭제하여 출력할 필요성이 있다.
영상조합부(9170)는 온도측정부(9130)에서 검출된 피사체의 온도와 영상처리부(9150)에서 배경이 삭제된 영상을 조합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의 온도와 영상처리부(9150)에서 해당 위치를 선명하게 출력한 영상을 조합할 수 있다.
즉, 영상조합부(9170)는 배경이 삭제된 영상에 피사체의 온도가 표시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카메라설정부(9190)는 카메라부(7000)의 배율, 시야각도 및 해상도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수납되어 장착된 카메라부(7000)를 제어할 수 있다.
출력서버(9900)는 카메라부(7000)로부터 촬영된 영상, 피사체의 온도를 검출한 영상,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주위의 배경화면 등을 삭제한 영상 및 조합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9000)의 영상처리서버(910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 출력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서버(9500)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처리서버(9100)에서 처리된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아울러 촬영된 영상에서 색 정보에 따른 온도, 카메라부(7000)의 설정값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다.
도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10)는 관리서버(9000)를 별도로 내장할 수 있는 일체형 수납부에 관한 것이다.
즉, 카메라부를 내부에 수납함에 따라 관리서버에 접속되도록 하여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는 카메라부와 관리서버를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수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와 관리서버를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수납부(1000)는 하우징(1100) 및 관리서버(9000)를 포함할 수 있고, 관리서버(9000)는 영상처리서버(9100), 출력서버(9900) 및 데이터서버(95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0)은 카메라부(7000)가 수납되는 부분으로, 카메라부(7000)를 하우징(1100)에 수납하는 것만으로도 카메라부(7000)는 일체형 수납부(1000)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 카메라부(7000)의 하단은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에 의해 수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7000)가 슬라이딩에 의해 수납되는 경우, 하우징(1100)에는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3000) 및 슬라이딩 레일(3000)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영상수신부(9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상송출 단자부(113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7000)에도 슬라이딩 레일(3000)에 대응되도록 슬라이딩 레일(300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슬라이딩부(7010)와 영상송출 단자부(1130)에 접속되며 외부로 영상을 송출하는 영상송출부(70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7000)를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 동작하여 수납하는 것으로, 카메라부(7000)가 일체형 수납부(1000)에 장착되며, 카메라부(7000)는 일체형 수납부(1000)의 영상처리서버(9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일체형 수납부(1000)에 카메라부(7000)가 수납되어 장착되는 과정에서 카메라부(7000)에서 송출되는 영상을 보조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일체형 수납부(1000)에 카메라부(7000)와 통신 가능한 케이블연결부(1900)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연결부(1900)는 관리서버(9000)의 일부 구성인 영상처리서버(9100)의 영상수신부(9110)와 연결되며, 케이블연결부(1900)와 카메라부(7000)는 별도의 케이블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7000)는 일체형 수납부(1000)의 하우징(1100)에 슬라이딩하여 수납하는 것으로, 일체형 수납부(1000)의 영상처리서버(9100)에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통해 야간에도 촬영된 영상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분석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획득뿐만 아니라 정확한 온도 측정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지와 데이터를 조합한 상황인식이 가능하며, 카메라부와 관리서버를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수납부를 제공함으로써 오랜 시간 운영되는 공장, 비어 있는 사무실, 스마트 팜 시스템, 스마트 팜이 적용된 하우스 등 다양한 분야에 용이하게 적용되어 실시간 화재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3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5000)는 중심축(52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으로 결합홈(5120)이 형성되고, 중심축(5200)을 중심으로 결합홈(5120)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결합턱(5140)이 형성된 베이스프레임(5100)을 포함할 수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000)는 베이스프레임(5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1 판상부(5400), 제1 판상부(54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5300)를 포함할 수 있고, 지지플레이트(5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상체로 이루어진 제2 판상부(5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부(5000)는 결합턱(5140)과 지지플레이트(5300) 사이에 설치되고, 지지플레이트(5300)가 중심축(5200)의 폭방향으로 진동하는 것을 지지하는 이탈방지부(56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판상부(55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중심축(5200), 결합홈(5120)에 결합되는 고정나사(5800)로 고정되고, 중심축(5200)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축하단(5220)의 상부와 이탈방지부(56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탄성가압부(570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베이스프레임(5100)은 슬라이딩 레일(3000) 