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3144B1 -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 Google Patents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3144B1
KR102183144B1 KR1020200077126A KR20200077126A KR102183144B1 KR 102183144 B1 KR102183144 B1 KR 102183144B1 KR 1020200077126 A KR1020200077126 A KR 1020200077126A KR 20200077126 A KR20200077126 A KR 20200077126A KR 102183144 B1 KR102183144 B1 KR 10218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electrode terminals
switch
solenoids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7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유복
윤상현
신창수
홍성옥
Original Assignee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씨티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7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2Means for marking measuring points
    • G01C15/06Surveyors' staffs; Movable mar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 G01C3/1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 G01C3/14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using a parallactic triangle with variable angles and a base of fixed length in the observation station, e.g. in the instrument with binocular observation at a single point, e.g. stereoscopic type
    • G01C3/16Measuring ma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01C9/06Electric or photoelectric indication or rea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제1통공(111)을 구성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제2통공(112)이 각각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이격하게 설치되어서 제1스위치(S1)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와, 제2통공(112) 별로 상하로 이동하게 관통하며 상단에는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걸쳐서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가 통전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턱(131)이 형성된 자화재질의 다수의 막대형 스탠드(13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1알니코자석(141)을 스탠드(13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1)을 구성한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2알니코자석(151)을 하기 서포터(20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2)을 구성한 다수의 제2솔레노이드(150)를 구비하되,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 및 제2솔레노이드(150)별 코일(C1, C2)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베이스(100); 제1통공(111)에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하단에는 제1통공(111)을 통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하부측 언저리에 걸리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롤링홀(212)이 형성되되 롤링홀(212)의 테두리는 제1통공(111)을 통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상부측 언저리에 걸리게 확장된 패널(210)과, 패널(2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중공(221)을 개폐하는 제1주입구(222)가 형성된 지지관(220)과, 지지관(2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를 구비한 커버(231)에 의해 밀폐되는 중공을 갖춘 탄성 재질의 구 형상이되 전동식 개폐기(231a)는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피봇볼(230)과, 제1주입구(222)와 연통하는 제2주입구(241)를 구성하며 지지관(220)의 중공(221)에 내설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구되면 피봇볼(230)에 주입되도록 압축공기가 충전된 탱크(240)와, 피봇볼(2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울(251)을 구성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대(250)를 구비한 서포터(200); 눈금이 형성된 눈금판(310)과, 눈금판(3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롤링홀(2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링축(320)을 구비한 자막대(300); 편평한 4각 바닥의 수용공을 구성하고 눈금판(310)의 상단에 설치된 본체(410)와, 상기 수용공의 4개의 코너 중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구성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치(S2)를 이루는 한 쌍의 제2전극단자(420, 420')와, 상기 수용공의 남은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2전극단자(420, 42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3스위치(S3)를 이루는 한 쌍의 제3전극단자(430, 430')와, 제2전극단자(420, 42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1통전파트(441)와, 제1통전파트(441)와 절연해 연결되고 제3전극단자(430, 43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2통전파트(442)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이동하며 제1통전파트(441) 및 제2통전파트(442)가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해서 통전하는 판 형상의 통전체(440)와, 상기 수용공을 덮어 밀폐시키며 통전체(220)의 이동을 확인하도록 투명창(451)이 구성된 덮개(420)를 구비한 수평게이지(400); 제1스위치(S1)의 ON/OFF에 따라 제1전원(512)의 전력을 릴레이(511)에 통전시키는 다수의 스위칭 회로부(510)와, 릴레이(511)에 유도된 자력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며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제4스위치(S4)를 구비하고, 제2,3스위치(S2, S3)와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한스위치부(500); 제2,3,4스위치(SS, S3, S4) 모두의 전기적 닫힘에도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 전동식 개폐기(231a)로의 통전을 지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부(600);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STAFF EQUIPMENT HAVING AUTOMATIC MODE FOR SURVEYING PER SLOPE SPACE BASED ON NATIONAL LEVEL POINT}
본 발명은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는 물론 각종 토목설계나 건축설계 등을 위해서는 측지측량이 우선 진행된다. 측지측량이란 지면의 수평거리와 고저차 및 방향을 측정하여 점들 간의 상호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도면이나 수치로 표시하고, 현장에서 측설하는 제반 활동을 지칭한다.
이중에서 수준(level) 측량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두 지점간의 높이차를 구하는 측량으로, 그 정확도는 2급 수준 측량의 경우 5mmㆍS^(1/2) 이내로 규정하고 있을 정도로 세밀한 측량이다(S는 편도거리로서 단위는 km).
도 1은 표척(1)과 레벨기(3)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이를 참조하여 수준 측량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우선, 표척수가 고도를 알고 있는 국가기준점(a0)에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는 일정거리 떨어진 제1관측점(b1)에서 레벨기로 표척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1지점(a1)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1지점(a1)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국가기준점(a0)과 제1지점(a1)에서 읽은 눈금의 차와 국가기준점의 고도로부터 제1지점(a1)의 고도가 구해진다.
다음으로 기계수는 제1지점(a1) 뒤의 제2관측점(b2)으로 이동한 후에 표척수가 표척(1)을 제자리에서 방향을 전환시켜 표척(1)이 레벨기를 바라보도록 하면 기계수는 레벨기로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이후 표척수가 제2지점(a2)으로 이동하여 표척(1)을 세우고, 기계수가 제2지점 표척(1)의 눈금을 읽는다. 여기서 제2관측점(b2)에서 읽은 제1지점(a1)과 제2지점(a2)의 눈금 차이로부터 제2지점(a2)의 고도가 구해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표척(1)과 레벨기(3)를 계속해서 이동시키고, 각 지점에서 표척(1)과 레벨기(3)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 목표지점까지 각 지점의 고도를 구한다.