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심축(5200)이 설치되는 부분의 양측에 고정나사(5800)가 결합되는 결합홈(5120)이 형성되고, 중심축(5200)을 중심으로 결합홈(5120)의 바깥쪽 양측에 상부로 돌출된 결합턱(5140)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턱(5140)은 후술하는 이탈방지부(5600)가 중심축(520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중심축(5200)의 폭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5100)에는 이탈방지부(5600)의 하부가 삽입되도록 베이스프레임(5100)의 내측 양단(결합홈(5120)과 결합턱(5140)의 사이)은 이탈방지부(5600)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탈방지부(5600)는 중심축(5200)의 폭방향의 움직임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이때 이탈방지부(5600)의 하부와 베이스프레임(5100)의 내측 양단(결합홈(5120)과 결합턱(5140) 사이)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 중심축(5200)의 길이 방향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해 이탈방지부(5600)의 하부와 베이스프레임(5100)의 내측 양단은 서로 돌기 형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홈(5120)에는 고정나사(5800)의 하단과 체결되어 고정나사를 고정시키는 나사고정부(미도시)를 매설하여 고정나사(5800)를 나사고정부(미도시)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고정나사(5800)를 체결할 시에는 와셔 등을 의미하는 풀림방지부(5820)를 이용하여 고정나사(580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풀림방지부(5820)는 2개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이때 풀림방지부(5820)는 서로 재질이 다른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제1 판상부(5400)는 베이스프레임(5100)의 상부와 지지플레이트(53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53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제1 판상부(5400)는 중앙에 통공(54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양단 외측면에는 고정나사(58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1 판상부 홈(54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플레이트(5300)는 상면에 중심축(5200)이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심축(5200)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축하단(5220)이 안착되는 부분의 양측에서 중심축(5200)의 폭방향 움직임을 억제하는 돌출턱이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베이스프레임(5100)에 고정되는 고정나사(58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플레이트 홈(53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턱 사이의 공간에 중심축하단(5220)이 안착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판상부(5500)는 지지플레이트(5300)와 중심축(5200) 사이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것으로서, 중심축(52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제2 판상부(5500)는 지지플레이트(5300) 상면에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축(5200)의 길이방향의 양단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판상부(5500)의 하부로 절곡된 부분 사이에 지지플레이트(5300)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이탈방지부(5600)는 베이스프레임(5100)의 결합턱(5140)과 지지플레이트(53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이탈방지부(5600)가 중심축(520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플레이트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6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나사(5800)에 의해 고정되는 탄성가압부(5700)가 중심축(5200)이 위치한 반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탈방지부(5600)는 중심축(5200)에서 멀어지는 부분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5700)는 결합홈(5120)에 결합되는 고정나사(5800)로 고정되고, 중심축(5200)의 하부에 형성된 중심축하단(5220)의 상부와 이탈방지부(560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될 수 있다.
즉, 탄성가압부를 고정나사(5800)로 가압하여 고정하면 탄성가압부(5700)의 탄성력에 의해 중심축하단(5220)의 상부와 이탈방지부(5600)의 상부를 가압하여, 중심축(5200)이 베이스프레임(510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베이스프레임(5100) 위에는 제1 판상부(5400)가 위치하게 되고, 제1 판상부(5400) 위에는 베이스 플레이트(300)가 위치하게 되고, 지지플레이트(5300) 위에는 제2 판상부(5500)가 위치하게 되고, 제2 판상부(5500) 위에는 중심축(5200)이 위치하게 되고, 지지플레이트(5300)와 결합턱(5140) 사이에는 이탈방지부(5600)가 위치하게 되고, 탄성가압부(5700)는 이탈방지부(5600)와 중심축하단(5220) 위에 위치하게 되며, 고정나사(5800)를 결합홈(5120)에 체결함으로써 중심축(5200)이 베이스프레임(510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제1 판상부(5400)와 제2 판상부(5500)는 서로 다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고정나사(5800)는 제1 판상부 홈(5420) 및 플레이트 홈(5340)을 지나 결합홈(5120) 또는 나사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됨으로써 탄성가압부(5700)를 고정시키게 되며, 고정나사(5800)의 조임 정도에 따라 탄성가압부(5700)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또한, 탄성가압부(5700)는 철근을 절곡시켜 형성된 대략 "W" 형상의 고정부(571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고정부(5710)는 양측에 호형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제2 절곡부(5714), 제2 절곡부(5714)의 양단부가 내측 또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절곡부(5712), 고정나사(5800)가 결합되는 공간을 갖도록 중간에 형성된 꺽임부(716)로 구성되며, 제2 절곡부(5714)와 꺽임부(716)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제4 절곡부(5718)가 형성되고, 제1 절곡부(5712)는 중심축하단(5220)에 의해 지지되고, 제4 절곡부(5718)는 이탈방지부(5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5710)는 고정나사(5800)에 의해 고정되어 탄력적인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함으로써 중심축(520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중심축(5200)의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키면서 고정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부(5710)를 구성하는 제2 절곡부(5714), 제1 절곡부(5712), 제3 절곡부(5716) 및 제4 절곡부(5718)는 휘어진 정도, 길이, 폭 등을 변형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나사(5800)는 나사본체(5810), 적층 링(5820), 완충부재(5830) 및 본체고정나사(5840)를 포함 할 수 있다. 여기서, 나사본체(5810)는 나사헤드(5811)와 체결부(581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헤드(5811)는 상면에 결합홈(5812)이 형성될 수 있고, 외주에는 고정나사(5800)가 피고정체에 체결되도록 하는 렌치 등의 보조 공구가 걸림되는 다각형 형상의 모퉁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5813)는 피고정체의 나사모듈에 체결되는 제1 나사산형성부(5814)가 외주에 형성된 상태에서 나사헤드(5811) 하부에 수직 결합되고 결합홈(5812)과 연통되는 연통홈(5815)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적층 링(5820)은 결합홈(5812)에 적층되는 탄성 복원력을 가진 링 형상의 부재로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중앙에는 관통 홈(5821)이 형성되고 만곡 형성부(5822)는 볼록한 돔의 형상으로 외부를 향해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적층 링(5820)은 만곡 형성부(5822)의 볼록한 부분이 상호 이격되어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쌍 이상 적층되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적층 링(5820)이 적층된 개수는 고정나사(5800)의 충격 흡수 능력과 제작비용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링(5820)의 적층된 개수가 두 쌍인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한 쌍 이상 조절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적층 링(5820)은 적층 상태와 반대 방향 즉, 만곡 형성부(5822)의 볼록한 부분이 이격되지 않고 상호 접촉되는 형태로 적어도 한 쌍 이상 적층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서로 마주보는 적층 링(5820) 간의 중앙부에는 만곡 형성부(5822)의 만곡된 형상에 의해 내부 공간(5823)이 형성되게 되며, 적층 링(5820)은 탄성 복원력에 의해 내부 공간(5823) 내에서 수축 또는 팽창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 링(5820)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고무부재, 플라스틱 합성수지재, 금속부재 등의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나, 반복되는 탄성작용에 의한 내구성 및 그에 따른 유지비용 절감을 위하여 금속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완충부재(5830)는 결합홈(5812)에 적층된 적층 링(5820)의 상부를 감싸면서 나사본체(5810)의 연통홈(5815)과 결합홈(5812)에 삽입되어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경우 적층 링(58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수직 피스톤 운동되는 부분이며, 연장기둥(5831) 및 돌출부(5833)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기둥(5831)은 적층 링(5820)의 각 관통 홈(5821)와 나사본체(5810)의 연통홈(5815)에 내삽된 상태로 연통홈(5815) 외부로 연장되며, 연장된 하부에는 제2 나사산형성부(5832)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833)는 연장기둥(5831) 상부에 결합되어 적층 링(5820) 상부를 감싸면서 나사헤드(5811) 상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홈(5812)에 내삽되는 부분이다.
한편, 본체고정나사(5840)는 연장기둥(5831)에 형성된 제2 나사산형성부(5832)에 체결됨에 따라 연장기둥(5831)과 돌출부(5833)를 구비한 완충부재(5830)를 나사본체(58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완충부재(5830)가 본체고정나사(5840)에 의해 나사본체(58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완충부재(5830)의 돌출부(5833) 상방에서 가압, 타격 등의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완충부재(5830)는 적층 링(58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하 피스톤 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나사헤드(5811) 상방에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은 나사헤드(581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고 나사헤드(5811) 상부로 돌출된 완충부재(5830)의 돌출부(5833)로 전달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돌출부(5833)로 전달된 충격에 의해 적층 링(5820)이 수축 또는 팽창되면서 완충부재(5830)가 상하 피스톤 운동되면서 전달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나사본체(5810) 뿐만 아니라 나사본체(5810)가 체결된 피고정체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나사헤드(5811) 상방에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완충부재(5830)와 적층 링(5820)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나사본체(5810)와 피고정체의 손상 또는 파괴가 예방되고 수명이 연장 됨으로써 유지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납부(1000)의 상단 일측면에는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회전개폐부(20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회전개폐부(2000)에 의해 전면이 노출되는 스크린부(150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스크린부(1500)는 하우징(1100)에 위치한 카메라부(7000)에서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스크린부(1500)는 관리자(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회전개폐부(2000)가 회전하여 스크린부(1500)의 전면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개폐부(2000)는 몸체(2100), 지지부(2110) 및 고정링(221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개폐부(2000)가 회전하는 본체를 의미할 수 있다.