그런데 제자리에서 표척(1)의 방향을 전환시켜 눈금을 읽어야 하므로 지면의 상태에 따라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된다. 그리고 각 지점의 오차는 몇 mm에 불과할 수 있지만 측량지역 전체를 환폐합하는 측량을 했을 때에는 엄청난 누적 오차가 발생되고, 정밀 측량을 요구하는 1급 또는 2급 수준 측량에서는 몇 mm 오차도 허용되지 않는다.
도 1의 제1지점(a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표척(1)은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면에서 표척(1)을 회전(방향전환) 시킬 때에 회전축이 별도로 없다. 그래서 방향전환시에 표척수가 눈금막대를 살짝 들어 회전한 후에 제자리에 놓게 되는데, 들었다가 다시 놓은 과정에서 정확한 자리에 놓기가 어렵다. 그리고 지면은 경사져 있는 곳이 많고, 우리가 보기에 편평한 지면도 경사진 지역이 많다. 따라서 표척(1)을 들었다가 다시 놓은 과정에서 정확한 자리에 놓지 못하여 위치가 변경되면 측량되는 고도(표준)에 오차가 발생된다.
위와 같이 표척(1)이 제자리에서 방향전환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0389907호 "눈금이 교차하는 계단식 스태프" 등은 도 1의 제2지점(a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척(1)의 하단에 침봉(2)을 구비하여, 표척(1)의 방향전환시 침봉(2)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표척(1)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침봉(2)이 구비된 표척(1)은 아스팔트와 같이 단단한 지면에서는 오차를 줄이는데 유용하지만, 흙이나 모래와 같이 지반이 연약한 지면에서는 오히려 오차를 늘리는 요인이 된다. 이는 침봉(2)이 연약한 지면을 뚫고 들어가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이다. 어느 한 지점에서 측량이 완료될 때까지 표척(1)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면 이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나, 표척(1) 자체의 하중과 표척(1)을 잡고 있는 표척수가 무실결에 가하는 하중에 의해 침봉(2)은 연약한 지반을 침투한다. 특히 표척(1)의 방향전환 과정과 방향전환 직후에 표척수가 무의식적으로 하중을 가할 위험은 더욱 크다.
그리고 이처럼 표척(1) 하단에 돌출되어 구비되는 침봉(2)은 끝이 뾰적하여 주변의 다른 사람을 찔러 상처를 입힐 위험이 있고, 운반 과정에서 레벨기나 기타 장비들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다.
그리고 등록특허 제0749326호 "수준측량용 막대자 고정장치"는 표척의 방향전환시 위치 변경에 따른 오차나 표척이 연약한 지반을 침투함에 따른 오차를 방지하기 위해 독립된 별도의 막대자 고정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독립된 별도의 고정장치를 준비하여야 하므로 원가의 상승과, 운반 이동의 번거로움과, 지면에 고정장치를 고정시킨 후에 고정장치에 막대자(표척)를 다시 고정설치하고, 막대자를 고정장치에서 분리시켜 방향전환 후 다시 고정 설치하고, 측량이 끝나면 다시 막대자와 고정장치를 분리하여야 하는 등 측량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단점이 많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표척(1)은 수직으로, 즉, 중력방향에 평행하게 세워져야 하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고정장치와 막대자의 장착 방향이 정해져 있어 경사면에 고정장치가 놓인 경우에 막대자를 수직으로 세우기 곤란한 문제도 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번호 제10-2081917호(2020.02.26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표척을 세우는 지점의 지형에 상관없이 연직 방향으로 정확하게 입설해서 오차 없는 정밀 측지를 가능하게 하는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앙에 제1통공(111)을 구성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제2통공(112)이 각각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이격하게 설치되어서 제1스위치(S1)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와, 제2통공(112) 별로 상하로 이동하게 관통하며 상단에는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걸쳐서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가 통전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턱(131)이 형성된 자화재질의 다수의 막대형 스탠드(13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1알니코자석(141)을 스탠드(13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1)을 구성한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2알니코자석(151)을 하기 서포터(20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2)을 구성한 다수의 제2솔레노이드(150)를 구비하되,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 및 제2솔레노이드(150)별 코일(C1, C2)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베이스(100);
제1통공(111)에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하단에는 제1통공(111)을 통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하부측 언저리에 걸리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롤링홀(212)이 형성되되 롤링홀(212)의 테두리는 제1통공(111)을 통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상부측 언저리에 걸리게 확장된 패널(210)과, 패널(2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중공(221)을 개폐하는 제1주입구(222)가 형성된 지지관(220)과, 지지관(2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를 구비한 커버(231)에 의해 밀폐되는 중공을 갖춘 탄성 재질의 구 형상이되 전동식 개폐기(231a)는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피봇볼(230)과, 제1주입구(222)와 연통하는 제2주입구(241)를 구성하며 지지관(220)의 중공(221)에 내설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구되면 피봇볼(230)에 주입되도록 압축공기가 충전된 탱크(240)와, 피봇볼(2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울(251)을 구성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대(250)를 구비한 서포터(200);
눈금이 형성된 눈금판(310)과, 눈금판(3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롤링홀(2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링축(320)을 구비한 자막대(300);
편평한 4각 바닥의 수용공을 구성하고 눈금판(310)의 상단에 설치된 본체(410)와, 상기 수용공의 4개의 코너 중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구성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치(S2)를 이루는 한 쌍의 제2전극단자(420, 420')와, 상기 수용공의 남은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2전극단자(420, 42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3스위치(S3)를 이루는 한 쌍의 제3전극단자(430, 430')와, 제2전극단자(420, 42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1통전파트(441)와, 제1통전파트(441)와 절연해 연결되고 제3전극단자(430, 43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2통전파트(442)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이동하며 제1통전파트(441) 및 제2통전파트(442)가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해서 통전하는 판 형상의 통전체(440)와, 상기 수용공을 덮어 밀폐시키며 통전체(220)의 이동을 확인하도록 투명창(451)이 구성된 덮개(420)를 구비한 수평게이지(400);