지지부(2110)는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되, 일측면이 상기 몸체(2100)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위치하며 타측면은 상기 몸체(2100)의 비어 있는 부분을 향하여 돌기(2150)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110)는 몸체(2100)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몸체(2100)의 내부 중 일측에만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고정링(2210)은 지지부(2110)의 비어 있는 공간으로 향하여 형성된 돌기에 의해 끼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고정링(2210)의 외주면에는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고무볼(2250)이 이격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고무볼(2250)은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로 회전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삽입된 회전부재(2400)의 일단이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무볼(2250)의 재질은 고무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삽입된 회전부재(2400)의 일단이 억지 끼움되어 회전부재(2400)가 회전 시 고정링(2210)과 고무볼(2250)에 의하여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몸체(2100), 지지부(2110) 및 고정링(2210)으로 형성되는 회전개폐부(2000)는 비어 있는 상기 몸체의 내부로 회전부재(2400)가 삽입하여 회전개폐부(200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재(2400)는 몸체(2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링(2210)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고무볼에 의하여 몸체(2100)의 내부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고, 끼움 고정된 회전부재(2400)는 스크린부(150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회전개폐부(20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회전개폐부(2000)는 몸체(2100)의 비어 있는 내부에 존재하는 고정링(2210)에 끼움 고정되는 회전부재(2400)에 의하여 몸체(2100)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 구동될 수 있다.
한편, 회전부재(2400)는 고정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무볼에 억지 끼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둥부(2470) 및 기둥부(2470)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2100)의 비어 있는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2100)의 비어 있는 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방지부(24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2400)의 기둥부(2470)는 회전개폐부(2000)의 몸체(2100)의 비어 있는 내부로 기둥부(2470)가 삽입될 수 있고, 삽입방지부(2490)에 의하여 회전부재(2400)의 끝까지 몸체(2100)에 완전히 삽입되어 회전개폐부(2000) 회전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회전개폐부(2000)는 일체형 수납부(1000)의 일측에만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양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양단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회전부재(2400)를 양단에 삽입하여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다른 구성 요소로 형성되는 회전부재(2400)를 확인할 수 있는데, 회전부재(2400)는 관통고정부(2410), 타단완충부(2480), 타단돌기부(2420), 지지부(2460), 일단돌기부(2440), 일단완충부(2490), 체결부(2450), 체결공간(2470)및 하우징(2430)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고정부(2410)는 몸체(2100)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비어 있는 내부에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비어 있는 내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고정부(2410)의 직경은 넓은 의미로 몸체의 비어 있는 내부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고 서술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관통고정부(2410)는 고정링(2210)의 고무볼(2250)에 끼움 고정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고정부(2410)는 고무볼(2250)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21에 도시된 회전부재(2400)와 같이 민무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통고정부(2410)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고무링(2210)이 각진 형상으로 형상되는 경우 관통고정부(2410)도 고무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단완충부(2480)는 관통고정부(24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관통고정부(24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타단완충부(2480)의 일단에 위치한 지지부(246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타단완충부(2480)는 몸체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의 일단에 맞닿은 채 위치할 수 있으며 충격을 흡수하는 스펀지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단완충부(2480)가 구비된 회전부재(2400)는, 회전부재(24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회전개폐부(2000)를 회전 구동하여 스크린부(150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끼움 고정되어 있는 회전부재(2400)가 몸체(2100)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460)는 타단완충부(248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단완충부(248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460)는 타단에 위치한 타단완충부(2480)의 재질에 의해 회전부재(2400)가 쉽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단한 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타단돌기부(2420) 및 일단돌기부(2440)는 각각 지지부(2460)의 타단 및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타단돌기부(2420)는 타단완충부(2480)의 상하단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일단돌기부(2440)는 하우징(2430)의 상하단 타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단완충부(2480) 및 하우징(2430)은 타단돌기부(2420) 및 일단돌기부(2440)에 의해 지지부(246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단완충부(2490)는 지지부(2460)의 일단에 위치한 하우징(243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비어 있는 공간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일정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단완충부(2490)는 타단완충부(2480)와 대응되도록 지지부(246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직경은 타단완충부(248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450)는 지지부(2460)의 일단에 위치한 하우징(2430)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비어 있는 공간 일단에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2450)를 통해 회전부재(2400)의 타단에 위치한 관통고정부(2410)를 회전하여 내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체결도구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즉, 체결공간(2470)을 통해 삽입되는 체결도구(나사 등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도구)가 삽입되어 체결부(2450)에 체결된 후, 회전부재(2400)를 회전시켜 회전개폐부(2000)의 회전 구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체결부(2450) 및 체결공간(2470)은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지만, 작게 형성되는 회전부재(2400)의 특성상 몸체(2100)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에 위치하여 회전개폐부(200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하여서는 작업자의 손으로 회전부재(2400)의 하우징(2430) 부분을 파지하여 회전시키는 것보다 체결도구(나사 등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체결도구)를 체결부(2450) 및 체결공간(2470)에 삽입 후 고정시켜 회전개폐부(2000)를 회전 구동하는 것이 보다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체결부(2450) 및 체결공간(2470)은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존재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나, 본 회전부재(2400)의 역할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기 위하여서는 체결부(2450) 및 체결공간(2470)이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일체형 수납부
7000: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9000: 관리서버

Claims (2)

  1.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며 처리하고, 분석 및 처리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출력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또는 촬영되고 있는 장소(또는 위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측정부와, 상기 영상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주위의 배경화면을 삭제하거나 촬영중인 장소 내에서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온도를 갖는 장소(또는 위치)를 강조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온도측정부에서 검출된 피사체의 온도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배경이 삭제된 영상을 조합하거나 상기 온도측정부를 통해 기 설정된 일정 온도의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의 온도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해당 위치를 선명하게 출력한 영상을 조합하는 영상조합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배율, 시야각도 및 해상도를 제어하는 카메라설정부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분석 및 처리된 영상을 저장하고, 촬영된 영상에서 색 정보에 따른 온도, 상기 카메라부의 설정값을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서버; 및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촬영된 영상, 피사체의 온도를 검출한 영상, 수신된 영상에서 피사체 주위의 배경화면을 삭제한 영상 및 조합된 영상을 출력하는 출력서버;를 포함고,
    상기 카메라부는,
    일측면에 관리서버가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 수납부의 하우징에 수납되고,
    상기 일체형 수납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수납되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상기 카메라부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하게 형성된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영상송출 단자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송출되는 영상을 보조하여 연결하되 별도의 케이블선을 통해 연결되는 케이블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부는,
    슬라이딩하여 수납 가능한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일체형 수납부에 슬라이딩하여 수납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가 하단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일체형 수납부는,
    상단 일측면에 회전하여 개폐 가능한 회전개폐부; 및
    상기 회전개폐부에 의해 전면이 노출되는 스크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개폐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몸체;
    소정의 두께와 길이로 형성되되, 양끝단이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위치하며, 내측면은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돌기에 의해 끼움 고정되는 고정링;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링은,
    외주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다수 개의 고무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개폐부는,
    비어 있는 몸체의 내부로 회전부재가 삽입하되, 고정링과 고무볼에 의하여 회전부재가 회전 시 헛도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링의 상기 고무볼에 의하여 끼움 고정된 후, 상기 스크린부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회전하여 상기 회전개폐부를 회전시키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고정링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고무볼에 억지 끼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의 비어 있는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의 비어 있는 내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삽입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몸체에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비어 있는 내부로 관통하여 위치하되, 비어 있는 내부에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타단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고정부;
    상기 관통고정부의 일단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고정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되, 일단에위치한 지지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타단완충부;
    상기 지지부의 타단에 위치하며 상기 타단완충부의 상하단 일측면에 위치하는 타단돌기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위치하는 일단돌기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타단완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일단완충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위치한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비어 있는 공간 일단에 내측면을 따라 나사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고정부는,
    고무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볼과의 마찰력을 상승시키도록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단완충부는,
    몸체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의 일단에 맞닿은 채 위치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스펀지 등의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타단완충부는,