제1스위치(S1)의 ON/OFF에 따라 제1전원(512)의 전력을 릴레이(511)에 통전시키는 다수의 스위칭 회로부(510)와, 릴레이(511)에 유도된 자력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며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제4스위치(S4)를 구비하고, 제2,3스위치(S2, S3)와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한스위치부(500); 및
제2,3,4스위치(SS, S3, S4) 모두의 전기적 닫힘에도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 전동식 개폐기(231a)로의 통전을 지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부(600);
를 포함하는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표척을 세우는 지점의 지형에 상관없이 연직 방향으로 정확하게 입설해서 오차 없는 정밀 측지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표척과 레벨기를 이용하여 수준을 측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지면 설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밑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서포터 일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서포터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수평게이지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수평게이지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 연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스탠드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지면 설치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베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밑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서포터 일부 구성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상기 서포터의 동작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수평게이지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상기 수평게이지의 동작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 연결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척장치의 스탠드가 동작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표척장치는, 중앙에 제1통공(111)을 구성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제2통공(112)이 각각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이격하게 설치되어서 제1스위치(S1)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와, 제2통공(112) 별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상단에는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걸쳐서 한 쌍의 전극단자(120)가 통전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턱(131)이 형성된 자화재질의 다수의 막대형 스탠드(13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1알니코자석(141)을 스탠드(13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력을 유도하는 코일(C1)을 구성한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2알니코자석(151)을 하기 서포터(20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력을 유도하는 코일(C2)을 구성한 다수의 제2솔레노이드(150)를 구비하되,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 및 제2솔레노이드(150)별 코일(C1, C2)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베이스(100); 제1통공(111)에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하단에는 제1통공(111)을 통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하부측 언저리에 걸리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롤링홀(212)이 형성되되 롤링홀(212)의 테두리는 제1통공(111)을 통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상부측 언저리에 걸리게 확장된 패널(210)과, 패널(2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중공(221)을 개폐하는 제1주입구(222)가 형성된 지지관(220)과, 지지관(2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를 구비한 커버(231)에 의해 밀폐된 중공을 갖추되 전동식 개폐기(231a)는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어 구동하는 탄성 재질의 피봇볼(230)과, 제1주입구(222)와 연통하는 제2주입구(241)를 구성하며 지지관(220)의 중공(221)에 내설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구되면 피봇볼(230)에 주입되도록 압축공기가 충전된 탱크(240)와, 피봇볼(2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울(251)을 구성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대(250)를 구비한 서포터(200); 눈금이 형성된 눈금판(310)과, 눈금판(3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롤링홀(2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링축(320)을 구비한 자막대(300); 편평한 4각 바닥의 수용공을 구성한 본체(410)와, 상기 수용공의 4개의 코너 중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구성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치(S2)를 이루는 한 쌍의 제2전극단자(420, 420')와, 상기 수용공의 남은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2전극단자(420, 42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3스위치(S3)를 이루는 한 쌍의 제3전극단자(430, 430')와, 상기 수용공에서 이동하며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 중 하나 이상에 접촉하게 얹혀져서 통전하는 판 형상의 통전체(440)와, 상기 수용공을 덮어 밀폐시키며 통전체(220)의 이동을 확인하도록 투명창(451)이 구성된 덮개(420)를 구비한 수평게이지(400); 제1스위치(S1)의 ON/OFF에 따라 제1전원(512)의 전력을 릴레이(511)에 통전시키는 다수의 스위칭 회로부(510)와, 릴레이(511)에 유도된 자력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며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제4스위치(S4)를 구비하고, 제2,3스위치(S2, S3)와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한스위치부(500); 제2,3,4스위치(SS, S3, S4) 모두의 전기적 닫힘에도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 전동식 개폐기(231a)로의 통전을 지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요소를 각각 설명한다.
베이스(100)의 플레이트(110)는, 도 5와 같이 중앙에 제1통공(111)을 구성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제2통공(112)이 각각 형성된다. 본 실시의 제1통공(111)은 일정한 폭의 평판 형상인 눈금판(310)이 관통하므로 눈금판(310)과 긴밀히 맞물리는 라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통공(112)은 패널 형상의 스탠드(130)가 관통하므로, 제2통공(112) 역시 스탠드(130)와 긴밀히 맞물리는 라인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에서 베이스(100)는 평면이 4각 형상이므로, 4개의 제2통공(112)이 베이스(100)의 각 코너별로 형성되고, 이에 상응해서 스탠드(130) 역시 4개가 구성된다.