    상기 회전부재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회전개폐부를 회전 구동하여 상기 스크린부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끼움 고정되어 있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몸체의 비어 있도록 형성되는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는,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레스를 포함하는 단단한 재질로 형성되어 타단에 위치한 상기 타단완충부의 재질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가 쉽게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일단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하단 타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타단완충부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타단돌기부 및 상기 일단돌기부에 의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일단완충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위치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비어 있는 공간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체결부를 통해 타단에 위치한 상기 관통고정부를 회전하여 내부에 체결 가능하도록 사용되는 체결도구가 삽입되어 체결되고,
    상기 체결도구는,
    체결공간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후, 상기 회전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회전개폐부의 회전 구동을 용이하게 하며,
    온도 측정을 산업용 정확도인 표준 온도범위에서 2℃ 오차 범위 내에서 PC 없이 자체 감시 기능, 다각형 영역 지정 감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부는 물체에서 발산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영 영상을 출력하는 장치이고, 카메라부로 촬영된 영상을 통하여 적외선 분포에 따라 피사체 또는 촬영되고 있는 장소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2. 삭제
KR1020220064626A 2021-09-09 2022-05-26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KR102548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20360 2021-09-09
KR1020210120360 2021-09-09
KR1020220043041A KR102479412B1 (ko) 2021-09-09 2022-04-06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041A Division KR102479412B1 (ko) 2021-09-09 2022-04-06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7429A KR20230037429A (ko) 2023-03-16
KR102548238B1 true KR102548238B1 (ko) 2023-06-27

Family

ID=845392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041A KR102479412B1 (ko) 2021-09-09 2022-04-06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KR1020220064626A KR102548238B1 (ko) 2021-09-09 2022-05-26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3041A KR102479412B1 (ko) 2021-09-09 2022-04-06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794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236B1 (ko) 2014-10-13 2015-05-18 주식회사 에스카 열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183433B1 (ko) 2020-06-29 2020-11-26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KR102247752B1 (ko) 2020-10-30 2021-05-07 주식회사 피플멀티 레이더 및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게이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575B1 (ko) * 2012-11-15 2014-07-04 (주)토핀스 열화상 카메라와 분석처리유닛을 수납할 수 있는 일체형 케이스
KR101635000B1 (ko) * 2015-06-26 2016-07-08 (주) 비엑스 솔루션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한 화재감지장치 및 그 시스템
KR102244861B1 (ko) 2020-01-08 2021-04-27 (주)메티스 열화상카메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236B1 (ko) 2014-10-13 2015-05-18 주식회사 에스카 열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183433B1 (ko) 2020-06-29 2020-11-26 주식회사 티앤에이치시스템 열화상 카메라를 통한 스피드 게이트 시스템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KR102247752B1 (ko) 2020-10-30 2021-05-07 주식회사 피플멀티 레이더 및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게이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9412B1 (ko) 2022-12-20
KR20230037429A (ko) 2023-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07171A1 (en) Wide area imaging system and method
CN201629019U (zh) 一种森林火灾探测系统
US8754942B2 (e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fires and/or signs of fire
US20160203694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20130335550A1 (en) Infrared sensor systems and methods
US20110058037A1 (en) Fire detection device and method for fire detection
US10832539B2 (en) Security camera system
EP3050293B1 (en) Wireless industrial process field device with imaging
US7768658B2 (en) Anomaly det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863530B1 (ko) 가시광 및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를 이용한 화재 예측 보전시스템
US20050103506A1 (en) Fire protection method
KR101521236B1 (ko) 열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548238B1 (ko) 상황인식이 가능한 다각형 영역 측정 산업용 열화상 카메라
KR20110114096A (ko) 열상 카메라를 채용하는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야간 감시 방법
WO2006109162A3 (en) Distributed smart video surveillance system
CN210466635U (zh) 一种森林防火双光谱智能监测识别火情装置
KR102423255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센서정보와 영상정보를 동기화하여 통합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76457A1 (en) Thermal health monitoring sensor
JPH09293185A (ja) 対象検知装置および対象検知方法および対象監視システム
KR101738514B1 (ko) 어안 열상 카메라를 채용한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시 방법
CN209962382U (zh) 一种火灾智能检测系统
TWI812896B (zh) 熱像儀健康監測
AU709759B2 (en) Security sensor arrangement
Green Modules 13 through 21 for Advanced Intrusion class.
WO201315542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security surveillance system with an imag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