베이스(100)의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는,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이격하게 설치되어서 제1스위치(S1)를 이룬다. 본 실시의 제1전극단자(120)는 라인 형상의 제2통공(112) 양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4쌍의 제1전극단자(120)는 4개의 제1스위치(S1)를 이루는데, 제1스위치(S1)는 각각 서로 독립된 스위칭 회로부(510)를 구성한다. 스위칭 회로부(510)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베이스(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베이스(100)의 스탠드(130)는, 제2통공(112) 별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상단에는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걸쳐서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가 통전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턱(131)이 형성된 자화재질의 막대 형상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제2통공(112)은 4개이므로, 제2통공(112)을 각각 관통하는 스탠드(130) 역시 4개이다. 따라서 플레이트(110)의 각 코너에 위치하는 스탠드(13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표척장치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다리의 역할을 수행한다. 스탠드(130)의 상단에는 안착턱(131)이 돌출하게 형성되어서, 스탠드(130)가 제2통공(112)을 경유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안착턱(131)은 플레이트(110)에 걸림 상태에선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와 접촉하므로, 도전성 재질의 스탠드(130)를 경유해서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는 서로 통전한다. 결국, 작업자가 표척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표척장치를 들어올린 상태에서는 4개의 스탠드(130)가 자중에 의해 내려앉으며 안착턱(131)이 플레이트(110)에 걸리고, 이로 인해 제2통공(112)별 제1전극단자(120)는 모두 스탠드(130)를 경유한 통전 상태를 유지한다.
베이스(100)의 제1솔레노이드(140)는,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1알니코자석(141)을 스탠드(13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1)을 구성한다. 플런저 기능의 제1알니코자석(141)은 자화재질의 스탠드(130)를 향해 이동하며, 제1솔레노이드(140)에 구성된 코일(C1)은 통전에 의한 자기 유도를 통해 제1알니코자석(141)을 강제 이동시킨다. 제1알니코자석(141)은 자체 자력에 의해 스탠드(130)에 접착하고, 스탠드(130)는 제1알니코자석(141)의 자력에 의해 현 위치가 물리적으로 유지된다. 본 실시에서 제1솔레노이드(140)는 스탠드(130)별로 셋을 이루므로 4개의 스탠드(130)에 대응해서 4개가 구성되고, 플레이트(110)의 하면에 설치된다.
베이스(100)의 제2솔레노이드(150)는,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2알니코자석(151)을 하기 서포터(20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2)을 구성한다. 제2솔레노이드(150)는 제1솔레노이드(140)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며, 제2알니코자석(151)이 서포터(200)에 접착하도록 자력을 생성한다. 결국, 제2솔레노이드(150)는 서포터(200)의 현 위치를 물리적으로 유지시킨다. 본 실시에서 제2솔레노이드(150)는 4개가 구성되고,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설치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1,2솔레노이드(140, 150)는 각각 자기유도를 위한 코일(C1, C2)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어서, 도 11의 전원(V)의 전력이 인가되면 코일(C1, C2) 모두가 통전하도록 하고, 코일(C1, C2) 중 하나가 전기적으로 단선되어도 문제 없는 코일(C1, C2)은 통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서포터(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서포터(200)의 패널(210)은, 제1통공(111)에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하단에는 제1통공(111)을 통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하부측 언저리에 걸리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롤링홀(212)이 형성되되 롤링홀(212)의 테두리는 제1통공(111)을 통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상부측 언저리에 걸리게 확장된다. 따라서 패널(210)은 제1통공(111)을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하며, 걸림턱(211)과 롤링홀(212)의 확장된 테두리에 의해 제1통공(111)으로부터는 분리되지 않는다. 한편, 롤링홀(212)은 자막대(300)가 롤링하게 연결되는 구멍으로, 서포터(200)의 상측에 위치한 자막대(300)가 하방으로 맞물리도록 상방 개구된 형태를 이룬다.
서포터(200)의 지지관(220)은, 패널(2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중공(221)을 개폐하는 제1주입구(222)가 형성된다. 제1주입구(222)는 공기을 강제 주입하기 위한 유입구의 일종으로, 지지관(22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주입구(111)는 체크밸브(미도시함)가 구성되어서 공기 주입 방향으로만 공기가 흐르고, 역방향으로는 공기의 흐름이 저지된다.
서포터(200)의 피봇볼(230)은, 지지관(2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를 구비한 커버(231)에 의해 밀폐되는 중공을 갖춘 탄성 재질의 구 형상이되 전동식 개폐기(231a)는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다. 피봇볼(230)은 중공을 갖는 구 형상이고 표척장치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의 합성고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중공에 고압의 공기를 강제 유입하면 피봇볼(230)이 팽창해서 도 8의 (b)도면과 같이 받침대(250)에 내압을 가한다. 결국, 상기 중공에 1기압의 공기가 유입된 상태에서는 합성고무의 자체 강도만으로 제 형상을 유지하며 표척장치를 지지하고, 유사시에는 1기압을 초과하는 공기를 강제 주입해 팽창시켜서 피봇볼(230)의 외면을 받침대(250)에 긴밀하게 밀착시킨다. 물론 받피봇볼(230)과 받침대(250)는 서로 움직이지 않도록 일체가 된다. 한편, 상기 중공은 커버(231)에 의해 밀폐되고, 커버(231)는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전동식 개폐기(231a)가 전력을 수신하면 자체 구동해서 커버(231)의 홀(미도시함)을 개구하고, 전력이 단전되면 상기 홀을 폐구한다. 참고로, 전동식 개폐기(231a)는 모터 방식 또는 솔레노이드 방식 등으로 상기 홀의 덮개를 개폐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커버(231)에 형성된 홀의 덮개를 전동식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하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전동식 개폐기(231a)는 코일(C1, C2)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코일(C1, C2)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동식 개폐기(231a) 역시 전류가 인가되어 구동한다.
서포터(200)의 탱크(240)는, 제1주입구(222)와 연통하는 제2주입구(241)를 구성하며 지지관(220)의 중공(221)에 내설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구되면 피봇볼(230)에 주입되도록 압축공기가 충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탱크(240)는 고압의 공기를 수용하고 피봇볼(230)과 연통해서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폐된다. 따라서 전동식 개폐기(231a)에 전류가 인가되어 홀을 개구하면, 탱크(240)의 공기는 피봇볼(230)의 중공으로 강제 유입되고, 탱크(240)의 공기가 유입된 피봇볼(230)은 팽창한다. 참고로, 탱크(240)의 제2주입구(241)는 제1주입구(222)와 긴밀히 연통하므로, 작업자가 제1주입구(222)에 압축공기를 강제 유입하면 압축공기는 제2주입구(241)를 통해 탱크(240)에 주입된다. 결국, 피봇볼(230)에 고압의 공기를 강제 주입한 이후에는 후속 사용을 위해서 작업자가 제1,2주입구(222, 241)를 통해 탱크(240)에 공기를 재충전한다. 표척장치를 현장에서 활용한 이후에는 받침대(250)와 피봇볼(230)을 서로 분리시키기 위해서 피봇볼(230)에 주입된 고압의 공기를 다시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피봇볼(230)에 별도의 배기구(미도시함)을 구성한다. 상기 배기구는 구 형상의 피봇볼(230) 본체에 구성시킬 수도 있고, 커버(231)에 구성시킬 수도 있다.
서포터(200)의 받침대(250)는, 피봇볼(2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울(251)을 구성하고, 도 2와 같이 지면(G)에 안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250)의 보울(251)은 피봇볼(230)을 수용하므로, 받침대(250)는 피봇볼(230)을 중심으로 위치가 변한다. 즉, 지면(G)의 굴곡 등에 따라 받침대(250)의 자세는 피봇볼(230)을 중심으로 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서포터(200)는 지면(G)의 굴곡에 상관 없이 직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작업자가 표척장치를 지면(G) 기준점 또는 측지점 등에 놓은 후에 다시 위치를 조정하거나 자막대(300)의 위치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표척장치를 지면(G)으로부터 다시 들어올릴 수 있다. 이 경우 표척장치를 지면(G)의 초기 위치에 다시 놓아야 하는데 해당 위치를 정확히 맞춰 재배치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표척장치가 위치해야 할 지점에 작업자가 표척장치를 정확히 맞춰 배치한 이후에는 피봇볼(230)을 중심으로 위치가 조정된 받침대(250)가 본 자세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피봇볼(230)에 고압의 공기를 강제 주입해서 받침대(25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도록 한다.
자막대(3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자막대(300)의 눈금판(310)은 일면 또는 양면에 다양한 간격의 눈금이 표시되고, 단단한 판 형상을 이룬다.
자막대(300)의 롤링축(320)은 눈금판(3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롤링홀(2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린다. 따라서 서포터(200)와 분리된 자막대(300)는 도 2의 (b)도면과 같이 측량자의 위치에 맞춰 자막대(300)의 눈금판(310)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수평게이지(4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수평게이지(400)의 본체(410)는, 편평한 4각 바닥의 수용공을 구성하고 눈금판(310)의 상단에 설치된다. 본 실시의 본체(410)는 수용공에 투명 겔을 주입해서 눈금판(310)의 기울기에 맞춰 통전체(440)가 자중에 의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게이지(400)의 한 쌍의 제2전극단자(420, 420')는, 상기 수용공의 4개의 코너 중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구성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치(S2)를 이룬다. 주지된 바와 같이 스위치는 2개의 단자를 분리시켜서 회로를 단전하고, 2개의 단자를 서로 연결해서 회로에 전류를 인가한다. 이와 같이 제2스위치(S2)는 한 쌍의 제2전극단자(420, 420')를 상기 수용공의 2개 코너에 각각 배치해서 이격시키고, 통전체(440)를 제2전극단자(420, 420')와 모두 접하게 해서 해당 회로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제2스위치(S2)는 코일(C1, C2)과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제2스위치(S2)가 닫히면 코일(C1, C2)에 전류가 인가된다.
수평게이지(400)의 한 쌍의 제3전극단자(430, 430')는, 상기 수용공의 남은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2전극단자(420, 42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3스위치(S3)를 이룬다. 제2전극단자(430, 430')와 같이 제3전극단자(430,430')는 상기 수용공의 2개 코너에 각각 이격되므로, 통전체(440)를 제3전극단자(430, 430')와 모두 접하게 해서 해당 회로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한다. 한편, 제3스위치(S3)는 제2스위치(S2)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제2,3스위치(S2, S3) 모두가 닫힘 상태가 되어야 코일(C1, C2)에 전류가 인가된다.
수평게이지(400)의 통전체(440)는, 제2전극단자(420, 42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1통전파트(441)와, 제1통전파트(441)와 절연해 연결되고 제3전극단자(430, 43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2통전파트(442)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이동하며 제1통전파트(441) 및 제2통전파트(442)가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해서 통전하는 판 형상이다. 따라서 수평게이지(400)의 통전체(440)는 눈금판(310)의 기울기에 맞춰 자중에 의해 도 10과 같이 수용공을 따라 이동하며 제1,2통전파트(441, 442)가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와 접촉한다. 물론, 제1,2통전파트(441, 442)는 도전체이므로, 제1통전파트(441)의 양단이 제2전극단자(420, 420')와 각각 접촉하면 제2스위치(S2)는 닫힘 상태가 되고, 제2통전파트(442)의 양단이 제3전극단자(430, 430')와 각각 접촉하면 제3스위치(S3)는 닫힘 상태가 된다. 참고로, 제1통전파트(441)와 제2통전파트(442)는 서로 절연 상태이므로, 제2스위치(S2)와 제3스위치(S3)는 서로 독립하게 개폐된다. 도 10의 (b)도면과 같이 제2,3스위치(S2, S3)가 모두 닫힘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통전체(440)의 제1,2통전파트(441, 442)가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에 모두 접촉한 상태이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통ㅇ전체(440)가 본체(410) 수용공의 중심에 위치해야 한다. 이때는 눈금판(310)이 연직 방향으로 곧게 직립한 상태이고, 이 자세가 바로 측량을 위한 표척장치의 자세이다.
수평게이지(400)의 덮개(420)는, 상기 수용공을 덮어 밀폐시키며 통전체(220)의 이동을 확인하도록 투명창(451)이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덮개(420)의 투명창(451)을 보면서 측량을 위한 눈금판(310)의 연직 자세를 맞춘다.
제한스위치부(5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한스위치부(500)의 스위칭 회로부(510)는, 제1스위치(S1)의 ON/OFF에 따라 제1전원(512)의 전력을 릴레이(511)에 통전시키며 다수 개이다. 도 11과 같이 제4스위치(S4)에는 독립된 별도의 스위칭 회로부(510)가 셋으로 구성된다. 또한, 스위칭 회로부(510)의 회로 닫힘은 제1스위치(S1)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스탠드(130)의 안착턱(131)이 도 12의 (a)도면과 같이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놓인 상태에서는 제1스위치(S1)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가 안착턱(131)에 의해 통전하므로, 스위칭 회로부(510)는 닫힘 상태가 되어 릴레이(511)에 전류가 인가되고, 릴레이(511)는 유도자기를 일으킨다. 릴레이(511)에 유도된 자기력은 제4스위치(S4)의 스위칭바에 외력을 가해서 제4스위치(S4)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그러나 제12의 (b)도면과 같이 안착턱(131)이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로부터 분리되면 스위칭 회로부(510)는 열림상태가 되어서 릴레이(511)의 자기력이 소멸하고, 따라서 제4스위치(S4)의 스위칭바는 자체 탄성에 의해 닫힘 상태가 된다.
제한스위치부(500)의 다수의 제4스위치(S4)는, 릴레이(511)에 유도된 자력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며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 회로부(510)의 릴레이(511)에는 제1스위치(S1)에 의해 닫힘으로 자지가 유도되므로, 해당 자력은 제4스위치(S4)에 외력을 가한다. 제4스위치(S4)의 스위칭바는 항시 닫힘 상태가 되도록 설치되나, 릴레이(511)의 유도 자력은 스위칭바를 당겨서 제4스위치(S4)가 열림이 되도록 한다. 결국, 도 12의 (a)도면과 같이 스탠드(130)가 현수된 상태에서는 스위칭 회로부(510)에 전류가 인가되어 제4스위치(S4)가 열림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도 12의 (b)도면과 같이 스탠드(130)가 지면(G)에 닿아 그 상단이 플레이트(110)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제4스위치(S4)의 스위칭바는 원형으로 복귀해서 제4스위치(S4)가 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 다수의 제4스위치(S4)는 서로 닫힘 상태이므로, 다수의 제4스위치(S4) 중 1개만이 닫힘 상태가 되어도 제한스위치부(500)는 통전한다.
한편, 제한스위치부(500)는 제2,3스위치(S2, S3)와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므로, 제2스위치(S2)와 제3스위치(S3)와 제한스위치부(500)의 제4스위치(S4)가 모두 닫힘 상태가 되어야 제1솔레노이드(140)의 코일(C1)과 제2솔레노이드(150)의 코일(C2)과 전동식 개폐기(231a)에 전류가 인가된다.
지연회로부(600)는, 제2,3,4스위치(SS, S3, S4) 모두의 전기적 닫힘에도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 전동식 개폐기(231a)로의 통전을 지정시간 지연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표척장치를 운반하는 도중의 스탠드(130)의 일시적 떨림, 수평게이지(400)에 구성된 통전체(440)의 슬라이딩 등, 실질적인 작업 과정이 아닌 중에 발생한 일시적인 제2,3,4스위치(SS, S3, S4)의 닫힘에 의해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에 전류가 흐르거나 전동식 개폐기(231a)가 구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연회로부(600)의 회로 구조는 이미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지연회로부(60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표척장치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우선, 작업자는 표척장치를 배치할 지면(G)까지 표척장치를 운반해서 서포터(200)의 받침대(250)와 베이스(100)의 스탠드(130)가 지면(G)에 닿도록 안착한다.
표척장치를 안착하는 과정에서 지면(G)의 굴곡을 따라 스탠드(130)는 도 3과 같이 플레이트(110)로부터 상방 이동한다. 이때, 해당 스탠드(130)와 연동하는 제1스위치(S1)는 열림 상태가 되어서 스위칭 회로부(510)는 단전 상태가 되고, 해당 회로부(510)의 릴레이(511)는 자력을 상실한다. 따라서 해당 스위칭 회로부(510)와 셋을 이루는 제4스위칭(S4)는 닫힘 상태가 된다.
계속해서, 작업자는 수평게이지(400)를 체크하며 통전체(440)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즉, 눈금판(310)이 연직방향으로 직립하도록 조정하는 것이다.
통전체(440)가 본체(410)의 중심에 위치하면, 통전체(440)는 제2전극단자(420, 420')와 제3전극단자(430, 430')에 접촉하고, 이를 통해 제2전극단자(420, 420')의 제2스위치(S2)와 제3전극단자(430, 430')의 제3스위치(S3)는 닫힘 상태가 된다. 결국, 제2 내지 4스위치(S2, S3, S4)는 모두 닫힘 상태가 된다.
제2 내지 4스위치(S2, S3, S4)의 닫힘 상태가 지연회로부(600)가 허용하는 지연시간 이상을 유지하면, 제1솔레노이드(140)의 코일(C1)과 제2솔레노이드(150)의 코일(C2) 및 전동식 개폐기(231a)에 전류가 인가되고, 이를 통해 제1,2솔레노이드(140, 150) 각각의 플런저 기능을 수행하는 제1알니코자석(141)과 제2알니코자석(151)은 도 12의 (b)도면 및 (c)도면과 같이 코일(C1, C2)의 유도 자기에 의해 스탠드(130)와 패널(210)에 각각 이동해 접착한다. 결국, 스탠드(130)와 패널(210)은 스토퍼 기능의 제1,2알니코자석(141, 151)에 의해 현 위치를 유지한다. 작업을 종료하면, 제1솔레노이드(140)와 제2솔레노이드(150)에 역전류를 인가해서 코일(C1, C2)이 제1,2알니코자석(141, 151)에 인력을 가하게 하고, 이를 통해 제1,2알니코자석(141, 151)은 스탠드(130)와 패널(210)의 고정을 해제한다.
한편, 코일(C1, C2)로의 전류 인가와 더불어 전동식 개폐기(231a)에도 전류가 인가되어 구동한다. 이 과정에서 탱크(240)의 압축공기는 전동식 개폐기(231a)를 경유해 피봇볼(230)에 유입되고, 피봇볼(230)은 팽창해서 받침대(250)의 보울(251)에 밀착한다. 결국, 받침대(250)는 피봇볼(230)에 단단히 결합해서 제 자세를 유지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베이스 110; 플레이트 120; 제1전극단자
130; 스탠드 140; 제1솔레노이드 150; 제2솔레노이드
200; 서포터 210; 패널 220; 지지관
230; 피봇볼 240; 탱크 250; 받침대
300; 자막대 310; 눈금판 320; 롤링축
400; 수평게이지 410; 본체 420, 420'; 제2전극단자
430, 430'; 제3전극단자 440; 통전체
500; 제한스위치부 510; 스위칭 회로부 600; 지연회로부

Claims (1)

  1. 중앙에 제1통공(111)을 구성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제2통공(112)이 각각 형성된 플레이트(110)와,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이격하게 설치되어서 제1스위치(S1)를 이루는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와, 제2통공(112) 별로 상하로 이동하게 관통하며 상단에는 제2통공(112)의 언저리에 걸쳐서 한 쌍의 제1전극단자(120)가 통전하도록 안착하는 안착턱(131)이 형성된 자화재질의 다수의 막대형 스탠드(13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1알니코자석(141)을 스탠드(13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1)을 구성한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와, 플레이트(110)에 설치되며 제2알니코자석(151)을 하기 서포터(200)에 탈착하도록 강제 이동시키는 자기유도성 코일(C2)을 구성한 다수의 제2솔레노이드(150)를 구비하되, 다수의 제1솔레노이드(140) 및 제2솔레노이드(150)별 코일(C1, C2)은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베이스(100);
    제1통공(111)에서 상하 이동하게 관통하며 하단에는 제1통공(111)을 통해 상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하부측 언저리에 걸리는 걸림턱(21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롤링홀(212)이 형성되되 롤링홀(212)의 테두리는 제1통공(111)을 통해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제1통공(111)의 상부측 언저리에 걸리게 확장된 패널(210)과, 패널(210)의 하단에 설치되고 중공(221)을 개폐하는 제1주입구(222)가 형성된 지지관(220)과, 지지관(220)의 하단에 설치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를 구비한 커버(231)에 의해 밀폐되는 중공을 갖춘 탄성 재질의 구 형상이되 전동식 개폐기(231a)는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피봇볼(230)과, 제1주입구(222)와 연통하는 제2주입구(241)를 구성하며 지지관(220)의 중공(221)에 내설되고 전동식 개폐기(231a)에 의해 개구되면 피봇볼(230)에 주입되도록 압축공기가 충전된 탱크(240)와, 피봇볼(230)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보울(251)을 구성하고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대(250)를 구비한 서포터(200);
    눈금이 형성된 눈금판(310)과, 눈금판(310)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어서 롤링홀(21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는 롤링축(320)을 구비한 자막대(300);
    편평한 4각 바닥의 수용공을 구성하고 눈금판(310)의 상단에 설치된 본체(410)와, 상기 수용공의 4개의 코너 중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구성 코일(C1, C2)과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2스위치(S2)를 이루는 한 쌍의 제2전극단자(420, 420')와, 상기 수용공의 남은 2개의 코너에 각각 이격하게 배치되며 제2전극단자(420, 420')와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된 제3스위치(S3)를 이루는 한 쌍의 제3전극단자(430, 430')와, 제2전극단자(420, 42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1통전파트(441)와, 제1통전파트(441)와 절연해 연결되고 제3전극단자(430, 430')와 양단이 각각 접촉해서 통전시키는 제2통전파트(442)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공을 이동하며 제1통전파트(441) 및 제2통전파트(442)가 제2전극단자(420, 420') 및 제3전극단자(430, 430') 중 하나 이상과 접촉해서 통전하는 판 형상의 통전체(440)와, 상기 수용공을 덮어 밀폐시키며 통전체(220)의 이동을 확인하도록 투명창(451)이 구성된 덮개(420)를 구비한 수평게이지(400);
    제1스위치(S1)의 ON/OFF에 따라 제1전원(512)의 전력을 릴레이(511)에 통전시키는 다수의 스위칭 회로부(510)와, 릴레이(511)에 유도된 자력에 의해 ON/OFF가 제어되며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제4스위치(S4)를 구비하고, 제2,3스위치(S2, S3)와는 전기적으로 직렬 연결되는 제한스위치부(500); 및
    제2,3,4스위치(SS, S3, S4) 모두의 전기적 닫힘에도 제1,2솔레노이드(140, 150)의 코일(C1, C2)과 전동식 개폐기(231a)로의 통전을 지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KR1020200077126A 2020-06-24 2020-06-24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KR10218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26A KR102183144B1 (ko) 2020-06-24 2020-06-24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7126A KR102183144B1 (ko) 2020-06-24 2020-06-24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3144B1 true KR102183144B1 (ko) 2020-11-26

Family

ID=73679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7126A KR102183144B1 (ko) 2020-06-24 2020-06-24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31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76B1 (ko) * 2020-10-19 2021-02-15 주식회사 무림지앤아이 측량 및 급경사지 확인이 가능한 재난 재해 관리 시스템
KR102606588B1 (ko) * 2023-05-31 2023-11-29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기준점별로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85B1 (ko) * 2012-09-26 2013-01-17 주식회사 유성 수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수치데이터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49377B1 (ko) * 2013-09-16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081917B1 (ko) 2019-09-09 2020-02-26 이완복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KR102081915B1 (ko) * 2019-09-09 2020-02-26 이완복 표척의 정밀 측정을 위한 측지측량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185B1 (ko) * 2012-09-26 2013-01-17 주식회사 유성 수치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는 수치데이터 업데이트 시스템
KR101349377B1 (ko) * 2013-09-16 2014-01-13 주식회사 한국에스지티 측지측량용 표척의 정밀계측을 위한 안정적인 설치장치
KR102081917B1 (ko) 2019-09-09 2020-02-26 이완복 측지측량용 표척의 높이 조절 시스템
KR102081915B1 (ko) * 2019-09-09 2020-02-26 이완복 표척의 정밀 측정을 위한 측지측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5176B1 (ko) * 2020-10-19 2021-02-15 주식회사 무림지앤아이 측량 및 급경사지 확인이 가능한 재난 재해 관리 시스템
KR102606588B1 (ko) * 2023-05-31 2023-11-29 주식회사 미래지중정보 기준점별로 정밀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측지측량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3144B1 (ko) 국가기준점 기반의 정밀 측지측량을 위한 경사면별 자동 구동 표척장치
KR102183142B1 (ko) 국가기준점 위치의 변화 보정을 위한 측지정보 이력 검출시스템
CN214793166U (zh) 一种工程造价用的现场测绘装置
KR101531025B1 (ko)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CN209841012U (zh) 一种用于工程测绘的演示教具
CN209011171U (zh) 一种桩基础模拟实验装置
CN208520364U (zh) 一种沉降观测点标志组件
KR101403476B1 (ko) 통합기준점 및 국가수준점의 수준 측량용 높낮이 조절 장치
CN203323740U (zh) 一种建筑物沉降无损测量水准尺支架
KR102379401B1 (ko)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지하시설물 측량데이터 갱신관리시스템 제공방법
CN207456453U (zh) 一种地质勘探用目标铅锤稳固性三脚架
CN216265900U (zh) 能够调平的勘测平台
CN112013251B (zh) 一种建筑监理用辅助装置
CN214500755U (zh) 一种地理测绘用定位平衡采集装置
CN114526416A (zh) 一种设有辅助定位结构的不动产测绘装置
CN209910643U (zh) 一种公路路基沉降观测装置
CN211576183U (zh) 一种水电工程土石方填挖观测装置
KR101949725B1 (ko) 지하시설물 측량을 위한 스타프장치
CN208430539U (zh) 一种基坑变形监测装置
CN211452331U (zh) 一种高稳定性的测绘装置
CN105696596A (zh) 一种用于钢管围护桩施工的定位器及其施工方法
CN112595289A (zh) 道路沉降观测系统及方法
CN210400394U (zh) 一种建筑工程造价用的可调的测绘装置
CN218626057U (zh) 一种高稳定性的地基测量工具
CN205530263U (zh) 一种用于钢管围护桩施工的定位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